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833B1 - 기능성 캔 홀더 - Google Patents

기능성 캔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833B1
KR102002833B1 KR1020190007903A KR20190007903A KR102002833B1 KR 102002833 B1 KR102002833 B1 KR 102002833B1 KR 1020190007903 A KR1020190007903 A KR 1020190007903A KR 20190007903 A KR20190007903 A KR 20190007903A KR 102002833 B1 KR102002833 B1 KR 10200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older
moving
functional
fib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애
Original Assignee
박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애 filed Critical 박정애
Priority to KR1020190007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66Glass or bottle holders for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32B1/02Receptacles, i.e. rigid containers, e.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캔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캔 홀더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캔을 수용하는 수용부(100)를 포함하되, 수용부(100)의 단면은 적층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공기 거품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층(120), 플라스틱층(120)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하향으로 꺾인 벽체(131)를 가지는 탄소섬유층(130), 플라스틱층(120)의 상부면과 탄소섬유층(130)의 하부면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습기흡수층(140), 탄소섬유층(130)의 상부면에 적층되어 하부로부터 열을 차단하는 폴리머층(150), 폴리머층(150)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복수 개의 관통홀(161)과 관통홀(161) 사이에 형성된 유관(162)이 포함되는 흡수층(160) 및 흡수층(160)의 상부면에 적층되어 수용부(100)의 최외면을 이루는 섬유층(170)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캔 홀더{FUNCTIONAL CAN HOLDER}
본 발명은 기능성 캔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캔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고 지지 수단을 구비하여 캔 홀더로부터 캔이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능성 캔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주스, 물 등의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종이컵, 투명 플라스틱 컵, 유리컵, 캔 등의 다양한 용기가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캔 등이 별도의 손잡이가 없는 플라스틱 캔, 알루미늄 캔, 철재 캔 등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뜨거운 커피나 차가운 주스 등을 캔에 수용하여 음용 할 때에 캔의 내부에 수용된 뜨거운 음료로부터 열이 전달되거나 차가운 음료에게 열을 빼앗기면서, 캔의 외주연이 뜨거워지거나 차가워져 사용자가 캔을 잡고 있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캔의 몸체에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캔 홀더를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캔 홀더는 통상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캔 내의 뜨거운 음료의 온도가 캔 홀더를 통해 그대로 전달되므로 이 또 한 캔 내의 뜨거운 음료의 온도가 어느 정도 내려갈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캔 홀더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어린아이의 경우 상기 캔 홀더를 잡고 음료를 마시기 어려워 취급 부주의로 인해 화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캔이란 액체를 담아서 보관하면서 용이하게 복용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로서 실외에서의 사용이 많은 상황인데 실외에서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경우에 캔 내에 보관되던 내용물이 유출되거나 들고 다니면서 음용할 시에 쏟아지는 불편이 발생한다. 따라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경우 종래의 캔이나 캔 홀더는 흡수력에 한계가 있어 별도의 휴지를 사용하여 닦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캔 홀더는 캔의 옆면을 감싸거나 캔의 옆면과 밑면만을 감싸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음용 시에, 캔 홀더 내부에서 캔이 이탈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캔에 담긴 내용물의 자체 열이 캔과 캔 홀더에 그대로 전달되어 캔 홀더를 파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단열력이 강한 캔 홀더의 경우에는 내용물의 온도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서 음용 시에, 화상을 입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6515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271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성이 뛰어난 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가 구비된 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캔 홀더에 수용되는 캔을 고정시킴으로써 캔이 캔 홀더로부터 이탈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캔 홀더에 수용된 캔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현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한 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캔으로부터 유출되는 내용물을 흡수하는 구조로 구성된 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 홀더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캔을 수용하는 수용부(100)를 포함하되, 수용부(100)의 단면은 적층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공기 거품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층(120), 플라스틱층(120)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하향으로 