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460Y1 - 드립 백 세트 - Google Patents
드립 백 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5460Y1 KR200485460Y1 KR2020170001600U KR20170001600U KR200485460Y1 KR 200485460 Y1 KR200485460 Y1 KR 200485460Y1 KR 2020170001600 U KR2020170001600 U KR 2020170001600U KR 20170001600 U KR20170001600 U KR 20170001600U KR 200485460 Y1 KR200485460 Y1 KR 20048546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cup
- container
- holder
- suppor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uspended from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to remain in contact with the prepared inf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드립 백 세트가 개시된다. 상기 드립 백 세트는 여과성을 갖는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봉지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시트 상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시트의 일부분이 절개되도록 하는 2개 이상의 절개부를 포함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일부분에 관통되는 필터지지부 및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지지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터거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지지부가 상기 필터부재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거치한 상태로 상기 홀더부가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안쪽에서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지지되면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안쪽의 상부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드립 백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드립 백을 간단히 거치할 수 있는 드립 백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더운 물을 분쇄된 커피에 직접 부어 간단하게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 타입의 커피용 간이여과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립형 커피는 대부분이 일회용 여과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분쇄커피에 미리 함께 포장되어 있고, 그 상태로 저장 및 유통되며 개봉후 조립하여 뜨거운 물을 부음으로서 상술한 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타입의 간이 여과지는 사용 후 일반쓰레기로서 쉽게 폐기될 수 있으므로 널리 사용된다.
종래의 드립백에 대한 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2-0103135호를 통해 개시된 드립백 특허가 있다. 이 특허는 드립백을 커피컵 위에 거치시키기 위한 홀더가 필터 상에 복잡한 형태로 구비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예시된 상기 특허와 같이 종래의 드립백은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필터를 거치시키기 위해 필터가 복잡한 구조로 제작되어, 드립백의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며, 사용에 있어서도 필터로부터 홀더를 펼쳐야 하는 번거러운 과정이 수반되므로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필터부재를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거치시키는 과정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터부재의 제작도 간단해질 수 있도록 한 드립 백 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드립 백의 사용 후 필터거치부재를 액세서리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드립 백 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드립 백 세트는 여과성을 갖는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봉지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시트 상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시트의 일부분이 절개되도록 하는 2개 이상의 절개부를 포함하는 필터부재; 및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시트 형태이고,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일부분에 관통되는 필터지지부 및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지지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터거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지지부가 상기 필터부재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거치한 상태로 상기 홀더부가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안쪽에서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지지되면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안쪽의 상부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부재는 제1 시트 및 제2 시트가 서로 접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 각각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가 접합된 부분의 상단부에는 상기 필터부재가 상기 복수의 필터거치부재에 의해 거치될 때 필터부재의 개방된 상부가 쉽게 벌어지도록 미접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절개부는 상기 필터지지부의 폭과 같거나 크고,상기 홀더부는 상기 홀더부는 상기 각각의 절개부 및 필터지지부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부는 홀더부의 하단부로부터 만입된 형태로 구비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가 상기 컵 또는 용기에 지지될 때 상기 홀더부는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안쪽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턱이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입구 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필터거치부재는, 상기 한 쌍의 지지턱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지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부는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외면을 감쌀 수 있는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각각의 필터거치부재가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지지될 때 컵 또는 용기의 외면에 지지되고,
상기 지주부는 상기 각각의 필터거치부재의 무게를 증가시켜서 상기 홀더부가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지지될 때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단부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단부의 일측 끝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필터받침턱 및 상기 팔 형태의 하단부로부터 만입된 제1 지지턱을 포함하는 제1 홀더; 및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단부의 타측에서 돌출되어 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홀더와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단부의 타측 끝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필터받침턱 및 상기 팔 형태의 하단부로부터 만입된 제2 지지턱을 포함하는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가 상기 컵 또는 용기에 지지될 때 상기 홀더부는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안쪽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제1 지지턱 및 제2 지지턱이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입구 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필터거치부재는, 상기 제1 지지턱 및 제2 지지턱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지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부는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외면을 감쌀 수 있는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각각의 필터거치부재가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지지될 때 컵 또는 용기의 외면에 지지되고,
상기 지주부는 상기 각각의 필터거치부재의 무게를 증가시켜서 상기 홀더부가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지지될 때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립 백 세트는 상기 필터거치부재와 결합되는 연결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드립 백 세트에 의하면, 필터부재를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거치시키는 과정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터부재의 제작도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작은 컵 또는 용기의 액체 저장 용량을 감소시키는 문제 없이 작은 컵 또는 용기에도 거치하여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드립 백의 사용 후 필터거치부재를 액세서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백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백 세트가 컵의 입구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거치부재의 표면에 이미지가 인쇄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립 백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백 세트가 컵의 입구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거치부재의 표면에 이미지가 인쇄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립 백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립 백 세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백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백 세트는 필터부재(110) 및 복수의 필터거치부재(120)를 포함한다.
