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135Y1 -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135Y1
KR200454135Y1 KR2020090001406U KR20090001406U KR200454135Y1 KR 200454135 Y1 KR200454135 Y1 KR 200454135Y1 KR 2020090001406 U KR2020090001406 U KR 2020090001406U KR 20090001406 U KR20090001406 U KR 20090001406U KR 200454135 Y1 KR200454135 Y1 KR 200454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utlet
contact lens
nozzle
preser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203U (ko
Inventor
김교필
Original Assignee
(주)네오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비젼 filed Critical (주)네오비젼
Priority to KR2020090001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3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2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2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18Threaded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Eyeglass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캡이 용기본체에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될 수 있어, 보존액의 사용이 용이한 동시에 보존액의 위생적인 관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는 콘택트 렌즈의 보존액이 포장되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보존액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축소된 지름의 배출구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나사홈이 내면에 형성되고, 축소된 지름의 배출구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하단에 배출구 지름보다 큰 중간 지름의 탭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탭 결합부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메인캡과, 상기 메인캡의 배출구에 결합되는 나사홈이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캡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보존액을 배출하기 위한 노즐이 상부에 형성되는 노즐캡과, 상기 메인캡의 고정돌기에 걸리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를 내면을 따라 형성한 절취탭이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절취탭과 다수의 절취리브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로 상기 메인캡에 결합되며, 상측 내면에 상기 노즐캡의 노즐 구멍에 삽입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노즐을 내측에 삽입시켜 그 내면을 통해 상기 노즐의 외면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부가 형성되는 보조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콘택트렌즈, 보존액, 절취탭, 절취리브, 보조캡,

Description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Packaging bottles for contacts lens of cleansing liquid}
본 고안은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캡이 용기본체에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될 수 있어, 보존액의 사용이 용이한 동시에 보존액의 위생적인 관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 렌즈(contact lens)는 시력을 보완하기 위해 안구에 직접 착용하는 것으로, 콘택트 렌즈는 안경의 대용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렌즈 표면에 각종 안료를 코팅하여 미용 기능을 갖도록 한 콘택트 렌즈가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콘택트 렌즈는 장시간 착용하면 그 표면에 지방질이나 각종 이물질이 부착된다. 이에 따라, 콘택트 렌즈의 표면은 세척액이나 약품에 의해 세척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게을리 할 경우 콘택트 렌 즈 표면의 지방질이나 이물질 또는 각종 세균에 의해 사용자의 눈에 염증이나 기타 안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이유로,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는 사용자들은 렌즈 세척을 위한 세척액을 가정이나 직장 등에 비치하여 콘택트 렌즈를 수시로 세척한다. 또한, 최근에는 콘택트 렌즈의 보습, 세척, 헹굼, 단백질 제거를 한번에 해주는 다용도 용액(통상 보존액이라 지칭되며, 이하의 설명에서 보존액이라를 용어를 사용함)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콘택트 렌즈의 세척액이나 보존액(이하의 설명에서는 보존액을 예로 설명함)은 통상 병 형태의 포장용기에 담기어 판매되는 것으로서, 상기 포장용기는 병 형태의 용기본체 및 이러한 용기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캡에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보존액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배출구를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보조캡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콘택트 렌즈 보존액의 포장용기(이하 포장용기라 약칭함)는 통상 그 보조캡이 포장용기의 용기본체 상부에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살짝 거치되는 형태이므로, 포장용기의 용기본체로부터 보조캡이 쉽게 분리되면서 보존액의 누액 현상 또는 외부의 이물질이 용기본체 내측으로 유입되어 보존액의 오염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조캡을 포장용기의 용기본체 상부에 나사 결합하는 방식으로 설계할 경우, 보조캡을 포장용기의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작업이 번거로와지며, 특히 사용자의 손에 이물질이 묻어있을 시 그 번거로운 정도가 심화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보조캡의 분리를 위해 돌리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에 묻어있는 이물질이 보조캡의 표면에 다량 묻을 수 있고, 이렇게 보조캡의 표면에 묻은 다량의 이물질은 포장용기의 용기본체로 비교적 쉽게 유입될 수 있어 보존액의 오염 현상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포장용기는 개봉 여부를 구조적으로 판별하기 어려운 형태로 이루어져, 나쁜 의도의 생산자 등이 포장용기를 최초 개봉한 후 다시 밀봉 형태로 위조하더라도 그 사실을 비교적 용이하게 구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밖에, 종래의 포장용기는 그 보조캡이 단순히 포장용기의 용기본체에 대한 보조적인 캡 기능만을 구비하는 것이므로, 그 기능에 매우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콘택트 렌즈의 보존액이 포장되는 포장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조캡이 상기 포장용기의 용기본체 상부에 원터치 방식의 결합 구조를 통해 비교적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조캡이 포장용기의 상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아 포장용기 내부의 보존액이 누수되거나 그 과정에서 외부 이물질이 포장용기로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보조캡의 개폐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보조캡의 