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824B1 - 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824B1
KR101569824B1 KR1020140040560A KR20140040560A KR101569824B1 KR 101569824 B1 KR101569824 B1 KR 101569824B1 KR 1020140040560 A KR1020140040560 A KR 1020140040560A KR 20140040560 A KR20140040560 A KR 20140040560A KR 101569824 B1 KR101569824 B1 KR 101569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water
unit
extracting
stock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460A (ko
Inventor
김현희
강철화
정기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빈스
Priority to KR1020140040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82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to by-pass a quantity of water, e.g. to adjust beverage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 저장부, 커피원액이 추출되는 커피 추출부, 커피원액이 저장되는 원액 저장부 및 상기 물 저장부에서 커피 추출부로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한 추출장치로, 상기 물 공급부는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이 일시 저장되는 임시 저장기 및 상기 임시 저장기의 물을 커피 추출부 내로 고르게 분사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유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커피 추출부는 추출기와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기는 커피원액이 여과되는 필터 및 상기 추출기의 내부 공간을 커피분말이 충진되는 복수개의 격실로 각각 구획하고, 이웃하는 격실들 간에 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통공이 구비된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유도관은 각 격실에 물이 분사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커피분말에 물이 고르게 투과되어 전체적으로 농도가 균일한 커피원액을 생산할 수 있고, 특히 물 저장부가 커피 추출부 또는 원액 저장부와 수평으로 배열되어 커피원액의 대량 생산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피 추출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본 발명은 농도가 균일한 커피원액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온 추출커피(Cold Blew Coffee)란 물을 사용하여 3시간 이상 추출한 특유의 맛과 향이 있는 커피를 일컫는 것으로 일명 더치커피또는 커피와인이라 불린다.
과거 네덜란드령 인도네시아 식민지에서 로브스터(Robusta)종의 커피가 재배되었고 이 커피를 유럽으로 운반하던 선원들이 장기간의 항해 동안 커피를 먹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고안했는데, 그 중에 하나가 현재의 저온 추출커피로 발전한 것이라고 한다. 이후에 이 저온 추출커피는 찬물로 내리는 커피로 알려지게 되었고, 최근에는 커피가 가정으로 확산됨에 따라 품질 좋은 고급커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지게 되어 그 대안으로 저온 추출커피가 떠오르고 있다.
일반적인 커피는 드립 커피나 에스프레스 커피처럼 필터에 커피분말을 넣고 뜨거운 물을 붓는 방식을 말하지만, 저온 추출커피는 찬물이나 상온의 생수를 한 방울씩 떨어뜨려 장시간 동안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찬물이나 상온의 생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커피의 쓴 맛이 적게 나면서 부드럽고 시간이 지날수록 숙성되어 특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저온 추출커피는 카페인 함량이 적고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다. 즉 커피에 포함된 카페인은 수용성이며 80℃ 이상의 물과 만났을 때 발생하는데, 저온 추출커피는 찬물이나 상온의 생수를 사용하므로 따뜻한 물로 추출한 커피에 비해 카페인이 적게 발생한다.
