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719B1 -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 Google Patents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719B1
KR101420719B1 KR1020140046759A KR20140046759A KR101420719B1 KR 101420719 B1 KR101420719 B1 KR 101420719B1 KR 1020140046759 A KR1020140046759 A KR 1020140046759A KR 20140046759 A KR20140046759 A KR 20140046759A KR 101420719 B1 KR101420719 B1 KR 101420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frigerant
outer container
refrigerant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수
Original Assignee
신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7424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2071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창수 filed Critical 신창수
Priority to KR102014004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는, 컵 형상의 내부용기와, 컵 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내부용기를 수용하여 밀폐하되, 상기 내부용기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냉매를 수용하는 냉매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일 측에 형성되어 외부의 냉매가 상기 냉매공간으로 주입되도록 안내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이격하여 결합하여 형성된 냉매공간에 손잡이를 통해 냉매를 주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DUAL CONTAINER HAVING REFRIGERANT SPANCE}
본 발명은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으로 인해 냉매공간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이중용기는 얼음컵이나 보온병과 같이 두 개의 용기가 겹쳐진 상태에서 내부의 용기에 담긴 음료를 시원하거나 따뜻하게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용기는 주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냉매를 채우거나, 빈공간으로 남겨두어 사용하는데, 냉매가 주입된 경우에는 이를 냉각시켜 용기 내의 음료를 오랜시간 낮은 온도로 만들 수 있어 맥주컵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3251호(2005년06월28일 공개)는 이중용기 및 이중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방향으로 제1개구가 길게 형성되고, 그 하방향으로 연설되어 2종의 음료 또는 술 중에서 어느 한 종류가 담겨질 수 있도록 상기 제1개구보다 넓게 형성된 제1용기; 상기 음료 또는 술 중에서 다른 한 종류가 담아질 수 있도록 통공을 갖으며 상기 제1용기의 제1개구부 둘레에 설치되는 제2용기; 및 상기 제1용기의 제1개구부와 제2용기의 제2개구부를 막아 담겨진 내용물이 배출되지 못하 도록 나사가 형성된 결합홈을 갖으며 설치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이중용기에 냉매를 주입하고자 하는 경우 냉매를 삽입하기가 어려우며, 냉매를 주입하려다 일부 냉매가 내부용기에 유출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한 가지 냉매만을 주입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며,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용기로 사용하기에는 위생상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이격하여 결합하여 형성된 냉매공간에 손잡이를 통해 냉매를 주입할 수 있으며, 내부용기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냉매공간을 분할하여 서로 다른 냉매를 주입할 수 있는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는, 컵 형상의 내부용기와, 컵 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내부용기를 수용하여 밀폐하되, 상기 내부용기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냉매를 수용하는 냉매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일 측에 형성되어 외부의 냉매가 상기 냉매공간으로 주입되도록 안내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외부용기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기부가 억지끼움되어 상기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의 하부에 상기 외부의 냉매가 주입되는 제1 주입구가 형성되거나,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외부의 냉매가 주입되는 제2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공간에 수용되어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부력부재와,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중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부력부재의 상승 여부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외부용기 사이의 연결관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 사이에는 상기 냉매공간을 분할하는 제1 분할판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공간에는 제2 분할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의 상기 제1 주입구 주위를 둘러싸는 영역에는 제1 자성체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주입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주입마개에는 상기 제1 자성체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2 자성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이격하여 결합하여 냉매공간을 형성하고, 손잡이를 통해 냉매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내부용기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이중용기를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냉매공간을 분할하여 서로 다른 냉매를 주입함으로써 음료의 온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의 밑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중 내부용기가 외부용기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중 개폐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중 제1 주입구와 제1 주입마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100)는 내부용기(110), 외부용기(120) 및 손잡이부(130)를 포함한다.