필터부재(110)는 여과성을 갖는 시트로 이루어진다. 즉, 다수의 통공이 있는 시트로 이루어진다. 필터부재(110)는 상단부가 개방된 봉지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피추출물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두커피(분쇄커피)가 수용될 수 있다. 필터부재(11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필터부재(110)는 사각 또는 원형의 봉지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재(110)는 복수의 필터거치부재(120)에 의해 컵 또는 용기 내에 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필터거치부재(120)에 의한 거치를 위해 필터부재(110)는 시트 상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시트의 일부분이 절개되도록 하는 2개 이상의 절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개부(111)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2개일 수 있다. 상기 절개부(111)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시트를 미리 절개한 상태의 절개선 형태일 수도 있고, 시트를 절개할 수 있는 절취선 형태일 수도 있다.
일 예로, 필터부재(110)는 제1 시트(110a) 및 제2 시트(110b)가 서로 접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절개부(111)는 제1 시트(1101) 및 제2 시트(1102) 각각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시트(1101) 및 제2 시트(1102)가 접합된 부분의 상단부에는 필터부재(110)가 복수의 필터거치부재(120)에 의해 컵 또는 용기의 입구 내에 거치될 때 필터부재(110)의 개방된 상부가 쉽게 벌어지도록 미접합부(110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110)는 내부에 피추출물이 저장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 피추출물이 생략된 시트 형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복수의 필터거치부재(120)는 필터부재(110)가 컵 또는 용기 내에 거치되도록 한다. 복수의 필터거치부재(120)는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시트 형태로 구비되며, 필터지지부(121) 및 홀더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지지부(121)는 필터부재(110)의 각각의 절개부(111)에 삽입되어 각각의 필터거치부재(120)를 필터부재(110)와 연결하며 필터부재(110)를 컵 또는 용기 내에 거치되도록 한다. 필터지지부(121)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반원 형상일 수 있다. 필터지지부(121)는 각각의 절개부(111)의 폭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홀더부(122)는 각각의 필터거치부재(120)가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지지되도록 한다. 홀더부(122)는 각각의 절개부(111) 및 필터지지부(121)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필터지지부(121)의 하부에 배치된다. 일 예로, 홀더부(122)는 제1 홀더(1221) 및 제2 홀더(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1221)는 필터지지부(121)의 하단부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팔(arm)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홀더(1221)는 필터지지부(121)의 하단부의 일측 끝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필터받침턱(1221a) 및 팔 형태의 하단부로부터 만입된 제1 지지턱(12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받침턱(1221a)은 필터지지부(121)가 절개부(111)로 삽입되면 필터부재(111)의 하나의 절개부(111) 주변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턱(1221b)은 컵 또는 용기의 입구, 즉 컵 또는 용기의 개방된 상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홀더(1222)는 필터지지부(121)의 하단부의 타측에서 돌출되어 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제1 홀더(1221)와 대칭되게 배치된다. 제2 홀더(1222)는 필터지지부(121)의 하단부의 타측 끝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필터받침턱(1222a) 및 팔 형태의 하단부로부터 만입된 제2 지지턱(12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받침턱(1222a)은 필터지지부(121)가 절개부(111)로 삽입되면 필터부재(111)의 다른 하나의 절개부(111) 주변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턱(1222b)은 컵 또는 용기의 입구, 즉 컵 또는 용기의 개방된 상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홀더(1221)의 제1 필터받침턱(1221a)에서 제1 지지턱(1221b)까지의 길이 및 제2 홀더(1222)의 제2 필터받침턱(1222a)에서 제2 지지턱(1222b)까지의 길이는 필터부재(111)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일 수 있다.
