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220A - 밀폐형 혼련기의 더스트 스톱 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혼련기의 더스트 스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220A
KR20190005220A KR1020187035744A KR20187035744A KR20190005220A KR 20190005220 A KR20190005220 A KR 20190005220A KR 1020187035744 A KR1020187035744 A KR 1020187035744A KR 20187035744 A KR20187035744 A KR 20187035744A KR 20190005220 A KR20190005220 A KR 20190005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air
rotor
rotors
rotar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344B1 (ko
Inventor
나오후미 가네이
고이치 미야케
히카루 하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90005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7/04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01F27/70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comprising two or more shafts, e.g. in consecutive mixing chambers
    • B01F27/706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comprising two or more shafts, e.g. in consecutive mixing chambers with all the shafts in the sam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18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18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183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having a casing closely surrounding the rotors, e.g. of Banbury type
    • B29B7/186Ro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 B01F2015/00084
    • B01F2015/001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2035/35Use of other general mechanical engineering elements in mixing devices
    • B01F2035/351Sea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2035/35Use of other general mechanical engineering elements in mixing devices
    • B01F2035/353Lubric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805Mixing plastics, polymer material ingredients, monomers or olig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18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183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having a casing closely surrounding the rotors, e.g. of Banbu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29B7/7476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Plants
    • B29B7/7495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Plants for mixing 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Sealing Devices (AREA)
  • Mechanical Seal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윤활유의 양호한 공급이 가능한 밀폐형 혼련기(1)의 더스트 스톱 장치(14)가 제공된다. 밀폐형 혼련기(1)는 한 쌍의 로터(4)와 지지 부재(3, 9A, 9B)를 갖는다. 더스트 스톱 장치(14)는, 로터(4)에 설치되는 회전링(15)과, 지지 부재(3, 9A, 9B)에 설치되는 고정링(16)을 갖는다. 양쪽 링(15, 16)은 서로 면 접촉하는 접촉면(17, 19)을 갖는다. 고정링(16)은 관통 구멍을 갖는 윤활유 공급부(20)를 갖는다. 관통 구멍 중 접촉면(17)에 있어서 개구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은 회전링(15)의 회전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Description

밀폐형 혼련기의 더스트 스톱 장치
본 발명은, 밀폐형 혼련기에 마련되어 당해 밀폐형 혼련기의 내부에서 혼련되는 혼련물이 당해 밀폐형 혼련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 스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무, 플라스틱 등의 피혼련 재료를 혼련하는 배치식의 밀폐형 혼련기로서, 혼련실을 둘러싸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당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로터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한 쌍의 로터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혼련실에 압입된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피혼련 재료를 혼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원하는 혼련 상태로 된 혼련물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혼련실(중공부)을 구비한 상기 하우징은, 그 축방향의 양측에 배치되는 프레임 부재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로터는, 상기 혼련실에 수용되어 피혼련 재료를 혼련하는 본체부와, 당해 본체부의 양단부면으로부터 각각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축부를 가지고, 당해 한 쌍의 축부는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를 초과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혼련실 내에서의 상기 각 로터의 본체부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서, 당해 본체부의 단부면과 상기 프레임 부재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혼련실은 그 간극을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혼련실 내의 혼련물이 상기 간극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종래의 밀폐형 혼련기는, 혼련실 내의 혼련물이 외부로 누출을 방지하는 더스트 스톱 장치를 더 구비한다. 이 더스트 스톱 장치는, 상기 혼련실을 밀폐하도록, 상기 로터의 본체부와 프레임 부재의 각각에 면 접촉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로터의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부재 중 상기 본체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당해 본체부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한다. 이 미끄럼 이동 시, 상기 부재의 접촉면과 상기 로터의 본체부의 접촉면 사이에서의 마찰력이 크면, 더스트 스톱 장치가 현저하게 발열하거나 마모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접촉면끼리의 사이에는 상기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윤활유가 공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윤활유의 공급이 가능한 더스트 스톱 장치로서는, 하기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일본 실용 신안 공고 소61-29467호 공보)은, 로터의 플랜지 단부면을 구성하며 로터 샤프트를 도입하는 환형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로터 샤프트의 외주면과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하여, 요크를 통해 상기 플랜지 단부면에 압박되며 또한 회전 방지된 환형 더스트 스톱 링을 구비하는 혼련기의 압착형 더스트 스톱 조립체를 개시한다. 상기 더스트 스톱 링은 제1 링과 제2 링으로 분할되고, 그 분할 단부면끼리가 접합 분리 가능해지도록 조립된다. 상기 제1 링 및 상기 제2 링은, 냉각수의 둘레 방향의 도통을 허용하는 도통 재킷이 형성된 외주면을 각각 갖는다. 당해 더스트 스톱 조립체는, 상기 제1 및 제2 링의 도통 재킷끼리를 연통하는 연락관과, 상기 도통 재킷의 한쪽에 접속되는 냉각수 공급관과, 다른 쪽에 접속되는 냉각수 배출관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링 각각에는, 당해 제1 및 제2 링이 상기 플랜지 단부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축방향의 윤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일본 특허 공고 평2-32014호 공보)는, 합성 수지, 고무 등을 포함하며 혼련기의 로터축을 축봉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혼련기에서는,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로터축 사이에 좁은 간극이 유지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로터축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시일링과, 당해 시일링과 상기 로터축 사이에 감입되는 O링과,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상기 시일링을 압박하는 스프링을 갖는다. 상기 시일링은 자기 윤활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되는 더스트 스톱 장치는, 모두 하우징측에 구비된 환형 고정링과, 로터의 본체부와 함께 회전하는 환형 회전링을 구비한다. 당해 고정링 및 당해 회전링은 혼련실을 밀폐하도록 서로 면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고, 로터 회전 시에는 당해 접촉면(시일면)이 서로 미끄럼 이동한다. 이렇게 미끄럼 이동하는 2개의 링의 마모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상기 고정링에 마련된 윤활유 공급부(공급구)를 통하여 상기 접촉면끼리의 사이에 윤활유가 공급된다.
