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800B1 - 아이스 음료 용기를 위한 보조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아이스 음료 용기를 위한 보조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800B1
KR102419800B1 KR1020200147462A KR20200147462A KR102419800B1 KR 102419800 B1 KR102419800 B1 KR 102419800B1 KR 1020200147462 A KR1020200147462 A KR 1020200147462A KR 20200147462 A KR20200147462 A KR 20200147462A KR 102419800 B1 KR102419800 B1 KR 102419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outlet
beverage container
ic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1460A (ko
Inventor
이강욱
Original Assignee
이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욱 filed Critical 이강욱
Priority to KR1020200147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80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1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아이스 음료 용기를 위한 보조 음료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음료 용기는, 음료 용기 내부에 투입되는 몸체,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출입되고 음료가 유입되는 제1 유출입구,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음료가 유출입되는 제2 유출입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아이스 음료 용기에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보조 음료 용기를 이용하여, 아이스 음료 섭취 전에 희석되지 않은 음료를 보관하였다가 음료 섭취 중에 적정량을 유출하여 줌으로써, 음료 섭취 후반부에도 음료의 농도가 많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음료를 즐기는 내내 음료의 맛과 풍미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아이스 음료 용기를 위한 보조 음료 용기{Auxiliary beverage container for iced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스 음료 용기에 보조로 사용될 수 있는 보조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아이스 음료는 얼음에 음료를 부어 차갑게 즐기는 음료이다. 얼음에 의해 음료를 차갑게 유지시킬 수 있지만, 얼음 때문에 음료 섭취 후반부로 갈수록 음료의 농도가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섭취 후반부에도 음료의 농도가 많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음료를 즐기는 내내 음료의 맛과 풍미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스 음료 섭취 전에 희석되지 않은 음료를 보관하였다가, 음료 섭취 중에 적정량을 유출하여 주는 아이스 음료 용기에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보조 음료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음료 용기는, 음료 용기 내부에 투입되는 몸체;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출입되고 음료가 유입되는 제1 유출입구;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음료가 유출입되는 제2 유출입구;를 포함한다.
몸체는, 음료 용기의 내벽에 끼워지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몸체는, 중앙부가 관통 되어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음료 용기에 얼음과 음료가 담겨지면, 제2 유출입구를 통해 음료 용기에 있는 얼음에 희석되기 전의 음료가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제1 유출입구를 통해 몸체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유출되고, 제1 유출입구를 통해 몸체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유출되면서 제1 유출입구를 통해 몸체의 내부로 음료가 유입될 수 있다.
음료 용기에 담겨진 음료의 수면이 제1 유출입구 아래로 내려가면, 제2 유출입구를 통해, 몸체 내부에 있던 얼음에 희석되기 전의 음료가 음료 용기로 유출되고, 제1 유출입구를 통해, 몸체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2 유출입구에서는, 음료의 수면이 제1 유출입구의 아래로 내려간 만큼 음료가 유출되고, 제1 유출입구에서는 제2 유출입구를 통해 음료가 유출된 만큼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1 유출입구의 개수와 제2 유출입구의 개수는,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제1 유출입구의 개수는, 제1 유출입구에 접착된 스티커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조절 가능하고, 제2 유출입구의 개수는, 제2 유출입구에 접착된 스티커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조절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는, 스프링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세트는,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 내부에 투입되는 보조 음료 용기;를 포함하고, 보조 음료 용기는, 몸체;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출입되고 음료가 유입되는 제1 유출입구;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음료가 유출입되는 제2 유출입구;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아이스 음료 용기에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보조 음료 용기를 이용하여, 아이스 음료 섭취 전에 희석되지 않은 음료를 보관하였다가 음료 섭취 중에 적정량을 유출하여 줌으로써, 음료 섭취 후반부에도 음료의 농도가 많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음료를 즐기는 내내 음료의 맛과 풍미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음료 용기를 위한 보조 음료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2에는 아이스 음료 용기의 내벽에 보조 음료 용기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시된 보조 음료 용기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 4는 보조 음료 용기가 끼워진 아이스 음료 용기에 얼음이 담겨지고, 음료가 채워진 상태를 수직 방향의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보조 음료 용기가 끼워진 아이스 음료 용기에서 음료 일부가 섭취된 상태를 수직 방향의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유출입구 스티커와 용기 유출입구 스티커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음료 용기가 아이스 음료 용기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음료 용기를 위한 보조 음료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음료 용기(100) 외에 아이스 음료 용기(10)를 더 도시하였다.
