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924A - 커피액 추출 도구 - Google Patents

커피액 추출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924A
KR20200113924A KR1020190034839A KR20190034839A KR20200113924A KR 20200113924 A KR20200113924 A KR 20200113924A KR 1020190034839 A KR1020190034839 A KR 1020190034839A KR 20190034839 A KR20190034839 A KR 20190034839A KR 20200113924 A KR20200113924 A KR 20200113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le
support
coffee liquid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2300B1 (ko
Inventor
김케네스택
Original Assignee
케이엘피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엘피코리아(주) filed Critical 케이엘피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90034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30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커피액 추출 도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추출 용기 상에 위치되어 커피분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한 커피액 추출 도구로서, 관통홀이 형성된 링 타입의 본체부, 및 본체부에 마련되어, 커피분말을 걸러내고 커피액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관통홀 상에 지지하는 필터 홀더를 포함하는 커피액 추출 도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커피액 추출 도구{COFFEE LIQUID EXTRACTOR}
본 발명은 커피액 추출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립 커피(Drip coffee)란 볶아서 간 커피 콩을 종이 필터에 담고, 그 위에 물을 부어 만드는 커피이다.
이러한 드립 커피의 제조 방식은 커피 세계에서 가장 흔한 커피 제조 방식으로서, 자동식 커피메이커는 물론 수동식 드립 커피메이커도 시장에서 많이 출시되어 있는 추세이며, 수동식 기구를 쓰면 커피 제조에 있어서 기호에 맞게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기 혹은 플라스틱 등으로 커피 드립시 분쇄된 커피 분말을 종이 필터에 넣고, 가는 물이 나오는 주둥이의 주전자에 약 80∼90℃의 뜨거운 물을 사람의 손으로 주전자 주둥이 끝을 돌리며 커피를 내릴 수 있다.
손으로 일일이 물을 부어내리는 것이 번거로우나, 비교적 깔끔하고 좋은 맛을 얻을 수 있다는 정평으로 많은 사람들이 핸드 드립 커피를 즐기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커피 추출용 필터의 경우, 전개된 필터를 절반으로 접어 양쪽의 측면부를 접합하여 제조된 것으로, 컵에 지지를 위하여 양측면에는 지지대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필터의 경우, 컵의 종류/사이즈에 따라 불안정하게 지지되어 컵의 내부로 이탈될 우려가 있으며, 컵 상에서 지지되는 위치가 낮아 필터의 하부 또는 지지대가 커피액에 잠기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633012호 (2016.06.17. 공고)
본 발명은 필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커피분말로부터 커피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커피액 추출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추출 용기 상에 위치되어 커피분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한 커피액 추출 도구로서, 관통홀이 형성된 링 타입의 본체부, 및 본체부에 마련되어, 커피분말을 걸러내고 커피액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관통홀 상에 지지하는 필터 홀더를 포함하는 커피액 추출 도구가 제공된다.
