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542A - 감속기 - Google Patents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542A
KR20190001542A KR1020180071864A KR20180071864A KR20190001542A KR 20190001542 A KR20190001542 A KR 20190001542A KR 1020180071864 A KR1020180071864 A KR 1020180071864A KR 20180071864 A KR20180071864 A KR 20180071864A KR 20190001542 A KR20190001542 A KR 20190001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ust plate
sun gear
sun
planetary
planetary ge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803B1 (ko
Inventor
히사토 모토무라
유지 아오키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46System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gear trains each with orbital gears, i.e.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간소한 구성에 의해, 태양 기어 및 복수의 유성 기어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는 감속기를 제공한다. 또한, 감속기 전체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하여, 콤팩트하게 구성 가능한 감속기를 제공한다.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축(29)에 연결 구조부(40)를 통하여 연결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 및 제1 태양 기어(15)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설치된다.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 제1 태양 기어(15), 복수의 지지축(29) 및 연결 구조부(40)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면 중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와 대향하는 면(18a)과는 반대측의 면(18b)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Description

감속기{DECELERATOR}
본 발명은 태양 기어, 복수의 유성 기어 및 캐리어를 구비하는 유성 기어 기구에 의해 입력축의 회전을 감속하면서 회전 케이싱을 회전 구동하는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태양 기어 및 유성 기어를 이용한 감속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는, 태양 기어(선 기어), 유성 기어, 내치 기어(링 기어) 및 캐리어를 구비하는 감속기를 개시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05497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09-240525호 공보
태양 기어 및 유성 기어를 구비하는 감속기에서는,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 사이의 맞물림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태양 기어 및 유성 기어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감속기에서는, 유성 기어가 캐리어에 대하여 와셔 및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한편, 태양 기어와 커버 부재 사이에 구체가 배치된다. 이 구체는, 태양 기어의 커버 부재 측단부면에 형성된 패임부에 끼워 넣어져, 태양 기어 및 커버 부재의 양쪽과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다. 이 감속기에서는, 와셔 및 볼트에 의해 유성 기어의 축방향 위치가 규제되고, 또한 구체에 의해 태양 기어의 축방향 위치가 규제된다.
한편, 특허문헌 2의 감속기에서는, 회전 캐리어의 단부 커버 방향의 측면에는 구멍이 마련되고, 이 구멍에는, 스러스트 플레이트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에 배치된 스러스트 플레이트에는, 유압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축의 단부면이 맞닿고, 당해 축의 단부에는 태양 기어가 설치된다. 이 감속기에서는, 회전 캐리어에 의해 유성 기어의 축방향 위치가 규제되고, 또한 스러스트 플레이트에 의해 태양 기어의 축방향 위치가 규제된다.
상술한 특허문헌 1의 감속기 구체를 사용하여 태양 기어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경우, 태양 기어 및 커버 부재를 가공하여 구체를 수용하기 위한 패임부 등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감속기에서는, 태양 기어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기구와, 유성 기어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기구가 별개로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감속기에 있어서도, 태양 기어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기구와, 유성 기어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기구가 별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고, 태양 기어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를 배치하기 위한 구멍부나 오목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특허문헌 1 및 2가 개시하는 감속기에서는, 태양 기어 및 유성 기어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비교적 다수의 부품이 필요해져, 기구가 복잡화되기 쉽다. 특히, 특허문헌 1의 감속기에서는 구체를 준비하고 당해 구체를 소정 위치에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립의 수고 및 비용도 든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감속기에서는, 조립의 수고 및 비용이 들뿐만 아니라,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면적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스러스트 플레이트 및 태양 기어의 미끄럼 접촉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열의 방열성도 좋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간소한 구성에 의해, 태양 기어 및 복수의 유성 기어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는 감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또한, 감속기 전체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하여, 콤팩트하게 구성 가능한 감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고정 케이싱에 의해, 케이싱용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회전 케이싱과, 회전 케이싱의 내주에 설치되어 있는 내치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에 대하여 연결되는 입력축과, 입력축에 연결되는 태양 기어와, 태양 기어와 내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성 기어와, 회전 축선이 연장되는 축방향에 관하여 복수의 유성 기어의 일방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축방향에 관하여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하여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축이며, 기어용 베어링을 통하여 복수의 유성 기어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축을 갖는 캐리어와, 축방향에 관하여 복수의 유성 기어의 타방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지지축에 연결 구조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감속기이며, 스러스트 플레이트는, 복수의 유성 기어 및 태양 기어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유성 기어, 태양 기어, 복수의 지지축 및 연결 구조부는,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면 중 복수의 유성 기어와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태양 기어는, 태양 톱니부와, 태양 톱니부를 지지하는 태양 지지부를 갖고, 복수의 유성 기어의 각각은, 태양 톱니부와 맞물리는 유성 톱니부와, 유성 톱니부를 지지하는 유성 지지부를 갖고, 스러스트 플레이트는, 태양 지지부에 접촉하지만, 태양 톱니부에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