아이스 음료 용기(10)는 아이스 음료가 담겨지는 용기이다. 즉, 아이스 음료 용기(10)에는 음료와 얼음이 담겨진다.
보조 음료 용기(100)는 아이스 음료 용기(10)로 투입되어 아이스 음료 용기(10)의 내벽에 끼워진 상태로 사용된다. 도 2에는 아이스 음료 용기(10)의 내벽에 보조 음료 용기(100)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하였다.
보조 음료 용기(100)를 아이스 음료 용기(10)의 내부에 장착하기 용이하도록, 아이스 음료 용기(10)에 얼음과 음료가 담겨지기 전에 보조 음료 용기(100)를 먼저 끼우는 것이 좋다.
보조 음료 용기(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 제1 유출입구(120) 및 제2 유출입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0)는 내부에 공기 또는 음료가 담겨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몸체(110)의 외벽 형상은 아이스 음료 용기(10)의 내벽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되고, 음료와 얼음 및 빨대를 수납할 수 있도록 몸체(110)의 중앙부는 관통 되어(비어),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아이스 음료 용기(10)의 형상을 따라, 몸체(110)도 상부 지름이 하부 지름 보다 길다. 또한, 아이스 음료 용기(10)는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인데, 상하 길이는 필요한 적정 길이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몸체(11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다. 제시된 바와 다르게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다르게 구현할 수 있는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몸체(110)는 음료에 의해 용해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구현한다. 이를 테면, 플라스틱, 실리콘, 유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보조 음료 용기(100)는 일회용이나 다회용 모두로 구현할 수 있는 바, 그에 따라 몸체(110)의 재질도 일회용 재질이나 다회용 재질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의 (a)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음료 용기(100)를 상부에서 바라보면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음료 용기(100)의 상면에는 제1 유출입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유출입구(120)는 공기가 유출입되고 음료가 유입될 수 있는 구멍이다. 즉, 제1 유출입구(120)를 통해, 몸체(110)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면서 몸체(110)의 내부로 음료가 유입되기도 하고, 공기가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기도 한다.
도 3의 (b)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음료 용기(100)를 하부에서 바라보면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과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음료 용기(100)의 하면에는 제2 유출입구(130)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유출입구(130)는 아이스 음료 용기(10)에 담겨진 음료가 유출입되는 구멍이다. 즉, 제2 유출입구(130)를 통해, 음료가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기도 하고, 몸체(110)의 내부에 있던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기도 한다.
보조 음료 용기(100)의 내벽에 아이스 음료 용기(10)가 끼워진 상태를 도 2에 도시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아이스 음료 용기(10)에 얼음이 담겨지고, 음료가 채워진 상태를 도 4에 수직 방향의 단면으로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얼음이 담겨진 아이스 음료 용기(10)에 음료가 담겨져 있는데, 음료를 채웠기 때문에 음료의 수면이 제1 유출입구(120)의 위로 올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2 유출입구(130)를 통해 음료가 유입되어 몸체(110)의 내부에 담겨지게 된다. 그리고, 몸체(110)의 내부로 음료가 유입됨에 따라, 제1 유출입구(120)를 통해서는 몸체(110)의 내부 공기가 유출된다.
이와 더불어, 몸체(110)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제1 유출입구(1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면서, 제1 유출입구(120)를 통해 몸체(110)의 내부로 음료가 유입될 수도 있다.
