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804Y1 - 접시 겸용 종이컵 - Google Patents

접시 겸용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804Y1
KR200487804Y1 KR2020170004078U KR20170004078U KR200487804Y1 KR 200487804 Y1 KR200487804 Y1 KR 200487804Y1 KR 2020170004078 U KR2020170004078 U KR 2020170004078U KR 20170004078 U KR20170004078 U KR 20170004078U KR 200487804 Y1 KR200487804 Y1 KR 200487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folded
fold line
cup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태규
박세웅
김소현
박희지
김유리
이지연
우대인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70004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8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8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3Plates, dishes or the like for using only once, e.g. made of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65D5/24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로 제작되고, 도구 없이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 전에는 접시로, 조립 후에는 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접시 겸용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각 구성을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고, 뜨거운 내용물이 담겨 있어도 불편함 없이 운반할 수 있으며, 평지 위에 안정적으로 세워지고, 컵 또는 접시 중 원하는 용도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시 겸용 종이컵{A Combined Paper Cup and Dish}
본 고안은 접시 겸용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로 제작되어 도구 없이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 전에는 접시로, 조립 후에는 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접시 겸용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컵은 내측이 코팅 처리된 종이를 사용하여 컵 형태로 제작할 수 있도록 재단한 후 접착하여 제조한다. 종이컵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컵으로써, 일반적으로 측면이 곡면의 형상으로 제작된 종이컵과, 보관시에는 접힌 상태로 보관되다가 사용될 경우 펼쳐서 사용하는 접이식 종이컵으로 구분된다.
접이식 종이컵은 일반적으로 접힌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하나씩 뽑은 다음 종이컵의 입구를 벌려서 사용해야 하며, 하단이 일자형으로 겹쳐져서 접착되어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종이컵을 평지에 세울 수 있는 밑면이 없으므로, 종이컵에 내용물이 들어있는 한 사용자가 종이컵을 계속해서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접이식 종이컵을 이용하여 커피 등의 뜨거운 차를 마시는 경우 종이컵 내부의 고온의 열기가 손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손으로 잡고 있기 불편하고, 많은 용량의 내용물을 담을 수 없어 그 이용에 한계가 있으며, 종이컵을 생산하여 판매함에 있어서도 컵의 부피로 인해 제품의 보관 및 활용 용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종이컵 및 종이접시의 경우 각각 용도가 구분된다는 점에서, 준비한 종이컵 및 종이접시 중 하나가 먼저 소진되는 경우, 남아있는 것으로 소진된 것을 대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59445호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종이로 제작되어 도구 없이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 전에는 접시로, 조립 후에는 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접시 겸용 종이컵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은 복수의 전후방부(110)와 복수의 측면부(140) 사이에 제 1 접힘면(120) 및 제 2 접힘면(13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힘면(120) 및 상기 제 2 접힘면(130)은 제 2 접힘면 절첩선(113)을 경계로 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의 받침부(160)에 밑면 접착부(220)가 접착되는 밑면부(200); 및 상기 전후방부(110)와의 경계에 고정부 절첩선(111)을 형성하는 고정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힘면(120) 및 상기 제 2 접힘면(130)은 상기 제 2 접힘면 절첩선(113)의 접힘에 의해 서로 맞닿음에 따라 포개진 면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150)는 상기 고정부 절첩선(111)의 접힘에 의해 상기 포개진 면 및 상기 전후방부(110)가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인 접시 겸용 종이컵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 '절첩선'은 면과 면을 접을 경우 생기는 접힘선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 '접힘면'은 절첩선에 따라 접을 경우 절첩선을 경계로 양쪽에 위치하는 면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밑면부(200)는 원형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접힘면 절첩선(113)은 선을 연장하였을 때 한 점에서 교차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접시 겸용 종이컵은 종이로 제작되어 도구 없이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고, 뜨거운 내용물이 담겨 있어도 불편함 없이 운반할 수 있으며, 평지 위에 안정적으로 세워지고, 컵 또는 접시 중 원하는 용도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접시 겸용 종이컵의 몸체부의 전개도이다.