필터 홀더는 관통홀을 기준으로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향 돌출된 한 쌍의 돌기를 포함하고, 필터에는 돌기를 수용하여 돌기에 걸리는 한 쌍의 지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는 필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부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의 단부에는 필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의 양측에는 돌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관통홀의 폭을 확장시키는 한 쌍의 확장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홀더는 관통홀을 기준으로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홀을 포함하고, 필터는 삽입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커피액 추출 도구는, 추출 용기 상에서 본체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부 하면에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본체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피액 추출 도구는, 필터 홀더에 지지되어, 커피분말을 걸러내고 커피액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홀더는 관통홀을 기준으로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향 돌출된 한 쌍의 돌기를 포함하고, 필터는, 커피분말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필터 본체, 및 일단부가 필터 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필터 홀더 측으로 펼쳐져 필터 홀더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지지대의 타단부에는 돌기를 수용하여 돌기에 걸리는 한 쌍의 지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홀더는 관통홀을 기준으로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홀을 포함하고, 필터는, 커피분말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필터 본체, 및 일단부가 필터 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필터 홀더 측으로 펼쳐져 필터 홀더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지지대는, 일단부가 필터 본체의 양측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필터 홀더 측으로 펼쳐지는 제1 지지대, 및 일단부가 제1 지지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필터 홀더 측으로 펼쳐지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고, 제2 지지대는 삽입홀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커피분말로부터 커피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 도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 도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 도구의 변형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 도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 도구의 변형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 도구의 필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 도구의 필터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피액 추출 도구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등의 추출 용기(10) 상에 위치되어 커피분말(20)로부터 커피액(30)을 추출하기 위한 커피액 추출 도구(100)로서, 관통홀(112)이 형성된 본체부(110), 필터 홀더(120), 본체 홀더(140) 및 이에 지지되는 필터(130)를 포함하는 커피액 추출 도구(100)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홀더(120)를 이용하여 필터(130)를 관통홀(112)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커피분말(20)로부터 커피액(30)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를 추출 용기(10) 상단에 거치하고 본체부(110) 양측의 필터 홀더(120)를 통해 필터(130)를 지지함으로써, 추출 용기(10)의 종류나 사이즈에 구애 받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필터(13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130)를 추출 용기(10)의 입구로부터 보다 상측에 지지할 수 있어, 필터(130)가 이미 추출된 커피액(30)에 잠겨 커피액(30)의 맛과 풍미를 떨어뜨리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10)에서 관통홀(112)이 형성되지 않은 테두리 표면에 로고나 광고 문구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본 커피액 추출 도구(100)를 홍보용 판촉물 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피액 추출 도구(100)의 각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등의 추출 용기(10)의 상단에 거치될 수 있으며, 중앙 영역에는 관통홀(112)이 형성되어 링 타입으로 구성됨으로써 그 상부에 커피액(30) 추출을 위한 필터(130)가 위치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전체적으로 사각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홀(112)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110)와 관통홀(112)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원형, 사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체부(110)의 두께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변형 가능하다.
필터 홀더(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 마련되어 커피분말(20)을 걸러내고 커피액(30)을 통과시키는 필터(130)를 관통홀(112) 상에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홀(112)을 갖는 링 타입의 본체부(110)에 필터 홀더(120)를 형성하여 필터(130)를 추출 용기(10) 상단에 지지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필터(130)를 바로 추출 용기(10)에 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필터(130)를 보다 안정적으로 추출 용기(10)에 지지할 수 있으며, 필터(130)가 지지되는 높이를 높여 필터(130)나 지지대(133)가 커피액(30)에 잠기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 홀더(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12)을 기준으로 본체부(1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향 돌출된 한 쌍의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130), 즉 필터 본체(131)의 양측면에 마련된 지지대(133)에는 이러한 돌기를 수용하여 돌기에 걸리는 지지홀(13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홀(136)은 직사각편 구조의 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대(133) 단부에 지지홀(136)을 형성함으로써 지지대(133)를 돌기에 걸어 필터(130)를 본체부(110)에 단단히 지지할 수 있으므로, 필터(130) 내부 공간에 온수를 부어 커피액(30)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온수의 하중에 의해 필터(130)가 추출 용기(10) 내부로 처지거나 본체부(110)로부터 낙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필터(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커피분말(20)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필터 홀더(120)에 지지되어 커피분말(20)을 걸러내고 커피액(30)을 통과시킬 수 있다. 필터(130)의 양측에는 필터 홀더(120) 측으로 펼쳐지는 지지대(133)가 형성되어 필터(130)를 필터 홀더(120)에 탈부착시킬 수 있다. 