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113A - 더치 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더치 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113A
KR20160018113A KR1020140102228A KR20140102228A KR20160018113A KR 20160018113 A KR20160018113 A KR 20160018113A KR 1020140102228 A KR1020140102228 A KR 1020140102228A KR 20140102228 A KR20140102228 A KR 20140102228A KR 20160018113 A KR20160018113 A KR 20160018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ffee
tank
supply contain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7256B1 (ko
Inventor
한동희
Original Assignee
한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희 filed Critical 한동희
Priority to KR102014010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2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18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to by-pass a quantity of water, e.g. to adjust beverage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출이 불가피한 중간밸브를 없애고 그 외 각 모듈들을 모두 연결하여 드립 과정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위생성을 높인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밸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중간밸브의 고장이나 막힘에 의한 물공급 중단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커피 분말의 밀도가 높은 경우에도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드립 탱크에 담긴 커피 분말 전체에 물이 고르게 젖어들게 하여 물이 커피 분말 사이의 일정 경로로만 집중하여 흐름에 따라 물길이 생성되거나 드립 탱크 측벽을 타고 바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높은 품질의 커피 원액을 제공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더치 커피 추출장치{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본 발명은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출이 불가피한 중간밸브를 없애고 그 외 각 모듈들을 모두 연결하여 드립 과정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위생성을 높인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밸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중간밸브의 고장이나 막힘에 의한 물공급 중단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커피 분말의 밀도가 높은 경우에도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드립 탱크에 담긴 커피 분말 전체에 물이 고르게 젖어들게 하여 물이 커피 분말 사이의 일정 경로로만 집중하여 흐름에 따라 물길이 생성되거나 드립 탱크 측벽을 타고 바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높은 품질의 커피 원액을 제공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치 커피(Dutch coffee)는 커피 분말에 물을 일정한 높이에서 천천히 낙하시켜 커피를 추출한 것으로 워터 드립 커피(water drip coffee)라고도 하며, 보통은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추출한 커피를 말한다.
이러한 더치 커피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기 때문에 80℃ 이상의 높은 온도의 물을 이용시 추출되는 카페인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면서도 깊고 부드러운 맛이 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커피가 숙성되어 더욱 독특한 맛과 향을 지니게 되며, 특히 날이 더운 하절기에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커피 전문점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더치 커피를 쉽게 제조할 수 있는 더치 커피 드립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에는 더치 커피 드립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한국등록특허 제1190168호에서 제안된 것으로 드립 탱크(200), 물공급 용기(300), 낙하량 조절유닛(340), 물탱크(400), 유출량 조절유닛(500) 및 원액 탱크(70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물탱크(400)에 저장된 물이 유출량 조절유닛(500)을 통해 물공급 용기(300)에 공급되고, 물공급 용기(300)의 물은 낙하량 조절유닛(340)을 통해 드립 탱크(200)에 공급된다.
따라서, 드립 탱크(200)에 공급된 물이 그 내부에 채워진 커피 분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커피 원액을 생성하고, 생성된 커피 원액은 공급구(220, 600)를 통해 원액 탱크(700)에 저장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은 중간밸브의 일종인 낙하량 조절유닛(340)을 구비해야 하므로 단가가 올라감은 물론, 물의 낙하시 세균이나 이물질 등 각종 오염원을 포함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간밸브인 낙하량 조절유닛(340)을 통해 물을 낙하시켜 드립 탱크(200)로 공급하는데, 이때 통로가 좁은 낙하량 조절유닛(340)의 유로가 장시간 사용으로 막히면 더 이상 커피 원액을 추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립 탱크(200)에 커피 분말을 채우고 다지는 탬퍼링(tempering)을 함에 따라 커피 분말의 밀도가 높은 경우, 낙하량 조절유닛(340)을 통해 낙하된 물이 커피 분말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혹은 커피 원액 추출 속도가 물공급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여 물이 넘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립 탱크(200)에는 커피 분말이 채워져 있는데, 이때 낙하량 조절유닛(340)에서 배출된 물이 커피 분말의 특정 지점에 집중하여 낙하되므로 커피 분말 전체에 고르게 물을 공급하지 못한다.