표면에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접촉될 수 있어 보조캡 표면의 오염 현상의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 렌즈 보존액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택트 렌즈의 보존액이 포장용기에 포장된 상태에서, 포장용기의 개봉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불량한 의도에 의해 포장용기를 개봉한 상태에서 다시 밀봉하더라도 그 사실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콘택트 렌즈 보존액의 포장용기에 구비되는 보조캡이 포장용기의 보존액 배출구를 개폐하는 본래 기능 이외에 콘택트 렌즈의 세척 용기로 더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는 콘택트 렌즈의 보존액이 포장되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보존액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축소된 지름의 배출구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나사홈이 내면에 형성되고, 축소된 지름의 배출구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하단에 배출구 지름보다 큰 중간 지름의 탭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탭 결합부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메인캡과, 상기 메인캡의 배출구에 결합되는 나 사홈이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캡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보존액을 배출하기 위한 노즐이 상부에 형성되는 노즐캡과, 상기 메인캡의 고정돌기에 걸리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를 내면을 따라 형성한 절취탭이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절취탭과 다수의 절취리브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로 상기 메인캡에 결합되며, 상측 내면에 상기 노즐캡의 노즐 구멍에 삽입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노즐을 내측에 삽입시켜 그 내면을 통해 상기 노즐의 외면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부가 형성되는 보조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배출구 하부에 배출구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캡의 하부에 절취리브를 통해 연결되는 절취탭이 구비되되, 상기 절취탭의 내면을 따라 상기 용기본체의 고정돌기에 걸리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캡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 렌즈 보존액 포장용기에 의해서, 콘택트 렌즈의 보존액이 포장되는 포장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조캡이 상기 포장용기의 용기본체 상부에 원터치 방식의 결합 구조를 통해 비교적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또한 보조캡이 포장용기의 상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아 포장용기 내부의 보존액이 누수되거나 그 과정에서 외부 이물질이 포장용기로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 방지될 수 있는 동시에, 보조캡의 개폐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보조캡의 표면에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접촉될 수 있어 보조캡 표면의 오염 현상이 최대한 억제되면서 포장용기 및 그에 포장되는 보존액의 보다 청결한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콘택트 렌즈의 보존액을 포장한 포장용기의 개봉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불량한 의도에 의해 포장용기를 개봉한 상태에서 다시 밀봉하더라도 그 사실을 쉽게 인지할 수 있고, 그를 통해 불량한 보존액의 판매 등으로부터 사용자가 보다 잘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콘택트 렌즈 보존액의 포장용기에 구비되는 보조캡이 포장용기의 보존액 배출구를 개폐하는 본래 기능 이외에 콘택트 렌즈의 세척 용기로 더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콘택트 렌즈의 세척을 위해 별도의 세척 용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콘택트 렌즈의 관리를 위해 콘택트 렌즈 보존액의 포장용기 및 콘택트 렌즈 세척을 위한 세척 용기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므로. 콘택트 렌즈의 관리를 위한 번거로움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에서 보조캡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100)는 용기본체(110), 메인캡(120), 노즐캡(130), 보조캡(1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10)는 내부에 콘택트렌즈 보존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에 콘택트렌즈 보존액의 배출이나 주입을 위한 축소된 지름의 배출구(111)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배출구(111)의 외측면에 나사산(112)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용기본체(110)의 배출구(111)에 메인캡(12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메인캡(120)은 그 내면에 상기 용기본체(110)의 나사산(112)과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홈(120a)을 형성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메인캡(120)의 상부에 축소된 지름의 배출구(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11)의 외측면에 나사산(112)이 형성되며, 메인캡(120)의 하단에는 배출구(111)의 지름보다 큰 중간 지름의 탭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탭 결합부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고정돌기(124)가 형성되며, 여기서 고정돌기(124)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노즐캡(130)은 메인캡(120)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노즐캡(130)의 내면에는 메인캡(120)의 나사산(125)과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 홈이 형성되며, 이러한 노즐캡(130)은 그 상부에 용기본체(110)에 수용된 콘택트렌즈 보존액의 배출을 위한 노즐(131)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노즐캡(130)은 메인캡(12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개폐되면서 메인캡(120)의 배출구를 통해 보존액을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구성에 해당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보조캡(140)은 하단에 절취탭(142)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보조캡(140)의 절취탭(142)은 메인캡(120)의 탭 결합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24)에 걸려 회전방지되는 회전방지돌기(143)가 내면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돌기(124)가 일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한 형태이면, 회전방지돌기(143)는 고정돌기(124)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조캡(140)의 절취탭(142)은 다수의 절취리브에 의해 보조캡(120)의 하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보조캡(120)의 개봉을 위해 회전시 절취리브의 보조캡(140) 또는 절취탭(142)에 대한 연결 구조가 분리되면서 보조캡(140)의 개봉이 이루어진다.
