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031B1 - 음료 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031B1
KR101266031B1 KR1020120100555A KR20120100555A KR101266031B1 KR 101266031 B1 KR101266031 B1 KR 101266031B1 KR 1020120100555 A KR1020120100555 A KR 1020120100555A KR 20120100555 A KR20120100555 A KR 20120100555A KR 101266031 B1 KR101266031 B1 KR 101266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stopper
beverage
delete delet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식
신명건
Original Assignee
신명건
박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건, 박문식 filed Critical 신명건
Priority to KR1020120100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와 같은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착탈 가능하여, 주입구의 마개 기능과 컵 및 받침대 기능을 제공하고, 유통 및 냉동 보관 과정에서 내압과 내용물이 팽창 변화하면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추가 공간을 제공하여 음료 용기가 팽창 변형되고 파손되는 문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료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내부 바닥면 중앙에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어 있되, 개구된 상단에는 음료 용기 주입구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테에 맞닿아 밀폐를 이룰 수 있는 제 2 패킹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인접한 내주연 상부에는 음료 용기의 주입구 외경에 가공 처리되어 있는 나사면에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면과 인접한 하부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돌기에는 승,하강 피스톤이 외주연에 형성된 끼움 고정홈을 이용하여 끼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 피스톤이 끼움 고정되어 있는 하부에는 일정 크기의 승,하강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연에는 내부와 연통된 에어홀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연결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 용기용 마개{Stopper for Drink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와 같은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주입구의 마개 기능과 컵 및 받침대 기능을 제공하고, 유통 및 냉동 보관 과정에서 내압과 내용물이 팽창 변화하면 이에 대처할 수 있는 공기층 공간을 추가로 확장 제공하여 음료 용기가 팽창 변형되고, 파손되는 문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음료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와 같은 음료는 청량감이 가미되어야 음용시 맛이 배가 되는 고유의 음료 특성이 있어 통상적으로 저온 냉장 상태로 보관 후 음용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특성을 갖는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와 같은 음료는 대기중의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음용 과정에서 냉장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음용 과정에서 맛을 배가시켜 주는 청량감 역시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냉동 보관을 하여 놓았다가 음용을 하게 되는 사례가 점점 늘고 있다.
참고로 이는 냉동 보관 후 음용을 하게 되더라도 내용물인 음료가 본연의 맛과 색깔을 잃지 않고 오히려 맛이 배가 되는 음료 특성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이유로 냉동 보관 후 이용을 하게 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던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와 같은 음료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가 냉장 보관만이 최적화된 구조로 제작되어 있다.
즉, 일정량의 음료를 수용할 수 있게 연질의 플라스틱(plastic)재와 유리재로 만들어진 용기와, 이 용기 내에 음료를 유입 또는 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입구를 개폐할 수 있게 플라스틱재와 스틸(steel)재로 만들어진 마개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냉동 과정에서 용기 내의 음료가 동결 팽창하여 부피가 증대되게 되면, 연질의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팩 용기일 경우에는 외형이 울퉁 불퉁한 형태로 돌출 변형되게 되어 심미적으로 매우 보기 안 좋은 형태의 제품으로 변모하게 되고, 유리재로 이루어진 용기일 경우에는 동파 현상까지 초래되게 된다.
또한, 동결 과정에서 음료의 부피가 팽창 변형하며 마개의 차단 상태마저 해제되는 문제 현상이 자주 초래되어 수용된 음료가 외부 유출되고, 외부로부터의 오염 물질까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비위생적인 문제 현상이 야기 되었다.
이에 따라 음용시 맛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청량감을 오래 제공받을 수 있는 냉동 음료로 간편히 만들어 이용할 수 있는 특장점을 지니고 있는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와 같은 음료였음에도 불구하고, 냉동 음료로 만드는 데 있어서는 신중을 기해야 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량의 음료를 수용하여 냉장 보관할 수 있는 용도 이외의 기능은 전혀 없기 때문에 실사용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불편사항과 비경제적인 문제점들이 여러 가지로 많았다.
즉,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와 같은 음료는 음용시 컵을 함께 사용하는 게 일반적인데, 이러한 음료를 마실 때 사용되는 컵은 제작 단계에서 부터 별도 제작되어 유통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러한 음료를 구입시에는 항상 유념하여 별도의 컵을 동시에 구입하여야만 하는 번거롭고도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뒤따랐기 때문이다.
