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777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777A
KR20190003777A KR1020187036046A KR20187036046A KR20190003777A KR 20190003777 A KR20190003777 A KR 20190003777A KR 1020187036046 A KR1020187036046 A KR 1020187036046A KR 20187036046 A KR20187036046 A KR 20187036046A KR 20190003777 A KR20190003777 A KR 20190003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rame
tubular portion
shock absorber
preve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사사키
마사시 가토
다카히로 노구치
가즈아키 아다치
요시아키 나카자와
노부타카 시미즈
마사히로 나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9000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4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18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for building site vehicles or multi-purpose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62D33/0608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pneumatic or hydraulic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유압 셔블(100)은, 캡(5)과, 차체 프레임(6)과, 규제부(8)를 구비한다. 차체 프레임(6)은, 베이스부(60)와, 베이스부(60)의 위쪽에 설치되어 캡(5)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 프레임(622)을 구비한다. 규제부(8)는, 캡(5)의 바닥 프레임(51)에 설치되고, 베이스부(60)와 바닥 프레임(5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8)는, 이탈 방지 부재(81)와, 충격 흡수체(82)를 구비한다. 이탈 방지 부재(81)는,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82)는, 이탈 방지 부재(81)의 캡(5) 측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 차량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압 셔블 등의 작업 차량이 전도(轉倒)되어 캡(cab) 측면에 압압(押壓; pressing)을 받았을 때, 캡이 차체 프레임(body frame)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규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특허문헌 1의 작업 차량에서는, 전도 시 등에 캡의 측면으로부터의 충격력에 의해 캡 후부(後部) 프레임이 변형되지 않도록, 캡 후부 프레임을 두꺼운 재료로 구성하여 강성(剛性)을 갖게 하고 있다. 또한, 강성을 갖도록 한 캡 후부 프레임의 근방에 규제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전도 시의 규제 부재에 의한 규제에 의해 생기는 충격도 캡 후부 프레임으로 받을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4―189089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작업 차량에서는, 캡의 중량이 무거워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캡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캡과, 차체 프레임과, 규제부(restrictor)를 구비한다. 차체 프레임은,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위쪽에 설치되어 캡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가진다. 규제부는, 캡의 바닥 프레임에 설치되고, 베이스부와 바닥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는, 이탈 방지 부재(retaining member)와, 충격 흡수체를 가진다. 이탈 방지 부재는, 지지 프레임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는, 이탈 방지 부재의 캡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에 충격 흡수체(impact absorber)를 설치함으로써, 작업 차량의 전도 시에 규제에 의해 캡에 생기는 충격 중 적어도 일부를 소성 변형(plastic deformation)에 의한 소성 작업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캡에 생기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캡의 프레임을 두꺼운 재료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박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캡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감쇠부(減衰部; damper)를 더 구비한다. 감쇠부는,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캡을 캡에 생기는 진동을 감쇠한다.
작업 차량의 주행 시 및 작업 시 등의 통상 사용 시에, 캡에 생기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차량이 전도되었을 때, 또는 암석 등에 충돌했을 때 등에는, 규제부에 의해 차체 프레임으로부터의 캡의 이격을 규제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차체 프레임에 배치된 작업기를 더 구비한다. 규제부는, 작업기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캡의 작업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은,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규제부를 작업기의 반대측에 설치함으로써, 캡의 차체 프레임으로부터의 이격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캡은, 제1 캡 프레임(cap frame)과, 제2 캡 프레임을 가진다. 제1 캡 프레임은, 캡의 작업기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캡 프레임은, 캡의 작업기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캡 프레임보다 강성이 낮다. 규제부는, 제1 캡 프레임의 아래쪽 근방과 제2 캡 프레임의 아래쪽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캡 프레임의 아래쪽 근방에 설치된 규제부의 충격 흡수체의 탄성 계수(coefficient of elasticity)보다, 제2 캡 프레임의 아래쪽 근방에 설치된 규제부의 충격 흡수체의 탄성 계수는 낮다.
탄성 계수에 차이가 있으므로, 캡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제2 캡 프레임보다 제1 캡 프레임에 가해지는 충격 쪽이 커지게 되지만, 제1 캡 프레임 쪽이 제2 캡 프레임보다 강성이 높으므로, 충격을 받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 차량을 운전할 때, 운전자는 캡의 전방은 주시할 수 있으므로, 캡의 전방측에 충돌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은 낮지만, 후방은 주시할 수 없으므로, 캡의 후방측에는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낮은 전방측의 캡 프레임을,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높은 후방측의 캡 프레임보다 박형화함으로써, 가능한 한 캡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박형화한 전방측의 캡 프레임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탄성 계수를 낮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충격 흡수체는, 캡의 바닥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충격에 의해 캡이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이탈 방지 부재가 차체 프레임의 지지 프레임에 아래쪽으로부터 맞닿아 캡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맞닿음 시에 충격 흡수체가 인장되므로, 충격 흡수체의 소성 변형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5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충격 흡수체는, 제1 통형부와, 제2 통형부와, 접속부를 가진다. 제1 통형부는, 이탈 방지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통형부는, 캡의 바닥 프레임에 고정되고, 하단(下端)이 제1 통형부의 상단(上端)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충격 흡수체의 접속부가 휘는 것에 의해 탄성력이 생기고, 이탈 방지 부재의 프레임에 대한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5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충격 흡수체는, 스프링 부재이다. 충격 흡수체의 상단이, 캡의 바닥 프레임에 고정되고, 하단이, 이탈 방지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탈 방지 부재의 프레임에 대한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5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충격 흡수체는, 고무 부재이다. 충격 흡수체는, 충격 흡수체에 접착되어 캡의 바닥 프레임에 고정된 제1 금속 부재를 통하여 캡의 바닥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충격 흡수체에 접착되고 이탈 방지 부재에 고정된 제2 금속 부재를 통하여 이탈 방지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고무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고무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탈 방지 부재의 프레임에 대한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5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이탈 방지 부재의 상면은, 외주측을 향해 위치가 낮게 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의 지지 프레임에 충돌하는 이탈 방지 부재의 부분이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캡이 경사진 경우에서의 이탈 방지 부재의 프레임에 대한 편접촉(one-sided contact)을 억제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규제부는, 바닥 프레임과 이탈 방지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구비한다. 충격 흡수체는, 이탈 방지 부재에 고정되고, 지지 프레임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충격에 의해 캡이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충격 흡수체가 차체 프레임의 지지 프레임에 아래쪽으로부터 맞닿아 캡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맞닿음 시에 충격 흡수체가 압축되고, 충격 흡수체의 탄성 변형이나 소성 변형에 의한 변형에 의해 생기는 에너지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1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0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충격 흡수체는, 제1 통형부와, 제2 통형부와, 접속부를 가진다. 제1 통형부는, 이탈 방지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통형부는, 하단이 제1 통형부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접속부는, 제1 통형부의 상단과, 제2 통형부의 하단을 연결한다.
