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296Y1 - 휴대용 보온 컵 - Google Patents

휴대용 보온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296Y1
KR200354296Y1 KR20-2004-0007392U KR20040007392U KR200354296Y1 KR 200354296 Y1 KR200354296 Y1 KR 200354296Y1 KR 20040007392 U KR20040007392 U KR 20040007392U KR 200354296 Y1 KR200354296 Y1 KR 200354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up body
lid
portable
mai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김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선 filed Critical 김영선
Priority to KR20-2004-0007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2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2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수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 몸체와 그 파지부재 및 뚜껑을 구비한 휴대용 냉온 보온 컵에 있어서, 상기 컵 몸체의 측면과 하단은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 상단의 개구부는 단일벽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파지부재는 단일벽 구조로 이루어진 상단 개구부의 외면에 삽입 고정되되 그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은 파지부재의 나사선에 상호 결합되어 컵 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기밀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와는 다르게 보온 컵의 컵 몸체의 상단 개구부에 뚜껑과 체결되는 나사선을 직접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의 외면에 나사선을 형성한 후 손잡이를 상단 개구부의 외면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제조과정이 훨씬 간단하고 단순하며, 또한 손잡이용 파지부재를 나사를 이용하여 컵 몸체에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인 구조를 이용하여 컵 몸체에 끼워 고정함에 따라 외관상 단순하고 세련된 형상을 갖는 휴대용 보온 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보온 컵{CUP FOR RETAINING HEAT}
본 고안은 보온 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음료나 커피, 차 등의 음료를 마실 때 상온에서 장시간 두어도 음료의 온도가 쉽게 변화지 않아 장시간 동안 음료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는 휴대용 보온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 커피 등의 음료를 보온하는 용기로는 보온병이 널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보온통과 상기 보온통 내에 담겨진 냉음료나 뜨거운 음료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있도록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보온병은 냉음료나 뜨거운 음료를 장기간 그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저장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을 뿐이며, 일상적으로 컵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컵을 이용할 경우 컵에 보온기능이 특별히 없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음료의 온도가 빠르게 변화하여 음료의 고유의 맛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어, 커피의 경우 특히 맛있는 온도가 정해져 있고 그 온도는 대략 80?? 이상으로 유지되어야만 커피의 좋은 맛을 잃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는 데, 커피를 보온기능이 없는 찻잔이나 컵에 넣고 마시는 과정에서 시간이 조금만 흘러도 불가피하게 커피가 식게 되고, 이에 따라 그 맛을 잃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보온병과 같이 보온기능을 갖는 간단하고 가벼운 재질의 보온 컵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고, 이에 따라 현재 보온 컵에 대한 개발과 제조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컵에 담긴 음료를 장시간 동안 원래의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보온 컵을 가볍고 간단한 구조로 제작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단가가 저렴한 휴대용 보온 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보온 컵의 컵 몸체의 상단 개구부에 뚜껑과 체결되는 나사선을 직접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손잡이에 부분에 나사선을 형성한 후 손잡이를 상단 개구부의 외면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제작과 조립이 용이한 휴대용 보온 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온 컵의 외관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보온 컵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보온 컵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컵 몸체 11: 외벽
12: 진공부 13: 내벽
15: 상단 개구부 19: 밀폐돌기
20: 파지부재 21: 고정부
22: 나사선 25: 손잡이
30: 뚜껑 31: 메인케이스
32: 스커트부 33: 나사선
34: 걸림턱 35: 외면케이스
37: 밀폐부재 38: 결합돌기