꺾인 벽체(131)를 가지는 탄소섬유층(130), 플라스틱층(120)의 상부면과 탄소섬유층(130)의 하부면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습기흡수층(140), 탄소섬유층(130)의 상부면에 적층되어 하부로부터 열을 차단하는 폴리머층(150), 폴리머층(150)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복수 개의 관통홀(161)과 관통홀(161) 사이에 형성된 유관(162)이 포함되는 흡수층(160) 및 흡수층(160)의 상부면에 적층되어 수용부(100)의 최외면을 이루는 섬유층(17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성 캔 홀더는 수용부(100)의 외주연에 체결되어 수용부(100)에 수용된 캔이 수용부(100) 내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400)를 포함하되, 지지부(400)는 수용부(100)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어 수용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부(421) 및 수용부(100)의 외주연에 끼움 결합되어 지지부(400)를 수용부(100)의 외주연에 밀착시키는 돌기부(460)를 갖는 기둥 부재(410); 및 수용부(100)에 수용되는 캔의 상단을 지지하면서 수용부(100)의 상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1 지점과 수용부(100)에 수용되는 캔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2 지점 사이를 직선으로 이동하는 이동 수단(433)을 갖는 이동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수단(433)은 이동 중심부(431)에 결합되고, 이동 수단(433)의 측벽(433a)과 이동 중심부(431)의 측벽(431a)은 측벽(433a)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성 캔 홀더는 수용부(100)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11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고정부(200); 및 일단과 타단이 고정부(200)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지부(300)를 더 포함하되, 파지부(300)는 수용부(100)에 수용된 캔의 외주연과 접촉되어 캔의 열을 파지부(300)에 구비된 열 표현 부재(330)로 전도하는 열 전도 부재(340)를 포함하고, 열 표현 부재(330)는 파지부(30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캔의 열을 표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열의 정도를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수층(160)에서, 관통홀(161)과 유관(162) 연결되는 교차점에는 흡수성이 높은 수지 조성물이 구비되어 섬유층(170)으로부터 흡수되어 관통홀(161) 또는 유관(162)를 통해 흘러온 유체가 흡수되며, 상기 흡수성이 높은 수지 조성물은 산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산성기의 일부가 중화된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중합시킨 중합체;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알루미노 실리케이드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열성이 뛰어난 캔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가 구비된 캔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캔 홀더에 수용되는 캔을 고정시킴으로써 캔이 캔 홀더로부터 이탈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캔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캔 홀더에 수용된 캔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현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한 캔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캔으로부터 유출되는 내용물을 흡수하는 구조로 구성된 캔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 홀더에 구비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 홀더에 구비된 지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캔 홀더에 캔이 장착되기 전의 지지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캔 홀더에 캔이 장착되었을 때 또는 장착 과정에서 연장된 지지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 홀더에 구비된 고정부와 파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 홀더에 구비된 수용부 및 파지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 홀더에 구비된 열 전도 부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 홀더(이하, “본 캔 홀더”라 한다)의 구성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 홀더에 구비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 홀더에 구비된 지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캔 홀더에 캔이 장착되기 전의 지지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캔 홀더에 캔이 장착되었을 때 또는 장착 과정에서 연장된 지지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 홀더에 구비된 고정부와 파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 홀더에 구비된 수용부 및 파지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 홀더에 구비된 열 전도 부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캔 홀더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캔을 수용하는 수용부(100), 수용부(100)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11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고정부(200), 일단과 타단이 고정부(200)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지부(300) 및/또는 수용부(100)의 외주연에 체결되어 수용부(100)에 수용된 캔이 수용부(100) 내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캔 홀더의 상술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캔 홀더에 구비된 지지부(400)는 기둥 부재(410) 및/또는 이동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 부재(410)는 수용부(100)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어 수용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부(421) 및 수용부(100)의 외주연에 끼움 결합되어 지지부(400)를 수용부(100)의 외주연에 밀착시키는 돌기부(460)를 포함한다. 즉, 받침부(421)과 돌기부(460)을 통해 지지부(400)은 수용부(100)에 체결된다.
