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066B1 - 더치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066B1
KR102415066B1 KR1020210122403A KR20210122403A KR102415066B1 KR 102415066 B1 KR102415066 B1 KR 102415066B1 KR 1020210122403 A KR1020210122403 A KR 1020210122403A KR 20210122403 A KR20210122403 A KR 20210122403A KR 102415066 B1 KR102415066 B1 KR 10241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ontainer
dutch
coffee powder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치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치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치콩
Priority to KR102021012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저온 수로 커피를 추출하여 커피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얼음이 수용되고 그 수용된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저온 수가 배출되는 얼음수용용기와, 상기 배출되는 저온 수에 의해 더치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커피가루수용용기와, 추출된 커피를 받아 저장하는 커피저장용기와, 상기 얼음수용용기, 커피가루수용용기, 커피저장용기를 순차적으로 고정 지지하는 용기지지 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장치{Dutch coffee extractor apparatus}
본 발명은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저온 수로 커피를 추출하여 커피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치커피라 함은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우려낸 커피로 네덜란드풍의 커피라 하여 붙여진 일본식 명칭이고, 영어식으로는 차가운 물에 우려낸다는 뜻으로 콜드 브루(cold brew)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더치커피는 따뜻한 물을 사용하는 일반 커피와 달리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커피가 추출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으나, 커피향이 좋고 쓴맛이 덜하며 카페인 함량이 적다는 특징 때문에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에게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더치커피의 추출방법으로, 커피가루에 소량의 물을 한 방울씩 공급함으로써 추출되는 점진 식과, 커피가루에 물을 부어 8시간 내지 12시간을 숙성시킨 뒤 여과지에 원액을 걸러내 추출되는 침출 식으로 구분된다.
상기의 점진 식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물 저장용기, 커피가루저장용기 및 이에 추출된 커피 액이 저장되는 커피용기로 구성되는 것으로써 비교적 그 구성이 간단하다.
그러나 상기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커피를 장시간 저온에서 추출되기 때문에 위생적인 문제점이 있고, 커피가루에 골고루 물이 공급되기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자가 발명한 특허문헌 1의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597969호의 더치커피 추출장치가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에 있어서,
물 저장용기(200)의 물이 공급되는 커피가루 용기(300)와, 그 커피가루 용기에서 추출된 커피 액이 저장되는 커피 액 용기(400) 및 상기 물 저장용기, 커피가루 용기, 커피 액 용기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물 저장용기가 부분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상부 홀(511)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510)과, 그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 1수직 프레임(540a) 및 제 2수직 프레임(540b)과, 상기 한 쌍의 제 1수직 프레임 및 제 2수직 프레임의 중단에 결합되며, 상기 커피가루 용기가 부분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중부 홀(521)이 형성된 중부 프레임(520)과, 상기 한 쌍의 제 1수직 프레임 및 제 2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커피 액 용기가 부분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삽입 홈(531)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53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커피 액 무게 및 상기 커피가루 용기의 진동 시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532) 및 상기 커피 액 용기가 안착되며, 상기 제어부에 커피 액 무게의 정보를 전달하는 무게센서(533)를 포함하고,
상기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저온의 물이 순환되는 저온케이스(600)를 포함하되, 그 저온케이스는,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부(620)와, 냉각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622)와, 저온케이스를 순환한 물을 상기 냉각부로 유입시키는 유출부(62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특허문헌 1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597969호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위치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번호 10-1597969(공고일: 2016.03.07.) 대한민국등록특허번호 10-1834657(공고일: 2018.03.05.)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위치이동이 용이하여 취급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시간의 더치커피 추출과정에서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추출된 더치커피의 산화를 방지함으로써 커피의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추출되는 커피를 살균할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한 시간에 다량의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C)이 마련되고, 내측 바닥면(11)은 평면을 이루며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저온 수가 떨어지는 복수 개의 구멍(12)이 골고루 분포되게 형성되고, 외주면 하부에는 결합 턱(13)이 형성되며, 그 결합 턱을 중심으로 상부외경(UD)은 하부외경(LD)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외경의 하부에서 바닥면(11)까지는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기울기부(14)를 형성시켜 된 얼음수용용기(10);
