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230Y1 - 컵홀더 - Google Patents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230Y1
KR200322230Y1 KR20-2003-0013442U KR20030013442U KR200322230Y1 KR 200322230 Y1 KR200322230 Y1 KR 200322230Y1 KR 20030013442 U KR20030013442 U KR 20030013442U KR 200322230 Y1 KR200322230 Y1 KR 200322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rotrusion
handle
fitt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선철
Original Assignee
신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선철 filed Critical 신선철
Priority to KR20-2003-0013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2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2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정적으로 컵을 파지할 수 있는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대략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이며, 컵(50) 하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서 컵(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되, 바닥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면(14)이 돌출되며 바닥 외주로부터 벽(16)이 입설되고, 상기 벽(16)에는 벽을 두개로 분할하는 절단면(18,18a)이 대향되어 형성되는 한편, 일측 절단면(18a)에는 끼움공(12)이 형성된 채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플렌지(19)가 구비된 몸체(10)와, 상기 끼움공(12)에 끼워져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손가락을 끼워 파지할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되되 상하단에 돌기(22a,22b)가 형성된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의 상단 돌기(22b)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돌기(22b)에 회동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끼움공(32)을 가진 한쌍의 끼움편(33)이 돌출되어서 형성된 결합돌부(34)를 포함하는 대략 원형의 뚜껑(30)과,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면(14)의 돌출에 의해 형성된 공간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결합면(4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면(42)이 상기 지지면(14) 끼워져 고정되는 받침(40)과,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컵홀더{Cup holder}
본 고안은 손잡이가 없는 음료용 컵(종이컵)을 손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컵은 생산이 용이하여서 저렴한 가격에 제공되므로 한번 사용하고 부담 없이 버릴 수 있으며 위생적이기 때문에 그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해 야외로 외출을 나가거나 또는 일반 사무실 등에서 커피나 뜨거운 차 또는 음료수 등을 마시기 위하여 널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길거리나 휴게소 등에서 판매되는 커피나 음료수를 담거나 혹은 자동 판매기에서는 거의 전부가 이러한 종이컵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종이컵은 음료를 담기 위해 내면에 비닐코팅층이 형성되고, 다수의 종이컵을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구성을 갖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종이컵은 음료를 마실 때 직접 손으로 그 외면을 잡고 들어야 하며, 그 음료가 커피, 차(茶)와 같이 뜨거운 음료인 경우, 음료의 열이 얇은 종이 측벽을 통하여 들고 있는 손으로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종이컵을 들고 있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더욱이 소비자가 상기 뜨거운 종이컵 상단을 파지 한 채 이동시에는 그 자세가 상당히 불안정 할뿐만 아니라 별도의 뚜껑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종이컵이 흔들리게 됨으로써 뜨거운 내용물이 넘쳐서 손에 화상을 입게되는등 안전상으로도 상당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종이컵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료용 컵에도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바,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어려워 컵을 놓쳐 내용물이 소실되는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손잡이 및 뚜껑이 형성된 컵홀더를 구비하여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손잡이가 없는 컵에 적용시켜 사용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컵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컵홀더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가 형성되지 않은 컵(5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컵홀더를 구성함에 있어서;
대략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이며, 컵(50) 하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서 컵(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되, 바닥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면(14)이 돌출되며 바닥 외주로부터 벽(16)이 입설되고, 상기 벽(16)에는 벽을 두개로 분할하는 절단면(18,18a)이 대향되어 형성되는 한편, 일측 절단면(18a)에는 끼움공(12)이 형성된 채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플렌지(19)가 구비된 몸체(10)와,
상기 끼움공(12)에 끼워져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손가락을 끼워 파지할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되되 상하단에 돌기(22a,22b)가 형성된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의 상단 돌기(22b)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돌기(22b)에 회동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끼움공(32)을 가진 한쌍의 끼움편(33)이 돌출되어서 형성된 결합돌부(34)를 포함하는 대략 원형의 뚜껑(30)과,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면(14)의 돌출에 의해 형성된 공간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결합면(4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면(42)이 상기 지지면(14) 끼워져 고정되는 받침(40)과,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를 제안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a, 4b 는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의 작동상태 과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 끼움공
14 : 지지면 16 : 벽
18a,18b : 벽 20 : 손잡이
22a,22b : 돌기 30 : 뚜껑
32 : 끼움공 34 : 결합돌부
40 : 받침 50 : 컵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b 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a, 4b 는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의 작동상태 과정도이다.