이러한 저온 추출커피의 장점으로 인해 저온 추출커피를 생산하기 위한 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특허출원 제2011-0024498호에서는 물이 저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본체에 저장된 물이 떨어지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떨어지는 물에 의해 커피가 추출되도록 원두분말이 저장되는 바스켓 및; 상기 물과, 추출되는 커피원액의 배출속도를 각각 조절하는 제1 및 제2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더치기구 및 이를 이용한 더치커피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배출구를 통해 본체의 물이 바스켓에 저장된 원두분말에 떨어지고 이렇게 떨어진 물이 원두분말에 투과되면서 커피원액을 추출하는 데, 이 과정에서 하나의 배출구가 원두분말이 저장된 바스켓의 한 곳에만 물을 집중해서 떨어뜨리므로 원두분말 전체에 물이 고르게 투과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바스켓의 전체가 아닌 소정공간에 저장된 원두분말로부터 커피원액이 추출되므로 시간이 경과할수록 커피원액의 농도가 감소되어 좋은 커피맛을 내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 더치기구의 본체 및 바스켓은 수직 배열되어 있어 본체의 용량을 증대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추출되는 커피원액 또한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 한계가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커피분말에 고르게 물이 투과되어 농도가 균일한 커피원액을 생산할 수 있는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원액의 대량 생산에 적합한 구조의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 커피분말이 충진되어 커피원액이 추출되는 커피 추출부, 상기 커피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커피원액이 저장되는 원액 저장부 및 상기 물 저장부에서 커피 추출부로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한 추출장치로, 상기 물 공급부는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이 일시 저장되는 임시 저장기, 상기 임시 저장기의 물을 커피 추출부 내로 고르게 분사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유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커피 추출부는 추출기와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기는 커피원액이 여과되도록 복수개의 필터공이 구비된 필터 및 상기 추출기의 내부 공간을 커피분말이 충진되는 복수개의 격실로 각각 구획하고, 이웃하는 격실들 간에 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통공이 구비된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유도관은 각 격실에 물이 분사되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추출장치는 커피 추출부의 덮개에 형성되어 추출기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비접촉식센서 및 상기 비접촉식센서에서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실은 적어도 3개 이상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공의 총면적은 필터의 면적 1에 대하여 1/20 이상의 비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공급부는 유도관의 물 분사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 추출부 및 원액 저장부는 수직으로 배열되고, 상기 물 저장부는 커피 추출부 또는 원액 저장부와 수평으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추출장치는, 추출기의 각 격실에 물을 고르게 분사하고 동시에 격식들 간에 물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으로 농도가 균일한 커피원액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저장부가 커피 추출부 또는 원액 저장부와 수평 배열되어 물 저장부의 용량 증대가 용이하므로 커피원액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기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추출기의 물 넘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추출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부의 임시 저장기, 유도관 및 커피 추출부의 덮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부의 펌프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 내부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 격벽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농도가 균일한 커피원액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추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커피 추출장치(10)는 저온의 물을 사용하여 장시간 동안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로, 물 저장부(20), 물 공급부(30), 커피 추출부(40) 및 원액 저장부(5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피 추출장치(10)는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20), 커피분말이 충진되어 커피원액이 추출되는 커피 추출부(40), 상기 커피 추출부(40)로부터 추출된 커피원액이 저장되는 원액 저장부(50) 및 상기 물 저장부(20)에서 커피 추출부(40)로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부(30)를 포함한다.
추출장치(10)의 물 저장부(20)는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저장된 물은 커피 추출부(40)로 공급되어 커피원액의 추출을 위해 이용된다.
이때 상기 커피 추출부(40)로 공급되는 물은, 카페인의 함량이 적으면서 풍미가 우수한 커피원액을 추출하기 위해 25℃ 이하의 저온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인 것이 좋다.
상기 물 저장부(2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일례로 상부가 개구된 원통 또는 사각 형상의 본체(21)와, 상기 본체(21)를 개폐하는 덮개(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22)에는 물 저장부(20)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감지센서(22a)가 일체 형성되어 물 저장부(20)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부의 임시 저장기, 유도관 및 커피 추출부의 덮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부의 펌프 사진이다.
추출장치(10)의 물 공급부(30)는 물 저장부(20)에서 커피 추출부(40)로 물을 공급하여 커피분말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3과 같이 상기 물 공급부(30)는 펌프(31), 임시 저장기(33) 및 유도관(34)을 포함한다.
상기 펌프(31)는 물 저장부(20)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후술하는 임시 저장기(32)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펌프(31)에 의해 펌핑된 물은 별도의 공급라인(32)을 통해 임시 저장기(32)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펌프(31) 및 공급라인(32)은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펌프(31) 및 공급라인(32)의 위치는 물 저장부(20)에서 임시 저장기(32)로 효율적인 물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31)에 의해 펌핑된 물은 임시 저장기(31)에 일시 저장된다. 이때 상기 임시 저장기(31)는 공급라인(32)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홀(33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31a)을 통해 임시 저장기(31) 내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임시 저장기(33)로 공급되는 물은 복수개의 유도관(34)을 통해 커피 추출부(40) 내로 고르게 분사된다.
