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535B1 -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535B1
KR101151535B1 KR1020090109919A KR20090109919A KR101151535B1 KR 101151535 B1 KR101151535 B1 KR 101151535B1 KR 1020090109919 A KR1020090109919 A KR 1020090109919A KR 20090109919 A KR20090109919 A KR 20090109919A KR 101151535 B1 KR101151535 B1 KR 101151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dditive
case
chamb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754A (ko
Inventor
도시아키 히라이
마코토 고다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54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C02F1/688Devices in which the water progressively dissolves a solid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3Coaxial constructions, e.g. a cartridge located coaxially within an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3Treatment of partial or bypass stre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4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itcher or jug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간소한 구성으로 첨가제 농도를 가변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수 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이다.
정수 카트리지(6)의 케이스(7) 내에, 물을 정화하는 정화실과, 물에 첨가하는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 수용실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7)에, 첨가제 수용실에 물을 도입하는 도수구(7a)를 형성하는 동시에, 도수구(7a)의 개구 폭(w)(개구 면적)을 가변 설정하는 가동 차폐 부재(23)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WATER PURIFICATION CATRIDGE AND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 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수기로서, 미네랄 함유량이 상이한 활수제(活水劑)를 수용하는 통수로(通水路)를 복수 마련하는 동시에, 그들 통수로에 각각 통수 제어 밸브를 마련하고, 각 통수 제어 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물의 미네랄 농도를 가변 설정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8-15564 호
상기 특허문헌 1의 정수기에서는, 통수로 및 통수 제어 밸브를 복수 구비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화하는 동시에 대형화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보다 간소한 구성으로 첨가제 농도를 가변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수 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정수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정수 카트리지에 있어서는, 케이스 내에, 물을 정화하는 정화실과, 물에 첨가하는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 수용실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에, 상기 첨가제 수용실에 물을 도입하는 도수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 상기 도수구의 개구 면적을 가변 설정하는 가동 차폐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에, 상기 첨가제 수용실을 우회하여 상기 정화실에 물을 도입하는 추가 도수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도수구를 상기 추가 도수구보다 상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차폐 부재를 상기 케이스의 외측을 덮도록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상부를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 하고, 상기 가동 차폐 부재를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차폐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횡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 차폐 부재의 횡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함으로써 상기 도수구의 개구 폭을 가변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차폐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상하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 차폐 부재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함으로써 상기 도수구의 개구 높이를 가변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에 상기 도수구를 복수 형성하고, 상기 가동 차폐 부재에 의해 차폐하는 도수구의 수를 가변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첨가제 수용실 내의 상부에 공기고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고임부보다 하방이 되는 침수 영역에서, 상기 도구수를 거쳐 도입된 물에 상기 첨가제를 담그도록 하고, 상기 첨가제 수용실 내에는, 상기 첨가제를 상기 침수 영역이 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기고임부가 되는 부분까지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차폐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상하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며, 상기 가동 차폐 부재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함으로써 상기 도수구의 개구 높이를 가변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침수 영역의 상한을 가변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는, 도입된 원수를 적어도 정화한 정수를 얻는 상기 정수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한 정수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밸브 등을 마련하여 유량을 변화시키는 구성에 비해서, 첨가제 농도를 가변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을 보다 간소한 구성으로 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도수구로부터 도입되어 첨가제 수용실 내를 흐르는 물과 추가 도수구로부터 도입되어 첨가제 수용실을 바이패스하는 물을 분류(分流)함으로써, 첨가제 수용실 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조정하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첨가제 농도의 조정 정밀도를 높이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도수구를 추가 도수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수두차(水頭差)나 물의 동압 등에 의해 도수구에서의 물의 유량, 즉 첨가제 수용실 내에서의 물의 유량이 필요 이상으로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가동 차폐 부재가 케이스의 외측에 있는 만큼, 사용자가 가동 차폐 부재를 조작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가동 차폐 부재를 비교적 간소한 구성으로 하여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가동 차폐 부재를 케이스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가동 차폐 부재의 횡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함으로써 첨 가제 농도를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가동 차폐 부재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함으로써 첨가제 농도를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사용자가 도수구의 개구 면적을 도수구의 수로서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첨가제 농도의 설정을 인식하기 쉬워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공기고임부에 있는 첨가제를 침수 또는 피수(被水)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침수 영역에 있는 첨가제가 물에 용출하면, 그보다 상방의 첨가제가 하방으로 강하하여 침수 영역에 자동적으로 보급되게 된다. 이로써, 첨가제 수용실에 수용한 첨가제를 하측에 배치된 것부터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정수 카트리지 내에 수용한 첨가제가 전체적으로 침수하거나 피수하거나 하는 구성에 비해서, 첨가제의 사용 가능 기간을 보다 길게 잡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가동 차폐 부재의 높이를 가변 설정함으로써 첨가제가 물에 침지하는 양을 변화시키고, 이 침지량의 변화에 의해서도 첨가제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상기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정수 카트리지를 장비한 정수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복수의 실시형태에는 동일한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그것들의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은 정수기의 단면도이며, 도 2는 정수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정수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정수 카트리지의 사시도로서, 도 4의 (a)는 가동 차폐 부재에 의해 도수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의 (b)는 도수구가 절반 정도 차폐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기(1)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정수기(1)는 포트형 정수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대략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포트 케이스(2)의 통 내에는, 대략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격벽체(3)가 수용되어 있고, 이 격벽체(3)에 의해 포트 케이스(2)의 통내가 상측의 대략 절반을 이루는 원수실(4)과 하측의 대략 절반을 이루는 정수실(5)로 구획되어 있다.
