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457B1 -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457B1
KR102392457B1 KR1020200171083A KR20200171083A KR102392457B1 KR 102392457 B1 KR102392457 B1 KR 102392457B1 KR 1020200171083 A KR1020200171083 A KR 1020200171083A KR 20200171083 A KR20200171083 A KR 20200171083A KR 102392457 B1 KR102392457 B1 KR 102392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ffee
cold brew
extraction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완
Original Assignee
양동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완 filed Critical 양동완
Priority to KR1020200171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기대; 상기 기대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부가 외주면 양측에 각기 힌지 결합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깔때기 형상의 협소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커피가루가 채워지며, 하부 저면에 배수공이 형성된 추출용기; 상기 추출용기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며 물을 공급하되 액적상태로 낙하되도록 하는 액적공급부; 상기 추출용기의 배수공에 연결되며 커피추출액이 배출되도록 결합되는 원액배출수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대량의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여 용기에 포장한 후 매장에 공급할 수 있어 대량 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고, 위생의 청결성을 보장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고 일관된 맛의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Low temperature ripening cold brew coffee extraction device using pressurized rotation method}
본 발명은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량의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커피 원두를 갈아 뜨거운 물로 우려낸 향이 진한 음료로서 전 세계적으로 음용되는 기호 식품의 하나이다. 커피가 가정으로 점점 확산됨에 따라, 품질 좋은 고급 커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고급 커피로 간주되는 콜드브루 커피(cold brew coffee)가 있다.
근래들어 원두커피 납품업체에서의 꾸준한 개발 요청이 발생하고 있다. 캔커피나 인스턴트커피와 달리 손쉽게 마실 수 있으면서도 풍부한 향미와 맛의 차별성으로 현재 한국 시장은 콜드브루의 열풍이 불고 있으며, 프랜차이즈 및 대형 카페에서도 콜드브루 머신 개발 요청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콜드브루 커피는 제조방식에서 나타나는 고질적인 문제인 세균 번식의 문제점이 있다.
콜드브루 제조방식은 원두가루와 물을 이용한 침전식, 침출식 방식으로 분류되며 두 가지 방식 모두 오랜 시간이 걸리며, 추출되는 과정 중 공기에 장시간 노출되어 각종 세균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콜드브루를 추출하고 바로 냉장보관 해도 최대 2주 짧으면 일주일 내로 소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커피의 눈물'이라는 광고처럼 생산량도 적고 짧은 유통기한, 오랜 제조 시간에도 불구하고 많은 수요량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콜드브루에 대한 커피 추출방식의 한계가 있다.
커피 입자를 초미세하게 갈아서 빠르게 생산한다는 방식은 과다추출로 발생하는 고 카페인, 맛의 변질 등 우려의 요소가 존재한다.
질소를 주입하여 진공상태를 만들어 세균 증식을 막는다는 발상은 항상 저장탱크가 진공상태를 유지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정작 콜드브루 저장탱크를 청소할 수 없어 결국 위생적인 측면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33710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대량의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여 용기에 포장한 후 공급처에 공급할 수 있어 대량 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고, 최종 추출된 커피원액에 대해 자외선 살균 소독의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위생의 청결성이 보장될 수 있어 안전하고 일관된 맛의 콜드브루 커피를 대량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설치되는 기대; 상기 기대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부가 외주면 양측에 각기 힌지 결합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깔때기 형상의 협소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커피가루가 채워지며, 하부 저면에 배수공이 형성된 추출용기; 상기 추출용기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며 물을 공급하되 액적상태로 낙하되도록 하는 액적공급부; 상기 추출용기의 배수공에 연결되며 커피추출액이 배출되도록 결합되는 원액배출수전;을 포함하는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추출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밀폐시키되 개폐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추출용기의 개구부 외주연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간에 가로질러 연결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힌지 결합되어 프레임의 내부의 양측에 각기 결합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적공급부는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급수관에 연결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관체와, 상기 관체의 토출구에 결합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챔버가 형성된 확장부재와, 상기 확장부재에 통하도록 결합되며 각기 상이한 각도로 결합되고, 끝단에는 물방울이 토출되어 낙하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액적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체는 중간에 거름망이 결합되고, 상기 거름망을 수용하며 관체의 외주면에 밀폐되게 체결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액배출수전은, 