상단이 상기 결합 턱에 도달할 때까지 얼음수용용기의 하부외경을 수용하도록 끼워 결합되고, 하부 외주 면은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23)를 갖는 적어도 4각 이상의 각형을 이루며, 내측 바닥면(21)은 외곽에서 중심부 쪽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에는 커피추출액이 배출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는 하향하는 수직부(24)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바닥면 외측에는 배출구의 길이를 연장하는 연장부(26)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커피가루수용용기(20);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의 추출커피를 받아 저장하는 커피저장용기(30);
전방이 개방되고, 상부에는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의 상부 외주면 일부를 수용 지지하는 상부지지부(41)가 커피가루수용용기의 상부 외주 면과 부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커피저장용기의 하부를 받쳐주며 지지하는 하부지지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지지부의 사이에는 커피가루수용용기의 하부를 수용하며 지지하는 "∩"자형의 관통형 중간지지부(43)가 형성되고, 그 중간지지부의 외곽은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의 경사부(23) 및 수직부(24)와 부합하는 경사면(44a)과 수직면(44b)을 갖는 받침부(44)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연결부재(47)를 이용하여 또 다른 용기지지 틀(40)을 상호 연결 설치하는 연결부(46)를 형성시켜 된 용기지지 틀(40); 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위치이동이 용이하여 취급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시간의 더치커피 추출과정에서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추출된 더치커피의 산화를 방지함으로써 커피의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추출되는 커피를 살균할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한 시간에 다량의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결합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서 용기지지 틀 발췌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서 얼음수용용기 발췌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서 커피가루수용용기 발췌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서 얼음수용용기와 커피가루수용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가 복수 개 연결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본 발명은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저온의 물로 커피를 추출하여 커피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도 3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C)이 마련되고, 내측 바닥면(11)은 평면을 이루며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저온 수가 떨어지는 복수 개의 구멍(12)이 골고루 분포되게 형성되고, 외주면 하부에는 결합 턱(13)이 형성되며, 그 결합 턱을 중심으로 상부외경(UD)은 하부외경(LD)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외경의 하부에서 바닥면(11)까지는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기울기부(14)를 형성시켜 된 얼음수용용기(10);
상단이 상기 결합 턱에 도달할 때까지 얼음수용용기의 하부외경을 수용하도록 끼워 결합되고, 하부 외주 면은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23)를 갖는 적어도 4각 이상의 각형을 이루며, 내측 바닥면(21)은 외곽에서 중심부 쪽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에는 커피추출액이 배출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는 하향하는 수직부(24)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바닥면 외측에는 배출구의 길이를 연장하는 연장부(26)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커피가루수용용기(20);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의 추출커피를 받아 저장하는 커피저장용기(30);
전방이 개방되고, 상부에는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의 상부 외주면 일부를 수용 지지하는 상부지지부(41)가 커피가루수용용기의 상부 외주 면과 부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커피저장용기의 하부를 받쳐주며 지지하는 하부지지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지지부의 사이에는 커피가루수용용기의 하부를 수용하며 지지하는 "∩"자형의 관통형 중간지지부(43)가 형성되고, 그 중간지지부의 외곽은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의 경사부(23) 및 수직부(24)와 부합하는 경사면(44a)과 수직면(44b)을 갖는 받침부(44)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연결부재(47)를 이용하여 또 다른 용기지지 틀(40)을 상호 연결 설치하는 연결부(46)를 형성시켜 된 용기지지 틀(40); 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구성에서 얼음수용용기(10)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얼음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그 수용된 얼음이 녹아 발생하는 저온 수를 아래에서 설명되는 커피가루수용용기(20)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C)이 마련되고, 내측 바닥면(11)은 평면을 이루며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저온 수가 떨어지는 복수 개의 구멍(12)이 골고루 분포되게 형성되고, 외주면 하부에는 결합 턱(13)이 형성되며, 그 