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158Y1 - 컵 홀더 - Google Patents
컵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0158Y1 KR200390158Y1 KR20-2005-0010442U KR20050010442U KR200390158Y1 KR 200390158 Y1 KR200390158 Y1 KR 200390158Y1 KR 20050010442 U KR20050010442 U KR 20050010442U KR 200390158 Y1 KR200390158 Y1 KR 20039015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holder
- body portion
- cup holder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컵 홀더가 개시된다. 본 컵 홀더는 컵이 홀더와 용이하게 결합되므로 홀더를 기울이더라도 컵이 홀더로부터 이탈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컵의 하부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지지부에 의해 홀더의 넘어짐이 방지될 수 있으며, 컵이 엎어진 상태로 적층된 상태에서는 홀더로 컵의 하부를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컵이 홀더에 결합되므로 컵에 손을 대지 않아도 컵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생적인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컵과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컵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몸체의 하부가 컵의 하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넘어짐이 방지되며, 엎어진 상태로 적층된 컵을 용이하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고, 종이컵은 물론 플라스틱 컵에도 적용할 수 있는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 홀더는 종이컵이나 얇은 플라스틱 컵에 뜨거운 내용물이 수용될 경우에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거나 취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컵 홀더가 개시되어 있으나, 대부분 컵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식을 갖고 있다. 즉, 내용물의 뜨거운의 열기가 사용자의 손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단순히 홀더의 내부에 컵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구조의 홀더는 사용자가 홀더의 손잡이를 취부함으로써 취부가 용이하게 되고, 내용물의 열기로부터 손을 보호할 수는 있었으나, 컵이 홀더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설명하면, 종래기술에 의한 컵 홀더는 컵이 홀더의 내부로 단순히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내용물을 버리기 위해서 홀더를 기울일 경우 컵이 홀더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컵을 홀더에 결합시킬 수 있는 수단이 결여되어 있었기 때문에 발생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종래기술에 의한 컵 홀더는 그 하부의 지름이 컵의 하부 지름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홀더가 약한 충격에 의해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컵과 홀더가 결합되도록 하여 컵이 홀더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넘어짐이 방지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이컵은 물론 합성수지재로 된 컵에도 적용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컵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부의 바닥에는 컵의 하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컵 하부의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의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컵의 저면에 형성된 역사다리 꼴 형상의 걸림리브를 안내하도록 외주면에 형성되는 안내 경사면과, 상기 안내 경사면으로 안내된 걸림리브가 걸리도록 안내 경사면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여 몸체부의 바닥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의 걸림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테는 탄성이 발생되도록 절개홈에 의해 다수개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는 컵의 하부가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몸체부의 바닥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관통공은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중간부에는 몸체부 내부로 삽입되는 컵의 하부가 관통공으로 안내되도록 몸체부의 입구 내경보다 작고, 관통공의 내경보다는 큰 내경을 갖는 안내부가 내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 예에 따른 컵 홀더(20)는 컵(10)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 몸체부(22)와, 상기 몸체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손잡이(24)와, 몸체부(22)의 바닥에 컵(10)의 하부가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부(26)와, 몸체부(22)의 하부에 컵(10) 하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8)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부(22)는 컵(10)의 중간부 이하 영역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손잡이(24)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8)는 몸체부(22)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지름이 몸체부(22) 내부로 삽입될 컵(10)의 하부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으로 형성된다. 즉, 몸체부(22)의 상단 지름과 같은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이나, 이에 국한되는 아니고 몸체부(22)의 상단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26)는 종이로 된 컵(10)의 저면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몸체부(22)의 바닥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테(26C)로 이루어진다. 