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845B1 - 더치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845B1
KR101871845B1 KR1020160095715A KR20160095715A KR101871845B1 KR 101871845 B1 KR101871845 B1 KR 101871845B1 KR 1020160095715 A KR1020160095715 A KR 1020160095715A KR 20160095715 A KR20160095715 A KR 20160095715A KR 101871845 B1 KR101871845 B1 KR 101871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ffee
water receiving
receiv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2632A (ko
Inventor
한동희
Original Assignee
(주)휴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레드 filed Critical (주)휴레드
Priority to KR1020160095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8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을 최소화 하면서 물의 드립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추출장치의 외곽에서 장치를 회전하여 물의 유출 양을 조절할 수 있어 드립량 조절시 발생할 수 있는 더치 커피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물이 드립되는 유출부의 안내공이 다수 형성되어 떨어지는 물이 커피 수용부에 담긴 커피를 전체적으로 적시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장치{DUTCH COFFEE MAKER}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드립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위생적인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치커피는 뜨거운 물을 붓는 방식이 아닌, 생수 또는 상온의 물을 한 방울씩 떨어뜨려 장시간 동안 천천히 추출하여 만드는 커피를 말한다. 통상적으로, 더치커피는 장시간(약 3~12시간)에 걸쳐서 커피를 추출하며, 시간당 물의 드립량(드립 속도)의 변경을 통해 커피의 맛과 향을 조절하게 된다. 대체적으로, 일정한 드립 속도로 장시간에 걸쳐서 추출한 커피가 좋은 품질의 커피로 평가 받는다.
도 1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더치커피 추출장치(10)는 물탱크(11), 커피저장탱크(12), 커피 추출액 수집탱크(13) 그리고 거치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물탱크(11)는 거치대(14)의 최상부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물투입구(16)가 형성된다. 그리고, 물탱크(11)의 하부에는 드립량 조절밸브(15)가 구비된다. 드립량 조절밸브(15)는 물탱크(11) 하부의 유로 단면적을 변경하여 물의 드립량을 조절한다.
커피저장탱크(12)는 커피분말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물탱크(11)의 하부에 위치한다. 드립량 조절밸브(15)를 통해 떨어지는 물은 커피저장탱크(12)로 유입되어 커피 추출액이 만들어질 수 있다. 커피저장탱크(12)의 하부에는 커피 추출액이 유출되는 유출구(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피저장탱크(12)의 저면에는 커피 추출액을 여과하는 필터(18)가 구비될 수 있다.
커피 추출액 수집탱크(13)는 커피 추출액을 수집하는 용기로서 커피저장탱크(12)의 하부에 위치한다. 거치대(14)는 물탱크(11), 커피저장탱크(12) 및 커피 추출액 수집탱크(13)를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더치커피 추출장치(10)에서는 드립량 조절밸브(15)를 약간만 개방하더라도 물이 물줄기를 이루어 낙하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물탱크(11) 내의 물의 양이 줄어들수록 수압이 낮아져서 물의 드립 속도가 점차 줄어들게 되어 일정한 드립 속도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장시간 추출을 위해 유로를 너무 작게 개방한 경우에는 물이 떨어지다가 멈추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10)에서는 물의 미세한 드립량 조절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10)의 드립량 조절밸브(15)는 이물질이 끼더라도 분리하여 세척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오염 등 위생상의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485771호(2015.01.26.공고)에는 드립량의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되는 더치커피 추출기는 물의 드립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원하는 물의 드립량을 맞춘 후 물공급용기를 추출액 보관용기에 올려놓는 방식이다. 즉, 유량조절기가 물공급용기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물의 드립량을 조절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유량조절기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조절해야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주위 등으로 인하여 유량조절기가 이물질 및 유해균 등으로 더럽혀지거나 오염될 수 있으며, 더럽혀지거나 오염된 유량조절기를 통해 유입되는 물로 추출되는 커피 추출액에 위생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85771호(2015.01.26.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의 드립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위생적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물을 수용하고, 수용된 물을 하향 유출시키는 유출부를 가지는 물수용부; 상기 물수용부의 하측에서 상기 물수용부를 결합 지지하고, 상기 유출부로 유출되는 물이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조절부; 커피를 수용하고, 상기 조절부에서 떨어지는 물이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커피수용부; 상기 조절부의 하측에서 상기 조절부를 지지하고, 내측으로 상기 커피수용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고, 상기 조절부를 통해 상기 커피수용부로 물이 유입되어 추출되는 커피 추출액을 저장하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로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물수용부의 저면부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부와, 상기 커버부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유출부와 결합되며, 상기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물이 떨어지도록 안내공이 형성되는 헤드부를 가지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커버부의 외주연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에 