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976B1 -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976B1
KR101271976B1 KR1020117010952A KR20117010952A KR101271976B1 KR 101271976 B1 KR101271976 B1 KR 101271976B1 KR 1020117010952 A KR1020117010952 A KR 1020117010952A KR 20117010952 A KR20117010952 A KR 20117010952A KR 101271976 B1 KR101271976 B1 KR 101271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dditive
air
reg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4939A (ko
Inventor
도시아키 히라이
마코토 고다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8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4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itcher or jug

Abstract

정수 카트리지(6)는, 도입된 물을 정화하는 정화실(S2)과, 도입된 물에 첨가하는 첨가제(16)를 수용하는 첨가제 수용실(S1)을 내부에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첨가제 수용실(S1)에 물을 도입하기 위한 제1 도수구(7a)를 구비한 케이스(7)를 구비한다. 첨가제 수용실(S1)은, 물이 도입되었을 때, 실내의 상부에 공기가 모이는 공기 저류 영역(Aa)과, 공기 저류 영역의 아래쪽에 도입된 물이 고이는 침수 영역(Aw)을 형성한다. 첨가제(16)는, 침수 영역(Aw)에서, 도입된 물에 침수된다. 첨가제(16)는, 첨가제 수용실(S1) 내에, 침수 영역(Aw)이 되는 부분으로부터 공기 저류 영역(Aa)이 되는 부분까지 수용한다. 그리고, 침수 높이 설정 기구가, 공기 저류 영역(Aa)에 모인 공기의 압력을 설정함으로써, 침수 영역(Aw)의 침수 높이를 설정한다. 이 침수 높이 설정 기구로서, 에어 배출 통로의 유체 조리개가 되는 관통 구멍(28b)이 형성된 캡(28)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WATER-PURIFYING CARTRIDGE AND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 카트리지 및 그 정수 카트리지를 이용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수기로서, 미네랄 함유량이 다른 활수제를 수용하는 통수로(通水路)를 복수개 설치함과 더불어, 이들 통수로에 각각 통수 제어 밸브를 설치하고, 각 통수 제어 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물의 미네랄 농도를 가변 설정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 10-15564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정수기에서는, 복수의 통수 제어 밸브를 조정하여 물의 미네랄 농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통수 제어 밸브를 조정하는 설정 작업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물에 미네랄을 첨가하는 첨가제 농도를 보다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수 카트리지, 및 그 정수 카트리지를 이용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기술적 특징에 관련된 정수 카트리지는, 도입된 물을 정화하는 정화실과, 도입된 물에 첨가하는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 수용실을 내부에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첨가제 수용실에 물을 도입하기 위한 제1 도수구(導水口)를 구비한 케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첨가제 수용실은, 실내에 물이 도입되었을 때, 실내의 상부에 공기가 모이는 공기 저류 영역과, 상기 공기 저류 영역의 아래쪽에 도입된 물이 고이는 침수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침수 영역에서, 도입된 물에 침수된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첨가제 수용실 내에, 상기 침수 영역이 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기 저류 영역이 되는 부분까지 수용된다. 침수 높이 설정 기구가, 상기 공기 저류 영역에 모인 공기의 압력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침수 영역의 높이를 설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침수 높이 설정 기구에 의해 공기 저류 영역에 모인 공기의 압력을 설정함으로써, 첨가제 수용실 내에 수용한 첨가제가 침수하는 침수 높이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첨가제 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의 기술적 특징에 관련된 정수 카트리지에서는, 복수개 설치한 제어 밸브의 개폐를 조정하여 첨가제 농도를 설정하는 종래의 정수 카트리지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첨가제 농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의 기술적 특징에 관련된 정수 카트리지는, 상기 침수 높이 설정 기구로서, 상기 공기 저류 영역에 모인 공기를 내보내는 에어 배출 통로에 설치된 유체 조리개를 가져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침수 높이 설정 기구를 보다 간소한 구성으로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기술적 특징에 관련된 정수 카트리지는, 상기 침수 높이 설정 기구로서, 상기 공기 저류 영역으로부터 공기를 내보내는 에어 배출 통로에 밸브를 구비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밸브를 설치하여 통류 저항을 높이기 쉬워지는만큼, 공기 저류 영역에 모인 공기의 압력을 높여서 침수 영역의 높이를 낮게 하기 쉬워지고, 따라서, 첨가제 농도를 보다 낮게 설정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1의 기술적 특징에 관련된 정수 카트리지는, 상기 침수 높이 설정 기구로서, 상기 공기 저류 영역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펌프를 구비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공기 펌프를 설치한만큼, 공기 저류 영역에 모인 공기의 압력을 한층 더 높여서 침수 영역의 높이를 보다 낮게 하기 쉬워지고, 따라서 첨가제 농도를 한층 더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펌프를 제어함으로써, 침수 영역의 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가변 설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의 기술적 특징에 관련된 정수 카트리지는, 상기 케이스가 상기 첨가제 수용실을 우회하여 상기 정화실에 물을 도입하는 제2 도수구를 구비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도수구로부터 도입되어 첨가제 수용실 내를 흐르는 물과, 제2 도수구로부터 도입되어 첨가제 수용실을 바이패스하는 물을 분류(分流)함으로써, 첨가제 수용실 내의 물의 유량을 조정하기 쉬워져, 첨가제 농도의 조정 정밀도를 높이기 쉬워진다.
