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097A -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음료 컵 - Google Patents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음료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097A
KR20220000097A KR1020200077633A KR20200077633A KR20220000097A KR 20220000097 A KR20220000097 A KR 20220000097A KR 1020200077633 A KR1020200077633 A KR 1020200077633A KR 20200077633 A KR20200077633 A KR 20200077633A KR 20220000097 A KR20220000097 A KR 20220000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everage
auxiliary container
container par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만상
Original Assignee
윤만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만상 filed Critical 윤만상
Priority to KR102020007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097A/ko
Publication of KR2022000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7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음료 컵의 컵 뚜껑은, 음료 컵의 상부를 덮도록 컵과 결합될 수 있는 바디부; 및 바디부 아래쪽에서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면과 대면하여 형성되고 끝단의 적어도 일부가 바디부와 연결되어 그 내부에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단부에는 액체를 투입할 수 있는 주입구 및 하단부에는 액체가 중력을 이용하여 누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누수 구멍을 포함하는 수용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음료 컵{DRINK CUP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CONCENTRATION OF DRINKS}
본 발명은 기능성 음료 컵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이스 커피 등 음료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음료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스 커피 등을 일회용 컵에 담을 때는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컵(100)을 사용하게 된다.
도 1의 도시된 기존의 음료 컵 (100)은 상단부에 테두리(101) 나 컬링부가 형성되어 컵 뚜껑을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음료수가 그 내부에 담기고 상부는 상기 테두리(101)를 통해 개방되고 하부는 바닥면 등에 의해 막힌 형태를 갖는 컵 용기부(102)로 구성된다.
한편, 아이스 커피와 같은 경우, 얼음과 소량의 물 그리고 진한 농도의 에스프레소 커피를 컵에 투입하여 제공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경우, 처음에는 물의 양이 적어 커피가 매우 진하게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얼음이 녹아 물이 되면서 커피의 농도가 천천히 연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처음 커피를 마실 때는 매우 진한 커피를 마시게 될 것이고 점차 점점 연한 커피를 마시게 될 것이다. 그리고 커피를 천천히 마시게 된다면 마지막에는 거의 물맛이 나는 커피만을 마시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이스 음료의 농도를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음료 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음료 컵은, 상기 음료수가 그 내부에 담기며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힌 형태를 갖는 상기 컵 용기부; 및 상기 컵 용기부에서 상기 컵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면과 대면하여 형성되고 끝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컵 용기부와 연결되어 그 내부에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단부에는 액체를 투입할 수 있는 주입구 및 하단부에는 상기 액체가 외부로 흘러내릴 수 있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보조 용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용기부는 상기 컵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면을 상기 보조 용기부의 외측면으로 공유하고, 상기 외측면에 대면하는 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구는 상기 보조 용기부의 상단에서 상기 내부면와 상기 외부면이 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용기부는 상기 컵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면을 상기 보조 용기부의 외측면으로 공유하고, 상기 외측면에 대면하는 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구는 상기 보조 용기부 상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내부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용기부는 내측면 및 외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컵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면을 상기 보조 용기부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공유하고, 상기 컵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면을 상기 보조 용기부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공유하며, 상기 외측면과 내측면은 결합되어 원통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구는 상기 보조 용기부 상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외부면에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출구는 상기 보조 용기부 하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내부면 하단 영역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용기부는 상기 컵 용기부 안쪽에서 상기 컵 용기부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용기부의 상기 내부면은 반원통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료 컵은, 상기 유출구를 막거나 열수 있는 마개부; 및 상기 마개부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 용기부 내부를 따라 상기 주입구 외부까지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용기부는 상기 컵 용기부 안쪽에서 상기 컵 용기부의 측면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주입구에서 상기 유출구까지 길게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컵을 사용하면, 컵 용기부에 담긴 제1 농축액과 보조 용기부에 담긴 제2 농축액을 별도로 담은 후, 유출구에 막힌 마개를 열면, 보조 용기부에 담긴 농축액이 컵 용기부에 담긴 음료를 마심에 따라 수위가 같이 조절되면서 아래 유출구를 통해 컵 용기부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컵 내부의 얼음이 녹더라도 천천히 추가되는 고농도 농축액으로 인해 일정한 농도의 음료수를 마실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일반적인 음료 컵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컵의 사용 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컵을 이용한 음료수 섭취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컵을 나타낸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컵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컵(200)은 컵 용기부(201) 및 보조 용기부(202)를 포함한다.
컵 용기부(201)는 음료수를 담기 위한 용기이며, 상부는 음료를 마시거나 빨대를 꼽기 위해 개방된 형태를 갖고 하부는 바닥면으로 막힌 형태이다. 컵 용기부(201)의 형상은 기존의 일반적인 컵의 형상을 갖는다.