즉, 낙하된 물이 커피 분말 사이의 일정 경로로만 집중하여 흐름에 따라 물길이 생성되거나 혹은 드립 탱크(200)의 측벽을 타고 바로 흘러내려 감으로써 추출된 커피 원액의 농도가 낮고 그 커피품질 역시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출이 불가피한 중간밸브를 없애고 그 외 각 모듈들을 모두 연결하여 드립 과정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위생성을 높인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밸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중간밸브의 고장이나 막힘에 의한 물공급 중단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커피 분말의 밀도가 높은 경우에도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립 탱크에 담긴 커피 분말 전체에 물이 고르게 젖어들게 하는 방식으로 물을 공급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풍부한 맛의 커피 원액을 추출할 수 있고 그 품질 역시 높일 수 있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며 하부에는 상기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이 구비되어 있는 물탱크와; 상기 배출관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물탱크의 하부에 조립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배출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배출시키는 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물공급 용기와; 상기 물공급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출공을 통해 상부에서 공급되는 물은 통과시키고 하부에 채워지는 커피 분말의 역류는 방지하는 물 투과막; 및 내부에 커피 분말이 채워지고, 상기 물 투과막이 상기 커피 분말에 접촉하도록 상기 물공급 용기의 하부에 조립되며, 물이 커피 분말을 통과함에 따라 생성된 커피 원액을 배출하는 원액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는 드립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물공급 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물탱크의 하강시 상기 배출관의 하단에 구비된 배출공을 막도록 결합되는 배출 방지 캡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공급 용기 내에서의 상기 배출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물탱크는 상기 물공급 용기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조립된 청소용 캡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 투과막은 상기 물공급 용기(120)에서 공급된 물을 흡수하였다가 상기 흡수된 물을 드립 탱크에 채워진 커피 분말로 배출하는 재질의 흡습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공급 용기의 저면에 조립되는 설치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물 투과막은 상기 설치 프레임에 교체가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노출이 불가피한 중간밸브를 없애고 그 외 각 모듈들을 모두 연결하여 드립 과정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제조단가를 낮추면서도 위생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밸브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물공급을 가능하게 하므로, 중간밸브의 고장이나 막힘에 의한 물공급 중단 및 그에 따른 커피 원액의 추출 중단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템퍼링에 의해 커피 분말의 밀도가 높은 경우에도 커피 분말에 물이 잘 스며들 뿐만 아니라 물공급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커피 원액 추출량만큼 물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물 넘침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이 물 투과막을 통과하면서 드립 탱크에 담긴 커피 분말 전체로 젖어들며 분산 공급된다. 따라서, 커피 분말에 물길이 생성되거나 드립 탱크 측벽을 타고 바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높은 품질의 커피 원액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의 물탱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의 물공급 용기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더치 커피 추출장치는 그 상측부터 물탱크(110), 물공급 용기(120), 물 투과막(130), 드립 탱크(140), 필터(F) 및 원액 저장탱크(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이 물공급 용기(120)에 공급되고, 물공급 용기(120)의 물은 물 투과막(130)을 통해 분산된 후 드립 탱크(140)에 채워진 커피 분말에 젖어든다.
따라서, 물이 드립 탱크(140)에 저장된 커피 분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커피 원액이 생성된다. 일반적인 경우 일정 시간에 걸쳐 생성된 커피 원액은 원액 저장탱크(150)에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레임(예: 도 1의 100)과 같은 거치대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거나 혹은 거치대 없이 바닥면 위에 단독으로 세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등 어느 방식으로든 사용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을 거치대 없이 바닥면에 세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원액 저장탱크(150)를 드립 탱크(140) 하부에 조립함으로써 이를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외부에 노출되며 제작이 어려운 중간밸브(도 1의 340 참조)를 없애고, 나아가 물탱크(110), 물공급 용기(120), 물 투과막(130) 및 드립 탱크(140)를 모두 연결함으로써 드립 과정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제조단가를 낮추면서도 위생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밸브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물공급을 가능하게 하므로, 중간밸브의 고장이나 막힘에 의한 물공급 중단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그에 따라 커피 원액의 추출 중단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템퍼링(tempering)에 의해 커피 분말의 밀도가 높은 경우에도, 드립 탱크(140)와 물공급 용기(120)가 밀착 결합되어 있고, 공급된 물이 커피 분말 위에 접촉하고 있어서 커피 분말에 물이 잘 스며든다. 따라서, 원활한 커피 원액 추출이 가능함은 물론 물넘침이 방지된다.