제1 유출입구(130)와 제2 유출입구(130)를 통한 음료 유입과 제1 유출입구(120)를 통한 공기 유출은 몸체(110)의 내부에 음료가 모두 채워질때까지 계속된다. 이에 따라, 몸체(110)의 내부에는 얼음에 의해 희석되기 전의 음료가 채워지게 된다.
아이스 음료 용기(10)에 담겨진 음료를 섭취함으로써, 음료의 수면이 아이스 음료 용기(10)의 제1 유출입구(120)의 아래로 내려간 상태를 도 5에 수직 방향의 단면으로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면, 제2 유출입구(130)를 통해 몸체(110)의 내부에 있던 음료가 아이스 음료 용기(10)로 유출된다. 몸체(110)의 내부에서 음료가 유출됨에 따라, 제1 유출입구(120)를 통해서는 공기가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제2 유출입구(130)를 통한 음료 유출과 제1 유출입구(120)를 통한 공기 유입은, 아이스 음료 용기(10)에 담겨진 음료의 수면과 몸체(110)의 내부에 있는 음료의 수면이 동일해질 때까지 계속된다.
즉, 제2 유출입구(130)에서는 음료의 수면이 제1 유출입구(120)의 아래로 내려간 만큼 음료가 유출되고, 제1 유출입구(120)에서는 제2 유출입구(130)를 통해 음료가 유출된 만큼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제2 유출입구(130)를 통해 몸체(110)에서 아이스 음료 용기(10)로 유출되는 음료는 얼음에 의해 희석되기 전의 음료, 즉, 얼음에 의해 거의 희석되지 않은 음료로, 음료 섭취 과정에서 아이스 음료 용기(10)에서 얼음에 의해 희석된 음료 보다 농도가 높다.
보조 음료 용기(100)에서 유출되는 희석전의 음료는 아이스 음료 용기(10)에서 얼음에 의해 희석된 음료와 섞여, 아이스 음료 용기(10)에서 희석된 음료의 농도를 높여준다.
이후, 음료 섭취가 계속되어, 아이스 음료 용기(10)에 담겨진 음료의 수면이 보조 음료 용기(100)의 제2 유출입구(130) 보다도 낮아지게 되면, 몸체(110)의 내부에 담겨 있는 희석전 음료는 모두 유출된다.
지금까지, 아이스 음료 용기(10)에 담겨진 음료의 농도를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조 음료 용기(100)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음료 용기(100)의 제1 유출입구(120)와 제2 유출입구(130)의 개수를 각각 4개로 구현하였는데, 일 예에 불과하다.
필요에 따라 다른 개수로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유출입구(120)와 제2 유출입구(130)의 개수를 서로 일치시킬 필요도 없으며, 양자의 개수를 서로 다르게 구현할 수도 있다.
공기와 음료의 유출입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1 유출입구(120)와 제2 유출입구(130)의 개수를 늘여야 하고, 공기와 음료의 유출입 속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제1 유출입구(120)와 제2 유출입구(130)의 개수를 줄여야 한다.
한편, 제1 유출입구(120)와 제2 유출입구(130)의 개수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출입구(120)와 제2 유출입구(130)에 각각 접착되어 있는 제거가 가능한 제1 유출입구 스티커(125)와 용기 유출입구 스티커(135)를 이용하여, 제1 유출입구(120)와 제2 유출입구(130)의 개수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가능하다.
도 6에는 제1 유출입구 스티커(125)가 2개만 제거되어 2개의 제1 유출입구(120)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유출입구 스티커(135)도 2개만 제거되어 2개의 제2 유출입구(13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한편, 위 실시예에서 보조 음료 용기(100)의 몸체(110)의 내부는 비어 있는 것을 상정하였는데, 음료 원액, 음료 농축액, 음료 가루 중 하나가 담겨지도록 구현 가능하다.
