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385A -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385A
KR20190118385A KR1020180041630A KR20180041630A KR20190118385A KR 20190118385 A KR20190118385 A KR 20190118385A KR 1020180041630 A KR1020180041630 A KR 1020180041630A KR 20180041630 A KR20180041630 A KR 20180041630A KR 20190118385 A KR20190118385 A KR 20190118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ibration
unit
informatio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624B1 (ko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소닉더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닉더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소닉더치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4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62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외주연부의 접선 방향으로 교류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전류지지부; 상기 전류지지부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전류지지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교류 전류의 극성 변화에 의해 상기 전류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동되는 자기진동부; 상기 자기진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동을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유체로 전달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정정보만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을 조정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설정정보 및 사용자의 음성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을 조정하는 음성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Cold Brew Coffee Extractor Adjusting Sonic Vibration Based on Voice Recognizing Order}
본 발명은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상태로 분석하여 커피수용액에 담긴 용기에 가해지는 음파 진동을 조정할 수 있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드브루 커피란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우려낸 커피로서, 전통적인 방식에 따른 커피와 비교하여, 쓴맛이 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다. 이에 콜드브루 커피를 즐기는 인구 또한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한편, 콜드브루 커피는 제조방식에 따라 점출식 및 침출식 콜드브루 커피로 나뉘어진다. 점출식 콜드브루 커피는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물을 분쇄된 커피에 떨어뜨려 투과시킴으로써 제조되며, 침출식 콜드브루 커피는 분쇄된 커피를 물이 담긴 용기에서 우려냄으로써 제조된다. 다만, 콜드브루 커피는 어떠한 제조방식에 의하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어, 상업적 용도로 판매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다만, 상술한 콜드브루 커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침출식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로서, 본원의 발명자에 의한 선출원 등록특허(특허등록번호 제10-1630262호)가 등록 공고되어 있다.
그러나, 선출원 등록특허에 의하더라도, 바쁜 현대인들의 커피 문화를 고려하여, 시간적인 측면 및 감성적인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점은 여전히 남아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액이 담긴 용기에 가해지는 음파 진동을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서 조정함으로써, 현대인들의 커피 문화를 고려하여 시간적인 측면 및 감성적인 측면에서 커피추출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는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외주연부의 접선 방향으로 교류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전류지지부; 상기 전류지지부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전류지지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교류 전류의 극성 변화에 의해 상기 전류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동되는 자기진동부; 상기 자기진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동을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유체로 전달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정정보만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을 조정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설정정보 및 사용자의 음성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을 조정하는 음성조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성조정부는,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음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 각각은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조정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 각각에 포함된 진폭 및 주파수에 따라, 상기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조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음성을 입력 받아 음성의 진폭과 주파수가 포함되어 있는 음성 정보를 추출하는 음성입력부; 상기 음성입력부에서 추출된 상기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음성 속에 포함되어 있는 명령에 따라 상기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음성분석부; 및 상기 음성분석부와 상기 자기진동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자기진동부의 진동을 조정하는 진동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 각각은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음성조정부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자기진동부의 진동의 진폭이,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진폭과 상기 음성 정보에 포함된 진폭을 합산한 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 각각은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음성조정부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자기진동부의 진동의 주파수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주파수와 상기 음성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를 합산한 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분석부와 연결되어 상기 음성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음성과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을 비교하여 등록된 사용자 음성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개별 정보가 상기 음성 정보에 포함되어 상기 진동을 조절하도록 설치된 사용자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별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의 개인적인 취향, 및 바이오 리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음성분석부에 연결되어 상기 음력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음성의 성문을 사용자의 기분 상태에 따라 분석한 성문 정보가 상기 음성 정보에 포함되어 상기 진동을 조절하도록 설치된 성문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음성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음성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음성의 내용을 분석하고, 입력된 상기 음성 내용에 따라 답변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커피를 음용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추출농도의 콜드브루 커피가 추출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바이오 리듬에 맞는 개별 정보를 명령 정보와 합하여 진동을 조정함에 따라 콜드부르 커피가 취향에 맞게 추출되어 맛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음성의 성문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기분이 좋고 나쁨에 따른 상태에 따른 성문 정보를 명령 정보와 합하여 진동을 조정함에 따라 콜드부르 커피가 취향에 맞게 추출되어 맛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내는 외형도로서,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의 (a)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여, 도 1에 도시된 본체부 내부에 포함된 주요 구성요소들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체부에 포함된 구성으로서, 자기진동부의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음성조정부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체부의 작동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각각 설정정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의 (c) 및 (d)는 각각 음성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내는 외형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를 참조하면,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1)는 커피 수용액이 담긴 용기에 진동을 가하여 단시간에 콜드브루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1)는 본체부(10), 플레이트부(30), 표시부(50), 사용자 인터페이스(70), 및 음성조정부(8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체부(10)의 상면에 플레이트부(30)가 배치되고, 본체부(10)의 정면에 표시부(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70)가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0)와 플레이트부(3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표시부(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70) 또한 본체부(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본체부(10)와 원격으로 통신하여 상호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내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진동을 생성하고, 생성된 진동을 플레이트부(30)로 전달함으로써, 플레이트부(30)가 그 상면에 놓인 용기에 음파 진동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부(30)의 상면에는 유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유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로서, 실시예에 따라 분쇄된 커피와 물이 섞인 커피수용액을 담을 수 있다.