결합 턱을 중심으로 상부외경(UD)은 하부외경(LD)보다 크게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더치커피 추출장치에서 얼음수용용기(10)는,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C)이 마련되는데, 그 이유는, 얼음을 얼음수용용기(10)에 공급할 때는 열고, 공급 후에는 닫아 불순물이 얼음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얼음수용용기 내부를 보온하여 얼음이 서서히 녹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또 내측 바닥면(11)을 평면으로 하고 복수 개의 구멍(12)을 골고루 분포시킨 이유는, 얼음이 녹아 발생하는 저온 수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커피가루에 골고루 공급되어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20)에 수용된 커피가루로부터 골고루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멍(12)이 바닥면(11)의 중앙부에만 형성될 경우에는 커피가루수용용기(20)에 수용된 커피가루 중앙부분에서만 더치커피가 추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주면 하부에 결합 턱(13)이 형성되고, 그 결합 턱을 중심으로 상부외경(UD)이 하부외경(LD)보다 크게 형성시킨 이유는, 얼음수용용기(10)의 하부 일부가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상부 일부에 긴밀하게 끼워 결합되어 기밀성을 유지함으로 인하여 더치커피가 추출되는 과정에서 외기 산소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커피의 산화를 방지하고, 또 얼음수용용기(10)와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주면 하부에 결합 턱(13)을 형성시킨 이유는, 얼음수용용기(10)와 커피가루수용용기(20)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할 때 그 결합 범위가 결합 턱(13)까지게 되어 항상 일정량이 결합 됨과 동시에 얼음수용용기(10)와 커피가루수용용기(20) 간의 안정적인 결합과 분리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얼음수용용기(10)와 커피가루수용용기(20) 간의 분리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실시 예로는, 얼음수용용기(10)의 하부에서 바닥면(11)까지 외경을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기울기부(14)를 형성시켜 얼음수용용기(10)와 커피가루수용용기(20) 간의 분리결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커피가루수용용기(20)는,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피가루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얼음수용용기(10)의 구멍(12)에서 떨어지는 저온 수에 의해 더치커피의 추출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개방된 상부의 상단이 상기 얼음수용용기(10)에 형성된 결합 턱(13)에 도달할 때까지 끼워 결합되고, 내측 바닥면(21)은 외곽에서 중심부 쪽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에는 커피추출액이 배출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되고, 하부 외주 면은 적어도 4각 이상의 각형을 이루며, 상기 각형 부분에는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23)를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커피가루수용용기(20) 구성에서 내측 바닥면(21)을 외곽에서 중심부 쪽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형성시키고 그 중심부에 커피추출액이 배출되는 배출구(22)를 형성시킨 이유는, 저온 수에 의해 추출되는 더치커피가 중심부로 모아지며 배출구(22)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하부 외주 면을 적어도 4각 이상의 각형을 이루며, 상기 각형 부분에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23)를 형성시킨 이유는, 커피가루수용용기(20)를 용기지지 틀(40)의 중간지지부(43)에 형성된 받침부(44)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하부 외주 면을 적어도 4각 이상의 각형으로 형성시킨 이유는,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하부가 받침부(44)에 결합될 때 정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되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받침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44)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견고하게 지지 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부(23)에는, 하향하는 수직부(24)를 연장 형성시켜 중간지지부(43)의 받침부(44)에 더욱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바닥면(21) 중앙부분을 가로지르는 수직부(24)에 살균램프(60)의 빛이 통과되는 빛 통과 홈(25)을 형성시켜 상기 배출구(22)로 배출되는 더치커피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20)에 형성된 배출구(22)의 바닥면(21) 외측에 배출구(22)의 길이를 연장하는 연장부(26)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구(22)로 배출되는 액상의 추출 더치커피가 바닥면(21) 외측 주위로 번지지 않고 커피저장용기(30)로만 배출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상기 연장부(26)는,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그 돌출되는 연장부(26)를 4각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시켜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커피저장용기(30)의 상부와 긴밀하고 정확하며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커피가루수용용기(20)로부터 커피저장용기(30)로 배출되는 더치커피가 외기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단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20)에 커피가루를 수용시킬 때에는 배출구(22)가 형성된 바닥면(21)에 커피여과필터를 깔고 커피가루를 수용시켜 배출구(22)로 배출되는 더치커피에 커피가루가 커피저장용기(30)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상기 바닥면(21)에 커피여과필터를 깔지 않을 때에는 배출구(22)를 통하여 커피가루가 커피저장용기(30)로 유입될 수 있음으로 이때에는 커피저장용기(30)의 더치커피를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 한다.