이에 경우에는, 보조 음료 용기(100)의 몸체(110)에 담겨지게 되는 음료의 농도가 더욱 높아지게 되어, 음료 섭취 과정에서 제2 유출입구(130)를 통해 유출되는 음료가 아이스 음료 용기(10)의 음료 농도를 더욱 높여 줄 수 있게 된다.
보조 음료 용기(100)에 음료 원액, 음료 농축액, 음료 가루를 주입하는 시기에 대한 제한도 없다. 즉, 보조 음료 용기(100)를 아이스 음료 용기(10)에 투입하기 전에 이를 보조 음료 용기(100)에 주입할 수도 있고, 투입한 후에 이를 보조 음료 용기(100)에 주입할 수도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는, 보조 음료 용기(100)가 아이스 음료 용기(10)의 내벽에 끼워지는 구조인 것을 상정하였는데, 역시 예시적인 것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를 테면, 보조 음료 용기(100)를 아이스 음료 용기(10)의 내벽에 걸어놓거나 아이스 음료 용기(10)의 뚜껑에 매달아 놓을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보조 음료 용기(100)의 몸체(110)의 형상은 다양한 구현이 가능하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음료 용기가 아이스 음료 용기(10)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를 스프링 형상으로 구현하고, 몸체(210)의 상부 끝단에 제1 유출입구(220)가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 제2 유출입구(23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 제시된 몸체(210)의 형상도 일 예에 불과하다. 보조 음료 용기의 몸체(210)는 그 밖의 다른 형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몸체의 중앙부가 관통 되어 있지 않아도, 즉,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나아가, 아이스 음료 용기(10)에 담겨지는 아이스 음료의 종류에 대한 제한도 없다. 커피, 차, 탄산 음료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아이스 음료를 담는 아이스 음료 용기(10)에 대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아이스 음료 용기(10)의 종류에 대해서도 제한은 없다. 아이스 음료 용기(10)가 다회용인 경우는 물론, 일회용인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아이스 음료 용기(10)와 보조 음료 용기(100)를 함께 세트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아이스 음료 용기
100 : 보조 음료 용기
110 : 몸체
120 : 제1 유출입구
130 : 제2 유출입구

Claims (10)

  1. 음료 용기 내부에 투입되는 몸체;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출입되고 음료가 유입되는 제1 유출입구;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음료가 유출입되는 제2 유출입구;를 포함하고,
    음료 용기에 얼음과 음료가 담겨지면,
    제2 유출입구를 통해 음료 용기에 있는 얼음에 희석되기 전의 음료가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제1 유출입구를 통해 몸체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유출되고,
    제1 유출입구를 통해 몸체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유출되면서, 제1 유출입구를 통해 몸체의 내부로 음료가 유입되며,
    음료 용기에 담겨진 음료의 수면이 제1 유출입구 아래로 내려가면,
    제2 유출입구를 통해, 몸체 내부에 있던 얼음에 희석되기 전의 음료가 음료 용기로 유출되고,
    제1 유출입구를 통해, 몸체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음료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는,
    음료 용기의 내벽에 끼워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음료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몸체는,
    중앙부가 관통 되어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음료 용기.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유출입구에서는, 음료의 수면이 제1 유출입구의 아래로 내려간 만큼 음료가 유출되고,
    제1 유출입구에서는 제2 유출입구를 통해 음료가 유출된 만큼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음료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유출입구의 개수와 제2 유출입구의 개수는,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음료 용기.
  8. 음료 용기 내부에 투입되는 몸체;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출입되고 음료가 유입되는 제1 유출입구;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음료가 유출입되는 제2 유출입구;를 포함하고,
    제1 유출입구의 개수는,
    제1 유출입구에 접착된 스티커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조절 가능하고,
    제2 유출입구의 개수는,
    제2 유출입구에 접착된 스티커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음료 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는,
    스프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음료 용기.
