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307A - 커피 미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미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307A
KR20200048307A KR1020180130265A KR20180130265A KR20200048307A KR 20200048307 A KR20200048307 A KR 20200048307A KR 1020180130265 A KR1020180130265 A KR 1020180130265A KR 20180130265 A KR20180130265 A KR 20180130265A KR 20200048307 A KR20200048307 A KR 20200048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nozzle
disposed
coffee
filter
nozz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운식
Original Assignee
오피커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피커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피커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8307A/ko
Publication of KR20200048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팀노즐 고정부;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용기부;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는 커피 머신의 스팀노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용기부는 상기 필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는 상기 스팀노즐과 연통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제1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수평단면적은 하향할수록 크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벽은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와 결합하며, 상기 필터의 상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측벽을 포함하는 커피 미분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미분 제거장치{Apparatus for cleaning fines of coffee}
본 발명은 커피 미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콜드브루 방식으로 추출한 커피는 필터를 이용해서 긴 시간에 걸쳐서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커피는 불순물이 적어서 맛이 깔끔하고 깊은 풍미가 있다.
커피머신(Espresso Machine)으로 추출하는 방식은 고온/고압의 물로 빠르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추출된 커피에 텁텁한 맛이 강하다. 콜드브루 방식에 비해 커피 미분과 같은 불순물이 많기 때문이다.
커피머신은 카페에서 많은 손님에게 신속하게 커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고온/고압의 물로 몇 십 초의 짧은 시간 안에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이다. 상대적으로 성긴 포터필터(portafilter)를 통해서 커피를 추출한다. 추출에 사용되는 원두도 다른 방식의 커피 추출 방식에 비해서 상당히 미세하게 갈아서 사용한다.
커피머신을 사용해서 추출한 커피에는 미세한 커피 미분(fines)이 많이 포함된다. 미세하게 갈아낸 원두가루를 사용함에도 상대적으로 성긴 포터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커피머신을 사용해서 추출한 커피는 미분(fines)으로 인해서 콜드브루나 드립커피와 같이 상대적으로 미세한 필터를 사용해 긴 시간에 걸쳐서 추출한 커피에 비해서 텁텁한 맛이 강한 문제점이 있다.
커피머신으로 추출한 커피를 다시 콜드브루나 드립커피에 사용되는 미세필터를 이용해서 재 필터링할 수도 있겠으나, 이는 추가 작업과 긴 시간을 요하고 추출된 커피가 식기 때문에 커피 맛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는 관계로, 카페와 같이 커피머신을 이용해서 커피를 빠르게 추출하여 손님에게 신속하게 서비스해야하는 환경에서는 가능하지 않은 방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5443호(2014.10.21.공개)
본 발명은 커피 미분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커피 미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팀노즐 고정부와,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용기부와,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는 커피 머신의 스팀노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용기부는 상기 필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는 상기 스팀노즐과 연통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제1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수평단면적은 하향할수록 크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벽은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와 결합하며, 상기 필터의 상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측벽을 포함하는 커피 미분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노즐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측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결합하여 상기 스팀노즐의 외면에 접촉하는 제1 파트와, 상기 힌지축에 결합하여 상기 스팀노즐의 외면에 접촉하는 제2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의 간격을 조이거나 푸는 록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체결부는 제1 패킹과 제2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킹은 상기 스팀노즐의 외면에 접촉하는 상기 제1 파트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패킹은 상기 스팀노즐의 외면에 접촉하는 상기 제2 파트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바디와 일체이며,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힌지축에 상기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파트는 제3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패킹은 상기 제1 