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710Y1 - 컵 홀더 - Google Patents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710Y1
KR200382710Y1 KR20-2005-0002851U KR20050002851U KR200382710Y1 KR 200382710 Y1 KR200382710 Y1 KR 200382710Y1 KR 20050002851 U KR20050002851 U KR 20050002851U KR 200382710 Y1 KR200382710 Y1 KR 200382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cup
plate
coupling
coupl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희
Original Assignee
김복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희 filed Critical 김복희
Priority to KR20-2005-0002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7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7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7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insulating sleeves or jackets for cans, bottles, barrels,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컵 등을 안정적으로 들어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컵이 안착되어지게 전개된 판형부재 일단의 결합부와 타단부의 결합선을 결합하여 상광하협의 원형의 수납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판형부재의 양쪽부위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하여서 판형부재로부터 돌출되어 한쌍의 손잡이를 형성하여 상기한 원형수납공간부에 안정되게 수납된 컵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 컵홀더에 관한것이다.
본 고안은 전개되어 말리도록 형성한 판형부재(100)와; 중앙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 대칭되게 상기 판형부재(100)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보조손잡이(50)를 형성하고 상기 판형부재(100)의 양쪽부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상기 판형부재(100)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손잡이(40)와; 상기 판형부재(1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슬롯홈(62)을 갖는 결합부(60)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판형부재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결합선(61)과; 상기 결합부(60)가 상기 결합선(61)에 삽입되면 상기 판형부재(100)는 상광하협의 원형수납공간부(7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40)를 상기 판형부재(100)로부터 돌출시켜 서로 짝이되게 접히고 컵이 수납공간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형부재(100) 배면일측부의 상기 슬롯홈(62) 인접부와 상기 판형부재(100)의 전면타측부 상기 결합선(61)에 인접하여 벨크로화스너(30, 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컵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컵 홀더{A cup holder }
본 고안은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컵 등을 안정적으로 들어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컵이 안착되어지게 전개된 판형부재 일단의 결합부와 타단부의 결합선을 결합하여 상광하협의 원형의 수납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판형부재의 양쪽부위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하여서 판형부재로부터 돌출되어 한쌍의 손잡이를 형성하여 상기한 원형수납공간부에 안정되게 수납된 컵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 컵홀더에 관한것이다.
손잡이가 없는 일회용 종이컵 또는 일회용 플라스틱컵은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해 장소에 구애받음 없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종이컵 및 플라스틱컵은 길거리나 휴게소 및 가두커피판매점 등에서 커피나 음료수 등을 판매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자동 판매기 또는 가두판커피판매점에서 사용 되어왔다.
특히 상기한 일회용 종이컵은 음료를 담기위해 그 내면에 비닐이 코팅되어 있고, 상광하협의 사다리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일회용 종이컵 또는 플라스틱컵은 그 외주면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않아 음료수를 마실때에 는 직접 컵의 외부몸체를 직접 손으로 잡아야 한다. 이에 따라 음료가 뜨거운 커피와 같은 뜨거운 음료인 경우에는 손잡이가 없을 경우 컵을 직접 들고 있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뜨거운 음료의 온도가 어느정도 떨어졌을 때 컵을 잡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컵은 일회용 특성상 컵을 잡았을 때 몸체의 변형이 쉽게 일어나 수용되었던 음료가 넘쳐 흘르거나 약간의 흔들림에도 음료가 넘쳐흘러서 손과 옷 등을 오염시켜서 이러한 일회용컵 및 플라스틱컵 사용자에게 불편을 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회용 종이컵 및 플라스틱컵은 그 크기가 다양한 가운데 컵의 직경둘레와 길이가 큰 것은 성인들의 손크기에 적합하나 어린이들의 손의 크기에 적합하지 않아서 큰컵을 잡기가 어려워서 컵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상온보다 낮거나 같으면 괜찬은데 상온보다 높은 뜨거운 내용물이 수용될 경우 어린이들이 컵을 잡기가 어려웠고 이러한 컵을 취급 시 부주의하여 흔들거나 엎질렀을 경우 어린이들의 손에 수화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컵을 어린이들이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는 컵홀더가 제공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컵 등을 안정적으로 들어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컵이 안착되어지게 전개된 판형부재 일단의 결합부와 타단부의 결합선을 결합하여 상광하협의 원형의 수납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판형부재의 양쪽부위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하여서 판형부재로부터 돌출되어 한쌍의 손잡이를 형성하여 상기한 원형수납공간부에 안정되게 수납된 컵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 