그러나, 혼련 시에는 로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윤활유의 상기 접촉면 전역으로의 양호한 공급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상세하게는, 혼련 시에 있어서의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상기 회전링의 접촉면 상에서 직경 방향 외향으로 이동하는 윤활유의 양을 증가시켜 직경 방향 내측에 공급되는 윤활유의 양을 저감시켜버린다. 이것은, 상기 양쪽 링의 마모나 번인을 촉진시켜 더스트 스톱 장치를 손상에 이르게 할 우려가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61-2946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평2-32014호 공보
본 발명은 밀폐형 혼련기의 더스트 스톱 장치이며, 각각이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고정링 및 회전링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접촉면에 대한 윤활유의 양호한 공급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공되는 것은, 축심이 서로 평행해지도록 소정의 간극을 두고 인접하게 배치됨과 함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로터와, 당해 한 쌍의 로터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함과 함께 당해 한 쌍의 로터의 축방향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갖는 배치식의 밀폐형 혼련기에 마련되고, 상기 로터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한 쌍의 로터에서 혼련된 혼련물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는 더스트 스톱 장치로서,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하게 당해 로터에 설치되는 회전링과,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고정링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링 및 상기 회전링은 서로 대향하면서 면 접촉하는 접촉면을 각각 갖는다. 상기 고정링은, 당해 고정링 및 상기 회전링의 각각의 접촉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부를 갖는다. 상기 윤활유 공급부는, 상기 고정링의 상기 접촉면과 그 반대측의 면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다. 당해 관통 구멍 중 적어도 상기 접촉면에 있어서의 개구를 포함하는 부분은 상기 회전링의 회전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은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링의 회전의 접선 방향인 회전 접선 방향에 합치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링의 회전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당해 긴 구멍이 당해 회전링의 회전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변위하도록 상기 회전 접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밀폐형 혼련기의 혼련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밀폐형 혼련기의 더스트 스톱 장치 및 그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평면도로서 도 1에 있어서의 원 II로 둘러싸인 부분 및 그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더스트 스톱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 평면도로서 상기 원 II로 둘러싸인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더스트 스톱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링의 정면도이며, 그 고정링에 마련되는 윤활유 공급부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더스트 스톱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링의 정면도이며, 그 고정링에 마련되는 윤활유 공급부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윤활유 공급부에 의해 접촉면에 공급되는 윤활유의 양과 상기 더스트 스톱 장치의 마모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이며, 그 구체예로 본 발명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본 실시 형태에 개시 내용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배치식의 밀폐형 혼련기(1)를 나타낸 단면 평면도이다. 도 1의 지면의 좌측이 당해 밀폐형 혼련기(1)의 「구동측」, 당해 지면의 우측이 당해 밀폐형 혼련기(1)의 「반구동측」에 각각 상당한다. 또한, 단면 평면도인 도 1에 있어서, 도 1의 지면의 상측이 밀폐형 혼련기(1)의 「폭 방향 좌측」, 지면의 하측이 밀폐형 혼련기(1)의 「폭 방향 우측」에 각각 상당한다. 또한, 도 1의 지면의 법선 방향의 전방측이 밀폐형 혼련기(1)의 「상측」, 당해 법선 방향의 안측이 「하측」에 상당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형 혼련기(1)는 한 쌍의 로터(4)와, 하우징(3)과, 한 쌍의 지지 프레임(9A, 9B)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로터(4)는, 각각의 축심이 서로 평행해지도록 소정의 간극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3)은 혼련실(2)을 둘러싸고, 당해 혼련실(2) 내에 한 쌍의 로터(4)를 수납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9)은 상기 하우징(3)의 축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당해 하우징(3)과 함께, 상기 한 쌍의 로터(4)를 수용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한 쌍의 로터(4)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혼련실(2)에 압입된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피혼련 재료를 혼련하고, 이에 의해 원하는 혼련 상태로 된 혼련물을 상기 하우징(3)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한 쌍의 로터(4) 각각은, 피혼련 재료를 혼련하는 본체부(5)와, 그 본체부(5)의 양단부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축부(6A, 6B)를 갖는다. 이들 본체부(5) 및 한 쌍의 축부(6A, 6B)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로터(4)의 축방향 양단부에 상당하는 상기 축부(6A, 6B)는 각각 베어링(8)을 통해 상기 하우징(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렇게 베어링(8)에 의해 지지된 축부(6)와 함께 상기 본체부(5)가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본체부(5)는, 피혼련 재료를 혼련하는 날개(7)가 형성된 외주면을 갖는 어느 로터(4)의 날개(7)도 축심 방향(축선)에 대하여 비틀어진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혼련실(2) 내에 압입된 피혼련 재료가 잘 혼련되도록, 우측의 로터(4)의 본체부(5)에 형성되어 있는 날개(7)의 축방향의 흐름과 좌측의 로터(4)의 본체부(5)에 형성되어 있는 날개(7)의 축방향의 흐름이 서로 역방향으로 되도록 각 날개(7)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축부(6A, 6B) 중, 반구동측의 축부(6B)는, 하우징(3)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지 않지만, 구동측의 축부(6A)는 하우징(3)보다도 더욱 축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당해 축부(6A)에는, 로터(4)를 구동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구동 기구가 접속되어 있다. 당해 구동 기구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한 쌍의 로터(4)에 입력함으로써 당해 한 쌍의 로터(4)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상기 혼련실(2)은, 직경 방향에 대해서는 상기 하우징(3)에 의해 둘러싸인 한편, 로터(4)의 축방향에 대해서는 구동측 및 반구동측의 양쪽으로 개구되어 있다. 즉, 상기 하우징(3)의 본체 부분은 상기 로터(4)의 축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혼련실(2)을 둘러싸는 통 형상을 이룬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혼련실(2)은, 한 쌍의 원주상의 공동의 외주의 일부끼리가 서로 중첩되게 당해 한 쌍의 공동이 좌우 평행하게 배열된 형상을 갖는다. 즉, 로터(4)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의 당해 혼련실(2)의 단면은 좌우(폭) 방향을 향하는 눈썹형 형상을 갖는다.