이동 부재(430)는 수용부(100)에 수용되는 캔의 상단을 지지하면서 수용부(100)의 상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1 지점과 수용부(100)에 수용되는 캔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2 지점 사이를 직선으로 이동하는 이동 수단(433)을 포함한다. 이때, 이동 수단(433)은 이동 중심부(431)에 결합되고, 이동 수단(433)의 측벽(433a)과 이동 중심부(431)의 측벽(431a)은 측벽(433a)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수용부(100)에 수용되는 캔의 상단은 지지부(400)의 받침부(421)와 이동 수단(433)을 통해 수용부(1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동 수단(433)의 측벽(433a)와 이동 중심부(431)의 측벽(431a)는 캔이 수용되기 전에는 수용부(100)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존재하고, 캔이 수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측벽(433a) 및 측벽(431a)를 파지하여 이동 부재(430)를 들어 올릴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부재(430)이 캔의 상단까지 이동되었을 때, 사용자는 측벽(433a) 및 측벽(431a)을 캔의 중심부 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이동 수단(433)을 캔의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400)는 탄성판(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둥 부재(410)에는 수용부(100)가 놓인다. 이동 부재(430)는 기둥 부재(4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수용부(100)가 놓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수용부(100)를 지지한다. 탄성판(450)은 이동 부재(430)의 움직임을 고정한다. 돌기부(460)는 탄성판(450)을 눌러 이동 부재(430)의 움직임 고정을 해제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100)에 캔이 수용되면 수용부의 외주연에 끼움 결합된 돌기부(460)가 눌려짐에 따라 고정되었던 이동 부재(430)의 고정이 해제되어 수용된 캔의 상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기둥 부재(410)는 기둥체(411), 받침부(421), 그리고 덮개(425)를 포함한다. 기둥체(411)는 수용부(100)가 놓이는 주요 영역으로 제공된다. 기둥체(411)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기둥체(41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안내 홈(412)이 형성된다. 안내 홈(412)은 이동 부재(43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안내 홈(412)은 한 쌍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안내 홈(412)에는 용수철(441)이 놓인다. 기둥체(411)의 측벽(411a)은 꺾이어 상부로 돌출되고 받침부(421)가 고정 결합된다. 받침부(421)는 수용부(100)의 일단을 지지한다. 덮개(425)는 기둥체(411)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다. 덮개(425)는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양단에는 체결부(426, 427)가 덮개(425)의 아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체결부(426, 427)는 기둥체(411)와의 조립 시, 기둥체(411)에 형성된 체결 홈(413)에 체결된다. 덮개(425)에는 돌기부 홀(428)이 형성된다. 돌기부 홀(428)은 이동 수단(433)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부재(430)는 이동 중심부(431), 이동 수단(433), 이동 봉(435), 용수철(441), 고정 수단(445)을 포함한다. 이동 중심부(431)는 받침부(421)로부터 멀리 떨어진 기둥체(411)의 타 측에 위치한다. 이동 중심부(431)는 측벽(431a)이 상부로 돌출된다. 이동 중심부(431)의 측벽(431a)은 기둥체(411)의 측벽(411a)과 서로 마주한다. 이동 수단(433)는 이동 중심부(431)에 고정 결합한다. 이동 수단(433)은 받침부(421)와 조합하여 수용부(100)를 지지한다. 이동 수단(433)은 받침부(421)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 봉(435)은 막대 형상을 가지며, 이동 수단(433)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이동 봉(435)은 일단이 이동 중심부(431)에 고정 결합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봉(435)는 한 쌍 제공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용수철(441)은 안내 홈(412) 내에 놓이며, 이동 봉(435)에 삽입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용수철(441)은 한 쌍 제공되며, 이동 봉(435)들에 각각 삽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수단(445)은 이동 봉(435)의 타 단에 고정되며, 용수철(441)이 이동 봉(435)에서 빠지는 것을 차단한다. 고정 수단(445)에는 고정 돌기(446)가 형성된다. 고정 돌기(446)는 탄성판(450)의 걸림부(457)에 걸릴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 부재(430)의 이동이 고정된다. 고정 수단(445)는 제1 영역(445a), 제2 영역(445b), 그리고 제3 영역(445c)을 가진다. 제1 영역(445a)과 제2 영역(445b)은 각각 이동 봉(435)의 타단과 결합하는 영역이다. 제3 영역(445c)은 제1 영역(445a)과 제2 영역(445b)을 연결하는 영역으로, 고정 돌기(446)가 형성된다.