본체부(10)는 생성된 진동을 플레이트부(30)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용기에 음파 진동을 가하고, 이로써 상기 분쇄된 커피가 상기 물에 보다 용이하게 용해되도록 하여, 콜드브루 커피의 추출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는 진동을 생성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의 (a) 및 도 2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의 (a)는 플레이트부(30)를 포함하여, 도 1에 도시된 본체부 내부에 포함된 주요 구성요소들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체부(10)는 전류지지부(110), 자기진동부(130), 가이드부(150), 및 베이스부(17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냉각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류지지부(110)는 교류 전류를 입력받아 전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자기진동부(130)는 상기 전기장과 동일 영역에 자기장을 생성하고, 상기 전기장의 세기의 변화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전류지지부(110)는 상기 전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권취된 보이스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진동부(130)는 상기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마그넷 및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은 영구자석으로, 상기 패널은 자성체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플레이트부(30)와 베이스부(170) 사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플레이트부(30)와 베이스부(170)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플레이트부(30)와 베이스부(170)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해, 샤프트, 리니어부싱 베어링, 탄성스프링, 및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70)는 내부에 포함된 냉각부(190)와 함께 전류지지부(110) 및 자기진동부(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베이스부(170)는 상기 열의 신속한 방출을 위해,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표시부(50)는 본체부(10) 내부로부터 생성된 진동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50)는 본체부(10)의 작동모드(510), 상기 진동의 주파수(530), 세기(550), 및 진동 시간(570)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50)는 플레이트부(30)가 그 상면에 놓인 용기에 가하는 음파 진동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본체부(10)가 진동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받은 정보를 본체부(10)로 전달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30)는 본체부(10)가 생성한 진동을, 그 상면에 놓인 용기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는 전류지지부(110)에 입력되는 상기 교류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전류지지부(110)가 생성하는 전기장을 제어하고, 나아가, 상기 전기장의 세기의 변화에 따라 진동하는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을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류지지부(110)는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본체부(10)는 전류지지부(110)의 외주연부의 접선 방향으로 교류 전류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자기진동부(130)는 전류지지부(110)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고, 전류지지부(11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교류 전류의 극성 변화에 의해 전류지지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동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상기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의 조정을 위해 음성조정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의 조정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체부에 포함된 구성으로서, 자기진동부의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음성조정부(80)의 구성블록도이다.
음성조정부(80)는 자기진동부(13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분석을 통해서 음성에 포함되어 있는 명령에 따라 진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음성조정부(80)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음성입력부(810), 음성분석부(820), 진동조정부(830), 사용자분석부(840), 성문분석부(850), 및 음성출력부(860)를 포함한다.
음성입력부(810)는 사용자의 상기 음성을 입력 받아 음성의 진폭과 주파수가 포함되어 있는 음성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비된다.
음성분석부(820)는 음성입력부(810)에서 추출된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음성 속에 포함되어 있는 명령에 따라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음성분석부(820)는 음성입력부(810)에서 입력된 음성 정보에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농도에 관한 명령을 분석에 의해 인식하여 명령에 따른 진동수를 조정하고, 조정된 진동수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진한 커피"라고 제시하게 되면 음성입력부(810)에서 입력하여 음성 정보를 추출한다. 음성입력부(810)에서 추출된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진한"이라는 농도에 대한 명령에 따라 진동수와 진동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진동수와 진동시간에 따른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분석부(820)는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분석부(820)는 본체부(10)의 작동모드(이하 '작동모드'라 함; md)에 따라,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할 수 있다. 작동모드(md)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음성분석부(820)는, 작동모드(md) 이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70)로부터 설정 정보(pred_info)를 입력받고, 음성입력부(810)로부터 음성 정보(vc_info)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음성 정보(vc_info)는 음성입력부(810)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입력된 외부 음성(ex_vc)으로부터 추출된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음성분석부(820)는 작동모드(md), 설정 정보(pred_info), 및 음성 정보(vc_info)를 이용하여,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한다.
