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181A -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181A
KR20220005181A KR1020200082684A KR20200082684A KR20220005181A KR 20220005181 A KR20220005181 A KR 20220005181A KR 1020200082684 A KR1020200082684 A KR 1020200082684A KR 20200082684 A KR20200082684 A KR 20200082684A KR 20220005181 A KR20220005181 A KR 20220005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unit
extraction
disposed
cold b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832B1 (ko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소닉더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닉더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소닉더치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82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832B1/ko
Priority to PCT/KR2021/008365 priority patent/WO2022010180A1/ko
Publication of KR20220005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커피수용액을 담은 용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진동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도록 설치된 추출몸체부;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에 접촉되어 발생된 진동을 끼움 결합된 탄성력에 의해 전달하도록 구비된 진동전달부;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전달부에 접촉되어 자력으로 인한 자기장이 상하 위치에서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전기의 공급으로 발생되는 전기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 및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발생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정보, 설정된 정보, 외부 음원에서 추출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진동의 진폭, 주파수 및 추출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Cold Brew Coffee Extractor Adjusting Sonic Vibration Based on Acoustic Signal for Mounting Dual Magnet}
본 발명은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수용액이 담긴 용기에 전달되는 음파 진동을 가해지는 구조를 개선하여 음파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전달되는 효율을 증대시켜 조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드브루 커피란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우려낸 커피로서, 전통적인 방식에 따른 커피와 비교하여, 쓴맛이 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다. 이에 콜드브루 커피를 즐기는 인구 또한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한편, 콜드브루 커피는 제조방식에 따라 점출식 및 침출식 콜드브루 커피로 나뉘어진다. 점출식 콜드브루 커피는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물을 분쇄된 커피에 떨어뜨려 투과시킴으로써 제조되며, 침출식 콜드브루 커피는 분쇄된 커피를 물이 담긴 용기에서 우려냄으로써 제조된다. 다만, 콜드브루 커피는 어떠한 제조방식에 의하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어, 상업적 용도로 판매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다만, 상술한 콜드브루 커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침출식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로서, 본원의 발명자에 의한 선출원 등록특허(특허등록번호 제10-1630262호)가 등록 공고되어 있다.
그러나, 선출원 등록특허에 의하더라도, 바쁜 현대인들의 커피 문화를 고려하여, 시간적인 측면 및 감성적인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점은 여전히 남아있다.
이에 최근에는 자력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전동 커피추출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전동 커피추출장치는 발생된 전력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전달함에 있어 설치된 위치의 바닥 경도에 따라 진동수의 차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의 전동 커피추출장치가 설치된 바닥의 경도에 따라 전달되는 진동의 손실이 발생하거나, 울림에 의한 반동으로 진동의 폭이 증대되어 발생되는 진동량의 정확도가 떨어져 원하는 품질의 커피추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말해서, 바닥의 경도가 낮은 경우에는 진동의 발생 시에 바닥에서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의 손실이 발생되고, 바닥의 경도가 높은 경우에는 발생되는 진동이 경도높은 바닥에 반동으로 공명에 의한 진동량이 증대되어 진동량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수용액이 담긴 용기에 전달되는 음파 진동을 발생시킴에 있어 듀얼마그넷을 이용하여 바닥의 영향을 차단하여 발생되는 진동량의 정확도가 유지되고, 진동이 전달되는 스프링을 끼움 고정방식으로 변경하여 진동 효율을 향상시키는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는 커피수용액을 담은 용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진동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도록 설치된 추출몸체부;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에 접촉되어 발생된 진동을 끼움 결합된 탄성력에 의해 전달하도록 구비된 진동전달부;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전달부에 접촉되어 자력으로 인한 자기장이 상하 위치에서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전기의 공급으로 발생되는 전기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 및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발생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정보, 설정된 정보, 외부 음원에서 추출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진동의 진폭, 주파수 및 추출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부를 냉각하는 팬 형태로 구비된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몸체부는, 상기 용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진동을 발생하여 전달하도록 지지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진동전달부, 상기 진동발생부, 및 상기 제어부가 수납되는 추출공간을 가지는 추출몸체; 상기 추출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의 기초가 되는 정보와 사용자의 조작되는 진폭과 주파수, 및 추출시간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추출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진동되는 