상기 한 쌍의 로터(4)는, 상기 한 쌍의 공동(공간)의 각각에 당해 공동의 축심과 각 로터(4)의 축심이 대략 일치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로터(4)는,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혼련실(2) 내에, 서로 병행하면서 또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혼련실(2)의 상부에는, 상방을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 개구부의 상방에는, 피혼련 재료를 상하 방향을 따라서 안내하는 재료 안내로가 마련되어 있다. 그 재료 안내로의 상방에는, 개구 가능한 호퍼(투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밀폐형 혼련기(1)에서는, 호퍼로부터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모재에 첨가제 등이 배합된 피혼련 재료가 투입되면, 재료 안내로로 안내되어 개구부를 거쳐, 혼련실(2) 내에 압입된다.
혼련실(2)에 압입된 피혼련 재료는, 날개(7)의 비틀림 방향이 동일하며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고, 또한 혼련실(2)의 내벽을 쓸듯이 회전하고 있는 본체부(5)의 당해 날개(7)에 의해, 혼련된다. 혼련된 혼련물은, 혼련실(2)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혼련실(2)의 외부로 배출된다. 당해 혼련물의 배출 후, 상기 혼련실(2)의 배출구가 폐색되어 상기 호퍼로부터 다음 배치의 피혼련 재료가 투입되고, 혼련실(2) 내에 압입된다. 이러한 배치식의 혼련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상술한 밀폐형 혼련기(1)에서의 혼련이 행해진다.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9A, 9B)은, 상기 하우징(3)을 그 축방향의 양측 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 부재(9A, 9B) 각각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의 구동측의 단부 및 반구동측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이 한 쌍의 프레임 부재(9A, 9B)는,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개방되어 있는 상기 하우징(3)을, 그 내측의 혼련실(2)을 로터(4)의 축심 방향으로 막도록 하면서 지지한다. 즉, 당해 한 쌍의 프레임 부재(9)는 상기 혼련실(2)을 상기 축방향으로 집듯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9A, 9B) 각각에는, 한 쌍의 관통 구멍(10)이 마련되고, 당해 한 쌍의 관통 구멍(10)에 각각 상기 한 쌍의 로터(4) 각각의 축부(6A, 6B)가 삽입 관통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의 반구동측에 위치하는 프레임 부재(9B)의 한 쌍의 관통 구멍(10)에는, 반구동측의 축부(6B)가 각각 삽입 관통되고, 하우징(3)의 구동측에 위치하는 프레임 부재(9A)의 한 쌍의 관통 구멍(10)에는, 구동측의 축부(6A)가 각각 삽입 관통된다. 즉, 각 로터(4)의 축부(6A, 6B)는, 프레임 부재(9A, 9B)에 각각 형성된 각 관통 구멍(10)을 통하여 상기 로터(4)의 본체부(5)의 단부면으로부터 각 프레임 부재(9A, 9B)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혼련실(2)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9A, 9B)와 상기 하우징(3)에 의해, 기본적으로는 폐쇄되지만, 혼련실(2) 내에 배치된 로터(4)의 본체부(5)의 축방향 양단부면과, 각 프레임 부재(9A, 9B)의 내측면, 즉, 상기 혼련실(2)에 면하는 벽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본체부(5)의 회전을 행하기 위한 작은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그 간극을 통하여 혼련실(2) 내의 혼련물이 혼련실(2)의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 밀폐형 혼련기(1)는 상기 간극을 통한 혼련물의 누출(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더스트 스톱 장치(14)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더스트 스톱 장치(14) 각각은, 상기 혼련실(2)의 내부와 외부의 연통을 차단하여 당해 혼련실(2)을 밀폐 상태로 유지하게, 상기한 간극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혼련실(2) 내에 한 쌍의 로터(4)가 배치된 밀폐형 혼련기(1)에 있어서는, 각 로터(4)의 축방향 양단부, 즉, 축부(6A, 6B)의 각각에 상기 더스트 스톱 장치(14)가 배치된다. 즉, 도 1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로터(4)의 구동측의 축부(6A) 및 반구동측의 축부(6B) 각각에 대응하는 합계 4군데에 상기 더스트 스톱 장치(14)가 배치된다.
이후의 더스트 스톱 장치(14)의 설명은, 도 1에 있어서 원 II로 둘러싸인 부분에 주목하여 행해진다. 도 2는, 당해 원 II로 둘러싸인 부분 및 그 근방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더스트 스톱 장치(14) 전체를 나타낸 단면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원 II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만을 확대한 도면이며, 더스트 스톱 장치(14) 중 윤활유 공급 경로를 포함하는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 평면도이다.
상세하게는, 더스트 스톱 장치(14)는, 혼련실(2) 내에서 회전하는 로터(4)의 본체부(5)의 단부면(본체부(5)와 축부(6)의 경계에 위치하는 부위)에 면 접촉하는 부재와, 하우징(3)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로터(4)의 축부(6A, 6B)를 각각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9A, 9B)의 내측면, 즉, 혼련실(2)에 면하는 벽면에 면 접촉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즉, 당해 더스트 스톱 장치(14)는, 로터(4)의 축부(6A, 6B)가 각각 관통하는 관통 구멍(10)을 둘러싸는 지지 프레임(9A, 9B)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더스트 스톱 장치(14)는, 한 쌍의 로터(4)의 축부(6A, 6B) 각각에 대하여 배치된다. 각 더스트 스톱 장치(14)는, 각 로터(4)와 함께 회전하게 당해 로터(4)에 설치되는 회전링(15)과, 상기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9A, 9B) 각각에 설치되는 고정링(16)을 구비한다. 회전링(15)과 고정링(16)은, 각각 서로 면 접촉하는 접촉면(17, 19)을 갖는다. 당해 접촉면(17, 19)은, 로터(4)의 회전에 따라서 서로 밀착하면서 그 로터(4)의 회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이렇게 서로 미끄럼 이동하는 접촉면(17, 19)에는, 당해 접촉면(17, 19)의 마모를 저감시키기 위한 윤활유가 공급된다.