충격 흡수체의 접속부가 휘는 것에 의해 탄성력이 생겨, 충격 흡수체의 프레임에 대한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2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0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충격 흡수체는, 스프링 부재 또는 고무 부재이다.
스프링 부재 또는 고무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스프링 부재 또는 고무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 흡수체의 프레임에 대한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3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3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이탈 방지 부재는, 판형의 부재이며 주면(主面)이 지지 프레임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는, 주면의 작업기 측의 끝이 작업기의 반대측의 끝보다 높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를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캡이 작업기 측으로 경사진 경우에 있어서 규제부의 차체 케이스에 대한 편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제14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충격 흡수체는, 삽통부(揷通部)와, 돌출부를 가진다. 삽통부는, 캡의 바닥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을 삽통(揷通)한다. 돌출부는, 바닥 프레임보다 위쪽에 설치되고, 삽통부로부터 관통공보다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는, 외주측을 향해 위치가 높아지도록 만곡되고, 관통공의 주위에 맞닿는 하면을 가진다.
충격 흡수체의 돌출부가 관통공 측으로 만곡된 하면을 가지는 것에 의해,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캡이 경사진 경우에서의 충격 흡수체의 관통공의 주위에 대한 편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제15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4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관통부는, 제1 통형부와, 제2 통형부와, 접속부를 가진다. 제1 통형부는, 이탈 방지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통형부는, 관통공을 삽통하고, 하단이 제1 통형부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접속부는, 제1 통형부의 상단과, 제2 통형부의 하단을 연결한다.
충격 흡수체의 접속부가 휘는 것에 의해 탄성력이 생겨, 충격 흡수체의 프레임에 대한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여, 캡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1에서의 유압 셔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의 차체 프레임과 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캡을 분리해 낸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의 차체 프레임과 캡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GG′사이의 화살표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H를 따라 보았을 때 좌측단 근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II′사이의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2에서의 규제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3에서의 규제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4에서의 규제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5에서의 규제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6에서의 규제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7에서의 규제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8에서의 규제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9에서의 규제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의 유압 셔블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1에서의 유압 셔블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성>
[유압 셔블(100)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유압 셔블(100)은, 차량 본체(1)와 작업기(4)를 구비하고 있다.
차량 본체(1)는, 주행체(2)와 선회체(旋回體; rotating unit)(3)를 가지고 있다. 주행체(2)는, 한 쌍의 주행 장치(traveling device)(2a, 2b)를 가진다. 각각의 주행 장치(2a, 2b)는, 크롤러 벨트(crawler belts)(2d, 2e)를 가지고 있다.
선회체(3)는, 주행체(2) 상에 탑재되어 있다. 선회체(3)는, 주행체(2)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선회체(3)는, 캡(5)과, 차체 프레임(6)과, 감쇠부(7)(후술하는 도 6 참조)와, 규제부(8)(후술하는 도 6 참조)를 가지고 있다.
차체 프레임(6)은, 주행체(2)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캡(5)은, 차체 프레임(6)의 전부(前部) 좌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감쇠부(7)는, 후술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6)에 복수 개 형성되어 있고, 캡(5)을 지지한다. 규제부(8)는, 후술하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도나 충돌 시 등에 캡(5)이 차체 프레임(6)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규제한다.
그리고, 전체 구성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이란, 캡(5)의 전후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차량 본체(1)의 전후 방향은, 캡(5), 즉 선회체(3)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좌우 방향, 또는 측방이란, 차량 본체(1)의 차폭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에는, 전방향(前方向)이 화살표 F로 표시되고, 후방향이 화살표 B로 나타나 있다. 또한, 우측 방향이 화살표 R로 표시되고, 좌측 방향이 화살표 L로 나타나 있다.
선회체(3)는, 또한 연료 탱크(12), 작동유 탱크(13), 엔진실(14), 및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15) 등을 가지고 있다. 연료 탱크(12), 작동유 탱크(13), 엔진실(14) 및 카운터웨이트(15) 등은, 차체 프레임(6) 상에 있어서, 캡(5)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작업기(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체(3)의 전부 중앙 위치에 장착되어 있고, 붐(boom)(9), 암(arm)(10), 굴삭 버킷(excavation bucket)(11)을 구비한다. 붐(9)의 기단부(基端部)는, 차체 프레임(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붐(9)의 선단부는 암(10)의 기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암(10)의 선단부는, 굴삭 버킷(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캡(5)은, 작업기(4)의 좌측 방향 L 측에 배치되어 있다.
[캡(5)]
도 2는, 차체 프레임(6)과 캡(5)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캡(5)은, 바닥 프레임(51)과, 천정 프레임(52)과, 우측면 측의 우측 전방 지주(支柱; column)(53a) 및 우측 후방 지주(53b)와, 좌측면 측의 좌측 전방 지주(54a), 좌측 후방 지주(54b), 및 좌측 중간 지주(54c)를 가지고 있다.
우측 전방 지주(53a), 우측 후방 지주(53b), 좌측 전방 지주(54a), 좌측 후방 지주(54b), 및 좌측 중간 지주(54c)는, 바닥 프레임(51)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설치되어 있고, 각각 천정 프레임(52)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 전방 지주(53a)는, 캡(5)의 전면(前面)의 우측 방향(R) 측의 끝에 형성되어 있고, 우측 후방 지주(53b)는, 캡(5)의 배면의 우측 방향(R) 측의 끝에 설치되어 있다.
좌측 전방 지주(54a)는, 캡(5)의 전면의 좌측 방향 L 측의 끝에 형성되어 있고, 좌측 후방 지주(54b)는, 캡(5)의 배면의 좌측 방향 L 측의 끝에 설치되어 있다. 좌측 중간 지주(54c)는, 캡(5)의 좌측면으로서 좌측 전방 지주(54a)와 좌측 후방 지주(54b)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우측 전방 지주(53a)와 좌측 전방 지주(54a)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우측 후방 지주(53b)와 좌측 후방 지주(54b)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중간 지주(54c)에 대향하는 지주는, 우측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우측면의 하부에는, 지주(53a)와 지주(53b)의 사이를 연결하는 패널(58a)이 설치되어 있다.
배면측의 우측 후방 지주(53b) 및 좌측 후방 지주(54b)는, 전면측의 우측 전방 지주(53a) 및 좌측 전방 지주(54a)와 비교하여,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 강성이 강하다.
[차체 프레임(6)]
도 3은, 캡(5)과 차체 프레임(6)을 이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차체 프레임(6)은, 대략 평면형의 베이스부(60)와, 작업기(4)를 지지하는 작업기 지지부(61)와, 캡(5)이 배치되는 캡 배치부(62)를 구비한다.