내부용기(110)는 컵 형상으로 형성되며 비어있는 내부에 음료가 담기는 용기이다. 내부용기(11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용기(110)는 후술하는 외부용기(120)의 내측에 수용되어, 외부용기(120)와의 사이에 냉매공간(115)을 형성하게 된다. 냉매공간(115)은 냉매가 채워지는 공간을 의미하며, 냉매공간(115)에 냉매가 채워진 후 냉각되면 내부용기(110)에 담겨지는 음료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냉매는 냉각될 수 있는 액상의 물질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외부용기(120)는 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내부용기(110)를 수용한다. 외부용기(12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과성 또는 반투과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용기(120)는 내부용기(110)를 내측에 수용하되,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수용한다. 이 경우, 내부용기(110)의 상단은 외부용기(120)의 상단과 맞닿아는 면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밀폐시킬 수 있다. 외부용기(120)와 내부용기(110) 사이의 냉매공간(115)에는 냉매가 채워지게 된다.
또한, 외부용기(120) 중 하부의 밑바닥면에는 외부의 냉매가 주입되는 제1 주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주입구(121)는 제1 주입마개(122)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외부용기(120)의 내부에 일정량의 냉매를 채운 상태에서 내부용기(110)를 삽입한 후, 이를 밀폐시키는 경우도 가능하지만, 외부용기(120) 내측에 내부용기(110)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제1 주입구(121)를 통해 외부의 냉매를 주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손잡이부(130)는 외부용기(12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외부의 냉매가 냉매공간(115)으로 주입되도록 안내한다. 즉, 손잡이부(130)는 반원형의 튜브와 같은 형상으로 속이 비어있어 냉매공간(115)이 형성된다. 이 경우, 손잡이부(1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제2 주입구(131)를 통해 외부의 냉매가 주입될 수 있다. 제2 주입구(131)는 제2 주입마개(132)에 의해 밀폐된다. 손잡이부(130)는 양 단이 외부용기(120)의 일 측 중 천공된 영역과 연결되며, 냉매공간(115)으로 냉매가 주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130)는 단순히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용도 외에 냉매를 주입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100)는 제1 분할판(140-1) 및 제2 분할판(14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할판(140-1)은 적어도 하나의 도너츠 형상의 판이다. 제1 분할판(140-1)은 내부용기(110)와 외부용기(120) 사이에 형성되어 냉매공간(115)을 상부 냉매공간(115-1)과 하부 냉매공간(115-2)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는 냉매공간(115)을 상하로 분리하여 서로 다른 냉매 물질을 채우기 위함이다. 즉, 상부 냉매공간(115-1)과 하부 냉매공간(115-2)의 온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제2 분할판(140-2)은 손잡이부(130) 내부의 냉매공간을 분할하게 된다. 이 때, 손잡이부(13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주입구(131)를 통해 제1 냉매가 공급되어 상부 냉매공간(115-1)을 채우고, 손잡이부(13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주입구(131)를 통해 제2 냉매가 공급되어 하부 냉매공간(115-2)을 채울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의 밑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주입구(121)를 통해 냉매가 채워질 수 있으며, 제2 주입구(131)를 통해서도 냉매가 채워질 수 있다. 또한, 내부용기(110)와 외부용기(120) 사이에 제1 분할판(140-1)이 형성된 경우에는 제1 주입구(121) 또는 제2 주입구(131)를 통해 서로 다른 냉매를 채우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냉매는 내부용기(110)와 외부용기(120) 사이에 채워져서, 이 후 냉각시 내부용기(110)에 담긴 음료의 온도를 낮추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중 내부용기가 외부용기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400)는 내부용기(410), 외부용기(420) 및 손잡이부(430)를 포함한다. 이 경우, 내부용기(410), 외부용기(420) 및 손잡이부(430)는 도 1의 내부용기(110), 외부용기(120) 및 손잡이부(130)와 대응하는 구성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내부용기(410)는 후술하는 외부용기(420)에 탈착이 가능하다. 즉, 내부용기(410)의 외측면에는 돌기부(411-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외부용기(4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부(421-1)에 삽입된다. 즉, 내부용기(410)가 외부용기(420)의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돌기부(411-1)가 끼움부(421-1)에 억지끼움된다. 이 경우, 내부용기(410)의 상단과 외부용기(420)의 상단이 밀착되고, 냉매공간(415)를 밀폐시킨다.