또한, 이 때, 상기 제1 도수구가, 상기 제2 도수구보다 위쪽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두차나 물의 동압 등에 의해 도수구에서의 물의 유량, 즉 첨가제 수용실 내에서의 물의 유량이 필요 이상으로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기술적 특징에 관련된 정수기는, 물을 도입하여 정화한 정수를 얻기 위한 정수기로서, 본 발명의 제1의 기술적 특징에 관련된 정수 카트리지와, 상기 정수 카트리지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정수 카트리지를 장비한 정수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기술적 특징에 관련된 정수기는, 물을 도입하여 정화한 정수를 얻기 위한 정수기로서, 정수 카트리지와, 상기 정수 카트리지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정수 카트리지는, 내부에, 도입된 물을 정화하는 정화실과, 상기 도입된 물에 첨가하는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 수용실을 내부에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첨가제 수용실에 물을 도입하기 위한 제1 도수구를 구비한 케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첨가제 수용실은, 실내에 물이 도입되었을 때, 실내의 상부에 공기가 모이는 공기 저류 영역과, 상기 공기 저류 영역의 아래쪽에 도입된 물이 고이는 침수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침수 영역에서, 도입된 물에 침수된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첨가제 수용실 내에, 상기 침수 영역이 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기 저류 영역이 되는 부분까지 수용된다. 상기 공기 저류 영역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펌프를 구비한 침수 높이 설정 기구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다. 상기 침수 높이 설정 기구는, 상기 공기 저류 영역에 모인 공기의 압력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침수 영역의 높이를 설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공기 펌프를 설치한만큼, 공기 저류 영역에 모인 공기의 압력을 한층 더 높여서 침지 높이를 보다 낮게 하기 쉬워지고, 따라서 첨가제 농도를 한층 더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공기펌프를 제어함으로써, 침수 영역의 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가변 설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정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정수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정수 카트리지의 단면도로서, (a)는 공기에 대한 통류 저항이 비교적 큰 유체 조리개 요소로서의 캡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통류 저항이 비교적 작은 캡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된 정수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련된 정수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복수의 실시예에는, 동일한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들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공통 부호를 부여함과 더불어,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낸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실시예 1에 관련된 정수기(1)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정수기(1)는, 포트형 정수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포트 케이스(2)의 통 내에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격벽체(3)가 수용된다. 그리고, 포트 케이스(2)의 통 내가, 격벽체(3)에 의해, 상측의 대략 반을 이루는 원수(原水)실(4)과 하측의 대략 반을 이루는 정수실(5)로 구획된다.
격벽체(3)의 바닥벽(3a)에는, 아래쪽을 향해서 오목하게 설치된 원통형상의 오목부(3b)가 형성된다. 오목부(3b)에는, 원통형상의 정수 카트리지(6)가, 위쪽으로부터 안쪽까지 꽂아져 끼움 장착된다. 오목부(3b)의 안쪽벽(3c)에는, 개구(3d)가 형성된다.
정수 카트리지(6)가 오목부(3b)에 끼움 장착된 상태에서는, 정수 카트리지(6)의 상부(6a)가 원수실(4) 내에 노출된다. 그리고, 정수 카트리지(6)의 상부(6a)에서, 케이스(7)에 형성된 제1 도수구(7a)와 제2 도수구(7b)가 원수실(4)을 향한다. 제2 도수구(7b)는, 바닥벽(3a)의 근방에 설치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정수 카트리지(6)의 하단부(6b)가, 개구(3d)로부터 정수실(5) 내로 노출된다. 그리고, 정수 카트리지(6)의 하단부(6b)에서, 케이스(7)에 형성된 배수구(7c)가 정수실(5)을 향한다. 원수실(4) 내에 도입된 원수는, 제1 도수구(7a)와 제2 도수구(7b)로부터 정수 카트리지(6) 내에 도입되고, 적어도 정화된 후에, 배수구(7c)로부터 정수실(5) 내에 정수로서 배출된다.
원수실(4)의 위쪽에는, 급수구(8a)가 형성된 천장벽(8)이 배치된다. 급수구(8a)는, 천장벽(8)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위쪽 열림식의 뚜껑(9)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막혀 있다. 원수는, 뚜껑(9)을 위쪽으로 연 상태에서 급수구(8a)를 통하여 원수실(4) 내로 공급된다.
또한, 격벽체(3)의 측벽(3e)과 포트 케이스(2)의 사이에는, 정수실(5)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신장하는 통로(10)가 형성된다. 포트 케이스(2) 또는 천장벽(8)에는, 통로(10)의 상단부가 되는 위치에, 주수구(注水口)(10a)가 형성된다. 실시예 1에서는, 포트 케이스(2)를 주수구(10a)가 아래쪽이 되도록 기울여 넘어트림으로써(도 1에서는 포트 케이스(2)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기울여 넘어트림으로써), 정수실(5) 내에 저류된 정수를, 통로(10)를 거쳐 주수구(10a)로부터 배출시킨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주수구(10a)는, 포트 케이스(2) 혹은 천장벽(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위쪽 열림식 뚜껑(11)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막혀 있다. 이 경우, 포트 케이스(2)를 경사지게 했을 때에, 뚜껑(11)을 자신의 무게나 물의 동압 등에 의해 회전시켜, 주수구(10a)를 개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정수 카트리지(6)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수 카트리지(6)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원통형상의 중심축(Ax)(도 1, 도 2 참조)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사용된다. 케이스(7)는, 사용 상태에서 상부를 이루는 어퍼(upper) 케이스(12)와, 하부를 이루는 로어(lower) 케이스(13)를 가지고, 어퍼 케이스(12)의 하측 가장자리와 로어 케이스(13)의 상측 가장자리를 상호 결합하여 원통형상의 외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정수 카트리지(6)의 원통형상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 축방향, 둘레 방향 및 직경 방향을 규정한다.
케이스(7) 내는, 격벽(14)과, 이 격벽(14)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아래쪽에 배치되는 시트(15)에 의해, 상하 방향(축방향)으로 크게 3군데의 공간으로 나뉘어 있다. 이 중 최상부가 첨가제(16)를 수용하는 첨가제 수용실(S1), 최하부가 물을 정화하는 정화실(S2), 중간부가 중간실(S3)로 되어 있다.