한편, 홀더부(122)는 지주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주부(123)는 제1 홀더(1221)의 제1 지지턱(1221b) 및 제2 홀더(1222)의 제2 지지턱(1222b)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지주부(123)는 하단부가 제1 홀더(1221) 및 제2 홀더(1222)의 하단부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주부(123)는 사각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백 세트의 사용 상태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백 세트가 컵의 입구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터부재(110)에 2개의 절개부(111)가 구비되고, 필터거치부재(120)가 2개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먼저, 필터부재(110)에 구비된 2개의 절개부(111)에 2개의 필터거치부재(120) 각각의 필터지지부(121)를 삽입한다. 이때, 필터지지부(121)는 필터부재(110)의 외측에서 절개부(111)로 삽입하여 필터부재(111)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필터부재(110)에 끼운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지주부(123)를 잡고 필터지지부(121)를 필터부재(110)에 끼울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필터거치부재(120)가 필터부재(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필터부재(110)의 개방된 상부를 벌린 후 필터부재(110)의 하단부를 컵(10)의 입구 내측으로 삽입하고, 홀더부(122)의 제1 홀더(1221) 및 제2 홀더(1222)가 컵(10)의 입구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더(1221) 및 제2 홀더(1222)의 하단부를 컵(10)의 입구를 형성하는 컵(10)의 상단의 내측으로 위치시키면 제1 홀더(1221) 및 제2 홀더(1222) 각각의 제1 지지턱(1221b) 및 제2 지지턱(1222b)이 컵(10)의 입구 상단에 지지된다. 이와 동시에 제1 지지턱(1221b) 및 제2 지지턱(1222b) 아래에 위치한 지주부(123)는 컵(10)의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제1 홀더(1221) 및 제2 홀더(1222)는 컵(10)의 안쪽으로 위치하고 지주부(123)는 컵(10)의 바깥쪽에서 컵(10)의 외면에 지지되게 위치하므로 이러한 제1 홀더(1221) 및 제2 홀더(1222)와 지주부(123) 간의 위치 관계에 따라 각각의 필터거치부재(120)는 컵(10)의 입구에 안정적으로 거치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필터거치부재(120)가 거치되면 제1 지지턱(1221b) 및 제2 지지턱(1222b)의 높이 위쪽의 제1 홀더부(122) 및 제2 홀더부(122)의 일부 길이와 필터지지부(121)는 컵(10)의 입구보다 높게 위치하게 되고, 이에 의해 필터부재(111)는 하단부의 일부만이 컵(10)의 입구에 대향하는 상태로 컵(10)의 입구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홀더(1221) 및 제2 홀더(1222)의 제1 필터받침턱(1221a) 및 제2 필터받침턱(1222a)이 필터부재(111)의 각각의 절개부(111) 주변을 받친 상태로 필터부재(111)는 각각의 필터거치부재(120) 상에 지지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필터부재(110)를 컵(10)의 입구에 거치시키고, 필터부재(110)의 내부에 피추출물, 예를 들면, 원두커피를 채우고 물을 부어서 커피를 내려 마실 수 있다. 또는, 필터부재(110)에 원두커피가 저장된 상태인 경우 필터부재(110)가 거치된 직후 물을 부어서 커피를 내려 마실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백 세트는 필터부재(110)를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거치시키기 위한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거나 절개하여 돌출시키도록 구성된 거치부를 구비할 필요 없이 간단히 절개부(111)만을 구비하고, 절개부(111)에 필터거치부재(120)를 삽입하여 필터거치부재(120) 및 필터부재(110)가 연결된 상태에서 간단히 필터거치부재(120)를 컵 또는 용기의 상단에 지지시키기만 하면 필터부재(110)의 거치 과정이 완료되므로 필터부재(110)를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거치시키는 과정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터부재(110)의 제작도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터부재(111)가 필터거치부재(120)와 연결되면 필터부재(111)의 각각의 절개부(111)의 주변이 제1 홀더(1221) 및 제2 홀더(1222)의 제1 필터받침턱(1221a) 및 제2 필터받침턱(1222a) 상에 지지되므로 홀더부(122)의 하단부 방향으로 낙하하지 않고 필터거치부재(120) 상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홀더(1221)의 제1 필터받침턱(1221a)에서 제1 지지턱(1221b)까지의 길이 및 제2 홀더(1222)의 제2 필터받침턱(1222a)에서 제2 지지턱(1222b)까지의 길이는 필터부재(111)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므로 각각의 필터거치부재(120)를 통해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거치된 상태의 필터부재(111)의 높이가 컵 또는 용기의 입구 위로 높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컵 또는 용기가 작은 경우에도 필터부재(111) 전체가 컵 또는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컵 또는 용기의 액체 저장 용량을 감소시키는 문제 없이 작은 컵 또는 용기에도 거치하여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백 세트의 필터거치부재(120)는 플레이트 형태의 일체형 구조이고,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실리콘, 종이,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필터거치부재(120)는 플레이트 형태의 일체형 구조이므로 표면에 