도 2는 접시 겸용 종이컵의 밑면부의 전개도이다
도 3은 접시 겸용 종이컵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접시 겸용 종이컵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접시 겸용 종이컵의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접시 겸용 종이컵의 한쪽 면의 조립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접시 겸용 종이컵의 몸체부(100) 및 밑면부(200)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접시 겸용 종이컵은 복수의 전후방부(110)와 복수의 측면부(140) 사이에 제 1 접힘면(120) 및 제 2 접힘면(13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힘면(120) 및 상기 제 2 접힘면(130)은 제 2 접힘면 절첩선(113)을 경계로 하는 다각형 모양의 몸체부(100) 및 원형의 밑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접힘면 절첩선(113)은 선을 연장하였을 때 한 점에서 교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00)의 몸체 접착부(170)가 전개도 상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의 제 1 접힘면(120)과 제 2 접힘면 절첩선(113)이 겹치도록 접착되며, 동시에 밑면 경계부(220)와 바닥부 경계선(115)이 겹치도록 밑면부(200)의 밑면 접착부(230)와 몸체부(100)의 밑면 받침부(160)가 접착됨으로써, 접시 겸용 종이컵이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몸체부(100) 및 밑면부(200)가 결합된 접시 겸용 종이컵의 평면도를 타나내고, 도 4 및 도 5는 몸체부(100) 및 밑면부(200)가 결합된 접시 겸용 종이컵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타나낸다.
몸체부(100)는 다각형이고, 밑면부(200)는 원형이므로, 몸체부(100)와 밑면부(200)가 결합된 접시 겸용 종이컵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오목한 모양의 접시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각형을 이루는 받침부(160)에 원형의 밑면 접착부(230)를 접착하기 위해서는 받침부(160)가 이루는 사각형 전체 테두리 길이보다 내접되는 원형의 밑면 접착부(230)의 원주길이가 작기 때문에, 그 차이만큼 사각형을 이루는 받침부(160)의 전체 테두리의 길이가 줄어들게 받침부가 중첩되게 겹쳐져야 한다. 따라서, 밑면부(200)의 밑면 접착부(23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받침부(160)가 중첩되게 겹쳐지며 접착되고, 몸체부(100)의 제1, 2 접힘면(120, 130)이 제 2 접힘면 절첩선(113)을 기준으로 접혀짐으로써, 오목한 모양의 접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접시 겸용 종이컵의 조립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써, 한쪽은 이미 접힌 상태에서, 나머지 한쪽을 조립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6은 접시 겸용 종이컵의 접시 형태에서 한쪽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전후방부(110)를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접어올린다. 이때, 제 1 접힘면 절접선(112)은 종이컵 안쪽으로 뾰족해지도록 접고, 제 2 접힘면 절첩선(113)은 종이컵 바깥쪽으로 뾰족해지도록 접어, 도 7의 형태가 나타나도록 한다.
도 7은 도 6에 따라 접힌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포개진 제 1 접힘면(120)과 제 2 접힘면(130)을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접어, 도 8의 형태가 나타나도록 한다.
도 8은 도 7에 따라 접힌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도 7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포개진 제 1 접힘면(120)과 제 2 접힘면(130)을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접어, 도9의 형태가 나타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의 접는 순서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따라 접힌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고정부(150)를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접어, 전후방부(110), 제 1 접힘면(120) 및 제 2 접힘면(130)이 서로 이격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도 9에 따라 접힌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최종적인 종이컵 형태를 나타내며, 전체적으로 원형 형태의 몸체부(100)를 갖기 때문에 손으로 잡을 때 그립감이 좋은 종이컵의 형상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받침부(160)가 존재하므로, 종이컵이 평지 위에 안정하게 세워지며, 뜨거운 내용물이 담겨있어도 운반에 불편함이 없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몸체부
110 : 전후방부
111 : 고정부 절첩선
112 : 제 1 접힘면 절첩선
113 : 제 2 접힘면 절첩선
114 : 측면라인
115 : 바닥부 경계선
120 : 제 1 접힘면
130 : 제 2 접힘면
140 : 측면부
150 : 고정부
160 : 받침부
170 : 몸체 접착부
200 : 밑면부
210 : 바닥부
220 : 밑면 경계부
230 : 밑면 접착부