격벽체(3)의 저벽(3a)에는,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마련된 대략 원통형상의 오목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3b)에, 대략 원통형상의 정수 카트리지(6)가 상방으로부터 안까지 꽂아져 끼워부착된다. 오목부(3b)의 안 벽(3c)에는 개구(3d)가 형성되어 있다.
정수 카트리지(6)가 오목부(3b)에 끼워부착된 상태에서는, 정수 카트리지(6)의 상부(6a)가 원수실(4) 내에 노출하고, 이 상부(6a)에서 케이스(7)에 형성된 도수구(7a), 추가 도수구 (7b)가 원수실(4)에 면하도록 되어 있다. 추가 도수구(7b)는 저벽(3a)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정수 카트리지(6)의 하단부(6b)가 개구(3d)로부터 정수실(5) 내에 노출하고, 이 하단부(6b)에서 케이스(7)에 형성된 배수구(7c)가 정수실(5)에 면하도록 되어 있다. 원수실(4) 내의 원수는 도수구 (7a), 추가 도수구 (7b)로부터 정수 카트리지(6) 내에 도입되고, 적어도 정화된 후에 배수구(7c)로부터 정수실(5) 내에 배출된다.
원수실(4)의 상방에는, 급수구(8a)가 형성된 천벽(天壁)(8)이 배치되어 있다. 급수구(8a)는 천벽(8)에 회동(回動)가능하게 설치된 위로 열림식의 뚜껑(9)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막아져 있다. 원수는 뚜껑(9)을 상방으로 연 상태에서 급수구(8a)를 거쳐 원수실(4) 내에 공급된다.
또한, 격벽체(3)의 측벽(3e)과 포트 케이스(2)의 사이에는 정수실(5)로부터 상방을 향해 신장되는 통로(10)가 형성되어 있고, 포트 케이스(2) 또는 천벽(8)에는 통로(10)의 상단부가 되는 위치에, 주수구(主水口)(10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트 케이스(2)를 주수구(10a)가 하방이 되도록 기울여 쓰러지게 함으로써(도 1에서는 포트 케이스(2)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기울여 쓰러지게 함으로써), 정수실(5) 내에 저류된 정수를 통로(10)를 거쳐 주수구(10a)로부터 배출시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수구(10a)는 포트 케이스(2) 또는 천벽(8)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위로 열림식의 뚜껑(11)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막아져 있다. 이 경우, 포트 케이스(2)를 기울였을 때에, 뚜껑(11)을 자중(自重)이나 물의 동압 등에 의해 회동시켜, 주수구(10a)를 개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정수 카트리지(6)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수 카트리지(6)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해당 원통형상의 중심축(Ax)(도 1, 도 2 참조)이 상하방향을 따르는 자세에서 사용된다. 케이스(7)는 사용 상태에서 상부를 이루는 상부 케이스(12)와, 하부를 이루는 하부 케이스(13)를 갖고, 상부 케이스(12)의 하연(下緣)과 하부 케이스(13)의 상연(上緣)을 서로 결합하여 대략 원통형상의 외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사용 상태에서의 정수 카트리지(6)의 원통형상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방향, 축방향, 둘레방향 및 직경방향을 규정한다.
케이스(7) 안은 격벽(14)과, 이 격벽(14)에 대해 간격을 두고 하방에 배치되는 시트(seat)(15)에 의해, 상하방향(축방향)으로 크게 3개소의 공간으로 나누어져 있고, 이 중 최상부가 첨가제(16)를 수용하는 첨가제 수용실(S1), 최하부가 물을 정화하는 정화실(S2), 중간부가 중간실(S3)이 되어 있다.
첨가제 수용실(S1)은 상부 케이스(12)와 격벽(14)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2)는 케이스(7)의 주벽(周壁) 상부를 이루는 주벽(12a)과, 케이스(7)의 천벽을 이루는 천벽(12b)과, 천벽(12b)의 중앙부로부터 정수 카트리지(6)의 중심축(Ax)을 대략 따라 하방으로 신장되는 내통(12c)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상부 케이스(12)에, 그 통 내의 하부를 막도록 격벽(14)이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케이스(12)의 통 내에 주벽(12a), 천벽(12b), 내 통(12c) 및 격벽(14)으로 둘러싸인 단면이 대략 원환상의 공간으로서 첨가제 수용실(S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첨가제 수용실(S1)에는, 예를 들면 직경이 수 밀리미터 정도의 입상 칼슘 등의 첨가제(16)가 수용된다.
주벽(12a)에는 도 3, 도 4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도수구(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수구(7a)에는 인서트 성형 등을 함으로써 투수성(透水性)의 메시(17)가 뻗어나와 있어, 첨가제(16)가 도수구(7a)로부터 흘러나가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또한, 내통(12c)에는, 그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신장되는 슬릿 형상의 절결부(12d)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2d)의 폭은 첨가제(16)의 입경보다 작게 설정되고, 이것에 의해 첨가제(16)가 절결부(12d)로부터 흘러나가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결부(12d)의 상연(12e)의 축방향 위치와, 도수구(7a)의 상연(12f)의 축방향 위치를 대략 동일하게 하고 있다.