파트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바디와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원추형 보스와 상기 제1 바디의 내면과 상기 보스를 연결하는 복수의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는 꼭지가 상기 스팀노즐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커피 추출물의 미분을 제거하여 커피의 맛을 높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미분을 필터링하는 작업 후에도 커피의 온도가 유지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미분을 필터링하는 시간이 빠른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카페에 이미 있는 커피머신의 기존 스팀기능을 활용하므로, 고온/고압의 스팀발생을 위한 복잡한 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간단하고 손쉽게 장치를 구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커피머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커피 미분 제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스팀노즐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한 스팀노즐 고정부의 측단면도,
도 6은 제2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 에서 도시한 필터부의 측단면도,
도 8은 스팀노즐 고정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한 스팀노즐 고정부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2에서 도시한 커피 미분 제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실시예에 따른 커피 미분 제거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커피머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커피머신(1)은 바디(10)와 헤드(20)와 스팀노즐(30)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20)는 추출을 위해 물이 공급되는 곳으로, 포터필터가 장착되는 곳이다. 스팀노즐(30)은 스팀이 분사되는 곳이다. 스팀노즐(30)은 우유 거품 등을 만들기 위한 스팀을 분사하는 곳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커피 미분 제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커피 미분 제거장치는 커피머신(1)의 스팀노즐(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팀노즐(30)에서 분사되는 스팀을 이용하여 커피 추출물에 포함된 미분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실시예에 따른 커피 미분 제거장치는, 스팀노즐 고정부(100)와, 필터부(200)와, 용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노즐 고정부(100)는 필터부(2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용기는(300)는 필터부(200)의 하측에 배치된다. 스팀노즐 고정부(100)는 필터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노즐 고정부(100)는 필터부(200)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용기부(300)는 필터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부(300)는 필터부(200)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도 3은 스팀노즐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1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한 스팀노즐 고정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팀노즐 고정부(100)는, 제1 바디(110)와, 제1 체결부(120)와 제2 체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120)는 제1 바디(1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체결부(130)는 제1 바디(11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내부공간은 스팀노즐(30)과 연통된다. 제1 바디(110)는 내부공간의 수평단면(A)의 면적은 하향할수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내면은 곡면일 수 있다. 이는 스팀노즐(30)에서 전달된 스팀을 확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필터부(200)에 수용된 커피 추출물의 국소부위에만 스팀이 집중되는 경우, 미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는다. 제1 바디(110)는 내부공간이 반구 형상이기 때문에, 스팀노즐(30)에서 전달된 스팀을 분산하여 필터부(200)에 수용된 커피 추출물 전체에 공급하는 이점이 있다.
제1 체결부(120)는 제1 바디(1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20)는 스팀노즐(3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체결부(120)는 힌지축(121)과 제1 파트(122)와 제2 파트(123)와 록킹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축(121)은 제1 바디(110)에 배치된다. 제1 파트(122)는 힌지축(121)에 결합한다. 제2 파트(123)는 힌지축(121) 및 제1 바디(110)와 일체일 수 있다. 제1 파트(122)는 힌지축(1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파트(122)는 제1 바디(110)와 별물일 수 있다. 록킹부(125)는 제2 파트(12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수 있다.
제1 파트(122)는 내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22)의 내주면은 스팀노즐(30)의 외면과 접촉한다. 제2 파트(123)는 내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123)의 내주면은 스팀노즐(30)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
록킹부(125)에는 돌기(125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트(122)에는 홀(122a)이 배치될 수 있다. 아때 홀(122a)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록킹부(125)가 회동하여 돌기(125a)가 홀(122a)에 삽입되면, 록킹부(125)는 제1 파트(122)와 제2 파트(123)를 조인다. 사용자는 록킹부(125)를 풀어 제1 파트(122)와 제2 파트(123)를 분리한 상태에서, 스팀노즐(30)에 제1 체결부(120)를 끼우고, 록킹부(125)를 통해 제1 파트(122)와 제2 파트(123)를 조이면, 스팀노즐 고정부(100)는 스팀노즐(30)에 고정된다.