즉, 상기 유도관(34)은 커피분말이 충진된 커피 추출부(40)의 상면 전체에 물을 균등하게 수직 분사하여 전체적으로 커피분말에 물을 골고루 투과시키므로 농도가 균일한 커피원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도관(34)은 커피 추출부(40)의 상면 전체에 물의 고른 분사를 유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기로는 도 2와 같이, 상기 임시 저장기(33)의 하부에 복수개의 홀이 천공되고, 상기 홀에서 방사상으로 하부 연장되어 유도관(34)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관(34)은 후술하는 추출기(41)의 격실 각각에 물이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유도관(34)을 통해 각 격실에 충진된 커피분말에 물이 골고루 투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관(34)은 임시 저장기(33) 및 커피 추출부(4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의 주름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유도관(34)의 개수는 4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임시 저장기(33) 및 커피 추출부(40)의 용량에 따라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물 공급부(30)는 유도관(34)의 물 분사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밸브(35)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구조를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2와 같이 조절밸브(35)는 다이얼 형태로 형성되어 밸브(35)의 회전으로 유도관(34)의 물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 추출부(40)에 충진된 커피분말에 물이 투과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원액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추출장치(10)의 커피 추출부(40)는 커피분말이 충진되어 커피원액이 추출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 공급부(30)의 유도관(34)을 통해 분사된 물은, 커피 추출부(40)에 충진된 커피분말에 골고루 투과되면서 커피원액이 추출된다.
이때 커피원액의 추출 시간은, 커피분말로부터 커피원액이 우러나오는 시간을 고려하여 6 내지 14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시간인 것이 좋다.
상기 커피 추출부(40)는 내부에 커피분말을 충진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례로 상부가 개구된 원통 또는 사각 형상의 추출기(41)와, 상기 추출기(41)를 개폐하는 덮개(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의 내부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 격벽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상기 추출기(41)는 커피원액이 여과되도록 복수개의 필터공(41b)이 구비된 필터(41a) 및 상기 추출기(41)의 내부 공간을 커피분말이 충진되는 복수개의 격실로 각각 구획하고, 이웃하는 격실들 간에 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통공(41d)이 구비된 격벽(41c)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41a)는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필터공(41b)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공(41b)을 통해 커피 추출부(40)에서 추출된 커피원액이 여과된다.
상기 필터(41a)는 스테인레스스틸 소재의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스테인레스스틸 소재의 필터만을 사용하는 경우 추출된 커피원액이 필터(41a) 상에 그대로 존재하여 여과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이 소재의 거름종이와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41a)의 면적은 커피 추출부(40)의 수평단면적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공(41b)의 총면적은 필터(41a)의 면적 1에 대하여 1/20 이상의 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필터공(41b)의 총면적은 1/15 내지 1/18 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필터공(41b)의 총면적이 필터(41a)의 면적 1에 대하여 1/20 미만인 경우에는 커피원액을 추출하고 남은 부유물로 인해 필터공(41b)의 막힘 현상이 발생되어 필터(41a)의 여과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상기 필터(41a)를 상하로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2개의 필터(41a)가 소정 각도를 두고 비틀리도록 적층시킴으로써 커피원액이 여과될 수 있는 필터공(41b)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공(41b)의 직경에 따라 필터(41a) 상에서 물이 머무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추출되는 커피원액의 농도 또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필터(41a)의 상부에는, 추출기(41)의 내부 공간을 복수개의 격실로 구획하는 격벽(41c)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41c)에 의해 형성된 격실들에는 각각 커피분말이 충진되어 추출기(41)의 중심부에 집중될 수 있는 커피분말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41c)의 높이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추출기(41) 전체 높이에 대하여 6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벽(41c)에 의해 형성된 격실의 수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커피분말의 하중을 추출기(41) 전체로 분산하도록 적어도 3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벽(41c)에는 이웃하는 각 격실들 간에 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통공(41d)이 구비된다. 이는 격실들 간에 물의 이동으로 전체적으로 커피원액의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격벽(41c)의 통공(41d) 지름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격실들 간에 원활한 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60 내지 8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벽(41c)은 필터(41a)의 상부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격벽(41c)에 의해 형성된 격실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41c)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스테인레스스틸 소재의 판 또는 메쉬 형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추출기(41)의 외부에는 추출기(41) 내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41e)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추출기(41)의 하부에는 커피원액을 원액 저장부(50)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배출구는 커피원액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 유도관(32) 각각에 대응되는 추출기(41)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덮개(42)에는 외부에서 추출기(41)의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해 관측창(42a)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관측창(42a)을 통해 추출기(41) 내 커피원액의 추출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용이한 관찰을 위해, 덮개(42)에 발광다이오드 전등(42b)이 형성될 수 있다.