또한, 격벽(14)의 저벽부(14a)의 중앙부에는 상방을 향해 대략 원추 형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4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14b)의 중앙부에는 상방을 향해 돌출하여 내통(12c)이 삽입통과되는 통부(14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벽부(14a)에는 첨가제 수용실(S1)로부터의 배수구로서 정수 카트리지(6)의 중심축(Ax)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신장되는 복수의 슬릿(14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14d)의 폭도 첨가제(16)의 입경보다 작게 설정되고, 이에 따라 첨가제(16)가 슬릿(14d)으로부터 흘러나가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첨가제 수용실(S1)에서는, 원수실(4)로부터 도수구(7a)를 거쳐 첨가제 수용실(S1) 내에 도입된 원수에 첨가제(16)가 용출하고, 첨 가제가 첨가된 물이 첨가제 수용실(S1)로부터 격벽(14)의 슬릿(14d)을 거쳐 중간실(S3)에 유출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첨가제 수용실(S1)의 상부에 공기를 가두는 공기고임부(Aa)을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공기고임부(Aa) 내, 즉 첨가제 수용실(S1)의 상부에 존재하는 첨가제(16)에 대해서는, 물에 침지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주벽(12a), 천벽(12b) 및 내통(12c)으로 구성되는 오목부(18)는 하방을 향해 개방될 뿐으로, 상방을 향해서는 공기가 빠져나갈 길은 없기 때문에, 도수구(7a)로부터 첨가제 수용실(S1) 내에 물이 침입하여, 원수실(4)에 저류된 물에 정수 카트리지(6)의 상부(6a)가 모두 잠긴 상태(즉, 수몰된 상태)가 되어도, 이 오목부(18)에 공기가 고여, 공기고임부(Aa) 내에 있는 첨가제(16)의 피수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은, 절결부(12d) 및 도수구(7a)의 상연(12e, 12f)의 위치가 침수 영역(Aw)의 상한(L)이 되고, 이 상한(L)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첨가제(16)가 물에 침수되고, 상한(L)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첨가제(16)는 물에 침수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하방에 위치하는 첨가제(16)가 물에 침수되어 용출하면, 상방에 위치하는 첨가제(16)가 중력으로 하방으로 강하하여 침수 영역(Aw)에 자동적으로 보급되게 된다. 이로써, 첨가제 수용실(S1)에 수용한 첨가제(16)를 하측에 배치된 것부터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정수 카트리지 내에 수용한 첨가제가 전체적으로 침수하거나 피수하거나 하는 구성에 비해서, 첨가제(16)의 사용 가능 기간을 보다 길게 잡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정수 카트리지(6)의 사용 초기와 사용 후기에서 첨가제의 농도차를 보다 작게 억제하기 쉬워진다.
중간실(S3)의 주벽을 이루는 상부 케이스(12)의 주벽(12a)의 하부에는,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대략 일정 간격을 두고 추가 도수구(7b)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중간실(S3)에는, 원수실(4)로부터 이 추가 도수구(7b)를 거쳐 원수가 도입되는 동시에, 첨가제 수용실(S1)로부터 슬릿(14d)을 거쳐 첨가제가 첨가된 물이 도입되고, 이들 물이 중간실(S3)의 하방에 배치된 정화실(S2) 의 흡착 처리실(S21) 에 도입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추가 도수구(7b)로부터 중간실(S3)에 도입된 원수는 첨가제 수용실(S1)을 우회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첨가제 수용실(S1) 내를 흐르는 물과 첨가제 수용실(S1)을 바이패스하는 물을 분류(分流)함으로써, 첨가제 수용실(S1) 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과 첨가제 수용실(S1)을 바이패스하는 물의 유량을 독립하여 설정할 수 있고, 이로써 첨가제 농도의 조정 정밀도를 높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추가 도수구(7b)를 도수구(7a)보다 하방에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수구(7a)와 추가도수구(7b)의 높이의 차이에 의한 수두차와, 원수실(4)에 급수된 당초에 격벽체(3)의 저벽(3a)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추가 도수구(7b)에 도달하는 물의 동압에 의해, 물은 도수구(7a)와 비교하여 추가 도수구(7b)로 보다 들어가기 쉽게 되어 있다. 이로써, 특히 원수실(4)에 급수된 당초에는 도수구(7a)에서의 물의 유량을 비교적 적게 할 수 있어, 첨가제 수용실(S1) 내의 물의 유량을 적게 조정하기 쉬워진다.
중간실(S3)의 아래에 배치되는 정화실(S2)은 정수 카트리지(6)의 중심축(Ax) 을 따르는 위치에 배치된 대략 원통형상의 통체(19)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구획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체(19)의 외주측을 흡착제(예를 들어, 입상 또는 분상의 활성탄 등)(20)가 수용된 흡착 처리실(S21)로 하고, 통체(19)의 통 내를 여과재(예를 들어, 역 “U”자 형상으로 만곡된 중공사(中空絲) 막 등)(21)가 수용된 여과 처리실(S22)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중간실(S3)로부터 도입된 물은 흡착 처리실(S21) 및 여과 처리실(S22)을 이 순서대로 경유하여, 하단부(6b)의 배수구(7c)로부터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통체(19)는 케이스(7)의 저벽을 이루는 하부 케이스(13)의 저벽(13a)의 중앙부에 형성된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부(13b)에 끼워넣어지고, 이것에 의해 정수 카트리지(6)의 중심축(Ax)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세워 마련되어 있다.
흡착 처리실(S21)은 케이스(7)의 주벽 하부를 이루는 하부 케이스(13)의 주벽(13c), 통체(19), 저벽(13a) 및 시트(15)로 둘러싸여, 대략 원환상의 단면을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15)는, 예를 들어 부직포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15)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통체(19)를 둘러싸고 있고, 그 외연부(15a)를 상부 케이스(12)와 하부 케이스(13)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케이스(7)에 고정하고 있다. 한편,내연부(15b)는 자유단으로서 물이 중간실(S3)로부터 이 내연부(15b)와 통체(19) 사이의 간극을 거쳐 흡착 처리실(S21) 내에 도입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시트(15)를 투수성 소재로 구성하여 물을 투과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체(19)의 상단에 캡(22)을 장착하고, 이 캡(22)으로부터 직경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2a)에 의해, 시트(15)의 내연부(15b)가 플랜지부(22a)보다 상방으로는 뒤집히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정수 카트리지(6)를 정수기(1)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기울이거나 상하 역전시키거나 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시트(15)가 플랜지부(22a)에 걸려 간극이 막히기 때문에, 흡착 처리실(S21)로부터 흡착제(20)가 중간실(S3)측으로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통체(19)의 하부에는 연통구(19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통구(19a)에 의해 흡착 처리실(S21)과 여과 처리실(S22)이 연통되어 있다. 흡착 처리실(S21) 내에서 흡착제(20)에 불순물을 흡착시켜 제거한 물은, 연통구(19a)를 거쳐 여과 처리실(S22) 내에 도입된다.