상기 회전링(15)은 각 로터(4)의 본체부(5)의 축방향의 단부면에 고정되어 있고, 로터(4)와 함께 회전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로터(4)의 본체부(5)의 날개(7) 중 축방향에 대하여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단부면에 로터(4)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링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링 형상의 홈에 상기 회전링(15)이 압입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회전링(15)은 상기 링 형상의 홈 내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당해 내경보다도 약간 큰 외경을 갖는 환형 박판 부재이며, 그 링 형상의 홈에 안으로 끼워지도록 로터(4)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링(15)은 또는, 축부(6A, 6B)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당해 외경보다도 약간 작은 내경을 갖는 환형 박판 부재로서 축부(6)의 기단부(본체부(5)에 인접하는 부분)의 외주면에 감합되도록 로터(4)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회전링(15)은, 이후에도 설명하는 상기 고정링(16)의 직경 방향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직경 방향의 두께를 갖는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링(15)과 고정링(16)은 서로 거의 동일한 내경 및 외경을 갖는다. 또한, 당해 회전링(15)은 간극을 확실하게 막기에 충분한 축방향의 길이(두께)를 갖는다.
상기 고정링(16)은, 상기 회전링(15)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게, 또한 프레임 부재(9A, 9B)에 있어서 각 관통 구멍(10)을 둘러싸는 내주면을 따르도록, 당해 프레임 부재(9A, 9B)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링(16)은, 로터(4)의 본체부(5)의 단부면에 설치된 상기 회전링(15)에 대하여 축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당해 고정링(16)은, 당해 고정링(16)의 상기 접촉면(19)과 상기 회전링(15)의 상기 접촉면(17)이 서로 축방향에 대향하면서 면 접촉하게 배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링(16)은, 상기 관통 구멍(10)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당해 내경보다도 약간 큰 외경을 갖는 환형 박판 부재로서, 그 관통 구멍(10)에 안으로 끼워지도록 프레임 부재(9A, 9B)에 설치된다. 즉, 고정링(16)은, 프레임 부재(9A, 9B)에 형성된 관통 구멍(10)에 압입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상기 고정링(16)은 상기 프레임 부재(9A, 9B)에 완전히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기 관통 구멍(10) 내에서 상기 로터(4)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변위 가능해지도록 프레임 부재(9A, 9B)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상기 밀폐형 혼련기(1)는 압박력 부여 기구(13)를 더 구비한다. 당해 압박력 부여 기구(13)는, 상기와 같이 프레임 부재(9A 또는 9B)에 설치된 고정링(16)을 혼련실(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하고, 이에 의해, 고정링(16)의 접촉면(19)과 회전링(15)의 접촉면(17)을 밀착시켜 혼련실(2)의 밀폐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한다.
상기 압박력 부여 기구(13)는 레버(24)와, 구속 도구(26)와, 압박 실린더(28)와, 압박 부재(30)를 갖는다. 상기 레버(24)는 상기 로터(4)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당해 로터(4)의 축심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9A, 9B)에 고정되는 내측 단부와, 그 반대측의 외측 단부를 갖는다. 상기 구속 도구(26)는, 상기 레버(24)의 중간 부분을 관통하면서 상기 로터(4)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자세로 상기 프레임 부재(9A, 9B)의 외측면에 맞닿게 배치되는 볼트와, 당해 볼트에 장착되며 상기 레버(24)의 중간 부분을 외측으로부터 구속하는 너트를 갖는다. 압박 실린더(28)는, 상기 레버(24)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실린더 본체와, 상기 로터(4)의 축방향과 평행한 신축 방향으로 변위되는 로드를 가지고, 당해 로드가 상기 지지 프레임(9A, 9B)에 설치된다. 당해 압박 실린더(28)는, 당해 로드의 신장에 의해 상기 레버(24)의 외측 단부를 지지 프레임(9A, 9B)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이에 의해 당해 레버(24)의 내측 단부를 지지 프레임(9A, 9B)에 가까워지는 방향인 압박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압박 부재(30)는 상기 레버(24)의 내측 단부와 상기 고정링(16) 사이에 개재하여, 당해 내측 단부의 당해 압박 방향의 변위에 따라서 상기 고정링(16)의 접촉면(19)을 상기 회전링(15)의 접촉면(17)에 압박한다. 또한, 당해 압박 부재(30)는 상기 고정링(16)과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회전링(15)의 회전과 동일한 방향의 고정링(16)의 회전을 저지한다.
또한, 이 압박력 부여 기구(13)의 구체적인 구성은 불문한다. 또한, 고정링(16)이 완전히 프레임 부재(9A, 9B)에 고정되어 압박력 부여 기구가 생략되어도 된다.
상기 각 더스트 스톱 장치(14)는 적어도 하나의 윤활유 공급부(20)를 포함한다. 당해 윤활유 공급부(20)는 상기 고정링(16)에 마련되고, 그 고정링(16)의 접촉면(19)과 당해 접촉면(19)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상기 회전링(15)의 접촉면(17)의 전역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이며, 그 형상에 대해서는 각종 설정이 가능하다. 이하, 당해 윤활유 공급부(20)의 구체적인 형상에 관한 제1 예 및 제2 예를 각각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제1 예에 관한 윤활유 공급부(20)를 포함하는 고정링(16)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고정링(16)은 복수, 구체적으로는 계 6개의 상기 윤활유 공급부(20)를 갖는다. 당해 복수의 윤활유 공급부(20)는 정면에서 보아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복수의 윤활유 공급부(20)는, 로터(4)의 회전 원심력에 의한 윤활유의 유동 방법 등을 고려하여 부등간격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고정링(16)은 적어도 하나의 윤활유 공급부(20)를 갖고 있으면 되고, 당해 윤활유 공급부(20)의 수는 예를 들어 3개여도 된다.
