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859Y1 - 결합형 기능용기 - Google Patents

결합형 기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859Y1
KR200463859Y1 KR2020120000808U KR20120000808U KR200463859Y1 KR 200463859 Y1 KR200463859 Y1 KR 200463859Y1 KR 2020120000808 U KR2020120000808 U KR 2020120000808U KR 20120000808 U KR20120000808 U KR 20120000808U KR 200463859 Y1 KR200463859 Y1 KR 200463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part
container
housing
functional contain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영
Original Assignee
박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영 filed Critical 박태영
Priority to KR2020120000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8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859Y1/ko
Priority to PCT/KR2013/000782 priority patent/WO20131155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결합형 기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며, 일측이 개구된 제1수용부와,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며,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상기 제1수용부의 타측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수용부와, 양측이 개구되며 상기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를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제1수용부 및 하우징의 개구된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밀폐부; 및 상기 제2수용부 및 하우징의 개구된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밀폐부를 포함함으로써, 실용성을 향상시킨 결합형 기능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합형 기능용기{Combinable function container}
본 고안은 결합형 기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수용부, 제2수용부, 하우징, 제1밀폐부 및 제2밀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수용부, 제2수용부 및 하우징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물질을 보관할 수 있어 실용성이 향상된 결합형 기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라 함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액체로서, 차ㅇ사이다, 콜라ㅇ과즙 등을 통칭한다. 이러한, 음료는 별도의 음료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생산, 유통ㅇ판매되는 바, 종래의 음료 용기는 몸체부내에 일정량의 음료를 담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나사방식에 의해 뚜껑이 결합되는 주입구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음료 용기는 주로, 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 PE, PT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료 용기는 몸체부가 단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하나의 용기에 한 종류의 음료만을 담아 저장하게 되며,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음료를 함께 담게 되면, 각각의 음료가 몸체부내에서 혼합되어 전혀 다른 맛의 혼합음료가 만들어지게 되므로, 각각의 음료가 갖는 본연의 맛을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용기는 하나의 용기에 한 종류의 음료를 담아 저장하는 구조로서, 다종의 음료를 담아 저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각각에 맞는 용기를 구비해야 하므로, 다수의 용기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용기 구입에 따른 과다한 비용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유사한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10-0018978호에 기재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18978호(공개일 2010. 02. 18.)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수용부, 제2수용부, 하우징, 제1밀폐부 및 제2밀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수용부, 제2수용부 및 하우징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어 실용성이 향상된 결합형 기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인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며, 일측이 개구된 제1수용부(100)와,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며,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상기 제1수용부(100)의 타측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수용부(200)와, 양측이 개구되며 상기 제1수용부(100) 및 제2수용부(200)를 감싸는 하우징(300)과, 상기 제1수용부(100) 및 하우징(300)의 개구된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밀폐부(400); 및 상기 제2수용부(200) 및 하우징(300)의 개구된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밀폐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제1수용부(100)와, 제2수용부(200) 및 하우징(300)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밀폐부(400)는 상기 제1수용부(100)와 결합되는 제1결합수단(410)과, 상기 하우징(300)과 결합되는 제2결합수단(420) 및 상기 제1수용부(10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배출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수용부(100)는 개구된 측에 상기 제1결합수단(410)에 대응되는 제1조립수단(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밀폐부(500)는 상기 제2수용부(200)와 결합되는 제3결합수단(510)과, 상기 하우징(300)과 결합되는 제4결합수단(520) 및 상기 제2수용부(20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배출구(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수용부(200)는 개구된 측에 상기 제3결합수단(510)에 대응되는 제3조립수단(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수단(420) 및 