또한, 보조캡(140)은 그 상측 내면에 노즐캡(130)의 노즐부(131) 상단의 구멍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돌기(144)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돌기(144)가 반구형으로 형성된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돌기(144)는 하부가 수평면을 이루는 원기둥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캡(140)의 상측 내면에는 노즐부(131)의 상단을 내측에 삽입시켜 그 내면에 노즐부(141)의 상단 외면이 밀착되면서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부(14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보 조캡(140)의 상측 내면에 네 개의 지지돌기부(141)가 형성되어, 네 지지돌기부(141)의 내면과 노즐부(141) 상단의 외면이 밀착되면서 보조캡(140)이 노즐캡(130)에 지지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다.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하나의 고정돌기부가 형성되거나, 횡단면이 반원형을 이루는 한 쌍의 고정돌기부가 형성되어 그 내면과 노즐의 외면이 밀착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캡(140)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콘택트렌즈를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110)의 배출구(111) 하부에 배출구(111)의 외측면을 따라 고정돌기(113)가 형성되며, 여기서 고정돌기(113)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메인캡(120)의 하부에 절취리브를 통해 연결되는 절취탭(121)이 구비되되, 메인캡(120)의 절취탭(121) 내면을 따라 상기 용기본체(110)의 고정돌기(113)에 걸려 회전방지되는 회전방지돌기(1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용기본체(110)의 고정돌기(113)가 일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한 형태이며, 절취탭(121)의 회전방지돌기(122)는 고정돌기(113)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캡(120)의 개봉을 위해 회전시 절취리브의 메인캡(120) 또는 절취탭(121)에 대한 연결 구조가 분리되면서 메인캡(120)의 개봉이 이루어진다.
즉,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100)의 최초 포장시에는 메인캡(120)의 절취탭(121)이 메인캡(120)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 용자가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100)를 최초로 사용하기 위해 메인캡(120)을 회전시켜 개봉하게 되면, 절취탭(121)은 그 회전방지돌기(122)가 용기본체(110)의 고정돌기(113)에 걸려 회전이 방지되고, 따라서 메인캡(120)과 절취탭(121)을 연결하고 있는 비교적 약한 절취리브(123)가 절단되면서 메인캡(12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100)의 최초 포장시에는 보조캡(140)의 절취탭(142)이 보조캡(140)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100)를 최초로 사용하기 위해 보조캡(120)을 개방하게 되면, 보조캡(140)의 절취탭(142)은 그 회전방지돌기(143)가 메인캡(120)의 고정돌기(124)에 걸려 회전이 방지되고, 따라서 보조캡(140)과 절취탭(142)을 연결하고 있는 절취리브가 절단되면서 보조캡(14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상기에 따라,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조캡(140)이 용기본체(110) 상부에 원터치 방식의 결합 구조를 통해 비교적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100)를 사용시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고, 또한 보조캡(140)이 용기본체(110)의 상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아 용기본체(110)에 수용된 보존액이 누수되거나 그 과정에서 외부 이물질이 포장용기로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잘 방지된다. 이에 더하여, 보조캡(140)의 개폐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보조캡(140)의 표면에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접촉될 수 있어 보조캡(140) 표 면의 오염 현상이 최대한 억제되면서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100) 및 그에 포장되는 보존액의 보다 청결한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캡(120)의 절취탭(121)과 보조캡(140)의 절취탭(142)을 통해 콘택트 렌즈 보존액 포장용기(100)의 개봉 여부를 2중으로 확인할 수 있어, 불량한 의도에 의해 콘택트 렌즈 보존액 포장용기(100)를 개봉한 상태에서 다시 밀봉하는 것이 보다 여의치 못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와 같이 불량한 의도에 의해 콘택트 렌즈 보존액 포장용기(100)를 개봉한 상태에서 다시 밀봉하더라도 정상적인 사용자가 그 사실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보존액 포장용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불량한 보존액의 판매 등으로부터 보다 잘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콘택트 렌즈 보존액의 포장용기(100)에 구비되는 보조캡(140)이 노즐캡(130)의 노즐부(131)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본래 기능 이외에 콘택트 렌즈의 세척 용기로 더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콘택트 렌즈의 세척을 위해 별도의 세척 용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콘택트 렌즈의 관리를 위해 콘택트 렌즈 보존액의 포장용기 및 콘택트 렌즈 세척을 위한 세척 용기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므로. 콘택트 렌즈의 관리를 위한 번거로움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에서 보조캡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 110 : 용기본체
111 : 배출구 112 : 나사산
113 : 고정돌기 120 : 메인캡
120a : 나사홈 121 : 절취탭
122 : 회전방지돌기 123 : 절취리브
124 : 고정돌기 125 : 나사산
130 : 노즐캡 131 : 노즐
140 : 보조캡 141 : 지지돌기부
142 : 절취탭 143 : 회전방지돌기
144 : 결합돌기

Claims (3)

