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074B1 - 더치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074B1
KR101349074B1 KR1020120002604A KR20120002604A KR101349074B1 KR 101349074 B1 KR101349074 B1 KR 101349074B1 KR 1020120002604 A KR1020120002604 A KR 1020120002604A KR 20120002604 A KR20120002604 A KR 20120002604A KR 101349074 B1 KR101349074 B1 KR 101349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tank
packing
water tank
d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558A (ko
Inventor
권승준
Original Assignee
권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승준 filed Critical 권승준
Priority to KR1020120002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0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8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내리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출입구를 가지는 밀폐형의 물탱크; 상기 출입구에 조립되어 물탱크를 밀폐하는 제1패킹마개; 상기 제1패킹마개에 일단부가 일체로 결합되게 끼움되는 드립포트; 상기 드립포트의 중간에 구비되고, 물탱크에서 원두탱크로 떨어지는 물 드립량을 미세조절하기 위한 드립량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장치 {Apparatus for extraction of dutch coffee}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내리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치커피(Dutch coffee)는 워터드립커피라고 하며, 뜨거운 물 추출법이 아니라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 동안 추출한 커피를 일컫는다.
이러한 더치커피는 찬물로 우려내기 때문에 일반커피에 비해 카페인 함량이 적고 오랜 시간 향과 맛이 지속되는 장점이 있다.
첨부한 도 1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 커피 원두를 저장하는 원두탱크(2), 원두탱크(2)의 원두를 통과하면서 추출된 액상커피를 수집하는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 및 상기 물탱크(1) 내지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를 상하 적층구조로 배치되게 지지하는 거치대(5)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탱크(1)는 거치대(5)의 최상부에 거치되며, 개구된 상단에 뚜껑(7)이 구비되고 하단의 배출부(6)에 물 드립량을 조절하기 위한 드립량 조절밸브(8)가 설치된다.
상기 드립량 조절밸브(8)는 물탱크(1)의 배출부(6) 중앙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배출부(6)의 유로와 밸브 구멍이 일치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원두탱크(2)로 떨어지는 물 드립량 및 커피 내리는 속도를 조정한다.
상기 원두탱크(2)는 물탱크(1)의 하부에 배치되며, 바닥면에는 커피추출액을 여과하는 필터(9)가 놓여진다.
상기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는 원두탱크(2)의 하부에 배치되며, 원두탱크(2)와의 사이에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나선관(4)이 배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상기 물탱크(1)에서 조금씩 떨어지는 물이 원두탱크(2)의 원두를 통과하면서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고, 추출된 커피는 나선관(4)을 통과하여 떨어져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에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 물탱크(1)는 드립량 조절밸브(8)를 열어도 뚜껑(7)을 덮은 상태에서는 물을 배출하지 못하므로 커피를 내릴 때에는 도 2와 같이 뚜껑(7)을 열어두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물탱크(1)의 드립량 조절밸브(8)를 통해 단위시간당 물탱크(1)에서 원두탱크(2)로 떨어지는 물 드립량을 미세조절하기 어렵다.
더치커피는 보통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단위시간당 물탱크(1)에서 떨어지는 물 드립량을 조절하게 되는데, 기존의 드립량 조절밸브(8)는 사람이 손으로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어 물 드립량의 미세조절이 불가능함으로 인해 커피의 맛과 향을 원하는 바에 따라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드립량 조절밸브는 밸브 개도를 매우 작게 조절하는 경우, 물이 떨어지다가 멈추는 등 더이상 커피 추출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어 커피 추출 상태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2. 커피를 내리는 장시간 동안 물탱크(1)의 뚜껑(7)을 열어둠으로 인해 이물질에 의해 물탱크(1)에 저장된 물이 오염될 수 있다.
3.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의 상단이 개방되어 있어, 나선관(4)을 통과하여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로 모이는 커피추출액이 공기 중에 노출됨에 따라 커피 향이 날아가 감소하게 되고, 또한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있다.
4. 종이 소재의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커피의 오일성분이 필터에 흡착되고 펄프 냄새가 커피에 섞여 커피 본연의 향과 맛을 잃게 된다. 종이 소재의 필터는 소재 특성상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공기 중의 습기를 빨아들여 잡 냄새가 나게 되고, 영구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다.