본 발명의 커피저장용기(30)는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배출구(22)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의 추출커피를 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실시 예의 구성은 상부에 뚜껑(31)이 구비되고, 그 뚜껑의 중앙부에 상기 연장부(26)와 끼워 결합되는 끼움 홀(32)을 형성시켜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뚜껑(31)이 없는 커피저장용기(3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끼움 홀(32)이 형성된 뚜껑(31)이 구비된 커피저장용기(30)를 사용하는 이유는, 배출구(22)로 배출되는 더치커피가 외기의 산소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더치커피의 산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커피저장용기(30)의 커피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고 또 커피저장용기(30)의 더치커피를 보온함으로써 더치커피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용기지지 틀(4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얼음수용용기(10)와 커피가루수용용기(20)와 커피저장용기(30)를 순차적으로 안착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전방이 개방되고, 상부에는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상부 외주면 일부를 수용 지지하는 상부지지부(4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커피저장용기(30)의 하부를 받쳐주며 지지하는 하부지지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부(41)와 하부지지부(42)의 사이에는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하부를 수용하며 지지하는 "∩"자형의 관통형 중간지지부(43)를 형성하되, 그 중간지지부(43)는 "∩"자형의 외곽을 따라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경사부(23)와 부합하는 받침부(44)를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용기지지 틀(40) 구성에서, 상부에 상부지지부(41)를 형성시킨 이유는,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상부 외주면 일부를 수용하며 지지하여 얼음수용용기(10)의 하부 일부가 끼워 결합된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상부 일부가 안정적으로 의지되어 얼음수용용기(10)를 포함하는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안정적이 의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중간지지부(43)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지지부(41)의 위치 즉 중간지지부(43)와 상부지지부(41) 간의 높이 간격은, 상기 얼음수용용기(10)에 형성된 걸림 턱(13)의 하부 일부가 끼워 결하되어 중첩되는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상부 지점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얼음수용용기(10)와 커피가루수용용기(20)를 동시에 의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상기 상부지지부(410)와 하부지지부(42)의 사이에는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하부를 수용하며 지지하는 "∩"자형의 관통형 중간지지부(43)를 형성시키는데, 그 이유는,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하부를 견고하게 받쳐주며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상기 "∩"자형의 중간지지부(43) 외곽에는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경사부(23)와 부합하는 받침부(44)를 형성시켜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하부를 더욱 견고하게 받쳐주며 지지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중간지지부(43)를 "∩"자형으로 하는 이유는, 얼음수용용기(10)가 결합된 커피가루수용용기(20)를 전방이 개방된 용기지지 틀(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또는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받침부(44)의 일실시 예는,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경사부(23) 및 수직부(24)와 면 접촉되어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받쳐주는 경사면(44a)과 수직면(44b)을 형성시켜 그 경사면(44a)과 수직면(44b)이 상기 경사부(23) 및 수직부(24)와 면 접촉되어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하부를 긴밀하게 고정 지지하였다.