태양 지지부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측의 단부면은, 축방향에 관하여, 복수의 지지축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측의 단부면과 동일 위치, 또는 복수의 지지축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측의 단부면보다도 스러스트 플레이트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고, 태양 톱니부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측의 단부면은, 축방향에 관하여, 복수의 지지축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측의 단부면보다도, 스러스트 플레이트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스러스트 플레이트는, 태양 지지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플레이트 볼록부를 갖고, 플레이트 볼록부는, 태양 지지부에 접촉하지만, 태양 톱니부에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
유성 톱니부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측의 단부면은, 축방향에 관하여, 태양 톱니부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측의 단부면보다도, 스러스트 플레이트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입력축 및 태양 기어 중, 한쪽은 볼록 형상의 걸림 결합 볼록부를 갖고, 다른 쪽은 걸림 결합 스페이스를 포함하는 걸림 결합 오목부를 갖고, 걸림 결합 스페이스에 배치된 걸림 결합 볼록부가 걸림 결합 오목부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태양 기어는 입력축에 연결되고, 태양 기어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축 회전 방향에 관해서는 입력축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또한 축방향에 관해서는 입력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입력축에 연결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소한 구성의 감속기에 의해, 태양 기어 및 복수의 유성 기어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감속기 전체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하여, 감속기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성 기어 감속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유성 기어, 스러스트 플레이트 및 회전 케이싱의 외관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유성 기어, 스러스트 플레이트 및 회전 케이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캐리어(즉 지지축), 제1 유성 기어 및 제1 태양 기어가 투시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와 지지축의 연결 부분의 단면을 측방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5는 스러스트 플레이트와 지지축의 연결 부분의 다른 예의 개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스러스트 플레이트와 지지축의 연결 부분의 다른 예의 개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 캐리어의 각 지지축 및 제1 태양 기어의 단면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며, 각 요소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도 8은 스러스트 플레이트, 캐리어의 각 지지축 및 제1 태양 기어의 위치 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입력축과 제1 태양 기어의 연결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도시되는 요소에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이즈 및 축척 등이 실제의 그것들과 상이하게 도시되어 있는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유성 기어 감속기는, 전형적으로는 건설 기계가 구비하는 주행용 장치에 있어서의 감속기로서 사용 가능하지만, 그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성 기어 감속기(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유성 기어(16), 스러스트 플레이트(18) 및 회전 케이싱(12)의 외관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유성 기어(16), 스러스트 플레이트(18) 및 회전 케이싱(12)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캐리어(17)(즉 지지축(29)), 제1 유성 기어(16) 및 제1 태양 기어(15)가 투시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유성 기어 감속기(1)는, 도시하지 않은 건설 기계에 탑재되고, 이 건설 기계를 주행시키기 위한 유압 모터(10)(상세한 도시는 생략)가 내부에 배치된 고정 케이싱(11)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유성 기어 감속기(1)는, 회전 케이싱(12), 내치(13), 입력축(14), 제1 태양 기어(15), 제1 유성 기어(16), 캐리어(17), 스러스트 플레이트(18), 제2 태양 기어(19) 및 제2 유성 기어(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유성 기어 감속기(1)는, 유압 모터(10)에서 발생하는 회전 구동력을 감속하여 토크를 증대시켜, 최종적으로 회전 케이싱(12)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회전 케이싱(12)에 형성된 플랜지부(30)에 설치된 피구동부(도시 생략)를 구동한다. 또한 유압 모터(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형적으로는 경사판식의 피스톤 펌프를 유압 모터(10)로서 이용할 수 있다.
유성 기어 감속기(1)에 있어서의 회전 케이싱(12)은, 기본적으로 중공 원통형의 구조를 갖고, 그 한쪽의 측의 개구부로부터 고정 케이싱(11)의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회전 케이싱(12)의 다른 쪽의 측의 개구부는, 덮개(21)에 의해 막혀 있다. 회전 케이싱(12)은, 고정 케이싱(11)에 의해, 케이싱용 베어링(28(28a, 28b))을 통하여 회전 축선(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즉, 회전 케이싱(12)의 내주에 형성된 돌출형부(31)가 고정 케이싱(11)의 외주에 설치된 2개의 케이싱용 베어링(28a, 28b) 사이에 끼움 지지되고, 회전 케이싱(12)은, 케이싱용 베어링(28a, 28b)을 통하여 고정 케이싱(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회전 케이싱(12)의 내주에는 내치(13)가 설치되어 있고, 내치(13)는 후술하는 제1 유성 기어(16)나 제2 유성 기어(20)와 맞물린다. 또한 내치(13)는, 회전 케이싱(12)과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별체로서 형성되고 회전 케이싱(12)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입력축(14)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케이싱(12) 내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인 유압 모터(10)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1 태양 기어(15)는, 입력축(14)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와 맞물린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제1 유성 기어(16)가 주위 방향(Dc)으로 균등 각도(즉 120도)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의 각각은, 제1 태양 기어(15)와 내치(1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1 태양 기어(15) 및 내치(13)의 어느 쪽에든 맞물려 있다. 각 제1 유성 기어(16)는, 제1 태양 기어(15)의 자전에 수반하여 회전 구동되어, 제1 태양 기어(15)의 주위를 공전한다.