외부용기(420)는 내측에 내부용기(410)가 안착되되, 내측면에 끼움부(421-1)가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끼움부(421-1)에는 돌기부(411-1)가 끼움결합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돌기부(411-1)와 끼움부(421-1)는 서로 같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용기(410)가 외부용기(420)로부터 탈부착이 됨에 따라 사용자는 내부용기(410)에 음료를 담아 마신 후, 내부용기(41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용기(420)의 하부에는 제1 주입구(421)가 형성되어 내부의 냉매공간(415)에 냉매를 주입할 수 있다. 제1 주입구(421)는 냉매를 주입한 후 제1 주입마개(422)로 밀폐할 수 있다.
손잡이부(430)는 외부용기(42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외부의 냉매가 냉매공간(415)으로 주입되도록 안내한다. 즉, 손잡이부(430)는 반원형의 튜브와 같은 형상으로 속이 비어있어 냉매공간(415)이 형성된다. 이 경우, 손잡이부(4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제2 주입구(431)를 통해 외부의 냉매가 주입될 수 있다. 제2 주입구(431)는 제2 주입마개(432)에 의해 밀폐된다.
한편, 도 4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400)는 도 1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100)와 같이 제1 분할판 및 제2 분할판(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중 개폐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600)는 내부용기(610), 외부용기(620), 손잡이부(630), 부력부재(640) 및 개폐부재(650)를 포함한다. 이 경우, 내부용기(610), 외부용기(620), 제1 주입구(621), 제1 주입마개(622), 손잡이부(630), 제2 주입구(631) 및 제2 주입마개(632)는 도 1의 내부용기(110), 외부용기(120), 제1 주입구(121), 제1 주입마개(122), 손잡이부(130), 제2 주입구(131), 제2 주입마개(132)와 대응하는 구성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부력부재(640)은 내부용기(610)와 외부용기(620) 사이의 냉매공간(615)에 수용된다. 부력부재(640)는 냉매에 의한 부력으로 상승되는 물질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부력부재(640)는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부력부재(640)의 개수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용기(610)의 외측면 또는 외부용기(620)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구분판(623)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부력부재(640)가 구분판(623)을 따라 손잡이부(630)의 연결관(635)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부력부재(640)는 구분판(623) 외에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으며, 냉매는 구분판(623)을 빠져나와 냉매공간(615) 전체로 퍼지게 할 수 있다.
개폐부재(650)는 외부용기(620)의 내측면에 일 측이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개폐부재(650)는 외부용기(620)와 손잡이부(630)가 연결되는 연결관(635)을 개폐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즉, 개폐부재(650)가 연결관(635)을 패쇄하면 손잡이부(630)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 냉매의 공급이 차단된다. 개폐부재650)는 일종의 마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재(650)는 부력부재(640)가 상승하면서 부력부재(640)에 의해 일 측에 외압이 가해져 연결관(635) 측으로 회동되어 연결관(635)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개폐부재(650)는 자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관 주변에도 자성을 가지는 물질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650)는 부력부재(640)가 상승함에 따라 연결관(635)측으로 닫히게 되는데, 이 경우 자성에 의해 연결관(635)측으로 쉽게 결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부력부재(640)에 의한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연결관(635)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630)로부터 주입되는 냉매가 냉매공간(615)으로 더 이상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6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600)는 도 1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100)와 같이 제1 분할판 및 제2 분할판(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중 제1 주입구와 제1 주입마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800)는 내부용기(810), 외부용기(820), 손잡이부(830), 분할판(8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내부용기(810), 외부용기(820), 손잡이부(830) 및 분할판(840)은 도 1의 내부용기(110), 외부용기(120), 손잡이부(130) 및 분할판(140)과 대응하는 구성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외부용기(820)의 하부에는 제1 주입구(821)가 형성된다. 