탄성판(450)는 기둥체(411)와 덮개(425) 사이에서 기둥체(411) 내에 위치한다. 탄성판(450)는 두께가 얇은 탄성 판으로 제공된다. 탄성판(45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성판(450)은 제1 구역(451), 제2 구역(452), 그리고 제3 구역(453)을 가진다. 제1 구역(451)은 기둥체(411)에 밀착 고정되는 영역으로 일 방향으로 길게 제공된다. 제2 구역(452)은 제1 구역(451)의 일 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3 구역(453)은 제2 구역(452)의 일 측으로부터 제1 구역(451)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구역(453)은 기둥체(411)로부터 소정 거리에 이격하여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서, 탄성판(450)는 제3 구역(453)이 제1 구역(451)에 대해 회동가능하다. 탄성판(450)에는 눌림부(455)와 걸림부(457), 그리고 삽입홀(458)이 형성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눌림부(155), 걸림부(457) 그리고 삽입홀(458)은 제3 구역(453)에 형성된다. 눌림부(455)는 돌기부(460)의 하단이 놓이는 영역으로, 돌기부(460)의 눌림과 함께 아래로 눌려진다. 걸림부(457)는 소정 폭으로 형성된 홀로, 고정 수단(445)의 고정 돌기(446)가 삽입된다. 삽입홀(458)은 덮개(425)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홀(429)가 삽입된다. 돌기부(460)는 돌기부 홀(428)에 삽입되며, 하단이 탄성판(450)의 눌림부(455)에 놓이고 상단이 덮개(425)의 상부로 돌출된다. 돌기부(460)는 수용부(100)에 캔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캔에 의해 눌러진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수단(433)는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제1 지점은 이동 수단(433)과 받침부(421)와의 사이 간격이 수용부(100)의 일 방향 폭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제2 지점은 이동 수단(433)과 받침부(421)와의 사이 간격이 수용부(100)의 일 방향 폭보다 큰 위치이다. 사용자는 이동 부재(430)를 이동시켜 이동 수단(433)를 제2 지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캔을 캔 홀더에 설치할한다. 제2 지점에서 이동 수단(433)과 받침부(421)의 사이 간격이 수용부(100)의 폭보다 크므로, 사용자는 이동 수단(433)과 받침부(421)와의 간섭 없이 캔을 수용부(100)에 설치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이동 부재(430)를 잡고 이동 수단(433)를 제2 지점으로 이동시킬 경우, 이동 봉(435)는 이동 중심부(431)에 딸려 기둥 부재(410) 외부로 이동하고, 일부가 기둥 부재(410) 내부에 위치한다. 이 과정에서 고정 수단(445)도 이동 봉(435)에 딸려 이동되고, 용수철(441)이 압축된다. 고정 수단(445)은 걸림부(457)의 위치까지 이동가능하며, 고정 돌기(446)가 걸림부(457)에 걸려 이동 부재(430)의 이동이 제한된다. 사용자가 이동 부재(430)에서 손을 놓더라도, 고정 돌기(446)가 걸림부(457)에 걸리므로 이동 부재(430)는 제1 지점으로 돌아가지 않으며, 용수철(441)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이동 부재(430)를 제2 지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캔을 캔 홀더에 설치한다. 캔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돌기부(460)는 캔에 의해 눌러지며, 돌기부(460)는 하단에 놓인 탄성판(450)의 눌림부(455)를 누른다. 탄성판(450)의 눌림부(455)가 아래로 눌러짐으로 인해, 걸림부(457)가 아래로 이동하여 고정 돌기(446)의 걸림이 해제된다. 고정 돌기(446)의 걸림 해제로, 용수철(441)의 탄성력이 고정 수단(445)에 전달된다. 용수철(441)의 탄성력은 고정 수단(445)을 받침부(421) 측으로 이동시키며, 이 과정에서 이동 봉(435), 이동 중심부(431), 이동 수단(433)도 함께 딸려 이동한다. 도 4와 같이, 이동 수단(433)은 제1 지점으로 이동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용부(100)는 고정부(200)가 삽입 고정되도록 수용부(100)의 외주연에 위치하고, 수직 방향으로 한 쌍으로 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홈(110)은 수용부(100)가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200)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110)에 고정부(200)를 삽입 고정시키고, 고정부(200)에 파지부(300)를 체결 고정시켜 사용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파지부(300)를 수용부(100)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홈(110)에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수용부(100)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앞판(210)과, 앞판(210)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수용부(100)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뒷판(220) 및 앞판(210)과 뒷판(220) 사이에 위치하고, 앞판(210)과 뒷판(220)이 연결되도록 체결되며, 홈(110)의 테두리에 삽입되어 수용부(100)를 지지하는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앞판(210)은 뒷판(22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홈(110)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 또한 앞판(210)과 뒷판(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수용부(10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일 바람직하다. 