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18Y1 -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 - Google Patents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18Y1
KR200495718Y1 KR2020200004913U KR20200004913U KR200495718Y1 KR 200495718 Y1 KR200495718 Y1 KR 200495718Y1 KR 2020200004913 U KR2020200004913 U KR 2020200004913U KR 20200004913 U KR20200004913 U KR 20200004913U KR 200495718 Y1 KR200495718 Y1 KR 200495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sket
coffee
groove
espresso
coffe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137U (ko
Inventor
이용도
Original Assignee
이용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도 filed Critical 이용도
Priority to KR2020200004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18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1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필터바스켓의 내측면에 요홈을 형성하여 공극율을 감소시켜 필터바스켓 내에서 압력이 균일하고 높게 유지되도록 하여 균일하고 진한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Filter basket for espresso coffee machine}
본 고안은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바스켓의 가장자리에 발생되는 공극을 최소로 하여 필터바스켓의 중심과 가장자리에 균일하고 높은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여 우수한 품질의 에스프레소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용 필터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에스프레소란 강한 압력으로 추출한 이탈리아식 커피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에스프레소를 빠르면서 맛과 향도 우수하게 내려주는 기계를 커피 머신이라 한다.
상기 커피 머신은 분쇄되어 압축된 커피가루에 7~11bar의 압력으로 뜨거운 물을 가하여 짧은 시간 동안 고농도의 커피를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 기계로, 분쇄된 원두는 포터필터(100)를 구성하는 필터바스켓(110)에 수용되어 커피머신에 결합된다.
상기에서 분쇄된 커피가 수용되는 필터바스켓(11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터필터(100)의 홀더(120)에 결합되는데, 상기 포터필터(100)는 필터바스켓(110)과, 필터바스켓(11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홀더(120), 상기 홀더(120)와 연결된 손잡이(130), 상기 홀더(120)에 연결되어 추출된 에스프레소를 커피잔으로 배출하는 스파우트(14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필터바스켓(110)과 홀더(120)는, 홀더(120)에 구비되는 결합홈으로 필터바스켓(200)에 형성된 결합돌기(116)가 끼워져서 결합되어, 커피 추출 후 뒤집어서 바닥에 두드려 커피찌꺼기를 배출시키더라도 상기 필터바스켓(110)이 홀더(12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는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바스켓(110)은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측면(112)은 매끄럽게 형성되어 저면에 다수의 배출공(114)이 천공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필터바스켓(110)에 분쇄된 파우더형태의 커피를 투입한 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탬퍼(150)로 눌러서 커피가루가 조밀하게 서로 압착되도록 하여 내부 공극을 줄인 후, 포터필터(100)를 커피 머신에 장착하고 고온의 뜨거운 물을 가하여 포터필터 안에 물이 꽉 차오르게 되면 고압이 발생하면서 물이 원두를 통과하여 커피 액체가 추출되고 이 과정에서 커피에 들어있는 지방 성분과 향기가 결합한 크레마(crema)도 함께 생성되어 커피 액체 위를 덮게 된다.
이러한 커피 액체와 크레마를 통칭하여 에스프레소라 한다.
상기 크레마는 에스프레소의 온도와 향미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크레마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것은 에스프레소 추출시 물의 압력이나 온도 및 커피가루의 굵기가 적당하지 않은 것으로, 이러한 커피가루의 굵기, 온도, 압력 등의 문제로 인한 비정상추출을 통상 언더 추출, 오버 추출이라고 한다.
이 중 언더 추출은 에스프레소 추출과정에서 커피 머신의 추출 버튼을 누르자마자 커피가 물처럼 콸콸 빠르게 추출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크레마의 색상이 연하고 금방 사라지며 향이 없고 싱거운 물 같은 커피액체가 나오는 것이다.