작업기 지지부(61)는, 베이스부(60)의 차체 프레임(6)의 전부 중앙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작업기 지지부(6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대향하는 한 쌍의 세로판(611, 612)를 가진다. 이들 세로판(611, 612)의 사이에 붐(9)의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세로판(611)의 좌측에 캡(5)이 배치되어 있다.
캡 배치부(62)는, 작업기 지지부(61)의 좌측 근처로서, 베이스부(60)의 전부(前部) 좌측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캡 배치부(62)는, 베이스부(60) 상에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전방 지지 프레임(621)과, 베이스부(60) 상에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된 후방 지지 프레임(622)과, 전방 지지 프레임(621)과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좌측단을 연결하는 좌측 지지 프레임(623)을 구비한다. 또한, 전방 지지 프레임(621)과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사이에, 좌우 방향을 따라 중간 지지 프레임(624)이 설치되어 있다.
[감쇠부(7)]
감쇠부(7)는, 통상의 주행 시 및 작업 시 등에 캡(5)에 생기는 진동을 감쇠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지지 프레임(621)의 상면부의 우측단과 좌측단에는, 각각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감쇠부(7)는, 각각의 구멍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상면부(622a)(도 5 참조)의 우측단과 좌측단의 각각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감쇠부(7)는, 각각의 구멍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4개의 감쇠부(7)의 위쪽에 캡(5)이 배치되어 있다. 캡(5)은, 차체 프레임(6) 상에 감쇠부(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4는, 차체 프레임(6)과 캡(5)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캡(5)이 2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53a, 53b, 54a, 54)의 각각의 아래쪽 근방에 감쇠부(7)가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도 2의 GG′의 화살표 단면도이다. 감쇠부(7)는, 내부에 코일 스프링 등이 설치된 케이스(71)와, 케이스(71)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스터드(72)를 구비한다. 케이스(71)는,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상면부(622a)에 고정되어 있고, 스터드(72)의 상단은 캡(5)의 바닥 프레임(51)에 고정되어 있다.
[규제부(8)]
규제부(8)는, 전도 시나 충돌 시 등에 캡(5)이 차체 프레임(6)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규제한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H에 따른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규제부(8)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캡(5)의 좌측면 측(화살표 L측)에 배치되어 있는 감쇠부(7)의 우측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8)는, 캡(5)의 바닥 프레임(51)에 고정되어 있고,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상면부(622a)에 형성된 관통공(622s)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8)는, 이탈 방지 부재(81)와, 충격 흡수체(82)를 구비한다.
이탈 방지 부재(81)는, 원반형상이며, 예를 들면,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81)는, 그 주면인 상면(81s)이 관통공(622s)에 대향하도록,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상면부(622a)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81)는, 관통공(622s)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82)는, 이탈 방지 부재(81)의 캡(5) 측에 설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82)는, 외관에 있어서 직경이 상이한 2개의 강관(鋼管)이 중첩된 대략 원기둥형이며, 원기둥의 중심축(82a)이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82)는, 탄성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622s)에 삽입되어 있다.
도 7은, 도 6의 II′사이의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격 흡수체(82)는, 강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제1 통형부(821)와, 제2 통형부(822)와, 접속부(823)와, 커버부(824)를 구비한다.
제1 통형부(821)는, 관통공(622s)을 삽통하고 있고, 제1 통형부(821)와 관통공(622s)의 에지의 사이에는, 약간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통형부(821)의 하단에는 커버부(824)가 접속되어 있고, 커버부(824)는, 제1 통형부(821)의 하단의 개구를 막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8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공(81a)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부(824)에도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81)의 관통공(81a)과 커버부(824)의 관통공에 아래쪽으로부터 볼트(83)가 삽입되어 있다. 커버부(824)의 위쪽에는 너트(84)가 배치되어 있고, 너트(84)와 볼트(83)가 체결되어 있다. 볼트(83)와 너트(84)에 의해 커버부(824) 및 제1 통형부(821)가 이탈 방지 부재(81)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통형부(822)는, 제1 통형부(82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2 통형부(822)는, 제1 통형부(821)와 동축(同軸)[도 6에 나타낸 중심축(82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통형부(822)의 상단부(822a)는, 캡(5)의 바닥 프레임(51)에 형성된 관통공(51a)의 에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통상에 있어서, 제2 통형부(822)의 하단(822b)은, 제1 통형부(821)의 상단(821a)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접속부(823)는, 제1 통형부(821)의 상단(821a)과, 제2 통형부(822)의 하단(822b)을 연결하고 있다. 접속부(823)는, 상하 방향의 중앙이 통형(筒形)이며, 상단이 내측으로 만곡되어 제1 통형부(821)의 상단(821a)과 연결되어 있고, 하단이 외측으로 만곡되어 제2 통형부(822)의 하단(822b)에 연결되어 있다. 접속부(823)가 만곡되어 제1 통형부(821)와 제2 통형부(82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충격 흡수체(82)는 탄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00)이 전도되거나, 유압 셔블(100)에 물체가 충돌하여, 캡(5)에 충격이 생긴 경우, 캡(5)의 차체 프레임(6)으로부터의 이격은 이탈 방지 부재(81)의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상면부(622a)[관통공(622s)의 에지(622e)]에 대한 맞닿음에 의해 규제되지만, 그 규제 시의 충격이 충격 흡수체(82)의 탄성력에 의해 완화된다.
그리고, 유압 셔블(100)이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이탈 방지 부재(81)와, 상면부(622a)의 사이에는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S)는, 유압 셔블(100)의 통상 사용 시에서의 캡(5)의 상하 방향의 진동 범위 내에서는, 이탈 방지 부재(81)가 상면부(622a)에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통상 사용 시에 이탈 방지 부재(81)가 상면부(622a)에 접촉하면, 캡(5)의 진동에 대한 감쇠부(7)의 감쇠 기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실시형태 2)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2의 유압 셔블에 사용되는 규제부(108)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2의 유압 셔블(100)은,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규제부의 구성이 상이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주로 규제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 다른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 2의 규제부(108)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2의 규제부(108)는, 이탈 방지 부재(181)와, 충격 흡수체(182)와, 원통 부재(183)를 구비한다. 이탈 방지 부재(181)는, 원반형상이며, 주면인 상면(181s)이 관통공(622s)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181)는,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상면부(622a)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관통공(622s)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182)는, 코일형의 스프링 부재이며, 이탈 방지 부재(181)보다 캡(5) 측에 배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182)는, 그 중심축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관통공(622s)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182)의 상단(182a)은, 바닥 프레임(51)에 고정되어 있다. 바닥 프레임(51)에는, 관통공(51a)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51a)의 에지로부터 관통공(51a)의 내측을 향해 돌기(51b)가 형성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182)의 상단(182a)은, 돌기(51b)에 걸려져 있다.
한편, 충격 흡수체(182)의 하단(182b)은, 이탈 방지 부재(181)에 고정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18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공(181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81a)의 에지로부터 관통공(181a)의 내측을 향해 돌기(181b)가 형성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182)의 하단(182b)은, 돌기(181b)에 걸려져 있다.
