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739B1 - 컵 홀더 - Google Patents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739B1
KR100905739B1 KR1020090012943A KR20090012943A KR100905739B1 KR 100905739 B1 KR100905739 B1 KR 100905739B1 KR 1020090012943 A KR1020090012943 A KR 1020090012943A KR 20090012943 A KR20090012943 A KR 20090012943A KR 100905739 B1 KR100905739 B1 KR 100905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ody
holder
cup
pair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섭
김준수
Original Assignee
김창섭
김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섭, 김준수 filed Critical 김창섭
Priority to KR102009001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739B1/ko
Priority to PCT/KR2009/004053 priority patent/WO2010079871A1/ko
Priority to US12/702,728 priority patent/US852300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용기를 감싸는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주면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상측 방향으로 걸려지는 돌출편이 구비되어 컵 용기의 내용물이 뜨거운 경우에도 용이하게 컵 용기를 감싸 쥐게 하는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컵 홀더는, 접혀진 상태에서 양측 모서리에 힘을 가할 경우, 그 내부에 컵 용기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중공부가 마련되는 홀더 몸체 및 홀더 몸체에 형성된 '工' 형상 또는 'ㅗ' 형상의 절개부에 의하여 구비되며, 중공부가 마련될 때 홀더 몸체의 외향(外向)으로 돌출되어, 홀더 몸체를 감싸 쥔 손가락의 상부측에 걸려질 수 있는 한 쌍의 돌출편이 포함된다.
컵, 돌출편, 단열, 홀더

Description

컵 홀더 {CUP HOLDER}
본 발명은 컵 용기를 감싸는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주면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상측 방향으로 걸려지는 돌출편이 구비되어 컵 용기의 내용물이 뜨거운 경우에도 용이하게 컵 용기를 감싸 쥐게 하는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테이크 아웃점 등에서는 음료를 담는 용기로 흔히 일회용 종이컵이 사용된다.
종이컵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특성상 비교적 얇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료 중 뜨거운 음료, 예컨대 커피나 녹차, 홍차 등의 음료를 담는 경우에는 음료의 온도가 그대로 종이컵의 외표면으로 전달된다.
하지만, 종이컵의 외주면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종이컵의 뜨거움을 극복하고자 종이컵을 손가락 끝을 이용하여 아슬하게 감싸 쥐게 되고, 이로 인해 종이컵을 놓쳐 음료를 쏟거나 쏟은 음료에 의해 화상을 입는 등의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이컵의 외측면을 감싸는 컵 홀더를 이용하기도 하는데, 컵 홀더의 일 예로는 미국공개특허 US2005/0056654의 'INSULATING SLEEVE'가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단열 컵 슬리브, 즉 단열 컵 홀더(3)에 관한 것으로, 컵 용기(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컵 홀더(3)의 일측에 절개부(4)가 세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어 컵 용기(2)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하여 그 외측면을 감쌀 수 있게 구성되고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종이 재질의 컵 홀더(3)가 컵 용기(2)의 외측면에 구비됨으로써 컵 용기(2)의 온도에 대한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써 컵 용기(2)를 감싸 쥐는 것이 좀더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컵 홀더(3)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감싸 쥔 손이 상측 방향으로 미끄러지기가 쉬워 컵 홀더(3)를 감싸 쥐기가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사용자는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컵 홀더(3)를 더 세게 감싸 쥐거나, 손바닥 전체로 컵 홀더(3)를 감싸 쥐어야 하는데, 이 경우 컵 홀더(3)와 면접하는 손(또는 손가락)의 면적이나 가압력이 증가하여 컵 홀더(3)에도 불구하고 컵 용기(2)의 뜨거움이 온전히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종래 컵 홀더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외향(外向)으로 돌출된 돌출편이 구비되어 감싸 쥔 손이 상측으로 걸려지면서 미끄러지지 않는 컵 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돌출편의 돌출이 컵 용기를 컵 홀더에 수용하는 과정에서 탄력적으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컵 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돌출편에 의해 컵 홀더를 들어올리듯 가볍게 감싸 쥐게 하여 감싸 쥠이 용이할 뿐 아니라 손으로의 열 전달이 최소화되는 컵 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컵 홀더는, 접혀진 상태에서 양측 모서리에 힘을 가할 경우, 그 내부에 컵 용기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중공부가 마련되는 홀더 몸체; 및 상기 홀더 몸체에 형성된 '工' 형상의 절개부에 의하여 구비되며, 상기 중공부가 마련될 때 상기 홀더 몸체의 외향(外向)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 몸체를 감싸 쥔 손가락의 상부측에 걸려질 수 있는 한 쌍의 돌출편;이 포함된다.