만약, 컵을 함께 구입을 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불가피하게 병의 주입구에 입을 직간접적으로 대고 마실 수 밖에는 없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과 비위생적인 문제를 감수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와 같은 음료 용기에 컵으로 사용될 수 있는 컵을 결합 및 내장한 음료 용기가 다수 고안되고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최근에 공개된 기술 중 하나(특허출원제10-2007-0057588호)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음료수병(10)의 외부 측면의 하단에 수나사(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음료수병(10)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컵(20)의 내부 측면의 상단에 상기 수나사(11)와 대응하는 암나사(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음료수병(10)과 상기 컵(20)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발명은 상기 컵이 내장된 음료수병은 컵을 음료수병의 외부 측면의 하단 또는 바닥면에 결합되게 함으로서 음료수병과 별도로 컵을 준비해야 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였다.
하지만, 냉동 보관시 현실적으로 음료수병은 0.5ℓ, 1ℓ, 1.5ℓ,1.8ℓ, 2.0ℓ 등 그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므로, 음료수병의 종류에 따라 이에 결합될 컵을 맞춤 제작하여야 하고 음료수병 또한 컵이 결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가공을 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음료수 병의 제작단가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음료수병에 컵을 내장하는 기술의 실효성이 떨어지게 되어 여전히 대부분의 음료수병이 컵과 결합되어 판매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이러한 컵이 내장된 음료수 용기는 음료수 용기에 컵을 일체화시켜 주기 위한 기능에 치우친 개선만이 이루어져 있어 음용시 맛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청량감을 오래 제공받을 수 있는 냉동 음료로 간편히 만들 수 있는 특장점을 지니고 있는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와 같은 음료수 용기에는 이 역시 이용이 적합하지 않아 사용상의 한계적인 측면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보관 및 운송 과정에서 외부 충격이 전달될 시, 외부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팽창 변형되는 내압에 대처할 수 있는 음료 용기 내의 여유 공간이 작아 마개의 밀폐 상태가 쉽게 해제되고, 용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더 최근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더욱 개선 시킨 컵을 결합 및 내장한 음료 용기가 속속 고안되고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더 최근에 공개된 기술 중 하나(특허출원번호10-2010-0128630호)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컵(300)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 막걸리병(100)의 병마개(200)에 착탈이 가능토록 한 삽입부재(400)를 일체로 구비시켜, 막걸리병(100)의 크기 변화에 따라 상대적으로 크기 변화가 적은 병마개(200)에 착탈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착탈면을 가지는 삽입부재(400)가 구비된 컵을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막걸리병(10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고, 기존의 막걸리병(100)에 별도의 가공을 요하지 아니하므로 막걸리병(100) 자체의 제작단가 상승을 초래하지 아니하며 막걸리병의 제작 단계에서 컵의 사용 여부를 결정할 필요 없이 유통 또는 판매 단계에서도 자유로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는 반면, 이 역시 실 사용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역시 음료수 용기에 컵을 일체화 시켜 주기 위한 기능에 치우친 개선만이 이루어져 있어, 음용시 맛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청량감을 오래 제공받을 수 있는 냉동 음료로 간편히 만들 수 있는 특장점을 지니고 있는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와 같은 음료수 용기에는 적용이 적합하지 않아 사용상의 한계적인 측면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냉동시 팽창하게 변형되는 내용물에 의해 용기 외형 또한 울퉁 불퉁한 형태로 돌출 변형되게 되거나 심지어는 동파 되어 심미적으로 매우 보기 안 좋은 형태의 제품으로 변모되는 현상이 초래되었다.
둘째, 컵이 결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가공을 취하지 않아도 된다는 유리한 측면의 개선점은 인정되나 다양한 크기의 음료수 병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크기 변화가 적은 병마개에 착탈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착탈 면을 가지는 삽입부재가 구비된 컵이라 할지라도 음료수 병은 수용되는 음료량에 따라 그 외형의 크기가 변화하기 때문에 적용될 컵의 직경 크기도 모두 바뀌어야 하기 때문이다.