세라믹 소재의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추출된 커피가 필터 외부로 흐르게 되어 여과성능이 저하되고, 이에 대체로 종이 필터와 혼용하게 사용한다. 세라믹 소재의 필터는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나 부주의로 떨어뜨리면 쉽게 파손되고 표면에서 분진을 생성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단위시간당 물탱크에서 떨어지는 물 드립량의 미세조절이 가능한 드립량 조절밸브를 구성하여 커피의 맛과 향을 소비자 취향에 맞춰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물탱크와 커피추출액 수집탱크를 밀폐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커피추출액 수집탱크와 나선관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커피 향을 공기 중에 날아가지 않도록 보존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프론 소재의 커피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추출시 커피 본연의 맛과 향을 얻을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도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입구를 가지는 밀폐형의 물탱크; 상기 출입구에 조립되어 물탱크를 밀폐하는 제1패킹마개; 상기 제1패킹마개에 일단부가 일체로 결합되게 끼움되는 드립포트; 상기 드립포트의 중간에 구비되고, 물탱크에서 원두탱크로 떨어지는 물 드립량을 미세조절하기 위한 드립량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패킹마개에는 축선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감소하는 제1삽입관이 압입 설치되고, 상기 제1삽입관은 최단 내경을 갖는 상단이 물탱크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드립량 조절밸브는 드립포트의 중앙에 일체로 마련되는 밸브 바디와, 이 밸브 바디 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 핀, 및 이 밸브 핀의 일단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상기 밸브 바디의 일측에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밸브 핀 조절마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 핀의 단차진 일단부가 밸브 바디의 테이퍼진 내주면으로 출입함에 따라 밸브 개도를 조절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두탱크의 하부에는 추출된 커피가 통과하게 되는 나선관이 배치되고, 상기 나선관은 일단이 커피추출액 수집탱크의 출입구를 밀폐하는 제2패킹마개에 삽설되어 커피추출액 수집탱크와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2패킹마개에는 축선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감소하는 제2삽입관이 압입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상기 물탱크를 지지하는 상부 거치단과, 상부 거치단의 아래에서 원두탱크를 지지하는 하부 거치단, 및 하부 거치단의 아래에서 커피추출액 수집탱크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받침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3단 구조의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원두탱크는 그 내측 바닥면에 테프론 소재의 커피 필터가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액체저장용기의 출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액체저장용기에서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액체저장용기로 유입되는 액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액체출입관이 삽설될 수 있는 끼움홀이 천공된 패킹마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마개에는 액체저장용기의 내외로의 공기 유동을 위한 삽입관이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용기용 마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관은 축선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물탱크에서 커피 원두로 떨어지는 물 드립량을 종래 대비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커피의 맛과 향을 소비자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 기호에 따라 커피 내리는 속도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커피의 향과 맛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2. 물탱크 및 커피추출액 수집탱크가 밀폐형으로 구성되어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커피추출액 수집탱크와 나선관이 일체형으로 직접 연결됨에 따라 커피추출액 수집시 커피 향을 날아가지 않게 보존할 수 있다.
3. 나선관이 커피추출액 수집탱크에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나선관을 지지하기 위한 거치단을 삭제하여 거치대 구조가 종대 대비 단순화된다.
4. 테프론 소재의 커피 필터를 사용함에 따라 커피 추출시 일어나는 물리/화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커피 본연의 맛과 향을 얻을 수 있다.
5. 커피 추출시 물탱크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물탱크 안에 공기방울이 형성됨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장시간 동안 시각적인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A"에 도시된 종래의 드립량 조절밸브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한 커피추출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드립량 조절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드립량 조절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패킹마개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한 커피추출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0)와, 물탱크(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원두탱크(20)와, 원두탱크(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 및 상기 물탱크(10) 내지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를 상하 적층구조로 배치되게 지지해주는 거치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에 보이듯이, 상기 물탱크(10)는 가는 원통형의 출입구(10a)와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구형의 몸통부(10b)를 가진 플라스크 형태로 마련되며, 출입구(10a)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거치대(20)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구(10a)에 제1패킹마개(12)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1패킹마개(12)는 실리콘 재질을 이용하여 물탱크(10)의 출입구(10a)에 상응하는 형태로 마련되며, 물탱크(10)의 출입구(10a)에 압입되게 조립되어 물탱크(10)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패킹마개(12)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링 모양의 패킹 띠(12c)가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패킹 띠(12c)는 제1패킹마개(12)의 밀폐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물탱크(10)에의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제1패킹마개(12)에는 물탱크(10)의 물 배출을 위해 제1패킹마개(12)를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드립포트(14) 및 제1삽입관(13)이 설치된다.