또는, 접혀진 상태에서 양측 모서리에 힘을 가할 경우, 그 내부에 컵 용기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중공부가 마련되는 홀더 몸체; 및 상기 홀더 몸체에 형성된 'ㅗ' 형상의 절개부에 의하여 구비되며, 상기 중공부가 마련될 때 상기 홀더 몸체의 외향(外向)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 몸체를 감싸 쥔 손가락의 상부측에 걸려질 수 있는 한 쌍의 돌출편;이 포함된다.
상술한 컵 홀더에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돌출편이 돌출되는 과정에서 마찰하지 않도록 소정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홀더 몸체 외주면의 반대쪽에도 형성되어 상기 돌출편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몸체에는 한 쌍의 접지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접지선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나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 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돌출편이 구비됨으로써 홀더 몸체를 감싸 쥔 손의 손가락이 돌출편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걸려져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돌출편은 접지된 홀더 몸체를 벌리는 과정에서 홀더 몸체의 외향으로 자연스럽게 돌출되기 때문에, 돌출편을 돌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작이 필요 없다.
또한, 홀더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편은 재질의 특성으로 탄력적으로 휠 수 있기 때문에 돌출편 부위까지도 함께 감싸 쥘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절개부의 형성은 단순한 절개 방식으로 완료되기 때문에 절개부 및 돌출편이 형성되지 않은 종래 컵 홀더와 비교하여 제조비용이나 제조 편의성, 제조시간 측면에서 전혀 불리하지 않다.
또한, 홀더 몸체가 접지선에 의해 접혀진 상태에서는 돌출편이 홀더 몸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절개부가 형성되더라도 컵 홀더의 포장 용이성이나 포장 용기에서의 차지하는 부피가 종래 컵 홀더와 다르지 않다.
또한, 돌출편이 홀더 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차지하는 공간은, 감싸 쥘때 손가락이 상측 방향으로 걸려지기 위한 필요한 공간만을 차지하므로 홀더 몸체의 외주면에서 광고 등을 위한 인쇄면의 형성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컵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컵 홀더의 전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컵 홀더의 홀더 몸체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홀더 몸체가 벌어지면서 돌출편이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컵 홀더의 전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컵 홀더의 홀더 몸체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홀더 몸체가 벌어지면서 돌출편이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컵 홀더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컵 홀더(1)는 도 2 내지 3(3a 내지 3c)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몸체(100)와, 한 쌍의 돌출편(210)이 포함된다.
홀더 몸체(100)는 플라스틱이나 종이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고려할 때 종이 재질, 예컨대 골판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판지는 물결 모양으로 골이 형성된 골심지(중심지라고도 한다)에 라이너지(紙)라는 면이 반듯하고 빳빳한 판지를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로 붙여 형성된다.
홀더 몸체(100)가 골판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골심지의 골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해 단열 기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하기에서는 홀더 몸체(100)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몸체(10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양 단부를 포개어 부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몸체(100)는 접혀진 상태에서 양측 모서리에 힘을 가할 경우 컵 용기(10)가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부(101)가 형성된다.
중공부(101)를 통해 컵 용기(10)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홀더 몸체(100)의 일 예로 홀더 몸체(100)의 하부로 갈수록 상부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홀더 몸체(100)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 몸체(100)의 외주면에 대체로 '工' 형상(영문자 'H'의 가로누운 형상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을 갖는 절개부(110)가 형성된다.(도 3a 참조)
절개부(110)가 형성됨에 따라 절개부(110)의 내측에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편(210)이 형성된다.
한 쌍의 돌출편(210)은 홀더 몸체(100)의 중공부(101)를 통해 컵 용기(10)가 수용된 상태에서 홀더 몸체(100)의 외향(外向)으로 돌출되며, 홀더 몸체(100)를 감싸 쥔 손의 손가락은 이 한 쌍의 돌출편(210)에 걸려짐으로써 상측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사용자가 홀더 몸체(100)를 감싸 쥠을 고려할 때 상기한 절개부(110)는 홀더 몸체(100)의 상부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 내지 도 3에서는 절개부(110)가 홀더 몸체(100)의 상부이면서 홀더 몸체(100)의 최상단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예가 제시된다.