여과 처리실(S22)에는, 여과재(21)로서의 가는 스트로우 형상의 중공사 막이 다수 묶여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수용되어 있다. 여과 처리실(S22) 내로부터 중공사 막의 막벽을 통과하여 막 내에 투과한 물은, 막 내를 통하여 여과 처리실(S22)의 하단부로 유출(流出)하고, 배수구(7c)로부터 정수실(5)에 유출한다. 물이 중공사 막의 막벽을 통과할 때에, 물에 포함된 불순물이 여과된다. 여과재(21)로서의 중공사 막은 연통구(19a)보다 하방에서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간극을 채우면서 통체(19)에 고정되어 있고, 이 접착제에 의해 여과 처리실(S22) 내로부터 중공사 막을 통과하지 않고 직접 유출하는 것이 저지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정수 카트리지(6)에 대해서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첨가제 수용실(S1) 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에 따라,물의 첨가제 농도가 변화되는 것이 밝혀졌다. 일례로서, 첨가제(16)로서 입상 칼슘제를 이용했을 경우에, 첨 가제 수용실(S1) 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증대시킬수록 수류에 의한 교반 효과가 증대하여, 첨가제 수용실(S1) 내에서 물에 혼입하는 첨가제의 양이 증대하고, 그 결과, 첨가제 수용실(S1)을 통과한 물과 추가 도수구(7b)로부터 정수 카트리지(6) 내에 도입된 물이 합류한 후의 물의 첨가제 농도, 나아가서는 정수 카트리지(6)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첨가제 농도가 증대하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7)에 도수구(7a)의 개구 면적을 가변 설정하는 가동 차폐 부재(23)를 설치하고, 상기 가동 차폐 부재(23)의 위치 조정에 의해 첨가제 수용실(S1) 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변화시키며, 이로써 정수 카트리지(6)를 통과한 물(정수)에서의 첨가제 농도를 가변 설정할 수 있도록 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2)의 외주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가동 차폐 부재(23)를 상부 케이스(12)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가동 차폐 부재(23)의 주벽(23a)은 상부 케이스(12)의 주벽(12a)을 약간의 간극을 갖고 덮고 있으며, 상기 주벽(23a)에는 개구부로서 하측의 단부 둘레(23b)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절결부(23c)를 마련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12)의 주벽(12a)의 외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르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볼록줄(12g)을 상하에 일정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마련하는 한편, 가동 차폐 부재(23)의 주벽(23a)의 내면에는 돌기(23d)를 마련하고, 가동 차폐 부재(23)를 상부 케이스(12)에 맞붙인 상태에서, 돌기(23d)를 볼록줄(12g)에 축방향으로 맞물리는 동시에, 볼록줄(12g)에 의해 돌기(23d)를 둘레방향으로 안내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줄(12g)에는, 돌기(23d)의 축방향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절결부(12h)를 마련하고 있다. 이로써, 돌기(23d)와 절결부(12h)를 위치 맞춤시킨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12)와 가동 차폐 부재(23)를 서로 충돌할 때까지 축방향으로 근접시키고, 그 후 이것들을 둘레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킴으로써, 돌기(23d)가 볼록줄(12g) 사이에 수납되고, 가동 차폐 부재(23)를 상부 케이스(12)[케이스(7)]에 맞붙일 수 있고, 가동 차폐 부재(23)는 상부 케이스(12)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차폐 부재(23)의 둘레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키면, 절결부(23c)와 도수구(7a)가 겹치는 면적이 변화되고, 도수구(7a)의 개구 폭(w) 및 개구 면적(원수실(4)에 면하는 영역의 폭 및 면적)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도 4의 (a)는 도수구(7a)의 전역이 개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도수구(7a)로부터 첨가제 수용실(S1) 내에 유입하는 물의 유량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첨가제 수용실(S1) 내에서 물에 용출하는 첨가제의 농도가 높아진다.
도 4의 (b)는 도수구(7a)의 대략 절반이 가동 차폐 부재(23)의 주벽(23a)에 의해 막아지고 대략 절반이 개구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도 4의 (a)의 경우와 비교하여 첨가제 수용실(S1) 내의 물의 유량이 적어지고, 그 만큼 첨가제 수용실(S1) 내에서 물에 용출하는 첨가제의 농도가 낮아진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6)에 의하면, 가동 차폐 부재(23)의 케이스(7)에 대한 중심축(Ax) 주위의 상대 회동 위치(횡방향 위치)를 변 화시킴으로써, 물의 첨가제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정수 카트리지(6) 내의 각 부분, 특히 중간실(S3) 안이나 시트(15)와 흡착제(20) 사이 등에 본의 아니게 공기가 고이면, 물의 중력과 공기의 부력이 균형잡혀 물의 유로가 공기로 막혀버리기 때문에 소망하는 유량이 얻어지지 않게 되고, 정수를 얻을 때까지의 시간이 걸리거나, 소망하는 첨가제 농도가 얻어지지 않게 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수 카트리지(6)의 중심축(Ax)을 대략 따라서 공기 빼냄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차폐 부재(23)의 천벽(23e)의 중앙부에, 하방을 향해 신장되어 내통(12c)의 통 내에 들어가는 대략 원통형상의 중앙 통부(23f)를 형성하고, 이 중앙 통부(23f)의 안쪽(상측)에 천벽(23e)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23g)을 형성하고 있다. 이 관통 구멍(23g)이 정수 카트리지(6)의 공기 빼냄 구멍이 된다.
