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183B1 - 다목적 물병 - Google Patents

다목적 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183B1
KR101242183B1 KR1020090046290A KR20090046290A KR101242183B1 KR 101242183 B1 KR101242183 B1 KR 101242183B1 KR 1020090046290 A KR1020090046290 A KR 1020090046290A KR 20090046290 A KR20090046290 A KR 20090046290A KR 101242183 B1 KR101242183 B1 KR 101242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mpartment
stopper
partition wall
water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935A (ko
Inventor
호종성
Original Assignee
호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종성 filed Critical 호종성
Priority to KR1020090046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18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6Partitions adapted to be fitted in two or more alternative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음용수가 섞이지 않도록 분리 수용되며, 상기 각각의 음용수의 온도가 서로 다르게 수용되는 다목적 물병을 기재한다.

Description

다목적 물병{HYBRID WATER BOTTLE}
본 발명은 물병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음용수를 섞이지 않게 각기 다른 온도에서 수용할 수 있는 다목적 물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병은 동일한 한 종류의 음용수만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어, 예를 들어 생수와 탄산 음료를 동시에 휴대하고자 할 경우 여러 개의 물병을 휴대해야 한다.
또한, 물병에 보온 기능을 추가하면 여름에 차거운 물을 음용할 수 있고 겨울에 따뜻한 물을 음용할 수 있지만 진공을 형성하는 여러 장의 벽체나 단열재가 물병에 추가되어야 하므로 물병의 가격이 비싸지고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물병의 내부 공간이 여러 칸으로 구획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음용수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중앙에 얼음을 채우고 그 주변의 구획된 공간에 여러 종류의 음용수를 수용함으로써 야외에서 여러 종류의 음용수를 시원하게 마실 수 있으며, 얼음 대신에 뜨거운 물을 이용하면 겨울에 따뜻한 음용수를 마실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간단한 구조로 되어 낮은 가격으로 양산할 수 있는 다목적 물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다목적 물병은 서로 다른 종류의 음용수가 섞이지 않도록 분리 수용되며, 상기 각각의 음용수의 온도가 서로 다르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다목적 물병은, 본체부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것으로 중앙의 제1칸과 상기 제1칸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는 제2칸 및 제3칸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을 덮는 것으로, 상기 제1칸과 연결되는 제1구멍, 상기 제2칸과 연결되는 제2구멍, 상기 제3칸과 연결되는 제3구멍이 마련되는 헤드부;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다목적 물병은, 상기 헤드부의 상기 제1구멍의 돌출된 부분에 마련된 끼움쇠에 끼워지는 끼움쇠 삽입구와, 상기 끼움쇠 삽입구에서 서로 다른 3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대와, 상기 각각의 연결대 끝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구멍 내지 상기 제3구멍을 각각 개폐하는 제1마개, 제2마개, 제3마개를 구비하는 마개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마개부를 덮는 뚜껑부; 를 포함한다. 이때, 제1마개가 끝단에 마련된 연결대는 휘어져서 제1마개가 제1구멍을 개폐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부는 착탈 가능한 제1본체 및 제2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 내부의 세척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로 분리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노출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부 격벽은 상기 본체부에서 분리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 내부의 세척시 상기 본체부 격벽을 상기 본체부에서 분리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노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 내부가 본체부 격벽에 의하여 여러 칸으로 구획되므로 서로 다른 음용수를 서로 섞이지 않도록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중앙에 배치된 제1칸에 얼음을 채우고 그 주변의 제2칸 및 제3칸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용수를 수용함으로써 야외에서 여러 종류의 음용수를 시원하게 마실 수 있으며, 제1칸에 얼음 대신 뜨거운 물을 채워넣으면 겨울에도 여러 종류의 따뜻한 음용수를 마실 수 있으며, 별도의 단열재나 보온을 위한 진공 벽체 구조를 설치하지 않았음에도 중앙의 제1칸의 냉각 에너지 또는 가열 에너지가 물병의 외부로 방출되기 전에 제2칸 및 제3칸을 경유하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서 상당한 단열 기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여러 칸으로 구획된 물병 내부의 세척시 본체부를 분리하거나 본체부 격벽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물병 내부를 얼마든지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세척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목적 