원통 부재(183)는, 충격 흡수체(18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원통 부재(183)의 상단(183a)은, 바닥 프레임(51)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원통 부재(183)는,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관통공(622s)에 삽통되어 있다. 원통 부재(183)의 하단(183b)은, 이탈 방지 부재(181)에 맞닿아 있다. 원통 부재(183)에 의해, 이탈 방지 부재(81)와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상면부(622a)와의 간극(S)이 확보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캡(5)에 충격이 생긴 경우, 캡(5)의 차체 프레임(6)으로부터의 이격은 이탈 방지 부재(181)의 상면부(622a)[관통공(622s)의 주위]에 대한 맞닿음에 의해 규제되지만, 그 규제 시의 충격이 스프링 부재인 충격 흡수체(182)의 탄성력에 의해 완화된다.
(실시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3의 유압 셔블에 사용되는 규제부(20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 3의 규제부(208)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3의 규제부(208)는, 이탈 방지 부재(81)와, 충격 흡수체(282)를 구비한다.
이탈 방지 부재(81)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원반형상이며,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상면부(622a)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관통공(622s)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81)와 상면부(622a)의 사이에는,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28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고무 부재이다. 충격 흡수체(282)는, 원기둥의 축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관통공(622s)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282)는, 바닥 프레임(51)과 이탈 방지 부재(8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282)는, 제1 금속 부재(284)를 통하여 바닥 프레임(51)에 고정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282)의 상단면(上端面)의 중앙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금속 부재(284)는 오목부에 배치되고, 충격 흡수체(282)와 접착되어 있다. 제1 금속 부재(284)에는, 상하 방향으로 나사공(284a)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 프레임(51)의 위쪽으로부터 관통공(51a)을 통하여 삽입된 볼트(286)가 나사공(284a)과 체결됨으로써, 충격 흡수체(282)가 바닥 프레임(5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충격 흡수체(282)는, 제2 금속 부재(285)를 통하여 이탈 방지 부재(81)에 고정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282)의 하단면(下端面)의 중앙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금속 부재(285)는, 오목부에 배치되고, 충격 흡수체(282)와 접착되어 있다. 제2 금속 부재(285)에는, 상하 방향으로 나사공(285a)이 형성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81)의 아래쪽으로부터 관통공(81a)을 통하여 삽입된 볼트(83)가 나사공(285a)과 체결됨으로써, 이탈 방지 부재(81)가 충격 흡수체(282)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캡(5)에 충격이 생긴 경우, 캡(5)의 차체 프레임(6)으로부터의 이격은 이탈 방지 부재(81)의 상면부(622a)[관통공(622s)의 주위]에 대한 맞닿음에 의해 규제되지만, 그 규제 시의 충격이 고무 부재인 충격 흡수체(282)의 탄성력에 의해 완화된다.
(실시형태 4)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4의 유압 셔블에 사용되는 규제부(30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 4의 규제부(308)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4의 규제부(308)는, 이탈 방지 부재(381)와, 충격 흡수체(82)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 4의 규제부(308)는, 실시형태 1의 규제부(8)와 비교하여 이탈 방지 부재(381)의 형상이 상이하게 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381)의 캡(5) 측[관통공(622s)]에 대향하는 측)에는, 만곡면(381a)이 형성되어 있다. 만곡면(381a)은, 중앙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서서히 위치가 낮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만곡면(381a)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유압 셔블(100)에 참가한 충격에 의해 차체 프레임(6)에 대하여 캡(5)이 좌우 방향(예를 들면, 화살표 J 방향)으로 경사졌을 때, 이탈 방지 부재(381)가 관통공(622s)의 주위에 편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 4와 같은 만곡면(381a)이 형성된 이탈 방지 부재(381)는, 상기 실시형태 1∼3에서 설명한 이탈 방지 부재(81, 181) 대신에 사용되어도 된다.
(실시형태 5)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5의 유압 셔블에 사용되는 규제부(40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 5의 규제부(408)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5의 규제부(408)는, 이탈 방지 부재(81)와, 충격 흡수체(482)와, 원통 부재(483)를 구비한다.
이탈 방지 부재(81)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고, 원반형상이며, 예를 들면,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81)는,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상면부(622a)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관통공(622s)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482)는, 이탈 방지 부재(81)의 캡(5) 측으로서, 상면부(622a)[관통공(622s)]보다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482)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외관에 있어서 직경이 상이한 2개의 강관이 중첩된 대략 원기둥형이며, 원기둥의 중심축이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격 흡수체(482)는, 강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제1 통형부(484)와, 제2 통형부(485)와, 접속부(486)를 구비한다.
제1 통형부(484)의 하단(484b)은, 이탈 방지 부재(81)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통형부(485)는, 제1 통형부(484)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2 통형부(485)는, 제1 통형부(484)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통형부(485)의 하단(485b)은, 제1 통형부(484)의 상단(484a)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통형부(485)의 직경은, 관통공(622s)보다 크고, 제2 통형부(485)의 상단(485a)과 상면부(622a)와의 사이에는,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486)는, 제1 통형부(484)의 상단(484a)과, 제2 통형부(485)의 하단(485b)을 연결하고 있다. 접속부(486)는, 상하 방향의 중앙이 통형이며, 상단이 내측으로 만곡되어 제1 통형부(484)의 상단(484a)으로 이어져 있고, 하단이 외측으로 만곡되어 제2 통형부(485)의 하단(485b)으로 이어져 있다. 접속부(486)가 만곡되어 제1 통형부(484)와 제2 통형부(485)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충격 흡수체(482)는 탄성을 가지고 있다.
원통 부재(483)는, 관통공(622s)을 삽통하고, 바닥 프레임(51)과 이탈 방지 부재(8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원통 부재(483)의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나사공(483a)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 프레임(51)의 위쪽으로부터 관통공(51a)에 삽입된 볼트(489)와, 나사공(483a)의 상부의 나사 형상이 체결됨으로써, 원통 부재(483)가 바닥 프레임(51)의 아래쪽에 고정된다. 또한, 이탈 방지 부재(81)의 아래쪽으로부터 관통공(81a)에 삽입된 볼트(83)와, 나사공(483a)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 형상이 체결됨으로써, 이탈 방지 부재(81)가 원통 부재(483)의 아래쪽에 고정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캡(5)에 충격이 생긴 경우, 캡(5)의 차체 프레임(6)으로부터의 이격이 충격 흡수체(482)의 상면부(622a)에 대한 맞닿음에 의해 규제되고, 또한 그 규제 시의 충격이 탄성력에 의해 완화된다.
(실시형태 6)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6의 유압 셔블에 사용되는 규제부(508)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6의 규제부(508)는, 실시형태 5의 규제부(408)와 비교하여, 충격 흡수체의 구성이 상이하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 6의 규제부(508)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6의 규제부(508)는, 이탈 방지 부재(81)와, 충격 흡수체(582)와, 원통 부재(483)를 구비한다.