또 상기 하부지지부(42)의 일실시 예 구성은, 커피저장용기(30)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수용 지지하는 "∩"자형의 커피저장용기안착부(42a)가 형성되고, 그 커피저장용기안착부(42a)의 외곽에는 단턱(42b)이 형성되며, 상기 커피저장용기안착부(42a)의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응축수배출로(42c)를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피저장용기안착부(42a)를 "∩"자형으로 형성시킨 이유는, 전방이 개방된 용기지지 틀(40)로부터 커피저장용기(30)를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또는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커피저장용기안착부(42a)의 외곽에 단턱(42b)을 형성시킨 이유는, 커피저장용기(30)의 하단부를 단턱(42b)이 수용하여 커피저장용기(30)의 하단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커피저장용기안착부(42a)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응축수배출로(42c)를 형성시킨 이유는, 본 발명의 더치커피는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저온 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각 용기들에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고 그 발생한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응축수배출로(42c)로 배출되는 응축수를 받기 위하여 상기 용기지지 틀(40)의 최하부에 응축수받이(50)를 입/출시키는 응축수받이입출부(45)를 형성시켜 상기 응축수받이입출부(45)로 응축수받이를 서랍 형식으로 일/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중간지지부(43) 하부 용기지지 틀(40)에는, 커피가루수용용기(20)에 형성된 빛 통과 홈(25)으로 살균램프(60)의 빛을 조사시키는 살균램프(6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살균램프(60)를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배출구(22)로 배출되는 더치커피에 살균램프(60)의 빛을 조사하여 살균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지지 틀(40)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47)를 이용하여 또 다른 용기지지 틀(40)을 상호 연결 설치하는 연결부(46)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연결부재(47)와 연결부(46)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용기지지 틀(40)를 일체화시킬 수 있고, 그 일체화된 복수 개의 용기지지 틀(40)에 상기 각 용도의 용기(10,20,30)를 이용하여 다량의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용기지지 틀(40)에 형성되는 연결부(46)의 위치는, 용기지지 틀(40)의 후방 상/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시켜 상기 상호 연결 설치되는 용기지지 틀(40) 간의 견고한 일체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위치이동이 용이하여 취급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시간의 더치커피 추출과정에서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추출된 더치커피의 산화를 방지함으로써 커피의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추출되는 커피를 살균할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한 시간에 다량의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얼음수용용기 11 : 내측 바닥면
12 : 구멍 13 : 결합 턱
20 : 커피가루수용용기 21 : 내측 바닥면
22 : 배출구 23 : 경사부
24 : 수직부 25 : 빛 통과 홈
30 : 커피저장용기 40 : 용기지지 틀
41 : 상부지지부 42 : 하부지지부
42a : 커피저장용기안착부 42b : 단턱
42c : 응축수배출로 43 : 중간지지부
44 : 받침부 44a : 경사면
44b : 수직면 45 : 응축수받이입출부
46 : 연결부 47 : 연결부재
50 : 응축수받이 60 : 살균램프
C : 뚜껑 UD : 상부외경
LD : 하부외경

Claims (11)

  1.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C)이 마련되고, 내측 바닥면(11)은 평면을 이루며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저온 수가 떨어지는 복수 개의 구멍(12)이 골고루 분포되게 형성되고, 외주면 하부에는 결합 턱(13)이 형성되며, 그 결합 턱을 중심으로 상부외경(UD)은 하부외경(LD)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외경의 하부에서 바닥면(11)까지는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기울기부(14)를 형성시켜 된 얼음수용용기(10);
    상단이 상기 결합 턱에 도달할 때까지 얼음수용용기의 하부외경을 수용하도록 끼워 결합되고, 하부 외주 면은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23)를 갖는 적어도 4각 이상의 각형을 이루며, 내측 바닥면(21)은 외곽에서 중심부 쪽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에는 커피추출액이 배출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는 하향하는 수직부(24)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바닥면 외측에는 배출구의 길이를 연장하는 연장부(26)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커피가루수용용기(20);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의 추출커피를 받아 저장하는 커피저장용기(30);