상기 드립포트(14)는 물탱크(10)의 출입구(10a)와 원두탱크(20)의 유입구(23) 사이에 액체 유동을 위해 배치되는 구성요소로, 일측이 제1패킹마개(12)의 중앙을 축선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패킹마개(12)에 끼움됨으로써 일체로 결합되며, 물탱크(1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원두탱크(20)로 배출하는 유로 역할을 한다.
상기 드립포트(14)에는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단위시간당 물탱크(10)에서 원두탱크(20)로 한 방울씩 떨어지는 물 드립량을 조절하기 위한 드립량 조절밸브(15)가 설치된다.
상기 드립량 조절밸브(15)는 개도 조절을 통해 단위시간당 드립포트(14)를 통과하는 물의 양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밸브로서, 도 7 및 8과 같이 드립포트(14)의 중앙(혹은 드립포트 사이)에 일체로 마련되는 밸브 바디(16)와 이 밸브 바디(16) 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 핀(17) 및 이 밸브 핀(17)의 일단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상기 밸브 바디(16)의 일측에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밸브 핀 조절마개(18)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 바디(16)는 드립포트(14)의 중앙에 이웃하는 일단부가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진 내주면을 갖도록 마련되고, 밸브 핀(17)은 상기 테이퍼진 내주면에 이웃하는 일단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외주면을 갖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드립량 조절밸브(15)는 밸브 핀 조절마개(18)가 밸브 바디(16)의 일측에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밸브 바디(16)의 회전운동이 밸브 핀(17)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게 되어, 밸브 핀 조절마개(18)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밸브 핀(17)이 전진하여 밸브를 닫게 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밸브 핀(17)이 후진하여 밸브를 열어주게 된다.
즉, 상기 드립량 조절밸브(15)는 밸브 핀 조절마개(18)를 회전시키는 정도에 비례하여 밸브 핀(17)이 직선이동되어 밸브를 개폐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밸브 핀 조절마개(18)를 회전시키는 정도에 비해 밸브 핀(17)이 비교적 매우 작은 거리를 이동하게 되며, 밸브 핀(17)의 단차진 일단부가 밸브 바디(16)의 테이퍼진 내주면을 출입함에 따라 밸브 개도가 미세하게 조절되어진다.
이러한 드립량 조절밸브(15)의 오픈시 물탱크(10)의 물이 드립포트(1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패킹마개(12)에는 공기 유동을 위한 제1삽입관(13)이 삽설된다.
도 9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삽입관(13)은 상단 내경이 하단 내경보다 작은 테이퍼진 내주면(혹은 공기유로)을 갖는 얇은 관 형상으로 마련되며, 드립포트(14)의 옆에서 제1패킹마개(12)의 가장자리를 축선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패킹마개(12)에 끼움됨으로써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제1삽입관(13)은 제1패킹마개(12)에 삽입시 상단이 물탱크(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외부 공기는 물탱크(10) 안으로 유입되고 물탱크(10)의 물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삽입관(13)은 축선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되고, 최장 내경을 갖는 하단에서 최단 내경을 갖는 상단 측으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1삽입관(13)은 제1패킹마개(12)가 밀폐성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공기 유로를 갖도록 해준다.
이에, 드립량 조절밸브(15)가 오픈되어 물탱크(10)의 물이 드립포트(14)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외부 공기가 제1삽입관(13)을 통해 물탱크(10) 내부로 유입되어 물탱크(10) 수중에 공기방울이 형성됨으로써 장시간의 커피 추출과정 동안 시각적인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패킹마개(12)는 드립포트(14)와 제1삽입관(13)이 삽설되는 각 끼움홀(12a,12b)의 내주면에도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링 모양의 이너 패킹 띠(12d,12e)가 마련된다.
상기 이너 패킹 띠(12d,12e)는 드립포트(14)와 제1패킹마개(12) 및 제1삽입관(13)과 제1패킹마개(12)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기 원두탱크(20)는 커피 원두를 수납 및 보관하는 용기로,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에 배출구(21)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측 바닥면에는 커피 필터(22)가 놓여진다.