나아가, 커피 원액 추출속도가 물공급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여 물공급 용기(120)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배출관(111)을 막아 물탱크(110)의 물공급이 중단된다. 따라서, 커피 원액 추출량만큼 물공급이 이루어지므로 더욱더 물넘침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이 물 투과막(130)을 통과하면서 드립 탱크(140)에 담긴 커피 분말 전체로 분산되어 젖어든다. 따라서, 커피 분말에 물길이 생기거나 드립 탱크(140) 측벽을 타고 바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므로 높은 품질의 커피 원액을 제공하게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물탱크(110)는 그 내부에 물을 저장하였다가 제공하는 것으로, 구형, 원통형 및 사각통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탱크(110)의 하부에는 그 내부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111)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배출관(111)의 하단 개구는 물공급 용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저장된 물이 배출된다.
배출관(111)의 하단 개구가 물공급 용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일 예로 걸림턱(122)을 사용한다. 걸림턱(122)은 물공급 용기(12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그 높이는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설계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물공급 용기(120)에 물탱크(110)를 삽입하면 물탱크(110)의 바닥면 둘레 부분이 걸림턱(122)에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걸림턱(122) 위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물공급 양은 드립 탱크(140)의 원액 공급구(141)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 원액의 양에 의해 결정되는데, 물공급 속도가 더 빨라서 물공급 용기(120)에 물이 채워지기 시작하여 물공급 용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있는 배출관(111)을 막으면 물탱크(110)에서의 물공급이 중단된다.
물탱크(110)의 상부에 구비된 청소용 캡(112)은 물탱크(110)의 내부 청소시 사용되는 것으로 물탱크(11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청소용 캡(112)의 조립 방식은 나사결합이나 억지끼움 방식 등 다양하다. 만약 청소용 캡(112)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라면 물탱크(110)의 상부를 막아 물탱크(110)가 밀폐되게 한다.
이상과 같은 물탱크(110)는 당해 물탱크(110)를 뒤집어서 배출관(111)을 통해 물을 보충하고, 물이 채워진 물탱크(110)를 다시 뒤집어 물공급 용기(120)에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청소용 캡(112)이 있더라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물을 보충하고 조립하는데, 물탱크(110)를 조립한 후 청소용 캡(112)을 열어 물을 보충하면 물탱크(110)의 밀폐가 해제되어 공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대기압하에 노출되므로 물이 쏟아져 내리기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문제점들은 아래에서 도 7 및 도 8을 통해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 해결이 가능하다.
다음, 물공급 용기(120)는 물탱크(110)의 배출관(111)에서 배출된 물이 드립 탱크(140)로 공급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111)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물탱크(110)의 하부에 조립된다.
또한, 물공급 용기(120)의 바닥면에는 유출공(12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물 투과막(130)에 의해 물이 분산 공급되므로, 유출공(121) 자체는 그 형성 위치, 크기 및 개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 2에서는 물공급 용기(120)의 바닥면 중심부를 제외한 그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유출공(121)을 형성한 것을 예로 들었는데, 이는 배출관(111)의 직하부에서 벗어난 지점에 유출공(121)을 형성하여 가급적 자연스러운 물 흐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물공급 용기(120)의 조립은 여러 가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물공급 용기(120) 위에 물탱크(110)를 안착시키는 방식이나 물탱크(110)가 물공급 용기(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공급 용기(120)의 내주면에 걸림턱(122)을 구비한 경우라면 물탱크(110)를 물공급 용기(120)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될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물탱크(110)의 하부에 물공급 용기(120)가 조립된 상태에서 배출관(111)을 막는 높이까지 물공급 용기(120)에 물이 채워지면 물탱크(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여 물공급이 중단된다.
다음, 물 투과막(130)은 하측에 쌓인 커피 분말은 상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오직 상측의 물공급 용기(120)에서 공급된 물만을 통과시켜 드립 탱크(140)에 채워진 커피 분말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물 투과막(130)은 물공급 용기(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물 투과막(130)은 물공급 용기(120)의 유출공(121)을 통해 배출된 물만을 통과시키도록 매우 미세한 틈새 혹은 구멍을 갖는 구조체를 이용한다.
예컨대 물 투과막(130)로서 망사, 종이 및 부직포 등과 같은 투과막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종이 및 부직포를 비롯한 여러 재질의 흡습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습포를 사용하면 물공급 용기(120)에서 배출된 물이 먼저 흡습포에 흡수되고, 그 후 흡습포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채워진 커피 분말 전체에 고르게 스며들면서(혹은, 젖어들면서) 물이 공급된다.