보조 용기부(202)는 컵 용기부(201)에서 컵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면, 예를 들어 측면 일부와 대면하여 형성되고 끝단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측면부가 상기 컵 용기부와 연결되어 컵 용기부(201) 한쪽에 붙어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를 통해 그 내부에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보조 용기부(202) 상단부에는 액체를 투입할 수 있는 주입구(203)를 포함하고 하단부에는 액체가 외부로 흘러내릴 수 있는 유출구(20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용기부(202)는 보조 용기부(202)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컵 용기부(201)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컵 용기부(201)의 적어도 일부면과 보조 용기부의 외측면(205)을 공유하고 외측면에 대면하는 내측면(206)을 포함한다. 외측면(205)와 내측면(205)은 결합되어 하나의 원통 형상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주입구(203)는 보조 용기부(202)의 상단에서 내부면(206)과 외부면(205)가 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주입구(203)가 보조 용기부(202) 상단부에 형성되지만, 내부면(206)에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주입구(203)의 표면 높이가 컵 용기부(201)의 높이와 같다면 보조 용기부(202)의 상단에서 내부면(206)과 외부면(205)가 접하는 영역에 형성될 것이고, 주입구(203)의 표면 높이가 컵 용기부(201)의 높이보다 늦게 컵 내부 안쪽에 형성된다면 내부면(206)에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출구(204)는 보조 용기부(202) 하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내부면(206) 하단 영역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보조 용기부(202)는 컵 용기부(201) 안쪽에서 상기 컵 용기부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컵의 사용 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컵(200)은 도 2에 도시된 음료 컵의 구성에 마개부(301) 및 손잡이부(302)를 더 포함한다. 마개부(301)는 유출추(204)를 막거나 열 수 있는 마개이며, 실리콘이나 코르크 마개일 수 있다. 그리고 마개부(301)에는 보조 용기부(202) 내부를 따라 주입구(203) 외부까지 길게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302)가 마개부(301)에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컵을 이용한 음료수 섭취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4의 (a)는 보조 용기부(202)의 유출구(204)를 마개부(301)로 막은 상태에서, 컵 용기부(201)에 얼음과 물 그리고 제1 음료 농축액을 주입한다. 예를 들어 제1 음료 농축액은 에스프레소 커피일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용기부(202)에는 제2 음료 농축액만을 주입한다. 여기서 제2 음료 농축액도 에스프레소 커피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2)를 잡아 당겨 유출구(204)로부터 마개부(302)를 제거하면, 수압에 의해 컵 용기부(201)에 담긴 얼음, 물, 제1 음료 농축액의 혼합물과 보조 용기부(202)의 제2 음료 농축액의 수면 높이가 거의 같아지도록 유출구(204)를 통해 용액의 일부가 이동할 것이다. 이는 외부 기압에 따라 높이가 자동으로 같아지도록 용액이 하부에서 이동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컵 용기부(201)는 아이스 아메리카노 커피가 보조 용기부(202)에는 이보다 진한 에스프레소 커피가 담긴 것으로 설명한다.
우선, 아이스 아메리카노 커피만을 컵 용기부(201)에 제공하면, 처음에는 너무 진한 커피가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얼음이 녹아 커피 농도가 점차 연해지게 되고 나중에는 너무 연한 커피가 되고 말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를 음료 컵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도 4의 (b)에서와 같이 마개부(302)를 제거한 후, 아이스 아메리카노 커피를 마시게 된다. 시간이 지날수록 얼음이 녹으면서 컵 용기부(201)의 아이스 아메리카노 커피의 농도는 조금씩 연해지려고 하지만, 아울러 사용자가 컵 용기부(201) 내부의 아이스 아메리카노 커피를 마심에 따라 컵 용기부(201)의 수면이 낮아지고, 아울러, 보조 용기부(202)에 담겨 있는 진한 에스프레소 커피가 수압에 의해 유출구(204)를 통해 컵 용기부(201)로 이동할 것이고, 컵 용기부(201)의 아이스 아메리카노 커피의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용기부(201)의 아이스 아메리카노 커피를 마시면 낮아진 높이만큼 보조 용기부(202)의 에스프레스 커피는 컵 용기부(201)로 이동한다. 이는 보조 용기부(202)와 컵 용기부(201)의 상부면의 대기압이 같기 때문에 자동으로 높이가 같아지게 되고, 보조 용기부(202)의 자동으로 컵 용기부(201)의 용액 소비에 따라 자동 수위 조절이 된다. 그러면 시간이 지날수록 얼음이 녹더라도 보조 용기부(202)에서 이동한 진한 에스프레소 커피에 의해 사용자가 마시는 컵 용기부(201)의 아이스 아메리카노 커피의 농도는 일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컵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컵(500)은 도 2의 음료 컵(200)과 달리 보조 용기부(502)가 컵 용기부(50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보조 용기부(502)의 주입구(503)는 컵 용기부(501)의 외측면 바깥쪽에 형성되고, 유출구(504)는 컵 용기부(501)의 외측면 안쪽에 형성된다. 이 경우, 보조 용기부(502)의 외측면(505)의 일부 영역은 컵 용기부(501)의 적어도 일부면과 공유되며, 보조 용기부(502)의 내측면(506)의 일부 영역은 컵 용기부(501)의 적어도 일부면과 공유될 것이다. 이 경우에도 내측면(505)와 외측면(506)은 결합되어 빨대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이 될 수 있고, 컵 용기부(501)의 측면을 관통하는 모양이 된다.