상기 커피 필터(22)는 거름망 구조로 형성된 판상의 필터로, 도 12에 보이듯이 가장자리와 중앙 부위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중앙 부위에 미세하게 천공된 구멍들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줄지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커피 필터(22)는 원두탱크(20)의 내측 바닥면에 놓여질 때 그 중앙 부위가 아래를 향하도록 놓여지며, 그 가장자리 부위가 원두탱크(20)의 단차진 바닥면 가장자리에 걸쳐진 형태로 놓여지게 된다.
상기 커피 필터(22)는 추출된 커피가 가장자리로 흘러 새지 않고 중앙으로 흐르게 되어 커피 추출시 외관이 개선되고, 또한 커피 필터(22)의 가장자리로 흘러 이물질이 걸러지지 않은 커피로 인해 커피 맛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피 필터(22)는 테프론 소재로 이루어진 필터가 사용된다.
테프론 소재는 화학적 비활성, 내열성 및 비점착성 등을 가지므로, 테프론 소재의 커피 필터(22)는 커피 추출시 일어나는 물리적, 화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장시간 추출시에도 커피 본연의 맛과 향을 지속시킬 수 있고, 그 보관 및 이용이 편리하다.
더불어, 테프론 소재의 커피 필터(22)는 멸균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이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충격에 강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원두탱크(20)에서는 물탱크(10)에서 떨어진 물이 원두를 통과하면서 커피가 추출되고, 추출된 커피는 배출구(21)를 통해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로 배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는 가는 원통형의 출입구(30a)와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구형의 몸통부(30b)를 가진 플라스크 형태로 마련되며, 몸통부(30b)의 평평한 바닥면이 거치대(50)의 하단면에 놓여지게 설치되고, 상기 출입구(30a)에 제2패킹마개(32)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패킹마개(32)는 물탱크(10)의 제1패킹마개(12)와 마찬가지로 실리콘 재질을 이용하여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의 출입구(30a)에 상응하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출입구(30a)에 압입되게 설치되어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를 밀폐시킴으로써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킹마개(32)는 물탱크(10)의 제1패킹마개(12)와 마찬가지로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링 모양의 패킹 띠(32c)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패킹 띠(32c)는 제2패킹마개(32)의 밀폐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에의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제2패킹마개(32)에는 나선 모양으로 마련된 나선관(40)의 일측이, 제2패킹마개(32)의 중앙을 축선방향으로 관통하여 제2패킹마개(32)에 끼움됨으로써, 일체로 결합되게 설치된다.
이렇게 나선관(40)이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에 일체로 직접 연결됨으로써 원두탱크(20)에서 배출되어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에 모여지는 커피의 향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를 제2패킹마개(32)로 밀폐하고, 이 제2패킹마개(32)를 이용하여 나선관(40)을 일체로 직접 연결되게 함으로써 나선관(40)을 따라 흘러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로 모이는 커피의 향이 공기 중으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에 조립되는 제2패킹마개(32)에도 전술한 제1삽입관(13)과 같은 제2삽입관(33)이 삽설된다.
상기 제2삽입관(33)은 상단 내경이 하단 내경보다 작은 테이퍼진 구조(혹은 공기유로)를 갖는 얇은 관 형상으로 마련되며, 나선관(40)의 옆에서 제2패킹마개(32)의 가장자리를 축선방향으로 관통하여 제2패킹마개(32)에 끼움됨으로써 일체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2삽입관(33)은, 제1삽입관(13)과 달리, 제2패킹마개(32)에 삽입시 최단 내경을 갖는 상단이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의 내측이나 외측 중 어느 쪽을 향하도록 설치되어도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의 내부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2삽입관(33)은 단순히 제2패킹마개(32)에 공기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속이 빈 얇은 관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삽입관(33)은 최단 내경을 갖는 상단이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의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에 커피가 모여짐에 따라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삽입관(33)은 축선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되고, 최장 내경을 갖는 하단에서 최단 내경을 갖는 상단 측으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패킹마개(32)는 나선관(40)과 제2삽입관(33)이 삽설되는 각 끼움홀(32a,32b)의 내주면에도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링 모양의 이너 패킹 띠(32d,32e)가 마련된다.