통체(19)의 상단에 끼워부착된 캡(22)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가늘어지는 원추부(22b)와, 원추부(22b)의 정상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신장되는 원통부(22c)를 갖고 있고, 원통부(22c)의 선단을 중앙 통부(23f)의 하단 근방까지 연장하여 마련하고 있다. 이로써, 여과 처리실(S22) 내의 공기는 원추부(22b), 원통부(22c) 및 중앙 통부(23f)의 통 내를 거쳐 관통 구멍(23g)으로부터 배출된다.
흡착 처리실(S21) 및 중간실(S3) 내의 공기는 격벽(14)의 돌출부(14b)를 따라 상승하면서 정수 카트리지(6)의 중심축(Ax)측으로 이동하고, 절결부(12d)를 거쳐 내통(12c)의 통 내에 들어가고, 또한 중앙 통부(23f)의 하단의 개구로부터 상기 중앙 통부(23f)의 통 내에 들어가고, 관통 구멍(23g)으로부터 배출된다.
첨가제 수용실(S1) 내의 공기는 공기고임부(Aa) 내에 고이는 것을 제외하고, 절결부(12d)로부터 내통(12c)의 통 내 및 중앙 통부(23f)의 통 내를 거쳐 관통 구멍(23g)으로부터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7)에 첨가제 수용실(S1)에 물을 도입하는 도수구(7a)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7)에 도수구(7a)의 개구 면적을 가변 설정하는 가동 차폐 부재(23)를 설치하였다. 이로써, 밸브 등을 마련하여 유량을 변화시키는 구성에 비해서, 첨가제 농도를 가변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을 비교적 간소한 구성으로 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서 칼슘 등을 이용한 경우에는, 물의 경도를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수구(7a)를 케이스(7)의 외벽으로서의 상부 케이스(12)의 주벽(12a)에 형성하고, 주벽(12a)의 외측을 덮는 가동 차폐 부재(23)의 주벽(23a)에 의해 도수구(7a)를 막도록 하였다. 이로써, 가동 차폐 부재(23)가 케이스(7)의 외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만큼, 사용자가 가동 차폐 부재(23)를 조작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7)의 적어도 상부를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주벽(12a)에 도수구(7a)를 형성하고, 가동 차폐 부재(23)를 상기 케이스(7)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케이스(7)의 주위를 회동시킴으로써, 가동 차폐 부재(23)의 주벽(23a)에 의해 도수구(7a)를 막도록 했다. 이로써, 가동 차폐 부재(23)를 비교적 간소한 구성으로 하여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가동 차폐 부재(23)를 케이스(7)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 게 된다. 또한, 케이스(7)에 대해 가동 차폐 부재(23)를 상대 회동시킨다(횡방향으로 이동시킨다)라고 하는 비교적 간단한 조작에 의해 도수구(7a)의 개구 면적을 변화시켜, 첨가제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정수기(1)의 포트 케이스(2) 내에 상방으로부터 정수 카트리지(6)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경우에는, 포트 케이스(2) 내에 장착한 상태인 채로 상방으로부터 가동 차폐 부재(23)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7)에, 첨가제 수용실(S1)을 우회하여 정화실(S2)에 물을 도입시키는 추가 도수구(7b)를 형성하였다. 이로써, 첨가제 수용실(S1)을 통과시키는 물과 첨가제 수용실(S1)을 바이패스하는 물을 분류함으로써, 첨가제 수용실(S1) 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과 첨가제 수용실(S1)을 바이패스하는 물의 유량을 독립하여 설정할 수 있고, 이로써 첨가제 농도의 조정 정밀도를 높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수구(7a)를 추가 도수구(7b)보다 상방에 배치했다. 이 때문에, 도수구(7a)와 추가 도수구(7b)의 높이의 차이에 의한 수두차와, 원수실(4)에 급수된 당초에 격벽체(3)의 저벽(3a)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추가 도수구(7b)에 도달하는 물의 동압에 의해, 물은 도수구(7a)와 비교하여 추가 도수구(7b)로 보다 들어가기 쉬워진다. 따라서, 특히 원수실(4)에 급수된 당초에는 도수구(7a)에서의 물의 유량을 비교적 적게 할 수 있어서, 첨가제 수용실(S1) 내의 물의 유량을 적게 조정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첨가제 농도를 보다 낮게 조정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도수구(7a)의 개 구 면적을 변화시키는 가동 차폐 부재(23)를 정수 카트리지(6)의 상부에 배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정수기(1)의 포트 케이스(2) 내에 상방으로부터 정수 카트리지(6)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경우에는, 포트 케이스(2) 내에 장착한 상태인 채로 상방으로부터 침지 높이 가동 차폐 부재(23)를 조작하기 쉬워져서 편리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첨가제 수용실(S1)을 추가 도수구(7b)보다 상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원수실(4)의 수위가 첨가제 수용실(S1)의 하단보다 낮아진 후에는, 추가 도수구(7b)로부터만 정수 카트리지(6) 내에 물이 유입하는 것이 되고, 첨가제 수용실(S1) 내를 통과하지 않고 첨가제(16)가 포함되지 않은 물에 의해 중간실(S3)과 그 하류측인 정화실(S2) 내에서 첨가제(16)의 배출을 촉진하여 첨가제(16)가 잔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다음 사용시에, 잔류한 첨가제(16)에 의해 첨가제 농도가 설정값보다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여, 소망하는 첨가제 농도를 얻기 쉽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첨가제 수용실(S1) 내의 상부에 공기고임부(Aa)를 형성하고, 첨가제(16)를 상기 공기고임부(Aa)보다 하방이 되는 침수 영역(Aw)에서 도수구(7a)를 거쳐 도입된 물에 담그도록 하고, 첨가제 수용실(S1)에 첨가제(16)를 침수 영역(Aw)이 되는 부분으로부터 공기고임부(Aa)가 되는 부분까지도 수용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공기고임부(Aa) 내에 있는 첨가제(16)를 침수 또는 피수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침수 영역(Aw) 내에 있는 첨가제(16)가 물에 침수되어 용출하면, 그것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첨가제(16)가 중력으로 하방으로 강 하하여 침수 영역(Aw)에 자동적으로 보급되게 된다. 이로써, 첨가제 수용실(S1)에 수용한 첨가제(16)를 하측에 배치된 것부터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정수 카트리지 내에 수용한 첨가제가 전체적으로 침수하거나 피수하거나 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첨가제(16)의 사용 가능 기간을 보다 길게 잡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정수 카트리지(6)의 사용 초기와 사용 후기에서 첨가제의 농도의 변동을 보다 작게 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침수 영역(Aw)의 높이에 의해 첨가제(16)의 침지 높이를 설정하고, 이것에 의해 첨가제 농도의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첨가제(16)가 필요 이상으로 물에 녹아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VI-VI 단면도이며, 도 7은 정수 카트리지의 사시도로서, 도 7의 (a)는 가동 차폐 부재에 의해 도수구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의 (b)는 도수구가 절반 정도 차폐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6A)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6)에 대신하여 정수기(1)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정수 