제4결합수단(520)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0)은 외주면에 상기 제2결합수단(420)에 대응되는 제2조립수단(310) 및 제4결합수단(520)에 대응되는 제4조립수단(3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조립수단(310) 및 제4조립수단(320)은 나사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상기 제1수용부(100) 및 제2수용부(200)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액화방지부(3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상기 제1배출구(430)가 상기 제1밀폐부(400)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구(430)의 내주면에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플리스틱 용기(600)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용부(100)는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상용 캔 용기(70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결합형 기능용기는 제1수용부, 제2수용부 및 하우징이 결합 및 분리되도록 조립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물질을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 복수 개의 보관용기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휴대성이 용이하여 상용자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결합형 기능용기는 내부에 미리 정해진 규격의 상용 플라스틱 용기 및 캔 용기 또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결합형 기능용기는 상기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액화방지부가 구비됨으로써, 용기의 외주면에 수증기가 액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며,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의 보온 및 보냉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의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의 제1밀폐부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의 제2밀폐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의 제2밀폐부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의 다른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를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크게는 제1수용부(100), 제2수용부(200), 하우징(300), 제1밀폐부(400) 및 제2밀폐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용부(100)는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액체 및 고체 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일측이 개구된다. 상기 제1수용부(100)는 상기 제1밀폐부(400)에 의해 개폐되며, 개구된 측에 상기 제1밀폐부(400)와 결합되는 제1조립수단(1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조립수단(110)은 상기 제1수용부(100)의 외주면에 연장형성 된 돌기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200)는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액체 및 고체 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일측이 개구되며 타측이 상기 제1수용부(100)의 타측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수용부(200)는 제2밀폐부(500)에 의해 개폐되며, 개구된 측에 상기 제2밀폐부(500)와 결합되는 제3조립수단(210)이 형성된다. 상기 제3조립수단(210)은 상기 제2수용부(200)의 외주면에 연장형성 된 돌기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립수단(110) 및 제3조립수단(210)은 돌기형태 뿐 아니라 본 고안의 목적에 벗어남 없이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은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1수용부(100) 및 제2수용부(20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밀폐부(400) 및 제2밀폐부(500)와 결합 가능하도록 제2조립수단(310) 및 제4조립수단(3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조립수단(310) 및 제4조립수단(320)은 나사산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립수단(310) 및 제4조립수단(320)은 나사산 형태 뿐 아니라 돌기 등의 형태로 본 고안의 목적에 벗어남 없이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용부(100), 제2수용부(200) 및 하우징(300)은 도 1 내지 도 3에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단면의 형상은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본 고안의 목적에 벗어남 없이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의 제1밀폐부(400)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1밀폐부(4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밀폐부(400)는 상기 제1수용부(100)와 결합되는 제1결합수단(410)과, 상기 하우징(300)과 결합되는 제2결합수단(420) 및 상기 제1수용부(10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배출구(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수단(410)은 상기 제1조립수단(110)에 대응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수단(420)은 상기 제2조립수단(310)에 대응되는 나사홈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수단(410)은 홈 형태로 형성되되, 홈 내부에 상기 제1수용부(100)와의 결합 및 분리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제1수용부(100)의 밀폐를 돕는 제1밀폐보조부(411)를 더 구비하며, 이는 상기 결합형 기능용기(1000)의 내구성을 강하게 하고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밀폐부(400)는 상측 일부 영역이 중공 된 원통 형상으로 연장형성된 제1배출부(431)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배출부(431)에 중공 된 공간부가 상기 제1배출구(430)를 형성한다. 상기 제1밀페부는 상기 제1배출구(430)를 개폐하기위한 제1개폐수단(4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개폐수단(440)은 상기 제1배출부(431)의 형상에 대응되는 배출부삽입홈(441) 및 상기 배출부삽입홈(44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출구(430)의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제1밀폐보조수단(442)을 포함한다.