셋째, 컵이 병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병마개 외부 측면을 감싸 착탈을 가능토록 한 컵의 삽입부재가 착탈 면에 실리콘 소재 처리를 하거나 요철홈을 구비하였다고는 하나 다양한 크기의 병마개와 연결을 도모하고자 내부 단면적이 컵의 내부 바닥면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는 형상을 취하고 있어, 사실상 견고한 연결을 도모하기에는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제조 특성상 보관 과정에서 침전물이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음료의 경우 그 침전 상태의 분포도가 크고, 육안 체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로 인해 음용 전에 흔들어 마실 필요가 있는 음료의 경우 그 과정을 간과하고 실 사용하는 사례가 많았고, 간혹 보관 실수 또는 유통기간이 경과 된 제품일 경우 그 상태의 체크가 용이하지 못하여 여 제품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저하 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보관 및 운송 과정에서 외부 충격이 전달될 시 마개의 밀폐 상태가 쉽게 해제되고, 용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음료 용기 내에는 여유 공간을 매우 조금 남겨 놓고 음료수를 수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운송 및 유통 과정에서 부주의로 음료 용기가 바닥에 떨어지게 될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팽창 변형되는 내압에 대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및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일반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와 같은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주입구의 마개 기능과 컵 및 받침대 기능을 제공하고, 유통 및 냉동 보관 과정에서 내압과 내용물이 팽창 변화하면 이에 대처할 수 있는 공기층 공간을 추가로 확장 제공하여 음료 용기가 팽창 변형되고, 파손되는 문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음료 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내부 바닥면 중앙에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어 있되, 개구된 상단에는 음료 용기 주입구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테에 맞닿아 밀폐를 이룰 수 있는 제 2 패킹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인접한 내주연 상부에는 음료 용기의 주입구 외경에 가공 처리되어 있는 나사면에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면과 인접한 하부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돌기에는 승,하강 피스톤이 외주연에 형성된 끼움 고정홈을 이용하여 끼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 피스톤이 끼움 고정되어 있는 하부에는 일정 크기의 승,하강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연에는 내부와 연통된 에어홀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연결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승,하강 피스톤을 연결캡의 내주연 특정부위에 고정 위치시키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은, 주입되는 내용물의 팽창 특성을 감안하여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측 공간의 바닥과 측면에는 결빙 공간부가 분리 구획되어 있고, 상기 분리 구획된 결빙 공간부의 정중앙 상부에는 일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되어 있되, 개구된 내주연 상부에는 음료 용기의 주입구 외경에 가공 처리되어 있는 나사 면에 체결 가능한 체결면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기존의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와 같은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착탈 가능토록 하여, 주입구의 마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컵 기능 추가에 따른 제조 원가의 상승 요인을 일부 감쇄시켜 줄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용기를 뒤집어 세울 수 있는 받침대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조 특성상 보관 과정에서 침전물이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음료의 경우 그 침전 상태의 분포도를 대거 축소시키고, 더불어 육안으로 확인하기에 용이한 형태로 모아 놓게 되어, 음용 전에 흔드는 동작이 꼭 필요한 음료의 경우 그 과정을 간과하지 않고 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간혹 보관 실수 또는 유통기간이 경과 된 제품일 경우 그 상태의 체크가 용이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으며, 탄산이 가미된 음료의 경우 탄산이 뚜껑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저지하여 제품의 출하 직전의 초기 상태를 좀더 오래 유지시켜 줄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통 및 냉동 보관 과정에서 내압과 내용물 부피의 팽창 변화 현상이 발생 되면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추가 공간을 제공하여 음료 용기가 팽창 변형되고 파손되는 문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위생성과 상품성을 증대시켜 줄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음료 용기용 마개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음료 용기용 마개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음료 용기용 마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음료 