상기 이너 패킹 띠(32d,32e)는 나선관(40)과 제2패킹마개(32) 및 제2삽입관(33)과 제2패킹마개(32)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와 나선관(40)이 일체로 연결됨에 의해 나선관(40)을 지지하기 위한 거치단을 삭제할 수 있어 거치대(5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도 4 내지 6에 보이듯이, 상기 거치대(50)는 그 최상단에 물탱크(10)를 지지하는 상부 거치단(51)과, 상부 거치단(51)의 하부에서 원두탱크(20)를 지지하는 하부 거치단(52), 및 하부 거치단(52)의 하부에서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받침단(5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및 하부 거치단(51,52)과 받침단(53)이 일체로 연결되어 대략 'ㄹ'자 모양의 3단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거치단(51)은 물탱크(10)를 얹어서 거치시킬 수 있게 천공된 형태로 마련되고, 하부 거치단(52)은 원두탱크(20)를 얹어서 거치시킬 수 있게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마련되며, 받침단(53)은 테이블 등에 올려놓을 수 있게 평판형으로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한 더치커피의 추출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물탱크(10)에 상온의 물을 담아서 상부 거치단(51)에 얹고, 원두탱크(20)에 커피 원두를 담아서 하부 거치단(52)에 얹어 조립하게 된다. 이때 드립포트(14)의 일단은 원두탱크(20)의 상단 내측에 인입되게 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원두탱크(20)의 배출구(21)가 나선관(40)의 상단에 인입되게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를 받침단(53)에 올린다.
이렇게 조립한 다음, 드립량 조절밸브(15)의 밸브 핀 조절마개(18)를 회전시켜 커피 내리는 속도를 조절하면, 드립포트(14)에서 조금씩 떨어진 물이 원두탱크(20)의 커피 원두를 통과하면서 커피가 추출되고, 추출된 커피는 나선관(40)을 따라 흘러서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로 모이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패킹마개(12,32)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탱크(10) 및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 외에 액체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다른 액체저장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액체저장용기는 내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용기로서, 액체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마련되며, 이 출입구에 상기와 같은 패킹마개(12,32)가 설치됨에 의해 밀폐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패킹마개(12,32) 혹은 액체저장용기용 마개에는 액체출입관이 삽설될 수 있는 끼움홀(12a,32a)이 축선방향으로 천공 형성되고, 액체저장용기의 내외로의 공기 유동을 위한 삽입관(13,33)이 상기 끼움홀(12a,32a)에 나란하게 축선방향으로 삽설된다.
상기 액체출입관은 액체저장용기에서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액체저장용기로 유입되는 액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관으로, 도 10의 드립포트(14)에 해당된다.
상기 삽입관(13,33)은 상단 내경이 하단 내경보다 작은 테이퍼진 내주면을 갖음으로써 액체저장용기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액체저장용기로 외부 공기를 유입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삽입관(13,33)은 축선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되고, 최장 내경을 갖는 일단에서 최단 내경을 갖는 타단 측으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혹은 상기 삽입관(13,33)은 최단 내경을 갖는 타단에서 최장 내경을 갖는 일단 측으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액체저장용기는 상기와 같은 액체저장용기용 마개 혹은 패킹마개(12,32)가 출입구에 설치됨에 따라 밀폐 상태가 되므로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야 내외로의 액체 유동이 가능하다.
위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 물탱크
10a : 출입구
12 : 제1패킹마개
13 : 제1삽입관
14 : 드립포트
15 : 드립량 조절밸브
16 : 밸브 바디
17 : 밸브 핀
18 : 밸브 핀 조절마개
20 : 원두탱크
21 : 배출구
22 : 커피 필터
30 : 커피추출액 수집탱크
30a : 출입구
32 : 제2패킹마개
33 : 제2삽입관
40 : 나선관
50 : 거치대
51 : 상부 거치단
52 : 하부 거치단
53 : 받침단

Claims (9)

  1. 삭제
  2. 출입구(10a)를 가지는 밀폐형의 물탱크(10);
    상기 출입구(10a)에 조립되어 물탱크(10)를 밀폐하는 제1패킹마개(12);
    상기 제1패킹마개(12)에 일단부가 일체로 결합되게 끼움되는 드립포트(14);
    상기 드립포트(14)의 중간에 구비되고, 물탱크(10)에서 원두탱크(20)로 떨어지는 물 드립량을 미세조절하기 위한 드립량 조절밸브(15);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패킹마개(12)에는 축선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감소하는 제삽입관(13)이 압입 설치되고, 상기 제1삽입관(13)은 최단 내경을 갖는 상단이 물탱크(10)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립량 조절밸브(15)는 드립포트(14)의 중앙에 일체로 마련되는 밸브 바디(16)와, 이 밸브 바디(16) 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 핀(17), 및 이 밸브 핀(17)의 일단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상기 밸브 바디(16)의 일측에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밸브 핀 조절마개(18)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 핀(17)의 단차진 일단부가 밸브 바디(16)의 테이퍼진 내주면으로 출입함에 따라 밸브 개도를 조절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두탱크(20)의 하부에는 추출된 커피가 통과하게 되는 나선관(40)이 배치되고, 상기 나선관(40)은 일단이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의 출입구(30a)를 밀폐하는 제2패킹마개(32)에 삽설되어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와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패킹마개(32)에는 축선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감소하는 제2삽입관(33)이 압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10)를 지지하는 상부 거치단(51)과, 상부 거치단(51)의 아래에서 원두탱크(20)를 지지하는 하부 거치단(52), 및 하부 거치단(52)의 아래에서 커피추출액 수집탱크(3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받침단(53)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3단 구조의 거치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두탱크(20)는 그 내측 바닥면에 테프론 소재의 커피 필터(22)가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8. 