필터(13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 도구(100)의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는 본체부(110)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가 바깥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지지대(133)가 돌기에 걸린 이후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대(133)를 보다 단단히 필터 홀더(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의 단부에는 본체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편(122)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편(122)을 추가함으로써 필터 홀더(120)로부터 지지대(133)의 이탈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편(122)은 한 쌍의 돌기 모두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돌기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부(110) 하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홀더(140)가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 홀더(140)가 추출 용기(10) 내부로 수용되도록 돌출 형성됨으로써, 본체부(110)가 예기치 않은 하중에 의해 측방향으로 밀리는 경우에도 본체 홀더(140)가 추출 용기(10) 상단에 걸리게 되어, 본체부(110)가 추출 용기(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 홀더(140)는 관통홀(1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통홀(112)을 따라 연장된 링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방향에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본체부(110)의 밀림을 방지하여 추출 용기(10) 상에서 효과적으로 본체부(110)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 도구(100)에 대한 변형례들이 제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12)의 양측에는 돌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관통홀(112)의 폭을 확장시키는 한 쌍의 확장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는 확장홈(114)의 단부에 일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장홈(114)을 통해 관통홀(112)의 폭을 확장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깔대기 타입의 필터(130)(도 4 및 도 6(b))와 같이 개구부가 상대적으로 넓게 확장되는 경우에도 필터(130)가 필터 홀더(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는 사각판 형상을 가질 있으며, 관통홀(112) 또한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b) 내지 도 3(d)에는 본체부(110)와 관통홀(112)의 다양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3(b)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는 사각판 구조 또는 원형판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12) 또한 사각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e) 및 도 3(f)와 같이, 필터 홀더(120)는 본체부(110)의 양측에 폴딩 가능하도록 접이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112)의 양측에는 확장홈(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확장홈(114) 단부에 필터 홀더(120)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홀더(120)는 본체부(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의 일체 성형 이후 기설계된 절개선을 따라 컷팅하여 필터 홀더(120)와 확장홈(114)을 구분하고 필터 홀더(120)의 단부에 접이홈을 가공하여 접이식 구조의 필터 홀더(12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e)와 같이 필터 홀더(120)를 본체부(110)와 동일 평면 상에 접어 놓음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커피액(30) 추출시에는 도 3(f)와 같이 필터 홀더(120)를 상방으로 접어 올려 세워서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필터 홀더(120)는 상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사다리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필터 홀더(120)는 이러한 사다리꼴 구조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도 다양하게 제작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 홀더(120)의 하단은 지지대(133)의 지지홀(136)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고 필터 홀더(120)의 상단은 지지홀(136)의 너비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홀더(120) 형상에 대응되도록 확장홈(114) 또한 사다리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홀더(120)의 하단을 지지홀(136)보다 넓게 상단을 지지홀(136)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필터(130)의 지지대(133)는 필터 홀더(12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일정 높이에 걸쳐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터(130)가 관통홀(112) 상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이 같이 필터(130)가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되는 경우 필터(130)가 커피액(30)에 잠기는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가 커피액(30) 추출 과정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핸드 드립의 흥미와 재미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필터 홀더(120)는 본체부(110)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은 본체부(110)로 접힌 상태에서 단부가 서로 맞닿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홀더(120)의 상단이 맞닿도록 필터 홀더(120)의 길이를 설정함으로써, 필터 홀더(120)의 높이를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필터 홀더(120)가 접힌 상태에서 본체부(110)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 도구(100)의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홀더(120)는 관통홀(112)을 기준으로 본체부(1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본체(131)의 양측면에 마련된 지지대(133)는 필터 홀더(120) 측으로 펼쳐지는 제1 지지대(134) 및 제2 지지대(135)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 제2 지지대(135)는 삽입홀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홀은 제2 지지대(135)에 대응되도록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분말(20)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필터 본체(131), 및 일단부가 필터 본체(13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필터 홀더(120) 측으로 펼쳐져 필터 홀더(120)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대(133)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대(133)는, 일단부가 필터 본체(131)의 양측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필터 홀더(120) 측으로 펼쳐지는 제1 지지대(134), 및 일단부가 제1 지지대(134)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필터 홀더(120) 측으로 펼쳐지는 제2 지지대(135)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해 필터(130)를 필터 홀더(120)에 지지하는 경우 양측의 제1 지지대(134)와 제2 지지대(135)는 전체적으로 'M'자 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 도구(100)의 변형례들이 제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홀더(120), 즉 삽입홀은 본체부(110) 양측에 각각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릿 형상의 삽입홀은 서로 나란하게 예를 들어 양측에 