또한, 제1배출부(43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개폐수단(440)과의 결합을 위한 개폐나사산(43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개폐수단(440)에는 개폐나사홈(443)이 형성되어, 상기 제1밀폐부(400)와 제1개폐수단(440)은 나사결합 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의 제2밀폐부(5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의 제2밀폐부(500)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의 제2밀폐부(5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2밀폐부(500)는 상기 제2수용부(200)와 결합되는 제3결합수단(510)과, 상기 하우징(300)과 결합되는 제4결합수단(520) 및 상기 제2수용부(20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배출구(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밀폐부(500)는 상기 제2수용부(200)와 결합되는 제3결합수단(510)과, 상기 하우징(300)과 결합되는 제4결합수단(520) 및 상기 제2수용부(20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배출구(530)를 포함한다. 상기 제3결합수단(510)은 상기 제3조립수단(210)에 대응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4결합수단(520)은 상기 제4조립수단(320)에 대응되는 나사홈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결합수단(510)은 홈 형태로 형성되되, 홈 내부에 상기 제2수용부(200)와의 결합 및 분리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제2수용부(200)의 밀폐를 돕는 제2밀폐보조부(511)를 더 포함하며, 이는 상기 결합형 기능용기(1000)의 내구성을 강하게 하고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밀폐부(500)는 상기 제2배출구(530)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수단(5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개폐수단(540)은 상기 제2배출구(530)에 인접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2개폐수단(540)은 상기 제2밀폐부(500)의 일측에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개폐수단(540)은 판 형상의 지지부(541)와, 상기 지지부(541) 상에 상기 제1배출구(430) 측으로 연장형성 된 개폐부(542) 및 상기 개폐부(542)의 외주면과 상기 제1배출구(430)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2배출구(530)의 밀폐를 돕는 제2밀폐보조수단(543)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밀폐보조수단(543) 고무 등 유연성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개폐수단(540)은 일측은 상기 제2밀페부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2밀폐부(500)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걸림 고정된다. 상기 제2개폐수단(540)의 지지부(541) 일측에 걸림돌기(544)가 형성되며, 상기 제2밀폐부(500)의 타측에 걸림홈(55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상기 제1수용부(100) 및 제2수용부(200)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액화방지부(330)를 더 구비한다.
일반적인 보관용기의 경우, 내부 물질과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수증기가 액화되어 사용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상기 제1수용부(100) 및 제2수용부(200) 내부의 물질과 외부공기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액화방지부(330)를 구비함으로써, 물질과 외부공기의 온도 차이를 감소시켜 수증기가 액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상기 제1배출구(430)가 상기 제1밀폐부(400)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구(430)의 내주면에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플리스틱 용기(600)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상기 결합형 기능용기(1000) 내부에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플리스틱 용기(600)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상기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상용 플리스틱 용기(600)의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상용용기나사홈(433)이 상기 제1배출구(43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상용 플리스틱 용기(600) 또한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이 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상기 하우징(300), 제1밀폐부(400), 제2밀폐부(500)가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상용 플리스틱 용기(600)가 수용된다.
상기 제1수용부(100)는 상기 공간부가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상용 캔 용기(70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에 상기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상용 캔 용기(700)가 수용된 것을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상기 제1수용부(100)에 상기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상용 캔 용기(700)가 수용되며, 제2수용부(200)에는 저온 또는 고온의 물질을 주입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상용 캔 용기(700) 내부의 물질로 열전도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상용 캔 용기(700) 내부의 물질을 온도조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상용 캔 용기(700)는 개봉 후 밀폐가 불가능하나,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결합형 기능용기(1000)에 보관하면 밀폐 가능하므로, 내부 물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제1수용부(100)와, 제2수용부(200) 및 하우징(300)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필요한 구성만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간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결합형 기능용기
100 : 제1수용부 110 : 제1조립수단
200 : 제2수용부 210 : 제3조립수단
300 : 하우징 310 : 제2조립수단
320 : 제4조립수단 330 : 액화방지부
400 : 제1밀폐부 410 : 제1결합수단
411 : 제1밀폐보조부 420 : 제2결합수단
430 : 제1배출구 431 : 제1배출부
432 : 개폐나사산 433 : 결합나사홈
440 : 제1개폐수단 441 : 배출부삽입홈
442 : 제1밀폐보조수단 443 : 개폐나사홈
500 : 제2밀폐부 510 : 제3결합수단
511 : 제2밀폐보조부 520 : 제4결합수단
530 : 제2배출구 540 :제2개폐수단
541 : 지지부 542 : 개폐부
543 : 제2밀폐보조수단 544 : 걸림돌기
550 : 걸림홈
600 :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상용 플라스틱 용기
700 :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상용 캔 용기

Claims (11)

  1.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며, 일측이 개구된 제1수용부(100);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며,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상기 제1수용부(100)의 타측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수용부(200);
    양측이 개구되며 상기 제1수용부(100) 및 제2수용부(200)를 감싸는 하우징(300)
    상기 제1수용부(100) 및 하우징(300)의 개구된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수용부(100)와 결합되는 제1결합수단(410)과, 상기 하우징(300)과 결합되는 제2결합수단(420) 및 상기 제1수용부(10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배출구(430)를 포함하는 제1밀폐부(400); 및
    상기 제2수용부(200) 및 하우징(300)의 개구된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밀폐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기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제1수용부(100)와, 제2수용부(200) 및 하우징(300)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기능용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100)는 개구된 측에 상기 제1결합수단(410)에 대응되는 제1조립수단(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기능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폐부(500)는
    상기 제2수용부(200)와 결합되는 제3결합수단(510)과, 상기 하우징(300)과 결합되는 제4결합수단(520) 및 상기 제2수용부(20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배출구(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기능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200)는 개구된 측에 상기 제3결합수단(510)에 대응되는 제3조립수단(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기능용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수단(420) 및 제4결합수단(520)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기능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0)은 외주면에 상기 제2결합수단(420)에 대응되는 제2조립수단(310) 및 제4결합수단(520)에 대응되는 제4조립수단(3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조립수단(310) 및 제4조립수단(320)은 나사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기능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상기 제1수용부(100) 및 제2수용부(200)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액화방지부(3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기능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형 기능용기(1000)는
    상기 제1배출구(430)가 상기 제1밀폐부(400)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구(430)의 내주면에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플리스틱 용기(600)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기능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100)는
    미리 결정된 규격 및 형태로 된 상용 캔 용기(70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기능용기.