이러한 언더 추출은 분쇄된 커피가 너무 굵거나 분쇄된 커피 가루를 충분히 다지는 즉 탬핑을 충분히 하지 않거나, 포터 필터를 구성하는 필터 바스켓에 담긴 커피 가루의 양이 너무 적은 등의 이유로 커피 가루 사이에 공극이 커지면서 포터필터 내부에 충분한 압력이 형성되지 않아 커피가 추출되기도 전에 물이 공극을 통과해서 흘러 내려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오버 추출은 상기 언더 추출과 반대의 조건시 추출 버튼을 누른 뒤 한참 지나서 검은색 커피가 방울방울 조금씩 떨어지면서 추출되는 것을 말하는데, 쓴맛과 탄맛이 나며 크레마의 색깔이 진한 갈색으로 잔과 닿는 부분에 검은색 띠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한편, 이러한 커피 분쇄 정도, 탬핑 정도, 물의 온도. 압력 조건 등을 정확하게 설정하더라도 필터바스켓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커피는 제대로 추출되지 못하고 언더 추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바스켓(110)의 매끄러운 내측면(112)과 커피가루(P) 사이에 공극(160)이 발생되고, 이러한 공극(160)으로 물(스팀)이 빠르게 세어나가면서 중심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아지면서 중심부 커피가루는 충분히 추출되지 못하고, 이는 필터 바스켓 전체의 압력 또한 낮추는 원인이 되므로 크레마가 충분히 발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포터필터 내에서 필터바스켓의 가장자리를 따라 물이 쉽게 흐르면서 가장자리 압력과 함께 포터필터 내부 전체의 압력 또한 낮아지면서 진한 에스프레소를 얻기 위해서는 커피사용량이 증가되어야 하지만, 커피찌꺼기는 거의 재활용이 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커피 구매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2178144 등록특허 10-1395950 등록특허 10-1558136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의 내측면에 요홈을 형성하여 커피가루와 필터바스켓의 내주면 사이에 공극발생율을 최소로 하면서 물의 흐르는 속도를 요홈으로 늦추어, 필터바스켓의 중심과 가장자리에 동일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필터바스켓 전체에 골고루 높은 압력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에스프레소 추출 품질이 향상되고 적은 양의 커피로도 진항 에스프레소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비용을 절감시키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한편, 상기 요홈은 선삭가공으로 형성하거나 널링가공하거나 나사가공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요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요홈은 상부에서 하부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필터바스켓의 내측면에 요홈을 형성하여 필터바스켓 내부에 균일하고 높은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여 필터바스켓의 중심부와 가장자리에서 균일한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에 있다.
상기에서 요홈은 선삭가공되거나 널링가공되거나, 나사가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커피의 추출과정에서 커피가루와 필터바스켓의 내측면 사이에 발생되는 공극이 요홈에 의하여 최소가 되므로 즉, 요홈 내부로 커피가루가 위치되면서 공극이 줄어들어 물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포터필터 내부의 압력이 중심과 가장자리가 균일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높게 유지되고, 더욱이 물이 흐르는 과정에서 오목한 부분과 돌출된 부분을 지그재그로 통과하여야 하므로 배출속도가 감소되어 필터 바스켓의 내부에서 충분한 추출이 이루어지므로 에스프레소 추출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높은 압력이 유지되고 중심과 가장자리가 균일한 압력으로 유지되므로 종래 커피양보다 적은 양으로 동일한 진하기의 에스프레소를 얻을 수 있어 커피소모량이 감소되도록 하므로, 커피찌꺼기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환경보호 및 비용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홈이 상부에서 하부로 연결되므로 요홈내부에 끼워진 커피 찌꺼기가 요홈을 따라 흐르는 물에 의하여 하부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필터바스켓의 요홈에 커피 가루가 끼면서 발생되는 위생문제와 함께 세척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관리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포터필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에스프레소 추출을 위한 탬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 필터바스켓과 커피가루 사이의 공극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바스켓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200)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필터바스켓(200)은 내측면(210)에 요홈(2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필터바스켓(200)은 상부가 개방형성되고 저면에는 추출된 커피액체와 크레마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미세한 통공(230)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요홈(220)은 절삭이나 소성가공에 의하여 형성되는데, 그 모양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의 링형으로 형성하거나 나사가공에 의하여 나선모양으로 형성하거나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널링가공에 의하여 마름모 모양으로 형성하여 요철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요홈(220)은 그 단면이 반원형, 삼각형 중에서 택일되고, 요홈의 내부는 전체적으로 테프론 등으로 코팅되어 커피가루 등이 부착되지 않아 세척이 용이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요홈(220)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깊이(A)가 0.05mm ~ 0.5mm 이고, 요홈간 간격(B)은 0.05mm ~ 0.5mm이며, 요홈의 각도는 둔각(바람직하게는 120°)이며, 깊이와 간격의 비율은 1:3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요홈(22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측면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결되도록 하여 물 등이 흐르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필터바스켓(200) 내부로 분쇄된 커피가루(P)를 담고 탬핑에 의하여 커피가루들을 골고루 압착한다.
이 과정에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바스켓(200)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커피가루(P) 중 일부는 요홈(220)으로 이동되므로 필터바스켓(200)의 내측면(210)과 커피가루(P) 사이에 발생되는 공극(250)이 최소가 된다.
