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449B1 -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449B1
KR101845449B1 KR1020160150864A KR20160150864A KR101845449B1 KR 101845449 B1 KR101845449 B1 KR 101845449B1 KR 1020160150864 A KR1020160150864 A KR 1020160150864A KR 20160150864 A KR20160150864 A KR 20160150864A KR 101845449 B1 KR101845449 B1 KR 101845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guide
water
flow amount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근
Original Assignee
이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근 filed Critical 이양근
Priority to KR102016015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에 의해 제작이 용이하며 유량을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물통에 결합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서 유입된 물을 원두통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몸체의 상측결합부와 하측결합부에는 유입관 및 배출관이 수직으로 각각 결합되고, 몸체의 내측에는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안내부가 수평형성되되, 상기 상측결합부는 상측홀에 의해 삽입홈 및 안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측결합부는 하측홀에 의해 안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안내부의 개방된 일측에는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부재가 몸체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재의 선단에 형성된 원뿔형상의 밀착부는 회전레버의 조절에 의해 좌우 이동에 의해 삽입홈과 안내부의 사이를 밀폐 또는 유량을 조절하면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의 유입 및 배출이 수직으로 결합된 유입관 및 배출관에 의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원뿔 형상의 밀착부가 수평으로 이동하며 수평으로 형성된 삽입홈과 안내부의 사이를 긴밀히 밀폐하거나 개방함으로써 유량을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소한 부품의 작용에 의한 단순한 구성에 의해 제작 및 사용이 더욱 용이하며,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여 청소 및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Flow control valve for dutch coffee extractor}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기의 물통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에 의해 제작이 용이하며 유량을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치커피(Dutch coffee)는 워터드립 커피라고 하며, 뜨거운 물 추출법이 아니라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 동안 추출한 커피를 일컫는다. 이러한 더치커피는 찬물로 우려내기 때문에 일반커피에 비해 카페인 함량이 적고 오랜 시간 향과 맛이 지속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와 커피 원두를 저장하는 원두탱크(2)와 원두탱크(2)의 원두를 통과하면서 추출된 액상커피를 수집하는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 및 상기 물탱크(1) 내지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를 상하 적층구조로 배치되게 지지하는 거치대(5)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탱크(1)는 거치대(5)의 최상부에 설치되며, 개구된 상단에 뚜껑(7)이 구비되고 하단의 배출부(6)에 물의 드립량을 조절하기 위한 드립량 조절밸브(8)가 설치된다.
상기 드립량 조절밸브(8)는 물탱크(1)의 배출부(6) 중앙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배출부(6)의 유로와 밸브 구멍이 일치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원두탱크(2)로 떨어지는 물 드립량 및 커피 내리는 속도를 조정한다.
상기 원두탱크(2)는 물탱크(1)의 상부에 배치되며, 바닥면에는 커피추출액을 여과하는 필터(9)가 설치되고, 상기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는 원두탱크(2)의 하부에 배치되며, 원두탱크(2) 사이에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나선관(4)이 배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상기 물탱크(1)에서 조금씩 떨어지는 물이 원두탱크(2)의 원두를 통과하면서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고, 추출된 커피는 나선관(4)을 통과하여 떨어져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에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 물탱크(1)는 드립량 조절밸브(8)를 열어도 뚜껑(7)을 덮은 상태에서는 물을 배출하지 못하므로 커피를 내릴 때에는 뚜껑(7)을 열어두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보통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단위 초당 물탱크에서 떨어지는 물 드립량을 조절하게 되는데, 기존의 드립량 조절밸브는 사람이 손으로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어 물 드립량의 미세조절이 불가능함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을 원하는 바에 따라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드립량 조절밸브는 밸브 개도를 매우 작게 조절하는 경우, 물이 떨어지다가 멈추는 등 더는 커피 추출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어 커피 추출 상태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이 소재의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커피의 오일성분이 필터에 흡착되고 펄프 냄새가 커피에 섞여 커피 본연의 향과 맛을 잃게 되고, 소재의 특성상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공기 중의 습기를 빨아들여 잡 냄새가 나게 되고 영구적인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313297호인 "커피 제조용 노즐"이 개시되었다.
