KR20200054690A - 드리퍼 위치 고정구 - Google Patents

드리퍼 위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690A
KR20200054690A KR1020180138286A KR20180138286A KR20200054690A KR 20200054690 A KR20200054690 A KR 20200054690A KR 1020180138286 A KR1020180138286 A KR 1020180138286A KR 20180138286 A KR20180138286 A KR 20180138286A KR 20200054690 A KR20200054690 A KR 20200054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per
coffee
drip
drip server
guid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드립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립플랜 filed Critical (주)드립플랜
Priority to KR1020180138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4690A/ko
Publication of KR20200054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립 서버의 입구 부분에 드리퍼를 고정한 가이드 보디를 빠지지 않게 장착하되, 드리퍼를 고정하는 삽입 구멍에는 절개 홈을 절개 성형하므로, 가이드 보디로 드리퍼가 드립 서버에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하여 드립 서버가 회전하더라도 드리퍼가 정해진 위치에서 드립 서버와 함께 회전하면서 안정적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하고, 특히 추출한 커피가 드립 서버에 떨어지더라도 그만큼의 공기가 이 절개 홈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드리퍼를 가이드 보디에 끼워서 고정할 때 절개 홈이 변형했다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면서 드리퍼에 밀착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드리퍼를 삽입 구멍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리퍼 위치 고정구{DRIPPER POSITIONING FIXTURE}
본 발명은 드리퍼 위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립 서버(Sever)와 마주하는 드리퍼(Dripper) 바닥에 드리퍼 가이드를 강제로 끼워서 설치하고, 이 드리퍼 가이드가 드립 서버에 강제로 끼워지거나 드립 서버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끼워져서 고정하되, 드리퍼를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드리퍼 가이드 사이에 형성한 절개 홈을 통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커피를 추출하려고 드립 서버를 회전시키더라도 드리퍼가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하여 원하는 레시피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립 서버와 드리퍼는 핸드 드립 형태로 커피를 추출하는 기구로 널리 알려졌으며, 드립 서버 위에 드리퍼를 올려놓고 커피를 추출한다. 이때, 드리퍼에는 거름망을 삽입하여 그 안에 분쇄한 원두를 채운 다음 물을 부으면 물이 커피와 거름망을 투과하여 드리퍼 아래에 놓인 드립 서버에 커피가 추출되게 된다.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러한 종래 드립 서버와 드리퍼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11996호
원두분말에 물을 부어 커피를 수동으로 내리는 핸드 드리퍼에 관한 것으로, 원두 분말에 물을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구멍 및 커피의 드립을 쉽게 하는 다수 개의 리브(rib)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깔때기 형상의 드립 몸체와 상기 드립 몸체에 구비되는 드립 손잡이로 구성되는 핸드 드리퍼에서, 상기 드립 몸체는 그 상하단부에서 중간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브도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드립 몸체 내측으로 얹어지는 여과지와 리브 곡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외부공기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면서 리브의 완만한 내부곡면으로 인해 커피추출을 오래 지속할 수 있도록 하여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862483호
내부에 여과지로 종이필터를 끼운 후 분쇄한 원두가루를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서 커피액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하단부에 입구와 추출구가 각각 형성된 역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필터가 안착되고 분쇄한 원두가루가 투입되는 추출공간이 형성되며, 내벽에 돌출된 리브가 하측을 향해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되어 추출된 커피액이 회전하며 하강하는 추출부; 내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 홀이 형성된 거치대를 구비한 거치부; 및 상기 추출부와 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구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를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커피액이 스파이럴 리브를 타고 회전하여 내려오면서 충분한 시간차를 만들어 물과 커피와 공기가 알맞게 조화를 이룬 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더욱 깊고 균일한 맛을 낼 수 있으며, 특별한 기술이 없는 초보자도 복잡한 과정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894843호
커피 드리퍼에 관한 것으로, 커피 드립을 위한 필터지가 삽입되어 안착되며, 커피추출액의 배출을 위한 커피 추출부를 구비하는 드립부와, 커피추출액이 수용되는 용기에 안착하도록 드립부와 결합하며, 커피 추출부와 연통하는 커피 추출홀부를 구비하는 받침부와, 드립부와 받침부 사이에 구비되며, 커피 추출부 또는 커피 추출홀부를 통과하는 커피추출액의 양을 조절하는 커피추출액 조절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커피 드리퍼는 커피를 섭취하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드립부에서 추출되는 커피추출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커피추출액의 농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이루어진 드리퍼로 커피를 추출할 때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드리퍼에 담은 분쇄한 원두에 물을 부어 커피를 추출하려면, 드리퍼를 드립 서버 위에 올려놓고 드리퍼에 물을 부어야 한다. 이때, 드리퍼에서 추출한 커피가 드립 서버로 빠져나감에 따라 그만큼 드립 서버에서 공기가 빠져나가야 한다.