카트리지(6A)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정수 카트리지(6)와 마찬가지로 케이스(7A)에 형성한 도수구(7aA)의 개구 면적을 가동 차폐 부재(23A)에 의해 변화시켜 첨가제 수용실(S1)에서의 물의 유량을 변화시키고, 이로써 첨가제 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가동 차폐 부재(23A)를 케이스(7A)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가동 차폐 부재(23A)의 케이스(7A)에 대한 상대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도수구(7aA)의 면적을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수구(7aA)를 복수의 부분 도수구(70a)로 나누어 형성하고, 가동 차폐 부재(23A)에 의해 차폐되는(개방되는) 부분 도수구(70a)의 수를 가변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케이스(12A)의 주벽(12a)에 그 둘레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슬릿 형상의 부분 도수구(70a)를 상하에 일정 피치로 평행하게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 나란히 형성하고, 위로부터 아래를 향함에 따라 부분 도수구(70a)의 길이를 길게 하고 있다. 이로써,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차폐 부재(23A)의 회동 위치에 의해 차폐되는 부분 도수구(70a)의 수가 변화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a)의 상태에서는 4개의 부분 도수구(70a) 모두가 개방되고, 도 7의 (b)의 상태에서는 상측의 2개의 부분 도수구(70a)가 차폐되고 하측의 부분 도수구(70a)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도수구(7aA)의 개구 면적을 밖에 노출하고 있는 부분 도수구(70a)의 수로서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첨가제 농도의 설정을 인식하기 쉬워진다라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분 도수구(70a)의 차폐수가 전환되는 위치에서 가동 차폐 부재(23A)를 케이스(7A)에 걸어멈춤시키는 걸어멈춤 기구(24a~24c)를 마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케이스(12A)의 주벽(12a)의 외면 상에 둘레방향 을 따르는 홈(24a)을 연장하여 마련하는 한편, 가동 차폐 부재(23A)의 주벽(23a)의 내면에 돌기(24b)를 마련하고, 홈(24a)이 돌기(24b)를 둘레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홈(24a) 내에 돌기(24b)를 소정 위치에서 보지(保持)하는 돌기(24c)를 마련하고, 이 돌기(24c)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가동 차폐 부재(23A)를 부분 도수구(70a)의 차폐수가 전환되는 복수 개소(본 실시형태에서는, 둘레방향으로 5개소)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돌기(24b)는 홈(24a)의 양단부에서는 그 단벽과 돌기(24c) 사이에 끼워진 위치에 유지되고, 홈(24a)의 중간 위치에서는 한 쌍의 돌기(24c, 24c) 사이에 끼워진 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돌기(24b)가 돌기(24c)를 타고 넘는 때에, 가동 차폐 부재(23A)를 조작하는 사용자에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어, 가동 차폐 부재(23A)를 소정의 위치에 설정하기 쉬워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 3 실시형태)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정수 카트리지의 사시도로서, 도 9의 (a)는 가동 차폐 부재에 의해 도수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의 (b)는 도수구가 절반 정도 차폐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의 (c)는 도수구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정수 카트리지의 단면도로서, 도 10의 (a)는 가동 차폐 부재에 의해 도수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0의 (b)는 도수구가 절반 정도 차폐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의 (c)는 도수구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6B)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6)에 대신하여 정수기(1)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정수 카트리지(6B)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정수 카트리지(6)와 동일하게, 케이스(7B)에 형성한 도수구(7a)의 개구 면적을 가동 차폐 부재(23B)에 의해 변화시켜 첨가제 수용실(S1)에서의 물의 유량을 변화시키고, 이로써 첨가제 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차폐 부재(23B)를 케이스(7B)에 그 상하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가능하게 설치하고, 가동 차폐 부재(23B)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함으로써, 도수구(7a)의 개구 높이(h)(도 9 참조)를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2B)[케이스(7B)]의 주벽(12a)에 마련한 홈(25a)과, 가동 차폐 부재(23B)의 내면에 마련한 돌기(25b)에 의해, 높이 조정 기구(25)를 구성하고 있다. 홈(25a)은 주벽(12a)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신장되는 세로홈(25c)과, 세로홈(25c)으로부터 둘레방향의 일방측(도 8에서는 좌측)을 향해 연장하는 복수의 가로홈(25d)을 갖고 있다. 가로홈(25d)은 일정한 피치(등간격)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돌기(25b)를 세로홈(25c)을 따르게 하여 가동 차폐 부재(23B)를 강하시키고, 가동 차폐 부재(23B)를 둘레방향에 회동시켜 돌기(25b)를 어느 하나의 가로홈(25d)에 삽입함으로써, 가동 차폐 부재(23B)의 높이를 복수 단계(본 실시형태에서는 5단계)로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로홈(25d)의 안쪽에는 돌기(25e)를 형성하여, 돌기(25b)를 가로홈(25d)의 가장 안쪽 부분에 유지하기 쉽게 하는 동시에, 돌기(25b) 를 타고 넘어 클릭감을 생기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9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수구(7a)의 개구 높이(h)를 가변 설정하고, 이것에 의해 첨가제 수용실(S1) 내의 물의 유량을 변화시켜 첨가제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차폐 부재(23B)에 의해 첨가제 수용실(S1) 내에서의 침수 영역(Aw)의 상한(L)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차폐 부재(23B)의 중앙 통부(23f)의 하단(23h)과 주벽(23a)의 하측의 단연(23b)을 동일한 높이로 하고 있다. 