이는 첨부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수가 배수되는 배수공(111)이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111) 상방으로 상기 배수공(111)보다 큰 지름의 내측홀(113)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홀(113) 상부에 암나사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측방으로 관통되어 상기 내측홀(113)과 교차하는 삽입홀(117)이 관통된 배수관(110)과, 상기 삽입홀(117)에 수평으로 삽입되고 상하방으로 정수가 배수되는 배수공(121)이 형성된 수평 삽입관(120)과, 상기 수평 삽입관(120)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측홀(113)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0018] 상기 배수공(121)과 연결되는 수직 삽입관(130)과, 상기 수평 삽입관(120)의 내측홀(123)로 관통되고 상기 배수공(121)에 연결되는 관통구(141)가 형성된 축(140)과, 상기 암나사부(147)에 체결되고 축심을 따라 관통된 배수공(163)이 형성된 볼트(1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 발명은 축(140)을 돌려서 관통구(141)를 수평 삽입관(120)의 배수공(121)에 일치시키면, 볼트(160)의 배수공(163), 수직 삽입관(130)의 내측홀(131), 수평 삽입관(120)의 배수공(121), 상기 관통구(141) 및 배수관(110)의 배수공(111)을 통해서 정수의 배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레버(143)를 돌리면서 여러 부품의 배수공(163)을 일치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단점이 있고, 배수공(163)의 크기가 한정되어 미세한 부분까지 배수량을 조절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캡너트(150)가 축(140)에서 쉽게 분리 가능하여 사용 중 캡너트(150)가 축(140)에서 쉽게 빠져나가거나 분리되어 분실되는 일들이 종종 발생하며, 물탱크의 하측에 체결된 배수공(121)을 통해 하측으로 떨어지는 물의 속도가 시간이 지날수록 수압에 의해 현저하게 늦어져 물 조절을 정확하게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로 및 조절방식을 개선하여 유량을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성에 의해 제작 및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는 물통에 결합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서 유입된 물을 원두통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몸체의 상측결합부와 하측결합부에는 유입관 및 배출관이 수직으로 각각 결합되고, 몸체의 내측에는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안내부가 수평형성되되, 상기 상측결합부는 상측홀에 의해 삽입홈 및 안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측결합부는 하측홀에 의해 안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안내부의 개방된 일측에는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부재가 몸체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재의 선단에 형성된 원뿔형상의 밀착부는 회전레버의 조절에 의해 좌우 이동에 의해 삽입홈과 안내부의 사이를 밀폐 또는 유량을 조절하면서 개방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에 의하면, 물의 유입 및 배출이 수직으로 결합된 유입관 및 배출관에 의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원뿔 형상의 밀착부가 수평으로 이동하며 수평으로 형성된 삽입홈과 안내부의 사이를 긴밀히 밀폐하거나 개방함으로써 유량을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소한 부품의 작용에 의한 단순한 구성에 의해 제작 및 사용이 더욱 용이하며,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여 청소 및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기의 정면도
도 2는 종래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몸체(10)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상측에는 물통에 결합되어 몸체(10)의 내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유입관(20)이 결합되어 있으며, 몸체(10)의 하측에는 하측에 설치되는 원두통으로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30)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0)의 우측에는 물의 낙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부재(40)는 사용자가 회전레버(4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햐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유로를 밀폐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 유입관(20), 배출관(30), 조절부재(40)는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정밀하고 견고하게 제작하여 미세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금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의 내측에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안내부(11)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부(11)의 개방된 일측의 내주면에는 조절부재(4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11)의 밀폐된 타측에는 안내부(1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진 삽입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13)의 상측에는 상측홀(14)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홀(14)의 상측에는 상측결합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결합부(15)에는 유입관(20)이 긴밀히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안내부(11)의 하측에는 하측홀(16)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홀(16)의 하측에는 하측결합부(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측결합부(17)에는 배출관(30)이 긴밀히 결합된다.
상기 안내부(11)와 삽입홈(13), 상측홀(14), 상측결합부(15)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부(11)와 하측홀(16), 하측결합부(17)는 서로 연통되어 있어 상기 몸체(10)는 유입관(20)을 통해 유입된 물이 연통된 유로를 따라 배출관(3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몸체(10)의 암나사부(12)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부재(40)는 선단에 원뿔 형상의 밀착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부(41)의 다음 단에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42)의 다음 단에는 몸체(10)의 암나사부(12)에 결합되는 수나사부(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나사부(43)의 다음 단에는 회전레버(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재(40)의 가이드(42)와 유입관(20)의 외주면에는 링 형상의 팩킹(P)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0)의 상측과 하측에 유입관(20) 및 배출관(30)이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안내부(11)에는 조절부재(40)의 가이드(42)가 팩킹(P)에 의해 긴밀히 삽입되어 암나사부(12)와 수나사부(4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유입관(20)은 팩킹(P)에 의해 물통의 노즐(N)에 긴밀히 결합되어 물을 몸체(10)의 내측으로 공급하게 되며, 사용자는 회전레버(44)를 이용하여 조절부재(4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절부재(40)가 좌우로 미세하게 이동하도록 조작하여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도 5는 밀착부(41)가 삽입홈(13)에 삽입되어 삽입홈(13)과 안내부(11)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밀폐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때는 사용자가 조절부재(40)를 회전에 의해 안내부(11)의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물의 흐름을 차단한 것이다.
