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706A - 다기능 드립퍼 - Google Patents

다기능 드립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706A
KR20140077706A KR1020120146787A KR20120146787A KR20140077706A KR 20140077706 A KR20140077706 A KR 20140077706A KR 1020120146787 A KR1020120146787 A KR 1020120146787A KR 20120146787 A KR20120146787 A KR 20120146787A KR 20140077706 A KR20140077706 A KR 20140077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per
opening
connecting rod
floating bal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옥
Original Assignee
김은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옥 filed Critical 김은옥
Priority to KR1020120146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7706A/ko
Publication of KR20140077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 A47J31/06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activated by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57Water-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드립퍼에 관한 것으로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균일한 맛을 갖도록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드립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하부는 추출공(111)이 관통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추출공(111)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추출공(111)에 인접 설치되는 개폐볼(121)과, 상기 개폐볼(121)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연결된 지지봉(122)과, 상기 지지봉(122) 하단에 형성된 거치판(123)과, 상기 거치판(123)에 관통 형성된 최소 하나 이상의 배출공(123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폐부(120)와; 부력을 갖는 부구(131)와, 부구(131)를 연결 지지하는 부구연결봉(132)과, 부구연결봉(132)이 회동할 수 있도록 부구연결봉(132)의 어느 한 위치에 형성되는 회전축(133)과, 부구연결봉(132)의 타격에 의해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알림종(1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위알림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드립퍼 {Multi-function driper}
본 발명은 다기능 드립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수명이 길고, 위생적이며, 수위 조절에 따른 청각적 신호음을 발생시켜 시각장애인들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드립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드립퍼(dripper)란, 커피 생두를 약하게 또는 강하게 볶은(로스팅) 후, 볶아진 원두를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여 적정 온도의 물을 분쇄한 원두분말에 부어 커피원두가 갖고 있는 고유의 맛과 향을 기호에 맞게 취사선택하여 적절하게 추출해내는 장치를 말한다. 처음에는 원두분말과 추출액의 용이한 분리를 위해 고안되어 사용되었으나, 현재에 이르러서는 드립퍼의 형태와 필터의 선택 사항에 따라 서로 다른 독특한 맛과 향의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로서 자리매김을 하였다. 원두커피는 커피 분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조건에 의해 커피의 맛과 향이 다르게 추출되는데, 일반적으로 물의 온도와 양, 커피 원두의 배전도 및 분쇄된 크기와 분말의 양, 그리고 커피 드립퍼의 구조상의 여과 조건에 따라, 추출후의 커피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커피 드립퍼 구조는 원뿔형의 공간부가 형성된 용기에, 최소 하나 이상의 추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뿔형의 공간부에 종이 필터를 넣고, 이에 원두분말을 수용한 후 뜨거운 물을 부어 원두분말로부터 추출액을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드립퍼는 사용자의 이용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커피의 맛이 추출되어 맛이 균일하지 않았으며,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주전자 등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온수를 공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시각장애인들이 바리스타 양성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커피전문점에서의 종사가 늘어나는 등 활발한 사회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뜨거운 물을 다루는 과정에서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균일한 맛을 갖도록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드립퍼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은 하부에 개폐밸브를 형성하여 커피를 일정시간 우려낸 후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고, 개폐밸브에서 사용되는 개폐 볼은 세라믹 소재로 형성한다.
또한, 드립퍼 내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알림음을 발생시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드립퍼에 의하면, 드립퍼 하부에 배출 개폐밸브를 형성하여 추출된 커피에 대한 간편하고 용이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추출된 커피 맛의 균일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밸브에 사용되는 볼을 세라믹 소재로 형성하여 이물질이 융착되지 않아 위생적이며, 마모되거나 파손되지 않기에 반 영구적 사용이 가능하여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뜨거운 물의 수위에 따라 청각적 경고음을 발생시켜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드립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드립퍼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드립퍼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드립퍼의 수위알림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드립퍼의 수위알림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드립퍼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드립퍼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드립퍼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드립퍼(100)는, 