외부용기(820)의 내측면 중 제1 주입구(821) 주위에는 제1 자성체(821-1)가 형성된다. 제1 주입구(821)의 상부에는 제1 주입마개(822)가 위치한다. 이 경우, 제1 주입마개(822)는 외부용기(820)의 내측에 위치하여 제1 주입구(821)를 폐쇄한다. 이 경우, 제1 주입마개(822)의 반경이 제1 주입구(82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주입마개(822)의 일 측에는 제2 자성체(822-1)가 형성된다. 제2 자성체(822-1)는 제1 주입마개(822)가 제1 주입구(821)를 폐쇄하도록 제1 자성체(821-1)가 자력에 의해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과 같은 이중용기(800)에 외부의 냉매주입노즐(900)이 외부용기(820)의 하부의 제1 주입구(821)를 통해 삽입되면, 제1 주입마개(822)가 제1 주입구(821)로부터 분리된다. 이 후, 외부의 냉매주입노즐(900)을 통해 냉매가 냉매공간(815)으로 주입된 후, 냉매주입노즐(900)을 제1 주입구(821)로부터 분리시키면 냉매의 무게에 의해 제1 주입마개(822)가 하부로 하강한다. 이 경우, 제1 주입마개(822)의 제2 자성체(822-1)와 제1 주입구(821)의 제1 자성체(821-1)가 자력으로 결합하여 냉매가 제1 주입구(821)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를 이중용기(800)의 하부로부터 거꾸로 채울 수 있다.
한편, 도 8의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800)는 도 1의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100)와 같이 제1 분할판(840-1) 및 제2 분할판(84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분할판(840-1)은 내부용기(810)와 외부용기(820) 사이의 냉매공간(815)을 상부 냉매공간(815-1)과 하부 냉매공간(815-2)로 분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냉매공간(815-1)에는 손잡이부(830)의 제2 주입구(831)를 통해 외부의 냉매를 주입할 수 있으며, 하부 냉매공간(815-2)은 제1 주입구(821)를 통해 하부로부터 냉매를 주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냉매공간(815-1)과 하부 냉매공간(815-2)에는 서로 다른 성분의 냉매가 채워질 수 있다. 제2 분할판(840-2)은 손잡이부(830) 내의 냉매공간(815)을 분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이격하여 결합하여 냉매공간을 형성하고, 손잡이를 통해 냉매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내부용기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이중용기를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냉매공간을 분할하여 서로 다른 냉매를 주입함으로써 음료의 온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이중용기 110 : 내부용기
115 : 냉매공간 115-1 : 상부 냉매공간
115-2 : 하부 냉매공간 120 : 외부용기
121 : 제1 주입구 122 : 제1 주입마개
130 : 손잡이부 131 : 제2 주입구
132 : 제2 주입마개 140-1 : 제1 분할판
140-2 : 제2 분할판
400 : 이중용기 410 : 내부용기
411-1 : 돌기부 415 : 냉매공간
420 : 외부용기 421 : 제1 주입구
421-1 : 끼움부 422 : 제1 주입마개
430 : 손잡이부 431 : 제2 주입구
432 : 제2 주입마개
600 : 이중용기 610 : 내부용기
615 : 냉매공간 620 : 외부용기
621 : 제1 주입구 622 : 제1 주입마개
623 : 구분판 630 : 손잡이부
631 : 제2 주입구 632 : 제2 주입마개
635 : 연결관 640 : 부력부재
650 : 개폐부재
800 : 이중용기 810 : 내부용기
815 : 냉매공간 815-1 : 상부 냉매공간
815-2 : 하부 냉매공간 820 : 외부용기
821 : 제1 주입구 821-1 : 제1 자성체
822 : 제2 주입구 822-1 : 제2 자성체
830 : 손잡이부 831 : 제2 주입구
832 : 제2 주입마개 840-1 : 제 분할판
840-2 : 제2 분할판 900 : 냉매주입노즐

Claims (6)

  1. 컵 형상의 내부용기;
    컵 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내부용기를 수용하여 밀폐하되, 상기 내부용기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냉매를 수용하는 냉매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의 일 측에 형성되어 외부의 냉매가 상기 냉매공간으로 주입되도록 안내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외부용기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기부가 억지끼움되어 상기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의 하부에 상기 외부의 냉매가 주입되는 제1 주입구가 형성되거나,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외부의 냉매가 주입되는 제2 주입구가 형성되는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공간에 수용되어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부력부재; 