용기용 마개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음료 용기용 마개의 요부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음료 용기용 마개의 요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컵이 내장된 음료수병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병마개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컵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a, 도 3b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용 마개은, 일반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와 같은 음료 용기(1)의 주입구(2)에 체결 가능토록, 음료 용기 마개(10)의 내부 바닥면 정중앙에 일정 높이 만큼 돌출된 연결캡(11)이 일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음료 용기 마개(10)는 상부 내주연에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와 같은 음료 용기(1)와 연결시, 음료 용기(1)의 특정 외주연 부위와 맞닿아 밀폐를 이루는 제1 패킹(12)이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캡(11)은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되, 개구된 상단에는 음료 용기(1) 주입구(2)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테(3)에 맞닿아 밀폐를 이룰 수 있는 제 2 패킹(13)이 고정 설치되고, 인접한 내주연 상부에는 음료 용기(1)의 주입구(2) 외경에 가공 처리되어 있는 나사면(h)에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면(14)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면(14)과 인접한 하부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돌기(15)에는 승,하강 피스톤(16)이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한 끼움 고정홈(17)을 이용하여 끼움 고정되고, 상기 승,하강 피스톤(16)이 끼움 고정되어 있는 하부에는 일정 크기의 승,하강 공간부(18)가 형성되며, 하부 외주연에는 내부와 연통된 에어홀(19)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승,하강 피스톤(16)을 연결캡(11)의 내주연 특정부위에 고정 위치시키는 고정돌기(15)와 고정홈(17)은 주입된 음료 내용물의 팽창 압력을 감안하여 그 크기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료 용기 마개(10)는 일반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 중 어느 한 개의 음료 용기(1) 주입구(2) 상에 연결캡(11)을 정 위치시킨 후 일정 거리 만큼 하향 회동시켜 상기 연결캡(11)의 상부 내주연에 형성된 체결면(14)이 음료 용기(1)의 주입구(2) 외경에 가공 처리되어 있는 나사 면(h)과 체결되게 하면 된다.
그러므로, 컵 기능을 제공하는 음료 용기 마개(10)를 일반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 음료 용기(1)에 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컵 기능을 제공하는 음료 용기 마개(10)는 받침대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 과정을 거친 이후에는 음료 용기(1)를 뒤집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탄산이 가미된 음료에 연결 사용할 경우 탄산이 주입구(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저지하여 제품 출하시의 제품 초기 상태를 좀더 오래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또한, 제조 특성상 보관 과정에서 침전물이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음료의 경우 그 침전 상태의 분포도를 대거 축소시키고, 더불어 육안으로 확인하기에 용이한 형태로 모아 놓게 되어, 음용 전에 흔드는 동작이 필요한 음료의 경우 그 과정을 간과하지 않고 행할 수 있게 도움을 주고, 간혹 보관 실수 또는 유통기간이 경과 된 제품일 경우 그 상태의 체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음료 용기(1)와의 체결이 완료되면 주입구(2)의 돌출테(3)와 음료 용기(1)의 특정 외주연 부위에 제 1 패킹(12)과 제 2 패킹(13)이 위치되어 음료 용기(1)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기와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견고히 밀폐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와 같은 음료 용기(1) 내에 수용된 음료를 좀더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관 및 운송 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음료 용기(1) 내의 내압이 팽창할 경우, 상기 연결캡(11) 내에 설치된 승,하강 피스톤(16)이 팽창되는 내압에 의해 승,하강 공간부(18)의 하부로 이동하여 음료 용기(1) 내의 공기층 공간부(4)를 적정 크기만큼 확장 제공하므로, 음료 용기(1) 내의 공기층 공간부(4)가 작아 외부 충격에 의해 순간 팽창하게 되는 내압의 변화에 의해 음료 용기 마개(10)의 밀폐 상태가 해제되고, 용기가 파손되는 문제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냉장 보관시에는 동결되는 과정에서 서서히 부피가 팽창 변화하게 되는 음료가 승,하강 피스톤(16) 측으로 전달되며 승,하강 피스톤(16)을 승,하강 공간부(18)의 하부로 이동시켜 음료 용기(1) 내의 공기층 공간부(4)를 적정 크기만큼 확장 제공하므로, 음료 용기(1) 내의 공기층 공간부(4)가 작아 팽창 변화하는 음료의 부피 변화에 의해 음료 용기 마개(10)의 밀폐 상태가 해제되고, 음료 용기(1)의 외형이 울퉁 불퉁한 형태로 팽창 변형되게 되거나 심지어는 동파 되는 문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음료 용기(1) 내의 팽창 압력과 부피 변화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 승,하강 피스톤(16)은 연결캡(11)의 