추출장치(10)의 원액 저장부(50)는 커피 추출부(40)로부터 추출된 커피원액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액 저장부(50)는 내부에 커피원액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한 본 발명의 커피 추출장치(1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물 저장부(20)의 물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피 추출부의 덮개(42)에는 추출기(41)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비접촉식센서(42c)가 일체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비접촉식센서(42c)에서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추출기(41) 내의 추출되는 커피원액이 넘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접촉식센서(42c)는 추출기(41) 내의 수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 마그네틱센서, 광센서, 초음파센서 및 정전용량식 센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피 추출장치(10)는 장치의 각 구성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프레임(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60)은 추출장치(10)가 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단에 바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커피추출장치는 물이 저장된 본체와 원두분말이 저장된 바스켓이 수직으로 배열되어 바스켓의 상부에서 본체의 물이 공급되므로 본체의 용량을 증대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커피 추출장치(10)는 커피 추출부(40) 및 원액 저장부(50)가 수직으로 배열되고, 상기 물 저장부(20)는 커피 추출부(40) 또는 원액 저장부(50)가 수평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물 저장부(20)의 물이, 커피 추출부(40)의 일측에서 펌프(31)를 통해 커피 추출부(40)로 공급되므로 물 저장부(20)의 용량 증대가 용이하므로 대량으로 커피원액을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물 저장부(20), 커피 추출부(40) 및 원액 저장부(50)는 100L의 커피원액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 충분한 용량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추출장치(10)를 사용하여 커피원액의 추출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임시 저장기(33)와 복수개의 유도관(34)이 형성된 물 공급부(30), 커피 추출부(40) 및 원액 저장부(50)를 수직으로 배열하고, 상기 물 저장부(20)는 커피 추출부(40) 또는 원액 저장부(50)가 수평으로 배열하여 도 1의 커피 추출장치(10)를 준비한다.
상기 물 저장부(20)에는 약 20℃ 정도의 물을 투입하고 상기 커피 추출부(40)에는 원두를 볶음 다음 분쇄된 커피분말을 충진한 다음, 약 12시간 동안 저온 추출을 진행하여 커피원액을 수득한다. 이렇게 얻어진 커피원액은 커피분말에 물이 고르게 투과되어 전체적으로 농도가 균일한 원액으로, 이로부터 제조된 커피 또한 풍미가 우수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 커피추출장치 20: 물 저장부
21: 물 저장부의 본체 22: 물 저장부의 덮개
22a: 수위감지센서 30: 물 공급부
31: 펌프 32: 공급라인
33: 임시 저장기 33a: 연결홀
34: 유도관 35: 조절밸브
40: 커피 추출부 41: 커피 추출부의 추출기
41a: 필터 41b: 필터공
41c: 격벽 41d: 통공
41e: 배출관 42: 커피 추출부의 덮개
42a: 관측창 42b: 발광다이오드 전등
42c: 비접촉식센서 50: 원액 저장부
60: 프레임

Claims (6)

  1.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20), 커피분말이 충진되어 커피 원액이 추출되는 커피 추출부(40), 상기 커피 추출부(40)로부터 추출된 커피 원액이 저장되는 원액 저장부(50) 및 상기 물 저장부(20)에서 커피 추출부(40)로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부(30)를 포함한 추출장치로,
    상기 물 공급부(30)는 물 저장부(20)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31), 상기 펌핑에 의해 펌핑된 물이 일시 저장되는 임시 저장기(33) 및 상기 임시 저장기(33)의 물을 커피 추출부(40) 내로 고르게 분사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유도관(34)을 포함하고,
    상기 커피 추출부(40)는 추출기(41)와 덮개(42)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기는 커피 원액이 여과되도록 복수개의 필터공(41b)이 구비된 필터(41a) 및 상기 추출기(41)의 내부 공간을 커피 분말이 충진되는 복수개의 격실로 각각 구획하고, 이웃하는 격실들 간에 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통공(41d)이 구비된 격벽(41c)을 포함하며,