및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면 중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부력부재의 상승 여부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외부용기 사이의 연결관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 사이에는 상기 냉매공간을 분할하는 제1 분할판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공간에는 제2 분할판이 형성되는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의 상기 제1 주입구 주위를 둘러싸는 영역에는 제1 자성체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주입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주입마개에는 상기 제1 자성체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2 자성체가 형성되는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KR1020140046759A 2014-04-18 2014-04-18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KR101420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759A KR101420719B1 (ko) 2014-04-18 2014-04-18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759A KR101420719B1 (ko) 2014-04-18 2014-04-18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719B1 true KR101420719B1 (ko) 2014-07-22

Family

ID=5174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759A KR101420719B1 (ko) 2014-04-18 2014-04-18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7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26Y1 (ko) 2015-09-01 2017-02-16 김대윤 이중구조의 음료용기
KR101822520B1 (ko) * 2015-12-04 2018-01-29 한만형 보온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212Y1 (ko) * 2002-05-16 2002-08-27 한태희 냉각컵
KR200302873Y1 (ko) * 2002-11-16 2003-02-05 김대윤 이벤트 냉각컵
KR200354296Y1 (ko) * 2004-03-17 2004-06-29 김영선 휴대용 보온 컵
KR200466705Y1 (ko) * 2013-02-04 2013-05-03 이희심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212Y1 (ko) * 2002-05-16 2002-08-27 한태희 냉각컵
KR200302873Y1 (ko) * 2002-11-16 2003-02-05 김대윤 이벤트 냉각컵
KR200354296Y1 (ko) * 2004-03-17 2004-06-29 김영선 휴대용 보온 컵
KR200466705Y1 (ko) * 2013-02-04 2013-05-03 이희심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26Y1 (ko) 2015-09-01 2017-02-16 김대윤 이중구조의 음료용기
KR101822520B1 (ko) * 2015-12-04 2018-01-29 한만형 보온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9102B2 (en) Fluid insulation assembly
US4162029A (en) Cooler chest/liquid dispenser combination
US3059452A (en) Ice cap container for picnic jug cooler
US3782602A (en) Frozen water containers with liquid dispenser for camping
US9360248B1 (en) Beverage cooler with a separate, removable shaker receptacle
US20160045047A1 (en) Container with a Thermal Regulating Insert
KR101420719B1 (ko)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EP2769651A1 (en) Support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cold beverages in glasses and the like
US9884753B1 (en) Multi-compartment beverage cooler
NL2014993B1 (en) Single-use container for a single portion substance.
KR200493844Y1 (ko) 휴대용 아이스컵
KR20170052358A (ko) 음료 용기
CN210503664U (zh) 一种可分离式饮料保鲜器
KR200463859Y1 (ko) 결합형 기능용기
EP3730427A1 (en) Functional water bottle with ice forming core and ice making tool
KR200488255Y1 (ko) 분실 방지형 용기의 캡 결합구조
JP2016011812A (ja) 氷容器製造器および氷容器の製造方法。
JP2011093570A (ja) 液体一時保存容器
KR101242183B1 (ko) 다목적 물병
CN216875921U (zh) 保温杯
CN210479395U (zh) 一种饮料保鲜器的密封组件
KR101921719B1 (ko) [탈착식 보조용기를 가진 쉐이커 겸 텀블러]
JP2006341916A (ja) 飲料注出装置
KR20130005555U (ko) 파우치형 기능용기
KR20090128199A (ko)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