주파수와 진폭을 설정하도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면서 조작하는 조작부; 및 상기 추출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격에서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도록 무선신호를 수신받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진동전달부는, 상기 추출몸체부의 개방된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는 상기 용기가 접촉 위치하고, 하부는 상기 진동발생부가 위치하여 작동에 의해 진동력이 상기 용기로 전달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된 진동플레이트;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진동발생부의 상부에 삽입 접촉되어 발생된 진동이 전달되도록 구비된 진동전달체;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발생부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바깥 둘레에 복수 위치로 탄성 지지되어 발생된 진동의 전달을 받침하는 베이스체; 상기 베이스체의 상부 방향의 바깥 둘레의 복수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끝에 스프링 코일이 감겨서 고정되는 나선형의 베이스탄성돌기가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탄성 지지되는 베이스지지체; 상기 베이스지지체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가 상기 베이스탄성돌기에 회전에 의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지지체의 상부에 위치한 스프링 코일형태로 구비된 진동전달탄성체; 및 상기 진동전달탄성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상기 진동플레이트에 접촉 지지되고, 하부에 상기 진동전달탄성체가 감겨서 고정되는 나선형의 전달탄성돌기가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상기 진동전달탄성체의 상부에서 상기 진동플레이트를 탄성지지하도록 구비된 전달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진동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전달가이드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전달부의 안쪽에 위치하여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공간을 가지면서 바깥 둘레에 전기장이 발생되는 전기보빈몸체; 상기 전기보빈몸체의 바깥둘레 중앙에서 상부로 감겨져 배치되어 있으며, 전력이 공급되면 전기장이 발생되는 코일형태의 전기코일; 상기 전기보빈몸체의 상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상기 진동전달부가 삽입 접촉되도록 홈 형태의 전달지지홈을 가지고, 상하의 진동이 발생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진동발생몸체; 상기 진동발생몸체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보빈몸체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체 형태로 구비된 상부자력체; 상기 상부자력체의 하부에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보빈몸체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상기 진동발생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전기보빈몸체에 삽입 지지된 보빈삽입지지체; 및 상기 전기보빈몸체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자력체와 마주보는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자력체에 척력이 작용하면서 설치되는 바닥의 경도와 상관 없이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하부자력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음원,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저장된 외부 음원으로부터 음원 정보를 추출하는 음원추출부; 상기 음원추출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추출몸체부와 연결되어 외부음원을 통해서 추출된 음원정보, 설정된 정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정보, 원격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진폭과 주파수 및 추출시간을 조정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진동조정부; 및 상기 진동조정부와 상기 진동발생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조정부에서 조정된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부의 진동 발생량을 제어하는 제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는 커피수용액이 담긴 용기에 전달되는 음파 진동을 가해지는 구조를 상하로 각각 자력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된 상태에서 전력 공급에 의한 전기장의 생성으로 진동을 발생함에 따라 바닥과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음파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전달되는 효율을 증대시켜 조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는 음파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전달하는 탄성체는 상부와 하부가 끼임 결합된 형태로 공간에 설치되도록 구비되어 커피를 추출하는 용기의 하중을 탄성체가 지지함에 따라 진동 전달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설명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에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에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에 주요 구성인 진동발생부의 탄성체의 끼움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에 주요 구성인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설명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에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에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에 주요 구성인 진동발생부의 탄성체의 끼움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에 주요 구성인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100)는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 용기에 액체와 커피 원료를 담은 상태에서 발생된 진동을 전달하여 커피를 추출함에 있어, 바닥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하로 자기장을 각각 형성하고, 탄성체를 상하로 끼움 결합하여 공간에 설치됨에 따라 용기에 하중에 따라 압축 효율이 증대되어 진동 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한다.
이런,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100)는 추출몸체부(110), 진동전달부(120), 진동발생부(130), 냉각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추출몸체부(110)는 커피수용액을 담은 용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진동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도록 설치된다.
이런, 추출몸체부(110)는 추출몸체(111), 표시부(113), 조작부(114), 및 무선통신부(115)를 포함한다.