물병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목적 물병의 본체부(1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목적 물병의 헤드부(3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목적 물병의 마개부(400)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며 본 발명의 다목적 물병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목적 물병은 서로 다른 종류의 음용수가 섞이지 않도록 여러 칸에 분리 수용함으로써 생수, 탄산수, 커피나 녹차 등을 기호에 맞게 음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칸(110) 내지 제3칸(130) 중 어느 하나에 얼음이나 온수, 드라이 아이스, 기타 열원 등 다양한 형태의 냉각 매체 또는 가열 매체를 수용하고 그 주변의 칸에는 여러 종류의 음용수를 채움으로써 일반적인 보온 물병에 마련되는 복잡한 구조의 진공 형성용 벽체나 단열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간단한 구조이면서 단열 또는 보온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목적 물병은 본체부(100) 및 헤드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본체부 격벽(140)에 의하여 구획되는 것으로 중앙의 제1칸(110)과 상기 제1칸(110)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는 제2칸(120) 및 제3칸(130)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체부 격벽(140)은 본체부(100)에서 분리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본체부(100) 내부의 세척시 본체부 격벽(140)을 본체부(100)에서 분리함으로써 세척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체부(100)를 제1본체(101) 및 제2본체(102)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할 수 있으며, 본체부(100) 내부의 세척시 본체부(100)는 제1본체(101) 및 제2본체(102)로 분리함으로써 세척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헤드부(300)는 본체부(100)의 상측을 덮는 것으로, 제1칸(110)과 연결되는 제1구멍(310), 제2칸(120)과 연결되는 제2구멍(320), 제3칸(130)과 연결되는 제3구멍(330)이 마련된다. 제1구멍(310) 내지 제3구멍(330)을 통하여 내부의 음용수를 따라 마실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칸(110)에는 상기 제2칸(120) 및 상기 제3칸(130)에 수용된 음용수를 냉각하도록 얼음이 수용되며, 상기 제1칸(110)은 상기 얼음의 수용을 위하여 사각 단면으로 된다. 얼음의 형상이 직육면체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얼음이 수용되는 제1칸(110)의 단면을 사각으로 함으로써 본체부(100)의 부피 및 직경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헤드부(300) 및 본체부(100)의 연결시 음용수의 누설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연결 부재(200) 또는 실링 홈(345)이 마련된다.
실링 홈(345)은 본체부 격벽(140)이 헤드부 격벽(340)에 끼워지는 경우 더 큰 두께를 갖는 헤드부 격벽(34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반대로 헤드부 격벽(340)이 본체부 격벽(140)에 끼워지는 경우 더 큰 두께를 갖는 본체부 격벽(14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부재(200)는 본체부(100) 상단에 구비된 고정 나사(15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헤드부(300)를 본체부(100)에 단단히 결합시킨다. 헤드부(300)의 가장 자리에는 플랜지(350)가 형성되며 연결 부재(200)에 의하여 눌려짐으로써 본체부(100)의 상단에 단단하게 밀착된다.
제1구멍(310) 내지 제3구멍(330)을 개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마개부(400)가 마련된다.
마개부(400)는 헤드부(300)의 제1구멍(310)의 돌출된 부분에 마련된 끼움쇠(380)에 끼워지는 끼움쇠 삽입구(480)와, 끼움쇠 삽입구(480)에서 서로 다른 3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대(482)와, 각각의 연결대(482) 끝단에 마련되며 제1구멍(310) 내지 상기 제3구멍(330)을 각각 개폐하는 제1마개(410), 제2마개(420), 제3마개(430)를 구비한다. 이때, 제1마개(410)가 끝단에 마련된 연결대(48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져서 제1마개(410)가 제1구멍(310)을 개폐하도록 한다.
마개부(400)는 플렉시블한 합성 수지 재질로 마련되어 자유롭게 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개부(400)의 파손시 헤드부(300)의 끼움쇠(380)에서 끼움쇠 삽입구(480)를 분리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새로운 마개부(400)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헤드부(300) 및 마개부(400)의 오염을 막기 위하여 뚜껑부(500)가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뚜껑부(500)는 본체부(100) 또는 헤드부(300)에 힌지 결합되어 간단하게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헤드부(300) 및 마개부(400)를 개방 또는 밀폐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목적 물병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목적 물병의 본체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목적 물병의 헤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목적 물병의 마개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부 101...제1본체
102...제2본체 110...제1칸
120...제2칸 130...제3칸
140...본체부 격벽 150...고정 나사
200...연결 부재 300...헤드부
310...제1구멍 320...제2구멍
330...제3구멍 340...헤드부 격벽
345...실링 홈 350...플랜지
380...끼움쇠 400...마개부
410...제1마개 420...제2마개
430...제3마개 480...끼움쇠 삽입구
482...연결대 500...뚜껑부

Claims (8)