이탈 방지 부재(81)는, 실시형태 5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원통 부재(483)도 실시형태 5와 마찬가지로, 볼트(489)에 의해 바닥 프레임(51)에 고정되고, 볼트(83)에 의해 이탈 방지 부재(8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582)는, 코일형의 스프링 부재로서, 원통 부재(483)를 에워싸도록, 원통 부재(48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582)의 직경은, 관통공(622s)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인 충격 흡수체(582)의 하단(582b)은, 이탈 방지 부재(8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유압 셔블(100)이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충격 흡수체(582)의 상단(582a)과 상면부(622a)의 사이에는,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캡(5)에 충격이 생긴 경우, 캡(5)의 차체 프레임(6)으로부터의 이격이 충격 흡수체(582)의 상면부(622a)에 대한 맞닿음에 의해 규제되고, 또한 그 규제 시의 충격이 탄성력에 의해 완화된다.
(실시형태 7)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7의 유압 셔블에 사용되는 규제부(608)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7의 규제부(608)는, 실시형태 6의 규제부(508)와 비교하여, 충격 흡수체의 구성이 상이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7에서의 규제부(608)의 단면(斷面)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 7의 규제부(608)는, 이탈 방지 부재(81)와, 충격 흡수체(682)와, 원통 부재(483)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 7의 규제부(608)의 충격 흡수체(682)는, 실시형태 6의 충격 흡수체(582)와 달리, 고무 부재이다.
고무 부재인 충격 흡수체(682)는, 원통형이며, 원통 부재(483)의 외주(外周)에 배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682)의 직경은, 관통공(622s)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682)는, 상면부(622a)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682)의 하단(682b)은, 이탈 방지 부재(81)의 상면(81s)에 접촉되고 있다. 충격 흡수체(682)의 상단(682a)과 상면부(622a)의 사이에는,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캡(5)에 충격이 생긴 경우, 캡(5)의 차체 프레임(6)으로부터의 이격이 충격 흡수체(682)의 상면부(622a)에 대한 맞닿음에 의해 규제되고, 또한 그 규제 시의 충격이 탄성력에 의해 완화된다.
(실시형태 8)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8의 유압 셔블에 사용되는 규제부(70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7에서의 규제부(708)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규제부(708)는, 실시형태 1에서의 규제부(8)를 경사진 상태로 바닥 프레임(51)에 장착된 것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부(708)는, 그 중심축(708a)이 위쪽을 향함에 따라 좌측 방향 L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81)는, 상면(81s)의 우측 방향(R) 측의 끝(81R)이 좌측 방향 L 측의 끝(81L)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유압 셔블(100)이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경사진 상태로 이탈 방지 부재(81)를 유지하도록 충격 흡수체(82)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82)는, 그 제1 통형부(821) 및 제2 통형부(822)의 중심축이 상기 중심축(708a)과 일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규제부(708)는, 연직(沿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유압 셔블(100)이 좌측 방향 L 측으로 전도된 경우에는, 캡(5)이 지면 등에 접촉하게 되어, 캡(5)이 차체 프레임(6)에 대하여 화살표 J 방향으로 기울어 이격되도록 한다. 차체 프레임(6)에 대하여 캡(5)이 경사지면, 규제부(708)도 경사지므로, 이탈 방지 부재(81)가 차체 프레임(6)의 상면부(622a)에 맞닿을 때는, 이탈 방지 부재(81)가 상면부(622a)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러므로, 이탈 방지 부재(81)의 상면부(622a)에 대한 편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형태 2∼7의 규제부(108, 208, 308, 408, 508, 608)에 대하여도 본 실시형태 8과 같이 중심축이 경사지도록 배치해도 된다.
(실시형태 9)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9의 유압 셔블에 사용되는 규제부(80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 9의 규제부(808)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9의 규제부(808)는, 이탈 방지 부재(81)와, 충격 흡수체(882)를 구비한다. 충격 흡수체(882)는, 관통공(622s)에 삽통되는 삽통부(883)와, 돌출부(884)를 구비한다. 삽통부(883)는, 제1 통형부(821)와, 제2 통형부(822)와, 접속부(823)를 가지고 있고, 실시형태 1의 충격 흡수체(82)와 동일한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 9에서는, 실시형태 1과 달리, 제2 통형부(822)의 상단부(822a)가 바닥 프레임(51)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단부(822a)에 돌출부(884)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884)는, 상단부(822a)의 전체 주위로부터 관통공(51a)보다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884)의 하면(884a)은, 외주측을 향해 위치가 높아지도록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면(884a)이 관통공(51a)의 에지에 맞닿아 있다.
본 실시형태 9의 규제부(808)는, 제2 통형부(822)를 바닥 프레임(51)에 유지하기 위해 돌출부(884)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캡(5)에 충격이 생긴 경우, 캡(5)의 차체 프레임(6)으로부터의 이격은 이탈 방지 부재(81)의 상면부(622a)[관통공(622s)의 주위]에 대한 맞닿음에 의해 규제되지만, 그 규제 시의 충격이 충격 흡수체(882)의 탄성력에 의해 완화된다.
하면(884a)을 만곡하여 형성함으로써, 유압 셔블(100)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차체 프레임(6)에 대하여 캡(5)이 좌우 방향(예를 들면, 화살표 J 방향)으로 경사졌을 때, 돌출부(884)가 바닥 프레임(51)의 관통공(51a)의 주위에 편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징 등)
(1)
실시형태 1∼9의 유압 셔블(100)(작업 차량의 일례)은, 도 7∼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5)과, 차체 프레임(6)과, 규제부(8, 108, 208, 308, 408, 508, 608, 708, 808)를 구비한다. 차체 프레임(6)은, 베이스부(60)와, 베이스부(60)의 위쪽에 설치되어 캡(5)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 프레임(622)(지지 프레임의 일례)을 구비한다. 규제부(8, 108, 208, 308, 408, 508, 608, 708, 808)는, 캡(5)의 바닥 프레임(51)에 설치되고, 베이스부(60)와 바닥 프레임(5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8, 108, 208, 308, 408, 508, 608, 708, 808)는, 이탈 방지 부재(81, 181, 381)와, 충격 흡수체(82, 182, 282, 482, 582, 682, 882)를 가진다. 이탈 방지 부재(81, 181, 381)는,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82, 182, 282, 482, 582, 682, 882)는, 이탈 방지 부재(81, 181, 381)의 캡(5)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8, 108, 208, 308, 408, 508, 608, 708, 808)에 충격 흡수체를 설치함으로써, 유압 셔블(100)의 전도 시에 규제에 의해 캡(5)에 생기는 충격 중 적어도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캡(5)에 생기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캡(5)의 프레임을 두꺼운 재료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박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캡(5)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2)
실시형태 1∼9의 유압 셔블(100)(작업 차량의 일례)은, 감쇠부(7)를 더 구비한다. 감쇠부(7)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6)에 설치되고, 캡(5)을 캡(5)에 생기는 진동을 감쇠한다.
