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847A -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 Google Patents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847A
KR20160120847A KR1020150049756A KR20150049756A KR20160120847A KR 20160120847 A KR20160120847 A KR 20160120847A KR 1020150049756 A KR1020150049756 A KR 1020150049756A KR 20150049756 A KR20150049756 A KR 20150049756A KR 20160120847 A KR20160120847 A KR 20160120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per
coffee
storage container
extraction por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015B1 (ko
Inventor
노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지티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지티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지티빈스
Priority to KR1020150049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015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립커피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드립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에서의 사용을 위한 취급이 용이토록 한 것으로, 커피가루가 투입되는 상단은 넓고 커피액이 추출되는 추출구가 형성된 하단은 좁은 형태, 즉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져 바닥면에 추출구가 형성된 드립퍼의 하단 일부분이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추출구가 형성된 하단 일부분이 삽입되면서 안착되도록 하고, 더욱 안정적인 안착상태를 갖도록 하단에 저장용기의 입구 내벽면에 밀착되는 돌출테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조립에 의해 장착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Dropping bottle drip coffee for coffee production}
본 발명은 드립커피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드립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급이 용이하여 커피를 드립하기 위한 사용중에 부주의로 인해 넘어짐이나 파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드립 커피는 볶은 커피콩을 갈아서 가루 상태에서 시트필터가 놓여진 드립퍼에 담고 그 위에 물을 부어 커피원액을 제조하고 사람의 입맛에 따라서 추가적으로 물을 더 넣어 취향에 맞게 커피를 제조토록 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커피가루를 담은 드립퍼에 고온의 물을 손으로 일일이 부어 커피를 내리도록 함으로써 고온에 의하여 쪄서 내리는 방식의 자동식 커피메이커보다 비교적 깔끔하고 좋은 맛을 내며 커피향도 그대로 보존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고 집에서도 누구나 쉽게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커피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핸드드립 커피는 커피가루를 넣는 시트필터와, 상기 시트필터가 놓여지는 드립퍼와 드립퍼를 통해 내려진 커피를 담는 저장용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드립퍼는 깔대기 형태로 되어 바닥에 커피물이 내려지는 추출구가 형성되고 추출구가 형성된 드립퍼의 하단에 저장용기의 입구에 안착될 수 있도록 판상의 받침판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사용의 편의를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판은 머그컵, 커피주전자 등의 입구의 크기가 다양한 저장용기에 안착될 수 있도록 넓은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핸드드립기구는 저장용기에 안착을 위해 형성된 받침판의 부피가 크고 대부분 핸드드립기구가 여러 가지 주방기구와 함께 주방에서 사용되고 있어 취급시에 상당한 주의를 요하게 되지만, 약간의 부주의로 인해 살짝 만 건드려도 드립퍼가 저장용기에서 분리되어지는 문제점으로 인해 커피의 쏟아짐이 발생되는 것이고, 특히 드립할 당시에 커피향이 누출되어진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등록실용 20-0419982(2006.06.21)
따라서 본 발명은 드립퍼가 저장용기에서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토록 함은 물론 커피를 드립할 시에 발생되는 커피향의 누출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드립퍼의 하단의 추출구가 형성된 하단의 일부분이 추출되는 커피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용기의 내부로 일정깊이로 내입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내입시 저장용기의 주입구와 밀착가능게 돌출되는 돌출테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피 드립을 위한 드립퍼를 다양한 형태의 저장용기에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안정적인 안착구조를 가지게 되고, 또한 돌출테에 의하여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진 드립퍼가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내장된 상태에서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면서 저장용기의 주입구를 긴밀하게 막아줌으로서 커피향의 날아감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작이 용이하게 됨으로 경제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커피추출을 위한 핸드드립기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퍼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저장용기와의 장착을 위한 돌출테가 형성된 드립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4와 도5는 본 발명의 드립퍼에 형성된 돌출테가 저장용기의 주입구 내측 또는 외측으로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돌출테에 부러짐 방지를 위해 보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돌출테가 별도로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드립퍼의 내벽면에 안내돌기가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도8에 따른 안내돌기가 형성된 드립퍼의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안내돌기가 형성된 드립퍼에서 커피가 추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커피를 드립하는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커피가루에서 원액만 추출되도록 걸러주는 시트필터(30)와 상기 시트필터(30)가 안착되는 드립퍼(10)와 추출되는 커피추출액을 