  1. 본체부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것으로 중앙의 제1칸과 상기 제1칸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는 제2칸 및 제3칸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을 덮는 것으로, 상기 제1칸과 연결되는 제1구멍, 상기 제2칸과 연결되는 제2구멍, 상기 제3칸과 연결되는 제3구멍이 마련되는 헤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단에 고정 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는 그 가장자리에 돌출된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나사에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를 누름으로써 상기 헤드부를 상기 본체부에 밀착시키는 연결 부재가 마련되는 다목적 물병.
  2. 본체부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것으로 중앙의 제1칸과 상기 제1칸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는 제2칸 및 제3칸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을 덮는 것으로, 상기 제1칸과 연결되는 제1구멍, 상기 제2칸과 연결되는 제2구멍, 상기 제3칸과 연결되는 제3구멍이 마련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상기 제1구멍의 돌출된 부분에 마련된 끼움쇠에 끼워지는 끼움쇠 삽입구와, 상기 끼움쇠 삽입구에서 서로 다른 3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렉시블한 연결대와, 상기 각각의 연결대 끝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1구멍 내지 상기 제3구멍을 각각 개폐하는 제1마개, 제2마개, 제3마개를 구비하는 마개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마개부를 개폐하는 뚜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마개가 끝단에 마련된 연결대는 상기 제1마개가 상기 제1 구멍을 개폐하도록 휘어지는 다목적 물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칸에는 상기 제2칸 및 상기 제3칸에 수용된 음용수를 냉각하도록 얼음이 수용되며, 상기 제1칸은 상기 얼음의 수용을 위하여 사각 단면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병.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본체부 격벽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음용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 홈이 형성된 헤드부 격벽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병.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격벽은 상기 본체부에서 분리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 내부의 세척시 상기 본체부 격벽을 상기 본체부에서 분리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병.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착탈 가능한 제1본체 및 제2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 내부의 세척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로 분리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물병.
  7. 삭제
  8. 삭제
KR1020090046290A 2009-05-27 2009-05-27 다목적 물병 KR10124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290A KR101242183B1 (ko) 2009-05-27 2009-05-27 다목적 물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290A KR101242183B1 (ko) 2009-05-27 2009-05-27 다목적 물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935A KR20100127935A (ko) 2010-12-07
KR101242183B1 true KR101242183B1 (ko) 2013-03-12

Family

ID=4350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290A KR101242183B1 (ko) 2009-05-27 2009-05-27 다목적 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000B1 (ko) 2014-11-28 2016-12-16 오재혁 의약품 수납이 가능한 물통
KR101893541B1 (ko) * 2017-04-28 2018-08-31 인탑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040Y1 (ko) * 2003-02-28 2003-05-22 송경옥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
KR20030070371A (ko) * 2002-02-25 2003-08-30 허균 두 종류의 내용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음료수 용기
JP2007331756A (ja) * 2004-09-21 2007-12-27 Chubu Mentekku:Kk 小分け用容器又は飲料用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371A (ko) * 2002-02-25 2003-08-30 허균 두 종류의 내용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음료수 용기
KR200314040Y1 (ko) * 2003-02-28 2003-05-22 송경옥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
JP2007331756A (ja) * 2004-09-21 2007-12-27 Chubu Mentekku:Kk 小分け用容器又は飲料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935A (ko)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147B1 (ko) 생수병 단열 케이스
KR101242183B1 (ko) 다목적 물병
KR20130001866U (ko) 음료수컵의 얼음 격리용 포켓장치
US20030029867A1 (en) Partitioned cooler
US6003718A (en) Thermos with two glass liners
JP2008094490A (ja) 保温水筒
KR200456968Y1 (ko) 다중 결합 용기
KR20220001940U (ko) 대구경 인입구를 가지는 텀블러 용기
CN201055085Y (zh) 分体式电子冷暖杯
KR200463859Y1 (ko) 결합형 기능용기
KR101388153B1 (ko) 보온 도시락
US20100139499A1 (en) Milk holder for a beverage making machine
KR101420719B1 (ko)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KR101156576B1 (ko) 기능성 도시락
KR20120082971A (ko) 단열용 커버와 보냉용 커버를 가지는 용기
KR200407490Y1 (ko) 다용도 보온컵
JP2015144696A (ja) 保冷、保温用飲料容器
KR200492982Y1 (ko) 저장 용기
KR20130045878A (ko) 단열용 커버와 보냉용 커버를 가지는 용기
KR101632413B1 (ko)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
KR20080003358U (ko) 냉수와 온수를 같이 보관하는 물통
KR20180107895A (ko) 아이스 컵
KR200404918Y1 (ko) 차량용 컵 거치대
KR20100106848A (ko) 보온용기
KR20090004542U (ko)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