첨가제 수용실(S1)은, 어퍼 케이스(12)와 격벽(14)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어퍼 케이스(12)는, 케이스(7)의 둘레벽 상부를 이루는 둘레벽(12a)과, 케이스(7)의 천장벽을 이루는 천장벽(12b)과, 천장벽(12b)의 중앙부로부터 정수 카트리지(6)의 중심축(Ax)을 대략 따라서 아래쪽으로 신장하는 내통(12c)을 가진다. 그리고, 이 어퍼 케이스(12)에, 그 통 내의 하부를 막도록 격벽(14)이 부착된다. 즉, 실시예 1에서는, 어퍼 케이스(12)의 통 내에, 둘레벽(12a), 천장벽(12b), 내통(12c) 및 격벽(14)으로 둘러싸인 단면 원환상의 공간으로서, 첨가제 수용실(S1)이 형성된다. 이 첨가제 수용실(S1)에는, 예를 들면 직경 몇 밀리 정도의 입자상 칼슘 등의 첨가제(16)가 수용된다.
둘레벽(12a)에는, 측면에서 봐서 대략 직사각형의 제1 도수구(7a)가 형성된다. 이 제1 도수구(7a)에는 인서트 형성 등을 함으로써 투수성의 메시(17)가 붙여져 있어, 첨가제(16)가 제1 도수구(7a)로부터 넘쳐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내통(12c)에는, 그 하단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신장하는 슬릿형상의 절결(12d)이 형성된다. 절결(12d)의 폭은, 첨가제(16)의 입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첨가제(16)가 절결(12d)로부터 넘쳐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절결(12d)의 상측 가장자리(12e)의 축방향의 위치와, 제1 도수구(7a)의 상측 가장자리(12f)의 축방향의 위치를 거의 동일하게 하고 있다.
또한, 격벽(14)의 바닥벽부(14a)의 중앙부에는, 위쪽을 향하여 원추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4b)가 형성된다. 돌출부(14b)의 중앙부에는, 위쪽을 향하여 돌출하여 내통(12c)이 삽입되는 통부(14c)가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벽부(14a)에는, 첨가제 수용실(S1)로부터의 배수구로서 정수 카트리지(6)의 중심축(Ax)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신장되는 복수의 슬릿(14d)이 형성된다. 슬릿(14d)의 폭도, 첨가제(16)의 입경보다 작게 설정되고, 이에 따라 첨가제(16)가 슬릿(14d)으로부터 넘쳐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첨가제 수용실(S1)에서는, 원수실(4)로부터 제1 도수구(7a) 또는 제2 도수구(7b)를 통하여 첨가제 수용실(S1) 내로 도입된 원수에 첨가제(16)가 용출한다. 그리고, 첨가제의 첨가된 물이 첨가제 수용실(S1)로부터 격벽(14)의 슬릿(14d)을 통하여 중간실(S3)로 유출된다.
여기서, 실시예 1에서는, 첨가제 수용실(S1)의 상부에, 공기를 가두는 공기 저류 영역(Aa)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공기 저류 영역(Aa) 내, 즉 첨가제 수용실(S1)의 상부에 존재하는 첨가제(16)는 침수되지 않는다. 즉, 둘레벽(12a), 천장벽(12b) 및 내통(12c)으로 구성되는 오목부(18)는, 아래쪽을 향하여 개방될뿐이고, 위쪽을 향해서는 공기가 배출되는 길은 없다. 이 때문에, 제1 도수구(7a)로부터 첨가제 수용실(S1) 내에 물이 침입하고, 원수실(4)에 저류된 물에 정수 카트리지(6)의 상부(6a)가 모두 잠긴 상태(즉 수몰된 상태)가 되어도, 이 오목부(18)에 공기가 모인다. 따라서, 공기 저류 영역(Aa) 내에 있는 첨가제(16)의 피수(被水)를 막을 수 있다. 즉, 침수 영역(Aw)의 상한(L)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첨가제(16)가 물에 잠기고, 상한(L)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첨가제(16)는 물에 잠기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첨가제(16)가 물에 잠겨서 용출되면, 위쪽에 위치하는 첨가제(16)가 중력으로 아래쪽으로 강하하고, 침수 영역(Aw)에 자동적으로 보급된다. 따라서, 첨가제 수용실(S1)에 수용한 첨가제(16)를 하측에 배치된 것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정수 카트리지 내에 수용한 첨가제가 전체적으로 침수하거나 피수하는 구성에 비하여, 첨가제(16)의 사용 가능 기간을 보다 길게 취하기 쉬워지는데다, 정수 카트리지(6)의 사용 초기와 사용 후기에서 첨가제의 농도차를 보다 작게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한, 실시예 1에 의하면, 침수 영역(Aw)의 높이에 따라 첨가제(16)의 침수 높이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첨가제 농도의 최대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첨가제(16)가 필요 이상으로 물에 녹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중간실(S3)의 둘레벽을 이루는 어퍼 케이스(12)의 둘레벽(12a)의 하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대략 일정 간격을 두고 제2 도수구(7b)가 복수 형성된다. 따라서, 중간실(S3)에는, 원수실(4)로부터 제2 도수구(7b)를 통하여 원수가 도입됨과 더불어, 첨가제 수용실(S1)로부터 슬릿(14d)을 통하여 첨가제의 첨가된 물이 도입된다. 그리고, 이들 물이 중간실(S3)의 아래쪽에 배치된 정화실(S2)(의 흡착 처리실(S21))에 도입된다. 즉, 실시예 1에서는, 제2 도수구(7b)로부터 중간실(S3)로 도입된 원수는, 첨가제 수용실(S1)을 우회한다. 이와 같이, 첨가제 수용실(S1) 내를 흐르는 물과, 첨가제 수용실(S1)을 바이패스하는 물을 분류함으로써, 첨가제 수용실(S1) 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과, 첨가제 수용실(S1)을 바이패스하는 물의 유량을 독립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첨가제 농도의 조정 정밀도를 높이기 쉬워진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제2 도수구(7b)는, 제1 도수구(7a)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1 도수구(7a)와 제2 도수구(7b)의 높이의 차에 의한 수두차와, 원수실(4)에 급수된 당초에 격벽체(3)의 바닥벽(3a)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제2 도수구(7b)에 도달하는 물의 동압에 의해, 물은 제1 도수구(7a)에 비해서 제2 도수구(7b)로, 보다 들어가기 쉬워진다. 따라서, 특히 원수실(4)에 급수된 당초에 있어서는, 제1 도수구(7a)에서의 물의 유량을 비교적 적게 할 수 있어, 첨가제 수용실(S1) 내의 물의 유량을 적게 조정하기 쉬워진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첨가제 수용실(S1)을 제2 도수구(7b)보다 위쪽에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원수실(4)의 수위가 첨가제 수용실(S1)의 하단보다 낮아진 후는, 제2 도수구(7b)로부터만 정수 카트리지(6) 내에 물이 유입하게 된다. 따라서, 첨가제 수용실(S1) 내를 통과하지 않고 첨가제(16)가 포함되지 않는 물에 의해 중간실(S3)보다 하류측(중간실(S3)이나 정화실(S2) 내 등)에서 첨가제(16)의 배출을 촉진하여 첨가제(16)가 잔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사용 시에, 잔류한 첨가제(16)에 의해 첨가제 농도가 설정값보다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여, 원하는 첨가제 농도를 얻기 쉬워진다.