담을 수 있는 저장용기(2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시트필터(30)는 1회용으로 사용되는 종이제이거나 또는 탈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형태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시트상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것을 사용가능한 것이고, 또한 촘촘하게 다공홈이 형성된 금속판을 드립퍼에 안착이 되도록 가공한 금속재질의 필터도 사용가능한 것이고, 이러한 필터의 종류가 본 고안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드립퍼(10)는 상단은 넓고 하단은 좁은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져 용액의 흘러내림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고, 가능하면 드립퍼의 내벽면(11)에 시트필터(3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시트의 측면으로도 커피의 추출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또는 추출의 용이성을 위하여 또는 추출된 커피용액의 흘러내림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드립퍼(10)의 내벽면(11)에는 안내돌기(1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짐으로서 시트필터(30)가 완전하게 드립퍼(10)의 내벽면(11)에 밀착되지 않고 들떠있게 되고, 이러한 안내돌기(14)가 형성된 상태에서의 공간부(A)로 커피용액의 흘러내림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드립퍼(10)의 하단에는 추출구(12)가 형성되어 지는 것이고, 이러한 추출구(12)에는 드림퍼(10)의 내벽면에 위치되어지는 시트필터(30)가 추출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하여 드립퍼(10)의 추출구(12)로 빠지는 현상 등에 의한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대(15)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걸림대(15)는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출구(12)를 가로질러 형성되거나 커피원액만 배출되도록 망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드립퍼(10)가 통상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짐으로 추출구(12)는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드립퍼(10)를 저장용기(20)의 주입구(21)에 추출구(12)가 형성된 드립퍼(10)의 하단부분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끼워지면서 안정적인 안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저장용기(20)의 주입구(21)의 크기는 물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저장용기(20)에 모두 사용가능하여 커피드립을 위한 커피용액의 추출이 드립퍼(10)와 일치되는 저장용기뿐만이 아니고 다양한 저장용기(20)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드립퍼(10)의 추출구(12)가 형성된 외측으로 이격되어진 상태에서 하향되게 돌출되는 돌출테(13)를 형성하여 드립퍼(10)의 하단이 저장용기(20)의 주입구(21)의 내측 또는 외측과 밀착되어지면서 드립퍼(1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돌출테(13)는 저장용기(20)의 주입구(21)의 내측이나 외측을 긴밀하게 밀착할 수 있음은 물론 추출되는 커피용액의 고유향이 외부로 모두 날라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드립을 위하여 물을 낙하시킬 경우에 발생되는 하중에 의하여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게 되는 효과도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테(13)는 추출구(12)보다 더 돌출토록 함으로서 드립퍼(10)를 외부의 바닥면에 위치토록 할 경우 즉 커피 추출전이나 후에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시 저장용기(20)와 분리토록 한 상태에서 바닥면에 놓게 될 경우에 추출구(12)가 직접적으로 바닥에 닿지 않게 하는 받침대의 기능을 하게 됨으로서 위생적인 부분을 보완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테(13)가 돌출된 상태에서 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살에 의해 보강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테(13)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인서트 사출성형토록 하거나 또는 별도의 조립수단으로 조립토록 함으로서 돌출테(13)의 크기나 길이를 가변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저장용기(20)와의 밀착성을 향상토록 함은 물론 사용상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돌출테(13)를 별도로 조립할 경우 돌출테(13)에는 상광하협으로 형태로 된 드립퍼(10)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경사면과 대응되는 고정부(13a)가 형성되어 밀착된 상태로 끼워져 간단하게 장착토록 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드립퍼(10)의 내벽면(11)에 형성되는 안내돌기(14)는 흘러내림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스크류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커피용액의 추출을 더욱 용이토록하면서 신속하게 추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립퍼(10)의 상단에는 드립퍼(10)를 저장용기(20)에서 장착 또는 분리할 때 이동이 용이토록 외측방향으로 수평상태로 돌출된 손잡이(16)가 형성함으로써 저장용기(20)의 주입구(21)에 장착이 가능하게 되면서 위생을 위한 관리는 물론 이동을 위한 손잡이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 드립퍼 11: 내벽면
12: 추출구 13: 돌출테
14: 안내돌기 15: 걸림대
16: 손잡이
20: 저장용기 21: 주입구
30: 시트필터

Claims (6)

  1. 저장용기(20)의 상측에 위치되어 커피용액의 추출을 위한 시트필터(30)가 내측에 위치되어지는 드립퍼(10)에 있어서,
    상기 드립퍼(10)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지져 추출구(12)의 하단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져 저장용기(20)의 주입구(21)에 일정깊이로 내입되면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퍼(10)의 추출구(12)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테(13)가 형성되어 저장용기(20)의 주입구(21)와 밀착되면서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드립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퍼(10)의 추출구(12)의 외측으로 저장용기(20)의 주입구(21)와 밀착되면서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별도의 돌출테(13)를 장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드립퍼.
