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580B1 - 더치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580B1
KR101668580B1 KR1020160040821A KR20160040821A KR101668580B1 KR 101668580 B1 KR101668580 B1 KR 101668580B1 KR 1020160040821 A KR1020160040821 A KR 1020160040821A KR 20160040821 A KR20160040821 A KR 20160040821A KR 101668580 B1 KR101668580 B1 KR 101668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water tank
hole
water
amoun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왕일
Original Assignee
이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왕일 filed Critical 이왕일
Priority to KR102016004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1/00Devices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드립량을 조절하고 위생상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바닥면에서 하향 돌출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중심으로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가 형성된 유출부, 상기 물탱크 내에 위치하며, 일부가 상기 유출부의 홀을 관통하고, 일단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회전축 및 하단에 적어도 하나의 드립 구멍이 형성되고,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1나사부와의 결합을 위해 내측면에 제2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드립량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출부와 드립량 조절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드립량 조절부의 상하이동으로 상기 물탱크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장치{DUTCH COFFEE MAKER}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정적으로 물의 드립량을 조절하고 위생상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치커피는 뜨거운 물을 붓는 방식이 아닌, 냉수 또는 상온의 물을 한 방울씩 떨어뜨려 장시간 동안 천천히 추출하여 만든 커피를 말한다.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10)는 첨부된 도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더치커피 추출장치(10)는 물탱크(11), 커피저장탱크(12),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 거치대(14), 드립량 조절밸브(15)로 구성된다. 물탱크(11)는 거치대(14)의 최상부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물투입구(16)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유로와 드립량 조절밸브(15)가 형성된다. 드립량 조절밸브는(15)는 물탱크(11) 하부의 유로 면적을 변경하여 물 드립량을 조절한다. 커피저장탱크(12)는 커피분말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물탱크(11)의 하부에 위치하며, 바닥면에는 거피추출액을 여과하는 필터(17)가 형성된다.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는 추출된 커피를 수집하는 용기로서 커피저장탱크(12)의 하부에 위치한다. 물탱크(11), 커피저장탱크(12) 및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는 거치대(14)에 의해 지지된다.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10)는 물탱크(11)에서 조금씩 떨어지는 물이 커피저장탱크(12) 내에 저장된 커피분말을 통과하면서 커피가 추출되고, 추출된 커피는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에 모이게 된다.
더치커피는 장시간(약 3~12시간)에 걸쳐서 커피를 추출하며, 시간당 물의 드립량(드립 속도)의 변경을 통해 커피의 맛과 향을 조절하게 된다. 대체적으로 일정한 드립 속도로 장시간에 걸쳐서 추출한 커피가 좋은 품질의 커피로 평가 받는다.
그런데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10)는 드립량 조절밸브(15)를 통해 물의 드립량을 조절하는데, 어느 정도 수준의 드립량 조절은 가능하지만 미세한 조절은 어렵다는 한계점이 지적되었다. 일반적으로 밸브(15)를 약간만 개방하더라도 물이 물줄기를 이루어 낙하하게 되고, 사용자는 밸브를 서서히 잠그면서 드립량을 조절하는데 이 경우, 처음 일정량의 물을 흘리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드립량 조절밸브(15)에는 이물질이 잘 낄 수 있으나, 분리하여 세척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계속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물질에 의한 오염 등 위생상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드립량의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세척이 용이한 더치커피 추출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485771호(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가 있다. 위 선행문헌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도 8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부가 테이퍼단(55)으로 형성된 유량조절기(50)를 통해 물의 드립량을 미세하게 조절하고,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세척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기술이다.