39: 밀폐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음료수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 몸체와 그 파지부재 및 뚜껑을 구비한 휴대용 냉온 보온 컵에 있어서: 상기 컵 몸체(10)의 측면과 하단은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 상단 개구부(15)는 단일벽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파지부재(20)는 단일벽 구조로 이루어진 상단 개구부(15)의 외면에 삽입 고정되되 그 외주면에 나사선(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30)은 파지부재(20)의 나사선(22)에 상호 결합되어 컵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을 기밀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파지부재는, 컵 몸체의 상단 개구부의 외면에 삽입 고정되며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된 링 형상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컵 몸체의 외면을 따라 하단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은, 컵 몸체의 고정부와 결합되는 나사선이 형성된 캡 형상의 메인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의 외면에 씌워지는 금속재질의 외면케이스; 및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뚜껑을 닫을 경우 컵 몸체의 상단 개구부에 밀착되어 내용물을 기밀 유지하게 되는 밀폐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온 컵의 외관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음료수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되 보온 구조로 이루어진 컵 몸체(10), 상기 컵 몸체(10)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컵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파지부재(20) 및 상기 컵 몸체(10)의 상단 개구부(15)에 밀착되어 컵 몸체(10)의 내용물을 기밀 유지하는 뚜껑(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도 2a 및 도 2b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컵 몸체(10)는 몸체(10)의 측면과 하단이 외벽(11)과 내벽(13)으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져 그 이중벽 사이에는 진공부(12) 또는 단열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내벽(13)의 상단 부분은 개구부(15)가 형성되어 있는 데, 그 상단 개구부(15)는 단일벽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상기 내벽(13)의 상단 개구부(15)측에는 뚜껑을 닫을 경우 기밀을유지하기 위한 밀폐돌기(19)가 내벽(13)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벽(13)의 저면에는 볼록한 돌출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의 상단 개구부(15)도 이중벽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이중벽으로 구성할 경우 그 두께가 두꺼워서 사용자가 직접 입을 대고 마시기에는 상당히 불편하므로, 단일벽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재(20)는 단일벽 구조로 이루어진 상단 개구부(15)의 외면에 삽입 고정되되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선(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30)은 파지부재(20)의 나사선(22)에 상호 결합되어 컵 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을 기밀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파지부재(20)는, 원통형의 상단 개구부(15)의 외면에 삽입 고정되며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선(22)이 형성된 링 형상의 고정부(21)와, 상기 고정부(21)의 일측에 결합되어 컵 몸체(10)의 외면을 따라 컵 몸체(10)와 일정 간격 유지한 채로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21)와 손잡이(25)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금형사출 공정을 통해 쉽게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뚜껑(30)은, 컵 몸체(10)의 고정부(21)에 형성된 나사선(22)과 상호 결합되는 나사선(33)이 내면에 형성된 캡 형상의 메인케이스(31)와, 상기 메인케이스(31)의 외면에 씌워지는 금속재질의 외면케이스(35), 및 상기 메인케이스(31)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뚜껑(30)을 컵 몸체(10)에 닫을 경우 컵 몸체(10)의 상단 개구부(15)에 형성된 돌기(19)에 밀착되어 내용물을 기밀 유지하게 되는 밀폐부재(3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뚜껑(30)의 메인케이스(31)는 대략 캡 형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데 그 스커트 부분(32)의 단면은 대략 'J'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외면케이스(35)는 전체적으로 '∩'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메인케이스(31)의 외면에 씌워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밀폐부재(37)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단과 하단부에 각각 외주면을 따라 원형의 돌기(38, 39)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데, 상기 메인케이스(31)의 내측면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 걸림턱(34)에 결합돌기(38)가 강제로 삽입되어 원터치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리고 밀폐부재(37)의 하단에는 컵 몸체(10)의 개구부(15)에 형성된 밀폐돌기(19)와 매칭되는 돌기(39)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뚜껑이 있는 보온 컵은 종래와는 다르게 나사선(22)을 컵 몸체(10)의 상단 외주면에 직접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손잡이(25)와 일체로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부(21)에 형성함에 따라 제조과정이 훨씬 간단하고 단순하며, 또한 손잡이용 파지부재(20)를 나사를 이용하여 컵 몸체(10)에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인 구조를 이용하여 강제로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외관상 단순하고 세련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보온 컵의 각 부분에 대한 재질을 변경하거나 또는 컵 몸체의 형태나 이중벽의 구조를 다소 변경하는 등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보온 컵의 컵 몸체의 상단 개구부에 뚜껑과 체결되는 나사선을 직접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의 외면에 나사선을 형성한 후 손잡이를 상단 개구부의 외면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제조과정이 훨씬 간단하고 단순하며, 또한 손잡이용 파지부재를 나사를 이용하여 컵 몸체에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인 구조를 이용하여 컵 몸체에 끼워 맞춰 고정함으로써, 외관상 단순하고 세련된 형상을 