(2) 이에, 드리퍼는 드립 서버 위에 걸쳐진 상태에서 약간의 틈새를 형성하게 해야 하나, 이처럼 드립 서버 위에 드리퍼를 올려놓음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3) 자동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로 커피를 추출할 때는 드립 서버를 회전시키면서 물을 붓게 되는 데, 이때 이 드립 서버 위에 올려놓은 드리퍼가 정해진 위치에 있지 않으면 드립 서버가 회전하는 동안 중심을 잃고 떨어질 우려가 있다.
(4) 이처럼 드립 서버에서 드리퍼가 떨어지거나 넘어지면 드립 서버 주변에 있는 사람을 다치게 하거나 물건을 상하게 한다.
(5) 또한, 드립 서버를 회전시킬 때 드리퍼의 중심이 회전하는 드립 서버의 회전 중심과 맞지 않으면, 거름망에 담은 분쇄한 원두에 물을 부을 때 제대로 물을 부을 수 없어 레시피에 따른 맛과 향을 낼 수 없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11996호 (공개일 : 2017.10.12) 한국등록특허 제1862483호 (등록일 : 2018.05.23) 한국등록특허 제1894843호 (등록일 : 2018.08.29)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드립 서버의 입구 부분에 드리퍼를 고정한 가이드 보디를 빠지지 않게 장착하되, 드리퍼를 고정하는 삽입 구멍에는 절개 홈을 절개 성형하므로, 가이드 보디로 드리퍼가 드립 서버에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하여 드립 서버가 회전하더라도 드리퍼가 정해진 위치에서 드립 서버와 함께 회전하면서 안정적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하고, 특히 추출한 커피가 드립 서버에 떨어지더라도 그만큼의 공기가 이 절개 홈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한 드리퍼 위치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드리퍼를 가이드 보디에 끼워서 고정할 때 절개 홈이 변형했다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면서 드리퍼에 밀착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드리퍼를 삽입 구멍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드리퍼 위치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개 홈을 삽입 구멍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방사형으로 형성하므로, 이 절개 홈을 기준으로 형성한 가장자리가 균등하게 돌출 부분을 지지 고정하여 중심에서 이탈하거나 벗어나지 않게 한 드리퍼 위치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리퍼 위치 고정구는, 드리퍼(D) 바닥면에 바깥으로 돌출한 돌출 부분(P)에 장착하여 드립 서버(S) 위에 올려놓고 커피를 내릴 수 있게 하는 가이드 보디(100)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보디(100)는, 가장자리가 드립 서버(S)의 입구 부분에 강제로 끼워지거나 걸쳐져서 빠지지 않게 형성하고, 돌출 부분(P)에 강제로 끼워지도록 중앙 부분에 가장자리를 따라 바깥으로 적어도 두 개의 절개 홈(111)을 절개하여 형성한 삽입 구멍(110)을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각 절개 홈(111)의 면적을 합한 넓이는, 드리퍼(D)에서 추출한 커피가 드립 서버(S)로 떨어지는 커피 양에 따라 드립 서버(S)에서 빠져나가는 공기량을 배출할 수 있는 넓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절개 홈(111)은, 상기 삽입 