캐리어(17)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유성 기어(16)를 보유 지지하는 유성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으며,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의 각각을, 일방측으로부터 외팔보 상태로 기어용 베어링(23)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캐리어(17)는, 베이스부(35) 및 복수의 지지축(29)(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지지축(29))을 갖는다. 베이스부(35)는 회전 축선(A)이 연장되는 축방향(Da)에 관하여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의 일방측(즉 도 1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축(29)은, 축방향(Da)에 관하여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하여, 베이스부(35)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어 있으며, 기어용 베어링(23)을 통하여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한다. 복수의 지지축(29)은, 베이스부(35)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베이스부(35)와는 별체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지지축(29)은, 캐리어(17)의 외주부에 있어서 주위 방향(Dc)으로 균등 각도(즉 120도)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지지축(29)은, 각각 대응하는 제1 유성 기어(16)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다른쪽 측단부에 있어서 스러스트 플레이트(18)와 연결된다. 또한, 각 지지축(29)과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구체적인 연결 양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4 내지 6 참조).
캐리어(17)의 평판상의 베이스부(35)의 직경 방향 중심부에는 중공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이 중공 부분에는, 제2 태양 기어(19)의 단부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내치 부분(37)이 주위 방향(Dc)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태양 기어(19)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태양 기어(19)의 내측에는 제1 태양 기어(15)의 축 부분(후술하는 「태양 지지부」)이 삽입되고, 제2 태양 기어(19)의 외주에는 외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치에는, 캐리어(17)의 내치 부분(37)이 스플라인 결합됨과 함께, 복수(3개)의 제2 유성 기어(20)가 맞물려 있다. 3개의 제2 유성 기어(20)는, 각각 고정 케이싱(11)의 단부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Dc)으로 균등 위치의 3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 설치 축부(3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러스트 플레이트]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축방향(Da)에 관하여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의 타방측(도 1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지지축(29)에 연결 구조부(4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각 지지축(29)과 덮개(21) 사이, 각 제1 유성 기어(16)와 덮개(21) 사이 및 제1 태양 기어(15)와 덮개(21) 사이에 있어서 연장되어, 캐리어(17), 각 제1 유성 기어(16) 및 제1 태양 기어(15)의 축방향(Da)에 관한 위치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열 처리 등에 의해 경도 및 내마모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지지축(29), 각 제1 유성 기어(16), 제1 태양 기어(15) 및 덮개(21)의 접촉 및 미끄럼 이동에 대하여 높은 내성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원판상의 단일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평면 형상은 원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복수 부재가 조합되어 구성되어도 되고, 표면 가공 등의 임의의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제조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를 간단하게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와 지지축(29)의 연결 부분의 단면을 측방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연결 구조부(40)는, 각 지지축(29)이 갖는 오목부(60)와, 스러스트 플레이트(18)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부(6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각 지지축(29)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에는 오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0)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로부터 연장되는 대응하는 돌기부(61)와 걸림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갖지만, 오목부(60)의 구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지지축(29)에 형성된 구멍 형상의 개구부에 의해, 오목부(60)가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각 지지축(29)의 일부가 노치됨으로써 형성되는 노치부(도시 생략)에 의해, 오목부(60)가 구성되어도 된다. 한편, 스러스트 플레이트(18)에는, 복수의 지지축(29)의 오목부(60) 각각과 걸림 결합 가능한 복수의 돌기부(61)(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돌기부(6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60)에 대응하는 돌기부(61)가 걸림 결합됨으로써,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각 지지축(29)의 단부에 연결된다. 복수의 돌기부(61)는, 회전 축선(A)(도 1 참조)을 중심으로 한 회전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주위 방향(Dc)에 관하여 균등 각도 어긋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지지축(29)에 연결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캐리어(17), 제1 태양 기어(15) 및 각 제1 유성 기어(16)로부터의 스러스트 방향(즉 축방향(Da))의 하중을 받는 한편, 도 1에 도시하는 덮개(21)에 설치된 복수의 압박부(22)에 의해 압박된다. 또한 덮개(21)(특히 압박부(22))는 반드시 항상 스러스트 플레이트(18)에 접촉하고 있을 필요는 없어, 덮개(21)와 스러스트 플레이트(18)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스러스트 플레이트(18)에 형성되는 각 돌기부(61)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에는 복수의 구멍부(62)(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구멍부(62))가 형성되고, 각 구멍부(62)로부터 돌기부(61)가 연장된다. 각 돌기부(61)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일부가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꺾여 구부러짐으로써 형성되고, 각 구멍부(62)는 대응하는 돌기부(61)가 존재하고 있던 스페이스에 의해 구성된다. 그로 인해, 각 구멍부(62)의 형상은 대응하는 돌기부(61)의 형상과 일치한다.
