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483B1 -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 Google Patents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483B1
KR101862483B1 KR1020160159751A KR20160159751A KR101862483B1 KR 101862483 B1 KR101862483 B1 KR 101862483B1 KR 1020160159751 A KR1020160159751 A KR 1020160159751A KR 20160159751 A KR20160159751 A KR 20160159751A KR 101862483 B1 KR101862483 B1 KR 101862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spiral
extracting
extraction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정석
Original Assignee
다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9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여과지로 종이필터를 끼운 후 분쇄한 원두가루를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서 커피액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하단부에 입구와 추출구가 각각 형성된 역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필터가 안착되고 분쇄한 원두가루가 투입되는 추출공간이 형성되며, 내벽에 돌출된 리브가 하측을 향해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되어 추출된 커피액이 회전하며 하강하는 추출부; 내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거치대를 구비한 거치부; 및 상기 추출부와 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구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피액이 스파이럴 리브를 타고 회전하여 내려오면서 충분한 시간차를 만들어 물과 커피와 공기가 알맞게 조화를 이룬 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더욱 깊고 균일한 맛을 낼 수 있으며, 특별한 기술이 없는 초보자도 복잡한 과정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SPIRAL COFFEE DRIPPER}
본 발명은 커피 드리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여과지로 종이필터를 끼운 후 분쇄한 원두가루를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서 커피액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기구인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원두를 분쇄한 원두가루는 수용성 물질과 불용성 물질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데, 커피 드리퍼(Coffee dripper)란 이러한 원두가루로부터 수용성 물질을 추출하기 위하여 종이필터에 담긴 원두가루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한 기구이다.
커피 드리퍼의 종류는 칼리타 드리퍼, 하리오 드리퍼, 멜리타 드리퍼, 고노 드리퍼, 클레버 드리퍼 등이 알려져 있고, 여러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예컨대, 칼리타 드리퍼는 추출구가 3개 형성된 역 사다리꼴 형태의 구조로 추출구가 3개이므로 공기 빠짐이 용이하고, 하나의 출루가 막혀도 다른 추출구에서 보충할 수 있는 있다. 하리오 드리퍼는 1개의 추출구가 형성된 역 원뿔형 구조로 물을 주입했을 때 추출되는 속도가 빨라 부드러운 커피를 얻을 수 있다. 멜리타 드리퍼는 추출구가 1개 형성된 역 사다리꼴 형태의 구조로 물을 주입하면 바닥 부분에서 원두가루와 물이 만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농도가 진한 커피가 추출될 수 있다. 고노 드리퍼는 1개의 추출구가 형성된 역 원뿔형 구조로 물을 주입하면 드리퍼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신속하게 추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클레버 드리퍼는 추출구가 막혀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추출구가 막힌 상태에서 원두분말을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커피 드리퍼를 용기 위에 올려주면 추출구가 개방되면서 커피가 추출되며,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일정한 커피맛을 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도 1에는 특허문헌 1이 도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바닥면의 중심에 원뿔 형상의 돌출부(10)가 바닥면과 일체화되어 있고, 내벽에는 리브(20)가 있으며, 돌출부에는 리브가 없고, 손잡이(30)가 외부로 돌출되며,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커피 드리퍼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역 원뿔형 형상을 갖고 리브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뜨거운 물이 빠르게 추출구로 몰려 편중 추출이나 과다 추출의 현상이 발생될 수 있어 원하는 추출 수율을 얻을 수 없고, 드립하는 사용자에 따라 맛에 큰 편차가 생기며, 균일한 맛을 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3474호(2012.05.18.