각각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삽입홀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와 사이즈의 필터(130)에 탄력적으로 대응 가능하여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b)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는 필터 홀더(120)가 생략되고 관통홀(112)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필터(130)의 지지대(133)(구체적으로는 제2 지지대(135))가 양측으로 펼쳐져 본체부(110)의 양측 외주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필터(130)가 본체부(1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는 일변이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대칭 구조로 본체부(110)를 구성함으로써, 필터(130)의 크기에 따라 본체부(110) 장변의 양측 또는 단변의 양측에 선택적으로 필터(130)를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사이즈의 필터(130)에 대한 호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필터(13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30)는, 커피분말(20)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필터 본체(131), 및 일단부가 필터 본체(13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필터 홀더(120) 측으로 펼쳐져 필터 홀더(120)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대(13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133)의 타단부에는 돌기를 수용하여 돌기에 걸리는 한 쌍의 지지홀(136)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본체(131)의 상부는 개방되어 커피분말(20)의 투입이 가능하게 되며, 도 6(a)와 같이 사각형 구조를 갖거나, 도 6(b)와 같이 삼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필터 본체(131)가 도 6(a)와 같이 사각형 구조를 갖는 경우, 필터 본체(131) 내부 공간의 개방시 도 1과 같은 사각 기둥 구조가 형성되며, 도 6(b)와 같이 삼각형 구조를 갖는 경우 필터 본체(131) 내부 공간의 개방시 도 4와 같은 깔대기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본체(131)의 양측면에는 본체 결합부(132)가 부착되며, 이러한 본체 결합부(132)를 통해 지지대(133)가 필터 본체(13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 결합부(132)와 지지대(133)는 방수 처리된 종이 등의 단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구성은 사각 형상의 단일 시트편을 기설계된 절개선을 따라 컷팅함으로써 구획 형성될 수 있다.
본체 결합부(132)는 전체적으로 지지대(13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필터 본체(131)에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을 커버하도록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133)를 양측으로 펼치는 경우 필터 본체(131)의 광범위한 영역을 당기면서 필터 본체(131)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지지대(133)는 본체 결합부(132) 내측에 위치되며, 단부가 본체 결합부(132)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33)는 지지홀(136)이 형성된 지지부 및 이러한 지지부와 본체 결합부(132)를 연결하는 3개의 지지 브릿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33)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필터 본체(131)에 지지홀(136)을 마련하여 필터(13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필터 본체(1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각형 또는 삼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a) 또는 도 7(b)와 같이 필터 본체(131)의 상단부에 종이 등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 부재를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 부재에는 돌기에 걸릴 수 있는 지지홀(13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c) 또는 도 7(d)와 같이 별도의 지지 부재 없이 필터 본체(131)의 상단부에 지지홀(136)을 형성하여 보다 간이한 구조로 필터(13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추출 용기
20: 커피분말
30: 커피액
100: 커피액 추출 도구
110: 본체부
112: 관통홀
114: 확장홈
120: 필터 홀더
122: 걸림편
130: 필터
131: 필터 본체
132: 본체 결합부
133: 지지대
134: 제1 지지대
135: 제2 지지대
136: 지지홀
140: 본체 홀더

Claims (10)

  1. 추출 용기 상에 위치되어 커피분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한 커피액 추출 도구로서,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커피분말을 걸러내고 상기 커피액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상기 관통홀 상에 지지하는 필터 홀더를 포함하는 커피액 추출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는 상기 관통홀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향 돌출된 한 쌍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돌기에 걸리는 한 쌍의 지지홀이 형성되는, 커피액 추출 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필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커피액 추출 도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필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커피액 추출 도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양측에는 상기 돌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의 폭을 확장시키는 한 쌍의 확장홈이 형성되는, 커피액 추출 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는 상기 관통홀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대를 구비하는, 커피액 추출 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기 상에서 상기 본체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 하면에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본체 홀더를 더 포함하는 커피액 추출 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에 지지되어, 상기 커피분말을 걸러내고 상기 커피액을 통과시키는 상기 필터를 더 포함하는 커피액 추출 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는 상기 관통홀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향 돌출된 한 쌍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커피분말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필터 본체; 및
    일단부가 상기 필터 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필터 홀더 측으로 펼쳐져 상기 필터 홀더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돌기에 걸리는 한 쌍의 지지홀이 형성되는, 커피액 추출 도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는 상기 관통홀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커피분말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필터 본체; 및
    일단부가 상기 필터 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필터 홀더 측으로 펼쳐져 상기 필터 홀더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일단부가 상기 필터 본체의 양측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필터 홀더 측으로 펼쳐지는 제1 지지대;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지지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필터 홀더 측으로 펼쳐지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커피액 추출 도구.