중간실(S3)의 하부에 배치되는 정화실(S2)은, 정수 카트리지(6)의 중심축(Ax)을 따르는 위치에 배치된 원통형상의 통체(19)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칸막이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는, 통체(19)의 외주측을 흡착제(예를 들면 입자상 혹은 분말상의 활성탄 등)(20)가 수용된 흡착 처리실(S21)로 하고, 통체(19)의 통 내를 여과재(예를 들면 역U자형상으로 만곡된 중공사(中空絲) 막 등)(21)가 수용된 여과 처리실(S22)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중간실(S3)로부터 도입된 물은, 흡착 처리실(S21)과 여과 처리실(S22)을 이 순서대로 경유하여, 하단부(6b)의 배수구(7c)로 배출된다. 통체(19)는, 케이스(7)의 바닥벽을 이루는 로어 케이스(13)의 바닥벽(13a)의 중앙부에 형성된 아래쪽으로 오목한 오목부(13b)에 끼워넣어진다. 이에 따라, 통체(19)는 정수 카트리지(6)의 중심축(Ax)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흡착 처리실(S21)은, 케이스(7)의 둘레벽 하부를 이루는 로어 케이스(13)의 둘레벽(13c), 통체(19), 바닥벽(13a) 및 시트(15)로 둘러싸이고, 원환상의 단면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시트(15)는, 예를 들면 부직포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시트(15)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통체(19)를 둘러싸고 있고, 그 외측 가장자리부(15a)를 어퍼 케이스(12)와 로어 케이스(13)의 사이에 끼워넣도록 하여 케이스(7)에 고정된다. 한편, 내측 가장자리부(15b)는 자유단으로서, 물이 중간실(S3)로부터 이 내측 가장자리부(15b)와 통체(19)의 사이의 간극을 거쳐 흡착 처리실(S21) 내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트(15)를 투수성 소재에 의해 구성하여, 물을 투과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통체(19)의 상단에, 캡(22)을 장착하고, 이 캡(22)으로부터 직경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22a)에 의해,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부(15b)가 플랜지부(22a)보다 위쪽으로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정수 카트리지(6)를 정수기(1)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기울이거나 상하 역전시킨 경우에도, 시트(15)가 플랜지부(22a)에 걸려 간극이 막힌다. 이 때문에, 흡착제(20)가 흡착 처리실(S21)로부터 중간실(S3)측으로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통체(19)의 하부에는, 연통구(19a)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통구(19a)에 의해, 흡착 처리실(S21)과 여과 처리실(S22)이 연통된다. 흡착 처리실(S21) 내에서 흡착제(20)에 불순물을 흡착시켜서 제거한 물은, 연통구(19a)를 통하여 여과 처리실(S22) 내로 도입된다.
여과 처리실(S22)에는, 여과재(21)로서의 가는 스트로우형상의 중공사 막이, 다수 묶여서 역U자형상으로 만곡시킨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여과 처리실(S22) 내로부터 중공사 막의 막벽을 통과하여 막 내에 투과된 물은, 막 내를 통해서 여과 처리실(S22)의 하단부로 유출되고, 배수구(7c)로부터 정수실(5)로 유출된다. 물이 중공사 막의 막벽을 통과할 때에, 물에 포함되는 불순물이 여과된다. 여과재(21)로서의 중공사 막은, 연통구(19a)보다 아래쪽에서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간극이 메워지면서 통체(19)에 고정되어 있고, 이 접착제에 의해, 여과 처리실(S22) 내로부터 중공사 막을 통과하지 않고 직접 유출되는 것이 저지되어 있다.
또한, 정수 카트리지(6) 내의 각 부에 예기치않게 공기가 모이면, 원하는 유량을 얻을 수 없게 되어, 정수가 얻어지기까지 시간이 걸리거나, 원하는 첨가제 농도를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 1에서는, 정수 카트리지(6)의 중심축(Ax)을 대략 따라, 에어 배출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어퍼 케이스(12)의 천장벽(12b)의 중앙부에는, 내통(12c)의 상단측(안쪽측)과 외부를 연통하는 원형의 관통 구멍(12i)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12i)을 막도록 캡(28)이 끼워져 장착된다. 캡(28)은, 원판상의 판부(28a)와, 판부(28a)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28c)를 가지고 있고, 판부(28a)의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28b)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이 관통 구멍(28b)이 에어 배출 구멍으로서 기능한다.
통체(19)의 상단에 끼워 장착된 캡(22)은, 위쪽을 향함에 따라서 가늘어지는 원추부(22b)와, 원추부(22b)의 정상으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신장하는 원통부(22c)를 가지고 있고, 원통부(22c)의 선단을 내통(12c)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여과 처리실(S22) 내의 공기는, 원추부(22b), 원통부(22c) 및 내통(12c)의 통 내를 거쳐, 관통 구멍(28b)으로부터 배출된다.