한 쌍의 돌출편(210)은 홀더 몸체(100)에 중공부(101)가 형성된 상태에서 홀더 몸체(100)의 외향으로 돌출되는데, 자세히 설명하면 돌출편(210)의 끝단으로 갈수록 홀더 몸체(100)의 외주면과 간격이 벌어지게 형성된다.
절개부(110)의 형성에 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몸체(100)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상, 하 절개홈(111, 112)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절개홈(111, 112)이 꼭 서로 평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절개홈(111, 112)의 방향도 꼭 수평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절개홈(111, 112)의 사이가 되는 홀더 몸체 부위에 상단부터 하단까지 세로 방향으로 절개홈(113)이 형성된다.
이렇게 절개홈(111, 112, 113)으로 이루어지는 절개부(110)는 대체로 '工' 형상(영문자 'H'의 가로누운 형상)을 갖게 되며,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113)에 의해 양분되는 부위가 한 쌍의 돌출편(21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홈(111, 112)은 돌출편(210)이 돌출되는 과정에서 절개부(110)의 내측면과 마찰하지 않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113) 또한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형성된 절개부(110)에 의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01)가 형성되도록 홀더 몸체(100)가 벌어져 곡면을 형성할 때, 절개부(110) 또한 휘어 곡면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 한 쌍의 돌출편(210)은 함께 휘지 않기 때문에 홀더 몸체(100)의 외향으로 돌출하게 된다.
절개부(110)는 홀더 몸체(100)의 외주면에서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홀더 몸체(100) 외주면의 반대쪽에서도 더 형성되어 돌출편(210)이 마련됨으로써, 홀더 몸체(100)를 감싸 쥔 손의 손가락이 한 쌍씩의 돌출편(210)에 의해 균형있게 걸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홀더 몸체(100)에는 3a 내지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선(120)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지선(120)의 형성은 본 실시예의 컵 홀더(1)를 다수 제작하여 포장 용기에 포장할 때나 다수의 컵 홀더(1)를 운반할 때 개개의 컵 홀더(1)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홀더 몸체(100)가 평평하게 접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접지선(120)이 형성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몸체(100)가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면서 양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접혀질 수 있다. 이 경우, 홀더 몸체(100)의 전면과 후면은 대략 평면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한 쌍의 돌출편(210) 또한 홀더 몸체(100)와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
한 쌍의 돌출편(210)은 홀더 몸체(100)와 일체를 이루는 것이므로, 홀더 몸체(100)가 휘지 않고 접혀져 평면을 이루면 한 쌍의 돌출편(210) 또한 홀더 몸체(100)와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도 3c와 같이 홀더 몸체(100)가 벌어지게 되면, 즉 접지선(120)이 형성된 홀더 몸체(100) 부위에 힘을 가하여 서로 접근시키면 홀더 몸체(100)가 휘어 곡면을 형성하면서 절개부(110) 또한 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돌출편(210)은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휘지 않기 때문에 끝단으로 갈수록 홀더 몸체(100)의 외주면과 간격이 벌어지면서 홀더 몸체(100)의 외향으로 돌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컵 홀더(1)는 접혀진 상태의 홀더 몸체(100)가 벌어져 중공부(101)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돌출편(210)이 자연스럽게 돌출된다. 그리고 컵 홀더(1)에서 컵 용기(10)를 이탈시켜 홀더 몸체(100)를 다시 접게 되면 돌출편(210)이 다시 홀더 몸체(100)와 동일 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돌출편(210)은 외력을 가해 휠 수 있기 때문에, 홀더 몸체(100)가 벌어져 돌출편(210)이 돌출되었다 하더라도 필요에 따라 돌출편(210)을 함께 감싸 쥐는 것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접지선(120)이 형성된 상태의 홀더 몸체(100)에서 절개부(110)는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선(120)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나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돌출편(210)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몸체(1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접혀진 상태의 홀더 몸체(100) 양 측방으로 돌출편(210)이 돌출되지 않도록, 한 쌍의 돌출편(210) 각 끝단은 접지선(120)의 연장선 상에 일치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홈(113)의 길이 방향이 접지선(120)의 길이방향과 연장되도록 