  1. 콘택트 렌즈의 보존액이 포장되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보존액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축소된 지름의 배출구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나사홈이 내면에 형성되고, 축소된 지름의 배출구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하단에 배출구 지름보다 큰 중간 지름의 탭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탭 결합부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메인캡;
    상기 메인캡의 배출구에 결합되는 나사홈이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캡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보존액을 배출하기 위한 노즐이 상부에 형성되는 노즐캡;
    상기 메인캡의 고정돌기에 걸리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를 내면을 따라 형성한 절취탭이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절취탭과 다수의 절취리브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로 상기 메인캡에 결합되며, 상측 내면에 상기 노즐캡의 노즐 구멍에 삽입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노즐을 내측에 삽입시켜 그 내면을 통해 상기 노즐의 외면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부가 형성되는 보조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캡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배출구 하부에 배출구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캡의 하부에 절취리브를 통해 연결되는 절취탭이 구비되되, 상기 절취탭의 내면을 따라 상기 용기본체의 고정돌기에 걸리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
KR2020090001406U 2009-02-09 2009-02-09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 KR200454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406U KR200454135Y1 (ko) 2009-02-09 2009-02-09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406U KR200454135Y1 (ko) 2009-02-09 2009-02-09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203U KR20100008203U (ko) 2010-08-18
KR200454135Y1 true KR200454135Y1 (ko) 2011-06-17

Family

ID=4445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406U KR200454135Y1 (ko) 2009-02-09 2009-02-09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319Y1 (ko) 2015-04-22 2015-09-18 김하나 액향 공급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127Y1 (ko) * 2017-10-12 2018-04-05 주식회사 산청 휴대용 물병 마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205A (ko) * 2000-02-01 2000-06-05 이정민 배출관이 있는 작동부 밀폐형 합성수지 병뚜껑
JP2002210395A (ja) 2001-01-23 2002-07-30 Mitani Valve Co Ltd 吐出容器
JP2003291994A (ja) 2002-04-01 2003-10-15 House Foods Corp 押出容器用蓋機構
KR20040044043A (ko) * 2002-11-20 2004-05-27 주식회사 포스코 콘베어 벨트 교환시 접힘 방지용 가이드장치
KR200444043Y1 (ko) 2008-05-09 2009-04-07 주식회사 디에이치피코리아 점안제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205A (ko) * 2000-02-01 2000-06-05 이정민 배출관이 있는 작동부 밀폐형 합성수지 병뚜껑
JP2002210395A (ja) 2001-01-23 2002-07-30 Mitani Valve Co Ltd 吐出容器
JP2003291994A (ja) 2002-04-01 2003-10-15 House Foods Corp 押出容器用蓋機構
KR20040044043A (ko) * 2002-11-20 2004-05-27 주식회사 포스코 콘베어 벨트 교환시 접힘 방지용 가이드장치
KR200444043Y1 (ko) 2008-05-09 2009-04-07 주식회사 디에이치피코리아 점안제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319Y1 (ko) 2015-04-22 2015-09-18 김하나 액향 공급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203U (ko)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9572B2 (ja) 分与容器の口栓構造
CA2862109C (en) Stopper for a container neck
KR200454135Y1 (ko)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
JP3201923U (ja) 逆止弁付き飲み口体
KR101528463B1 (ko) 휴대용 안경 세척기
KR200467355Y1 (ko) 덮개 탈착형 원터치 캡
KR20080020014A (ko) 대나무를 이용한 주류용기
KR101500260B1 (ko) 휴대용 치간 칫솔
KR200436933Y1 (ko) 구강 폐액 회수용기
JP4431669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兼用液剤容器
JP4474057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ケース
KR101418981B1 (ko) 세제가 내장된 샤워기 헤드
TWI478680B (zh) Contact lens care components
KR20180042732A (ko) 렌즈 보관 용기
WO2001013816A1 (en) Dental floss dispenser
KR101765714B1 (ko) 세척부재가 구비된 마스카라브러시 세척용기
CN211443390U (zh) 一种便于开启的洁面乳软管
JP2000142754A (ja) 容器用中栓体
KR200353874Y1 (ko) 페트음료병을 이용한 컵 겸용 병
CN218899270U (zh) 洗漱套装
KR200409658Y1 (ko) 마개용 패킹 부재
KR200328195Y1 (ko) 리필용기
KR20100004978U (ko) 분리형 음료용기
KR200424806Y1 (ko) 화장품 용기의 구조
KR200382331Y1 (ko) 분말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2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2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6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