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542U -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542U
KR20090004542U KR2020070018101U KR20070018101U KR20090004542U KR 20090004542 U KR20090004542 U KR 20090004542U KR 2020070018101 U KR2020070018101 U KR 2020070018101U KR 20070018101 U KR20070018101 U KR 20070018101U KR 20090004542 U KR20090004542 U KR 200900045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storage container
beverage storage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제충
Original Assignee
고제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제충 filed Critical 고제충
Priority to KR2020070018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542U/ko
Publication of KR200900045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5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Abstract

본 고안은 물이나 각종 음료수를 담아 보온/보냉 상태로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용기몸체부 상측 둘레에 확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플랜지부 상측에 토출구를 구비하여서 되는 음료저장용기와; 상기 음료저장용기의 용기몸체부 외부를 감싼 채 상기 플랜지부 하단에 결합되고, 그 내측 둘레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용기몸체부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외부용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내측의 음료저장용기와 그 외부를 감싸는 외부용기를 각각 제조한 후 이를 서로 결합시켜 완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음료저장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통해 냉각된 음료 등 차가운 내용물을 담았을 때 내외부 온도차이로 인해 용기 표면에 물 맺힘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음료용기, 보온, 보냉, 이격공간

Description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Bottle having heat insulator}
본 고안은 물이나 각종 음료수를 담아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용기를 음료저장용기와 외부용기로 분리 제작한 후 내측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시켜 완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비용 및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냉시 용기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기는 몸체 상단부에 음료 토출구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몸체에 수용된 음료수를 상기 음료 토출구를 통해 컵에 따르거나 직접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음료 토출구에는 휴대시 내부의 음료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개가 결합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기한 음료용기는 내부에 얼음이나 냉각된 음료를 담는 경우, 용기의 내외부 온도차이로 의해 용기 외측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고 외부 케이스가 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보온/보냉 음료용기가 공지되어 있는데, 대 부분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한 일체형의 2중 용기 형태로서 용기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고 그 틈에 단열재를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과정이 까다로워 제작비용 및 작업시간이 증가됨은 물론 중량이 무거워 휴대가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보온/보냉 음료용기는 병의 개방된 부위가 너무 협소하여 필요시 얼음 등을 넣어 차갑게 하여 음용하거나 입구보다 큰 알맹이가 포함된 작은 과실 등은 수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작이 용이하고, 차가운 음료나 내용물 수용시 용기 외부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부피가 큰 내용물도 쉽게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용기몸체부 상측 둘레에 확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플랜지부 상측에 토출구를 구비하여서 되는 음료저장용기와; 상기 음료저장용기의 용기몸체부 외부를 감싼 채 상기 플랜지부 하단에 결합되고, 그 내측 둘레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용기몸체부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외부용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토출구는 부피가 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음료저장용기 직경의 1/2 이상 크기로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음료저장용기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상부몸체와, 상기 용기몸체부로 이루어진 하부몸체로 분할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음료저장용기와 외부용기는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음료용기를 음료 토출구가 구비된 음료저장용기와, 상기 음료저장용기 외부를 감싸되 그 내측 둘레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용기의 조립체로 구성하여, 종래에 비해 제작과정이 매우 용이하며,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냉각된 음료를 담았을 때 내외부 온도차이로 인해 용기 표면에 물 맺힘이 발생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별도의 천 등으로 된 케이스나 가방에 수납해도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료저장용기의 토출구를 확장 형성하여 필요시 간편하게 마개를 분리하여 얼음이나 과일 등과 같은 부피가 큰 내용물도 쉽게 넣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크게 내용 물을 수용하는 음료저장용기(20)와, 상기 음료저장용기(20)의 외부를 감싼 채 결합되는 외부용기(10)로 구성되어 일반적인 음료용기의 형상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음료저장용기(20) 및 외부용기(10)는 가벼워 휴대가 편리하며, 내부에 담긴 음료를 투시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료저장용기(20)는 하부에 음료 또는 작은 과일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용기몸체부(23)를 마련하고, 상기 용기몸체부(23) 상측 둘레면에는 상기 외부용기(10)의 상단이 밀착 지지되도록 확장 플랜지부(22)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22) 상측에는 내용물을 주입하고 음용하기 위한 음료 토출구(2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24)에는 상기 용기몸체부(23)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30)가 결합되도록 나사산(26)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22) 하부에는 상기 외부용기(10)의 상단이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21)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용기(10)는 내측에 상기 음료저장용기(20)가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음료저장용기(20)의 나사산(21)에 대응되게 나사산(11)이 형성되고, 전체 단면은 상기 음료저장용기(20)의 외부를 감쌀 때 그 내측 둘레면에 통기기능을 하는 이격공간(25)이 구비되도록 상기 용기몸체부(23)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음료저장용기(20)의 토출구(24)는 얼음이나 작은 과일 등과 같이 부피가 큰 내용물을 편리하게 담을 수 있도록 음료저장용기(20) 직경의 1/2 이상 크기로 넓게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음료용기는 내용물 저장시엔 외부용기(10) 내측에 음료저장용기(20)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음료저장용기(20) 상측의 마개(30)를 분리하여 토출구(24)를 통해 용기몸체부(23)에 내용물을 충전시킨 후, 다시 마개(30)를 결합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음료저장용기(20)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음료저장용기(20)의 용기몸체부(23)에 수용된 내용물을 취식하고자 할 땐 상기 마개(30)를 분리하여 토출구(24)를 개방시킨 후, 상기 용기몸체부(23)에 수용된 음료수를 직접 음용하거나 컵 등에 따라 취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음료저장용기(20)의 토출구(24)는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필요시 음료수가 용기몸체부(23)에 일부 충전된 상태에서 마개(30)를 분리한 후 얼음을 넣고 다시 마개(30)를 결합하여 차갑게 마시거나, 작은 과일 등의 부피가 큰 음식물을 용기몸체부(23)에 넣어 신선한 상태로 휴대하며 수시로 마개(30)를 분리하여 꺼내 먹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음료저장용기(20)의 용기몸체부(23) 내에 냉각된 음료수나 얼음 등 차가운 내용물을 담는 경우 종래에는 내외부 온도 차이로 인해 상기 용기몸체부(23)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음료저장용기(20)와 외부용기(10) 사이에 이격공간(25)이 형성되어 이러한 물 맺힘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 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료저장용기(20)와 외부용기(10)는, 그 선단에 나사산을 생략하고 그 결합부분의 직경을 타이트하게 하여 직접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별도의 걸림돌기(미도시) 등을 형성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나사 결합방식의 경우, 필요시 음료저장용기(20)와 외부용기(10)를 분리시켜 청소 등이 용이한 이점을 갖고 있으며, 직접 결합방식의 경우 결합성이 우수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음료저장용기(20)와 외부용기(10)를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료저장용기(20)는 취식이 용이하도록 마개(45)를 넓은 형태가 아닌 일반적인 돌출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료저장용기(20')는 용기몸체부(23)와 토출구(24)가 구비된 상부몸체(4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이나 작은 과일 등 부피가 큰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용기몸체부로(23)로 이루어진 하부몸체와, 토출구(24)가 구비된 상부몸체(40)로 분할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분할 구성의 경우,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인 실용신안출원 07-381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40)는 개방된 하부에 결합관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기 결합관A에 대응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관B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40) 내측에는 밀폐를 위해 오링(35)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기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부용기 20 ; 음료저장용기
22, 26 ; 플랜지부 24 ; 토출구
25 ; 이격공간 30, 45 ; 마개