상기 추출용기의 배수공에 연결되는 제1배수관과, 상기 제1배수관에 연결되며 밸브가 부착된 제2배수관과, 제2배수관에 연결되며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2배수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배수관의 이음부에 삽입되는 필터망과, 상기 제1,2배수관의 이음부의 외주면 밀폐되게 체결되며 상기 필터망이 내부에 수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액배출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원액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개구공이 형성된 저장통; 상기 저장통의 저면의 개구공에 통하도록 결합되며 오목한 수용부를 갖는 베셀부; 상기 베셀부의 하부 정점부에 형성된 통공에 결합되며 커피원액을 배출하는 토출노즐; 상기 베셀부의 상부에 장착되며 저장통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에 장착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재는 개구부에 밀착되는 오링; 상기 오링의 상부에 안착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통수판; 상기 통수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필터막; 필터막의 상부에 안착되며 개구부에 끼움결합되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프레임에 형성된 각도센서와, 상기 각도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차체프레임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세제어수단은, 차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터모터; 센터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축브라켓; 축브라켓에 연결되고, 중앙측에는 돌출된 구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면부의 내측에는 곡률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면은 개방된 샤프트하우징이 형성되는 축샤프트; 일단부는 힌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하우징에 배치되는 구 형상의 축단베어링; 힌지축의 곡선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블록; 및 힌지축에 형성된 베어링홈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량의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여 용기에 포장한 후 매장에 공급할 수 있어 대량 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고, 위생의 청결성을 보장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고 일관된 맛의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 대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서 '저장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서 '원액배출수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서 '원액배출수전'을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서 '액적공급부'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서 '추출용기'를 반전시킨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서 추출용기의 '각도제어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 대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서 '저장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서 '원액배출수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서 '원액배출수전'을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서 '액적공급부'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서 '추출용기'를 반전시킨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서 추출용기의 '각도제어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기대(100); 기대(100)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지지대(120); 복수의 지지대(120)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부(122)가 외주면 양측에 각기 힌지 결합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깔때기 형상의 협소부(210)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커피가루가 채워지며, 하부 저면에 배수공이 형성된 추출용기(200); 추출용기(200)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며 물을 공급하되 액적상태로 낙하되도록 하는 액적공급부(300); 추출용기(200)의 배수공에 연결되며 커피추출액이 배출되도록 결합되는 원액배출수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대(100) 및 지지대(120)는 다수의 철골재를 용접 조립하여 대략 사각형상으로 제작하여 이루어지고, 상부 양측에 지지대(120)가 대향되게 수직으로 용접되어 장착된다.
추출용기(200)는 원통으로 이루어지되 하부에는 협소부(210)가 형성되고, 협소부(210)의 하부에 바닥판(220)이 좁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바닥판(220)의 일측에는 배수공(221)이 형성된다.
추출용기(200)의 하부에는 교반모터(241)와 감속기(242)가 장착되고, 감속기(242)의 출력축이 바닥판(220)의 타측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추출용기(200)의 바닥판(220)에 교반날개(243)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교반부(240)가 형성된다.
따라서 교반날개(243)는 정해진 속도 또는 시간마다 회전됨으로써 추출용기(200) 내의 커피가루를 뒤섞어줄 수 있게 된다.
추출용기(200)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밀폐시키되 개폐되는 덮개부(250)를 포함한다.
덮개부(250)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추출용기(200) 내의 커피가루를 배출하기 편하도록 개구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한꺼번에 커피가루를 붓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덮개부(250)는, 추출용기(200)의 개구부 외주연에 결합되는 프레임(251)과, 상기 프레임(251)의 중간에 가로질러 연결되는 연결바(252)와, 상기 연결바(252)에 힌지 결합되어 프레임(251)의 내부의 양측에 각기 결합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뚜껑(253)을 포함한다.