갖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음료수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 몸체와 상기 컵 몸체를 지지하는 파지부재 및 뚜껑을 구비한 휴대용 컵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컵 몸체의 상단 개구부의 외면에 삽입 고정되되 그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은 파지부재의 나사선에 상호 결합되어 컵 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기밀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온 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컵 몸체의 상단 개구부의 외면에 삽입 고정되며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된 링 형상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컵 몸체의 외면을 따라 하단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온 컵.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손잡이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온 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컵 몸체의 고정부와 결합되는 나사선이 형성된 캡 형상의 메인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의 외면에 씌워지는 금속재질의 외면케이스; 및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뚜껑을 닫을 경우 컵 몸체의 상단 개구부에 밀착되어 내용물을 기밀 유지하게 되는 밀폐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온 컵.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스는 캡 형상의 스커트 부분이 대략 'J'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외면케이스는 전체적으로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메인케이스의 외면에 포개져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온 컵.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스는 내측면을 따라 원형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부재의 상단면은 메인케이스의 걸림턱과 매칭되어 원터치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온 컵.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몸체의 측면과 하단은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 상단의 개구부는 단일벽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온 컵.
KR20-2004-0007392U 2004-03-17 2004-03-17 휴대용 보온 컵 KR200354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392U KR200354296Y1 (ko) 2004-03-17 2004-03-17 휴대용 보온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392U KR200354296Y1 (ko) 2004-03-17 2004-03-17 휴대용 보온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296Y1 true KR200354296Y1 (ko) 2004-06-29

Family

ID=4943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392U KR200354296Y1 (ko) 2004-03-17 2004-03-17 휴대용 보온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29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719B1 (ko) * 2014-04-18 2014-07-22 신창수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CN107536377A (zh) * 2016-06-29 2018-01-05 万象设计江苏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加热咖啡保温杯
CN108477951A (zh) * 2018-04-18 2018-09-04 陈毅强 双层感应加热器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719B1 (ko) * 2014-04-18 2014-07-22 신창수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CN107536377A (zh) * 2016-06-29 2018-01-05 万象设计江苏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加热咖啡保温杯
CN108477951A (zh) * 2018-04-18 2018-09-04 陈毅强 双层感应加热器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9368B2 (en) Multifunctional mug cap with a sipper and straw
KR101785878B1 (ko)
US4735333A (en) Insulated holder
US3465905A (en) Multiple vacuum bottle container
US6405892B1 (en) Thermally insulated beverage glass
US20160150902A1 (en) Multipurpose drink and snack container set
US20210267393A1 (en) Compartment Technology for Lids of Beverage Container
US5597190A (en) Can holder
KR200354296Y1 (ko) 휴대용 보온 컵
KR200396492Y1 (ko)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중컵
KR101884195B1 (ko)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US20110095039A1 (en) Multi-user Lid for Beverage Containers
US20140175105A1 (en)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for both heated and chilled liquids
US20220117422A1 (en) Can coole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3115860U (ja) 携帯用保温飲料容器
KR20170031354A (ko) 결로 방지용 음료용기
KR200168661Y1 (ko) 2중컵구조
US20210113004A1 (en) Heat Retention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
JP3115142U (ja) 飲料用容器
KR950007695Y1 (ko) 보온병
JP3215777U (ja) ペアカップ付きボトル
JP3242749U (ja) ボトル
JP3235667U (ja) 容器組立体及びその蓋体
CN209574236U (zh) 一种新型便用的冰霸水杯
KR200322230Y1 (ko) 컵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