하부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에어홀(19)에 의해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팽창하는 내압과 음료의 부피 변화에 의해 승,하강 피스톤(16)이 승,하강 공간부(18) 내로 하향 이동하는 경우, 승,하강 공간부(18) 내에 자연 발생 되는 압축 공기가 승,하강 피스톤(16)의 하강에 장애 요인을 전가 시키지 않게 상기 에어홀(19)이 음료 용기 마개(10)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 공기를 유도 배출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승,하강 피스톤(16)은 일반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 용기 중 어느 한 개의 용기(1) 주입구(2)에 연결하기 전부터 승,하강 공간부(18)의 하부에 위치시켜 놓아, 음료 용기(1) 내의 공기층 공간부(4)를 최초부터 확대시켜 놓은 채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승,하강 공간부(18)의 하부에 승,하강 피스톤(16)을 위치시켜 놓은채 일반 생수와 소주 및 막걸리 용기 중 어느 한 개의 용기(1) 주입구(2)에 연결하여 뒤집어 보관하게 되면 용기(1)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음료가 승,하강 공간부(18) 내로 수용되며 음료 용기(1) 내의 공기층 공간부(4)를 확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유통 및 냉동 보관 과정에서 내압과 내용물 부피의 팽창 변화 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음료 용기(1) 내부의 공기층 공간을 사전 확장시켜 음료 용기(1)가 팽창 변형되고, 파손되는 문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음용 과정에서는 음료 용기 마개(10)가 상부에 위치되게 용기(1)를 뒤집은 후 주입구(2)에 체결되어 있던 음료 용기 마개(10)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면 된다.
한편, 상기 음료 용기 마개(10)의 내부 바닥면 정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캡(11)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그대로 두고 사용을 할 수도 있고, 절단 폐기하여 사용할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캡(11)은 상부 일측으로 부터 힘을 가하면 하부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는 에어홀(19)을 따라 손쉽게 절단되기 때문에 사용과정에서 컵의 음료 수용 공간을 늘리고 싶을 때는 절단 사용하면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음료 용기용 마개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냉동 음료 용기용 마개도 컵과 마개 및 음료 용기 내의 내압과 부피 팽창 변화에 따른 음료 용기(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 컵(10)을 갖는 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기술 개념을 같이한다.
단, 주입구(2) 외경에 가공 처리되어 있는 나사 면(h)에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면(14)과 인접한 하부 내주연에 걸림돌기(21)를 일체로 구비한 단턱(20)을 형성하고, 이 단턱(20)에 거치 고정이 가능하게 하부 외측에 상기 걸림돌기(21)와 끼움 가능한 홈부(23)가 일체로 형성된 실리콘재 반호형 박판(22)을 설치 구성한 것을 기술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기술상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외부 충격에 의해 음료 용기(1) 내의 압력이 급격히 팽창하거나 동결 과정에서 음료의 부피가 팽창 변화할 경우 상기 실리콘재 반호형 박판(22)이 이러한 압력과 부피 팽창에 의해 승,하강 공간부(18)로 팽창 변형하며, 음료 용기(1) 내에 필요로 되는 여유 공간을 추가 제공할 수 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기술과 같이 음료 용기 내의 팽창 압력과 부피 변화에 따른 음료 용기의 부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주입구(2)의 단부를 추가 밀폐토록 하여 일 실시 예와 같이 돌출테(3)와 음료 용기(1)의 특정 외주연 부위에 위치되는 제 1 패킹(12), 제 2 패킹(13)과 함께 음료 용기(1)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기와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좀더 견고히 밀폐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음료 용기용 마개의 요부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캡(11) 내의 분할된 승,하강 공간부(18) 하부에 압축 물티슈(24)를 구비시켜, 야외 활동시 많이 애용하는 물티슈(24)까지도 일체로 구비시켜 필요 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캡(11)을 절단 폐기한 후 승,하강 공간부(18) 내에 압축 구비되어 있던 압축 물티슈(24)를 외부 인출하여 물을 부어 간편히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음료 용기용 마개의 요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냉동 음료 용기용 마개도 컵과 마개 및 음료 용기 내의 팽창 압력과 부피 변화에 따른 음료 용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 용기 마개을 갖는 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기술 개념을 같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용기 마개(10)의 내부 바닥과 측면에 결빙 공간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결빙 공간부(25)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 상부의 정중앙에는 일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되어 있되, 내주연에 음료 용기(1)의 주입구(2) 외경에 가공 처리되어 있는 나사 면(h)에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면(14)이 형성된 연결캡(11)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냉동 