즉, 종이로 된 컵(10)의 저면에는 역사다리꼴 형상의 걸림리브(12)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테(26C)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리브(12)를 하부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경사면(26A)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안내 경사면(26A)의 끝부위에는 안내 경사면(26A)으로 안내된 걸림리브(12)가 걸리도록 걸림부(26B)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안내 경사면(26A)과 걸림부(26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홀더(20)는 종이재, 금속재, 목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0)을 몸체부(22)의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컵(1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리브(12)가 걸림테(26C)의 안내 경사면(26A)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환형 띠 형상의 걸림리브(12)는 그 지름이 확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하여 삽입하게 되면 걸림리브(12)의 내측 하단이 뾰족한 걸림부(26B)에 걸리게 된다. 이때, 걸림리브(12)는 확장되면서 발생된 자체 탄성에 의해 걸림부(26B)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컵(10)의 하부는 고정부(26)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컵(10)이 고정부(26)에 결합된 상태에서 컵(10)에 뜨거운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음료수를 담아 음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홀더(20)를 바닥에 놓더라도 홀더(20)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28)는 컵(10)을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즉, 홀더(20)를 이루는 몸체부(22)의 하부에 컵(10)의 하부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지지부(2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20)가 안정된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컵(10)의 넘어짐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컵(10)에 담겨진 음료를 버리기 위해서 홀더(20)를 기울일 경우에 걸림리브(12)가 걸림테(26C)에 걸려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컵(10)은 홀더(2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컵(10)을 취부하지 않은 상태로 홀더(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손이 오염된 경우에 홀더(20)만 사용하여 컵(10)을 홀더(20)에 결합시킨 후 컵(10)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0)이 모두 엎어진 상태로 적층된 상태(걸림리브(12)가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홀더(20)를 뒤집어 컵(10)의 하부를 홀더(20)의 내부로 삽입하되, 상기 걸림리브(12)가 안내 경사면(26A)에 접촉되면 홀더(20)를 하방으로 더욱 가압하여 걸림리브(12)가 걸림부(26B)에 걸리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컵(10)이 홀더(20)에 결합되면 사용자는 홀더(20)를 들어올린 후 뒤집어 컵(10)이 상방을 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컵(10)이 엎어져 적층된 상태에서 홀더(20)에 컵(10)이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컵(10)이 홀더(20)에 결합되므로, 손으로 직접 컵(10)을 취부하지 않고도 컵(10)을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손이 오염된 경우에는 매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제 2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 예에 따른 컵 홀더는 상기 걸림테(26C)가 다수의 절개홈(26D)에 의해 다수개로 분할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걸림테(26C)가 절개홈(26D)에 의해 다수개로 분할됨으로써 각 걸림테(26C)는 자체 탄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탄성은 컵(10)의 걸림리브(12)를 보다 용이하게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걸림리브(12)가 안내 경사면(26A)을 타고 하부로 내려갈 때 분할된 걸림테(26C)가 탄성을 발생시키면서 내측으로 변형되고, 이어서 걸림리브(12)가 걸림부(26B)에 걸리게 되면 내측으로 변형되었던 걸림테(26C)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걸림리브(12)를 가압하면서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의한 컵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컵 홀더는 고정부(26)가 컵(10)의 하부가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몸체부(22)의 바닥에 형성되는 관통공(26E)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고정부(26)는 걸림리브(12)가 형성되지 않은 합성수지재로 된 컵(10)에 적용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즉, 컵(10)의 하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관통공(26E)이 몸체부(22)의 바닥에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관통공(26E)은 컵(10)의 경사진 하부가 지지되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는 컵(10)의 하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몸체부(22)에는 상기 관통공(26F)으로 컵(10)의 하부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몸체부(22)의 입구 내경보다 작고, 관통공(26F)의 내경보다는 큰 내경을 갖는 안내부(22A)가 내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즉, 몸체부(22)의 입구측에서 바닥 측으로 경사진 구조의 