따라서, 드립(drip)을 위해 커피 분말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 커피 분말 전체에 걸쳐 고르게 물을 공급하므로, 농도가 높으면서도 풍부한 맛의 커피 원액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종래에는 낙하량 조절유닛(도 1의 340)에서 배출된 물이 커피 분말에 바로 낙하되므로 커피 분말 사이의 특정 경로로만 집중하여 흐름에 따라 물길이 생기거나, 드립 탱크(도 1의 200)의 측벽을 타고 바로 흘러내려 가므로 커피 원액의 농도가 낮고 품질이 열악하였다. 반면,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한편, 위와 같은 물 투과막(130)은 물공급 용기(120)의 하부와 드립 탱크(140)에 채워진 커피 분말 사이에 배치되면 물이 커피 분말에 스며들 듯 분산 공급되고 커피 분말의 역류를 방지한다.
예컨대, 물 투과막(130)은 물공급 용기(120)의 저면에 밀착 조립되거나, 드립 탱크(140)의 내부에 돌출된 지지체에 거치 되거나 혹은 드립 탱크(14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바람직하게 물 투과막(130)이 물공급 용기(120)의 저면에 밀착 조립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며, 조립을 위해 물공급 용기(120)의 저면에 조립되는 설치 프레임(131)을 더 포함한다.
설치 프레임(131)은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물공급 용기(120)의 저면에 고정되고, 일 예로 원형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설치 프레임(131)의 내주면을 따라 안착턱이 내측으로 돌출된다. 안착턱 위에는 상술한 물 투과막(130)이 놓인다.
다만, 설치 프레임(131)의 중공부에는 물 투과막(130)이 수압에 의해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망사 형상의 이탈 방지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물 투과막(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이, 부직포 등의 흡습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드립 탱크(140)에서는 그 내부에 채워진 커피 분말에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커피 원액이 생성되는 드립(drip)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드립 탱크(140)에 채워진 커피 분말은 도구(tool, 미도시)로 눌러 다지는 템퍼링(tempering)이 이루어진다.
또한, 드립 탱크(140)의 바닥면에는 필터(F)가 설치되는데 필터(F)는 드립 탱크(140)에 채워진 커피 분말은 걸러내고 드립된 커피 원액만이 배출되게 하는 필터링 작용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템퍼링 과정을 거친 커피 분말의 최상부가 물 투과막(130)의 저면에 접촉되게 한다. 따라서, 물 투과막(13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커피 분말 전체에 고르게 젖어들면서 분산 공급되므로 풍부한 맛의 커피 원액이 드립된다.
이러한 드립 탱크(140)는 물 투과막(130)을 통과한 물을 공급받도록 물공급 용기(120)의 하부에 조립되며, 드립 탱크(140)의 하단부에는 커피 원액을 배출하는 원액 공급구(141)가 구비된다.
개방된 드립 탱크(140)의 상부와 물공급 용기(120)의 하부 사이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가능하다. 도면에서는 물공급 용기(120)가 드립 탱크(140)의 내측부로 삽입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물공급 용기(120)를 드립 탱크(140)에 삽입 결합시 물공급 용기(12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고, 드립 탱크(140)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끼워지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드립 탱크(140)의 하부에 배치된 원액 저장탱크(150)는 드립 탱크(140)의 원액 공급구(141)에서 낙하된 커피 원액을 수용한다.
다만, 원액 저장탱크(150) 역시 가급적 나사 결합 방식, 억지 끼움 방식, 혹은 원액 저장탱크(150) 위에 드립 탱크(140)를 올려놓은 방식 등에 의해 드립 탱크(140)의 하부에 밀착 조립되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액 저장탱크(150)를 포함하는 경우 당해 원액 저장탱크(150)를 받침대로 사용하여 그 위에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이 놓이는 스탠드형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별도의 거치대에 거치되는 방식 등 다양한 사용상태가 가능하다.
한편,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더치 커피 추출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되며, 도 4에는 커피를 드립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와 같이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이 물공급 용기(120)에 공급되고, 물공급 용기(120)에서 배출된 물은 물 투과막(130)을 통해 드립 탱크(140)에 공급된다. 따라서, 커피 원액이 생성되어 원액 저장탱크(150)에 저장된다.
이때, 물이 계속하여 공급됨에 따라 물공급 용기(120)의 수위가 높아지고 배출관(111)의 하단 개구를 막는 높이인 'A'지점까지 상승하면 물탱크(110)의 물 배출은 중단된다.