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피액이 스파이럴 리브를 타고 회전하여 내려오면서 충분한 시간차를 만들어 물과 커피와 공기가 알맞게 조화를 이룬 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더욱 깊고 균일한 맛을 낼 수 있으며, 특별한 기술이 없는 초보자도 복잡한 과정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커피 드리퍼의 구조를 개선하여 추출된 커피액의 배출이 원활해 지고, 공기가 측면과 하부를 통해 적량 유입되어 풍부한 맛과 향이 살아 있는 커피를 만들 수 있으며, 커피액이 정체되어 역침투에 의해 커피맛이 써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단부에 입구와 추출구가 각각 형성된 역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필터가 안착되고 분쇄한 원두가루가 투입되는 추출공간이 형성되며, 내벽에 돌출된 리브가 하측을 향해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되어 추출된 커피액이 회전하며 하강하는 추출부; 내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거치대를 구비한 거치부; 및 상기 추출부와 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구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브와 리브 사이의 이격 거리인 피치는, 상기 추출부의 상부보다 하부가 작거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가변 피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브의 돌출된 깊이는, 상기 추출부의 상부보다 하부가 크거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가변 깊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의 연결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와 연결대의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대는 한쌍의 연결편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한쌍의 연결편은 양측에서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치대는 내면에 복수 개의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피액이 스파이럴 리브를 타고 회전하여 내려오면서 충분한 시간차를 만들어 물과 커피와 공기가 알맞게 조화를 이룬 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더욱 깊고 균일한 맛을 낼 수 있으며, 특별한 기술이 없는 초보자도 복잡한 과정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피 드리퍼의 구조를 개선하여 추출된 커피액의 배출이 원활해 지고, 공기가 측면과 하부를 통해 적량 유입되어 풍부한 맛과 향이 살아 있는 커피를 만들 수 있으며, 커피액이 정체되어 역침투에 의해 커피맛이 써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피 드리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의 가변 피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브의 가변 깊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의 커피 추출에 관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는 내부에 여과지로 종이필터를 끼운 후 분쇄한 원두가루를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서 커피액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추출부(100), 거치부(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추출부(100)는 상·하단부에 입구(110)와 추출구(120)가 각각 개방 형성되고, 상광하협의 역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추출공간(130)이 형성된다. 상기 추출공간(130)에는 여과지 기능을 하는 종이로 된 필터가 삽입되어 안착되고, 필터 안에 분쇄한 원두가루를 투입한 후 뜨거운 물을 부어서 커피액 추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추출부(100)는 내벽(105)에 돌출된 리브(140)가 하측을 향해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추출된 커피액이 스파이럴 형상의 상기 리브(140)를 타고 회전하여 내려오면서 충분한 시간차를 만들어 물과 원두가루와 공기가 알맞게 조화를 이룬 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더욱 깊고 균일한 맛을 낼 수 있으며, 특별한 기술이 없는 초보자도 복잡한 과정없이 쉽게 사용하여 일정한 수준 이상의 커피를 만들 수 있다.
상기 리브(140)와 리브(140) 사이의 이격 거리인 피치(P)들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루어진 고정 피치보다는 상부의 피치보다 하부의 피치가 작거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가변 피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공간(130)의 내부로 뜨거운 물이 유입되면 필터(F)가 젖어서 내벽(105)쪽으로 가까워지게 되거나 내벽(105)과 접하게 되어 커피액과 공기의 흐름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하측으로 갈 수록 상부보다 작은 피치를 갖도록 촘촘히 형성하여 커피액과 공기가 원활히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써 커피 드립에 관한 특별한 기술이나 경험이 없는 초보자라도 균일한 맛을 갖는 커피를 만들 수 있다.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은 다양한 횟수와 피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추출부(100)에서 추출된 커피액이 필터(F)와 내벽(105) 사이로 들어가 스파이럴 형상의 리브(140)를 통해 회전하면서 하강할 때 상기 추출부(100)의 하부에서 정체 현상이 발생하고 커피액이 위로 유동되거나 필터(F)를 역침투할 수 있다. 