Claims (4)

  1.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용기몸체부 상측 둘레에 확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플랜지부 상측에 토출구를 구비하여서 되는 음료저장용기와;
    상기 음료저장용기의 용기몸체부 외부를 감싼 채 상기 플랜지부 하단에 결합되고, 그 내측 둘레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용기몸체부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외부용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부피가 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음료저장용기 직경의 1/2 이상 크기로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저장용기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상부몸체와, 상기 용기몸체부로 이루어진 하부몸체로 분할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저장용기와 외부용기는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
KR2020070018101U 2007-11-09 2007-11-09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 KR200900045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101U KR20090004542U (ko) 2007-11-09 2007-11-09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101U KR20090004542U (ko) 2007-11-09 2007-11-09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542U true KR20090004542U (ko) 2009-05-13

Family

ID=41299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101U KR20090004542U (ko) 2007-11-09 2007-11-09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54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9439A (zh) * 2017-01-19 2017-03-29 合肥协佳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清洗的两用杯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9439A (zh) * 2017-01-19 2017-03-29 合肥协佳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清洗的两用杯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2029A (en) Cooler chest/liquid dispenser combination
US5406808A (en) Two-liter bottle cooler/insulator
US9022252B2 (en) Insulating holder with elastomer foam material
US4244477A (en) Container for potable liquid
US20070125118A1 (en) Ice chest
US20070090077A1 (en) Container arrangement
US20200223603A1 (en) Food ja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0456968Y1 (ko) 다중 결합 용기
JP2008094490A (ja) 保温水筒
KR20090004542U (ko) 단열벽을 갖는 음료용기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KR101295227B1 (ko) 결로방지용 결합용기
TWM579152U (zh) 容器用蓋結構以及飲品調理蓋結構
KR200453465Y1 (ko) 음료수병
KR200460978Y1 (ko) 물통
KR101388153B1 (ko) 보온 도시락
KR200344346Y1 (ko) 이중 용기
JP3050770U (ja) 保冷用飲料容器
JP2001048244A (ja) 筒状保冷具
KR200259252Y1 (ko)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CN210433252U (zh) 一种新型双层杯口结构及具有该结构的保温杯
KR20160015642A (ko) 다기능성 용기
KR20170031354A (ko) 결로 방지용 음료용기
KR200492982Y1 (ko) 저장 용기
KR100936080B1 (ko) 병 주둥이 탈부착형 냉각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