    상기 유도관(34)은 각 격실에 물이 분사되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장치는 커피 추출부의 덮개(42)에 형성되어 추출기(41)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비접촉식 센서(42c) 및 상기 비접촉식 센서(42c)에서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실은 적어도 3개 이상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공(41b)의 총면적은 필터의 면적 1에 대하여 1/20 이상의 비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30)는 물 분사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5)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부(40) 및 원액 저장부(50)는 수직으로 배열되고, 상기 물 저장부(20)는 커피 추출부(40) 또는 원액 저장부(50)와 수평으로 배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장치.
KR1020140040560A 2014-04-04 2014-04-04 커피 추출장치 KR101569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560A KR101569824B1 (ko) 2014-04-04 2014-04-04 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560A KR101569824B1 (ko) 2014-04-04 2014-04-04 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460A KR20150115460A (ko) 2015-10-14
KR101569824B1 true KR101569824B1 (ko) 2015-11-30

Family

ID=5435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560A KR101569824B1 (ko) 2014-04-04 2014-04-04 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926A (ko) 2021-06-11 2022-12-20 (주) 호재 더치커피 추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3322B (zh) * 2019-11-18 2021-09-03 合肥云雀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净水器的饮水机节能供水装置
KR102392457B1 (ko) * 2020-12-09 2022-04-28 양동완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900B1 (ko) 2006-07-06 2007-05-02 김영수 음료 추출장치
KR101225535B1 (ko) * 2012-05-17 2013-01-23 손연옥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900B1 (ko) 2006-07-06 2007-05-02 김영수 음료 추출장치
KR101225535B1 (ko) * 2012-05-17 2013-01-23 손연옥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926A (ko) 2021-06-11 2022-12-20 (주) 호재 더치커피 추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460A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268B1 (ko) 대용량 저온투과식 액상커피추출기 및 액상커피추출방법
KR101468906B1 (ko) 자동 커피 드립장치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AU2020203487A1 (en) Automatic coffee maker and method of preparing a brewed beverage
KR101225535B1 (ko)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US10004185B2 (en) Closed loop compost tea brewer
KR101569824B1 (ko) 커피 추출장치
KR101896838B1 (ko) 자동 드립 커피 머신
KR20120078180A (ko) 더치커피기구의 수압 안정장치
JP4119911B2 (ja) 飲料抽出装置
CN103622558B (zh) 一种带泡茶功能的饮水机
KR101190168B1 (ko) 차 제조장치
KR101467397B1 (ko) 더치커피 제조용구로 전용 가능한 컵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더치커피 제조용구
CN101897287A (zh) 用于盆栽的滴灌灌水器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KR102419800B1 (ko) 아이스 음료 용기를 위한 보조 음료 용기
KR20150109706A (ko) 더치커피 대량 제조 장치
KR101852000B1 (ko)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CN205181110U (zh) 饮料冷却装置
KR101749938B1 (ko) 더치커피 제조장치
US20210267405A1 (en) Drip filter head and method
KR200478513Y1 (ko)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101464987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20210019970A (ko) 커피 캡슐
KR101825620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