연결부(230)는 앞판(210)과 뒷판(220)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는 파지부(300)가 삽입 고정되도록 파지부(300)의 일단 및 타단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파지부(300)의 일단 및 타단의 크기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지부(300)의 일단 및 타단의 형상이 원통이면 연결부(230)의 내부 형상은 원통으로 형성되어 억지 끼움으로 고정될 수 있다. 파지부(300)는 일단과 타단이 고정부(200)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파지부(300)는 일단 및 타단에 삽입부(320)가 형성되고, 수용부(100) 내부를 통해 삽입부(320)에 삽입 고정되는 체결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300)가 수용부(100) 외주연에 고정 지지되기 위해 체결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수용부(100)에 형성된 홈(110)에 고정부(200)가 끼움 고정되고, 파지부(300)의 일단 및 타단을 고정부(200)에 삽입되며, 파지부(300)가 수용부(100)에서 고정되기 위해 체결부(310)를 삽입부(320)에 삽입 고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용부(100), 본 캔 홀더의 바닥부(미도시) 및/또는 파지부(300)의 단면은 적층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공기 거품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층(120), 플라스틱층(120)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하향으로 꺾인 벽체(131)를 가지는 탄소섬유층(130), 플라스틱층(120)의 상부면과 탄소섬유층(130)의 하부면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습기흡수층(140), 탄소섬유층(130)의 상부면에 적층되어 하부로부터 열을 차단하는 폴리머층(150), 폴리머층(150)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복수 개의 관통홀(161)과 관통홀(161) 사이에 형성된 유관(162)이 포함되는 흡수층(160) 및 흡수층(160)의 상부면에 적층되어 수용부(100)의 최외면을 이루는 섬유층(17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층(120)은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에틸렌아세트산비닐(EVA), 폴리올레핀(PO)과 같은 연질 플라스틱(Flexible plastic)의 내부에 다수개의 공기 거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요성이 우수하고 다수의 공기 거품층을 가지기 때문에 캔의 편평도(Flatness)가 불량한 경우에도 우수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거품은 캔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기 때문에 수분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층(120) 내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공기 거품층은 내부에 공기를 다수 포함하기 때문에 단열의 기능을 갖는다. 탄소섬유층(130)은 플라스틱층(120)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하방향으로 절곡된 격자 형태의 벽체(131)를 가지는 것으로, 내부와 외부 간의 공기 및 수분이 유입 및 유출이 용이한 탄소섬유, 통기성 플라스틱 및 메시 천 구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기흡수층(140)은 플라스틱층(120)의 상부면 및 탄소섬유층(130)의 하부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내장되는 것으로, 플라스틱층(120)과 탄소섬유층(130) 사이에 에어부(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습기흡수층(140)은 흡습 기능이 우수한 활성탄을 포함한 조성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층(150)은 탄소섬유층(130)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것으로, 단열이 우수한 석분 및 펄프를 포함하는 폴리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층(120), 습도조절층(130) 및 습기흡수층(140)은 플라스틱층(120)과 탄소섬유층(130)이 이루는 내부 공간이 밀폐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내부 공간에 습기흡수층(140)이 존재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습기흡수층(140)으로부터 유출되거나 습기흡수층(140)에 포집되지 아니한 수분은 에어부(141)에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캔 홀더는 우수한 흡습 기능을 가진다. 즉, 플라스틱층(120), 습도조절층(130) 및 습기흡수층(140)를 통해 캔 홀더에 설치되는 캔의 표면에 발생하는 수분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흡수층(160)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161)이 형성되고, 복수 개의 관통홀(161)은 서로 유관(162)를 통해 연통되어 연결된다. 흡수층(160)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섬유층(170)을 통해서 본 캔 홀더의 외부로부터 유체(캔의 내용물)가 흡수되면, 이러한 유체는 흡수층(160)에 형성된 관통홀(161)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유체는 관통홀(161)과 연통된 유관(162)을 통해 흡수층(160) 내에서 이동한다. 그리고, 관통홀(161)과 유관(162)이 만나는 교차점에는 흡수성이 높은 수지 조성물이 구비될 수 있고, 관통홀(161) 또는 유관(162)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수지 조성물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이 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관(162)을 중심으로 양측면에 형성된 관통홀(161)은 유관(162)과 수용부(100)의 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섬유층(170)을 통해 관통홀(161)로 유입된 유체는 유관(162)로 흘러들어가고 중력에 의해, 유관(162)의 하단부로 모이게 된다. 이 경우, 흡수성이 높은 수지 조성물은 유체가 모이는 유관(162)의 하단부에만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효율적으로 유체를 흡수할 수 있다.