또한 각 돌기부(61)의 단면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형적으로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특히, 스러스트 플레이트(18)와 지지축(29)(즉 캐리어(17))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각 돌기부(61)는, 축방향(Da)과 수직인 직경 방향(Dr)의 폭보다도, 축방향(Da) 및 직경 방향(Dr)의 각각과 수직인 주위 방향(Dc)의 폭이 더 큰 단면을 갖고 있어도 된다. 각 제1 유성 기어(16)는 주위 방향(Dc)으로 공전하기 때문에 스러스트 플레이트(18) 및 지지축(29)은 각 제1 유성 기어(16)로부터 주위 방향(Dc)으로 힘을 받는다. 그로 인해, 각 돌기부(61)의 주위 방향(Dc)의 폭을 크게 하여, 주위 방향(Dc)에 관한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각 제1 유성 기어(16)의 공전 시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와 지지축(29)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또한 각 돌기부(61)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평탄부(65)에 대하여 경사져 형성되어도 된다. 각 돌기부(61)의 형상 탄성을 이용하여, 각 오목부(60)의 측벽부에 대응하는 돌기부(61)를 압박시킨 상태에서 각 돌기부(61)를 배치함으로써, 각 지지축(29)에 대한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연결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연결 구조부(40)는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각 지지축(29)에 대하여 스러스트 플레이트(18)를 적절하게 고정 가능한 임의의 구성을 연결 구조부(40)는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외주부로부터 직경 방향(Dr)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하여 마련된 복수(3개)의 돌기부(61)와, 각 지지축(29)의 오목부(60)에 의해 연결 구조부(40)가 구성되어도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돌기부(61)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평탄부(65)로부터 거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립 설치부(66)와, 기립 설치부(66)의 선단부로부터 직경 방향(Dr)의 외측을 향하여 뻗치도록 연장되는 연장 돌출부(67)를 갖는다. 각 연장 돌출부(67)는, 걸림 결합하는 오목부(60)의 내측으로 휜 상태에서 배치되어, 오목부(60)의 측벽부를 압박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연장 돌출부(67)는, 걸림 결합하는 오목부(60)의 외측 벽부(도 5의 부호 「B」 참조) 및 내측 벽부(도 5의 부호 「C」 참조)의 양쪽을 압박하여, 연장 돌출부(67)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러스트 플레이트(18)가 지지축(29)(캐리어(17))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연결 구조부(40)에서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에 의해 덮이는 각 제1 유성 기어(16)의 범위가 도 4에 도시하는 연결 구조부(40)와 비교하여 작아져, 각 지지축(29)의 노출 범위가 커지기 때문에, 유성 기어 감속기(1) 내에서 순환되는 작동유(윤활유)를, 효율적으로 기어용 베어링(23)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러스트 플레이트(18)로부터 직경 방향(Dr)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하여 마련된 복수(3개)의 돌기부(61)와, 각 지지축(29)의 오목부(60)와, 각 돌기부(61)와 각 오목부(60)를 연결하는 나사부(68)에 의해 연결 구조부(40)가 구성되어도 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돌기부(61)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평탄부(65)로부터 연직 하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립 설치부(66)와, 기립 설치부(66)의 선단부로부터 직경 방향(Dr)의 외측을 향하여 뻗치도록 연장되는 연장 돌출부(67)를 갖는다. 각 연장 돌출부(67)는, 거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각 오목부(60)의 저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각 연장 돌출부(67)에 형성한 구멍에 나사부(68)를 삽입하여 당해 나사부(68)에 의해 각 연장 돌출부(67)를 오목부(60)의 저부에 고정함으로써, 스러스트 플레이트(18)가 각 지지축(29)에 고정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의 연결 구조부(40)가 갖는 돌기부(61)(기립 설치부(66) 및 연장 돌출부(67)를 포함한다)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를 구성하는 판상 부재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지만, 기능적으로는 돌기부(61)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와는 상이한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양자는 발명의 구성 요소로서 구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캐리어(17)의 복수의 지지축(29),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 및 제1 태양 기어(15)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제1 태양 기어(15)의 전부를 덮으며, 또한, 각 제1 유성 기어(16)의 일부를 덮는다. 이에 의해, 제1 태양 기어(15) 및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의 축방향(Da)에 관한 위치가, 스러스트 플레이트(18)에 의해 규제된다.