이 윤활유 공급부(20)는, 상기 고정링(16)의 접촉면(19), 즉, 회전링(15)의 접촉면(17)과 면 접촉하는 면과, 당해 접촉면(17)과 반대측의 축방향의 단부면인 외측면(18)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윤활유 공급부(20)에는 윤활유 공급 장치가 접속된다. 당해 윤활유 공급 장치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압주유기(壓注油器), 당해 압주유기에 접속되는 윤활유 공급 배관(11), 당해 윤활유 공급 배관(11)에 접속되는 공급 노즐(12)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구조에서는, 상기 공급 노즐(12)이 상기 압박 부재(30)를 축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당해 공급 노즐(12)의 선단부가 상기 외측면(18)으로부터 상기 윤활유 공급부(20)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의 입구 부분(도 2 및 도 3에서는 좌측 부분)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윤활유 공급부(20)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 중 적어도 상기 접촉면(19)에 있어서의 개구를 포함하는 출구 부분은, 상기 회전링(15)의 회전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본 발명에 말하는 「긴 구멍」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긴 구멍 외에도, 상기 회전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형 구멍」이나 「가늘고 긴 홈」 등도 포함한다. 즉, 윤활유 공급부(20)를 구성하는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이 고정링(16)의 원주 접선 방향에 따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후,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은 길이 방향이라고도 불리고, 긴 구멍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은 긴 구멍의 폭 방향이라고도 불린다.
바꾸어 말하면, 도 4에 도시되는 윤활유 공급부(20)를 구성하는 긴 구멍은, 그 길이 방향이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회전링(15)의 회전 접선 방향, 즉, 도 4에 있어서 화살표 Ar에 의해 나타내는 방향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회전링(1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21)까지의 반경 방향의 거리와, 회전링(1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22)까지의 반경 방향의 거리가 동등하다.
도 4에 도시되는 윤활유 공급부(20)는, 고정링(16)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고정링(16)의 내주와 외주의 대략 중간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윤활유 공급부(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공급 노즐(12)은, 고정링(16)의 정면에서 보아,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이며 또한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공급 노즐(12)의 배치 위치는 일례이다.
상기 윤활유 공급부(20) 중 상기 공급 노즐(12)의 좌우 양측, 즉,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에 관한 양측에 위치하는 공간,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면(17)을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긴 구멍의 좌측 부분(회전링(15)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단부(21)를 포함하는 부분) 및 우측 부분(회전링(15)의 회전 방향 상류측의 단부(22)를 포함하는 부분)은, 윤활유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공간인 저류부(23), 즉, 기름 고임부를 구성한다.
상기 윤활유 공급부(20) 중 적어도 고정링(16)의 상기 접촉면(17)에 있어서의 개구(즉, 출구)를 포함하는 부분(출구 부분)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면 되고, 예를 들어 윤활유 공급부(20) 중 상기 고정링(16)의 외측면(18)에 있어서의 개구(즉, 입구)를 포함하는 부분(입구 부분)은, 긴 구멍이 아니어도 된다. 당해 입구 부분은 단순한 원형의 구멍이어도 된다. 또는, 윤활유 공급부(20)가 고정링(16)의 두께 방향(로터(4)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전역에 걸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고정링(16)에 마련되어 있는 윤활유 공급부(20)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 중 적어도 상기 접촉면(17)에 있어서의 개구를 포함하는 부분이, 회전링(15)의 회전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긴 구멍인 것은, 상기 공급 노즐(12)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가 상기 긴 구멍의 저류부(23), 즉, 당해 공급 노즐(12)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일시적으로 저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해, 고정링(16) 및 회전링(15)의 접촉면(19, 17)으로의 윤활유의 공급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2 예에 관한 윤활유 공급부(20)를 포함하는 고정링(16)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도 5 중의 지면에 있어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윤활유 공급부(20)에 주로 주목하여 행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제2 예에 관한 윤활유 공급부(20)의 구성은, 당해 윤활유 공급부(20)의 정면에서 본 형상을 제외하고, 도 4에 도시되는 제1 예에 관한 윤활유 공급부(2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되는 고정링(16)에서도 계 6개의 윤활유 공급부(20)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당해 고정링(16)은 적어도 1개(예를 들어 3개)의 윤활유 공급부(20)를 갖고 있으면 되고, 당해 윤활유 공급부(20)의 개수 및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로터(4)의 회전 원심력에 의한 윤활유의 흐름 방법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윤활유 공급부(20)가 부등간격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제2 예에 관한 윤활유 공급부(20)도, 제1 예와 동일하게, 고정링(16)의 접촉면(17)과 그 반대측의 면, 즉, 외측면(18)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며, 그 중 적어도 상기 고정링(16)의 접촉면(17)에 있어서의 개구를 포함하는 출구 부분이 긴 구멍이다. 또한, 이 제2 예에 관한 윤활유 공급부(20)에서는, 제1 예와 달리,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이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링(15)의 회전 접선 방향에 대하여, 당해 회전 방향의 하류측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당해 긴 구멍이 고정링(16)의 내주에 근접하는(즉, 회전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링(15)의 회전 방향이 도 5의 화살표 Ar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도 5의 지면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는 방향(반시계 방향)인 경우, 상기 윤활유 공급부(20)를 구성하는 긴 구멍의 좌측 단부(회전 방향 하류측의 단부(21))가, 우측 단부(회전 방향 상류측의 단부(22))보다도 고정링(16)의 내주 근처에 위치하도록,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이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링(16)의 회전 접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각 α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회전링(1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긴 구멍의 일단부(회전 방향 하류측의 단부(21))까지의 반경 방향의 거리가, 회전링(1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긴 구멍의 타단부(회전 방향 상류측의 단부(22))까지의 반경 방향의 거리보다도 크다.
이와 같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이 회전링(15)의 회전 둘레 방향에 따른 방향이다」라는 것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길이 방향이 회전 접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형태도 포함한다는 뜻이다. 즉, 도 5에 도시되는 윤활유 공급부(20)를 구성하는 긴 구멍은, 회전링(15)의 회전 둘레 방향을 따르면서 당해 회전링(15)의 회전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고정링(16)의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완만하게 이행하는 형상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 α, 즉,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축선과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 중심에 있어서의 회전링(15)의 회전 접선 방향이 이루는 각은, 접촉면(17, 19)에 대한 윤활유의 공급 범위를 고려하면, 0°보다도 크고 45° 이하가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정링(16)의 형상을 고려하면, 상기 경사각 α는 0°보다도 크고 25°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내는 제2 예에서는, 상기 공급 노즐(12)은, 상기 고정링(16)의 접촉면(17)을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긴 구멍의 중앙 위치보다도 우측 단부(회전 방향 상류측의 단부(2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윤활유 공급부(20)를 구성하는 긴 구멍 중 상기 공급 노즐(12)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 하류측의 부분, 즉, 길이 방향 중도부로부터 좌측 단부(회전 방향 하류측의 단부(21))에 이르기까지의 부분, 이 윤활유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부(23)(기름 고임부)를 구성한다. 이 윤활유 공급부(20)에 있어서의 공급 노즐(12)의 배치 위치도 일례이다.
