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978U - 분리형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978U
KR20100004978U KR2020080014781U KR20080014781U KR20100004978U KR 20100004978 U KR20100004978 U KR 20100004978U KR 2020080014781 U KR2020080014781 U KR 2020080014781U KR 20080014781 U KR20080014781 U KR 20080014781U KR 20100004978 U KR20100004978 U KR 201000049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beverage
present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김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일 filed Critical 김영일
Priority to KR2020080014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978U/ko
Publication of KR201000049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97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4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몸체를 분리하여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분리형 음료용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음료수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분리형 음료용기에 있어서, 복수로 구비되며 상호 결합되어 음료수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몸체들과, 용기몸체들이 결합될 경우에 그 용기몸체들을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몸체에 설치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몸체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세척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몸체들의 각각에 서로 다른 음료수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복합 음료수 상품으로 개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음료용기{SEPERABLE TYPE BEVERAGE CONTAINER}
본 고안은 각종 음료수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몸체를 분리하여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분리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음료용기는 음료수캔, 음료수병, 유아용 젖병 및 보온병 등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음료용기의 음료수캔은 일체로 형성된 용기본체에 음료수 배출용 절취부를 마련하여 이를 손가락으로 개방하여 용기본체에 저장된 음료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음료수병은 일체로 형성된 용기본체보다 협소한 배출부에 뚜껑을 결합하여 용기본체에 음료수를 저장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아용 젖병과 보온병은 음료수병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음료수캔, 음료수병, 유아용 젖병 및 보온병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세척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나 종래의 음료용기들은 용기본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용기본체의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없으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 목적은 용기본체의 내부를 깨끗이 세척할 수 있도록 용기본체를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하나의 용기본체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분리형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음료수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분리형 음료용기에 있어서, 복수로 구비되며 상호 결합되어 음료수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몸체들과, 용기몸체들이 결합될 경우에 그 용기몸체들을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몸체에 설치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에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음료용기에 의하면, 용기몸체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세척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몸체들의 각각에 서로 다른 음료수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복합 음료수 상품으로 개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들과 그 외의 목적들과 신규한 특징은 상세한 설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읽어 보면, 보다 완전하고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음료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음료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분리형 음료용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음료용기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호 결합된어 음료수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몸체들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용기몸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하기 용이하도록 뚜껑(12)이 설치되는 용기몸체를 제1용기몸체(10)라 하며, 나머지를 제2용기몸체(20)라고 한다.
제1용기몸체(10)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다. 제1용기몸체(10)는 개방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급격하게 직경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진다. 제1용기몸체(10)의 타단에는 뚜껑(12)이 설치된다. 제1용기몸체(10)의 개방된 일측에는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제1용기몸체(1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부위에는 나사산(14)이 형성되어 있다.
제2용기몸체(20)는 제1용기몸체(10)에 대응하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일측에는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단이 형성되어 있다. 제2용기몸체(2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 부위에는 나사산(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는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 용기몸체의 구석구석을 깨꿋히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아용 젖병 및 보온병 등과 같이 자주 세척이 필요한 음료용기를 본 고안에 따라 구성하면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밀폐부재(30)는 용기몸체들(10, 20)이 결합될 경우에 그 용기몸체들(10, 20)을 밀폐하도록 용기몸체들(10, 20)에 설치된다. 밀폐부재(30)는 두개의 용기몸체들(10, 2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의 용기몸체(10, 20)에 나사결합된다. 즉, 밀폐부재(30)는 제1용기몸체(10)의 나사산(14)과 제2용기몸체(20)의 나사산(22)에 체결되도록 내측면에 나사산(32)이 형성되어 있다. 밀폐부재(30)는 탄성재질의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각각의 용기몸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인 것이 좋다.
분리부재(34)는 서로 다른 음료수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용기몸체들(10, 20)이 결합될때 삽입된다. 분리부재(34)는 용기몸체들(10, 20) 중의 어느 하나의 내부에 끼워맞춤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재(30)와 분리부재(34)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밀폐부재(30)가 제2용기몸체(20)에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분리부재(34)는 제2용기몸체(20)에 끼워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예는 다른 종류의 음료수를 용기몸체에 저장 및 보관할 수 있게 되며, 저장된 음료수가 용기몸체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게 된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음료용기에 대한 조립방법과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제2용기몸체(20)에 음료수가 채워진다. 그런 다음, 제2용기몸체(20)에 분리부재(34)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밀폐부재(30)가 나사결합된다. 밀폐부재(30)가 제2용기몸체(20)에 나사결합되는 것과 동시에 분리부재(34)는 제2용기몸체(20)에 끼워져 제2용기몸체(20)를 밀폐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용기몸체(10)가 밀폐부재(30)에 나사결합되며, 제1용기몸체(10)가 결합된 상태에서 다시 음료수가 제1용기몸체(10)에 채원진다. 그런 다음, 제1용기몸체(10)에 뚜껑(12)이 결합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음료수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게된다.
한편,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음료수를 다 마신 후, 음료용기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음료용기를 세척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분리형 음료용기는 조립되는 순서와 반대로 분리한다. 즉, 제1용기몸체(10)로부터 뚜껑(12)을 분리하고, 밀폐부재(30)로부터 제1용기몸체(10)를 분리한다. 그런 다음, 제2용기몸체(20)로부터 밀폐부재(30)를 분리한다. 이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의 용기몸체(10, 20) 및 밀폐부재(30)를 세척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음료용기의 세척이 용이해지며, 음료용기의 내부를 깨끗히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앞에서는 용기몸체들이 2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분리형 음료용기의 용기몸체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용기몸체(10)와 제2용기몸체(20)는 밀폐부재(3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1용기몸체는 제2용기몸체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용기몸체들이 나사결합될 경우에 있어서, 밀폐부재는 결합된 용기몸체에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폐부재와 분리부재는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시예에 따른 분리형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리형 음료용기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리형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용기몸체 12: 뚜껑
14: 제1용기몸체의 나사산 20: 제2용기몸체
22: 제2용기몸체의 나사산 30: 밀폐부재
32: 밀폐부재의 나사산 34: 분리부재