흡착 처리실(S21) 및 중간실(S3) 내의 공기는, 격벽(14)의 돌출부(14b)를 따라 상승하면서 정수 카트리지(6)의 중심축(Ax)측으로 이동하고, 절결(12d)을 거쳐 내통(12c)의 통 내에 들어가, 관통 구멍(28b)으로 배출된다.
첨가제 수용실(S1) 내의 공기는, 오목부(18)(공기 저류 영역(Aa)) 내에 모이는 것을 제외하고, 절결(12d)로부터, 내통(12c)의 통 내를 거쳐, 관통 구멍(28b)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는, 공기 저류 영역(Aa) 내의 공기의 압력을 설정함으로써, 침수 영역(Aw)에서의 첨가제(16)의 침수 높이(D)를 설정하는 침수 높이 설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에어 배출 구멍으로서의 관통 구멍(28b)을 가지는 캡(28)을, 침수 높이 설정 기구로서 이용하고 있다. 즉, 상술한 것처럼, 관통 구멍(28b)은 에어 배출 통로(실시예 1에서는 에어 배출 통로의 종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첨가제 수용실(S1)의 공기도, 이 에어 배출 통로를 통해서 정수 카트리지(6) 밖으로 배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28b)에 있어서의 공기의 통류 저항이 클수록, 그 상류측이 되는 공기 저류 영역(Aa) 내의 공기의 압력이 높아지므로, 공기 저류 영역(Aa)의 하한, 즉 침수 영역(Aw)의 상한(L)의 위치를 아래쪽으로 낮추어, 첨가제(16)의 침수 높이(D)를 낮게 할 수 있다. 침수 높이(D)가 낮을수록, 침수하는 첨가제(16)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첨가제 농도가 낮아진다. 실시 예 1에서는, 관통 구멍(28b)이 유체 조리개에 상당한다. 유체 조리개로서의 관통 구멍(28b)은, 예를 들면 오리피스나 초크 조리개 등으로서 구성된다.
도 3(a)는, 정수 카트리지(6)에, 관통 구멍(28b)이 하나만 형성되어 공기의 통류 저항이 비교적 높은 캡(28)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b)는, 관통 구멍(28b)이 두개 형성되어서 공기의 통류 저항이 비교적 낮은 캡(28A)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캡(28)에는, 관통 구멍(28b)이 한개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a)의 상태에서는, 에어 배출 통로에 있어서의 공기의 통류 저항이 비교적 높은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공기가 비교적 배출되기 어려워져 공기 저류 영역(Aa)의 내압이 비교적 높아지고, 공기 저류 영역(Aa)의 하한, 즉 침수 영역(Aw)의 상한(L)의 위치가 비교적 아래쪽으로 되어, 첨가제(16)의 침수 높이(D)가 비교적 낮아진다. 따라서, 이 경우는, 첨가제 농도가 비교적 낮아진다.
캡(28A)에는, 관통 구멍(28b)이 두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b)의 상태에서는, 에어 배출 통로에 있어서의 공기의 통류 저항이 비교적 낮은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공기가 비교적 배출되기 쉬워져 공기 저류 영역(Aa)의 내압이 비교적 높아지고, 공기 저류 영역(Aa)의 하한, 즉 침수 영역(Aw)의 상한(L)의 위치가 비교적 위쪽으로 되어, 첨가제(16)의 침수 높이(D)가 비교적 높아진다. 따라서, 이 경우는, 첨가제 농도가 비교적 높아진다.
또한, 에어 배출 통로의 통류 저항은, 캡(28)의 관통 구멍(28b)의 구멍 직경에 따라서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구멍 직경을 크게 하여(관통 구멍의 구멍 직경이 큰 캡을 이용하여) 통류 저항을 낮게 하거나, 구멍 직경을 작게 하여(관통 구멍의 구멍 직경이 작은 캡을 이용하여) 통류 저항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침수 영역(Aw)의 상한(L)을, 제1 도수구(7a)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는, 제1 도수구(7a)에 적절한 크기의 간극(소위 메시 사이즈)을 가지는 메시(17)를 붙인 경우에, 메시(17) 내부의 공기의 압력과 메시(17) 외부의 물의 압력이 메시(17)를 사이에 두고 균형이 잡혀, 물이 메시(17)의 간극 내에 머물고, 메시(17)의 외측에 물이 존재하며, 메시(17)의 내측에 공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당해 메시(17)가 공기와 물의 경계가 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상한(L)보다 아래쪽에서는, 메시(17)의 내외 모두 물이 존재하여, 메시(17)의 간극을 통하여 물이 통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첨가제 수용실(S1) 내의 상부에 공기 저류 영역(Aa)을 형성하고, 당해 공기 저류 영역(Aa)보다 아래쪽이 되는 침수 영역(Aw)에서, 도입된 물에 첨가제(16)를 담그도록 했다. 첨가제 수용실(S1) 내에는, 첨가제(16)를, 침수 영역(Aw)이 되는 부분으로부터 공기 저류 영역(Aa)이 되는 부분까지 수용하고, 공기 저류 영역(Aa) 내에 있는 첨가제(16)를 침수 혹은 피수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침수 영역(Aw) 내에 있는 첨가제(16)가 물에 잠겨서 용출되면, 그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첨가제(16)가 중력으로 아래쪽으로 강하하여 침수 영역(Aw)에 자동적으로 보급된다. 따라서, 첨가제 수용실(S1)에 수용한 첨가제(16)를 하측에 배치된 것부터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정수 카트리지 내에 수용한 첨가제가 전체적으로 침수하거나 피수하는 구성에 비하여, 첨가제(16)의 사용 가능 기간을 보다 길게 취하기 쉬워지는데다, 정수 카트리지(6)의 사용 초기와 사용 후기에서 첨가제의 농도의 변동을 보다 작게 억제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는, 공기 저류 영역(Aa)에 모인 공기의 압력을 설정함으로써 침수 영역(Aw)에서의 첨가제(16)의 침수 높이(D)를 설정하는 침수 높이 설정 기구로서, 에어 배출 통로에 설치된 유체 조리개로서의 관통 구멍(28b)을 가지는 캡(28, 28A)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 구멍(28d)의 스펙(크기, 길이 등)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공기 저류 영역(Aa)의 내압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침수 영역(Aw)에서의 첨가제(16)의 침수 높이(D)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 등을 설치하여 유량을 