밀폐된 물탱크(110)는 그 하부의 배출관(111)만 개방되어 있는데, 물공급 용기(120)의 수위가 높아져서 배출관(111)의 하단 개구를 막으면 물탱크(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므로 더 이상 물이 공급되지 않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템퍼링을 통해 커피 분말의 밀도가 높아지더라도, 드립 탱크(140)와 물공급 용기(120)가 밀착 결합되어 있고, 물공급 용기(120)에서 공급된 물이 드립 탱크(140)에 채워진 커피 분말에 접촉하여 잘 스며드므로 물 넘침 현상이 완화된다.
아울러 드립 속도(즉, 커피 원액 추출 속도)가 물공급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여 물공급 용기(120)에 물이 채워지더라도, 물공급 용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있는 배출관(111)을 막으면 물탱크(110)에서의 물공급이 중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110)의 배출관(111)이나 물공급 용기(120)의 유출공(12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특정 지점을 통해 집중하여 방출되더라도 그 하부의 물 투과막(130)을 통과한 후에는 물 투과막(130) 전체면적을 통해 균등하게 배출됨을 알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상기 도 5와 같은 실시예에 적용되는 물탱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는 상측부터 물탱크(110), 물공급 용기(120), 물 투과막(130) 및 드립 탱크(140)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원액 저장탱크(150)를 더 포함한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물탱크(110)의 배출관(111)이 물공급 용기(120)에 접촉하도록 조립된다. 즉, 배출관(111)의 하단 개구가 물공급 용기(120)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끝까지 삽입된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도록 배출관(11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개구(111a)를 구비한다. 도 6에서는 배출관(111)의 연단부에서 일정 높이 까지 절개된 측면 개구(111a)를 일 예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은 배출관(111)의 측면 개구(111a)를 통해 배출되고, 이와 같이 배출된 물은 물공급 용기(120)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출공(121)으로 흘러들어간다. 유출공(121)으로 흘러들어간 물은 그 하부의 드립 탱크(140)로 공급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커피 원액의 드립 속도(혹은 양)보다 물공급 속도(혹은 양)가 더 커서 물공급 용기(120)에 물이 채워지기 시작하는 경우에는 배출관(111)의 측면 개구(111a)를 완전히 막는 수위에 도달시 물공급이 중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 용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상기 도 7의 물공급 용기가 적용된 본 발명의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더치 커피 추출장치 역시 그 상측부터 물탱크(110), 물공급 용기(120), 물 투과막(130) 및 드립 탱크(140)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원액 저장탱크(150)를 더 포함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는 물공급 용기(120)의 바닥면에 배출 방지 캡(121a)을 더 포함한 것에 특징이 있다. 배출 방지 캡(121a)은 물 보충시 물탱크(110)의 배출관(111)을 막는 역할을 한다.
배출 방지 캡(121a)으로는 일 예로 하부는 물공급 용기(120)의 바닥면에 의해 막히고 상부는 개방되어 그 개방된 상부로 배출관(111)이 끼워지는 관이 사용될 수 있다. 배출 방지 캡(121a)의 내측면에는 오링(O-ring)과 같은 실링 부재(SL)가 삽입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10)가 최하단까지 하강하도록 조립하면 물탱크(110)의 배출관(111)이 배출 방지 캡(121a)에 끼워지고, 그에 따라 배출관(111)의 개구가 막히게 됨으로써 물 배출이 방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청소용 캡(112)을 열고 물을 보충할 수 있으며 물탱크(110)를 분리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물을 보충하는 장점이 있다. 이점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청소용 캡(112)을 물 보충용 캡(112)이라 할 수도 있다.
다만, 물 보충후에는 도 3 및 도 4 등과 같이 물탱크(110)를 상승시켜서 물 배출이 다시 시작될 수 있게 해야 하므로, 물탱크(110)는 물공급 용기(120) 내에서 물공급 용기(12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예컨대, 물탱크(110) 외측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숫 나사산(S1)을 구비하고, 물공급 용기(120)의 내측면에는 그에 대응하는 암 나사산(S2)을 형성한다.
따라서, 물탱크(110)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돌리면 물탱크(11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그 높이가 조절된다. 물탱크(110)의 높이가 조절되면 배출관(111)의 높이 역시 조절된다.