Claims (7)

  1. 음료수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분리형 음료용기에 있어서,
    복수로 구비되며, 상호 결합되어 상기 음료수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몸체들과;
    상기 용기몸체들이 결합될 경우에 그 용기몸체들을 밀폐하도록 상기 용기몸체에 설치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분리형 음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들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료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음료수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몸체들이 결합될 때 삽입되는 분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료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용기몸체들의 내부에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료용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분리부재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료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두 개의 용기몸체들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용기몸체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료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료용기.
KR2020080014781U 2008-11-05 2008-11-05 분리형 음료용기 KR201000049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781U KR20100004978U (ko) 2008-11-05 2008-11-05 분리형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781U KR20100004978U (ko) 2008-11-05 2008-11-05 분리형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978U true KR20100004978U (ko) 2010-05-13

Family

ID=4445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781U KR20100004978U (ko) 2008-11-05 2008-11-05 분리형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97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506A (ko) * 2015-04-24 2016-11-02 권희성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KR20210143596A (ko) * 2020-05-20 2021-11-29 김정섭 빨대부 세척이 용이한 빨대 음료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506A (ko) * 2015-04-24 2016-11-02 권희성 미니어처 다형상 위생병
KR20210143596A (ko) * 2020-05-20 2021-11-29 김정섭 빨대부 세척이 용이한 빨대 음료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764B2 (en) Drink bottle
JP5059979B1 (ja) 容量可変容器
US20090114617A1 (en) Plastic bottle
WO2014087866A1 (ja) 樹脂製容器
EP2117937A1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a modified shape
US3151787A (en) Dispensing bottle tap
KR20220000965A (ko) 물의 유동을 감소하는 운동용 텀블러
KR20190002783U (ko) 오픈 텀블러
KR20100004978U (ko) 분리형 음료용기
JP2017149486A (ja) 容器のキャップ構造及び容器
US20160376068A1 (en) Silicone bottle cap with removable glass insert
KR200353874Y1 (ko) 페트음료병을 이용한 컵 겸용 병
KR20190125237A (ko) 오픈 텀블러
US20130313272A1 (en) Pour assist device
KR101894429B1 (ko) 조립식 텀블러 및 이의 세척방법
KR200314040Y1 (ko) 상하 분할 가능한 음료병
KR200454135Y1 (ko) 원터치 개폐형 보조캡을 구비하는 콘택트렌즈 보존액 포장용기
KR20240048943A (ko) 이중구조 보틀
CN213429474U (zh) 一种二合一水杯
KR20080003837U (ko) 분리형 음료용기
KR20110010202U (ko) 세척이 용이한 물병
JP3191287U (ja) 水筒
KR20230097900A (ko) 내부 세척이 용이한 실리콘 텀블러
KR200295604Y1 (ko) 수세미
KR101014931B1 (ko) 음료수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