뚜껑(253)은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각기 개별적으로 개폐될 수 있어 필요한 부위만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추출용기(200)를 뒤집어서 내부에 남아있는 커피가루를 한꺼번에 배출하기 위한 반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반전부(500)는 추출용기(200)의 회전축에 형성되는 종동기어(510)와, 지지대(120)의 상부에 장착되는 모터(520)와, 모터(520)의 축에 결합되어 종동기어(510)와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530)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모터(520)의 구동에 의해 주동기어(530)가 회전되고, 종동기어(510)가 회전함으로써 추출용기(200)를 회전시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집어줄 수 있게 되므로 개구부를 통해 대량으로 커피찌꺼기를 배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추출용기(200)의 외면에 부착된 케이스(501)와, 케이스(501)의 내부에 형성된 각도센서(S')와, 각도센서(S') 및 제어부(503)와 연결되며 상기 추출용기(200)의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500');을 더 포함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각도제어수단(500')은, 상기 제어부(503)와 연동되는 센터모터(540), 축브라켓(511), 축샤프트(512), 축단베어링(515), 가이드블록(552) 및 가이드베어링(5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터모터(540)는 추출용기(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힌지축(300)은 상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터모터(540)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축브라켓(511)은 센터모터(540)의 힌지축(3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축샤프트(512)를 결합하기 위해 양측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축샤프트(512)는 양단부가 축브라켓(5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축샤프트(512)의 중앙측에는 돌출된 형태의 구면부(5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구면부(513)의 내측에는 곡률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면은 개방된 샤프트하우징(514)이 형성될 수 있다.
축단베어링(515)은 상기 샤프트하우징(514)에 배치되고, 축단베어링(515)의 일단부는 힌지축(300)에 연결될 수 있다.
축단베어링(515)의 일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샤프트하우징(514)의 내면 곡률에 대응되는 구 형상으로 이뤄져 있어, 샤프트하우징(514)의 내부에서 상하좌우로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축단베어링(515)은 구 형상의 볼베어링 형태일 수 있다.
가이드블록(552)은 케이스(501)의 내부에 대칭되게 배치되며, 그 사이에는 힌지축(300)의 기울어지는 회전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553)이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가이드베어링(551)이 형성된다.
가이드베어링(551)은 가이드블록(55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힌지축(300)을 구속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가이드베어링(551)은 힌지축(300)이 아치 형상의 가이드홀(553)을 따라 부드럽게 곡선 방향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추출용기(200)의 기울어짐을 각도센서(S')가 감지하게 되고, 이를 제어부(503)에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503)는 힌지축(300)의 각도 변화가 유발됨에 비례하여, 추출용기(200)의 경사 각도에 따라 반전부(500)의 모터(520)의 회전량을 조절하게 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적공급부(300)는,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급수관에 연결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관체(320)와, 관체(320)의 토출구에 결합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챔버가 형성된 확장부재(340)와, 확장부재(340)에 통하도록 결합되며 각기 상이한 각도로 결합되고, 끝단에는 물방울이 토출되어 낙하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액적노즐부(3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체(320)에는 외부의 정수 배관이 연결되어 정수된 물이 상시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된 정수는 확장부재(340)의 챔버에 충진된 후 액적노즐부(342)를 통해 소량씩 배출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콜드브루 커피를 목적으로 하므로 찬물이 액적공급부(300)를 통해 한방울씩 오랜시간을 들여 투입되어 커피원액을 추출하는 방식이므로 액적노즐부의 노즐공의 개구율을 조절하여 적절한 추출속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관체(320)는 중간에 거름망(362)이 결합되고, 거름망(362)을 수용하며 관체(320)의 외주면에 밀폐되게 체결되는 클램프(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체(320는 여러개가 직렬로 배치되고 클램프(360)를 이용하여 밀폐상태가 되도록 연결하여 구성되고, 클램프(360)의 내부에 거름망(362)이 장착되어 공급되는 물에 포함되어 있을수 있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액배출수전(400)은, 추출용기(200)의 배수공에 연결되는 제1배수관(410)과, 제1배수관(410)에 연결되며 밸브(430)가 부착된 제2배수관(420)과, 제2배수관(420)에 연결되며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2배수관(420)으로 구성되고, 제1배수관(410)과 제2배수관(420)의 이음부에 삽입되는 필터망(440)과, 제1배수관(410)과 제2배수관(420)의 이음부의 외주면 밀폐되게 체결되며 필터망(440)이 내부에 수용되는 체결부재(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필터망(440)은 50메쉬가 적당하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한편 원액배출수전(400)으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원액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개구공이 형성된 저장통(600)이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통(600)의 저면의 개구공에 통하도록 결합되며 오목한 수용부를 갖는 베셀부(620)가 형성되며, 베셀부(620)의 하부 정점부에 형성된 통공에 결합되며 커피원액을 배출하는 토출노즐(630)이 형성되고, 베셀부(620)의 상부에는 저장통(600) 저면과 동일한 높이에 필터부재(640)가 장착되어 커피찌꺼기를 걸러내도록 한 것이다.