제1 파트(122)의 내주면에는 제1 패킹(126)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트(123)의 내주면에는 제2 패킹(127)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킹(126)과 제2 패킹(127)은 스팀노즐 고정부(100)와 스팀노즐(30)의 결합력을 높이고, 스팀노즐 고정부(100)에 공급되는 스팀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파트(122)의 하면에는 제3 패킹(128)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패킹(128)은 제2 파트(123)와 제1 바디(110) 사이의 간극을 메워, 스팀노즐 고정부(100)에 공급되는 스팀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제2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제2 체결부(130)는 제1 바디(110)의 하단에 배치된다. 제2 체결부(130)는 제1 바디(110)의 내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됨 홈일 수 있다. 홈은 복수 개일 수 있다. 홈은 “ㄱ”자 형태로 꺽인 형태일 수 있다.
도 7은 도 2 에서 도시한 필터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필터부(200)는 커피머신(1)에서 추출된 커피 추출물을 수용하고, 미분을 물리적으로 걸러낸다. 필터부(200)는 제2 바디(210)와 필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필터(220)를 기준으로, 제1 측벽(211)과 제2 측벽(2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측벽(211)은 커피머신(1)에서 추출된 커피 추출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한다. 또한, 제1 측벽(211)에는 스팀노즐 고정부(100)의 제2 체결부(130)와 결합하는 체결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벽(211)은 돌기(2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13)는 제1 측벽(211)의 외주면에서 돌출된다. 돌기(213)는 제2 체결부(130)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돌기(213)가 홈에 삽입되고, 필터부(200)를 회전시면, 스팀노즐 고정부(100)와 필터부(200)는 회전 체결된다. 제2 측벽(212)의 하단에도 돌기(214)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돌기(214)는 용기부(300)와 회전 체결을 위한 것이다. 용기부(300)의 내면에 돌기(214)와 회전 체결을 위한 체결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220)는 제2 바디(210)의 내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220)는 복수의 관통홀(H)을 포함한다. 관통홀(H)의 직경은 미분의 크기보다 작게 설계된다. 커피머신(1)에서 추출된 커피 추출물에서 미분을 제외한 일부가 관통홀(H)을 통과하여 용기부(300)에 저장된다. 제2 바디(210)에 수용된 커피 추출물의 잔여물은 스팀에 의해 미분을 제외한 나머지가 용기부(300)에 저장된다.
도 8은 스팀노즐 고정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한 스팀노즐 고정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변형례에 따른 스팀노즐 고정부(100)로서, 스팀노즐 고정부(100)는 스포크 형태의 가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30)는 스팀노즐(30)에서 유입되는 스팀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130)는 원추형 보스(131)와 레그(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131)는 보스(131)의 꼭지점이 스팀노즐(30)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레그(132)는 제1 바디(110)의 내면과 보스(131)를 연결한다. 레그(132)는 복수 개 일 수 있다. 레그(132)와 레그(132) 사이에는 스팀이 지나가는 공간이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130)를 지나가는 스팀은 원추형 보스(131)의 외면을 따라서 스트림 라인을 형성하여 분산되다.