또한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 제1 태양 기어(15), 복수의 지지축(29) 및 연결 구조부(40)의 각각은, 축방향(Da)에 관하여,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면 중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와 대향하는 면(18a)과는 반대측의 면(18b)(즉 덮개(21)측의 면(18b))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 제1 태양 기어(15), 복수의 지지축(29) 및 연결 구조부(40)의 각각은, 축방향(Da)에 관하여,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면(18b)과 동일 위치 또는 당해 반대측의 면보다도 캐리어(17)측(도 1의 좌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유성 기어 감속기(1) 전체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하여, 유성 기어 감속기(1)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 캐리어(17)의 각 지지축(29) 및 제1 태양 기어(15)의 단면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며, 각 요소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제1 태양 기어(15)는, 톱니부(이하 「태양 톱니부」라고 칭한다)(45)와, 태양 톱니부(45)를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이하 「태양 지지부」라고 칭한다)(46)를 갖는다. 또한 복수의 제1 유성 기어(16)의 각각은, 태양 톱니부(45)와 맞물리는 톱니부(이하 「유성 톱니부」라고 칭한다)(47)와, 유성 톱니부(47)를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이하 「유성 지지부」라고 칭한다)(48)를 갖는다. 또한, 태양 톱니부(45)와 태양 지지부(46)는, 일체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되고, 별도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유성 톱니부(47)와 유성 지지부(48)는, 일체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되고, 별도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태양 지지부(46)에 접촉하지만 태양 톱니부(45)에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고, 또한 유성 지지부(48)에 접촉할 수 있지만 유성 톱니부(47)에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제1 태양 기어(15)에서는, 태양 지지부(46)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46a)이, 축방향(Da)에 관하여, 각 지지축(29)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29a)과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 태양 지지부(46)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46a)은, 축방향(Da)에 관하여, 각 지지축(29)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29a)보다도 스러스트 플레이트(18)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한편, 태양 톱니부(45)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45a)은, 축방향(Da)에 관하여, 각 지지축(29)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29a)보다도, 스러스트 플레이트(18)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태양 톱니부(45)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45a)은, 축방향(Da)에 관하여, 태양 지지부(46)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46a)보다도 스러스트 플레이트(18)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제1 유성 기어(16)에서는, 유성 지지부(48)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48a)은, 축방향(Da)에 관하여, 각 지지축(29)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29a)보다도 스러스트 플레이트(18)로부터 약간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 유성 지지부(48)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48a)은, 축방향(Da)에 관하여, 각 지지축(29)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29a)과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한편, 유성 톱니부(47)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47a)은, 축방향(Da)에 관하여, 각 지지축(29)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29a)보다도, 스러스트 플레이트(18)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성 톱니부(47)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47a)은, 축방향(Da)에 관하여, 유성 지지부(48)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48a)보다도 스러스트 플레이트(18)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태양 톱니부(45)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45a)보다도 스러스트 플레이트(18)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도 7에 도시하는 태양 지지부(46)는, 태양 톱니부(45)보다도 스러스트 플레이트(18)를 향하여 돌출되는 보스 형상을 갖고, 스러스트 플레이트(18)에 가까운 위치(도 7에서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태양 톱니부(45)에 접촉하지 않고 태양 지지부(46)에 접촉하여, 제1 태양 기어(15)의 축방향(Da)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7에 도시하는 유성 지지부(48)는, 유성 톱니부(47)보다도 스러스트 플레이트(18)를 향하여 돌출되는 보스 형상을 갖고, 스러스트 플레이트(18)에 가까운 위치(도 7에서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유성 톱니부(47)에 접촉하지 않고 유성 지지부(48)에 접촉하여, 각 제1 유성 기어(16)의 축방향(Da)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태양 톱니부(45) 및 유성 톱니부(47)에 접촉해도 되지만, 이들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태양 톱니부(45) 및 유성 톱니부(47)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기어의 톱니부는 지지부에 비교하여 예리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톱니부는, 지지부보다도 외주측에 배치되고, 기어의 축 회전 시에는, 지지부보다도 속도(주속) 및 이동 거리가 커진다. 