일치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접지선(120)은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몸체(100)의 양 단부가 서로 부착된 부위(130)를 중심으로 홀더 몸체(100)의 양 측부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접지선(120)이 부착 부위(130)와 대략 등거리로 이격되면서 홀더 몸체(100)의 마주보는 각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홀더 몸체(100)의 양 단부가 포개어져 부착되기 때문에 이 부착 부위(130)가 홀더 몸체(100)의 다른 부위에 비해 두배의 두께를 형성하게 되고 따라서 홀더 몸체(100)가 벌어지는 과정에서 이 부착 부위(130)가 다른 부위에 비해 덜 휘게 되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따라서, 접지선(120)이 부착 부위(130)와 등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면, 홀더 몸체(100)를 벌렸을 때 중공부(101)가 편향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불어 한 쌍의 돌출편(210) 중 부착 부위(130)에서 먼 쪽의 돌출편(이하 '제1 돌출편'이라 한다)은 가까운 쪽의 돌출편(이하 '제2 돌출편'이라 한다)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또한 부착 부위(130)가 덜 휘는 점을 감안한 것인데, 부착 부위(130)에서 먼 쪽의 홀더 몸체 부위는 가까운 쪽의 홀더 몸체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더 잘 휘기 때문에 홀더 몸체(100)를 벌렸을 때 먼 쪽의 홀더 몸체 부위에 위치하는 제1 돌출 편(211)이 가까운 쪽의 홀더 몸체 부위에 위치하는 제2 돌출편(212)에 비해 홀더 몸체(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간격이 좁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편(211) 및 제2 돌출편(212)의 돌출 정도가 대략 일치하도록 제1 돌출편(211)의 길이가 제2 돌출편(212)의 길이에 비해 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술한 접지선(120)에는 접지선(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절개홈(도시 생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절개홈에 의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에서 홀더 몸체(100)의 전, 후면이 완전히 밀착되어 접혀지기가 보다 용이해진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표시되어 있으나 하기에서 설명이 생략된 부호에 관하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개부(110)가 홀더 몸체(10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홀더 몸체(100)의 최상단에서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하나의 하(下) 절개홈(112)이 형성되고, 절개홈(112)의 상부에 위치하는 홀더 몸체(100) 부위에 세로 방향으로 절개홈(113)이 형성되는 대체로 'ㅗ' 형상을 갖는 절개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세로 방향의 절개홈(113)에 의해 양분된 부위가 한 쌍의 돌출편(210)이 된다.
본 실시예는 가로방향의 절개홈이 하나만 형성되기 때문에 절개 과정이 보다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210)에 의해 손가락이 상측 방향으로 걸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미끄러짐이 없이 컵 홀더(1)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리듯 가볍게 감싸 쥘 수 있으며, 이로써 컵 용기(10)에서 전달되는 뜨거운 열에도 불구하고 컵 홀더(1)을 안정적으로 쥘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컵 홀더가 컵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컵 홀더가 컵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컵 홀더의 전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컵 홀더의 홀더 몸체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홀더 몸체가 벌어지면서 돌출편이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컵 홀더의 전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컵 홀더의 홀더 몸체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홀더 몸체가 벌어지면서 돌출편이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컵 홀더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 컵 홀더 10; 컵 용기
100; 홀더 몸체 101; 중공부
110; 절개부 120; 접지선
210; 돌출편

Claims (7)

  1. 접혀진 상태에서 양측 모서리에 힘을 가할 경우, 그 내부에 컵 용기(10)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중공부(101)가 마련되는 홀더 몸체(100); 및
    상기 홀더 몸체(100)에 형성된 '工' 형상의 절개부(110)에 의하여 구비되며, 상기 중공부(101)가 마련될 때 상기 홀더 몸체(100)의 외향(外向)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 몸체(100)를 감싸 쥔 손가락의 상부측에 걸려질 수 있는 한 쌍의 돌출편(21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2. 접혀진 상태에서 양측 모서리에 힘을 가할 경우, 그 내부에 컵 용기(10)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중공부(101)가 마련되는 홀더 몸체(100); 및