변화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첨가제 농도를 가변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을, 보다 간소한 구성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서 칼슘 등을 이용한 경우에는, 물의 경도를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침수 높이 설정 기구로서의 캡(28, 28A)이, 어퍼 케이스(12)(케이스(7))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28b)에 의한 통류 저항이 상이한 캡(28, 28A)을 비교적 용이하게 교환하여, 공기 저류 영역(Aa)의 내압을 가변 설정하고, 따라서, 첨가제(16)의 농도를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케이스(7)에, 첨가제 수용실(S1)을 우회하여 정화실(S2)에 물을 도입시키는 제2 도수구(7b)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첨가제 수용실(S1)을 통과시키는 물과, 첨가제 수용실(S1)을 바이패스하는 물을 분류함으로써, 첨가제 수용실(S1) 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과, 첨가제 수용실(S1)을 바이패스하는 물의 유량을 독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첨가제 수용실(S1) 내의 물의 유량을 농도 조정에 적합한 값으로 설정하기 쉬워져, 첨가제 농도의 조정 정밀도를 높이기 쉬워진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제1 도수구(7a)를 제2 도수구(7b)보다 위쪽에 배치했다. 이 때문에, 제1 도수구(7a)와 제2 도수구(7b)의 높이의 차에 의한 수두차와, 원수실(4)에 급수된 당초에 격벽체(3)의 바닥벽(3a)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제2 도수구(7b)에 도달하는 물의 동압에 의해, 물은 제1 도수구(7a)에 비해 제2 도수구(7b)로부터, 보다 들어가기 쉬워진다. 따라서, 특히 원수실(4)에 급수된 당초에 있어서는, 제1 도수구(7a)에서의 물의 유량을 비교적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첨가제 수용실(S1) 내에서 물의 유량이 필요 이상으로 증대하여 첨가제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농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진다)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낸다.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 관련된 정수 카트리지(6)에, 캡(28, 28A)을 대신하여 침수 높이 설정 기구로서의 캡(28B)을 장착한 것이다. 이 캡(28B)을 장착한 도 5에 도시하는 정수 카트리지(6)도, 도 1에 도시한 정수기(1)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캡(28B)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의 공기의 통류를 허용하고, 또한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한 공기 혹은 물의 통류를 규제하는 밸브(일방향 밸브, 역지밸브)로서 구성된다. 캡(28B)은 관통 구멍(28b)과 밸브체(29)를 구비한다. 그리고, 밸브체(29)가 관통 구멍(28b)을 개폐가능하게 막는 구성이다. 밸브체(29)는, 판부(28a)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28d)에 끼워 장착되는 봉형상부(29a)와, 봉형상부(29a)의 상단부에서 조금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해서 우산형상으로 퍼지는 평면에서 봐서 대략 원형의 우산부(29b)를 구비한다. 그리고, 우산부(29b)가 복수의 관통 구멍(28b)의 전체를 위쪽으로부터 덮도록 되어 있다. 봉형상부(29a)의 관통 구멍(28d)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빠져 나간 선단부에는, 팽출부(29c)가 형성된다. 팽출부(29c)는 봉형상부(29a)의 탈락 방지로서 기능한다. 밸브체(29)는,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가요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밸브체(29)를 판부(28a)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밸브체(29)의 탄성에 의해 우산부(29b)의 둘레 가장자리부(선단 가장자리)가 판부(28a)에 가압되어 밀착하여, 시일하도록 되어 있다. 즉, 판부(28a)의 상면이 밸브좌로서 기능하고, 판부(28a)에 가압되는 힘이 예비 하중(세트 하중)으로 되어 있다.
즉, 실시예 2에서는, 캡(28B)보다 상류측(즉 아래쪽)의 공기의 압력이 높아져, 밸브체(29)(의 우산부(29b))의 예비 하중에 저항하여 당해 우산부(29b)가 밀어올려졌을 때, 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 2에서는, 이 우산부(29b)의 예비 하중분만큼, 공기 저류 영역(Aa)의 내압이 높아지고, 공기 저류 영역(Aa)의 하한, 즉 침수 영역(Aw)의 상한(L)의 위치가 비교적 아래쪽으로 된다. 이 때문에, 첨가제(16)의 침수 높이(D)가 비교적 낮아진다. 따라서, 이 경우는, 첨가제 농도를 보다 낮게 설정하기 쉬워진다. 또한, 밸브체(29)의 예비 하중을 설정함으로써, 공기 저류 영역(Aa) 내의 내압, 나아가서는 첨가제 농도를, 보다 정밀도 좋게 설정하기 쉬워진다.
또한, 실시예 2에서도, 침수 높이 설정 기구로서의 캡(28B)을, 어퍼 케이스(12(케이스(7))에 탈착가능하게 장착한다. 따라서, 밸브체(29)의 예비 하중이 다른 것을 비교적 용이하게 교환하여, 공기 저류 영역(Aa)의 내압을 가변 설정하고, 따라서, 첨가제(16)의 농도를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련된 정수기의 단면도이다.
실시예 3에서는, 정수기(1C)에, 공기 펌프(30p)를 포함하는 침수 높이 설정 기구로서의 펌프 유닛(30)을 설치하고, 이 펌프 유닛(30)으로부터, 배관(30a)을 통하여 정수 카트리지(6C)의 공기 저류 영역(Aa) 내에 공기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정수기(1C)의 본체부의 일부를 이루는 격벽체(3)의 측벽(3e)에, 내부를 향해서 돌출하여 평면에서 봐서 D자형상이 되는 선반판부(3f)가 형성된다. 그리고, 펌프 유닛(30)은 이 선반판부(3f) 상에 재치되어 고정된다. 배관(30a)의 하단부는, 정수 카트리지(6)의 어퍼 케이스(12C)의 천장벽(12b)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통부(12j)에, 시일이 확보된 상태로 꽂아넣어진다.