구멍(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절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가이드 보디(10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리퍼 위치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드립 서버에 드리퍼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커피 추출을 위해 드립 서버를 회전하더라도 안전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2) 이때, 드리퍼는 그 바닥에 강제로 끼운 가이드 본체를 이용하여 드립 서버에 끼우되, 이 드리퍼의 회전 중심이 드립 서버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게 끼워서 고정하므로, 커피 추출을 위해 드리퍼에 물을 따르더라도 정해진 위치에 물을 부을 수 있어 원하는 레시피 대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3) 또한, 드립 서버에 드리퍼를 강제로 끼우므로, 커피 추출을 위해 회전하는 드립 서버에 물을 부을 때 이 드립 서버에서 드리퍼가 이탈하거나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4) 이에, 커피를 추출하려고 부은 물이 드리퍼에서 벗어남에 따라 그 주변에 있는 바리스타나 다른 작업자가 화상을 입거나 다치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5) 가이드 보디를 드립 서버의 입구 가장자리에 끼우거나 감쌀 수 있게 구성하므로, 드립 서버의 크기가 조금 차이가 나더라도 가이드 보디를 안전하게 드립 서버에 끼워서 편리하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를 드리퍼에 장착한 다음 드립 서버에 끼워서 조립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를 드리퍼에 장착한 다음 드립 서버에 끼워서 조립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를 드립 서버와 마주하는 드리퍼 하부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서버와 마주하는 드리퍼 하부에 장착한 가이드를 드립 서버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드리퍼 위치 고정구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드립 서버(S)와 마주하는 드리퍼(D) 바닥에 강제로 끼워서 조립한 다음, 이 드립 서버(S)의 입구에 강제로 끼워서 빠지지 않게 장착하는 가이드 보디(1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 보디(100)는 드리퍼(D)를 끼우는 삽입 구멍(110)에 적어도 두 개의 절개 홈(111)을 형성하므로, 이 절개 홈(111)의 변형을 이용하여 드리퍼(D)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커피 추출을 위해 드립 서버(S)를 회전시키더라도 드리퍼(D)를 안전하게 지지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절개 홈(111)을 통해 드리퍼(D)에서 추출한 커피가 드립 서버(S)에 떨어짐에 따라 그만큼의 공기를 드립 서버(S) 밖으로 배출하게 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이드 보디>
가이드 보디(10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드립 서버(S)에 마주하는 드리퍼(D) 바닥에 끼운 상태에서 이 드립 서버(S) 위에 올려놓고서 드립 서버(S)가 회전하는 중심과 드리퍼(D)의 회전 중심이 일치하게 맞춰준다.