도 5와 같은 음료 컵(500)은 주입구(503)가 외부에 노출되어 음료 농축액을 추가로 주입하기가 수월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컵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컵(600)은 보조 용기부(602)가 컵 용기부(601) 안쪽에서 컵 용기부의 측면 안쪽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보조 용기부(602)는 주입구에서 유출구까지 원통 형상 또는 반원통 형상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커피 농축액 등 보조 용기부 (602)에 담긴 액체에 의해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모양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컵을 사용하면, 컵 용기부에 담긴 제1 농축액과 보조 용기부에 담긴 제2 농축액을 별도로 담은 후, 유출구에 막힌 마개를 열고 사용할 수 있고, 보조 용기부에 담긴 농축액이 컵 용기부에 담긴 음료를 마심에 따라 수위가 같이 조절되면서 아래 유출구를 통해 컵 용기부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컵 내부의 얼음이 녹더라도 천천히 추가되는 고농도 농축액으로 인해 일정한 농도의 음료수를 마실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500, 600: 음료 컵
201, 501, 601: 컵 용기부
202, 502, 602 : 보조 용기부
203 : 주입구 204 : 유출구
205, 505 : 내측면
205, 506 : 외측면
301 : 마개부
302 : 손잡이부

Claims (9)

  1.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음료 컵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가 그 내부에 담기며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힌 형태를 갖는 상기 컵 용기부; 및
    상기 컵 용기부에서 상기 컵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면과 대면하여 형성되고 끝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컵 용기부와 연결되어 그 내부에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단부에는 액체를 투입할 수 있는 주입구 및 하단부에는 상기 액체가 외부로 흘러내릴 수 있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보조 용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용기부는 상기 컵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면을 상기 보조 용기부의 외측면으로 공유하고, 상기 외측면에 대면하는 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구는 상기 보조 용기부의 상단에서 상기 내부면와 상기 외부면이 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용기부는 상기 컵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면을 상기 보조 용기부의 외측면으로 공유하고, 상기 외측면에 대면하는 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구는 상기 보조 용기부 상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내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용기부는 내측면 및 외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컵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면을 상기 보조 용기부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공유하고, 상기 컵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면을 상기 보조 용기부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공유하며,
    상기 외측면과 내측면은 결합되어 원통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구는 상기 보조 용기부 상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외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컵.
  5. 제 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보조 용기부 하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내부면 하단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용기부는 상기 컵 용기부 안쪽에서 상기 컵 용기부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컵.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용기부의 상기 내부면은 반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컵.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컵은,
    상기 유출구를 막거나 열수 있는 마개부; 및
    상기 마개부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 용기부 내부를 따라 상기 주입구 외부까지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컵.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용기부는 상기 컵 용기부 안쪽에서 상기 컵 용기부의 측면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주입구에서 상기 유출구까지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컵.
KR1020200077633A 2020-06-25 2020-06-25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음료 컵 KR20220000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633A KR20220000097A (ko) 2020-06-25 2020-06-25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음료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633A KR20220000097A (ko) 2020-06-25 2020-06-25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음료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97A true KR20220000097A (ko) 2022-01-03

Family

ID=7934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633A KR20220000097A (ko) 2020-06-25 2020-06-25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음료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0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8816B2 (en) Multi-function beverage brewer and cup
US5125327A (en) Beverage pot
US9089239B2 (en) Infuser with solid region to selectively stop infusion and vessel for said infuser
US5678472A (en) Decoction apparatus and method
US10856682B2 (en) Aroma enhancing beverage containers and lids
US20080199580A1 (en) Tea maker with timer
KR20120106406A (ko) 더치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더치 커피 제조 방법
KR102419800B1 (ko) 아이스 음료 용기를 위한 보조 음료 용기
KR20100005625U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물병뚜껑
KR20220000097A (ko)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음료 컵
WO2003010063A1 (en) Hot beverage container
ES2928102T3 (es) Aparato de remojo y métodos para preparar una bebida
KR200489968Y1 (ko) 빨대가 구비된 음용기구
KR20200001114U (ko) 농도 조절이 가능한 음료용 컵
CN105725633A (zh) 一种泡茶器
JP2003135276A (ja) 保温ボトル
KR102666126B1 (ko)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KR102686095B1 (ko)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KR200485984Y1 (ko) 조절이 용이한 더치 커피 메이커
KR102402420B1 (ko) 기능성 콜드브루 메이커
JP2018198861A (ja) コーヒー抽出具への給湯装置
KR200358662Y1 (ko) 캡 조립체를 갖춘 머그컵
KR20190001718U (ko) 얼음 분리컵을 구비한 텀블러
KR200492816Y1 (ko) 과도한 액체 토출 방지용 캡
CN209136088U (zh) 水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