그러나 위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유량조절기(50) 자체를 직접 손으로 돌려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먼저 유량조절기(50)를 돌려서 원하는 물의 드립량을 맞춘 후 물 공급용기(60)를 추출액 보관용기(10)에 올려놓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물 공급용기(6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물의 드립량을 조절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손으로 유량조절기(50)를 돌려서 물의 드립량을 조절하는데, 물이 떨어지면서 유량조절기(50)를 접촉하고 낙하하기 때문에 손에 뭍은 이물질이나 대장균 등이 커피 추출액에 섞일 가능성이 있어, 위생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물의 드립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 접촉으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바닥면에서 하향 돌출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중심으로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가 형성된 유출부, 상기 물탱크 내에 위치하며, 일부가 상기 유출부의 홀을 관통하고, 일단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회전축 및 하단에 적어도 하나의 드립 구멍이 형성되고,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1나사부와의 결합을 위해 내측면에 제2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드립량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출부와 드립량 조절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드립량 조절부의 상하이동으로 상기 물탱크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출부는 상층부와 하층부로 구분되며, 하층부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드립량 조절부는 상층부와 하층부로 구분되며, 하층부의 내측면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드립량 조절부의 회전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상기 물탱크의 상단에 위치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된 물탱크 마개 및 상기 물탱크 마개의 상부에 위치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타단은 상기 물탱크 마개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의 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상기 물탱크 마개의 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에 마찰계수를 증가시키는 제1실링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손잡이와 결합 시, 상기 제1실링부와 접촉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드립량 조절부와 결합 시, 상기 물탱크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링 형상으로서, 내측면은 상기 유출부의 상측부를 둘러싸고, 외측면에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드립량 조절부의 상층부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물을 차단하는 차단돌기가 형성된 제2실링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드립량 조절부는 상기 드립 구멍의 상부에, 수분을 흡수하는 소재로 형성되며 물의 드립량 조절을 위해 설치되는 흡수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출부의 하단에는 상기 드립량 조절부와 최대 밀착 시 상기 드립 구멍을 폐쇄하는 드립 구멍 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탱크는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에 의해 상부의 물 저장부와 하부의 이격 공간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상기 드립량 조절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커피분말을 저장하는 커피저장탱크 및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원통이 상하로 부착된 형태로서, 상기 물탱크와 상기 커피저장탱크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사용하면, 종래기술 대비 물의 드립량을 보다 안정적이면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손 접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생상의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A-A' 방향으로 절단한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에서 유출부(114)를 중심으로 물탱크(110)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에서 드립량 조절부(140)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에서 물 드립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더치커피 추출장치(100)는 크게 물탱크(110), 커피저장탱크(120),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0), 드립량 조절부(140) 및 결합부재(150)로 구성된다. 최상부에 물탱크(110)가 위치하며, 물탱크(110)의 하부에 커피저장탱크(120)가 위치하고, 물탱크(110)와 커피저장탱크(120)는 결합부재(150)에 의해 고정된다. 결합부재(150)의 하부에는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0)가 위치한다. 물탱크(110)에 수용된 물은 드립량 조절부(140)를 통해 커피저장탱크(120)로 낙하하고, 커피저장탱크(120)에서 추출된 커피추출액은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0)로 수집된다.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은 도 2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더치커피 추출장치(100)는 물탱크(110), 커피저장탱크(120),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0), 드립량 조절부(140), 결합부재(150), 물탱크 마개(160) 및 회전축(170)으로 분리 가능하다.
물탱크(110)는 물을 저장하고 커피 추출을 위해 일정량을 조금씩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물탱크(110)는 외부에서 물 저장량과 물 드립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플라스틱 또는 유리소재가 될 수 있다. 이외에도 물탱크(110)는 스테인리스스틸 등 금속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물탱크(110)는 바닥면(111), 물 저장부(112), 이격 공간부(113), 유출부(114)를 세부 구성요소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물탱크(110)의 측면이 바닥면(111)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물탱크(110)가 바닥면(111)에 의해 물 저장부(112)와 이격 공간부(113)로 구분된다. 즉, 바닥면(111)은 물탱크(110)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의 역할을 한다. 이격 공간부(113)를 형성함으로써, 드립량 조절부(140)가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0)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외부에서도 보일 수 있게 하여 커피가 제대로 추출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유출부(114)는 바닥면(111)의 중심에서 하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커피저장탱크(120)는 커피를 저장하고 커피추출액을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0)로 낙하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커피저장탱크(120)는 내구성이 강하고 세척이 용이한 금속 재질(예,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또는 유리 소재로도 형성될 수 있다. 커피저장탱크(120)는 상부가 전면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추출구(121)가 형성된다. 또한, 커피저장탱크(120)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턱이 형성된다. 상기 턱은 더치커피 추출장치(100) 결합 시 물탱크(110)를 지지하고 결합부재(150)에 의해 안착되는데 사용된다.