이 제2 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 노즐(12)로부터 공급된 윤활유 중 일부는, 회전링(1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도 5에 있어서의 윤활유 공급부(20)의 우측 단부, 즉, 회전 방향 상류측의 단부(22)로부터 회전링(15)의 회전 반경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흘러가고, 이에 의해 당해 회전링(15) 및 상기 고정링(16)의 접촉면(17, 19)을 윤활시킨다. 나머지 윤활유는 상기 긴 구멍을 따라서 고정링(16)의 내주를 향하여 흘러가고, 저류부(23)에서 일시적으로 저류되며, 고정링(16) 및 회전링(15)의 내주측의 접촉면(19, 17)을 윤활시킨다.
따라서, 상기 윤활유 공급부(20)를 구성하는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은, 상기 회전링(15)의 회전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당해 긴 구멍이 당해 회전링(15)의 회전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회전링(15)의 회전 접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이, 보다 넓은 영역에 걸친 접촉면(17, 19)에 대한 윤활유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이 제2 예에서도 상기 윤활유 공급부(20) 중, 적어도 고정링(16)의 접촉면(17)에 있어서의 개구(즉, 출구)를 포함하는 출구 부분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면 되고, 예를 들어 윤활유 공급부(20) 중 상기 고정링(16)의 외측면(18)에 있어서의 개구(즉, 입구)를 포함하는 입구 부분은 긴 구멍이 아니어도 된다. 당해 입구 부분은 단순한 원형의 구멍이어도 된다. 또는, 윤활유 공급부(20)가 고정링(16)의 두께 방향(로터(4)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전역에 걸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1 및 제2 예에 관한 윤활유 공급부(20)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도 6에 나타내는 고정링(16)의 마모 시험의 결과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 표시로 나타낸 점은 상기 제1 예에 대하여 행해진 마모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 표시로 나타낸 점은 상기 제2 예에 대하여 행해진 마모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 표시로 나타낸 점은 윤활유 공급부(20)를 구성하는 긴 구멍이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회전링(15)의 회전 접선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 예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경사지는 비교예에 대하여 행해진 마모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 표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예에 의하면, 약 0.05(cc/sec)의 유량으로 윤활유가 공급되었을 때의 고정링(16)의 마모량은 약 4.5㎛이며, 약 0.11(cc/sec)의 유량으로 윤활유가 공급되었을 때의 고정링(16)의 마모량은 약 3.8㎛이며, 약 0.22(cc/sec)의 유량으로 윤활유가 공급되었을 때의 고정링(16)의 마모량은 약 3.9㎛이다. 즉, 윤활유 공급부(20)를 구성하는 긴 구멍이 도 4에 도시되는 형상을 갖는 경우, 고정링(16)의 마모량은 4㎛ 전후로 억제되어 있으며, 마모 저감의 효과가 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의 ▲ 표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예에 의하면, 약 0.05(cc/sec)의 유량으로 윤활유가 공급되었을 때의 고정링(16)의 마모량은 약 1.9㎛이며, 약 0.11(cc/sec)의 유량으로 윤활유가 공급되었을 때의 고정링(16)의 마모량은 약 1㎛이며, 약 0.22(cc/sec)의 유량으로 윤활유가 공급되었을 때의 고정링(16)의 마모량은 약 0.8㎛이다. 즉, 윤활유 공급부(20)를 구성하는 긴 구멍이 도 5에 도시되는 형상을 갖는 경우, 고정링(16)의 마모량이 2㎛ 미만으로 억제되고, 제1 예보다도 더욱 마모량이 저감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의 ◆ 표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비교예, 즉, 윤활유 공급부(20)를 구성하는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이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회전링(15)의 회전 접선 방향에 대하여 제2 예와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예에서는, 약 0.05(cc/sec)의 유량으로 윤활유가 공급되었을 때의 고정링(16)의 마모량은 약 10.3㎛이며, 약 0.11(cc/sec)의 유량으로 윤활유가 공급되었을 때의 고정링(16)의 마모량은 약 12㎛이며, 약 0.22(cc/sec)의 유량으로 윤활유가 공급되었을 때의 고정링(16)의 마모량은 약 11.5㎛이다. 즉, 상기 비교예에서는, 고정링(16)의 마모량이 10㎛를 초과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예에 관한 윤활유 공급부(20)는 비교예에 관한 윤활유 공급부(20)과 비교해도 매우 우수한 마모 저감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윤활유 공급부(20)를 비교예와 같은 형상으로 하면, 회전링(1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접촉면(19)에 공급되는 윤활유가 거의 모두, 미끄럼 이동하고 있는 두 링(15, 16)의 외측으로 흘러나가, 기름 고갈을 일으켜버릴 우려가 있다. 특히 고정링(16) 내주측에, 윤활유가 공급되기 어려워진다고 생각된다.
즉, 윤활유 공급부(20)의 긴 구멍 형상을 비교예로 한 경우, 두 링(15, 16)이 심하게 마모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윤활유 공급부(20)를 구성하는 긴 구멍의 형상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이 일정하며 전체가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소위 스트레이트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해 긴 구멍의 형상은, 긴 구멍의 위치에 따라서 길이 방향이 변화되는 형상, 예를 들어 원호상이나 부메랑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당해 긴 구멍은 상기 회전 둘레 방향에 따른 부분 이외의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당해 긴 구멍의 중간 위치에서 굴곡되는 L자 형상이어도 된다.