그로 인해, 지지부에 비하여 톱니부는 스러스트 플레이트를 깎기 쉽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태양 지지부(46) 및 유성 지지부(48)를 보스 형상으로 하여, 스러스트 플레이트(18)를 태양 톱니부(45) 및 유성 톱니부(47)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태양 톱니부(45), 유성 톱니부(47) 및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유성 톱니부(47)는, 축방향(Da)에 관하여 태양 톱니부(45)보다도 짧아, 축방향(Da)에 관하여 유성 톱니부(47)의 전체가 태양 톱니부(45)에 의해 덮이도록, 태양 톱니부(45)와 걸림 결합된다. 제1 태양 기어(15) 및 제1 유성 기어(16)는 통상, 축방향(Da)으로 다소 빗나가면서 축 회전할 수 있지만, 도 7에 도시하는 구조에 의하면, 그러한 빗나감이 발생해도 태양 톱니부(45) 및 유성 톱니부(47)의 걸림 결합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유성 톱니부(47)의 전체는 축방향(Da)에 관하여 태양 톱니부(45)에 의해 덮여 있지만, 축방향(Da)에 관하여 태양 톱니부(45)의 전체가 유성 톱니부(47)에 의해 덮이도록 태양 톱니부(45)보다도 유성 톱니부(47)를 크게 구성해도 된다. 단, 통상은 제1 유성 기어(16)가 제1 태양 기어(15)보다도 더 사이즈가 크고 수도 많기 때문에, 재료의 사용량을 억제하여 비용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는, 축방향(Da)에 관하여 태양 톱니부(45)가 유성 톱니부(47)보다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구성은 도 7에 도시하는 양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태양 지지부(46)를 향하여 돌출되는 플레이트 볼록부(50)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플레이트 볼록부(50)는, 태양 지지부(46)에는 접촉하지만, 태양 톱니부(45)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 플레이트 볼록부(50)를 스러스트 플레이트(18)가 구비함으로써, 태양 지지부(46)가 보스 형상을 갖지 않는 경우에도,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태양 톱니부(45)에 접촉하지 않고 태양 지지부(46)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태양 톱니부(45) 및 태양 지지부(46)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45a, 46b)이 축방향(Da)에 관하여 동일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플레이트 볼록부(50)를 통하여 태양 지지부(46)에 적절하게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태양 톱니부(45) 및 태양 지지부(46)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측의 단부면(45a, 46b)을 동일 평면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제1 태양 기어(15)의 축방향(Da)에 관한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가공도 용이해져, 제1 태양 기어(15)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작동]
이어서, 유성 기어 감속기(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 케이싱(11) 내에 배치된 유압 모터(10)가 회전하면, 그 회전 구동력이 입력축(14)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입력축(14)의 회전과 함께 제1 태양 기어(15)가 회전하고, 이 제1 태양 기어(15)에 맞물려 있는 제1 유성 기어(16)가 내치(13)와 맞물리면서 제1 태양 기어(15)의 주위에서 공전 운동을 행한다. 이 제1 유성 기어(16)의 공전 운동에 수반하여 캐리어(17)가 회전하고, 캐리어(17)의 내치 부분과 스플라인 결합된 제2 태양 기어(19)가 회전한다. 이 제2 태양 기어(19)가 회전함으로써, 고정 케이싱(11)의 각 돌출 설치 축부(3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각 제2 유성 기어(20)가 회전하고, 이에 의해, 제2 유성 기어(20)와 내치(13)의 맞물림을 통하여, 회전 케이싱(12)이 회전 구동된다.
상술한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캐리어(17)와 함께 회전 축선(A)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각 지지축(29), 제1 태양 기어(15)(특히 태양 지지부(46)) 및 각 제1 유성 기어(16)(특히 유성 지지부(48))에 대하여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하고, 또한 덮개(21)에 대하여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한다. 이렇게 스러스트 플레이트(18)는, 캐리어(17), 제1 태양 기어(15) 및 각 제1 유성 기어(16)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캐리어(17), 제1 태양 기어(15) 및 각 제1 유성 기어(16)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러스트 플레이트(18)를 사용한 간소한 기구에 의해, 캐리어(17) 및 각 제1 유성 기어(16)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태양 기어(15)의 축방향 위치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유성 기어 감속기(1)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보다도 캐리어(17)측(즉 덮개(21)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배치되고, 회전 케이싱(12)의 내측에 있어서 스러스트 플레이트(18)로부터 덮개(21)측으로 돌출되는 부재(즉 스러스트 플레이트(18)와 덮개(21)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가 없다. 이에 의해, 유성 기어 감속기(1) 전체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제1 태양 기어(15) 및 각 제1 유성 기어(16)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하여, 제1 태양 기어(15) 및 각 제1 유성 기어(16)의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제1 유성 기어(16) 및 제1 태양 기어(15)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기구의 부품 개수가 적기 때문에, 당해 기구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특히, 태양 기어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종래 필요했던 구체(예를 들어 강구)나 구멍 가공이, 본 실시 형태의 유성 기어 감속기(1)에서는 불필요하여, 조립에 관한 수고나 비용의 면에서도 본 실시 형태의 유성 기어 감속기(1)는 유리하다.