추출구(121)는 물과 커피분말로부터 추출된 커피액을 아래로 내려 보내는 구멍으로 커피저장탱크(120)의 바닥면에 1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피저장탱크(120)에는 커피분말이 추출구(121)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바닥면에 필터(122)가 형성될 수 있다.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0)는 커피저장탱크(120)로부터 추출된 커피를 수집하는 용기로서,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의 최하단에 위치한다.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0)는 외부에서도 커피추출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유리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0)는 스테인리스스틸 등의 금속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0)는 원통형 또는 삼각플라스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더치커피 추출장치(100) 결합 시,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0)의 상단은 결합부재(150)의 턱과 접하여 결합부재(150)를 지지하게 되고, 결합부재(150) 지지를 통해 물탱크(110)와 커피저장탱크(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드립량 조절부(140)는 물탱크(110)에 형성된 유출부(114)와의 결합을 통해 물의 드립량을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다. 드립량 조절부(140)는 상부가 전면 개방되고,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립 구멍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중심부에는 회전축(170)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유출부(114)와의 결합을 위한 홈부가 형성된다. 드립량 조절부(140)의 세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드립량 조절부(140)의 바닥면에는 물의 드립량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흡수부재(144)가 형성된다. 흡수부재(144)는 수분을 흡수하는 소재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부직포가 될 수 있다. 또한, 드립량 조절부(140)의 내부에는 제2실링부(145)가 안착된다. 제2실링부(145)는 링 형상으로서, 내측면은 유출부(114)의 일부를 감싸며, 외측면에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드립량 조절부(14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물을 차단하는 차단돌기(14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실링부(145)는 물의 드립량이 증가하여 드립량 조절부(140)의 내부 공간의 수용범위를 넘었을 때, 물이 드립량 조절부(140)의 외부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결합부재(150)는 물탱크(110)와 커피저장탱크(120)를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결합부재(150)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원통이 상하로 부착된 형태로서, 상부에 위치하는 원통의 지름이 하부에 위치하는 원통의 지름보다 커서 전체적으로 'ㅜ' 형태로 구성되며, 상부의 원통과 하부의 원통 사이에는 턱이 형성된다. 커피저장탱크(120)의 상단에 형성된 턱은 상기 결합부재(150)의 상부 원통 내에 안착되고, 커피저장탱크(120)의 상단과 결합부재(15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 물탱크(110)의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부 원통과 하부 원통 사이에 형성되는 턱은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0)의 상단에 접하여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0)에 의해 지지된다. 즉, 전체적으로 물탱크(110)와 커피저장탱크(120)는 결합부재(150)에 의해 지지되며, 결합부재(150)는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0)에 의해 지지되어 더치커피 추출장치(100)가 안정적으로 특정 평면상에 놓일 수 있게 된다. 결합부재(150)의 상부 원통의 하단에는, 결합부재(150)와 커피추출액 수집탱크(130)의 밀착결합을 위한 제3실링부(151)가 형성된다.