유압 셔블(100)의 주행 시 및 작업 시 등의 통상 사용 시에, 캡(5)에 생기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유압 셔블(100)이 전도되었을 때, 또는 암석 등에 충돌했을 때 등에는, 규제부(8, 108, 208, 308, 408, 508, 608, 708, 808)에 의해 차체 프레임(6)으로부터의 캡(5)의 이격을 규제할 수 있다.
(3)
실시형태 1∼9의 유압 셔블(100)(작업 차량의 일례)은, 도 2,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6)에 배치된 작업기(4)를 더 구비한다. 규제부(8, 108, 208, 308, 408, 508, 608, 708, 808)는, 작업기(4)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캡(5)의 작업기(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은,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규제부(8, 108, 208, 308, 408, 508, 608, 708, 808)를 작업기(4)의 반대측에 설치함으로써, 캡(5)의 차체 프레임(6)으로부터의 이격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4)
실시형태 1∼4, 8의 유압 셔블(100)(작업 차량의 일례)에서는, 도 7∼도 10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부(8, 108, 208, 308, 708)의 충격 흡수체(82, 182, 282)는, 캡(5)의 바닥 프레임(51)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충격에 의해 캡(5)이 차체 프레임(6)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이탈 방지 부재(81, 181, 381)이 차체 프레임(6)의 후방 지지 프레임(622)[관통공(622s)의 주위]에 아래쪽으로부터 맞닿아 캡(5)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맞닿음 시에 충격 흡수체(82, 182, 282)가 인장되어, 충격 흡수체(82, 182, 282)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5)
실시형태 1의 유압 셔블(100)(작업 차량의 일례)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격 흡수체(82)는, 제1 통형부(821)와, 제2 통형부(822)와, 접속부(823)를 구비한다. 제1 통형부(821)는, 이탈 방지 부재(81)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통형부(822)는, 캡(5)의 바닥 프레임(51)에 고정되고, 하단(822b)이 제1 통형부(821)의 상단(821a)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충격 흡수체(82)의 접속부(823)가 휘는 것에 의해 탄성력이 생겨, 이탈 방지 부재(81)의 후방 지지 프레임(622)에 대한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다.
(6)
실시형태 2의 유압 셔블(100)(작업 차량의 일례)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격 흡수체(182)는, 스프링 부재이다. 충격 흡수체(182)의 상단(182a)이, 캡(5)의 바닥 프레임(51)에 고정되고, 하단(182b)가, 이탈 방지 부재(181)에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인 충격 흡수체(182)를 설치함으로써,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탈 방지 부재(181)의 후방 지지 프레임(622)에 대한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다.
(7)
실시형태 3의 유압 셔블(100)(작업 차량의 일례)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격 흡수체(282)는, 고무 부재이다. 충격 흡수체(282)는, 충격 흡수체(282)에 접착되고 캡(5)의 바닥 프레임(51)에 고정된 제1 금속 부재(284)를 통하여 캡(5)의 바닥 프레임(51)에 고정되어 있고, 충격 흡수체(282)에 접착되고 이탈 방지 부재(81)에 고정된 제2 금속 부재(285)를 통하여 이탈 방지 부재(81)에 고정되어 있다.
고무 부재인 충격 흡수체(282)를 설치함으로써, 고무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탈 방지 부재(181)의 후방 지지 프레임(622)에 대한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다.
(8)
실시형태 4의 유압 셔블(100)(작업 차량의 일례)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탈 방지 부재(381)의 만곡면(381a)(상면의 일례)은, 외주측을 향해 위치가 낮게 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6)의 후방 지지 프레임(622)[관통공(622s)의 주위]에 충돌하는 이탈 방지 부재(381)의 부분이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차체 프레임(6)에 대하여 캡(5)이 경사진 경우에서의 이탈 방지 부재(381)의 후방 지지 프레임(622)에 대한 편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9)
실시형태 5, 6, 7의 유압 셔블(100)(작업 차량의 일례)에서는, 도 11∼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부(408, 508, 608)는, 바닥 프레임(51)과 이탈 방지 부재(81)를 연결하는 원통 부재(483)(연결 부재의 일례)를 더 구비한다. 충격 흡수체(482, 582, 682)는, 이탈 방지 부재(81)에 고정되고, 후방 지지 프레임(622)(지지 프레임의 일례)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충격에 의해 캡(5)이 차체 프레임(6)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충격 흡수체(482, 582, 682)가 차체 프레임(6)의 후방 지지 프레임(622)에 아래쪽으로부터 맞닿아 캡(5)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맞닿음 시에 충격 흡수체(482, 582, 682)가 압축되어, 충격 흡수체(482, 582, 682)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10)
실시형태 5의 유압 셔블(100)(작업 차량의 일례)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격 흡수체(482)는, 제1 통형부(484)와, 제2 통형부(485)와, 접속부(486)를 구비한다. 제1 통형부(484)는, 이탈 방지 부재(81)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통형부(485)는, 하단(485b)이 제1 통형부(484)의 상단(484a)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접속부(486)는, 제1 통형부(484)의 상단(484a)과, 제2 통형부(485)의 하단(485b)을 연결한다.
충격 흡수체(482)의 접속부(486)가 휘는 것에 의해 탄성력이 생기고, 충격 흡수체(482)의 후방 지지 프레임(622)에 대한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다.
(11)
실시형태 6, 7의 유압 셔블(100)(작업 차량의 일례)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격 흡수체(582, 682)는, 스프링 부재 또는 고무 부재이다.
스프링 부재 또는 고무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스프링 부재 또는 고무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 흡수체(582, 682)의 후방 지지 프레임(622)에 대한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다.
(12)
실시형태 8의 유압 셔블(100)(작업 차량의 일례)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탈 방지 부재(81)는, 원반형상(판형의 일례)의 부재이며 상면(81s)(주면의 일례)이 후방 지지 프레임(622)(지지 프레임의 일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708)는, 상면(81s)의 작업기(4) 측의 끝(81R)이 작업기의 반대측의 끝(81L)보다 높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708)를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차체 프레임(6)에 대하여 캡(5)이 작업기(4) 측으로 경사진 경우에 있어서 이탈 방지 부재(81)의 차체 프레임(6)에 대한 편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13)
실시형태 9의 유압 셔블(100)(작업 차량의 일례)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격 흡수체(882)는, 삽통부(883)와, 돌출부(884)를 구비한다. 삽통부(883)는, 캡(5)의 바닥 프레임(51)에 형성된 관통공(51a)(관통공의 일례)을 삽통한다. 돌출부(884)는, 바닥 프레임(51)보다 위쪽에 설치되고, 삽통부(883)로부터 관통공(51a)보다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884)는, 외주측을 향해 위치가 높아지도록 만곡되고, 관통공(51a)의 주위에 맞닿는 하면(884a)을 구비한다.