먼저 고안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는 손잡이가 형성되지 않은 컵(5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컵홀더를 구성함에 있어서;
대략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이며, 컵(50) 하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서 컵(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되, 바닥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면(14)이 돌출되며 바닥 외주로부터 벽(16)이 입설되고, 상기 벽(16)에는 벽을 두개로 분할하는 절단면(18,18a)이 대향되어 형성되는 한편, 일측 절단면(18a)에는 끼움공(12)이 형성된 채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플렌지(19)가 구비된 몸체(10)와,
상기 끼움공(12)에 끼워져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손가락을 끼워 파지할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되되 상하단에 돌기(22a,22b)가 형성된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의 상단 돌기(22b)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돌기(22b)에 회동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끼움공(32)을 가진 한쌍의 끼움편(33)이 돌출되어서 형성된 결합돌부(34)를 포함하는 대략 원형의 뚜껑(30)과,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면(14)의 돌출에 의해 형성된 공간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결합면(4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면(42)이 상기 지지면(14) 끼워져 고정되는 받침(40)과,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본 구성외에, 상기 고정플렌지(19)의 끝단에는 걸림턱(17)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0)의 하단에 걸림돌기(24)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24)가 상기 걸림턱(17)에 걸려 손잡이가 몸체(1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뚜껑(30)은 통상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 하다 할 것으로서 손잡이(2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이며, 사용자가 몸체(10)에 결합된 상기 손잡이(20)를 잡은 채 상기 뚜껑(30)의 결합돌부(34) 상면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상기 뚜껑(30)이 손잡이(20) 상단의 돌기(22b)를 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것에 의해 상측으로 개방되게 된다.
상기 손잡이(20)는 손가락을 끼워 잡을 수 있도록 통상의 컵 손잡이와 같은 형상으로 고리가 형성됨이 바람직 한 것이며, 그 외형은 실시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몸체(10)에 컵(50)을 끼워넣은 후 결합돌부(34)에서 손가락을 떼면 상기 뚜껑(30)이 컵(50)의 입구를 덮어 막아주게 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컵(50)이 몸체(10)에 완전히 위치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의 몸체(10) 아랫면에는 별도로 형성된 받침(40)을 결합하여 주는 바, 바닥에 놓을 때에는 바닥과 접하는 면적을 넓게 하여 주어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때 혹은 휴대할 때에는 도 4a 및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서 받침(40)을 분리한 후 상기 손잡이(20)에 힘을 가하여 몸체(10)쪽으로 밀어주면 상기 몸체(10)의 하단 고정플렌지(19)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17)으로 부터 상기 손잡이(2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돌기(24)가 이탈되어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손잡이(20)는 하단에 형성된 돌기(22a)를 축으로 하여 회동되어 몸체(10)의 절단면(18,18a)을 지나 몸체(10) 내부에 완전히 내포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20)는 몸체(10) 내측에 한쌍으로 돌출된 지지면(14) 사이에 끼워지듯이 위치되어 바닥면과 완전히 접하면서 자리를 잡게 된다. 이후 상기 손잡이(20)의 끝단에 결합된 상기 뚜껑(10)을 회동시켜 몸체(10)의 바닥에 접하도록 하여 준다.