새로운 컵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전개되어 말리도록 형성한 판형부재와; 중앙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 대칭되게 상기 판형부재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보조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판형부재의 양쪽부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상기 판형부재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손잡이와; 상기 판형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슬롯홈을 갖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판형부재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결합선과;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선에 삽입되면 상기 판형부재는 상광하협의 원형수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를 상기 판형부재로부터 돌출시켜 서로 짝이되게 접히고 컵이 수납공간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형부재 배면일측부의 상기 슬롯홈 인접부와 상기 판형부재의 전면타측부 상기 결합선에 인접하여 벨크로화스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컵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개되어 말리도록 형성한 판형부재(100)와; 상기 판형부재(100)의 양쪽부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상기 판형부재(100)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손잡이(40)와; 상기 판형부재(100)의 중앙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 대칭되게 상기 판형부재(100)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보조손잡이(50)를 형성하고 상기 판형부재(1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슬롯홈(62)을 갖는 결합부(60)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판형부재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결합선(61)과; 상기 결합부(60)가 상기 결합선(61)에 삽입되면 상기 판형부재(100)는 상광하협의 원형수납공간부(7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40)를 상기 판형부재(100)로부터 돌출시켜 서로 짝이되게 접히고 컵이 수납공간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형부재(100) 배면일측부의 상기 슬롯홈(62) 인접부와 상기 판형부재(100)의 전면타측부 상기 결합선(61)에 인접하여 벨크로화스너(30, 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컵홀더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컵홀더의 수납공간부에 컵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컵홀더의 결합부와 결합선의 결합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컵홀더를 도 1 및 도 2, 도 3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개되어 말리도록 판형부재(100)로 형성한다. 상기 판형부재(100)는 감기거나 접을 수 있는 종이 및 플라스틱재로 형성한다.
상기 판형부재(100)의 중앙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 대칭되게 상기 판형부재(100)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보조손잡이(5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판형부재(100)의 양쪽부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상기 판형부재(100)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손잡이(40)를 형성한다.
또한 돌출된 상기 손잡이(40)의 내측에는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부(41)를 형성한다.
상기 판형부재(1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슬롯홈(62)을 갖는 결합부(60)로 형성한다.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판형부재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결합선(61)으로 형성한다.
상기 결합선(61)은 상기 판형부재(100)의 타측에 절개선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60)가 상기 결합선(61)의 내로 삽입되면 상기 판형부재(100)는 상광하협의 원형의 수납공간부(70)로 형성된다.
즉 원형의 상기 수납공간부(70)에 종이컵 및 플라스틱컵이 수납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40)를 상기 판형부재(100)로부터 돌출시켜 서로 짝이되게 접혀서 사용자가 손잡이(40)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판형부재(100) 배면일측부의 상기 슬롯홈(62) 인접부와 상기 판형부재(100)의 전면타측부 상기 결합선(61)에 인접하여 벨크로화스너(30, 30')를 형성한다.
상기 벨크로화스너(30, 30')는 상기 결합부(60)를 상기 결합선(61)에 삽입하여 상기 수납공간부(70)를 만들지 아니하고 상기 벨크로화스너(30)와 상기 벨크로화스너(30')를 서로 부착하여 상기 수납공간부(70)를 만들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벨크로화스너(30, 30')는 탈,부착이 아주 쉽고 간편해서 원형의 상기 수납공간부(70)를 용이하게 만들어서 컵을 수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컵홀더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개된 상기 판형부재(100)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감아 원형의 상기 수납부(70)를 형성하고 상기 판형부재(100)의 일측의 상기 결합부(60)를 상기 판형부재(100)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결합선(61)에 삽입하여 고정하여준다.
이때 상기 결합부(60)의 상기 슬롯홈(62)이 상기 결합선(61)의 절단선에 끼워지게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40)와 상기 보조손잡이(50)를 상기 판형부재(100)에서 외부로 돌출시켜서 컵홀더의 조립을 완료하면 컵을 상기 수납공간부(70)에 컵(200)을 수납하고 상기 손잡이(40)를 잡아서 음료수를 컵(200)의 내부에 수용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보다 안정적으로 컵(200)을 들기위해서는 상기 손잡이(40)의 상기 공간부(41)에 손가락을 끼워서 상기 손잡이(40)를 잡을 수 있고 상기 손잡이(40) 이외에도 상기 보조손잡이(50)를 함께 잡아서 보다 안정적으로 컵을 들을 수 있도록 사용한다.