충격 흡수체(882)의 돌출부(884)가 관통공(51a) 측으로 만곡된 하면(884a)을 가지는 것에 의해, 차체 프레임(6)에 대하여 캡(5)이 경사진 경우에서의 충격 흡수체(882)의 관통공(51a)의 주위에 대한 편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14)
실시형태 9의 유압 셔블(100)(작업 차량의 일례)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통부(883)는, 제1 통형부(821)와, 제2 통형부(822)와, 접속부(823)를 구비한다. 제1 통형부(821)는, 이탈 방지 부재(81)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통형부(822)는, 관통공(51a)을 삽통하고, 하단(822b)이 제1 통형부(821)의 상단(821a)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접속부(823)는, 제1 통형부(821)의 상단(821a)과, 제2 통형부(822)의 하단(822b)을 연결한다.
충격 흡수체(882)의 접속부(823)가 휘는 것에 의해 탄성력이 생겨, 충격 흡수체(882)의 후방 지지 프레임(622)에 대한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 1∼9에서는, 규제부(8, 108, 208, 308, 408, 508, 608, 708, 808)는, 1개 설치되어 있지만, 2개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의 규제부(8)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지지 프레임(622)의 좌측면 측의 지주(54b) 근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방 지지 프레임(621)의 좌측면 측의 지주(54a) 근방에 더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지주(54b)(제1 캡 프레임의 일례) 및 지주(54a)(제2 캡 프레임의 일례)의 아래쪽 근방의 각각에, 규제부(8)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주(54b) 쪽이 지주(54a)보다 강성이 높으므로, 지주(54b)의 아래쪽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규제부(8)의 충격 흡수체(82)의 탄성 계수의 쪽이, 지주(54a)의 아래쪽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규제부(8)의 충격 흡수체의 탄성 계수보다 높게 설정된다.
탄성 계수에 차이가 있는 것에 의해, 캡(5)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지주(54a)보다 지주(54b)에 가해지는 충격 쪽이 커지게 되지만, 지주(54b) 쪽이 지주(54a)보다 강성이 높으므로, 충격을 받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압 셔블(100)을 운전할 때, 운전자는 캡(5)의 전방은 주시할 수 있으므로, 캡(5)의 전방측에 충돌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은 낮지만, 후방은 주시할 수 없으므로, 캡(5)의 후방측에는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래서,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낮은 전방측의 지주(54a)를,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높은 후방측의 지주(54b)보다 박형화함으로써, 가능한 한 캡(5)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박형화 한 전방측의 지주(54a)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탄성 계수를 낮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실시형태 2∼9에서도,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로, 규제부(108, 208, 308, 408, 508, 608, 708, 808)를 전방 지지 프레임(621)에 설치해도 된다.
(B)
상기 실시형태 및 상기 다른 실시형태(A)에서는, 규제부(8, 108, 208, 308, 408, 508, 608, 708, 808)를, 후방 지지 프레임(622) 및 전방 지지 프레임(621)에 설치하는 것을 기술하였으나, 중간 지지 프레임(624)의 좌측단 근방에 규제부(8, 108, 208, 308, 408, 508, 608, 708, 808)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지지 프레임(624)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지주(54a)와 지주(54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지주(54c)의 아래쪽에 중간 지지 프레임(624)을 배치하고, 규제부(8, 108, 208, 308, 408, 508, 608, 708, 808)를 지주(54c)의 근방에 배치해도 된다.
(C)
상기 실시형태 및 상기 다른 실시형태(A)에서는, 규제부(8, 108, 208, 308, 408, 508, 608, 708, 808)는, 작업기(4)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작업기(4) 측에도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D)
상기 실시형태 1∼9에서는,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 유압 셔블(100)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휠 로더(wheel loader), 불도저(bulldozer), 모터 그레이더(motor grader) 등이라도 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캡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예를 들면, 유압 셔블, 휠 로더, 불도저, 및 모터 그레이더 등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1: 차량 본체
2: 주행체
2a: 주행 장치
2b: 주행 장치
2d: 크롤러 벨트
2e: 크롤러 벨트
3: 선회체
4: 작업기
5: 캡
6: 차체 프레임
7: 감쇠부
8: 규제부
9: 붐
10: 암
11: 굴삭 버킷
12: 연료 탱크
13: 작동유 탱크
14: 엔진실
15: 카운터웨이트
51: 상 프레임
51a: 관통공
51b: 돌기
52: 천정 프레임
53a: 우측 전방 지주
53b: 우측 후방 지주
54a: 좌측 전방 지주
54b: 좌측 후방 지주
54c: 좌측 중간 지주
58a: 패널
60: 베이스부
61: 작업기 지지부
62: 캡 배치부
71: 케이스
72: 스터드
81: 이탈 방지 부재
81a: 관통공
82: 충격 흡수체
83: 볼트
84: 너트
100: 유압 셔블
108: 규제부
181: 이탈 방지 부재
181a: 관통공
181b: 돌기
182: 충격 흡수체
182a: 상단
182b: 하단
183: 원통 부재
183b: 하단
208: 규제부
282: 충격 흡수체
284: 제1 금속 부재
284a: 나사공
285: 제2 금속 부재
285a: 나사공
286: 볼트
308: 규제부
381: 이탈 방지 부재
381a: 만곡면
408: 규제부
482: 충격 흡수체
483: 원통 부재
483a: 나사공
484: 제1 통형부
484a: 상단
484b: 하단
485: 제2 통형부
485a: 상단
485b: 하단
486: 접속부
489: 볼트
508: 규제부
582: 충격 흡수체
582a: 상단
582b: 하단
608: 규제부
611: 세로판
612: 세로판
621: 전방 지지 프레임
622: 후방 지지 프레임
622a: 상면부
622e: 에지
622s: 관통공
623: 좌측 지지 프레임
624: 중간 지지 프레임
682: 충격 흡수체
682a: 상단
682b: 하단
708: 규제부
708a: 중심축
808: 규제부
821: 제1 통형부
821a: 상단
822: 제2 통형부
822a: 상단부
822b: 하단
823: 접속부
824: 커버부
882: 충격 흡수체
883: 삽통부
884: 돌출부
884a: 하면
S: 간극

Claims (15)

  1. 캡(cab);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캡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는 차체 프레임(body frame); 및
    상기 캡의 바닥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바닥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규제부(restrictor);
    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아래쪽에 배치된 이탈 방지 부재(retaining member); 및
    상기 이탈 방지 부재의 상기 캡 측에 배치된 충격 흡수체(impact absorber);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work vehicl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캡을 지지하고 또한 상기 캡에 생기는 진동을 감쇠하는 감쇠부(damper)를 더 포함하는 작업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에 배치된 작업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작업기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캡의 상기 작업기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제1 캡 프레임(cap frame); 및
    상기 캡의 상기 작업기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캡 프레임보다 강성(剛性)이 낮은 제2 캡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1 캡 프레임의 아래쪽 근방과 상기 제2 캡 프레임의 아래쪽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캡 프레임의 아래쪽 근방에 설치된 상기 규제부의 상기 충격 흡수체의 탄성 계수(coefficient of elasticity)보다, 상기 제2 캡 프레임의 아래쪽 근방에 설치된 상기 규제부의 상기 충격 흡수체의 탄성 계수가 낮은, 작업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체는, 상기 캡의 상기 바닥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작업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체는,
    상기 이탈 방지 부재에 고정된 제1 통형부;
    상기 캡의 상기 바닥 프레임에 고정되고, 하단(下端)이 상기 제1 통형부의 상단(上端)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통형부; 및