진동조정부(830)는 음성분석부(820)와 자기진동부(13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해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을 조정하도록 구비된다.
진동조정부(830)는 생성된 제어신호(ac_cont)를 통해,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신호(ac_cont)는 전류지지부(110)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사용자분석부(840)는 음성분석부(820)와 연결되어 음성입력부(810)에서 입력된 음성과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을 비교하여 등록된 사용자 음성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개별 정보에 따른 진폭과 주파수를 음성 정보(vc_info)에 포함하여 진동수와 진동시간을 조정하는 제어신호(ac_cont)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분석부(840)는 먼저,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음성, 취향, 및 바이오 리듬 등의 개별적인 정보인 개별 정보를 저장한다. 음성분석부(820)에서 음성의 분석 중에서 입력된 음성과 개별 정보의 음성을 비교하여 개별 정보와 일치 여부를 분석한다. 개별 정보의 음성과 입력된 음성이 일치하게 되면 개별 정보 내의 사용자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된 사용자의 취향과 바이오 리듬 상에 컨디션을 고려하여 진동수와 진동시간을 계산한다.
이렇게, 음성분석부(820)에서 분석된 명령과 개별 정보에서 산출된 진동수와 진동시간을 고려하여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ac_cont)는 진동조정부(830)를 거쳐서 자기진동부(130)를 진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성문분석부(850)는 음성분석부(820)에 연결되어 음성입력부(810)에서 입력된 음성의 성문을 사용자의 기분 상태에 따라 분석한 성문 정보가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 시 포함되어 진동을 조절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성문(Voiceprint, 聲紋)은 각 개인이 유일하게 지니는 음성 특성을 계량화한 것으로, 사람의 입과 목구멍의 모양을 바탕으로 수학적으로 공식화하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런, 성문은 사용자의 음성적인 특성을 계량화하여 분석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함에 있어 기분에 따른 음성량의 변화를 계량화 할 수 있다. 즉, 평상 시의 음성을 기준으로 음성의 높이가 높고 진폭이 크면 기분이 좋은 상태로 판단하고, 음성의 높이가 낮고 진폭이 작으면 기분이 나쁜 상태로 판단한다. 상술된 판단을 근거로 하여 성문분석부(850)는 음성분석부(820)에서 음성 분석 시에 음성에 포함된 성문을 분석하여 기분에 따른 성문 정보에서 산출된 진동수를 계산한다. 이렇게, 음성분석부(820)에서 분석된 명령과 성문 정보를 고려하여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ac_cont)는 진동조정부(830)를 거쳐서 자기진동부(130)를 진동시키도록 작동된다.