이러한 정체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커피의 맛이 써지게 디고 풍미가 저하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140)의 돌출된 깊이(D)는 상기 추출부(100)의 상부(A)보다 하부(B)가 크거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가변 깊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정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추출부(100)의 하부에서 필터(F)와 내벽(105)의 사이의 공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커피 추출시 커피액이 원활히 드립될 수 있고, 더욱 깊고 균일한 맛을 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거치부(200)는 추출된 커피액이 수용되는 용기(B) 위에 대략 환상으로 이루어진 거치대(210)가 거치되고, 상기 거치대(210)의 내측에 유입홀(220)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220)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유입홀(220)을 거쳐 추출구(120)를 통해 추출부(100)로 유입된 공기는 일부는 필터 내부로 올라가 물과 혼합된 커피를 내벽(105)쪽으로 밀어내고, 일부는 필터(F)와 내벽(105) 사이로 상기 리브(140)를 타고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천천히 공급됨으로써, 갑자기 과도한 양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커피의 맛과 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적정한 양의 공기가 커피와 접촉되어 풍부한 맛과 향이 살아있는 커피를 만들게 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200)는 내면에 복수 개의 오목홈(215)이 요입 형성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추출부(100)와 거치부(20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대(31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연결대(310)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연결대(310)와 연결대(310)의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는 통공(320)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피 드립에 있어 공기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커피의 성분에는 리놀렌산이 많아서 산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로스팅한 원두는 보관시 산소에 의해 산패가 촉진되어 원두의 품질을 떨어뜨리지만, 커피 드립시에는 산소를 포함하고 있는 적절한 양의 공기가 추출부(100) 내부로 계속 공급되어야만 물과 혼합된 커피를 내벽(105)쪽으로 밀어내어 적당한 추출 수율을 얻을 수 있고, 풍부한 맛과 향이 살아 있는 커피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대(310)는 한쌍의 연결편(335)이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한쌍의 연결편(335)은 양측에서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대략 "V"자로 형성되어 내측에 파지홈(340)이 구비되며, 이로써 사용자는 파지홈(340)을 파지함으로써 종래의 제품과 달리 손잡이가 필요없고 부피를 크게 감소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커피 드립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100)의 추출공간(130)에 필터(F)를 삽입하고, 필터(F) 안에 적당한 크기로 분쇄된 원두가루(C)를 담는다. 위에서 드립주전자로 끓인 물을 필터(F) 내부로 내리기 시작한다. 이때 물은 85 내지 95℃가 적당하고, 드립주전자의 물을 조금씩 내려서 차분히 원두가루를 적셔준다. 이를 뜸들이기라고 하는데 중앙부터 원두가루를 골고루 적셔주어야만 추출이 잘되고, 뜸들이기를 할 때에는 물이 필터에 직접 닿지 않도록 원두가루 위에 원을 그리면서 물을 내리도록 한다.
이때, 원두가루와 물이 만나 이산화탄소가 위로 배출되어 나가면서 하부로부터 산소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며, 이때, 유입홀(220)과 통공(32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추출구(120)를 통해 상측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공기 중에 일부는 필터(F) 내부로 들어가 물과 혼합된 커피를 내벽(105)쪽으로 밀어내고, 일부는 필터(F)와 내벽(105) 사이로 상기 리브(140)를 타고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서서히 공급되어 과도한 양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커피의 향미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적정한 양의 공기가 커피와 서서히 접촉되어 풍부한 맛과 향이 살아있는 커피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도 7b과 도 7c를 참고하면 원두분말의 수용성 물질이 물과 함께 좌우로 흩어지게 되고, 좌우로 흩어진 수용성 물질은 필터(F)를 통과하여 필터(F)와 내벽(105) 사이에 있는 스파이럴 리브(140)를 따라 서서히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추출구(120)를 통해 용기(B)로 배출된다. 이때, 쓴맛, 아린맛, 떫은 맛 등은 추출공간(130)의 상부에 거품으로 형성되고, 추출된 커피액이 스파이럴 리브(140)를 타고 회전하면서 충분한 시간차를 만들어 물과 커피와 공기가 알맞게 조화를 이룬 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더욱 깊고 균일한 맛을 낼 수 있으며, 초보자도 쉽게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1)는 커피액이 스파이럴 리브를 타고 회전하여 내려오면서 충분한 시간차를 만들어 물과 커피와 공기가 알맞게 조화를 이룬 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더욱 깊고 균일한 맛을 낼 수 있으며, 특별한 기술이 없는 초보자도 복잡한 과정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커피 드리퍼의 구조를 개선하여 추출된 커피액의 배출이 원활해 지고, 공기가 측면과 하부를 통해 적량 유입되어 풍부한 맛과 향이 살아 있는 커피를 만들 수 있으며, 커피액이 정체되어 역침투에 의해 커피맛이 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종래기술
10. 돌출부 20. 리브
30. 손잡이
*본 발명
1.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100. 추출부 105. 내벽
110. 입구 120. 추출구
130. 추출공간 140. 리브
200. 거치부 210. 거치대
215. 오목홈 220. 유입홀
300. 연결부 310. 연결대
320. 통공 330. 연결편
340. 파지홈 B. 용기
C. 원두가루 D. 깊이