펌프 유닛(30)에는, 예를 들면 비교적 소형의 용적형 펌프로서 구성되는 공기 펌프(30p) 외, 공기 펌프(30p)를 구동하는 모터 등의 액츄에이터, 공기압을 조정하는 제어 밸브, 소정 압력 이상이 되면 공기압 회로를 개방하는 릴리프 밸브, 압력 센서, 타이머, 모터나 제어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전지 등의 전원, 조작 손잡이, 스위치 등을 장비할 수 있다(공기 펌프(30p) 이외는 도시하지 않음).
정수 카트리지(6)에는, 에어 배출 구멍으로서, 내통(12c)의 상단부에 관통 구멍(12k)이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펌프 유닛(30)에 의해 공기 저류 영역(Aa)의 내압을 가변 설정함으로써, 첨가제(16)의 농도를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사용에 있어서는, 우선, 사용자가 스위치나 조작 손잡이를 조작하여, 첨가제 농도를 높게 할지 낮게 할지를 설정한다. 펌프 유닛(30)은, 이 설정에 따라, 공급하는 공기의 압력이나 공급량을 제어한다. 첨가제 농도를 높게 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공급하는 공기의 압력이나 공급량을 적게 제어한다. 이로써, 공기 저류 영역(Aa)의 내압을 낮추어 공기 저류 영역(Aa)의 하한, 즉 침수 영역(Aw)의 상한(L)의 위치를 낮추고, 첨가제(16)의 침수 높이(D)를 낮게 한다. 반대로, 첨가제 농도가 낮게 설정된 경우에는, 공급하는 공기의 압력이나 공급량을 많게 제어한다. 이로써, 공기 저류 영역(Aa)의 내압을 높여서 공기 저류 영역(Aa)의 하한, 즉 침수 영역(Aw)의 상한(L)의 위치를 올려, 첨가제(16)의 침수 높이(D)를 높게 한다.
또한, 공기 펌프(30p)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은, 물이 정수 카트리지(6C)를 통과할 때에, 정수 카트리지(6C) 내의 정화실(S2)에 충전되어 있는 흡착제(20)와의 충분한 접촉 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정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유량을 유지할 수 있는 압력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를 공급하는데 있어서는, 압력 센서에 의한 압력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공기 펌프(30p)나 제어 밸브를 피드백 제어해도 되고, 전자 솔레노이드식의 제어 밸브 등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변 제어해도 된다. 또한, 타이머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기간이나 타이밍을 제어해도 되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전원을 끄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전원을 끄는 타이밍은, 원수실(4) 내의 물의 전량에 대한 정수 카트리지(6C)에 의한 처리가 완료하여 정수 카트리지(6C)로부터 정수실(5) 내로 물이 배출되는 것이 완료하는 것보다도 뒤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상, 실시예 3에 의하면, 공기 펌프(30p)를 포함하는 펌프 유닛(30)을 설치한만큼, 공기 저류 영역(Aa)에 모인 공기의 압력을 한층 더 높여 침수 높이(D)를 보다 낮게 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첨가제 농도를 한층 더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펌프(30p) 그 외의 제어에 의해, 공기 저류 영역(Aa)의 공기의 내압을 보다 용이하게 또한 보다 치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원하는 첨가제 농도를 얻기 쉬워진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정수 카트리지를 원통형 이외의 형상으로 해도 되고, 침수 높이 가변 부재를 바닥이 있는 원통상 이외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첨가제 수용실이나, 정화실, 제1 도수구, 제2 도수구, 그 외의 세부 스펙(형상, 크기, 레이아웃, 수용물 등)도 적절히 변경가능하다. 또한, 공기 펌프를 포함하는 침수 높이 설정 기구를, 정수 카트리지에 장비해도 된다. 이 경우에, 당해 침수 높이 설정 기구를, 정수 카트리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해, 종래의 장치에 비해, 물에 미네랄을 첨가하는 첨가제 농도를 보다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수 카트리지 및 그 정수 카트리지를 이용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정수 카트리지로서,
    도입된 물을 정화하는 정화실과, 도입된 물에 첨가하는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 수용실을 내부에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첨가제 수용실에 물을 도입하기 위한 제1 도수구(導水口)를 구비한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첨가제 수용실은, 실내에 물이 도입되었을 때, 실내의 상부에 공기가 모이는 공기 저류 영역과, 상기 공기 저류 영역의 아래쪽에 도입된 물이 모이는 침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침수 영역에서, 도입된 물에 침수되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첨가제 수용실 내에, 상기 침수 영역이 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기 저류 영역이 되는 부분까지 수용되고,
    침수 높이 설정 기구가, 상기 공기 저류 영역에 모인 공기의 압력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침수 영역의 높이를 설정하는, 정수 카트리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수 높이 설정 기구는 상기 공기 저류 영역에 모인 공기를 내보내는 에어 배출 통로에 설치된 유체 조리개를 가지는, 정수 카트리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수 높이 설정 기구는, 상기 공기 저류 영역으로부터 공기를 내보내는 에어 배출 통로에 구비된 밸브인, 정수 카트리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수 높이 설정 기구는 상기 공기 저류 영역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펌프를 구비하는, 정수 카트리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첨가제 수용실을 우회하여 상기 정화실에 물을 도입하는 제2 도수구를 더 구비하는, 정수 카트리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수구를 상기 제2 도수구보다 위쪽에 배치한, 정수 카트리지.