음료용 받침대 마개 컵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용기(10)를 뒤집어 세운 상태로 보관하는 초기 단계에서부터 음료 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음료를 상기 음료 용기 마개(10)의 내부 바닥과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빙 공간부(25) 내로 유입되게 하여 음료 용기(1) 내에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음료 용기(1) 내의 팽창 압력과 부피 변화에 따라 음료 용기(1)가 부분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냉동 보관 후 음료 용기 마개(10)의 체결 상태를 해제시켜 사용하게 될 경우 상기 음료 용기 마개(10)의 결빙 공간부(25) 내에 결빙되어 남아 있는 음료에 의해 얼음 컵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h : 나사면
1 : 음료 용기 2 : 주입구
3 : 돌출테 4 : 공기층 공간부
10 : 음료 용기 마개 11 : 연결캡
12 : 제 1 패킹 13 : 제 2 패킹
14 : 체결면 15 : 고정돌기
16 : 승,하강 피스톤 17 : 고정홈
18 : 승,하강 공간부 19 : 에어홀
20 : 단턱 21 : 걸림돌기
22 : 실리콘재 반호형 박판 23 : 홈부
24 ; 압축 물티슈 25 : 결빙 공간부

Claims (10)

  1. 컵과 받침대 기능을 제공하고, 음료 용기 내의 내압과 내용물이 팽창 변화시, 공기층 공간부를 확대시켜 줄 수 있게 한 음료 용기 마개에 있어서.
    내부 바닥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있되, 개구된 상단에는 음료 용기(1) 주입구(2)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테(3)에 맞닿아 밀폐를 이룰 수 있는 제 2 패킹(13)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인접한 내주연 상부에는 음료 용기(1)의 주입구(2) 외경에 가공 처리되어 있는 나사면(h)에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면(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면(14)과 인접한 하부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돌기(15)에는 승,하강 피스톤(16)이 외주연에 형성된 끼움 고정홈(17)을 이용하여 끼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 피스톤(16)이 끼움 고정되어 있는 하부에는 일정 크기의 승,하강 공간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연에는 내부와 연통된 에어홀(19)이 수개 형성되어 있는 연결캡(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피스톤(16)을 연결캡(11)의 내주연 특정부위에 고정 위치시키는 고정돌기(15)와 고정홈(17)은, 주입되는 내용물의 팽창 특성을 감안하여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마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100555A 2012-09-11 2012-09-11 음료 용기용 마개 KR101266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555A KR101266031B1 (ko) 2012-09-11 2012-09-11 음료 용기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555A KR101266031B1 (ko) 2012-09-11 2012-09-11 음료 용기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031B1 true KR101266031B1 (ko) 2013-05-27

Family

ID=4866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555A KR101266031B1 (ko) 2012-09-11 2012-09-11 음료 용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0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3361A (ja) 2005-03-29 2006-10-12 Yokohama Rubber Co Ltd:The 容器用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3361A (ja) 2005-03-29 2006-10-12 Yokohama Rubber Co Ltd:The 容器用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11748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US20070090077A1 (en) Container arrangement
US20040035144A1 (en) Dry ice drinking vessel
US8002129B1 (en) Liquor bottle device
US20200223603A1 (en) Food ja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1515423B1 (ko) 첨가물 투입 병마개
KR101424096B1 (ko) 음료 및 주류 용기
US20110042374A1 (en) Drink cup
WO2008029975A1 (en) A cooling device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KR200456968Y1 (ko) 다중 결합 용기
KR101266031B1 (ko) 음료 용기용 마개
KR101941708B1 (ko)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JP2008239246A (ja) 飲料容器
KR200453465Y1 (ko) 음료수병
KR101540622B1 (ko) 찻잎 우려냄과 냉각 기능을 갖춘 휴대용 음료용기
KR200344346Y1 (ko) 이중 용기
KR200460978Y1 (ko) 물통
KR200402809Y1 (ko) 얼음컵
KR200463859Y1 (ko) 결합형 기능용기
WO2009077604A2 (en) A beverage container with temperature changing device and a method for making such a container
KR200244806Y1 (ko)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JP2001048244A (ja) 筒状保冷具
KR100833206B1 (ko) 주류병의 온도강하용 용기
KR200405689Y1 (ko) 음료 용기용 냉각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