  10.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 내부에 투입되는 보조 음료 용기;를 포함하고,
    보조 음료 용기는,
    몸체;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출입되고 음료가 유입되는 제1 유출입구;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음료가 유출입되는 제2 유출입구;를 포함하고,
    음료 용기에 얼음과 음료가 담겨지면,
    제2 유출입구를 통해 음료 용기에 있는 얼음에 희석되기 전의 음료가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제1 유출입구를 통해 몸체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유출되고,
    제1 유출입구를 통해 몸체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유출되면서, 제1 유출입구를 통해 몸체의 내부로 음료가 유입되며,
    음료 용기에 담겨진 음료의 수면이 제1 유출입구 아래로 내려가면,
    제2 유출입구를 통해, 몸체 내부에 있던 얼음에 희석되기 전의 음료가 음료 용기로 유출되고,
    제1 유출입구를 통해, 몸체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세트.
KR1020200147462A 2020-11-06 2020-11-06 아이스 음료 용기를 위한 보조 음료 용기 KR102419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462A KR102419800B1 (ko) 2020-11-06 2020-11-06 아이스 음료 용기를 위한 보조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462A KR102419800B1 (ko) 2020-11-06 2020-11-06 아이스 음료 용기를 위한 보조 음료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460A KR20220061460A (ko) 2022-05-13
KR102419800B1 true KR102419800B1 (ko) 2022-07-11

Family

ID=8158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462A KR102419800B1 (ko) 2020-11-06 2020-11-06 아이스 음료 용기를 위한 보조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8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503B1 (ko) 2022-08-04 2023-09-12 임준빈 눈꽃 아이스 컵 음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4054B2 (en) * 2019-06-24 2024-01-16 The Roxi Group, Inc. Dry ice receptacle for crystallizing, containing, and sublimating dry ice and dry ice dispens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257B1 (ko) * 2018-07-12 2019-11-18 이강욱 아이스 음료 농도 유지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114U (ko) * 2018-11-22 2020-05-29 홍순옥 농도 조절이 가능한 음료용 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257B1 (ko) * 2018-07-12 2019-11-18 이강욱 아이스 음료 농도 유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503B1 (ko) 2022-08-04 2023-09-12 임준빈 눈꽃 아이스 컵 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460A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9800B1 (ko) 아이스 음료 용기를 위한 보조 음료 용기
AU2011278538B2 (en) Method for brewing beverage and cartridge containing infusible material
EP2891428B1 (en) Cup for making tea on the go
US20160174741A1 (en) Drinking straw for infusing beverage during consumption
US53187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d water infusion of beverage and sweetener
US5678472A (en) Decoc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40251152A1 (en) Beverage container suitable for making cold or hot beverage
ES2436240T3 (es) Accesorio para la preparación de bebidas
KR102046257B1 (ko) 아이스 음료 농도 유지기
JP3114418U (ja) 漏斗受け具
KR20200001114U (ko) 농도 조절이 가능한 음료용 컵
JPH07298973A (ja) 茶漉し付き湯飲み
CN105725633A (zh) 一种泡茶器
US20180192673A1 (en) Beverage Cooling and Flavoring System
KR101881652B1 (ko) 아이스 음료 농도 유지기
KR200404021Y1 (ko) 여과기가 마련된 종이컵
KR102490282B1 (ko) 더치커피의 농도편차를 줄이기 위한 물 공급 구조 개선형 더치커피 추출기
US20220007865A1 (en) Drinkware with Integrated Infuser Holder
CN113665942B (zh) 便携式调酒装置
KR20220000097A (ko)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음료 컵
CN219192837U (zh) 一种防漏防溢饮品瓶
TWI699315B (zh) 冰飲料器構造
US20220175164A1 (en) Flavor Dispensing Drinking Straw
KR200317336Y1 (ko) 소형 생수병용 막대형 티-백
KR200412061Y1 (ko) 티백용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