위치되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가지며,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는 상기 안내공을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물을 흡수하며, 상기 유출부에 의해 가압되는 흡수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유출부의 일단부에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수용부 및 상기 조절부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켜 상기 물수용부 및 상기 조절부의 상대 회전을 통해 상기 유출부로 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되, 상기 상대 회전을 통해 상기 누름부와 상기 안내공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고, 이에 따라 상기 누름부에 의한 상기 흡수부재가 눌림 정도가 조절되어 물의 드립량이 조절되며, 상기 노출부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외측면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대 회전은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상기 조절부와 상기 물수용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물수용부 및 상기 조절부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헤드부에 대한 접촉없이 물의 드립량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물수용부의 저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더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부가 안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제1홈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반경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하나 이상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하단부가 상기 커피수용부의 상단부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은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물이 분산되어 떨어지도록 안내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수용부의 저면부의 상면은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조절부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의 사이에 제2홈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몸체의 내주면에 단차 형성되고, 상기 커피 추출액 저장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몸체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홈부에는 상기 커피 추출액 저장부의 상단부와 밀착되는 완충부재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커피수용부의 플랜지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외곽에서 조절부와 물수용부를 간단하게 상대 회전시키는 조작을 통해 물의 드립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직접적인 손 접촉이 없이 물의 드립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물이 복수의 안내공을 통해 분산되어 커피 수용부에 드립될 수 있어 커피를 전체적으로 적실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추출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흡수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커피저장탱크로 물이 떨어지다가 중간에 멈추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 드립량을 종래 기술 대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물 드립 속도를 종래 기술 대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물 드립량 조절부가 쉽게 분리 세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종래 기술 대비 이물질에 의한 오염 등 위생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를 아래에서 올려다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조절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 및 조절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 및 조절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 및 조절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조절부 및 연결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더치커피 추출장치(100)는 물수용부(200), 조절부(300), 커피수용부(400), 연결부(500) 그리고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물수용부(200)는 내측으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용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수용부(200)는 상부가 개방 형성될 수 있으며, 물수용부(200)의 상부를 통해 외부에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물수용부(200)의 상부는 덮개부(2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10)는 물수용부(200)와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수용부(20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등의 방식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물수용부(200)의 저면부(220)에는 유출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유출부(230)는 저면부(220)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물수용부(200)에 수용된 물은 유출부(23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조절부(300)는 안내공(331)이 형성되는 헤드부(330)를 가질 수 있으며, 헤드부(330)가 물수용부(200)의 유출부(230)와 결합됨에 따라 조절부(300)는 물수용부(20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330) 및 유출부(230)의 사이에는 실링부재(350) 및 흡수부재(3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유출부(230)에서 유출되는 물은 실링부재(350)에 의해 외부 누출이 방지될 수 있으며, 흡수부재(360)에 흡수될 수 있다. 유출부(230) 및 헤드부(330)는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정도에 따라 흡수부재(360)의 부피가 변하게 되어 안내공(331)을 통해 떨어지는 물의 드립량이 조절될 수 있다.