내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액체저장용기의 출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액체저장용기에서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액체저장용기로 유입되는 액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액체출입관이 삽설될 수 있는 끼움홀이 천공된 패킹마개(12,32)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마개(12,32)에는 액체저장용기의 내외로의 공기 유동을 위한 삽입관(13,33)이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용기용 마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13,33)은 축선방향으로 내경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용기용 마개.


KR1020120002604A 2012-01-09 2012-01-09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349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604A KR101349074B1 (ko) 2012-01-09 2012-01-09 더치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604A KR101349074B1 (ko) 2012-01-09 2012-01-09 더치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558A KR20130081558A (ko) 2013-07-17
KR101349074B1 true KR101349074B1 (ko) 2014-01-09

Family

ID=4899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604A KR101349074B1 (ko) 2012-01-09 2012-01-09 더치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0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137U (ko) * 2020-12-29 2021-01-19 이용도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049B1 (ko) * 2013-07-26 2014-07-07 박종진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
KR101437136B1 (ko) * 2013-08-28 2014-09-02 최지영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JP6310124B1 (ja) * 2017-06-27 2018-04-11 株式会社ホリーズ コーヒー抽出装置
KR101972824B1 (ko) * 2018-08-20 2019-04-26 이지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KR20200016000A (ko) 2018-08-06 2020-02-14 이기선 커피 제조 장치
KR102600171B1 (ko) 2023-04-28 2023-11-09 차현석 Ai 기반 커피 추출시간 자동 조정 기능의 더치커피 인퓨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380A (ja) * 1996-01-11 1997-07-22 Takahiro Agata コーヒー液抽出装置
JP4110687B2 (ja) 1999-08-25 2008-07-02 株式会社森商品研究所 ワインディスペンサ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380A (ja) * 1996-01-11 1997-07-22 Takahiro Agata コーヒー液抽出装置
JP4110687B2 (ja) 1999-08-25 2008-07-02 株式会社森商品研究所 ワインディスペンサ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게시물-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137U (ko) * 2020-12-29 2021-01-19 이용도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
KR200495718Y1 (ko) * 2020-12-29 2022-08-01 이용도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558A (ko)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074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RU25664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агирования напитка
JP6386529B2 (ja)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カプセル
US10080460B2 (en)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JP6185057B2 (ja) 飲料を醸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S2389855T3 (es) Dispositivo para preparar bebidas por infusión
TWI391112B (zh) 用於製備飲料之容器
JP6289535B2 (ja) カプセルから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カプセル、および、飲料調製システム
JP2017500084A (ja) 飲料を浸出するための器具および方法
JP2016521170A (ja) ドリップコーヒー製造機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US20130045307A1 (en) Brew Cartridge
KR101542668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US8763518B2 (en) Percolation machine for producing beverages
KR101681066B1 (ko) 복수의 드리퍼들 중 선택되는 한 쌍의 드리퍼를 구비한 드립 커피 추출기
RU27612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на основе настаивания для заваривания напитка
JP2017533813A (ja) 飲み物を抽出する機械、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475781Y1 (ko)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
CN213640432U (zh) 一种无阀门茶道杯
JP3220482U (ja) 飲料用ドリッパー
KR102221396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KR20190054220A (ko) 커피 에센스 추출방법
KR20220013274A (ko) 향의 휘발을 방지해주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JP2022054449A (ja) 茶こし付き飲用ボ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