Claims (3)

  1. 두 개의 전후방부(110)와 두 개의 측면부(140) 사이에 제 1 접힘면(120) 및 제 2 접힘면(13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힘면(120) 및 상기 제 2 접힘면(130)은 제 2 접힘면 절첩선(113)을 경계로 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의 받침부(160)에 밑면 접착부(220)가 접착되는 원형의 밑면부(200); 및
    상기 전후방부(110)와의 경계에 고정부 절첩선(111)을 형성하는 고정부(150)
    를 포함하고,
    받침부(160)는 밑면부(200)의 밑면 접착부(23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중첩되게 겹쳐져 접착되고, 몸체부(100)의 제 1 접힘면(120) 및 제 2 접힘면(130)이 제 2 접힘면 절첩선(113)을 기준으로 접혀짐으로써, 오목한 모양의 접시 형태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접힘면(120) 및 상기 제 2 접힘면(130)은 상기 제 2 접힘면 절첩선(113)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접힘으로써, 포개진 면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150)가 상기 고정부 절첩선(111)의 접힘에 의해 상기 포개진 면 및 상기 전후방부(110)가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함에 따라, 컵 형태를 형성하는 것인 접시 겸용 종이컵.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힘면 절첩선(113)은 선을 연장하였을 때 한 점에서 교차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인 접시 겸용 종이컵.
KR2020170004078U 2017-08-02 2017-08-02 접시 겸용 종이컵 KR200487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078U KR200487804Y1 (ko) 2017-08-02 2017-08-02 접시 겸용 종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078U KR200487804Y1 (ko) 2017-08-02 2017-08-02 접시 겸용 종이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804Y1 true KR200487804Y1 (ko) 2018-11-05

Family

ID=6432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078U KR200487804Y1 (ko) 2017-08-02 2017-08-02 접시 겸용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804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267A (ja) * 1994-11-02 1996-05-28 Zenji Taniguchi 段ボール箱、箱組立用段ボール、段ボール蓋および段ボール箱収納方法。
KR19980059445U (ko) 1998-07-16 1998-10-26 박석규 절첩되는 일회용 종이컵
JP3836470B2 (ja) * 2004-03-09 2006-10-25 京王紙研工業株式会社 紙製容器の製造法
KR100839235B1 (ko) * 2007-04-30 2008-06-19 김종은 손잡이가 달려있는 종이컵
JP5568688B2 (ja) * 2011-06-21 2014-08-06 株式会社グリーンパックス 深底及び浅底タイプとして兼用可能な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267A (ja) * 1994-11-02 1996-05-28 Zenji Taniguchi 段ボール箱、箱組立用段ボール、段ボール蓋および段ボール箱収納方法。
KR19980059445U (ko) 1998-07-16 1998-10-26 박석규 절첩되는 일회용 종이컵
JP3836470B2 (ja) * 2004-03-09 2006-10-25 京王紙研工業株式会社 紙製容器の製造法
KR100839235B1 (ko) * 2007-04-30 2008-06-19 김종은 손잡이가 달려있는 종이컵
JP5568688B2 (ja) * 2011-06-21 2014-08-06 株式会社グリーンパックス 深底及び浅底タイプとして兼用可能な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60707S1 (en) Lid for a cup
USD904978S1 (en) Wireless phone charger holder
USD871844S1 (en) Fluid container with cap and cup
USD614950S1 (en) Rectangular container
USD701455S1 (en) Corrugated container
USD913093S1 (en) Cap for a pouch
USD694579S1 (en) Refillable filter cup for single serve beverage brewer
USD580799S1 (en) Collapsible measuring cup
USD604502S1 (en) Combined pill container and lid
USD599169S1 (en) Single serving beverage container
USD801170S1 (en) Combined container and lid
USD653114S1 (en) Stackable container
USD598740S1 (en) Container and lid
USD542133S1 (en) Aerosol container cap
USD814315S1 (en) Flat bottom pouch with partial side gusset and spout
USD903482S1 (en) Container
USD594325S1 (en) Oval shaped container
USD639118S1 (en) Holder for a flexible container
USD907367S1 (en) Container with lid
USD905550S1 (en) Package
USD865451S1 (en) Beverage container carrying tray
USD936416S1 (en) Coffee powder filling tool
USD850209S1 (en) Beverage container
USD845147S1 (en) Pouch container
USD920129S1 (en) Inverted pou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