여기서, 드리퍼(D)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통상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삽입한 거름망에 분쇄한 원두를 투입한 다음 물을 따름에 따라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이때, 드리퍼(D)는 호퍼 형상의 내주, 즉 거름망이 맞닿는 면에 다양한 형태로 리브를 형성하여 거름망이 드리퍼(D) 내면에 밀착하지 않게 하여 공기 흐름이 이루어지면서 추출한 커피가 아래로 흐를 수 있게 제작한다. 또한, 바닥에는 이처럼 드리퍼(D) 내면을 따라 흐르는 추출한 커피가 아래로 떨어질 수 있게 추출 구멍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드립 서버(S)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드리퍼(D)를 위에 올려놓고 추출 구멍을 통해 드리퍼(D)에서 추출한 커피를 수용하기 위한 일종의 용기를 말한다. 이러한 드립 서버(S)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나, 자동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데 사용할 때는 이 드립 서버(S)가 회전해야 하므로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이 대칭되게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 보디(10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가장자리를 상술한 드립 서버(S)의 입구 부분에 강제로 장착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보디(1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가장자리가 드립 서버(S) 입구 안에 강제로 끼워져서 빠지지 않게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거나, 반대로 [도 3(b)] 및 [도 4]와 같이, 한쪽 면의 가장자리에 플랜지(112)를 돌출 성형함으로써, 이 플랜지(112)가 드립 서버(S) 입구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보디(100)에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중앙 부분에 삽입 구멍(110)을 관통 형성한다. 삽입 구멍(110)은 가이드 보디(100)를 드리퍼(D)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으로, 회전하는 드립 서버(S)에 가이드 보디(100)를 끼워서 고정했을 때 회전 중심이 드리퍼(D)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도록 가이드 보디(100)의 중앙에 관통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드리퍼(D)에는, [도 2]·[도 4] 및 [도 5]와 같이, 드립 서버(S)와 마주하는 면에 관 형태로 돌출하여 드리퍼(D)에서 추출한 커피가 커피 드롭 서버(S)에 집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돌출 부분(P)을 형성한다. 이에, 본 발명은 이 돌출 부분(P)에 상술한 삽입 구멍(110)을 강제로 끼워서 가이드 보디(100)가 드리퍼(D)에서 빠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가이드 보디(100)는 드리퍼(D)와 커피 드롭 서버(S)가 같은 중심선 상에 위치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게 안내하게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보디(100)에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삽입 구멍(11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적어도 세 개로 분할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절개 홈(111)을 절개 형성한다. 이는, 돌출 부분(P)을 삽입 구멍(110)에 강제로 끼울 때, 이 삽입 구멍(110)의 가장자리 부분이 변형하면서 돌출 부분(P)이 쉽게 삽입 구멍(110)에 끼울 수 있게 하고, 또한 변형한 가장자리 부분이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면서 더욱 견고하게 돌출 부분(P)을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절개 홈(111)은 드리퍼(D)에서 추출한 커피가 드립 서버(S) 안에 떨어짐에 따라 그만큼의 공기가 드립 서버(S) 밖으로 배출해야 하는 데, 이렇게 배출하는 공기의 통로로도 사용된다. 이에, 상기 절개 홈(111)은 그 넓이의 합이 커피 추출로 드립 서버(S)에서 빠져나가는 공기량을 충분히 배출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절개 홈(111)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삽입 구멍(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 삽입 구멍(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절개 성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절개 홈(111)을 기준으로 여러 개로 나누어진 삽입 구멍(110)의 가장자리 부분이 같은 크기로 제작하고, 또한 같은 간격을 유지하게 형성함으로써, 삽입 구멍(110)에 돌출 부분(P)을 끼울 때 가해지는 압력이 절개 홈(111)을 통해 균일하게 분산하게 하여 쉽고 편리하게 가이드 보디(100)를 돌출 부분(P)에 끼워서 삽입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가이드 보디(100)는, 전체적인 형상이 드립 서버(S) 안에 강제로 끼워서 고정하거나 플랜지(12)가 이 드립 서버(S)의 가장자리에 끼워져서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든지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통상적으로 드립 서버(S)의 형상이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을 대칭으로 제작하므로, 가이드 보디(100)도 원판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드리퍼 바닥에 돌출 성형한 돌출 부분에 가이드 보디를 강제로 끼우고, 이 가이드 보디를 드립 서버의 입구 부분에 강제로 끼워서 드리퍼와 드립 서버의 회전 중심이 일치하게 구성하므로, 드립 서버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커피를 추출하려고 물을 따르더라도 쏠리지 않고 정해진 궤적을 따라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원하는 레시피의 커피 향과 맛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리퍼를 고정하려고 형성한 삽입 구멍에 절개 홈을 형성하므로, 이 절개 홈을 통해 가이드 보디를 쉽게 드리퍼에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피 추출로 드립 서버에서 배출해야 하는 공기의 통로로 사용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100 : 가이드 보디
110 : 삽입 구멍
111 : 절개 홈
112 : 플랜지

Claims (4)

  1. 드리퍼(D) 바닥면에 바깥으로 돌출한 돌출 부분(P)에 장착하여 드립 서버(S) 위에 올려놓고 커피를 내릴 수 있게 하는 가이드 보디(100)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보디(100)는,
    가장자리가 드립 서버(S)의 입구 부분에 강제로 끼워지거나 걸쳐져서 빠지지 않게 형성하고,
    돌출 부분(P)에 강제로 끼워지도록 중앙 부분에 가장자리를 따라 바깥으로 적어도 두 개의 절개 홈(111)을 절개하여 형성한 삽입 구멍(110)을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 위치 고정구.