KR2020120000808U 2012-02-02 2012-02-02 결합형 기능용기 KR200463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808U KR200463859Y1 (ko) 2012-02-02 2012-02-02 결합형 기능용기
PCT/KR2013/000782 WO2013115574A1 (ko) 2012-02-02 2013-01-31 결합형 기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808U KR200463859Y1 (ko) 2012-02-02 2012-02-02 결합형 기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859Y1 true KR200463859Y1 (ko) 2012-11-29

Family

ID=4756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808U KR200463859Y1 (ko) 2012-02-02 2012-02-02 결합형 기능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3859Y1 (ko)
WO (1) WO20131155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50Y1 (ko) * 2013-08-14 2015-02-11 김영권 보관체가 구비된 병
KR101891519B1 (ko) * 2017-06-21 2018-08-24 박종환 분말 정량 투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322U (ja) * 1982-06-14 1984-01-30 末松 麻子 二室水入れ具
KR200344346Y1 (ko) * 2003-12-26 2004-03-10 (주)옥야 이중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4245B2 (ja) * 1994-05-13 1998-07-09 モリ工業株式会社 携帯用断熱容器
US20080011701A1 (en) * 2006-07-11 2008-01-17 Jason Kee Modular j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322U (ja) * 1982-06-14 1984-01-30 末松 麻子 二室水入れ具
KR200344346Y1 (ko) * 2003-12-26 2004-03-10 (주)옥야 이중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50Y1 (ko) * 2013-08-14 2015-02-11 김영권 보관체가 구비된 병
KR101891519B1 (ko) * 2017-06-21 2018-08-24 박종환 분말 정량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15574A1 (ko)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8972B2 (en) Drinking vessel storage container combinations
US6843062B2 (en) Food container having a separable refrigerant section
KR200463859Y1 (ko) 결합형 기능용기
KR200456968Y1 (ko) 다중 결합 용기
US9884753B1 (en) Multi-compartment beverage cooler
JP4884005B2 (ja) ベースカップを備えた容器
KR101884195B1 (ko)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KR101187880B1 (ko) 팩 내장형 보온용기
KR200453465Y1 (ko) 음료수병
KR101420719B1 (ko)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KR101540622B1 (ko) 찻잎 우려냄과 냉각 기능을 갖춘 휴대용 음료용기
KR200390524Y1 (ko) 페트병
KR200494563Y1 (ko) 결합형 텀블러 용기
KR200493844Y1 (ko) 휴대용 아이스컵
KR20130005555U (ko) 파우치형 기능용기
KR200407490Y1 (ko) 다용도 보온컵
KR101242183B1 (ko) 다목적 물병
KR101347847B1 (ko) 음료용기
KR101956915B1 (ko) 다용도 페트병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KR200359347Y1 (ko) Pet 병을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아이스박스
KR20100074915A (ko) 뚜껑에 빨대구멍이 형성된 용기
KR20130038079A (ko) 수직 적층형 액체용기
KR101266031B1 (ko) 음료 용기용 마개
KR200337707Y1 (ko) 페트병의 보관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