추출몸체(111)는 용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진동을 발생하여 전달하도록 지지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어 진동전달부(120), 진동발생부(130), 및 제어부(150)가 수납되는 추출공간(112)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표시부(113)는 추출몸체(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어부(150)에서 제어의 기초가 되는 정보와 사용자의 조작되는 진폭과 주파수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즉, 표시부(113)는 진동이 발생되는 진폭과 주파수를 외부로 표시하고, 진동에 사용되는 음원,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모드별로 표시하며, 사용자가 조작하는 진동의 진폭과 주파수, 및 추출시간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조작부(114)는 추출몸체(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진동되는 주파수와 진폭을 설정하도록 표시부(113)에 표시되면서 조작하도록 구비된다.
무선통신부(115)는 추출몸체(11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격에서 제어부(150)를 제어하도록 무선신호를 수신받도록 구비된다.
이런, 무선통신부(115)는 원격에서 커피추출을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커피의 추출 정도를 원격에서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진동전달부(120)는 추출몸체부(110)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용기에 접촉되어 발생된 진동을 끼움 결합된 탄성력에 의해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진동전달부(120)는 진동플레이트(121), 진동전달체(122), 베이스체(123), 베이스지지체(124), 진동전달탄성체(126), 전달지지체(127), 및 전달가이드체(129)를 포함한다.
진동플레이트(121)는 추출공간(112)의 개방된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는 용기가 접촉 위치하고, 하부는 진동발생부(130)가 위치하여 작동에 의해 진동력이 용기로 전달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된다.
진동전달체(122)는 추출공간(112)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진동플레이트(121)의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진동발생부(130)의 상부에 삽입 접촉되어 발생된 진동이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베이스체(123)는 추출공간(112)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진동발생부(13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바깥 둘레에 복수 위치로 탄성 지지되어 발생된 진동의 전달을 받침하도록 구비된다.
베이스지지체(124)는 베이스체(123)의 상부 방향의 바깥 둘레의 복수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끝에 스프링 코일이 감겨서 고정되는 나선형의 베이스탄성돌기(125)가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진동전달탄성체(126)는 베이스지지체(124)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가 베이스탄성돌기(125)에 회전에 의해 끼움 결합되도록 베이스지지체(124)의 상부에 위치한 스프링 코일형태로 구비된다.
전달지지체(127)는 진동전달탄성체(126)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진동플레이트(121)에 접촉 지지되고, 하부에 진동전달탄성체(126)가 감겨서 고정되는 나선형의 전달탄성돌기(128)가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진동전달탄성체(126)의 상부에서 진동플레이트(121)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전달가이드체(129)는 진동플레이트(121)와 베이스체(123)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진동플레이트(121)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전달가이드체(129)는 진동플레이트(121)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해, 샤프트, 리니어부싱 베어링, 탄성스프링, 및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발생부(130)는 추출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진동전달부(120)에 접촉되어 자력으로 인한 자기장이 상하 위치에서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전기의 공급으로 발생되는 전기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런, 진동발생부(130)는 전기보빈몸체(131), 전기코일(132), 진동발생몸체(133), 상부자력체(135), 보빈삽입지지체(136), 및 하부자력체(137)를 포함한다.
전기보빈몸체(131)는 추출공간(112)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베이스체(123)의 중앙 상부에 위치하여 상부가 개방된 공간을 가지면서 바깥 둘레에 전기장이 발생되도록 구비된다.
전기코일(132)은 전기보빈몸체(131)의 바깥둘레 중앙에서 상부로 감겨져 배치되어 있으며, 전력이 공급되면 전기장이 발생되는 코일형태로 구비된다.
진동발생몸체(133)는 전기보빈몸체(131)의 상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진동전달체(122)가 삽입 접촉되도록 홈 형태의 전달지지홈(134)을 가지고, 상하의 진동이 발생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상부자력체(135)는 진동발생몸체(133)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기보빈몸체(131)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체 형태로 구비된다.
보빈삽입지지체(136)는 상부자력체(135)의 하부에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전기보빈몸체(131)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진동발생몸체(133)를 지지하도록 전기보빈몸체(131)에 삽입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하부자력체(137)는 전기보빈몸체(131)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자력체(135)와 마주보는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자력체(135)에 척력이 작용하면서 설치되는 바닥의 경도와 상관 없이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냉각부(140)는 추출몸체(1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추출공간(112)의 내부를 냉각하는 팬 형태로 구비된다.