  2. 제1항에서,
    상기 각 절개 홈(111)의 면적을 합한 넓이는,
    드리퍼(D)에서 추출한 커피가 드립 서버(S)로 떨어지는 커피 양에 따라 드립 서버(S)에서 빠져나가는 공기량을 배출할 수 있는 넓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 위치 고정구.
  3. 제2항에서,
    상기 절개 홈(111)은,
    상기 삽입 구멍(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절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 위치 고정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가이드 보디(10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 위치 고정구.
KR1020180138286A 2018-11-12 2018-11-12 드리퍼 위치 고정구 KR20200054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286A KR20200054690A (ko) 2018-11-12 2018-11-12 드리퍼 위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286A KR20200054690A (ko) 2018-11-12 2018-11-12 드리퍼 위치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690A true KR20200054690A (ko) 2020-05-20

Family

ID=7091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286A KR20200054690A (ko) 2018-11-12 2018-11-12 드리퍼 위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46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841A (ko) * 2021-05-12 2022-11-21 (주)예담 세척이 필요없는 커피 드립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1996A (ko) 2016-03-30 2017-10-12 (주)메가크리에이트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KR101862483B1 (ko) 2016-11-29 2018-05-29 다로스 주식회사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KR101894843B1 (ko) 2016-10-19 2018-09-06 이영민 커피 드립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1996A (ko) 2016-03-30 2017-10-12 (주)메가크리에이트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KR101894843B1 (ko) 2016-10-19 2018-09-06 이영민 커피 드립퍼
KR101862483B1 (ko) 2016-11-29 2018-05-29 다로스 주식회사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841A (ko) * 2021-05-12 2022-11-21 (주)예담 세척이 필요없는 커피 드립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576B1 (ko) 드립 커피 제조기
JPH0349625Y2 (ko)
JPS61501309A (ja) 改良された自動式コ−ヒ−ポツト
US8250970B2 (en) Substance holder with removable insert
AU2006225869A1 (en) Apparatus for brewing unintended or premature release of liquid in a beverage brew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US9526368B2 (en) Single cup coffee and tea brewing system
US20100000416A1 (en) Percolator device
KR101862483B1 (ko)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KR20200054690A (ko) 드리퍼 위치 고정구
JP2008516728A (ja) コーヒーカートリッジ用ファンネルインサート
DK146932B (da) Apparat til filtrering af nydelsesmidler, navnlig kaffe
US20050120886A1 (en) Infusion tea maker
US6811299B2 (en) Hot coffee mixing device for a coffee maker
KR101720015B1 (ko)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KR101681066B1 (ko) 복수의 드리퍼들 중 선택되는 한 쌍의 드리퍼를 구비한 드립 커피 추출기
KR200482067Y1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US9861225B1 (en) Single cup coffee and tea manual brewing system
US2780162A (en) Coffee extractors
KR101661489B1 (ko) 더치커피 추출 기구
EP2767198B1 (en) A filter holder for an espresso coffee machine
KR200478513Y1 (ko) 더치커피 추출 장치
US2309834A (en) Tea or coffee pot
KR20200025149A (ko) 핸드드립 커피추출기구
KR102481713B1 (ko) 커피 드리퍼용 물공급포트
KR20140077706A (ko) 다기능 드립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