F. 필터 P. 피치

Claims (6)

  1. 상·하단부에 입구와 추출구가 각각 형성된 역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필터가 안착되고 분쇄한 원두가루가 투입되는 추출공간이 형성되며, 내벽에 돌출된 리브가 하측을 향해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되어 추출된 커피액이 회전하며 하강하는 추출부;
    내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거치대를 구비하고, 거치대의 내면에 복수 개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거치부; 및
    상기 추출부와 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구비하고, 연결대는 한쌍의 연결편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한쌍의 연결편은 양측에서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파지홈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리브와 리브 사이의 이격 거리인 피치는 상기 추출부의 상부보다 하부가 작거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가변 피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브의 돌출된 깊이는 상기 추출부의 상부보다 하부가 크거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가변 깊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의 연결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와 연결대의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59751A 2016-11-29 2016-11-29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KR101862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751A KR101862483B1 (ko) 2016-11-29 2016-11-29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751A KR101862483B1 (ko) 2016-11-29 2016-11-29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483B1 true KR101862483B1 (ko) 2018-05-29

Family

ID=6245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751A KR101862483B1 (ko) 2016-11-29 2016-11-29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4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924B1 (ko) * 2018-11-06 2019-12-20 주식회사 빈스코프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KR20200054690A (ko) 2018-11-12 2020-05-20 (주)드립플랜 드리퍼 위치 고정구
KR102205021B1 (ko) 2020-08-20 2021-01-18 김현애 커피 드리퍼
CN112423633A (zh) * 2018-07-11 2021-02-26 德利卡股份公司 流出嘴、饮料制备机和用于清洗饮料制备机的流出嘴的方法
WO2024025090A1 (ko) * 2022-07-26 2024-02-01 주식회사 씨 커피 핸드드립 가이드 구조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3633A (zh) * 2018-07-11 2021-02-26 德利卡股份公司 流出嘴、饮料制备机和用于清洗饮料制备机的流出嘴的方法
KR102057924B1 (ko) * 2018-11-06 2019-12-20 주식회사 빈스코프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KR20200054690A (ko) 2018-11-12 2020-05-20 (주)드립플랜 드리퍼 위치 고정구
KR102205021B1 (ko) 2020-08-20 2021-01-18 김현애 커피 드리퍼
WO2024025090A1 (ko) * 2022-07-26 2024-02-01 주식회사 씨 커피 핸드드립 가이드 구조물
KR20240014697A (ko) 2022-07-26 2024-02-02 오지영 커피 핸드드립 가이드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483B1 (ko)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CN205234284U (zh) 滴漏咖啡制造机
US20110005400A1 (en) Coffee making kettle using venturi
CA2083324A1 (en) Brew basket
US20160174741A1 (en) Drinking straw for infusing beverage during consumption
JP2014502544A5 (ko)
KR20170111996A (ko)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KR101506796B1 (ko) 커피 핸드 드립퍼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JP2008516728A (ja) コーヒーカートリッジ用ファンネルインサート
KR101681066B1 (ko) 복수의 드리퍼들 중 선택되는 한 쌍의 드리퍼를 구비한 드립 커피 추출기
KR20190058399A (ko) 핸드 드립식 여과 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KR20190054906A (ko) 커피 드리퍼
US4168656A (en) Apparatus for improving coffee grounds usage
CN210276884U (zh) 滤杯结构
US2780162A (en) Coffee extractors
KR200494168Y1 (ko) 커피 핸드 기능성 드립퍼
KR20180098084A (ko) 핸드드립커피용의 드립포트
KR20120003474U (ko) 커피 드리퍼
KR20160002220U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KR20190054220A (ko) 커피 에센스 추출방법
KR20160088984A (ko)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JP2005199007A (ja) コーヒー液抽出方法とそのコーヒー液抽出器
KR20200054690A (ko) 드리퍼 위치 고정구
KR102481713B1 (ko) 커피 드리퍼용 물공급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