다양한 문양, 예를 들면, 사람 또는 동물의 형상을 갖는 캐릭터와 같은 이미지의 인쇄가 용이해지고, 이에 의해 필터거치부재(120)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고, 드립 백 세트 전체에 심미감이 부여되므로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거치부재의 표면에 이미지가 인쇄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써, 필터거치부재에 이미지가 인쇄된 상태가 잘 나타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립 백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필터거치부재(120)가 실리콘 및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필터거치부재(120)는 상단부, 예를 들면, 필터지지부(121)의 상단부에 고리연결구멍(121a)이 형성되고, 고리연결구멍(121a)에 결합되는 연결고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립 백 세트는 필터거치부재(120)의 단독 사용이 가능하며, 표면에 다양한 문양이 인쇄될 수 있으므로 액세서리, 예를 들면, 열쇠고리, 가방용 액세서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필터거치부재(120)가 액세서리로 사용되는 경우 연결고리(130)에 열쇠를 끼워 휴대하거나, 연결고리(130)를 가방에 걸어서 가방 장식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 여과성을 갖는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봉지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시트 상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시트의 일부분이 절개되도록 하는 2개 이상의 절개부를 포함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일부분에 관통되는 필터지지부 및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지지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터거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지지부가 상기 필터부재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거치한 상태로 상기 홀더부가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안쪽에서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지지되면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안쪽의 상부에 거치되며,
상기 필터부재는 제1 시트 및 제2 시트가 서로 접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 각각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가 접합된 부분의 상단부에는 상기 필터부재가 상기 복수의 필터거치부재에 의해 거치될 때 필터부재의 개방된 상부가 쉽게 벌어지도록 미접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백 세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절개부는 상기 필터지지부의 폭과 같거나 크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각각의 절개부 및 필터지지부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백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홀더부의 하단부로부터 만입된 형태로 구비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가 상기 컵 또는 용기에 지지될 때 상기 홀더부는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안쪽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턱이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입구 단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백 세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필터거치부재는,
상기 한 쌍의 지지턱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지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부는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외면을 감쌀 수 있는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각각의 필터거치부재가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지지될 때 컵 또는 용기의 외면에 지지되고,
상기 지주부는 상기 각각의 필터거치부재의 무게를 증가시켜서 상기 홀더부가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지지될 때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백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단부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단부의 일측 끝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필터받침턱 및 상기 팔 형태의 하단부로부터 만입된 제1 지지턱을 포함하는 제1 홀더; 및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단부의 타측에서 돌출되어 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홀더와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단부의 타측 끝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필터받침턱 및 상기 팔 형태의 하단부로부터 만입된 제2 지지턱을 포함하는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가 상기 컵 또는 용기에 지지될 때 상기 홀더부는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안쪽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제1 지지턱 및 제2 지지턱이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입구 단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백 세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필터거치부재는, 상기 제1 지지턱 및 제2 지지턱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지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부는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외면을 감쌀 수 있는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각각의 필터거치부재가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지지될 때 컵 또는 용기의 외면에 지지되고,