    상기 홀더 몸체(100)에 형성된 'ㅗ' 형상의 절개부(110)에 의하여 구비되며,상기 중공부(101)가 마련될 때 상기 홀더 몸체(100)의 외향(外向)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 몸체(100)를 감싸 쥔 손가락의 상부측에 걸려질 수 있는 한 쌍의 돌출편(21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110)는 상기 돌출편(210)이 돌출되는 과정에서 마찰하지 않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110)는 상기 홀더 몸체(100) 외주면의 반대쪽에도 형성되어 상기 돌출편(21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100)에는 한 쌍의 접지선(1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110)는 상기 접지선(120)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나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7. 삭제
KR1020090012943A 2009-01-09 2009-02-17 컵 홀더 KR100905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943A KR100905739B1 (ko) 2009-02-17 2009-02-17 컵 홀더
PCT/KR2009/004053 WO2010079871A1 (ko) 2009-01-09 2009-07-22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
US12/702,728 US8523008B2 (en) 2009-02-10 2010-02-09 Insulation sleeve for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943A KR100905739B1 (ko) 2009-02-17 2009-02-17 컵 홀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273 Division 2009-01-09 2009-0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5739B1 true KR100905739B1 (ko) 2009-07-01

Family

ID=4133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943A KR100905739B1 (ko) 2009-01-09 2009-02-17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521A (ko) * 2016-04-15 2017-10-25 (주) 한불화농 일회용 컵 슬리브
KR101863496B1 (ko) * 2017-03-22 2018-05-30 유경근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는 종이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710Y1 (ko) 2005-01-31 2005-04-22 김복희 컵 홀더
JP3120978U (ja) * 2005-11-08 2006-04-27 良彦 折笠 紙コップホルダー
US20070205204A1 (en) 2006-03-06 2007-09-06 Novak Theresa M Beverage cup sleeve or holder for improved containment of drips, spills, and condensation
KR100851814B1 (ko) 2007-11-02 2008-08-13 임정민 컵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710Y1 (ko) 2005-01-31 2005-04-22 김복희 컵 홀더
JP3120978U (ja) * 2005-11-08 2006-04-27 良彦 折笠 紙コップホルダー
US20070205204A1 (en) 2006-03-06 2007-09-06 Novak Theresa M Beverage cup sleeve or holder for improved containment of drips, spills, and condensation
KR100851814B1 (ko) 2007-11-02 2008-08-13 임정민 컵홀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521A (ko) * 2016-04-15 2017-10-25 (주) 한불화농 일회용 컵 슬리브
KR101851640B1 (ko) * 2016-04-15 2018-06-11 (주) 한불화농 일회용 컵 슬리브
KR101863496B1 (ko) * 2017-03-22 2018-05-30 유경근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는 종이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9056B2 (en) Thermally insulating member
US20100200603A1 (en) Insulation sleeve for cup
US8210392B2 (en) Beverage cup sleeve with integrated fold-out handles
EP2378928A1 (en) Protective sleeve
EP1719715A1 (en) Heat Barrier Paper Cup
KR100905739B1 (ko) 컵 홀더
KR200445973Y1 (ko) 단열재가 부착된 종이컵
KR101243076B1 (ko) 종이컵 홀더
KR20110041375A (ko) 컵 홀더
KR20110003713U (ko) 컵 홀더
KR20100011661U (ko) 컵 홀더
KR102099383B1 (ko) 컵 트레이 겸용 홀더
JP3113943U (ja) カップ形容器用ホルダー
KR20120001792U (ko) 손잡이가 형성된 컵 홀더
KR20100011199U (ko) 컵 홀더
KR102349203B1 (ko) 기능성 컵홀더
KR20100008283U (ko)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
KR102175815B1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컵 홀더
JP3132223U (ja) 携帯に便利な食品容器の構造
KR101314024B1 (ko) 절첩가능한 공기 절연 시스템, 절연 컵 뚜껑, 및 상기 시스템에서 컵을 절연하기 위한 방법
KR20120003443U (ko)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
JP4064146B2 (ja) 包装箱
JP2009035320A (ja) セパレートトレー容器
KR20120002350U (ko) 손잡이가 형성된 컵 홀더
US20140124519A1 (en) Heat insulating cup slee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