필터부재(640)는 PP부직포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토출노즐(630)에는 개폐작동 또는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밸브(미도시)가 장착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부재(640)는, 개구부에 밀착되는 오링(641);오링(641)의 상부에 안착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통수판(642); 통수판(642)의 상부에 안착되는 필터막(643); 필터막(643)의 상부에 안착되며 개구부에 끼움결합되는 링부재(6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액배출수전(400)에서 유입되는 커피원액, 즉 콜드브루 커피원액이 저장통(600)에 저장될 수 있고, 먼저 베셀부(620)의 수용부에 저장된 후 하부의 토출노즐(63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토출노즐(630)에서 배출되는 커피액을 용기(700)에 담아 공급처에 수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700)를 자외선으로 살균 소독할 수 있도록 자외선 살균부(800)가 저장통(600)의 하부 토출노즐(630)의 주변에 더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기대 120 : 지지대
200 : 추출용기 240 ; 교반부
241 : 교반모터 242 : 감속기
243 : 교반날개 250 : 덮개부
300 : 액적공급부 320 : 관체
340 : 확장부재 342 : 액적노즐부
360 ; 클램프 400 : 원액배출수전
410 : 제1배수관 420 : 제2배수관
440 : 필터망 460 : 체결부재
500 : 반전부 510 ; 종동기어
530 : 주동기어 500' ; 각도제어수단
S' : 각도센서 503 : 제어부
511 : 축브라켓 512 : 축샤프트
513 : 구면부 515 : 축단베어링
540 ; 센터모터 552 : 가이드블록
551 : 가이드베어링 600 : 저장통
620 : 베셀부 630 ; 토출노즐
640 : 필터부재 642 : 통수판
643 : 필터막 644 : 링부재

Claims (9)

  1. 지면에 설치되는 기대;
    상기 기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부가 외주면 양측에 각기 힌지 결합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깔때기 형상의 협소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커피가루가 채워지며, 하부 저면에 배수공이 형성된 추출용기;
    상기 추출용기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며 물을 공급하되 액적상태로 낙하되도록 하는 액적공급부;
    상기 추출용기의 배수공에 연결되며 커피추출액이 배출되도록 결합되는 원액배출수전;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액적공급부는,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급수관에 연결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관체;
    상기 관체의 토출구에 결합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챔버가 형성된 확장부재;
    상기 확장부재에 통하도록 결합되며 각기 상이한 각도로 결합되고, 끝단에는 물방울이 토출되어 낙하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액적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체는 중간에 거름망이 결합되고, 상기 거름망을 수용하며 관체의 외주면에 밀폐되게 체결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원액배출수전은,
    상기 추출용기의 배수공에 연결되는 제1배수관과, 상기 제1배수관에 연결되며 밸브가 부착된 제2배수관과, 제2배수관에 연결되며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2배수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배수관과 제2배수관의 이음부에 삽입되는 필터망과, 상기 제1배수관과 제2배수관의 이음부의 외주면 밀폐되게 체결되며 상기 필터망이 내부에 수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액배출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원액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개구공이 형성된 저장통;
    상기 저장통의 저면의 개구공에 통하도록 결합되며 오목한 수용부를 갖는 베셀부;
    상기 베셀부의 하부 정점부에 형성된 통공에 결합되며 커피원액을 배출하는 토출노즐;
    상기 베셀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베셀부의 상부에 밀착되는 오링;
    상기 오링의 상부에 안착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통수판;
    상기 통수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필터막;
    상기 필터막의 상부에 안착되며 개구부에 끼움결합되는 링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기를 뒤집어서 커피가루를 배출하기 위한 반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부는, 추출용기의 회전축에 형성되는 종동기어와, 지지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종동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기의 외면에 부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각도센서와, 상기 각도센서 및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추출용기의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1020200171083A 2020-12-09 2020-12-09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102392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083A KR102392457B1 (ko) 2020-12-09 2020-12-09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083A KR102392457B1 (ko) 2020-12-09 2020-12-09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457B1 true KR102392457B1 (ko) 2022-04-28