물탱크 마개(160)는 개구된 물탱크(110)의 상단을 막는 구성요소로서, 중앙에 홀(161)이 형성된다. 홀(161)은 추후 설명할 회전축(170)의 상단부(172)와 제1실링부(175)가 통과하는 구성요소이다. 홀(161)의 상부에는 중심에 홀(1621)이 형성된 손잡이(162)가 위치한다. 회전축(170)의 상단부(172)는 물탱크 마개(160)의 홀(161)을 통과하여 손잡이(162)의 홀(1621)과 결합된다. 물탱크 마개(160)의 홀(161)을 주위로 적어도 하나의 물탱크 마개 홈부(163)가 형성되며, 물탱크 마개 홈부(163)에는 제1실링부(175)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돌기(1751)이 삽입되어, 제1실링부(175)가 물탱크 마개(160)에 고정된다. 손잡이(162)를 회전하여 물의 드립량 조절 시, 제1실링부(175)가 물탱크 마개(160)에 고정되어, 회전축(170)이 제1실링부(175) 내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회전축(170)은 회전운동을 드립량 조절부(140)의 상하운동으로 전환하는 구성요소로서, 물탱크의 내부에 위치한다. 회전축(170)은 하단에 제1나사부(171)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손잡이 결합부(172)가 형성된다. 제1나사부(171)는 유출부(114)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드립량 조절부(140)에 형성된 제2나사부와 결합된다. 손잡이 결합부(172)는 물탱크 마개(160)의 홀(161)을 통과하여 손잡이(162)의 홀(1621)에 삽입되어 손잡이(162)와 결합된다. 손잡이 결합부(172)의 하부에는 제1스토퍼(173)가 형성되며, 제1나사부(171)의 상부에는 제2스토퍼(174)가 형성된다. 제1스토퍼(173)와 제2스토퍼(174)는 회전축(17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70)의 상하운동을 억제하고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스토퍼(173)는 손잡이(162)와 결합 시, 제1실링부(175)에 접촉되고, 제2스토퍼(174)는 드립량 조절부(140)와 결합 시, 물탱크(110)의 바닥면에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스토퍼(174)와 물탱크(110)의 바닥면 사이에 제4실링부(176)가 위치할 수 있다. 제4실링부(176)는 회전축(170)의 회전 시에 마찰계수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미세한 드립량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축(170)과 물탱크 마개(160)는 제1실링부(175)를 통해 연결된다. 제1실링부(175)는 중앙에 홀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단면과 하단면은 중앙 원통의 지름보다 큰 원형면으로 형성된다. 제1실링부(175)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돌기(1751)가 형성되며, 측면돌기(1751)는 물탱크 마개 홈부(163)에 삽입되어, 제1실링부(175)가 물탱크 마개(160)에 결합된다. 제1실링부(175)가 물탱크 마개(160)에 결합될 때, 제1실링부(175)의 상단면은 물탱크 마개(160)의 상면에서 노출되도록 위치하고, 제1실링부(175)의 하단면은 물탱크 마개(160)의 하면에서 노출되도록 위치한다. 제1실링부(175)의 중심부분은 물탱크 마개(160)의 홀(161) 내에 위치하게 된다. 회전축(170)의 상부는 제1실링부(175) 내에 위치하여, 회전축(170)의 회전 시에 마찰계수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상으로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의 세부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물 드립량을 조절하는 구성요소인 물탱크(110)의 유출부(114)와 드립량 조절부(140)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에서 유출부(114)를 중심으로 물탱크(110)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에서 드립량 조절부(140)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 및 3과 비교하여 물탱크(110)를 상하로 역전시켜 놓은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물탱크(110)는 바닥면(111)에 의해 물 저장부(112)와 이격 공간부(113)로 구분되며, 유출부(114)는 바닥면(111)에서부터 형성되어 이격 공간부(113) 내에 위치한다. 유출부(114)는 상층부(114a)와 하층부(115b)로 구분되며, 하층부(114b)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18)가 형성된다. 도 4는 서로 90도 이격되도록 4개의 돌기부(118)가 형성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돌기부(118)는 도 5에 도시된 드립량 조절부(140)에 형성된 홈부(143)에 삽입되어, 회전축(170)의 회전 시 드립량 조절부(140)의 회전을 억제한다. 유출부(114)는 중앙에 홀(116)이 형성되고, 홀(116)을 중심으로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115)가 형성된다. 유출부(114)의 홀(116)에는 도 5의 드립량 조절부(140)의 체결부(141)가 삽입된다. 그리고 물은 유출구(115)를 통해 드립량 조절부(140)로 유입된다. 도 4는 4개의 유출구(115)가 형성된 유출부(114)를 도시하고 있다. 유출부(114)의 하단에는 드립량 조절부(140)와 최대 밀착 시 도 5의 드립 구멍(142)을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립 구멍 마개부(117)가 형성된다.