KR1020190034839A 2019-03-27 2019-03-27 커피액 추출 도구 KR102232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39A KR102232300B1 (ko) 2019-03-27 2019-03-27 커피액 추출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39A KR102232300B1 (ko) 2019-03-27 2019-03-27 커피액 추출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924A true KR20200113924A (ko) 2020-10-07
KR102232300B1 KR102232300B1 (ko) 2021-03-25

Family

ID=7288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839A KR102232300B1 (ko) 2019-03-27 2019-03-27 커피액 추출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073Y1 (ko) * 2021-04-07 2021-07-28 주식회사 싱글턴 드립백 용 드리퍼 및 드리퍼 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012B1 (ko) 2014-12-19 2016-06-23 씨케이코퍼레이션즈 주식회사 개봉기능을 갖는 커피 추출용 백
KR200485460Y1 (ko) * 2017-03-31 2018-01-11 박영길 드립 백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012B1 (ko) 2014-12-19 2016-06-23 씨케이코퍼레이션즈 주식회사 개봉기능을 갖는 커피 추출용 백
KR200485460Y1 (ko) * 2017-03-31 2018-01-11 박영길 드립 백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073Y1 (ko) * 2021-04-07 2021-07-28 주식회사 싱글턴 드립백 용 드리퍼 및 드리퍼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300B1 (ko)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808B1 (ko)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US20070089614A1 (en) Reusable beverage filter
KR102232300B1 (ko) 커피액 추출 도구
US6527126B2 (en) Coffee filter restraint and flavor system
KR200495084Y1 (ko) 드립백 거치대
JP3231791U (ja) コーヒードリッパー
KR101633012B1 (ko) 개봉기능을 갖는 커피 추출용 백
US3343682A (en) Coffee filter element
KR200442969Y1 (ko)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는 종이컵
US20230037611A1 (en) Beverage filter
KR20200020449A (ko) 일회용 커피 드리퍼
KR200482067Y1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KR102641297B1 (ko) 커피 드립백용 거치대.
KR101750627B1 (ko) 차 추출용 드립백
JP3230333U (ja) 折り線付きコーヒー抽出用ペーパーフイルター
JP3200328U (ja) 受け口の大きさを変更可能なドリップ補助具
KR100826212B1 (ko) 농도 조절 기능을 갖는 드립퍼
US20190090682A1 (en) Anti-overflow brewing filter and spiral hanging-ear structure coupled thereto
KR20070034565A (ko) 티스푼 종이컵
JP3131257U (ja) コーヒードリッパー
JP3206030U (ja) ワイヤードリッパー
JP2020089699A (ja) フィルターアタッチャブルホルダー
CN212574696U (zh) 过滤杯、滤纸、支撑件及手冲咖啡壶套装
KR102368514B1 (ko) 이중 고정이 가능한 음료 추출용 드립 백
CN214804160U (zh) 蛋糕型咖啡滤纸用托架及具该托架滤杯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