커피수용부(400)는 커피를 수용할 수 있다. 커피수용부(400)에 수용되는 커피는 예를 들면, 분말 형태 등의 커피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커피수용부(400)에 수용되는 커피를 '커피 분말'이라 한다. 커피수용부(400)는 내구성이 강하고 세척이 용이한 금속소재(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등)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 또는 유리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합성수지 또는 유리소재로 이루어지는 커피수용부(400)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피수용부(400)의 상부에는 플랜지부(4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추출공(42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추출공(420)은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300)의 헤드부(330)를 통해 커피수용부(400)로 물이 유입되어 추출되는 커피 추출액(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커피'라 한다)은 추출공(420)을 통해 하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 커피수용부(400)에는 커버필터(430)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커버필터(430)는 추출공(420)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필터(430)는 추출공(420)을 통해 커피 분말이 유출되는 것은 방지하고, 커피는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00)는 조절부(300)의 하측에서 조절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커피수용부(400)의 플랜지부(410)는 연결부(500)의 지지돌기(530)에 얹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피수용부(400)는 연결부(500)의 내측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500)는 조절부(300)의 하측에서 조절부(300)를 지지함과 동시에, 그 내측으로 커피수용부(400)가 안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는 커피수용부(400)의 추출공(420)을 통해 배출되는 커피를 저장할 수 있다.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는 합성수지 또는 유리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육안으로 커피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상단부에는 연결부(500)가 얹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는 연결부(500)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500)에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완충부재(5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하부에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하부를 보호하기 위한 바닥커버(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를 아래에서 올려다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물수용부(200)의 저면부(220)에 형성되는 유출부(230)는 물수용부(2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유출부(230)는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물수용부(200)에 수용된 물이 유출되도록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유출부(230)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출부(230)의 일단부에는 누름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232)는 유출부(230)의 일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누름부(232)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출부(23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누름부(23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35)을 통해 물수용부(200)의 물은 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물수용부(200)의 저면부(220)의 상면(221)은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수용부(200)에 수용된 물은 효과적으로 유출부(23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물수용부(200)의 저면부(220)에는 제1돌출부(240)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240)는 유출부(230)를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인데, 도 7은 조절부를 위에서 내려다 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조절부를 아래에서 올려다 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7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조절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조절부(300)는 커버부(310), 측면부(320) 및 헤드부(330)를 가질 수 있다.
커버부(310)는 조절부(300)의 상부를 형성하며, 물수용부(200)의 저면부(220)에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310)에는 물수용부(200)의 저면부(220)에 형성되는 제1돌출부(240)가 안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제1홈부(3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320)는 커버부(31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조절부(3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측면부(320)는 노출부(321) 및 밀착부(323)를 가질 수 있다. 노출부(321)는 커버부(310)의 외주연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출부(321)는 커버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300) 및 물수용부(200)가 결합 시, 노출부(321)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노출부(321)는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의 외측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노출부(321)의 하단부는 연결부(500)의 상단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결부(500)는 조절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밀착부(323)는 노출부(321)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500)의 측면, 구체적으로는 제1몸체부(510, 도 참조)에 밀착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밀착부(323)는 노출부(321)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330)는 커버부(310)의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헤드부(330)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330)의 하부에는 안내공(33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안내공(331)은 유출부(230)를 통해 유출된 물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헤드부(330)의 내주면에는 제2나사부(3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나사부(332)는 유출부(230)에 형성된 제1나사부(231)와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330)의 내주면에는 실링부재(350)가 마련될 수 있다. 헤드부(330) 및 유출부(230)가 나사 결합되었을 때, 실링부재(350)는 유출부(230) 및 헤드부(330)의 사이로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330)의 내측에는 안내공(331)을 덮도록 흡수부재(360)가 구비될 수 있다. 흡수부재(360)는 물이 흡수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부재(360)는 부직포,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수부재(360)는 유출부(230)의 누름부(232)에 의해 눌려지면 압축되고, 누름부(232)에 의한 눌림이 해제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 흡수부재(360)는 유출부(230)에서 유출되는 물을 흡수하여 안내공(33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안내공(331)은 1개 일 수 있고, 복수개가 분산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헤드부(330)에서는 물이 분산되어 떨어질 수 있다. 안내공(331)은 물이 분산되어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피수용부(400)에 수용된 커피 분말이 골고루 적셔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공(331)은 바람직하게는 3개가 형성되어 삼각형으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추출장치의 크기 또는 용도에 따라 대용량의 경우 예컨대 5개가 분산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 및 조절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수용부(200)의 유출부(230) 및 조절부(300)의 헤드부(330)의 나사결합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이 발생하면, 누름부(232)는 안내공(33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흡수부재(360)의 눌림이 완화되거나 없어지면서 흡수부재(360)에 흡수된 물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흡수부재(360) 내에서 물의 흐름 저항이 감소되어 안내공(331)을 통한 물의 드립량이 많아질 수 있다.