도 10은 도 2에서 도시한 커피 미분 제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팀노즐(30)에서 분산된 스팀은 스팀노즐(30) 공급부에 공급된다. 스팀은 스팀노즐(30) 공급부에서 확산되어 필터부(200)에 공급된다. 필터부(200)에 수용된 커피 추출물은 스팀에 의해 필터(220)를 거쳐 용기부(300)에 저장된다. 이때, 커피 추출물의 미분은 필터(220)에 의해 걸러진다. 스팀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미분을 필터링 한 이후에도 용기부(300)의 커피는 온도가 유지된다. 커피 추출물의 필터링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필터부(200)에서 용기부(300)를 분리한다. 분리된 용기부(300)는 고객에게 직접 제공하거나 별도의 용기에 담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스팀노즐 고정부(100)에서 필터부(200)를 분리할 수 있다. 우유 거품을 제조하기 위해, 스팀노즐(30)을 사용하는 경우, 스팀노즐(30)에서 스팀노즐 고정부(1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미분 제거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개념이 커피머신 기능에 흡수 포함된 형태로 커피머신이 제작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팀노즐 고정부
110: 제1 바디
120: 제1 체결부
121: 힌지축
122: 제1 파트
123: 제2 파트
125: 록킹부
126: 제1 패킹
127: 제2 패킹
130: 제2 체결부
200: 필터부
210: 제2 바디
220: 필터
300: 용기부

Claims (6)

  1.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팀노즐 고정부;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용기부;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는 커피 머신의 스팀노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용기부는 상기 필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는 상기 스팀노즐과 연통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제1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수평단면적은 하향할수록 크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벽은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와 결합하며, 상기 필터의 상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측벽을 포함하는 커피 미분 제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노즐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측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결합하여 상기 스팀노즐의 외면에 접촉하는 제1 파트와, 상기 힌지축에 결합하여 상기 스팀노즐의 외면에 접촉하는 제2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의 간격을 조이거나 푸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커피 미분 제거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제1 패킹과 제2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킹은 상기 스팀노즐의 외면에 접촉하는 상기 제1 파트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패킹은 상기 스팀노즐의 외면에 접촉하는 상기 제2 파트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커피 미분 제거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바디와 일체이며,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힌지축에 상기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피 미분 제거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제3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패킹은 상기 제1 파트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바디와 접촉하는 커피 미분 제거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노즐 고정부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원추형 보스와 상기 제1 바디의 내면과 상기 보스를 연결하는 복수의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는 꼭지가 상기 스팀노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커피 미분 제거장치.
KR1020180130265A 2018-10-29 2018-10-29 커피 미분 제거장치 KR20200048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265A KR20200048307A (ko) 2018-10-29 2018-10-29 커피 미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265A KR20200048307A (ko) 2018-10-29 2018-10-29 커피 미분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307A true KR20200048307A (ko) 2020-05-08

Family

ID=7067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265A KR20200048307A (ko) 2018-10-29 2018-10-29 커피 미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830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443U (ko) 2014-07-23 2014-10-21 권태봉 분말형 마스크팩 재료를 포함하는 마스크용 컵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443U (ko) 2014-07-23 2014-10-21 권태봉 분말형 마스크팩 재료를 포함하는 마스크용 컵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72819A1 (en) Spoon brewing apparatus
US10617254B2 (en) Hand drip coffee tumbler
RU2523252C2 (ru) Улучшенный портафильтр для кофе-машин экспрессо
KR101395950B1 (ko) 커피머신용 필터바스켓 세정장치
KR101329527B1 (ko) 저압 하에서 거품, 포말 또는 크레마를 준비하기 위한 추출장치
CN100502743C (zh) 低压条件下制造泡沫、浮沫或克丽玛的冲泡设备
US10517421B2 (en) Coffee and tea brewing system and method
CN101242761A (zh) 饮料泡制装置
BRPI0612152A2 (pt) sistema de porta-filtro, e, máquina de café expressso
KR100920237B1 (ko) 커피 추출 장치
CA2616716C (en) Beverage brewing devices having moveable reservoirs
EP1901637A1 (fr) Machine a caf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confection de mousse
KR20200048307A (ko) 커피 미분 제거장치
US20050005774A1 (en) Holder for coffee pod
US6817279B2 (en) Method of making coffee and coffee maker
KR101228579B1 (ko) 커피머신의 거품발생장치
KR200495718Y1 (ko)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필터바스켓
KR100624218B1 (ko)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HK1046832A1 (en) Filter with a fastening device for a coffee-makingapparatus
CN209951061U (zh) 一种便携式咖啡机的冲泡组件
CN215604995U (zh) 一种手持式咖啡机
CN206525943U (zh) 一种便携式咖啡机的咖啡冲泡组件
CA2842617C (en) Reusable coffee filter
WO2019144193A1 (en) Multi-use flask
TWM595471U (zh) 便攜式咖啡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