도 5의 (a)는 전술한 드립량 조절부(140)의 체결부(141), 드립 구멍(142) 및 홈부(143)가 도시되어 있다. 체결부(141)는 드립량 조절부(140)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2나사부(141a)가 형성된다. 제2나사부(141a)는 회전축(170)에 형성된 제1나사부(171)와 체결된다. 회전부(170)의 회전에 따라 제1나사부(171)는 제2나사부(141a)와 조임과 풀림을 반복하게 되는데, 유출부(114)의 돌기부(118)가 홈부(143)에 고정되어, 유출부(114)와 드립량 조절부(140) 간에는 고정되어 회전을 하지 않고, 이에 따라 드립량 조절부(140)는 나사의 조임과 풀림을 통해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제1나사부(171)와 제2나사부(141a)의 조임이 진행될수록 드립량 조절부(140)는 유출부(114)와 밀착되어 드립량이 감소하고, 풀림이 진행될수록 드립량 조절부(140)는 유출부(114)와 이격되어 드립량이 증가하게 된다.
드립량 조절부(140)의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립 구멍(142)이 형성되고 물탱크(110)로부터 유입된 물은 드립 구멍(142)을 통해 낙하하게 된다. 도 5는 4개의 드립 구멍(142)이 형성된 드립량 조절부(140)를 개시하고 있는데, 드립 구멍(14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드립량 조절부(140)는 상층부(140a)와 하층부(140b)로 구분되며, 하층부(140b)는 상층부(140a)에 비해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하층부(140b)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143)에는 유출부(114)의 돌기부(118)가 삽입된다. 도 5의 (b) 및 (c)는 드립량 조절부(140)의 평면도와 저면도로서, 체결부(141)와 드립 구멍(142)이 형성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에서 드립량 조절부(140)는 물탱크(110)로부터 완전히 분리 가능하며, 드립량 조절부(140) 상에 위치하는 제2실링부(145) 및 흡수부재(144)도 드립량 조절부(140)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 가능하여 기존 제품보다 세척이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에서 물 드립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물탱크(110)의 유출부(114)와 드립량 조절부(140)가 밀착된 형태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손잡이(162)를 회전시켜서 드립량 조절부(140)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유출부(114)와 결합시키며, 드립 구멍 마개부(117)가 드립 구멍(142)을 막을 때까지 이동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손잡이(16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드립량 조절부(140)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유출부(114)로부터 이격시켜 물탱크(110)의 물이 드립량 조절부(140)로 유입되도록 한다. 도 6의 [b]는 드립량 조절부(140)가 유출부(114)로부터 이격되면서 물이 드립량 조절부(140)로 유입되고 물방울이 커피저장탱크(120)로 낙하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흡수부재(144)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부직포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데, 일단 흡수부재(144)가 적셔진 후에 물을 아래로 내려보내기 때문에 물탱크(110)의 양이 줄어들어 물탱크 내의 압력이 낮아진다고 하더라도 물이 떨어지다가 중간에 멈추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먼저 밸브를 어느 정도 개방한 후 밸브를 서서히 잠그면서 드립량을 조절하여 처음 일정량의 물을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는데,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100)를 사용하면 흡수부재(144)에 물이 흡수되는 과정을 확인하면서 드립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처음에 일정량의 물을 버리지 않더라도 드립량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사용하면, 종래기술 대비 물의 드립량을 보다 안정적이면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 접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생상의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더치커피 추출장치
110 : 물탱크
120 : 커피저장탱크
130 : 커피추출액 수집탱크
140 : 드립량 조절부
150 : 결합부재
160 : 물탱크 마개
170 : 회전축
111 : 바닥면
112 : 물 저장부
113 : 이격 공간부
114 : 유출부
114a : 유출부(114)의 상층부
114b : 유출부(114)의 하층부
115 : 유출구
116 : 유출부(114)의 홀
117 : 드립 구멍 마개부
118 : 유출부(114)의 돌기부
121 : 추출구
122 : 필터
140a : 드립량 조절부(140)의 상층부
140b : 드립량 조절부(140)의 하층부
141 : 체결부
142 : 드립 구멍
143 : 드립량 조절부(140)의 홈부
144 : 흡수부재
145 : 제2실링부
1451 : 차단돌기
151 : 제3실링부
161 : 물탱크 마개(160)의 홀
162 : 손잡이
1621 : 손잡이(162)의 홀
171 : 제1나사부
172 : 회전축(170)의 상단부
173 : 제1스토퍼
174 : 제2스토퍼
175 : 제1실링부
1751 : 제1실링부(175)의 측면돌기
176 : 제4실링부

Claims (10)

  1.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바닥면에서 하향 돌출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중심으로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가 형성된 유출부;
    상기 물탱크 내에 위치하며, 일부가 상기 유출부의 홀을 관통하고, 일단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회전축; 및
    하단에 적어도 하나의 드립 구멍이 형성되고,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1나사부와의 결합을 위해 내측면에 제2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드립량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출부와 드립량 조절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드립량 조절부의 상하이동으로 상기 물탱크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유출부는 상층부와 하층부로 구분되며, 하층부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드립량 조절부는 상층부와 하층부로 구분되며, 하층부의 내측면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드립량 조절부의 회전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상단에 위치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된 물탱크 마개; 및