제어부(150)는 추출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진동발생부(13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정보, 설정된 정보, 외부 음원에서 추출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진동의 진폭 및 주파수, 및 추출시간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제어부(150)는 저장부(151), 음원추출부(152), 진동조정부(153), 및 제어체(154)를 포함한다.
저장부(151)는 외부 음원,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비된다.
음원추출부(152)는 저장부(151)와 연결되어 저장된 외부 음원으로부터 음원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비된다.
즉, 음원추출부(152)는 외부 음원이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진폭과 주파수를 추출하여 음원정보로 생성한다.
진동조정부(153)는 음원추출부(152), 저장부(151), 및 조작부(114)와 연결되어 외부음원을 통해서 추출된 음원정보, 설정된 정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정보, 원격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진동발생부(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진폭과 주파수를 조정하는 신호를 시킨댜.
제어체(154)는 진동조정부(153)와 진동발생부(13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진동조정부(153)에서 조정된 신호에 따라 진동발생부의 진동 발생량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커피추출장치 110 : 추출몸체부
111 : 추출몸체 112 : 추출공간
113 : 표시부 114 : 조작부
115 : 무선통신부 120 : 진동전달부
121 : 진동플레이트 122 : 진동전달체
123 : 베이스체 124 : 베이스지지체
125 : 베이스탄성돌기 126 : 진동전달탄성체
127 : 전달지지체 128 : 전달탄성돌기
129 : 전달가이드체 130 : 진동발생부
131 : 전기보빈몸체 132 : 전기코일
133 : 진동발생몸체 134 : 전달지지홈
135 : 상부자력체 136 : 보빈삽입지지체
137 : 하부자력체 140 : 냉각부
150 : 제어부 151 : 저장부
152 : 음원추출부 153 : 진동조정부
154 : 제어체

Claims (7)

  1. 커피수용액을 담은 용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진동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도록 설치된 추출몸체부;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에 접촉되어 발생된 진동을 끼움 결합된 탄성력에 의해 전달하도록 구비된 진동전달부;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전달부에 접촉되어 자력으로 인한 자기장이 상하 위치에서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전기의 공급으로 발생되는 전기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 및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발생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정보, 설정된 정보, 외부 음원에서 추출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진동의 진폭, 주파수 및 추출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부를 냉각하는 팬 형태로 구비된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몸체부는,
    상기 용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진동을 발생하여 전달하도록 지지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진동전달부, 상기 진동발생부, 및 상기 제어부가 수납되는 추출공간을 가지는 추출몸체;
    상기 추출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의 기초가 되는 정보와 사용자의 조작되는 진폭과 주파수, 및 추출시간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추출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진동되는 주파수와 진폭을 설정하도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면서 조작하는 조작부; 및
    상기 추출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격에서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도록 무선신호를 수신받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는,
    상기 추출몸체부의 개방된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는 상기 용기가 접촉 위치하고, 하부는 상기 진동발생부가 위치하여 작동에 의해 진동력이 상기 용기로 전달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된 진동플레이트;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진동발생부의 상부에 삽입 접촉되어 발생된 진동이 전달되도록 구비된 진동전달체;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발생부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바깥 둘레에 복수 위치로 탄성 지지되어 발생된 진동의 전달을 받침하는 베이스체;
    상기 베이스체의 상부 방향의 바깥 둘레의 복수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끝에 스프링 코일이 감겨서 고정되는 나선형의 베이스탄성돌기가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탄성 지지되는 베이스지지체;
    상기 베이스지지체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가 상기 베이스탄성돌기에 회전에 의해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지지체의 상부에 위치한 스프링 코일형태로 구비된 진동전달탄성체; 및
    상기 진동전달탄성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상기 진동플레이트에 접촉 지지되고, 하부에 상기 진동전달탄성체가 감겨서 고정되는 나선형의 전달탄성돌기가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상기 진동전달탄성체의 상부에서 상기 진동플레이트를 탄성지지하도록 구비된 전달지지체;를 포함하는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전달가이드체;를 더 포함하는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추출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전달부의 안쪽에 위치하여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공간을 가지면서 바깥 둘레에 전기장이 발생되는 전기보빈몸체;
    상기 전기보빈몸체의 바깥둘레 중앙에서 상부로 감겨져 배치되어 있으며, 전력이 공급되면 전기장이 발생되는 코일형태의 전기코일;
    상기 전기보빈몸체의 상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상기 진동전달부가 삽입 접촉되도록 홈 형태의 전달지지홈을 가지고, 상하의 진동이 발생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진동발생몸체;