상기 지주부는 상기 각각의 필터거치부재의 무게를 증가시켜서 상기 홀더부가 상기 컵 또는 용기의 입구에 지지될 때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백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 백 세트는 상기 필터거치부재와 결합되는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백 세트.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1600U KR200485460Y1 (ko) | 2017-03-31 | 2017-03-31 | 드립 백 세트 |
PCT/KR2018/003216 WO2018182219A1 (ko) | 2017-03-31 | 2018-03-20 | 드립 백 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1600U KR200485460Y1 (ko) | 2017-03-31 | 2017-03-31 | 드립 백 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5460Y1 true KR200485460Y1 (ko) | 2018-01-11 |
Family
ID=6127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1600U KR200485460Y1 (ko) | 2017-03-31 | 2017-03-31 | 드립 백 세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5460Y1 (ko) |
WO (1) | WO2018182219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3924A (ko) * | 2019-03-27 | 2020-10-07 | 케이엘피코리아(주) | 커피액 추출 도구 |
KR20230108540A (ko) * | 2022-01-11 | 2023-07-18 | 오범철 | 커피 드립백용 거치대.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20597A (ja) * | 2005-05-20 | 2006-11-30 | Fuso Sangyo Kk | ドリップバッ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16280A (ja) * | 2002-06-12 | 2004-01-22 | Brooks Holdings:Kk | ドリップバッグ |
JP4070628B2 (ja) * | 2003-02-13 | 2008-04-02 | 不双産業株式会社 | ドリップバッグ |
KR200466200Y1 (ko) * | 2011-12-01 | 2013-04-03 | 동서식품주식회사 | 드립 백 홀더 |
JP2013236886A (ja) * | 2012-05-11 | 2013-11-28 | Keiichi Kikuchi | ドリップバッグ |
-
2017
- 2017-03-31 KR KR2020170001600U patent/KR200485460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3-20 WO PCT/KR2018/003216 patent/WO201818221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20597A (ja) * | 2005-05-20 | 2006-11-30 | Fuso Sangyo Kk | ドリップバッ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3924A (ko) * | 2019-03-27 | 2020-10-07 | 케이엘피코리아(주) | 커피액 추출 도구 |
KR102232300B1 (ko) * | 2019-03-27 | 2021-03-25 | 케이엘피코리아(주) | 커피액 추출 도구 |
KR20230108540A (ko) * | 2022-01-11 | 2023-07-18 | 오범철 | 커피 드립백용 거치대. |
KR102641297B1 (ko) * | 2022-01-11 | 2024-02-27 | 오범철 | 커피 드립백용 거치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82219A1 (ko) | 2018-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26836B1 (ko) |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 |
KR200485460Y1 (ko) | 드립 백 세트 | |
JP2004509681A (ja) | 一体型の容器および抽出器装置 | |
US5290444A (en) | Coffee filter retainer | |
JP3930029B2 (ja) | ドリップ式コーヒー濾過器 | |
US20060201329A1 (en) | Coffee pod making method and apparatus | |
JP2007037909A (ja) | コーヒーの濾過器 | |
KR200492748Y1 (ko) | 스틱형 티백과 이를 포함한 차 제품 | |
JP2008081205A (ja) | 片面フック付ティーバッグ | |
KR100820409B1 (ko) | 꽃꽂이용 지지기구 | |
TWM525701U (zh) | 一種掛耳式濾袋架 | |
KR100552044B1 (ko) | 티백 | |
JP5920800B1 (ja) | 蓋部材付ティーバッグ | |
KR101750627B1 (ko) | 차 추출용 드립백 | |
JP3961542B2 (ja) | コーヒーの濾過器 | |
KR101821283B1 (ko) | 드립 백 임시 보관 겸용 포장 상자 | |
JP2004242760A (ja) | 飲料抽出バッグ | |
JP3189452U (ja) | フラワーベース | |
KR200322230Y1 (ko) | 컵홀더 | |
KR200176915Y1 (ko) | 일회용 차용기 | |
KR100535745B1 (ko) | 드립식 간이여과기 | |
KR200357774Y1 (ko) | 차잎분리기 | |
KR200394206Y1 (ko) | 병포장 상자 | |
JPS5925297Y2 (ja) | 濾過器 | |
JPH0430980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