흡수층(160)에 포함되는 흡수성이 높은 수지 조성물은 산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산성기의 일부가 중화된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중합시킨 중합체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알루미노 실리케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노 실리케이드 입자는 겉보기 밀도(bulk density)가 0.800 내지 1.000 g/cm3에 해당할 수 있고, 전체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입자의 총 중량에 대하여, 입경이 200㎛ 이상 내지 600㎛ 미만인 입자를 40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아크릴산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성소다(NaOH) 38.9 중량부 및 물 103.9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열중합 개시제인 소디움 퍼설페이트 0.1 중량부, 광중합 개시제인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0.01 중량부 및 가교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0.3 중량부를 첨가하여 모노머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모노머 조성물을 내부 온도가 80℃로 유지되며 수은 UV 램프 광원으로 10mW의 세기를 가지는 자외선 조사 장치가 상부에 설치된 연속식 벨트 중합 반응기의 중합벨트 위에서 243 kg/hr의 유량으로 흘려주면서 자외선을 1분간 조사하고, 추가로 2분간 무광원 상태에서 중합 반응을 진행하였다. 중합이 완료되어 나오는 겔 타입 중합 시트는 슈레더타입 커터를 이용하 1차 커팅한 후 미트 쵸퍼를 통해 조분쇄하였다. 이후 180℃의 온도에서 30분간 열풍 건조기를 통하여 건조한 뒤, 회전식 믹서를 이용하여 분쇄하고 180㎛ 내지 850㎛ 로 분급하여 베이스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베이스 수지에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폭사이드(ethylene glycol diglycidyl epoxide) 0.1중량%를 투입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140℃에서 1시간 동안 표면 처리 반응을 진행하여 고흡수성 수지를 수득하였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1의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입자 2.5 중량부를 혼합한 후, 블렌더(Ploughshare blender)를 사용하여 500rpm으로 2분간 교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대하여, 제조예 1의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입자 대신 제조예 2의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입자 2.5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대하여, 제조예 1의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입자 5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대하여, 제조예 1의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입자 대신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교 제조예 1의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입자 2.5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예 1의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입자 2.5 중량부 대신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시트르산 0.75 중량부를 혼합한 후, 블렌더를 사용하여 500rpm으로 2분간 교반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대하여, 제조예 1의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입자 대신 비교 제조예 2의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입자 2.5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입자를 혼합하기 전의 고흡수성 수지를 준비하였다.
고흡수성 수지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 하기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압 흡수능 (AUP, Absorption Under Pressure)에 대해서, 가압 흡수능의 측정은 EDANA 법 WSP 241.3을 기준으로 하였다. 준비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시료 0.9 g을 EDANA에서 규정하는 실린더에 넣고 피스톤과 추로 0.7 psi의 압력을 가한다. 후에 0.9 % 염수 용액을 60분간 흡수한 양을 측정하였다. 흡수 속도(Vortex)에 대해서, 50 ml 식염수를 100 ml 비커에 마그네틱 바와 함께 넣었다.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 속도를 600 rpm으로 지정하였다. 교반되고 있는 식염수에 2.0 g의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를 넣는 동시에 시간을 측정하였다. 비커 안에 소용돌이가 없어지는 시점에 시간 측정을 종료하였다. 유동성(Flowability)에 대해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입도가 고르게 섞일 수 있도록 잘 혼합한 다음, 시료 100± 0.5g을 취하여 250ml 비이커에 부었다. 깔때기 하단에 밀도 측정용 컵을 정중앙에 위치시킨 후 깔때기 구멍을 막고 상기 계량된 시료를 깔때기에 가볍게 부어 충진시켰다. 막고 있던 깔때기의 구멍을 여는 순간 스탑 워치(stop watch)를 작동하여 시료가 깔때기 최하단 부분에 전부 내려오는 순간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모든 과정은 항온항습실(온도 23± 2℃, 상대습도 45± 10%)에서 진행하였다.