반면, 도 11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출부(230) 및 헤드부(330)의 나사결합이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이 발생하면, 누름부(232)는 안내공(331)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흡수부재(360)의 눌림이 증가하면서 흡수부재(360)에 흡수된 물의 양이 감소하게 되고, 흡수부재(360) 내에서 물의 흐름 저항이 증가되어 안내공(331)을 통한 물의 드립량이 적어질 수 있다.
물수용부(200) 및 조절부(300)의 상대 회전은 사용자가 물수용부(200) 및 조절부(30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물수용부(200) 및 조절부(300)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물수용부(200) 및 조절부(300)의 상대 회전은 사용자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내공(331)을 통한 물의 드립량도 미세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물의 드립량 조절은 물수용부(200) 및 조절부(300)에 대한 접촉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헤드부(330)에 대한 접촉이 불필요하므로, 위생적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500)는 제1몸체부(510) 및 제2몸체부(520)를 가질 수 있다. 제1몸체부(510)는 조절부(300)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몸체부(510)는 조절부(300)의 측면부(3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00) 및 조절부(300)가 결합되었을 때, 제1몸체부(51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터치커피 추출장치의 외측면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제2몸체부(520)는 제1몸체부(510)와의 사이에 제2홈부(521)가 형성되도록 제1몸체부(510)의 내주면에 단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홈부(521)에는 완충부재(5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55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상단부와 밀착될 수 있다. 완충부재(550)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상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가장 하부에 위치되어 물수용부(200), 조절부(300), 연결부(500) 및 커피수용부(400)를 모두 지지하기 때문에, 큰 하중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커피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유리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550)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상단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몸체부(520)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몸체부(520)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몸체부(520)의 상면에는 지지돌기(5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53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커피수용부(400)의 플랜지부(410)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500), 커피수용부(400) 및 조절부(300)가 결합되었을 때, 조절부(300)의 밀착부(323)는 그 하단부가 커피수용부(400)의 상단부를 가압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착부(323)는 그 하단부가 연결부(500)의 지지돌기(530)에 놓여진 커피수용부(400)의 플랜지부(410)의 상면을 가압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커피수용부(400)의 플랜지부(410)는 연결부(500)의 지지돌기(530) 및 조절부(300)의 밀착부(323)에 가압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피수용부(400)는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 및 조절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부(1300)의 노출부(1321)의 외주면에는 제1돌기부(132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돌기부(1325)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절부(1300)를 잡을 때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수용부(1200)의 측면부(1201)에는 제2돌기부(120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돌기부(1202)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물수용부(1200)를 잡을 때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1돌기부(1325) 및 제2돌기부(1202)는 모두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부(1300)의 노출부(1321)의 외주면에는 제1미끄럼 방지부재(138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물수용부(1200)의 측면부(1201)에는 제2미끄럼 방지부재(128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1미끄럼 방지부재(1380) 및 제2미끄럼 방지부재(128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미끄럼 방지부재(1380) 및 제2미끄럼 방지부재(1280)는 모두 마련되거나, 어느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제2돌기부(1325,1202) 및 제1, 제2미끄럼 방지부재(1380,1280)는 사용자가 물수용부(1200) 및 조절부(130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 및 조절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수용부의 저면부 및 조절부의 커버부의 형상이 다를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수용부(2200)의 저면부(2220)에는 전술한 제1돌출부(240, 도 5 참조)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2300)의 커버부(2310)에는 전술한 제1홈부(311, 도 9 참조)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물수용부(2200)의 저면부(2220)의 하면(2221)은 