Family

ID=8144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083A KR102392457B1 (ko) 2020-12-09 2020-12-09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4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316B1 (ko) * 2022-12-14 2023-03-06 주식회사 양인터네셔널 새싹보리 분말과 완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콜드브루 커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콜드브루 커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674A (ja) * 2003-02-03 2004-08-26 Samson Co Ltd 蓋と蓋開閉用アームの着脱を行う回転釜
KR101453921B1 (ko) * 2013-05-31 2014-10-23 주식회사 상리 더치커피 제조용 휴대용기
KR20150115460A (ko) *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네오빈스 커피 추출장치
KR20150120130A (ko) * 2014-04-17 2015-10-27 안치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KR20160133710A (ko) 2015-05-13 2016-11-23 전영민 대용량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828858B1 (ko) * 2017-06-22 2018-02-13 주식회사 이멕스 고농도 콜드브루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674A (ja) * 2003-02-03 2004-08-26 Samson Co Ltd 蓋と蓋開閉用アームの着脱を行う回転釜
KR101453921B1 (ko) * 2013-05-31 2014-10-23 주식회사 상리 더치커피 제조용 휴대용기
KR20150115460A (ko) *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네오빈스 커피 추출장치
KR20150120130A (ko) * 2014-04-17 2015-10-27 안치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KR20160133710A (ko) 2015-05-13 2016-11-23 전영민 대용량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828858B1 (ko) * 2017-06-22 2018-02-13 주식회사 이멕스 고농도 콜드브루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316B1 (ko) * 2022-12-14 2023-03-06 주식회사 양인터네셔널 새싹보리 분말과 완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콜드브루 커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콜드브루 커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6255B2 (ja) 飲み物容器
US9167933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US20180098658A1 (en) Cold brew system, method and apparatus
ES2362398T3 (es) Dispositivo de escaldado para café y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una bebida de café con un dispositivo de escaldado.
JP2023171440A (ja) 低温抽出コーヒー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5554249B2 (ja) 飲料を作るプロセスで使われるのに適する部品のセット
KR102392457B1 (ko) 가압 회전 방식을 이용한 저온숙성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JP2018501835A (ja) 飲み物を抽出する装置
CA2894312C (en) Improvements in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 and liquid food products
JP7116814B2 (ja) 飲料製造装置
US11751718B2 (en) Hydraulic siphon assisted brewing apparatus with agitation mechanism
JP2021506397A (ja) 便利な液だれ防止機能付き飲料調製マシン
EP3595497B1 (en) Infusion assembly and containment vessel provided with such an infusion assembly
JP2004118680A (ja) 茶系飲料供給装置
JP2006198213A (ja) 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KR200485984Y1 (ko) 조절이 용이한 더치 커피 메이커
KR101825620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제조방법
KR102600171B1 (ko) Ai 기반 커피 추출시간 자동 조정 기능의 더치커피 인퓨저
JPS59166117A (ja) コ−ヒ−沸し器
ES2942290T3 (es) Sistema de distribución de bebidas con purga y descarga de residuos mejoradas, y proceso de operación de dicho sistema
RU246394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имеющее емкость для воды и элемент для установления размера выпускного отверстия емкости для воды
EP4129124B1 (en) Filter holder for coffee machine
US20230010774A1 (en) Infuser and system for preparing an infused beverage
KR101701251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JP2021506409A (ja) 滴排出機能付き飲料調製マ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