이로써, 가동 차폐 부재(23B)의 주벽(23a)과 중앙 통부(23f) 사이의 고리 형상의 오목부(23i)가 전체적으로 공기고임부가 되고, 하단(23h) 및 단연(23b)의 위치가 침수 영역(Aw)의 상한(L)이 되기 때문에,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차폐 부재(23B)의 높이를 가변 설정함으로써, 첨가제(16)가 물에 침지하는 양을 변화시키고, 이 침지량의 변화에 의해서도 첨가제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제의 첨가제 농도는 이 상한(L)의 높이와 도수구(7a)의 개구 면적[개구 높이(h)]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도 9 및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수구(7a)를 가동 차폐 부재(23B)에 의해 막는 동시에, 침수 영역(Aw)의 상한을 첨가제 수용실(S1)의 하단[격벽(14)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하여, 첨가제(16)를 물에 침지시키지 않고, 첨가제 농도가 거의 0이 되는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차폐 부재(23B)를 케이스(7B)에 그 상하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가능하게 설치하고, 가동 차폐 부재(23B)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함으로써, 도수구(7a)의 개구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도수구(7a)의 개구 면적을 가변 설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첨가제 수용실(S1) 내의 물의 유량을 가변 설정하여, 첨가제 농도를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차폐 부재(23B)의 케이스(7B)로부터의 돌출량이 변화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개구 면적의 변화를 시인(視認)하기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차폐 부재(23B)의 높이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침수 영역(Aw)의 상한(L)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점도 이용하여 첨가제 농도를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6C)에는, 첨가제(16)를 침수 영역(Aw)을 향해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기구(26)를 마련하고 있다. 가압 기구(26)는 입상의 첨가제(16) 위에 탑재되는 천판(26a)과, 상부 케이스(12B)의 오목부(18) 내에 수용되어 이 천판(26a)을 하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스 기구로서의 코일 스프링(26b)을 구비하고, 코일 스프링(26b)의 압축 반력에 의해 천판(26a)을 거쳐 첨가제(16)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침수 영역(Aw)의 첨가제(16)의 용출에 따라, 가압 기구(26)에 의해 상방에 있는 첨가제(16)를 보다 확실하게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 기 때문에, 중력으로 충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침수 영역(Aw)에서의 첨가제(16)의 충전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정수 카트리지(6)의 사용 기간에 있어서의 침수 영역(Aw) 내에서의 첨가제(16)의 밀도의 변화를 작게 하여 첨가제 농도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정수 카트리지를 원통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해도 좋고, 가동 차폐 부재를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첨가제 수용실이나, 정화실, 도수구, 제 2 도수구, 기타 세부의 사양(형상, 크기, 레이아웃 등)도 적절하게 변경가능하다. 또한, 가동 차폐 부재를 횡방향과 상하방향의 쌍방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구성해도 좋고,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차폐하는 도수구의 수를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의 사시도로서, 도 4의 (a)는 가동 차폐 부재에 의해 도수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의 (b)는 도수구가 절반 정도 차폐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의 사시도로서, 도 7의 (a)는 가동 차폐 부재에 의해 도수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의 (b)는 도수구가 절반 정도 차폐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의 사시도로서, 도 9의 (a)는 가동 차폐 부재에 의해 도수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의 (b)는 도수구가 절반 정도 차폐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의 (c)는 도수구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의 단면도로서, 도 10의 (a)는 가동 차폐 부재에 의해 도수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0의 (b)는 도수구가 절반 정도 차폐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의 (c)는 도수구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수기6, 6A, 6B, 6C : 정수 카트리지
7, 7A, 7B : 케이스7a, 7aA : 도수구
7b : 추가 도수구70a : 부분도수구
16 : 첨가제23, 23A, 23B : 가동 차폐 부재
Aa : 공기고임부Aw :침수 영역
w : 개구 폭h : 개구 높이
S1 : 첨가제 수용실S2 : 정화실

Claims (11)

  1. 케이스 내에, 물을 정화하는 정화실과, 물에 첨가하는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 수용실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에, 상기 첨가제 수용실에 물을 도입하도록 형성되는 도수구(導水口)와, 상기 첨가제 수용실을 우회하여 상기 정화실에 물을 도입하는 추가 도수구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에, 상기 도수구의 개구 면적을 가변 설정하는 가동 차폐 부재를, 상기 케이스의 외측을 덮도록 마련하고,
    상기 도수구는, 슬릿 형상의 개구로서 일정 피치로 평행하게 복수 개 나란히 형성하되, 한쪽 방향을 따라 상기 슬릿 형상의 개구의 길이를 점점 길게 하도록 하고,
    상기 가동 차폐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위치를 가변 설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 차폐 부재의 위치를 가변 설정함으로써 차폐하는 도수구의 수를 가변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수구를 상기 추가 도수구보다 상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상부를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동 차폐 부재를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차폐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횡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 차폐 부재의 횡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함으로써 차폐하는 도수구의 수를 가변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차폐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상하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 차폐 부재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함으로써 차폐하는 도수구의 수를 가변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수용실 내의 상부에 공기고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고임부보다 하방이 되는 침수 영역에서, 상기 도구수를 거쳐 도입된 물에 상기 첨가제를 담그도록 하고,
    상기 첨가제 수용실 내에는, 상기 첨가제를 상기 침수 영역이 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기고임부가 되는 부분까지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차폐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상하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가능하게 설치된 것이고,
    상기 가동 차폐 부재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가변 설정함으로써 차폐하는 도수구의 수를 가변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침수 영역의 상한을 가변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11. 도입된 원수(原水)를 적어도 정화한 정수(淨水)를 얻는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정수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정수기.