예를들어, 평상 시의 음성에서의 개인의 취향에 따른 농도에 따른 진동수를 기준으로 하여 기분이 좋은 상태에서는 커피의 농도를 묽게 하고, 기분이 나쁜 상태에서 커피의 농도를 진하게 하도록 진동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음성출력부(860)는 음성입력부(810)에 연결되어 음성입력부(810)에서 입력된 음성의 내용을 분석하고, 입력된 음성 내용에 따라 답변을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음성출력부(860)는 통상적으로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에 따라 답변을 하는 음성 인식에 따른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된 음성의 답변이 출력하면서 커피가 추출되는 진동의 정도를 음성으로 외부에 알리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음성조정부(80)가 작동모드(md)에 따라,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을 조정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4의 (a) 내지 (c)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체부의 작동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0)는 복수(2 이상)의 작동모드 하에서 작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10)가 제1 모드 및 제2 모드 하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음성조정부(8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70)를 통해 입력된 설정정보(pred_info)만을 기초로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을 조정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설정정보(pred_info) 및 외부 음성(ex_vc)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을 조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a) 내지 (c)에서, 음성조정부(8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설정정보(pred_info)만을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즉, 도 4의 (a)의 경우, T1; 도 4의 (b)의 경우, T3; 도 4의 (c)의 경우, T3-1) 동안 작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3분 이상 30분 이하의 범위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a) 내지 (c)에서, 음성조정부(8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설정정보(pred_info) 및 외부 음성(ex_vc)을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즉, 도 4의 (a)의 경우, T1; 도 4의 (b)의 경우, T3; 도 4의 (c)의 경우, T3-1) 동안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상기 외부 음성(ex_vc)의 재생시간보다 큰 경우, 음성조정부(80)는 명령 신호가 포함된 외부 음성 1, 개별 정보가 포함된 외부음성 2, 및 성문 정보가 포함된 외부음성 3으로 정의하여 복수의 외부 음성을 기초로 하여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조정부(80)는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외부 음성(즉, 도 4의 (a)의 경우, '외부음성'; 도 4의 (b)의 경우 '외부음성1')을 기초로 하여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외부 음성들(즉, 도 4의 (c)의 경우, '외부음성1, 외부음성2, 및 외부음성3')을 기초로 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음성조정부(80)가 설정정보(pred_info) 및/또는 외부 음성(ex_vc)을 기초로 하여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5의 (a) 내지 (d)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5의 (a) 및 (b)는 각각 설정정보(pred_info)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의 (c) 및 (d)는 각각 음성 정보(ex_vc)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설정정보(pred_info) 및 음성 정보(vc_info)는 각각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고, 음성 정보(vc_info)는 음성처리부(1400)에 의해 메모리(1600)에 저장된 외부 음성(ex_vc)으로부터 추출된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외부 음성(ex_vc)으로부터 진폭 및 주파수를 추출하기 위해, 소정의 주파수 대역이 선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성조정부(8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설정정보(pred_info)에 포함된 진폭 및 주파수에 따라,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조정부(8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설정정보(pred_info) 및 음성 정보(vc_info) 각각에 포함된 진폭 및 주파수에 따라,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음성조정부(8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의 진폭이, 설정정보(pred_info)에 포함된 진폭(즉, 도 5의 (a))과 음성 정보(vc_info)의 진폭(즉, 도 5의 (c))을 합산한 값으로 되도록,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음성조정부(8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의 주파수가, 설정정보(pred_info)에 포함된 주파수(즉, 도 5의 (b))와 음성 정보(vc_info)의 주파수(즉, 도 5의 (d))를 합산한 값으로 되도록,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체부(10)는 복수의 작동모드 하에서 작동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모드에서 작동하는 경우, 설정정보(pred_info) 뿐만 아니라, 외부 음성(ex_vc)을 기초로 하여, 자기진동부(130)를 진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는 설정정보(pred_info) 및 커피를 음용하는 사용자의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외부 음성(ex_vc)을 기초로 하여, 콜드브루커피가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에서 개별적인 취향과 바이오 리듬에 따라 진동수와 진동시간을 조절하여 사용자만의 특별한 커피 문화를 향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음성에서 기분에 따른 성문의 변화를 감지하여 기분에 따라 서로 다른 커피를 추출할 수 있어 다양한 커피 문화를 향유할 수 있습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10: 본체부
110 : 전류지지부 130 : 자기진동부
150 : 가이드부 170 : 베이스부
190 : 냉각부
30: 플레이트부
50: 표시부
70: 사용자 인터페이스
80 : 음성조정부
810 : 음성입력부 820 : 음성분석부
830 : 진동조정부 840 : 사용자분석부
850 : 성문분석부 860 : 음성출력부

Claims (9)

  1.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외주연부의 접선 방향으로 교류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전류지지부;
    상기 전류지지부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전류지지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교류 전류의 극성 변화에 의해 상기 전류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동되는 자기진동부;
    상기 자기진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동을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유체로 전달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정정보만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을 조정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설정정보 및 사용자의 음성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을 조정하는 음성조정부;를 포함하는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조정부는,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음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 각각은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조정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 각각에 포함된 진폭 및 주파수에 따라, 상기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조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음성을 입력 받아 음성의 진폭과 주파수가 포함되어 있는 음성 정보를 추출하는 음성입력부;