중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물수용부(2200)에 수용되는 물은 생수, 상온수 또는 냉수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물수용부(2200)의 외측에 물방울 맺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물수용부(2200)의 저면부(2220)의 하면(2221)이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 물수용부(2200)의 외측에 맺혀 흐르는 물방울이 저면부(2220)에서 흘러 모이도록 하여 큰 물방울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큰 물방울은 용이하게 조절부(2300)의 커버부(2310)의 외측으로 흘러 나갈 수 있기 때문에, 물수용부(2200)의 저면부(2220)와 커버부(2310)의 사이에 물이 고이는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도 1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부(2300)의 커버부(2310)는 반경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수용부(2200)의 저면부(2220)에 맺힌 물방울이 커버부(2310)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흘러 나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물수용부(2200)의 외면에 맺히는 물방울은 커버부(2310)를 통해 외측으로 흘러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물방울이 유출부(2230) 및 헤드부(2330)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조절부 및 연결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부(3300)의 밀착부(3323)는 연결부(3500)의 제1몸체부(35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부(3300)는 연결부(3500)의 제1몸체부(35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3323) 뿐만 아니라, 제1몸체부(35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추가 밀착부(3325)를 더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절부(3300) 및 연결부(3500)는 더욱 견고한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절부(3300)의 밀착부(3323) 또는 추가 밀착부(3325)는 물수용부(미도시)의 외면에 맺힌 후 조절부(3300)로 흐르는 물방울이 연결부(3500)의 외측으로 흐르도록 안내하기 때문에, 조절부(3300) 및 연결부(3500)의 사이를 통해 연결부(3500)의 내측으로 물방울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더치커피 추출장치
200,1200,2200: 물수용부
220,2220: 저면부
230: 유출부
240: 제1돌출부
300,1300,2300,3300: 조절부
310,2310: 커버부
311: 제1홈부
330: 헤드부
331: 안내공
360: 흡수부재
400: 커피수용부
500,3500: 연결부
521: 제2홈부
530: 지지돌기
550: 완충부재
600: 커피 추출액 저장부
3325: 추가 밀착부

Claims (13)

  1. 물을 수용하고, 수용된 물을 하향 유출시키는 유출부를 가지는 물수용부;
    상기 물수용부의 하측에서 상기 물수용부를 결합 지지하고, 상기 유출부로 유출되는 물이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조절부;
    커피를 수용하고, 상기 조절부에서 떨어지는 물이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커피수용부;
    상기 조절부의 하측에서 상기 조절부를 지지하고, 내측으로 상기 커피수용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고, 상기 조절부를 통해 상기 커피수용부로 물이 유입되어 추출되는 커피 추출액을 저장하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로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물수용부의 저면부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부와,
    상기 커버부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유출부와 결합되며, 상기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물이 떨어지도록 안내공이 형성되는 헤드부를 가지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커버부의 외주연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에 위치되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가지며,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는 상기 안내공을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물을 흡수하며, 상기 유출부에 의해 가압되는 흡수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유출부의 일단부에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수용부 및 상기 조절부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켜 상기 물수용부 및 상기 조절부의 상대 회전을 통해 상기 유출부로 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되,
    상기 상대 회전을 통해 상기 누름부와 상기 안내공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고, 이에 따라 상기 누름부에 의한 상기 흡수부재의 눌림 정도가 조절되어 물의 드립량이 조절되며,
    상기 노출부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외측면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대 회전은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상기 조절부와 상기 물수용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물수용부 및 상기 조절부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헤드부에 대한 접촉없이 물의 드립량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물수용부의 저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더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부가 안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제1홈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반경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하나 이상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하단부가 상기 커피수용부의 