본 고안은 전개된 판형부재 일단의 결합부와 타단부의 결합선을 결합하여 상광하협의 원형의 수납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판형부재의 양쪽부위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하여 판형부재로부터 돌출되어 한쌍의 손잡이를 형성하여 상기한 원형수납공간부에 안정되게 컵을 수납하도록 형성하여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고 손쉽게 장소의 구애받음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어린이들이 손쉽게 일회용 종이컵 및 플라스틱컵의 직경둘레와 길이가 큰컵을 쉽게 손으로 잡을 수 있고 컵에 수용된 뜨거운 내용물로부터 수화상을 입을 염려를 없앴고, 상기 판형부재의 재료가 잘말려지는 소재인 종이 및 플라스틱의 소재로 할 수 있어서 전개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생산단가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와 보조손잡이를 함께 형성하므로 컵홀더에 수납된 컵을 보다 안정으로 들고 있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컵홀더의 전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컵홀더의 수납공간부에 컵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컵홀더의 결합부와 결합선의 결합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손잡이 30, 30': 벨크로화스너
50: 보조손잡이 60: 결합부
61: 결합선 62: 슬롯홈
70: 수납공간부 100: 판형부재
200: 컵

Claims (2)

  1. 전개되어 말리도록 형성한 판형부재(100)와;
    중앙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 대칭되게 상기 판형부재(100)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보조손잡이(50)를 형성하고 상기 판형부재(100)의 양쪽부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상기 판형부재(100)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손잡이(40)와;
    상기 판형부재(1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슬롯홈(62)을 갖는 결합부(60)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판형부재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결합선(61)과;
    상기 결합부(60)가 상기 결합선(61)에 삽입되면 상기 판형부재(100)는 상광하협의 원형 수납공간부(7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40)를 상기 판형부재(100)로부터 돌출시켜 서로 짝이되게 접히고 컵이 수납공간부에 수납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100) 배면일측부의 상기 슬롯홈(62) 인접부와 상기 판형부재(100)의 전면타측부 상기 결합선(61)에 인접하여 벨크로화스너(30, 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KR20-2005-0002851U 2005-01-31 2005-01-31 컵 홀더 KR200382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851U KR200382710Y1 (ko) 2005-01-31 2005-01-31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851U KR200382710Y1 (ko) 2005-01-31 2005-01-31 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710Y1 true KR200382710Y1 (ko) 2005-04-22

Family

ID=4368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851U KR200382710Y1 (ko) 2005-01-31 2005-01-31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71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739B1 (ko) 2009-02-17 2009-07-01 김창섭 컵 홀더
WO2010079871A1 (ko) * 2009-01-09 2010-07-15 주식회사 투고솔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
KR101003805B1 (ko) 2008-08-07 2010-12-27 안형진 일회용 컵 홀더
KR102002833B1 (ko) 2019-01-22 2019-07-23 박정애 기능성 캔 홀더
WO2021101085A1 (ko) * 2019-11-19 2021-05-27 성훈 간편식 국수
KR200493844Y1 (ko) * 2019-12-31 2021-06-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아이스컵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805B1 (ko) 2008-08-07 2010-12-27 안형진 일회용 컵 홀더
WO2010079871A1 (ko) * 2009-01-09 2010-07-15 주식회사 투고솔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
KR100905739B1 (ko) 2009-02-17 2009-07-01 김창섭 컵 홀더
KR102002833B1 (ko) 2019-01-22 2019-07-23 박정애 기능성 캔 홀더
WO2021101085A1 (ko) * 2019-11-19 2021-05-27 성훈 간편식 국수
KR200493844Y1 (ko) * 2019-12-31 2021-06-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아이스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5795B1 (ja) コップ
KR200382710Y1 (ko) 컵 홀더
US8146737B2 (en) Beverage cup carrier
KR101707467B1 (ko) 일회용 컵홀더
USD528154S1 (en) Printer
US20080011909A1 (en) Drinking straw holder
KR101344745B1 (ko) 손잡이가 내장된 일회용 컵홀더
JP3824995B2 (ja) 洗眼器具
KR200258661Y1 (ko) 휴대용 종이컵 홀더
KR100851814B1 (ko) 컵홀더
JPH09154697A (ja) 組立式紙製コップホルダー
KR20130080207A (ko) 컵 홀더
KR200322230Y1 (ko) 컵홀더
KR200487386Y1 (ko) 파지가 용이한 전개형 컵 홀더
KR200476318Y1 (ko) 컵 캐리어
KR20150124206A (ko) 이종용기
KR200185591Y1 (ko) 손잡이를 부설한 종이컵
JP3034568U (ja) 紙パック飲料保持容器
KR200287331Y1 (ko) 절첩식 종이컵 홀더
JPH0728121Y2 (ja) 紙コップ等の筒状飲料用容器保持具
KR101707466B1 (ko) 일회용 컵홀더
JP2003116700A (ja) カップホルダー
KR20170004054U (ko) 다용도 컵 덮개
KR20120006515U (ko) 컵 홀더
JP2009273854A (ja) 箸おさ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