내부에 원두분말 및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형성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하부에 형성되어 커피 추출액의 배출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부(120)와, 상기 본체(110) 상부에 형성되어 투입되는 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수위알림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0)는 종이필터(30)와 함께 원두분말(40) 및 물(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부는 개방된 형태로 커피의 용이한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본체(110)의 형상은 하측을 향해 공간이 좁아지는 원뿔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특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110) 하부에는 커피 추출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추출공(111)이 관통 형성되며, 본체(110) 하단에는 다수의 지지다리(112)가 형성되어 커피가 우러나오기까지 드립퍼를 바닥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110) 외측면에는 시각장애인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안내문이 점자로 형성된다.
개폐부(120)는 추출공(111)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추출공(111)에 밀착 위치할 경우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개폐볼(121)과, 상기 개폐볼(121)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연결된 지지봉(122)과, 상기 지지봉(122) 하단에 형성된 거치판(1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치판(123)에는 다수의 배출공(123a)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120)는 본체(110)를 컵(20) 위에 올려놓았을 경우에는 추출공(111)이 개방되어 커피 추출액이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체(110) 내부 공간에 원두분말(40)과 함께 물(50)을 수용하였을시 커피액이 추출되기까지는 일정 시간을 거치시키는데, 본 발명에 따른 드립퍼(100)는 바닥에 거치시킬 경우 지지다리(112)로부터 본체(110) 하부면이 이격되고 이때 개폐볼(121)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와 추출공(111)과 밀착되어 본체(110)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 드립퍼(100)를 컵(20) 위에 올리면 컵(20)의 상단으로부터 거치판(123)과 함께 지지봉(122) 및 개폐볼(121)이 밀려 상향되고, 이때 추출공(111)이 개방되면서 본체(110) 내부에 수용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거치판(123)에는 다수의 배출공(123a)이 형성되어 있기에 본체(110)로부터 배출된 커피 추출액은 거치판(123)의 하측에 위치한 컵(20)으로 수용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볼(121)은 세라믹소재가 적용되는 것으로, 이는 장시간 사용해도 변색되지 않고, 이물질의 융착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위생적이며, 마모가 적어 사용수명이 길어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
수위알림부(130)는 본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의 수위에 따라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드립퍼의 수위알림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드립퍼의 수위알림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은 수위알림부(130)는 부력으로 인해 수면위에 떠있는 부구(131)와, 부구(131)를 연결 지지하는 부구연결봉(132)과, 부구(131) 및 부구연결봉(132)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부구연결봉(132)의 어느 한 위치에 형성되는 회전축(133)과,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알림종(134)과, 상기 부구연결봉(132)에 일시적 탄성력을 발생시켜 알림종(134)을 강하게 내려칠 수 있도록 한 걸림돌기(135) 및 상기 수위알림부(130)를 이루는 각 구성부를 수용하는 하우징(1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수위알림부(130)의 구성은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36)에 클립부(137)를 형성하여 본체(110)의 일측 부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끼워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수위알림부(13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10) 내부 공간에 물을 부으면 부구(131)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며, 부구(131)와 함께 연결된 부구연결봉(132)은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한다. 부구(131)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부구연결봉(132)의 일측 단부는 걸림돌기(135)에 걸려 휘어지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부구(131)가 더욱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수위 위험상태로 진입하면 부구연결봉(132)이 걸림돌기(135)로부터 이탈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알림종(134)을 강하게 때리면서 경고음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드립퍼(100)는, 본체(110) 내부에 종이필터(30)를 깔고, 원두분말과 온수를 수용하여 커피를 우려낸다. 이때, 온수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적정 수위를 벗어나면 알림음이 발생하기에 시각장애인들도 안전하게 온수를 부어 드립퍼(100)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원두분말과 온수가 수용된 드립퍼(100)는 일정시간 커피를 우려내기 위하여 기다리는데, 이때 지지다리(112)로부터 하부면이 이격되도록 거치된 본체(110)는 유체의 배출 동작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후, 커피가 충분히 우러났다고 판단되면 드립퍼(100)를 커피잔 등의 컵(20)에 올려놓는데, 이때, 컵(20) 상단이 거치판(123)을 누르면서 지지봉(122) 및 개폐볼(121)이 상향되어 추출공(111)이 개방되고, 추출된 커피액이 본체(110)로부터 배출되어 컵(20)에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0 : 드립퍼 110 : 본체
111 : 추출공 112 : 지지다리
120 : 개폐부 121 : 개폐볼
122 : 지지봉 123 : 거치판
123a : 배출공 130 : 수위알림부
131 : 부구 132 : 부구연결봉
133 : 회전축 134 : 알림종
135 : 걸림돌기 136 : 하우징
137 : 클립부 20 : 컵
30 : 종이필터 40 : 원두분말
50 : 물