상기 조절부재(40)를 미세한 회전에 의해 차츰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배출관(30)으로 배출되는 낙수의 양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도 6은 조절부재(4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밀착부(41)가 삽입홈(13)에서 완전히 인출됨으로써 상측홀(14), 삽입홈(13), 안내부(11), 하측홀(16)이 개방되어 배출관(30)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유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조절부재(40)는 가이드(42)가 안내부(11)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42)에 결합된 팩킹(P)에 의해 안내부(11)에 채워진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물의 유입 및 배출이 수직으로 결합된 유입관(20) 및 배출관(30)에 의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원뿔 형상의 밀착부(41)가 수평으로 이동하며 수평으로 형성된 삽입홈(13)과 안내부(11)의 사이를 긴밀히 밀폐하거나 개방함으로써 유량을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소한 부품의 작용에 의한 단순한 구성에 의해 제작 및 사용이 더욱 용이하며,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여 청소 및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10 : 몸체 11 : 안내부
12 : 암나사부 13 : 삽입홈
14 : 상측홀 15 : 상측결합부
16 : 하측홀 17 : 하측결합부
20 : 유입관 30 : 배출관
40 : 조절부재 41 : 밀착부
42 : 가이드 43 : 수나사부
44 : 회전레버

Claims (5)

  1. 물통에 결합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서 유입된 물을 원두통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몸체(10)의 상측결합부(15)와 하측결합부(17)에는 유입관(20) 및 배출관(30)이 수직으로 각각 결합되고, 몸체(10)의 내측에는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안내부(11)가 수평형성되되,
    상기 상측결합부(15)는 상측홀(14)에 의해 삽입홈(13) 및 안내부(11)와 연통되고, 상기 하측결합부(17)는 하측홀(16)에 의해 안내부(11)와 연통되며, 상기 안내부(11)의 개방된 일측에는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부재(40)가 몸체(10)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재(40)의 선단에 형성된 원뿔형상의 밀착부(41)는 회전레버(44)의 조절에 의해 좌우 이동에 의해 삽입홈(13)과 안내부(11)의 사이를 밀폐 또는 유량을 조절하면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40)에는 팩킹(P)이 외주면에 결합된 가이드(4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42)는 안내부(11)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50864A 2016-11-14 2016-11-14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KR101845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864A KR101845449B1 (ko) 2016-11-14 2016-11-14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864A KR101845449B1 (ko) 2016-11-14 2016-11-14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449B1 true KR101845449B1 (ko) 2018-04-04

Family

ID=6197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864A KR101845449B1 (ko) 2016-11-14 2016-11-14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4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785B1 (ko) * 2019-08-05 2021-01-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액적 생성 장치
KR102538743B1 (ko) * 2022-08-20 2023-06-01 전정연 커넥터 연결형 커피 디스펜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785B1 (ko) * 2019-08-05 2021-01-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액적 생성 장치
KR102538743B1 (ko) * 2022-08-20 2023-06-01 전정연 커넥터 연결형 커피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4626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ования воды и вообще жидкостей
KR101845449B1 (ko)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KR101416049B1 (ko)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
CN101801245A (zh) 用于具有调节咖啡品质的装置的咖啡机的过滤器保持器以及包括所述过滤器保持器的机器
KR101485771B1 (ko)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KR20160082301A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349074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474546B1 (ko) 위생관리가 용이한 얼음 분말 제조장치
KR102533989B1 (ko) 노즐식 스팀 트랩
KR20160018113A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101643327B1 (ko) 일체 결합형 더치 커피 드립퍼
KR101709102B1 (ko) 워터 드립 제어밸브를 이용한 더치 커피 드립퍼
CN204878751U (zh) 家用净水器水龙头
RU2576441C1 (ru) Капельница
KR101432496B1 (ko) 더치커피 추출용 노즐
KR20150012440A (ko) 커피 핸드 드립퍼
KR101668580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942286B1 (ko)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CN106286967B (zh) 一种水量调节装置
DE102004023032A1 (de) Haushaltsmaschine
KR20140121734A (ko) 더치커피 추출기용 밸브
US2204106A (en) Flow control unit
KR101701251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529560B1 (ko) 더치커피 추출용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