Figure 112019007603561-pat00001
도 8을 참조하면, 파지부(300)는 수용부(100)에 수용된 캔의 외주연과 접촉되어 캔의 열을 파지부(300)에 구비된 열 표현 부재(330)로 전도하는 열 전도 부재(340)를 포함하되, 열 표현 부재(330)는 파지부(30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캔의 열을 표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열의 정도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 전도 부재(340)는 파지부(300)의 체결부(31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열 전도 부재(340)는 수용부(100)내에 설치되는 캔의 표면에 접촉되고 캔에서 발생된 열을 열 표현 부재(330)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 전도 부재(340)는 열전도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열 표현 부재(330)에 구비된 열 전달부(331)와 접촉된다. 열 표현 부재(330)는 복수 개의 열 표현 돌기(332)와 열 표현 돌기(332)를 수용하며 열 표현 돌기(332)가 돌출될 수 있게 열 표현 홀(333a)을 형성한 열 표현 수용부(333)를 포함한다. 즉, 열 표현 부재(330)는 열 표현 돌기(332)가 열 전도 부재(340)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기에 의하여 돌출되도록 동작시킨다. 열 표현 부재(330)는 열 표현 돌기(332) 내부에 충진되어 온도변화에 의하여 팽창되는 열 물질(334a)을 구비함으로써 캔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열 물질(334a)를 압축 또는 팽창시키고 이에 따라 열 표현 돌기(332)가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촉감을 통해 캔 내부의 내용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열 물질(334a)는 끓는 점이 낮은 메틸알콜과 같은 재료에 해당될 수 있다. 파지부(300)에서 열 표현 부재(330)가 구비되는 영역에는 도 7에서 전술한 적층 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열 표현 부재(330)는 도 7의 적층 구조체의 상부면에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 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수용부(100), 홈(110), 고정부(200), 파지부(300), 지지부(400), 플라스틱층(120), 벽체(131), 탄소섬유층(130), 습기흡수층(140), 폴리머층(150), 관통홀(161), 유관(162), 흡수층(160), 섬유층(170), 받침부(421), 돌기부(460), 기둥 부재(410), 이동 수단(433), 이동 부재(430), 이동 중심부(431), 측벽(433a), 측벽(431a), 열 전도 부재(340), 열 표현 부재(330)

Claims (5)

  1. 상부가 개구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캔을 수용하는 수용부(100)를 포함하되,
    수용부(100)의 단면은 적층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공기 거품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층(120), 플라스틱층(120)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하향으로 꺾인 벽체(131)를 가지는 탄소섬유층(130), 플라스틱층(120)의 상부면과 탄소섬유층(130)의 하부면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습기흡수층(140), 탄소섬유층(130)의 상부면에 적층되어 하부로부터 열을 차단하는 폴리머층(150), 폴리머층(150)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복수 개의 관통홀(161)과 관통홀(161) 사이에 형성된 유관(162)이 포함되는 흡수층(160) 및 흡수층(160)의 상부면에 적층되어 수용부(100)의 최외면을 이루는 섬유층(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캔 홀더로서,
    상기 기능성 캔 홀더는 수용부(100)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11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고정부(200); 및
    일단과 타단이 고정부(200)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지부(300)를 더 포함하되,
    파지부(300)는 수용부(100)에 수용된 캔의 외주연과 접촉되어 캔의 열을 파지부(300)에 구비된 열 표현 부재(330)로 전도하는 열 전도 부재(340)를 포함하고, 열 표현 부재(330)는 파지부(30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캔의 열을 표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열의 정도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캔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캔 홀더는 수용부(100)의 외주연에 체결되어 수용부(100)에 수용된 캔이 수용부(100) 내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400)를 포함하되,
    지지부(400)는
    수용부(100)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어 수용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부(421) 및 수용부(100)의 외주연에 끼움 결합되어 지지부(400)를 수용부(100)의 외주연에 밀착시키는 돌기부(460)를 갖는 기둥 부재(410); 및
    수용부(100)에 수용되는 캔의 상단을 지지하면서 수용부(100)의 상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1 지점과 수용부(100)에 수용되는 캔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2 지점 사이를 직선으로 이동하는 이동 수단(433)을 갖는 이동 부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캔 홀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이동 수단(433)은 이동 중심부(431)에 결합되고, 이동 수단(433)의 측벽(433a)과 이동 중심부(431)의 측벽(431a)은 측벽(433a)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캔 홀더.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흡수층(160)에서, 관통홀(161)과 유관(162) 연결되는 교차점에는 흡수성이 높은 수지 조성물이 구비되어 섬유층(170)으로부터 흡수되어 관통홀(161) 또는 유관(162)를 통해 흘러온 유체가 흡수되며,
    상기 흡수성이 높은 수지 조성물은
    산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산성기의 일부가 중화된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중합시킨 중합체;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알루미노 실리케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캔 홀더.