이후, 커피 머신의 헤드에 포터필터를 장착하여 고온/고압의 물을 가하면 커피가루 사이의 공극을 물이 통과하면서 저면의 통공(230)으로 커피액체와 크레마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요홈(220)에 의하여 필터바스켓(200)의 가장자리 공극율이 감소되면서 필터바스켓(200)의 가장자리 압력이 중심부 압력과 균일하게 유지될 뿐 아니라 필터바스켓(200) 전체 압력이 높게 유지되므로 필터바스켓(200)에 담겨진 커피에서 중심과 가장자리 모두 충분한 추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요홈(220)에 의하여 스팀이 필터바스켓(200)의 가장 자리에서 지그재그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내주면이 매끄러운 종래 필터바스켓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배출속도가 현저하게 감소될 뿐 아니라 내부 압력이 높은 상태로 유지되므로 커피액체와 크레마가 충분히 추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필터바스켓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진한 에스프레소를 얻을 수 있어서, 동일한 농도의 에스프레소를 얻는데 사용되는 커피소모량이 감소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소비자는 커피 소비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200 : 필터바스켓 P : 커피가루
220 : 요철 250 : 공극

Claims (5)

  1. 상부가 개방형성되고 저면에 다수개의 통공(230)이 천공되며 상부 측면에 구비된 결합돌기에 의하여 포터필터의 홀더에 끼워지는 필터바스켓(200)에 있어서,
    상기 필터바스켓(200)의 결합돌기 하부와 저면 사이의 내측면(210)에 균일하게 형성되고 각각 둔각을 갖는 요홈(220)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220)의 깊이(A)는 0.05mm ~ 0.5mm이고,
    상기 요홈(220)간 간격(B)은 0.05mm ~ 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220)은 링형, 나선형, 널링가공에 의한 마름모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220)은 내부가 코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
KR2020200004913U 2020-12-29 2020-12-29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 KR200495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13U KR200495718Y1 (ko) 2020-12-29 2020-12-29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13U KR200495718Y1 (ko) 2020-12-29 2020-12-29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37U KR20210000137U (ko) 2021-01-19
KR200495718Y1 true KR200495718Y1 (ko) 2022-08-01

Family

ID=7423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913U KR200495718Y1 (ko) 2020-12-29 2020-12-29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1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461B1 (ko) * 2008-03-17 2010-12-17 최범수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
KR101349074B1 (ko) * 2012-01-09 2014-01-09 권승준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96958B1 (ko) * 2009-12-16 2017-01-16 카-페 시스템 게엠베하 1회분 캡슐과 1회분 캡슐의 이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950B1 (ko) 2013-09-03 2014-05-16 홍성권 커피머신용 필터바스켓 세정장치
KR101558136B1 (ko) 2015-06-02 2015-10-06 홍성권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용 필터바스켓 세정장치
KR102178144B1 (ko) 2019-02-07 2020-11-12 주식회사 비다스테크 포타필터 인식기능이 구비된 커피머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461B1 (ko) * 2008-03-17 2010-12-17 최범수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
KR101696958B1 (ko) * 2009-12-16 2017-01-16 카-페 시스템 게엠베하 1회분 캡슐과 1회분 캡슐의 이용
KR101349074B1 (ko) * 2012-01-09 2014-01-09 권승준 더치커피 추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37U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6798B1 (en) Portafilter system
EP1563774A1 (en) Spoon brewing apparatus
CA2779055C (en) Single cup beverage ingredient filter basket and method of using same
EP1576912A2 (en) Beverage filter cartridge and filter basket assembly
US20120328750A1 (en) Device for removing the spent flavor base from a french press beverage brewing apparatus after use
US11412881B2 (en) Device for making coffee
CA2908568A1 (en) Adapter for use in a coffee machine
EP1513741B1 (en) Filter for extraction device
KR200495718Y1 (ko)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
US20230404316A1 (en) Extraction filter basket
KR102489023B1 (ko) 커피 탬퍼
KR20120003474U (ko) 커피 드리퍼
TWI708582B (zh) 咖啡濾杯
KR200493831Y1 (ko) 드립퍼 장착이 가능한 핸드밀
CN210276884U (zh) 滤杯结构
KR200494168Y1 (ko) 커피 핸드 기능성 드립퍼
KR101228579B1 (ko) 커피머신의 거품발생장치
CN112120531B (zh) 咖啡滤杯
JP3131257U (ja) コーヒードリッパー
JP2005199007A (ja) コーヒー液抽出方法とそのコーヒー液抽出器
JP2015144714A (ja) ホルダー式ドリップコーヒーマシン並びにこれに適用されるドリップコーヒー用ホルダー
CN219613614U (zh) 多用型组合式滤杯
CN215077296U (zh) 便于清理的茶水可分离式水壶
JP2008194254A (ja) コーヒードリッパー
KR20200048307A (ko) 커피 미분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