안내부(22A)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10)을 몸체부(22)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0)의 하부가 안내부(22A)에 안내되어 관통공(26E)으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걸림리브(12)가 없는 컵(10)의 경우에도 홀더(20)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컵 홀더는 컵이 홀더와 용이하게 결합되므로 홀더를 기울이더라도 컵이 홀더로부터 이탈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컵의 하부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지지부에 의해 홀더의 넘어짐이 방지될 수 있으며, 컵이 엎어진 상태로 적층된 상태에서는 홀더로 컵의 하부를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컵이 홀더에 결합되므로 컵에 손을 대지 않아도 컵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생적인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의한 컵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홀더에 컵이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 홀더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의한 컵 홀더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의한 컵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컵 12 : 걸림리브
20 : 홀더 22 : 몸체부
22A : 안내부 24 : 손잡이
26 : 고정부 26A : 안내 경사면
26B : 걸림부 26C : 걸림테
26D : 절개홈 26E : 관통공
28 : 지지부
Claims (5)
- 컵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부의 바닥에는 컵의 하부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컵 하부의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의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컵의 저면에 형성된 역사다리 꼴 형상의 걸림리브를 안내하도록 외주면에 형성되는 안내 경사면과, 상기 안내 경사면으로 안내된 걸림리브가 걸리도록 안내 경사면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여 몸체부의 바닥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의 걸림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테는 탄성이 발생되도록 절개홈에 의해 다수개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컵의 하부가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몸체부의 바닥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중간부에는 몸체부 내부로 삽입되는 컵의 하부가 관통공으로 안내되도록 몸체부의 입구 측에서 관통공 측으로 경사진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0442U KR200390158Y1 (ko) | 2005-04-15 | 2005-04-15 | 컵 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0442U KR200390158Y1 (ko) | 2005-04-15 | 2005-04-15 | 컵 홀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0158Y1 true KR200390158Y1 (ko) | 2005-07-21 |
Family
ID=4369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0442U KR200390158Y1 (ko) | 2005-04-15 | 2005-04-15 | 컵 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0158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8083B1 (ko) | 2006-09-27 | 2007-08-14 | 하태우 | 물방울이 수집되는 페트병 받침대 |
KR20230070906A (ko) * | 2021-11-15 | 2023-05-23 |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계량컵 |
-
2005
- 2005-04-15 KR KR20-2005-0010442U patent/KR20039015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8083B1 (ko) | 2006-09-27 | 2007-08-14 | 하태우 | 물방울이 수집되는 페트병 받침대 |
KR20230070906A (ko) * | 2021-11-15 | 2023-05-23 |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계량컵 |
KR102680709B1 (ko) * | 2021-11-15 | 2024-07-03 | 주식회사 동우에스엔제이 | 계량컵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5878B1 (ko) | 컵 | |
KR101380398B1 (ko) | 일회용 컵 캐리어 | |
US20170156528A1 (en) | Plate | |
KR200390158Y1 (ko) | 컵 홀더 | |
KR101619805B1 (ko) | 빨대 꽂이를 구비한 컵홀더 | |
US20040134918A1 (en) | Multi-piece vessel | |
JP3115076U (ja) | ペットボトル | |
KR200258661Y1 (ko) | 휴대용 종이컵 홀더 | |
US20040134919A1 (en) | Multi-piece vessel | |
KR200481424Y1 (ko) |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 | |
KR101709674B1 (ko) | 음료용기 홀더 일체형 보조용기 | |
US20060091275A1 (en) | Apparatus for holding a liquid container | |
KR200486146Y1 (ko) | 이중용기 | |
KR20070000281U (ko) |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는 종이컵 | |
WO2022065442A1 (ja) | ストロー用キャップ | |
KR200322230Y1 (ko) | 컵홀더 | |
KR20100137828A (ko) | 빨대 고정용 하우징 | |
KR101650132B1 (ko) | 컵받침 | |
KR200484034Y1 (ko) | 컵 운반용 플레이트 | |
US20040232155A1 (en) | Combination plate and glass holder | |
KR100880052B1 (ko) | 용기 | |
KR20170046283A (ko) |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음료 용기 | |
KR200424649Y1 (ko) | 식품용기의 분리구 구조 | |
JP2016214486A (ja) | 食器、及び、食器セット | |
KR200359571Y1 (ko) | 퇴수 수용공간을 갖는 다도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