KR1020190007903A 2019-01-22 2019-01-22 기능성 캔 홀더 KR10200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903A KR102002833B1 (ko) 2019-01-22 2019-01-22 기능성 캔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903A KR102002833B1 (ko) 2019-01-22 2019-01-22 기능성 캔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833B1 true KR102002833B1 (ko) 2019-07-23

Family

ID=6743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903A KR102002833B1 (ko) 2019-01-22 2019-01-22 기능성 캔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4866B2 (en) 2002-05-30 2008-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orming metal interconnections of semiconductor devices by treating a barrier metal lay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6566A (ja) * 1997-08-25 1999-03-02 Yukinoshin Kiyose 蓄熱容器
KR200382710Y1 (ko) 2005-01-31 2005-04-22 김복희 컵 홀더
KR20120006515U (ko) 2011-03-14 2012-09-2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컵 홀더
KR20140124489A (ko) * 2013-04-17 2014-10-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 유지 및 흐름 방지 발열 컵 홀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24657B1 (ko) * 2016-11-17 2018-02-01 임윤진 액체 흡수 기능을 갖는 컵
KR20180050495A (ko) * 2016-11-05 2018-05-15 류재균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컵 손잡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6566A (ja) * 1997-08-25 1999-03-02 Yukinoshin Kiyose 蓄熱容器
KR200382710Y1 (ko) 2005-01-31 2005-04-22 김복희 컵 홀더
KR20120006515U (ko) 2011-03-14 2012-09-2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컵 홀더
KR20140124489A (ko) * 2013-04-17 2014-10-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 유지 및 흐름 방지 발열 컵 홀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50495A (ko) * 2016-11-05 2018-05-15 류재균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컵 손잡이
KR101824657B1 (ko) * 2016-11-17 2018-02-01 임윤진 액체 흡수 기능을 갖는 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4866B2 (en) 2002-05-30 2008-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orming metal interconnections of semiconductor devices by treating a barrier metal la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27365B (en) Water-absorbent resin, hydropolymer, process for producing them, and uses of them
KR102002833B1 (ko) 기능성 캔 홀더
US9309375B2 (en) Water-absorbing agent having water-absorbent resin as a main component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water-absorbing agent
US8845924B2 (en) Water absorbing age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02317329B (zh) 聚丙烯酸系吸水性树脂粉末及其制造方法
US6410616B1 (en) Crosslinked polymer particle and its production process and use
JP6029800B2 (ja) 吸水性樹脂粒子
US7816301B2 (en) Aqueous-liquid-absorbing agent and its production process
TWI308570B (en) Water absorbent and producing method of same
CN1950143B (zh) 废溶液固化剂、制备该废溶液固化剂的方法及该废溶液固化剂的应用
US20150093575A1 (en) Superabsorbent polymer with crosslinker
EP2190572A1 (en) Water absorbing age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07417858A (zh) 一种包含硅藻土和纤维素的复合高吸水性树脂的制备方法
RU2680063C2 (ru) Установка ускоренного термического разложения под высоким давлением под воздействием микроволнового излучения, капсула и способ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H10500052A (ja) ホット飲料準備装置
CN111183347A (zh) 颗粒状吸水剂物性的测定方法及颗粒状吸水剂
CN213650398U (zh) 一种用于生物活性的pcr抑制剂监测试剂盒
CN102578936B (zh) 多功能便携式加热搅拌棒
CN212882536U (zh) 一种适用于化学教学的多功能实验台
CN2344331Y (zh) 带加热装置的容器罐
CN203619331U (zh) 一种新型节能壶
CN213229924U (zh) 一种新型抑菌冲泡杯
CN215113312U (zh) 用于加热敷布低温热塑板的加热装置
CN209946052U (zh) 一种相变储热材料高低温热量仿真测试设备
CN210734851U (zh) 一种鱼类病原感染试验用采样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