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040Y1 -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 - Google Patents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040Y1
KR200314040Y1 KR20-2003-0006041U KR20030006041U KR200314040Y1 KR 200314040 Y1 KR200314040 Y1 KR 200314040Y1 KR 20030006041 U KR20030006041 U KR 20030006041U KR 200314040 Y1 KR200314040 Y1 KR 200314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everage bottle
bottle
divid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옥
Original Assignee
송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옥 filed Critical 송경옥
Priority to KR20-2003-0006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0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0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병의 중간 높이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세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컵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다용도로의 사용 전환이 가능한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 음료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음료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측에 캡이 결합된 음료병에 있어서, 상기 음료병을 상측 음료병(10)과 하측 음료병(30)으로 분할 형성하고, 상기 상측 음료병(10) 하단부에는 나사산(22)이 형성된 결합부(20)가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20)에는 외주연에 나사산(32)이 형성된 하측 음료병(3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bottle of beverage which upper and lower parts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고안은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병의 중간 높이에서 상하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세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컵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다용도로의 사용 전환이 가능한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병은 유리 및 합성수지, 금속재 등을 이용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제조되며, 내부에 여러가지 음료를 수용하고 그 상측에 캡을 결합하여 음료의 토출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음료의 섭취는 캡을 음료병에서 분리한 후, 음료병 외면을 잡고 구강을 음료 토출구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섭취하거나 컵에 따라 마시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음료병은 최근 음료를 전부 마신 후에 여러가지 다양한 음료를 충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일반 가정에서는 여러 종류의 차를 음료병에 충진하여 냉장보관 하거나, 주류 등을 충진하여 섭취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보편화된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음료병에 여러가지 음료를 충진하여 사용시에는 음료병 내부를 제대로 세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음료병은 그 상단에 형성된 토출구의 직경이 음료병 외면보다 상당히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음료병 내부를 제대로 세척하기 어려워 음료병 내부에 물을 일정량 충진한 상태에서 여러번 흔들어 세척한 후 그대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상당히 비위생적인 사용이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음료병은 내부의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모를 꼬아 제조한 세척용 브러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브러쉬는 음료병의 토출구를 통해서만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브러쉬를 음료병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브러쉬를 회전시키더라도 브러쉬의 회전각도가 상당히 제한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음료병 내부를 제대로 세척하지 못하여 비위생적인 상태가 지속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료병의 중간 높이에서 상하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세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리되는 음료병의 하측을 이용해 컵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다용도로의 사용 전환이 가능한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음료수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 캡이 구비된 음료병에 있어서, 중간높이에서 상측부와 하측부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부와 하측부는 나사결합방식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측부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부가 상하 이동이 제한되고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에 하측부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음료병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다른 종류의 음료병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적용된 또 다른 종류의 음료병의 정면도이다.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측부 12: 걸림턱
14: 음료토출구 15: 캡
20: 결합부 22: 암나사산
24: 미끄럼방지돌기 30: 하측부
32: 수나사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척이 용이한 음료병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료수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 캡이 구비된 음료병에 있어서, 중간높이에서 상측부(10)와 하측부(30)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부(10)와 하측부(30)는 나사결합방식에 의하여 서로 결합 된다.