Claims (4)

  1.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하부는 추출공(111)이 관통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추출공(111)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추출공(111)에 인접 설치되는 개폐볼(121)과, 상기 개폐볼(121)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연결된 지지봉(122)과, 상기 지지봉(122) 하단에 형성된 거치판(123)과, 상기 거치판(123)에 관통 형성된 최소 하나 이상의 배출공(123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폐부(120)와;
    부력을 갖는 부구(131)와, 부구(131)를 연결 지지하는 부구연결봉(132)과, 부구연결봉(132)이 회동할 수 있도록 부구연결봉(132)의 어느 한 위치에 형성되는 회전축(133)과, 부구연결봉(132)의 타격에 의해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알림종(1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위알림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드립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볼(121)은 세라믹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드립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 하단에는 다수의 지지다리(112)가 형성되어 본체(110) 하부면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지지하고,
    상기 수위알림부(130)에서 알림종(134)은 하우징(136) 내부에 수용되되, 하우징(136) 내부에는 걸림돌기(135)가 돌출 형성되어 부구연결봉(132)의 회동시 일시적 걸림 동작에 의해 부구연결봉(132)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드립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알림부(130)에는 클립부(137)가 더 형성되어 본체(1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다기능 드립퍼.
KR1020120146787A 2012-12-14 2012-12-14 다기능 드립퍼 KR20140077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787A KR20140077706A (ko) 2012-12-14 2012-12-14 다기능 드립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787A KR20140077706A (ko) 2012-12-14 2012-12-14 다기능 드립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706A true KR20140077706A (ko) 2014-06-24

Family

ID=5112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787A KR20140077706A (ko) 2012-12-14 2012-12-14 다기능 드립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77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20U (ko) * 2014-12-18 2016-06-28 이석준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20U (ko) * 2014-12-18 2016-06-28 이석준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95489B (zh) 利用最佳饮料排放装置制备芳香饮料的系统和所述系统的操作方法
KR100236857B1 (ko) 카트리지의 추출을 위한 탈착식 장치
EP1781148B1 (en) Equipment for the preparation of a hot beverage
WO2016003072A1 (ko) 더치커피 제조용구로 전용 가능한 컵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더치커피 제조용구
KR20140077706A (ko) 다기능 드립퍼
US8939065B2 (en) Brew chamber packet ejector
US20200015619A1 (en) French Press
US20050120886A1 (en) Infusion tea maker
KR101720015B1 (ko)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ES2928102T3 (es) Aparato de remojo y métodos para preparar una bebida
CN203776577U (zh) 一种水杯的茶水分离结构
US20190387916A1 (en) Coffee Press with Lipids Separation Chamber
KR102393821B1 (ko)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US2780162A (en) Coffee extractors
KR20200054690A (ko) 드리퍼 위치 고정구
US1008861A (en) Percolator.
US201702809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dutch coffee
KR101432496B1 (ko) 더치커피 추출용 노즐
US2309834A (en) Tea or coffee pot
KR101288241B1 (ko)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US785693A (en) Coffee-dripper.
US1341285A (en) Coffee-urn
JP3198425U (ja) 飲料用食器
KR20120002920U (ko) 커피 핸드 드립용 보조기구
JP3148701B2 (ja) 浸出式コーヒーメ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