특히,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개시되지 않은 사항, 예를 들어 운전 조건이나 조업 조건, 각종 파라미터, 구성물의 치수, 중량, 체적 등은, 당업자가 통상 실시하는 범위를 일탈하는 것이 아니며, 통상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상정하는 것이 가능한 값을 채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밀폐형 혼련기의 더스트 스톱 장치로서, 각각이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고정링 및 회전링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접촉면에 대한 윤활유의 양호한 공급이 가능한 장치가 제공된다. 제공되는 것은, 축심이 서로 평행해지도록 소정의 간극을 두고 인접하게 배치됨과 함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로터와, 당해 한 쌍의 로터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함과 함께 당해 한 쌍의 로터의 축방향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갖는 밀폐형 혼련기에 마련되고, 상기 로터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한 쌍의 로터에서 혼련된 혼련물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는 더스트 스톱 장치로서,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하게 당해 로터에 설치되는 회전링과,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고정링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링 및 상기 회전링은 서로 대향하면서 면 접촉하는 접촉면을 각각 갖는다. 상기 고정링은, 당해 고정링 및 상기 회전링의 각각의 접촉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부를 갖는다. 상기 윤활유 공급부는, 상기 고정링의 상기 접촉면과 그 반대측의 면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다. 당해 관통 구멍 중 적어도 상기 접촉면에 있어서의 개구를 포함하는 부분은, 상기 회전링의 회전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은,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링의 회전 접선 방향인 회전 접선 방향에 합치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링의 회전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당해 긴 구멍이 당해 회전링의 회전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변위하도록 상기 회전 접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 더스트 스톱 장치에 의하면, 윤활유 공급부에 공급되는 윤활유는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회전링의 회전 둘레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링의 회전에 기인하는 원심력에 관계없이, 상기 고정링 및 회전링의 접촉면에 대하여 상기 윤활유를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이, 상기 회전링의 회전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당해 긴 구멍이 당해 회전링의 회전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변위하도록, 상기 회전 접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면 된다. 이것은, 상기 원심력에 관계없이, 윤활유 공급부에 공급되는 윤활유를 회전링의 회전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이행시켜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윤활유 공급부에 상기 윤활유가 공급되는 위치는,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보다도 상기 회전링의 회전 방향 상류측의 위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긴 구멍 중 상기와 같이 공급된 윤활유를 일단 저류하는 저류부로서 이용 가능한 부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윤활유 공급부를 구성하는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은, 또는 상기 긴 구멍의 상기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링의 회전 접선 방향에 합치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윤활유 공급부의 긴 구멍 형상의 구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당해 형상은, 예를 들어 스트레이트 형상, 원호 형상, 부메랑 형상 또는 L자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축심이 서로 평행해지도록 소정의 간극을 두고 인접하게 배치됨과 함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로터와, 당해 한 쌍의 로터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함과 함께 당해 한 쌍의 로터의 축방향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로터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한 쌍의 로터에서 혼련된 혼련물의 상기 지지 부재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는 상기 더스트 스톱 장치를 구비하는 밀폐형 혼련기가 제공된다.

Claims (6)

  1. 축심이 서로 평행해지도록 소정의 간극을 두고 인접하게 배치됨과 함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로터와, 당해 한 쌍의 로터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함과 함께 당해 한 쌍의 로터의 축방향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갖는 밀폐형 혼련기에 마련되고, 상기 로터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한 쌍의 로터에서 혼련된 혼련물의 상기 지지 부재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는 더스트 스톱 장치로서,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하게 당해 로터에 설치되는 회전링과,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고정링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링 및 상기 회전링은 서로 대향하면서 면 접촉하는 접촉면을 각각 가지고,
    상기 고정링은, 당해 고정링 및 상기 회전링의 각각의 상기 접촉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부를 가지고,
    상기 윤활유 공급부는, 상기 고정링의 상기 접촉면과 그 반대측의 면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당해 관통 구멍 중 적어도 상기 접촉면에 있어서 개구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은, 상기 회전링의 회전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긴 구멍이며,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이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링의 회전 접선 방향인 회전 접선 방향과 합치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링의 회전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당해 긴 구멍이 당해 회전링의 회전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변위하도록 상기 회전 접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밀폐형 혼련기의 더스트 스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이, 상기 회전링의 회전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당해 긴 구멍이 당해 회전링의 회전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변위하도록, 상기 회전 접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밀폐형 혼련기의 더스트 스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공급부에 상기 윤활유가 공급되는 위치는,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보다도 상기 회전링의 회전 방향 상류측의 위치인, 밀폐형 혼련기의 더스트 스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공급부를 구성하는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은, 당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링의 회전 접선 방향에 합치하고 있는, 밀폐형 혼련기의 더스트 스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공급부의 긴 구멍은, 스트레이트 형상, 원호 형상, 부메랑 형상 및 L자 형상 중에서 선택되는 형상을 갖는, 밀폐형 혼련기의 더스트 스톱 장치.
  6. 축심이 서로 평행해지도록 소정의 간극을 두고 인접하게 배치됨과 함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로터와,
    당해 한 쌍의 로터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함과 함께 당해 한 쌍의 로터의 축방향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로터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한 쌍의 로터에서 혼련된 혼련물의 상기 지지 부재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더스트 스톱 장치를 구비하는 밀폐형 혼련기.