    상기 제1 통형부의 상기 상단과, 상기 제2 통형부의 상기 하단을 연결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체는, 스프링 부재로서,
    상단이 상기 캡의 상기 바닥 프레임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이탈 방지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작업 차량.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체는, 고무 부재이며,
    상기 충격 흡수체에 접착되고 상기 캡의 상기 바닥 프레임에 고정된 제1 금속 부재를 통하여 상기 캡의 상기 바닥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충격 흡수체에 접착되고 상기 이탈 방지 부재에 고정된 제2 금속 부재를 통하여 상기 이탈 방지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작업 차량.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부재의 상면은, 외주측을 향해 위치가 낮게 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작업 차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바닥 프레임과 상기 이탈 방지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충격 흡수체는, 상기 이탈 방지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체는,
    상기 이탈 방지 부재에 고정된 제1 통형부;
    하단이 상기 제1 통형부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통형부; 및
    상기 제1 통형부의 상기 상단과, 상기 제2 통형부의 상기 하단을 연결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체는, 스프링 부재 또는 고무 부재인, 작업 차량.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부재는, 주면(主面)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판형의 부재이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주면의 상기 작업기 측의 끝이 상기 작업기의 반대측의 끝보다 높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체는,
    상기 캡의 상기 바닥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통된 삽통부; 및
    상기 바닥 프레임보다 위쪽에 설치되고, 상기 삽통부로부터 상기 관통공보다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외주측을 향해 위치가 높아지도록 만곡되고, 상기 관통공의 주위에 맞닿는 하면을 가지는, 작업 차량.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부는,
    상기 이탈 방지 부재에 고정된 제1 통형부;
    상기 관통공을 삽통하고, 하단이 상기 제1 통형부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통형부; 및
    상기 제1 통형부의 상기 상단과, 상기 제2 통형부의 상기 하단을 연결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
KR1020187036046A 2016-08-10 2017-08-10 작업 차량 KR201900037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57884A JP2018025047A (ja) 2016-08-10 2016-08-10 作業車両
JPJP-P-2016-157884 2016-08-10
PCT/JP2017/029079 WO2018030513A1 (ja) 2016-08-10 2017-08-10 作業車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777A true KR20190003777A (ko) 2019-01-09

Family

ID=6116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046A KR20190003777A (ko) 2016-08-10 2017-08-10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185063A1 (ko)
JP (1) JP2018025047A (ko)
KR (1) KR20190003777A (ko)
CN (1) CN109311516A (ko)
DE (1) DE112017002473T5 (ko)
WO (1) WO2018030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7997B2 (ja) * 2016-09-29 2020-02-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KR102562133B1 (ko) * 2018-06-12 2023-08-01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캐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US11008056B2 (en) * 2018-06-26 2021-05-18 Deere & Company Isolation system from noise and vibrations for a work vehicle
LT6757B (lt) * 2019-11-08 2020-08-25 AUGA group, AB Erdvinė žemės ūkio transporto priemonės rėmo konstrukcija
US11339553B2 (en) * 2020-04-23 2022-05-24 Deere & Company Cab viscous mount
CN113323065B (zh) * 2021-06-10 2022-12-09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作业车辆
US11840279B2 (en) * 2021-11-04 2023-12-12 Zoomlion Heavy Industry Na, Inc. Secondary retention devices for retaining a heavy equipment cab on a fr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6555B2 (ja) * 1996-07-09 2007-03-22 株式会社フコク 液体封入式マウント
JPH10204924A (ja) * 1997-01-20 1998-08-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運転室付き作業機
JP4429595B2 (ja) 2002-12-11 2010-03-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支持構造
JP2006348509A (ja) * 2005-06-14 2006-12-28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キャブ支持構造
CN2892983Y (zh) * 2005-12-09 2007-04-25 柳州市华力实业有限责任公司 驾驶室翻转装置及带该装置的挖掘机翻转式驾驶室
JP5076845B2 (ja) * 2007-11-30 2012-11-2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ベースフレームとキャブと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
KR20110062290A (ko) * 2009-12-03 2011-06-10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진동 흡수장치와 운전자 보호구조물 하중 지지장치가 일원화된 건설장비
JP5666234B2 (ja) * 2010-10-08 2015-02-1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791354B2 (ja) * 2011-04-26 2015-10-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有人車両のキャビン構造及び特殊環境有人車両
JP5810683B2 (ja) * 2011-07-04 2015-11-1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支持構造
JP2015168936A (ja) * 2014-03-05 2015-09-28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作業機械におけるキャブ保護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513A1 (ja) 2018-02-15
CN109311516A (zh) 2019-02-05
US20190185063A1 (en) 2019-06-20
DE112017002473T5 (de) 2019-01-24
JP2018025047A (ja)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3777A (ko) 작업 차량
US7665801B2 (en) Structure of upper frame for supporting cabin of construction machinery
CN211774095U (zh) 工程机械的驾驶室组装体
US7938478B2 (en) Operator&#39;S cab supporting apparatus of work machine
JP4821895B2 (ja) 建設機械
KR102082844B1 (ko) 건설 기계
US8657251B2 (en) Cab supporting apparatus of work machine
JP5666234B2 (ja) 建設機械
WO2010122623A1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キャブ用の補強材
US11072909B2 (en) Cab coming-off prevention structure of working machine
US8919725B2 (en) Exterior mounting apparatus for interior component
JP5996122B2 (ja) 作業車両のキャブ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223096A (ja) 建設機械
US11001987B2 (en) Cab and work machine
JP2001173017A (ja) 建設機械
JP6174969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支持構造
KR101774776B1 (ko)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 로더
US20220220700A1 (en) Work vehicle
WO2020170326A1 (ja) 装軌式車両
KR102066793B1 (ko) 지게차의 틸트 캐빈용 록킹장치
US20240101199A1 (en) Work vehicle
JP2005350948A (ja) 油圧ショベルの保護装置
JP2014145201A (ja) 作業車両
JP4920570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キャブ補強構造
JP5055334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