    전방이 개방되고, 상부에는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의 상부 외주면 일부를 수용 지지하는 상부지지부(41)가 커피가루수용용기의 상부 외주 면과 부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커피저장용기의 하부를 받쳐주며 지지하는 하부지지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지지부의 사이에는 커피가루수용용기의 하부를 수용하며 지지하는 "∩"자형의 관통형 중간지지부(43)가 형성되고, 그 중간지지부의 외곽은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의 경사부(23) 및 수직부(24)와 부합하는 경사면(44a)과 수직면(44b)을 갖는 받침부(44)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연결부재(47)를 이용하여 또 다른 용기지지 틀(40)을 상호 연결 설치하는 연결부(46)를 형성시켜 된 용기지지 틀(40); 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가루수용용기(20)의 바닥면(21) 중앙부분을 가로지르는 수직부(24)의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는 살균램프의 빛이 통과되는 빛 통과 홈(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지지 틀(40)의 최하부에는, 더치커피를 추출하면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받이를 입/출시키는 응축수받이입출부(45)를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42)는, 커피저장용기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수용 지지하는 "∩"자형의 커피저장용기안착부(42a)가 형성되고, 그 커피저장용기안착부의 외곽에는 단턱(42b)이 형성되며, 상기 커피저장용기안착부의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응축수배출로(42c)를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부(43)의 하부 용기지지 틀(40)에는, 커피가루수용용기(20)에 형성된 빛 통과 홈(25)으로 살균램프의 빛 조사시키는 살균램프(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6)는, 4각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20210122403A 2021-09-14 2021-09-14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241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403A KR102415066B1 (ko) 2021-09-14 2021-09-14 더치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403A KR102415066B1 (ko) 2021-09-14 2021-09-14 더치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066B1 true KR102415066B1 (ko) 2022-07-01

Family

ID=8239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403A KR102415066B1 (ko) 2021-09-14 2021-09-14 더치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0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1056B2 (ja) * 2000-12-27 2005-08-10 旭テクノグラス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KR101485771B1 (ko) * 2013-08-24 2015-01-26 김진목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KR101496932B1 (ko) * 2013-09-16 2015-03-02 이동열 더치커피 제조기구
KR101597969B1 (ko) 2014-10-07 2016-03-07 임혜영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80020514A (ko) * 2016-08-18 2018-02-28 임혜영 저온 더치커피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1056B2 (ja) * 2000-12-27 2005-08-10 旭テクノグラス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KR101485771B1 (ko) * 2013-08-24 2015-01-26 김진목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KR101496932B1 (ko) * 2013-09-16 2015-03-02 이동열 더치커피 제조기구
KR101597969B1 (ko) 2014-10-07 2016-03-07 임혜영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80020514A (ko) * 2016-08-18 2018-02-28 임혜영 저온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834657B1 (ko) 2016-08-18 2018-03-05 임혜영 저온 더치커피 추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31808T3 (es) Cápsula en porciones con café molido para la preparación de una bebida de café
ES2284149T3 (es) Dispositivo y capsula desechable para la generacion de productos liquidos, especialmente bebidas.
TWI389659B (zh) 用於製備飲料之容器
KR101395307B1 (ko) 워터드립 커피용 추출장치
KR102415066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US20100000416A1 (en) Percolator device
KR20140128882A (ko) 드립 커피 제조기
EP3808174A1 (en) Pet watering device and anti-blocking water pump for pet watering device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ES2947058T3 (es) Dispositivo de producción de bebida
KR101349074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0464674Y1 (ko) 커피 추출용 워터드립장치
KR100801840B1 (ko) 녹차추출기
KR101542668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15996B1 (ko)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TWI669089B (zh) Pot with baffle
JP3681056B2 (ja) 飲料抽出装置
JP2021518180A (ja) 画像取得装置を備えた飲料製造装置
KR20190082459A (ko) 콜드브루 커피 추출기
KR100898405B1 (ko) 일회용 원두커피 여과기
US6477942B1 (en) Beverage infusion container
KR101741954B1 (ko) 더치커피 메이커 및 더치커피 제조 방법
US201702809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dutch coffee
ES2268642T3 (es) Distribuidor de sustancia activa liquida para taza de inodoro.
KR20200113924A (ko) 커피액 추출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