KR1020090109919A 2008-11-14 2009-11-13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KR101151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91940A JP4623204B2 (ja) 2008-11-14 2008-11-14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JPJP-P-2008-291940 2008-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754A KR20100054754A (ko) 2010-05-25
KR101151535B1 true KR101151535B1 (ko) 2012-05-30

Family

ID=4227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919A KR101151535B1 (ko) 2008-11-14 2009-11-13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23204B2 (ko)
KR (1) KR101151535B1 (ko)
CN (1) CN101732901A (ko)
TW (1) TW2010266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4566A1 (de) * 2011-09-30 2013-04-04 Aquis Wasser-Luft-Systeme Gmbh, Lindau, Zweigniederlassung Rebstein "Filterkartusche"
RU2526377C1 (ru) * 2013-03-28 2014-08-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квафор Продакшн" (Зао "Аквафор Продакшн")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ационное
CN104712296A (zh) * 2013-12-16 2015-06-17 贵州航天凯山石油仪器有限公司 一种过水面积可调的过滤装置及调节方法
RU2614287C2 (ru) 2015-09-02 2017-03-24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квафор Продакшн" (Зао "Аквафор Продакшн")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RU2628389C2 (ru) 2015-09-02 2017-08-16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квафор Продакшн" (Зао "Аквафор Продакшн")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RU2617779C1 (ru) * 2015-12-10 2017-04-26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квафор Продакшн" (Зао "Аквафор Продакшн")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JP7217163B2 (ja) * 2019-02-05 2023-02-02 三菱ケミカル・クリンスイ株式会社 浄水器の展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64A (ja) 1996-07-09 1998-01-20 Nec Home Electron Ltd 活水器
JP2002282872A (ja) 2001-03-27 2002-10-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処理装置
JP2003103255A (ja) * 2001-09-28 2003-04-08 Kurita Water Ind Ltd 浄水器
KR200365881Y1 (ko) * 2004-07-23 2004-10-27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 시스템용 필터 카트리지 및 이를 장착한 필터하우징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2979A (en) * 1972-05-30 1974-02-19 Swimrite Inc Floating chemical treatment device
US4210624A (en) * 1976-10-27 1980-07-01 Rainbow Lifegard Products, Inc. Universal chlorinator module
US4250911A (en) * 1979-09-28 1981-02-17 Kratz David W Chemical feeder with disposable chemical container
US4867196A (en) * 1988-08-31 1989-09-19 Olin Corporation Pool chemical dispenser
JP2001224654A (ja) * 1999-12-08 2001-08-21 Toto Ltd 人体局部洗浄器
JP2002282873A (ja) * 2001-03-27 2002-10-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処理装置
JP4059804B2 (ja) * 2003-04-23 2008-03-12 オルガノ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型浄水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64A (ja) 1996-07-09 1998-01-20 Nec Home Electron Ltd 活水器
JP2002282872A (ja) 2001-03-27 2002-10-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処理装置
JP2003103255A (ja) * 2001-09-28 2003-04-08 Kurita Water Ind Ltd 浄水器
KR200365881Y1 (ko) * 2004-07-23 2004-10-27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 시스템용 필터 카트리지 및 이를 장착한 필터하우징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15615A (ja) 2010-05-27
KR20100054754A (ko) 2010-05-25
TW201026615A (en) 2010-07-16
JP4623204B2 (ja) 2011-02-02
CN101732901A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535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KR101151509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JP5807258B2 (ja) 浄水器
KR101151517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US10046981B2 (en) Water filter and assembly thereof
KR101270337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KR101079454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
KR101271976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정수기
JP4616163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KR101002535B1 (ko) 정수 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
JP6397888B2 (ja) 水ろ過システム、水ろ過デバイスおよび水ろ過方法
KR101940291B1 (ko) 삼투 여과 시스템
JP4462336B2 (ja) 浄水器
US20220274034A1 (en) Water treatment cartridge
JP2010115613A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JP2011092806A (ja) 水処理装置
JP3775150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KR20120094022A (ko) 정수기
WO2013137378A1 (ja) 水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浄水器
KR100524406B1 (ko) 정수장치
WO2017099624A1 (ru)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KR20230090041A (ko)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