이와 같이 접혀지면 상기 받침(40)을 상기 손잡이(20)이 내포된 몸체(10)의 상면에 놓아주면 끝나는 것으로, 이에 따라 부피가 축소되어 휴대 및 포장이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컵홀더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작동과 반대로 하여 조립하여 주면 되는 것이며, 상기 받침(40)과 상기 뚜껑(30)은 사용시 필요에 따라 결합하거나 제거하여 몸체(10)와 손잡이(20)만으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별도의 컵홀더를 구비하여 컵을 파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손잡이가 없거나 온도가 뜨거운 컵을 안정적이면서도 손쉽게 파지할 수 있게되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손잡이가 형성되지 않은 컵(5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컵홀더를 구성함에 있어서;
    대략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이며, 컵(50) 하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서 컵(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되, 바닥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면(14)이 돌출되며 바닥 외주로부터 벽(16)이 입설되고, 상기 벽(16)에는 벽을 두개로 분할하는 절단면(18,18a)이 대향되어 형성되는 한편, 일측 절단면(18a)에는 끼움공(12)이 형성된 채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플렌지(19)가 구비된 몸체(10)와,
    상기 끼움공(12)에 끼워져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손가락을 끼워 파지할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되되 상하단에 돌기(22a,22b)가 형성된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의 상단 돌기(22b)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돌기(22b)에 회동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끼움공(32)을 가진 한쌍의 끼움편(33)이 돌출되어서 형성된 결합돌부(34)를 포함하는 대략 원형의 뚜껑(30)과,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면(14)의 돌출에 의해 형성된 공간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결합면(4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면(42)이 상기 지지면(14) 끼워져 고정되는 받침(40)과,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렌지(19)의 끝단에는 걸림턱(17)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0)의 하단에 걸림돌기(24)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24)가 상기 걸림턱(17)에 걸려 손잡이가 몸체(1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KR20-2003-0013442U 2003-04-30 2003-04-30 컵홀더 KR200322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442U KR200322230Y1 (ko) 2003-04-30 2003-04-30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442U KR200322230Y1 (ko) 2003-04-30 2003-04-30 컵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230Y1 true KR200322230Y1 (ko) 2003-08-06

Family

ID=49412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442U KR200322230Y1 (ko) 2003-04-30 2003-04-30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2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710B1 (ko) * 2014-06-19 2016-02-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컵라면 용기 고정장치
KR200487852Y1 (ko) * 2017-05-15 2019-01-29 김선령 음료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가방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710B1 (ko) * 2014-06-19 2016-02-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컵라면 용기 고정장치
KR200487852Y1 (ko) * 2017-05-15 2019-01-29 김선령 음료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가방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512B2 (en) Universal food-holding receptacle for use with beverage containers of diverse shapes and sizes
KR101456387B1 (ko) 식품 및 음료 용기
KR200382710Y1 (ko) 컵 홀더
KR200322230Y1 (ko) 컵홀더
KR200258661Y1 (ko) 휴대용 종이컵 홀더
WO2008003128A1 (en) An insulated cover for a drinking vessel
KR20110003713U (ko) 컵 홀더
KR102193287B1 (ko) 국수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숟가락
JP3223007U (ja) ホルダー兼用キャップオープナー
KR200354296Y1 (ko) 휴대용 보온 컵
KR200287331Y1 (ko) 절첩식 종이컵 홀더
KR200223804Y1 (ko) 스푼 부착형 아이스크림 용기
KR102175815B1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컵 홀더
KR102607335B1 (ko)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KR200390158Y1 (ko) 컵 홀더
KR200378011Y1 (ko) 다기용 거름망 구조
JP2741503B2 (ja) コップ
KR20180000127U (ko) 컵 손잡이
KR200343545Y1 (ko) 내용물을 내재시킬수 있는 일회용 수저
JPH0646376Y2 (ja) ホルダー,ポーションミルク付きカップ
KR20160043491A (ko) 스푼 내삽형 손잡이를 갖는 컵
KR200405664Y1 (ko) 종이컵용 자기 찻잔세트
KR200237765Y1 (ko) 일회용 스픈을 구비하는 종이컵
KR100367631B1 (ko) 절첩형 보온단열컵
KR20170002637U (ko) 컵의 장착이 용이한 일회용 드립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