[제1 변형예]
유압 모터(10)의 회전 구동력은 입력축(14)을 통하여 제1 태양 기어(15)로 전달되지만, 입력축(14)과 제1 태양 기어(15)의 연결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입력축(14) 및 제1 태양 기어(15) 중 한쪽은 볼록 형상의 걸림 결합 볼록부를 갖고, 다른 쪽은 걸림 결합 스페이스를 포함하는 걸림 결합 오목부를 갖고, 걸림 결합 스페이스에 배치된 걸림 결합 볼록부가 걸림 결합 오목부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제1 태양 기어(15)를 입력축(14)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입력축(14)과 제1 태양 기어(15)의 연결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입력축(14) 중 제1 태양 기어(15)측의 단부가 걸림 결합 볼록부(52)를 형성하고, 제1 태양 기어(15)(특히 태양 지지부(46)) 중 입력축(14)측의 단부에 걸림 결합 오목부(53)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 오목부(53)에 형성되는 걸림 결합 스페이스(55)는 걸림 결합 볼록부(5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걸림 결합 스페이스(55)에 배치된 걸림 결합 볼록부(52)가 걸림 결합 오목부(53)와 걸림 결합 맞물림부(54)에 있어서 걸림 결합함으로써, 제1 태양 기어(15) 및 입력축(14)이 서로 연결된다. 걸림 결합 맞물림부(54)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플라인 방식 등의 임의의 걸림 결합 방식을 걸림 결합 맞물림부(54)는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태양 기어(15)는, 회전 축선(A)을 중심으로 하는 축 회전 방향(즉 주위 방향(Dc))에 관해서는 입력축(14)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또한 축방향(Da)에 관해서는 입력축(14)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자유롭게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입력축(14)에 연결되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볼록 형상의 축끼리를 직렬적으로 배치하여 연결하는 경우, 양쪽의 축의 자세의 어긋남이, 연결 후의 축 전체의 자세에 대하여 상승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양쪽의 축이 약간 기울어 있는 경우, 결합 후의 축 전체에서는 양쪽의 축 기울기가 가산적으로 반영된다. 그것에 반하여, 도 9에 도시하는 걸림 결합 방식과 같이 한쪽의 축의 볼록부를 다른 쪽의 축 오목부에 끼워맞추는 경우, 양쪽의 축이 약간 기울어 있어도, 양쪽의 축의 기울기는 결합 후의 축 전체에 대하여 상승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하는 연결 방식에 의하면, 입력축(14) 및 제1 태양 기어(15)의 각각의 자세에 어긋남(예를 들어 기울기)이 있어도, 그러한 어긋남이 연결 후의 입력축(14) 및 제1 태양 기어(15)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작게 끝난다. 그로 인해, 제1 태양 기어(15)의 배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제1 태양 기어(15)의 톱니부(즉 태양 톱니부(45))와 스러스트 플레이트(18)가 의도치 않게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제1 태양 기어(15)의 배치 어긋남을 작게 어림잡아 제1 태양 기어(15)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태양 기어(15)(예를 들어 태양 지지부(46))의 축방향(Da) 및 직경 방향(Dr)의 사이즈를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변형예]
예를 들어, 제1 태양 기어(15) 및 각 제1 유성 기어(16)의 맞물림부나 기어용 베어링(23)에 있어서의 윤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스러스트 플레이트(18)의 대응 개소(예를 들어 제1 태양 기어(15)와 각 제1 유성 기어(16)의 맞물림부나 기어용 베어링(23)에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도시 생략)을 형성하고, 당해 관통 구멍을 이용하여 윤활유의 보급을 촉진시켜도 된다.
또한, 제1 태양 기어(15)(특히 태양 지지부(46))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8) 측단부에 센터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도 8에 도시하는 플레이트 볼록부(50)는, 센터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되지만, 플레이트 볼록부(50)의 직경은 센터 구멍의 직경보다도 크게 구성되어, 태양 지지부(46)의 축 회전을 보증하면서, 플레이트 볼록부(50)가 태양 지지부(46)에 대하여 적절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의 각 요소에 각종 변형이 가해져도 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 요소 이외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형태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 요소 중 일부의 요소가 포함되지 않는 형태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느 실시 형태에 포함되는 일부의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포함되는 일부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형태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 및 상술 이외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각각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끼리 조합되어도 되고, 그러한 조합에 관한 형태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발휘되는 효과도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고, 각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특유의 효과도 발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특허 청구 범위, 명세서, 요약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각 요소에 대하여 다양한 추가, 변경 및 부분적 삭제가 가능하다.