    상기 물탱크 마개의 상부에 위치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타단은 상기 물탱크 마개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의 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마개의 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에 마찰계수를 증가시키는 제1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손잡이와 결합 시, 상기 제1실링부와 접촉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드립량 조절부와 결합 시, 상기 물탱크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링 형상으로서, 내측면은 상기 유출부의 상측부를 둘러싸고, 외측면에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드립량 조절부의 상층부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물을 차단하는 차단돌기가 형성된 제2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량 조절부는
    상기 드립 구멍의 상부에, 수분을 흡수하는 소재로 형성되며 물의 드립량 조절을 위해 설치되는 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의 하단에는,
    상기 드립량 조절부와 최대 밀착 시 상기 드립 구멍을 폐쇄하는 드립 구멍 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에 의해 상부의 물 저장부와 하부의 이격 공간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량 조절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커피분말을 저장하는 커피저장탱크; 및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원통이 상하로 부착된 형태로서, 상기 물탱크와 상기 커피저장탱크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20160040821A 2016-04-04 2016-04-04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68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821A KR101668580B1 (ko) 2016-04-04 2016-04-04 더치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821A KR101668580B1 (ko) 2016-04-04 2016-04-04 더치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580B1 true KR101668580B1 (ko) 2016-10-21

Family

ID=5725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821A KR101668580B1 (ko) 2016-04-04 2016-04-04 더치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458A (ko) * 2018-11-23 2021-03-26 주식회사 디엔피유 올인원 드리퍼 보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1946A (ja) * 1992-02-07 1993-08-24 Toshiba Heating Appliances Co 飲料抽出装置
KR100199323B1 (ko) * 1995-11-17 1999-06-15 다카노 야스아키 음료 추출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
KR20160018113A (ko) * 2014-08-08 2016-02-17 한동희 더치 커피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1946A (ja) * 1992-02-07 1993-08-24 Toshiba Heating Appliances Co 飲料抽出装置
KR100199323B1 (ko) * 1995-11-17 1999-06-15 다카노 야스아키 음료 추출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
KR20160018113A (ko) * 2014-08-08 2016-02-17 한동희 더치 커피 추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458A (ko) * 2018-11-23 2021-03-26 주식회사 디엔피유 올인원 드리퍼 보틀
KR102375163B1 (ko) * 2018-11-23 2022-03-16 주식회사 디엔피유 올인원 드리퍼 보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852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RU2394626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ования воды и вообще жидкостей
US91797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ewing coffee and the like
US6202541B1 (en) Apparatus for making purified water and related drinks
JP5405595B2 (ja) バルブのバルブ駆動デバイス、液体処理デバイスの液体容器、並びに液体処理デバイス
US20100263548A1 (en) Drink extracting apparatus
JP2011056254A (ja) インフューザー付きピッチャー
KR101485771B1 (ko)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US20140263020A1 (en) Refillable Liquid Filter Apparatus
WO2013074423A1 (en)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system
KR101871845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60082301A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68580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43327B1 (ko) 일체 결합형 더치 커피 드립퍼
JP2021518794A (ja) 懸濁液から抽出物を分離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791865B2 (en) Ice-water dripping-rate adjuster for drip-type ice coffee maker
KR101648624B1 (ko)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US20180042411A1 (en) Universal lid system and methods
RU27612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на основе настаивания для заваривания напитка
RU2759376C2 (ru) Кофеварка
KR101845449B1 (ko)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KR101432496B1 (ko) 더치커피 추출용 노즐
KR101701251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50121752A (ko) 더치커피 카트리지 삽입형 더치커피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