KR1020187035744A 2016-05-13 2017-04-27 밀폐형 혼련기의 더스트 스톱 장치 KR102263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96913 2016-05-13
JP2016096913A JP6772419B2 (ja) 2016-05-13 2016-05-13 密閉型混練機に備えられているダストストップ装置
PCT/JP2017/016724 WO2017195622A1 (ja) 2016-05-13 2017-04-27 密閉型混練機のダストストッ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220A true KR20190005220A (ko) 2019-01-15
KR102263344B1 KR102263344B1 (ko) 2021-06-11

Family

ID=6026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744A KR102263344B1 (ko) 2016-05-13 2017-04-27 밀폐형 혼련기의 더스트 스톱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148325B2 (ko)
EP (1) EP3434359B1 (ko)
JP (1) JP6772419B2 (ko)
KR (1) KR102263344B1 (ko)
CN (1) CN109070032B (ko)
AR (1) AR108469A1 (ko)
BR (1) BR112018073242A2 (ko)
HU (1) HUE053773T2 (ko)
MX (1) MX2018013498A (ko)
RS (1) RS61712B1 (ko)
RU (1) RU2708593C1 (ko)
TW (1) TWI635895B (ko)
WO (1) WO20171956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0483A (zh) * 2019-08-27 2019-10-25 青岛科技大学 一种密炼机转子密封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0364A (en) * 1976-03-11 1977-09-16 Gutehoffnungshuette Sterkrade Gas cutting off shaft sealing device
JPS6129467A (ja) 1984-07-20 1986-02-10 Tokico Ltd 磁気デイスク装置
JPH0232014A (ja) 1988-06-07 1990-02-01 Abbott Lab 固形製剤およびその製法
JPH10230153A (ja) * 1997-02-18 1998-09-02 Kobe Steel Ltd 密閉型混練機のダストストップ装置
JPH11287331A (ja) * 1998-04-01 1999-10-19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メカニカルシ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7821U (ja) 1982-08-09 1984-02-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混練機の圧着型ダストストツプの構造
JPS6038114A (ja) 1983-08-12 1985-02-27 Yokohama Rubber Co Ltd:The 混練機のシ−ル装置
SU1265056A1 (ru) * 1984-11-10 1986-10-23 Украин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По Разработке Машин И Оборудования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Пластических Масс,Резины И Искусственной Кожи Уплотнение шеек роторов двухроторного смесител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
JPS6237573A (ja) * 1985-08-12 1987-02-18 Ebara Res Co Ltd 軸封装置
JPS63126534A (ja) 1986-11-15 1988-05-30 Nippon Roll Seizo Kk 混練機の軸封装置の無給油運転方法
JPS63288712A (ja) * 1987-05-22 1988-11-25 Chichibu Eng Kk 軸シ−ル装置
JPH08296745A (ja) * 1995-04-26 1996-11-12 Mitsubishi Heavy Ind Ltd メカニカルシール
JP3008013B2 (ja) * 1996-01-24 2000-02-14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流体機器用軸封装置
JPH10151333A (ja) * 1996-11-20 1998-06-09 Kobe Steel Ltd 密閉式混練機のダストストップ装置
US6325378B1 (en) 1998-04-01 2001-12-04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Shaft seal apparatus
WO2000075540A1 (fr) * 1999-06-07 2000-12-14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Dispositif d'etancheite d'arbre de type sans contact
JP4699946B2 (ja) * 2006-06-09 2011-06-1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メカニカルシール装置
EP2213915B1 (en) 2007-11-20 2018-05-23 Eagle Industry Co., Ltd. Mechanical seal and tandem seal
US8911139B2 (en) * 2009-01-13 2014-12-16 Kobe Steel, Ltd. Internal batch mixer with alarm
CN103100343B (zh) * 2011-11-09 2014-12-24 祥景精机股份有限公司 搅拌机专用轴封
JP5901981B2 (ja) * 2012-01-27 2016-04-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攪拌装置のシール機構
JP5826649B2 (ja) * 2012-01-27 2015-12-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攪拌装置におけるシール機構
CN104918693B (zh) * 2013-12-27 2017-10-20 新东工业株式会社 分散装置、分散处理系统以及分散方法
JP2019042701A (ja) 2017-09-05 2019-03-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密閉型混練機に備えられているダストスト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0364A (en) * 1976-03-11 1977-09-16 Gutehoffnungshuette Sterkrade Gas cutting off shaft sealing device
JPS6129467A (ja) 1984-07-20 1986-02-10 Tokico Ltd 磁気デイスク装置
JPH0232014A (ja) 1988-06-07 1990-02-01 Abbott Lab 固形製剤およびその製法
JPH10230153A (ja) * 1997-02-18 1998-09-02 Kobe Steel Ltd 密閉型混練機のダストストップ装置
JPH11287331A (ja) * 1998-04-01 1999-10-19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メカニカルシ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0032B (zh) 2021-08-20
BR112018073242A2 (pt) 2019-02-19
EP3434359A4 (en) 2019-10-02
US20190143563A1 (en) 2019-05-16
RS61712B1 (sr) 2021-05-31
EP3434359A1 (en) 2019-01-30
JP2017202470A (ja) 2017-11-16
EP3434359B1 (en) 2021-01-20
US11148325B2 (en) 2021-10-19
KR102263344B1 (ko) 2021-06-11
JP6772419B2 (ja) 2020-10-21
TWI635895B (zh) 2018-09-21
RU2708593C1 (ru) 2019-12-09
AR108469A1 (es) 2018-08-22
TW201808440A (zh) 2018-03-16
WO2017195622A1 (ja) 2017-11-16
MX2018013498A (es) 2019-03-28
CN109070032A (zh) 2018-12-21
HUE053773T2 (hu)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96638B6 (cs) Otocná pruchodka pro strídavé vedení mazajícího anemazajícího média
US9452898B2 (en) Rotary conveyor with change of pitch for transferring containers
JP2011179572A (ja) 軸受給油装置
JP2011149489A (ja) メカニカルシール
KR20190053940A (ko) 유지기, 및 이것을 구비한 구름 베어링
WO2016185885A1 (ja) ボールねじ
KR20190005220A (ko) 밀폐형 혼련기의 더스트 스톱 장치
US9709172B2 (en) Rotor shaft seal assembly
JP2019042701A (ja) 密閉型混練機に備えられているダストストップ装置
KR102126231B1 (ko) 피니언 샤프트 윤활장치
JP5313096B2 (ja) 軸受構造
KR101081891B1 (ko) 로터리 조인트
JP5901981B2 (ja) ゴム攪拌装置のシール機構
JP6517067B2 (ja) オイルリング式すべり軸受
CN108700116B (zh) 径向轴承及旋转机械
JP5826649B2 (ja) ゴム攪拌装置におけるシール機構
KR20180023733A (ko) 틸팅패드 베어링
WO2024028950A1 (ja) 軸受の給脂構造
KR20190077996A (ko) 스러스트 와셔
JP6333383B2 (ja) ロータ軸のシール機構
KR101877119B1 (ko) 터보 차저
JP6618703B2 (ja) 油圧モータ
KR101081893B1 (ko) 로터리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