    상기 음성입력부에서 추출된 상기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음성 속에 포함되어 있는 명령에 따라 상기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음성분석부; 및
    상기 음성분석부와 상기 자기진동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자기진동부의 진동을 조정하는 진동조정부;를 포함하는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 각각은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조정부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자기진동부의 진동의 진폭이,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진폭과 상기 음성 정보에 포함된 진폭을 합산한 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 각각은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조정부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자기진동부의 진동의 주파수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주파수와 상기 음성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를 합산한 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분석부와 연결되어 상기 음성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음성과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을 비교하여 등록된 사용자 음성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개별 정보가 상기 음성 정보에 포함되어 상기 진동을 조절하도록 설치된 사용자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의 개인적인 취향, 및 바이오 리듬으로 이루어진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분석부에 연결되어 상기 음력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음성의 성문을 사용자의 기분 상태에 따라 분석한 성문 정보가 상기 음성 정보에 포함되어 상기 진동을 조절하도록 설치된 성문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음성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음성의 내용을 분석하고, 입력된 상기 음성 내용에 따라 답변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1020180041630A 2018-04-10 2018-04-10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102071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630A KR102071624B1 (ko) 2018-04-10 2018-04-10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630A KR102071624B1 (ko) 2018-04-10 2018-04-10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385A true KR20190118385A (ko) 2019-10-18
KR102071624B1 KR102071624B1 (ko) 2020-01-30

Family

ID=6846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630A KR102071624B1 (ko) 2018-04-10 2018-04-10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6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7194A (zh) * 2019-12-25 2020-06-19 厦门城市职业学院(厦门市广播电视大学) 一种智能咖啡机系统
WO2022010180A1 (ko) * 2020-07-06 2022-01-13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CN114343437A (zh) * 2022-01-14 2022-04-15 深圳市伊欧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语音识别的辅助烹饪系统及方法
KR20220077769A (ko) * 2020-12-02 2022-06-09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3161A (zh) * 2020-07-29 2020-12-08 北京理工大学 基于声音频谱特征识别的智能饮水机系统及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890A (ko) * 2001-10-25 2003-05-01 (주)인터루션 사용자의 음성정보 분석을 통한 사이버 비서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840599B1 (ko) * 2017-05-22 2018-03-21 이상준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890A (ko) * 2001-10-25 2003-05-01 (주)인터루션 사용자의 음성정보 분석을 통한 사이버 비서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840599B1 (ko) * 2017-05-22 2018-03-21 이상준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7194A (zh) * 2019-12-25 2020-06-19 厦门城市职业学院(厦门市广播电视大学) 一种智能咖啡机系统
WO2022010180A1 (ko) * 2020-07-06 2022-01-13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20220005181A (ko) * 2020-07-06 2022-01-13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20220077769A (ko) * 2020-12-02 2022-06-09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CN114343437A (zh) * 2022-01-14 2022-04-15 深圳市伊欧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语音识别的辅助烹饪系统及方法
CN114343437B (zh) * 2022-01-14 2023-08-04 深圳市伊欧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语音识别的辅助烹饪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624B1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624B1 (ko)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CA1310070C (en) Vocal tactile feedback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JP2017527323A (ja) 音波振動を用いたコールドブリューコーヒーの抽出装置
JP2016527049A (ja) 音響圧力を利用する振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人体刺激装置
US20180332996A1 (en) Cold brew coffee extraction device for adjusting sonic vibration based on sound signal
KR200467353Y1 (ko) 골 전도 기능을 갖는 마사지기
US9483922B2 (en) Shaker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of transmitting vibrational energy to recipients
Fuchs et al. The new bionic electro-larynx speech system
US2868876A (en) Vocal device
TW201806638A (zh) 聽覺訓練裝置、聽覺訓練方法及程式
KR101840599B1 (ko)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KR20190005513A (ko)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KR20220077769A (ko)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20210019712A (ko) 난청환자를 위한 청능 훈련시스템 및 청능 훈련방법
KR102356832B1 (ko)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TW200946098A (en) Vibroacoustic bathing system
Marozeau et al. COCHLEAR IMPLANTS CAN TALK BUT CANNOT SING IN TUNE.
CN108391197A (zh) 具有自适应调节功能的音箱及其自适应调节方法
US6903474B2 (e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CN105979446A (zh) 多股独立进出式无骨架音圈
JP4012970B2 (ja) 音声情報伝達装置
KR101843713B1 (ko) 음악을 이용한 콜드브루 커피 추출장치
CN211657989U (zh) 一种声波醒酒器
KR100496005B1 (ko) 음향-진동 변환장치
Guillot et al. Perceptual development of nasal consonants in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and in children who use cochlear im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