  4. 제 2항 또는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퍼(10)의 돌출테(13)는 추출구(12)보다 더 돌출되어져 바닥면에 추출구(12)가 닿지 않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드립퍼.
  5.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테(13)는 연질로 성형되어져 저장용기(20)와의 밀착성을 향상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드립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로 조립되는 돌출체(13)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되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드립퍼(10)의 외측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지지부(13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드립퍼.
KR1020150049756A 2015-04-08 2015-04-08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KR101720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756A KR101720015B1 (ko) 2015-04-08 2015-04-08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756A KR101720015B1 (ko) 2015-04-08 2015-04-08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847A true KR20160120847A (ko) 2016-10-19
KR101720015B1 KR101720015B1 (ko) 2017-03-28

Family

ID=5725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756A KR101720015B1 (ko) 2015-04-08 2015-04-08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838B1 (ko) 2017-05-10 2018-09-07 이동혁 자동 드립 커피 머신
KR101935440B1 (ko) 2018-03-08 2019-04-05 김영태 커피 드립 장치
KR102259245B1 (ko) 2019-11-05 2021-06-01 주식회사 아이에이커머스 음료용 드립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797U (ko) * 1989-11-29 1991-08-09
KR20040019982A (ko) 2002-08-30 2004-03-06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고흡수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부직포
KR20100008406U (ko) * 2009-02-16 2010-08-25 송유진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KR20120002434U (ko) * 2010-09-29 2012-04-06 유재혁 수동형 커피 드립퍼
KR20140003732U (ko) * 2012-12-10 2014-06-18 송유진 커피 드립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797U (ko) * 1989-11-29 1991-08-09
KR20040019982A (ko) 2002-08-30 2004-03-06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고흡수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부직포
KR20100008406U (ko) * 2009-02-16 2010-08-25 송유진 수동드립용 커피제조기구
KR20120002434U (ko) * 2010-09-29 2012-04-06 유재혁 수동형 커피 드립퍼
KR20140003732U (ko) * 2012-12-10 2014-06-18 송유진 커피 드립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015B1 (ko)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2208B1 (en) Coffee maker
AU2009295189B2 (en) Tea-maker having a closable pouring spout
US6076450A (en) Fresh beverage brew cup lid
US9723942B2 (en) Brewing and filtering device for coffee and tea
RU2586429C2 (ru) Подставка для чашек или других емкостей в машинах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AU2001289907A1 (en) Coffee maker
US2018004959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preparing foods
US20200085228A1 (en) Kettle With Removable Tea Steeper
KR101720015B1 (ko)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US20080199580A1 (en) Tea maker with timer
US2328599A (en) Device for brewing and dispensing beverages
GB2457074A (en) Tea filter for a teapot and teapot having such a filter.
JP5563929B2 (ja) コーヒー用ポット
US20170181567A1 (en) Coffee press
US5799566A (en) Self-propelled moving-filter beverage maker
US9089232B1 (en) Tea brewing containment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JP4476316B2 (ja) 茶漉し付きティーポット
US2309834A (en) Tea or coffee pot
GB2554533B (en) A teapot
KR101288241B1 (ko)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JP3148701B2 (ja) 浸出式コーヒーメーカー
JP3102436U (ja) 飲料容器の茶こし付きふた
JPH0325712Y2 (ko)
KR200331944Y1 (ko) 거름용기가 형성된 찻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