상단부를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은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물이 분산되어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용부의 저면부의 상면은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조절부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의 사이에 제2홈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몸체의 내주면에 단차 형성되고, 상기 커피 추출액 저장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몸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부에는 상기 커피 추출액 저장부의 상단부와 밀착되는 완충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커피수용부의 플랜지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20160095715A 2016-07-27 2016-07-27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871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715A KR101871845B1 (ko) 2016-07-27 2016-07-27 더치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715A KR101871845B1 (ko) 2016-07-27 2016-07-27 더치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632A KR20180012632A (ko) 2018-02-06
KR101871845B1 true KR101871845B1 (ko) 2018-06-27

Family

ID=6122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715A KR101871845B1 (ko) 2016-07-27 2016-07-27 더치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8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420B1 (ko) 2021-04-02 2022-05-26 주식회사 휴럼 기능성 콜드브루 메이커
KR102481713B1 (ko) * 2022-06-14 2022-12-27 조종구 커피 드리퍼용 물공급포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39U (ko) 2018-11-14 2020-05-22 김영준 커피 추출용 다목적 거치대
KR102160880B1 (ko) * 2019-04-16 2020-10-05 농업회사법인 신토불이 주식회사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230B1 (ko) * 2013-05-24 2014-10-08 고영 냉수를 이용한 커피 추출장치
KR101485771B1 (ko) * 2013-08-24 2015-01-26 김진목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KR101615852B1 (ko) * 2015-05-15 2016-04-26 (주)휴레드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17256B1 (ko) * 2014-08-08 2016-05-02 한동희 더치 커피 추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5021U (ko) * 1988-11-29 1990-06-08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230B1 (ko) * 2013-05-24 2014-10-08 고영 냉수를 이용한 커피 추출장치
KR101485771B1 (ko) * 2013-08-24 2015-01-26 김진목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KR101617256B1 (ko) * 2014-08-08 2016-05-02 한동희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101615852B1 (ko) * 2015-05-15 2016-04-26 (주)휴레드 더치커피 추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420B1 (ko) 2021-04-02 2022-05-26 주식회사 휴럼 기능성 콜드브루 메이커
KR102481713B1 (ko) * 2022-06-14 2022-12-27 조종구 커피 드리퍼용 물공급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632A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845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US6843165B2 (en) Coffee brewer
CA2851875C (en) Bottle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or treating a beverage
US6202541B1 (en) Apparatus for making purified water and related drinks
JP5405595B2 (ja) バルブのバルブ駆動デバイス、液体処理デバイスの液体容器、並びに液体処理デバイス
US4986172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JP2013506547A (ja) 水処理カートリッジ
RU2394626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ования воды и вообще жидкостей
KR101615852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US20120097042A1 (en) Infusion press lid assembly
US20090199721A1 (en) Single cup coffee brewer
WO1994023550A1 (en) Device and process for making coffee and espresso beverages in microwave oven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JP2009504301A (ja) 飲料抽出装置
US20080199580A1 (en) Tea maker with timer
US8485089B2 (en) Microwave coffee maker
TW201127706A (en) Bottle for water treatment device
US20160255992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JP2021518794A (ja) 懸濁液から抽出物を分離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30019754A1 (en) Brewing device with leak-proof structure
US4901630A (en) Dual chambered beverage brewing system
JPH0268016A (ja) コーヒー液抽出装置
US20150122725A1 (en) Water filtration apparatus with compostable filter
EP2482952A2 (en) Water treatment device for producing bottled water
JP3654234B2 (ja) 保温ボ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