상기 음료병은 유리, 금속,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음료를 토출시기 위한 음료 토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이같은 음료병은 공간부에 수용되는 음료의 종류, 연령층,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외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음료병의 제조시 다양한 색상을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음료병의 음료 토출구(14)에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된 캡(15)이 결합된다. 상기 캡(15)은 음료 토출구(14)를 수용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음료 토출구(14) 내주연에 끼움될 수 있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병은 내측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측부(10)와 하측부(30)로 분할 구성된다. 상기 분할된 상측부(10) 하단에는 결합부(20)가 연결 구성되며, 외주연에는 미끄럼방지돌기(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20)의 내경은 상측부(10) 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연에 암나사산(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측부(10)의 결합부에는 하측부(30) 상단이 끼움 결합되는데, 이를위해 상기 하측부(30) 상단에는 결합부(20)의 암나사산(22)에 결합 되도록 수나사산(32)이 형성되어 음료병을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은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음료병 내부에 충진된 음료를 전부 섭취한 후, 다른 음료를 충진시켜 재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측부(10)을 잡은 상태에서 하측부(30)을 회전시켜 상측부의 결합부(20)와 분리시킨다. 상기 하측부(30)이 분리되면, 상측부(10)와 하측부(30) 내부를 세재와 함께 브러쉬 또는 수세미 등을 이용하여 세척하게 되며, 세척이 끝난 후에는 상기 하측부(30)를 상측부(10)의 결합부(20)에 상단부를 회전시키면서 끼움하여 하측부(30)를 상측부(10)에 견고하게 고정킨다. 상기 하측부(30)가 견고하게 고정되면, 상측부(10)의 음료 토출구(14)를 통해 다른 음료를 충진시키게 되면, 깨끗이 세척된 음료병을 통해 매우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료병 내부에 소량의 음료가 충진되고 특별히 컵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측부(10)를 하측부(30)에서 분리한 후 하측부(30) 외면을 잡고 사용하게 되면, 컵과 같은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상측부(10) 하단에 걸림턱(12)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12)에 상기 음료병(10)과 동일 또는 다른 재질로 구성된 결합부(20)를 독립적으로 자유 회전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하측부(30)는 상측부(10)의 결합부(20) 내측으로 끼움된 후 결합부(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부(20)는하측부 상측의 수나사산(32)과 체결되면서 견고한 고정력을 갖게 되며, 하측부(30)의 분리시에는 상기 결합부(2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측부(30)와 나사 체결이 풀어지면서 분리된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일명 "팬돌이 음료병"과 PET병 으로 일컫는 것을 상측부(10)와 하측부(30)로 상하 분할 가능하게 구성하게 되면, 다른 음료를 충진시켜 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캐릭터를 보고 음료를 구매를 유아에게 다른 종류의 음료를 충진시켜 제공함에 따라, 음료수와 함께 음료병을 구매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상기 PET병의 경우에는 하측부(30)와 상측부(20) 내부를 깨끗이 세척할 수 있어, 장기간 여러 종류의 음료수의 충진이 가능하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은 중간 높이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세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리되는 음료병의 하측부를 이용해 컵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다용도로의 사용 전환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매우 큰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음료수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 캡이 구비된 음료병에 있어서,
    중간높이에서 상측부(10)와 하측부(30)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부(10)와 하측부(30)는 나사결합방식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10) 하단에는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12)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부(20)가 상하 이동이 제한되고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20)에 하측부(30)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
KR20-2003-0006041U 2003-02-28 2003-02-28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 KR200314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041U KR200314040Y1 (ko) 2003-02-28 2003-02-28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041U KR200314040Y1 (ko) 2003-02-28 2003-02-28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040Y1 true KR200314040Y1 (ko) 2003-05-22

Family

ID=4940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041U KR200314040Y1 (ko) 2003-02-28 2003-02-28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0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183B1 (ko) * 2009-05-27 2013-03-12 호종성 다목적 물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183B1 (ko) * 2009-05-27 2013-03-12 호종성 다목적 물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12757A1 (en) Bottle brush
JP2000512249A (ja) 改良構造の容器
US4813091A (en) Can cleaner device
KR200314040Y1 (ko)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
WO1992012901A1 (en) Beverage bottle with grip
KR20100004359U (ko) 식품용기
KR200353874Y1 (ko) 페트음료병을 이용한 컵 겸용 병
JP4041682B2 (ja) 市販ボトル用アダプタ
KR101107726B1 (ko) 결합식 손잡이 구조를 갖는 페트병
KR20050079371A (ko) 혼합 용기
US20050098526A1 (en) Two bottles/containers in one
KR20100004978U (ko) 분리형 음료용기
KR200203011Y1 (ko) 다중 용기
KR200454135Y1 (ko)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
KR20190002465U (ko) 위생컵
CN213429474U (zh) 一种二合一水杯
CN218663203U (zh) 一种容器的连接结构
KR200237745Y1 (ko)
JPH09183448A (ja) 吸い口管付き飲料容器の蓋体
KR101014931B1 (ko) 음료수 용기
KR200444947Y1 (ko) 컵이 일체로 구비된 용기
KR200171268Y1 (ko) 음료 용기
KR200401776Y1 (ko) 유아용 젖병 세척솔
KR200398052Y1 (ko) 복수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갖는 음료수 병
KR200331710Y1 (ko)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