  7. 물을 도입하여 정화한 정수를 얻기 위한 정수기로서,
    정수 카트리지와,
    상기 정수 카트리지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를 구비한 정수기로서,
    상기 정수 카트리지는, 도입된 물을 정화하는 정화실과, 도입된 물에 첨가하는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 수용실을 내부에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첨가제 수용실에 물을 도입하기 위한 제1 도수구를 구비한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첨가제 수용실은, 실내에 물이 도입되었을 때, 실내의 상부에 공기가 모이는 공기 저류 영역과, 상기 공기 저류 영역의 아래쪽에 도입된 물이 모이는 침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침수 영역에서, 도입된 물에 침수되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첨가제 수용실 내에, 상기 침수 영역이 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기 저류 영역이 되는 부분까지 수용되고,
    침수 높이 설정 기구가, 상기 공기 저류 영역에 모인 공기의 압력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침수 영역의 높이를 설정하는, 정수기.
  8. 물을 도입하여 정화한 정수를 얻기 위한 정수기로서,
    정수 카트리지와,
    상기 정수 카트리지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정수 카트리지는, 도입된 물을 정화하는 정화실과, 상기 도입된 물에 첨가하는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 수용실을 내부에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첨가제 수용실에 물을 도입하기 위한 제1 도수구를 구비한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첨가제 수용실은, 실내에 물이 도입되었을 때, 실내의 상부에 공기가 모이는 공기 저류 영역과, 상기 공기 저류 영역의 아래쪽에 도입된 물이 모이는 침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침수 영역에서, 도입된 물에 침수되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첨가제 수용실 내에, 상기 침수 영역이 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기 저류 영역이 되는 부분까지 수용되고,
    상기 공기 저류 영역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펌프를 구비한 침수 높이 설정 기구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침수 높이 설정 기구는, 상기 공기 저류 영역에 모인 공기의 압력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침수 영역의 높이를 설정하는, 정수기.
KR1020117010952A 2008-11-14 2009-11-11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KR101271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92079 2008-11-14
JP2008292079A JP5210817B2 (ja) 2008-11-14 2008-11-14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PCT/JP2009/069189 WO2010055848A1 (ja) 2008-11-14 2009-11-11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939A KR20110084939A (ko) 2011-07-26
KR101271976B1 true KR101271976B1 (ko) 2013-06-07

Family

ID=4216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952A KR101271976B1 (ko) 2008-11-14 2009-11-11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210817B2 (ko)
KR (1) KR101271976B1 (ko)
CN (1) CN102177098B (ko)
HK (1) HK1158612A1 (ko)
TW (1) TWI393677B (ko)
WO (1) WO20100558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1039B2 (en) 2010-06-02 2013-09-24 Protect Plus Llc Water purifying and flavor infusion device
WO2014145435A1 (en) * 2013-03-15 2014-09-18 Zero Technologies,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water filtration
KR102125718B1 (ko) * 2013-06-05 202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
JP6277666B2 (ja) * 2013-10-23 2018-02-14 Nok株式会社 浄水カートリッジ
RU2617779C1 (ru) * 2015-12-10 2017-04-26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квафор Продакшн" (Зао "Аквафор Продакшн")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393A (ko) * 1996-12-06 2000-09-15 로저 피. 리이드 드웰 통로에서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4626A (ja) * 1997-10-07 1999-04-20 Bridgestone Corp 浄水装置
JPH11253936A (ja) * 1998-03-06 1999-09-21 Bridgestone Corp 浄水器
JP3286251B2 (ja) * 1998-08-04 2002-05-27 昭栄シャローム株式会社 家庭用浄水器
JP2001170620A (ja) * 1999-12-21 2001-06-26 Yosuke Naito 卓上型浄水器
US6511605B2 (en) * 2001-04-03 2003-01-28 Stellar Manufacturing Company Device for automatically feeding soluble fluid treating agents in tablet form into a fluid body
EP1770069B1 (en) * 2004-05-18 2016-05-04 Mitsubishi Rayon Co., Ltd. Detachable water purifier
JP4512455B2 (ja) * 2004-09-06 2010-07-2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自重濾過型浄水器及び浄水カートリッジ
JP2008023481A (ja) * 2006-07-24 2008-02-07 Seiwa Pro:Kk 浄水器
CN101019739A (zh) * 2006-09-13 2007-08-22 文鹏飞 一种带有高压过滤净水器的饮水机
TWM332515U (en) * 2007-11-27 2008-05-21 Lessen Water Purified Technology Co Ltd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393A (ko) * 1996-12-06 2000-09-15 로저 피. 리이드 드웰 통로에서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77098B (zh) 2012-10-10
HK1158612A1 (en) 2012-07-20
JP5210817B2 (ja) 2013-06-12
TWI393677B (zh) 2013-04-21
TW201040114A (en) 2010-11-16
KR20110084939A (ko) 2011-07-26
CN102177098A (zh) 2011-09-07
WO2010055848A1 (ja) 2010-05-20
JP2010115619A (ja)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976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EP1536875B1 (en) Encapsulated filter cartridge
KR101151509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KR101151535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KR101151517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WO2012168896A1 (en) Percolation filtering system
KR101938465B1 (ko) 음료수 공급장치
KR101002535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
CN112299501B (zh) 水处理滤筒
JP2016518245A (ja) 水ろ過システム、水ろ過デバイスおよび水ろ過方法
JP5108726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JPH0721270Y2 (ja) 水道直結型浄水器
JP2016033020A (ja) 飲料水供給装置
KR20120094022A (ko) 정수기
KR20170054328A (ko) 음료수 공급장치
JPH0556292U (ja) 圧力調整浄水装置
US11857896B2 (en) Fluid filter for treating the fluid, a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nd air release device
JP4182066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JP2012040473A (ja) 濾過装置
RU2664934C1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US654033A (en) Water-filter.
JP3191001U (ja) ピッチャー型浄水器用浄水カートリッジ
JPH0724447A (ja) 浄水器
KR20100090471A (ko) 필터 어셈블리
KR20140020457A (ko) 미분진 제거용 필터소재와 이를 사용한 미분진제거 필터 및 미분진제거 필터를 포함하는 카본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