배출관(111)의 하단 개구가 물공급 용기(120)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면, 그 높이에 따라 물공급 용기(120)에 채워지는 물의 한계 수위가 결정됨은 위에서 이미 설명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물탱크 111: 배출관
111a: 측면 개구 112: 청소용 캡
120: 물공급 용기 121: 유출공
121a: 배출 방지 캡 122: 걸림턱
130: 물 투과막 131: 설치 프레임
140: 드립 탱크 141: 원액 공급구
150: 원액 저장탱크

Claims (6)

  1. 내부에 물을 저장하며 하부에는 상기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111)이 구비되어 있는 물탱크(110)와;
    상기 배출관(111)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물탱크(110)의 하부에 조립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배출관(111)을 통해 공급된 물을 배출시키는 유출공(121)이 형성되어 있는 물공급 용기(120)와;
    상기 물공급 용기(12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출공(121)을 통해 상부에서 공급되는 물은 통과시키고 하부에 채워지는 커피 분말의 역류는 방지하는 물 투과막(130); 및
    내부에 커피 분말이 채워지고, 상기 물 투과막(130)이 상기 커피 분말에 접촉하도록 상기 물공급 용기(120)의 하부에 조립되며, 물이 커피 분말을 통과함에 따라 생성된 커피 원액을 배출하는 원액 공급구(141)가 형성되어 있는 드립 탱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용기(120)의 바닥면에는 상기 물탱크(110)의 하강시 상기 배출관(111)의 하단에 구비된 배출공을 막도록 결합되는 배출 방지 캡(121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용기(120) 내에서의 상기 배출관(111)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물탱크(110)는 상기 물공급 용기(12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110)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조립된 청소용 캡(11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투과막(130)은 상기 물공급 용기(120)에서 공급된 물을 흡수하였다가 상기 흡수된 물을 드립 탱크(140)에 채워진 커피 분말로 배출하는 재질의 흡습포(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용기(120)의 저면에 조립되는 설치 프레임(131)을 더 포함하되, 상기 물 투과막(130)은 상기 설치 프레임(131)에 교체가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1020140102228A 2014-08-08 2014-08-08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101617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28A KR101617256B1 (ko) 2014-08-08 2014-08-08 더치 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28A KR101617256B1 (ko) 2014-08-08 2014-08-08 더치 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13A true KR20160018113A (ko) 2016-02-17
KR101617256B1 KR101617256B1 (ko) 2016-05-02

Family

ID=5545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228A KR101617256B1 (ko) 2014-08-08 2014-08-08 더치 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2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489B1 (ko) * 2015-06-01 2016-09-30 신성균 더치커피 추출 기구
KR101668580B1 (ko) * 2016-04-04 2016-10-21 이왕일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701251B1 (ko) * 2016-05-13 2017-02-02 (주)휴레드 더치커피 추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845B1 (ko) * 2016-07-27 2018-06-27 (주)휴레드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200054676A (ko) 2018-11-12 2020-05-20 (주)드립플랜 원두커피에 공급하는 수량 조절장치
KR102112037B1 (ko) 2018-11-12 2020-05-18 주식회사 드립플랜 자동 드립 커피 머신용 살균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377Y1 (ko) 2001-07-04 2001-11-17 황성철 농도조절이 가능한 커피추출기
KR101116227B1 (ko) 2011-06-27 2012-02-20 이린아 휴대용 에스프레소 제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489B1 (ko) * 2015-06-01 2016-09-30 신성균 더치커피 추출 기구
KR101668580B1 (ko) * 2016-04-04 2016-10-21 이왕일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701251B1 (ko) * 2016-05-13 2017-02-02 (주)휴레드 더치커피 추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256B1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256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101395307B1 (ko) 워터드립 커피용 추출장치
KR101615852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382254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RU2394626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ования воды и вообще жидкостей
US10011499B2 (en) Water filter cartridge
ITMI20002145A1 (it) Caffettiera
KR101485771B1 (ko)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KR101372199B1 (ko) 더치커피 드립 장치
JP2016521170A (ja) ドリップコーヒー製造機
KR20180037065A (ko) 캡슐로부터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캡슐 및 음료 준비 시스템
JP2011528615A (ja) 飲料製造装置用水処理ユニット
KR102002707B1 (ko) 꿀벌먹이통 및 이를 포함한 피딩장치
JP3200071U (ja) ドリッパー
JP5335088B2 (ja) 飲料装置用の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および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飲料装置
RU2734973C1 (ru) Фильтрующий модуль
CN112299501B (zh) 水处理滤筒
KR101938465B1 (ko) 음료수 공급장치
KR100586061B1 (ko) 정수기의 배출수를 이용한 두채류 재배 장치
KR101824522B1 (ko)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KR101271976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KR200478513Y1 (ko) 더치커피 추출 장치
JP2005296598A (ja) ハンドドリップ用抽出器
KR101942286B1 (ko)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