    상기 진동발생몸체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보빈몸체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체 형태로 구비된 상부자력체;
    상기 상부자력체의 하부에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보빈몸체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상기 진동발생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전기보빈몸체에 삽입 지지된 보빈삽입지지체; 및
    상기 전기보빈몸체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자력체와 마주보는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자력체에 척력이 작용하면서 설치되는 바닥의 경도와 상관 없이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하부자력체;를 포함하는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음원,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저장된 외부 음원으로부터 음원 정보를 추출하는 음원추출부;
    상기 음원추출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추출몸체부와 연결되어 외부음원을 통해서 추출된 음원정보, 설정된 정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정보, 원격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진폭과 주파수 및 추출시간을 조정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진동조정부; 및
    상기 진동조정부와 상기 진동발생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조정부에서 조정된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부의 진동 발생량을 제어하는 제어체;를 포함하는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1020200082684A 2020-07-06 2020-07-06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102356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684A KR102356832B1 (ko) 2020-07-06 2020-07-06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PCT/KR2021/008365 WO2022010180A1 (ko) 2020-07-06 2021-07-01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684A KR102356832B1 (ko) 2020-07-06 2020-07-06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181A true KR20220005181A (ko) 2022-01-13
KR102356832B1 KR102356832B1 (ko) 2022-01-28

Family

ID=7934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684A KR102356832B1 (ko) 2020-07-06 2020-07-06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6832B1 (ko)
WO (1) WO20220101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58602B (zh) * 2022-04-21 2023-02-28 上海乐纯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过滤功能的细胞治疗用培养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513A (ko) * 2017-07-07 2019-01-16 이상준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KR20190118385A (ko) * 2018-04-10 2019-10-18 (주)소닉더치코리아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3039B1 (it) * 2009-02-09 2012-04-11 Saeco Ipr Ltd "macchina automatica per la produzione di caffe' con sensore per il rilevamento della quantita' di caffe' nella macchina"
KR101843713B1 (ko) * 2017-03-08 2018-03-29 (주)소닉더치코리아 음악을 이용한 콜드브루 커피 추출장치
KR101964524B1 (ko) * 2017-08-29 2019-04-01 이상준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513A (ko) * 2017-07-07 2019-01-16 이상준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KR20190118385A (ko) * 2018-04-10 2019-10-18 (주)소닉더치코리아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832B1 (ko) 2022-01-28
WO2022010180A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62B1 (ko) 음파 진동을 이용한 콜드 브루 커피 추출 장치
US10744470B2 (en) Cold brew coffee extraction device for adjusting sonic vibration based on sound signal
US7391879B2 (en) Loudspeaker
KR102356832B1 (ko)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US10085913B2 (en) Massage device
KR102071624B1 (ko)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CN203845847U (zh) 一种摇摆式磁化器
KR20180100280A (ko) 사물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안마 의자 장치
KR20100088290A (ko)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KR20220066453A (ko)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파 진동을 이용해 저온의 물로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KR102061392B1 (ko)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TW200638781A (en) Loudspeaker with low-frequency oscillation
KR101964524B1 (ko)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KR102483246B1 (ko)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KR102470213B1 (ko)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JP6588166B2 (ja) 音響信号に基づいて音波振動を調整するコールドブリューコーヒー抽出装置
CN208756489U (zh) 一种震动按摩组件
CN104106947B (zh) 一种应用于摇椅的震动器
CN207117936U (zh) 一种可降低噪音的扬声器
KR101205397B1 (ko) 두드림 도포구
CN201226595Y (zh) 动磁式骨传导音频换能器
CN104556317A (zh) 一种摇摆式磁化器
CN209545401U (zh) 一种防止线性马达振动磁液飞散的结构
CN109089180B (zh) 摇摆装置及摇摆方法
CN210884657U (zh) 一种漆包线卷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