1: 유성 기어 감속기
10: 유압 모터
11: 고정 케이싱
12: 회전 케이싱
13: 내치
14: 입력축
15: 제1 태양 기어
16: 제1 유성 기어
17: 캐리어
18: 스러스트 플레이트
19: 제2 태양 기어
20: 제2 유성 기어
21: 덮개
22: 압박부
23: 기어용 베어링
28: 케이싱용 베어링
29: 지지축
30: 플랜지부
31: 돌출형부
34: 돌출 설치 축부
35: 베이스부
40: 연결 구조부
45: 태양 톱니부
46: 태양 지지부
47: 유성 톱니부
48: 유성 지지부
50: 플레이트 볼록부
52: 걸림 결합 볼록부
53: 걸림 결합 오목부
54: 걸림 결합 맞물림부
55: 걸림 결합 스페이스
60: 오목부
61: 돌기부
62: 구멍부
65: 평탄부
66: 기립 설치부
67: 연장 돌출부
68: 나사부
A: 회전 축선
Da: 축방향
Dc: 주위 방향
Dr: 직경 방향

Claims (6)

  1. 고정 케이싱에 의해, 케이싱용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회전 케이싱과,
    상기 회전 케이싱의 내주에 설치되어 있는 내치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에 대하여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태양 기어와,
    상기 태양 기어와 상기 내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성 기어와,
    상기 회전 축선이 연장되는 축방향에 관하여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의 일방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축방향에 관하여 상기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하여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축이며, 기어용 베어링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축을 갖는 캐리어와,
    상기 축방향에 관하여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의 상기 타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축에 연결 구조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감속기이며,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 및 상기 태양 기어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 상기 태양 기어, 상기 복수의 지지축 및 상기 연결 구조부는,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면 중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와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감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기어는, 태양 톱니부와, 상기 태양 톱니부를 지지하는 태양 지지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의 각각은, 상기 태양 톱니부와 맞물리는 유성 톱니부와, 상기 유성 톱니부를 지지하는 유성 지지부를 갖고,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는, 상기 태양 지지부에 접촉하지만, 상기 태양 톱니부에 접촉하지 않는, 감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지지부의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측의 단부면은, 상기 축방향에 관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축의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측의 단부면과 동일 위치, 또는 상기 복수의 지지축의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측의 단부면보다도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태양 톱니부의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측의 단부면은, 상기 축방향에 관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축의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측의 단부면보다도,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는, 감속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는, 상기 태양 지지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플레이트 볼록부를 갖고,
    상기 플레이트 볼록부는, 상기 태양 지지부에 접촉하지만, 상기 태양 톱니부에 접촉하지 않는, 감속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톱니부의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측의 단부면은, 상기 축방향에 관하여, 상기 태양 톱니부의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측의 단부면보다도,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는, 감속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 및 상기 태양 기어 중, 한쪽은 볼록 형상의 걸림 결합 볼록부를 갖고, 다른 쪽은 걸림 결합 스페이스를 포함하는 걸림 결합 오목부를 갖고,
    상기 걸림 결합 스페이스에 배치된 상기 걸림 결합 볼록부가 상기 걸림 결합 오목부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태양 기어는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고,
    상기 태양 기어는, 상기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축 회전 방향에 관해서는 상기 입력축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또한 상기 축방향에 관해서는 상기 입력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감속기.
KR1020180071864A 2017-06-27 2018-06-22 감속기 KR102542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25451A JP6949581B2 (ja) 2017-06-27 2017-06-27 減速機
JPJP-P-2017-125451 2017-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42A true KR20190001542A (ko) 2019-01-04
KR102542803B1 KR102542803B1 (ko) 2023-06-14

Family

ID=6480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864A KR102542803B1 (ko) 2017-06-27 2018-06-22 감속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49581B2 (ko)
KR (1) KR102542803B1 (ko)
CN (1) CN1091398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140B1 (ko) * 2021-04-22 2021-11-02 윤호병 하모닉 드라이브
AT523760A1 (de) * 2020-04-15 2021-11-15 Miba Gleitlager Austria Gmbh Bauteilzusammenstellung, sowie eine Windkraftanlage, in welcher die Bauteilzusammenstellung verbaut i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3631B2 (ja) * 2019-02-21 2023-01-13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歯車装置及びキャリア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0045A (en) * 1979-09-14 1982-05-18 Reliance Electric Company Vehicle wheel mechanism
JPH08247223A (ja) * 1995-03-09 1996-09-24 Kayaba Ind Co Ltd 遊星歯車式減速装置
JPH09240525A (ja) 1995-12-27 1997-09-16 Nabco Ltd クローラ駆動ユニット
KR0171090B1 (ko) * 1995-08-18 1999-02-18 기따오까 다까시 유성 치차 감속기구
JP2005054973A (ja) 2003-08-07 2005-03-03 Ts Corporation 遊星歯車減速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202B1 (ko) * 2007-07-31 2013-12-20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기어장치 및 기어장치를 이용한 산업용 로봇의 선회부구조
JP2011183946A (ja) * 2010-03-09 2011-09-22 Aisin Aw Co Ltd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5934333B2 (ja) * 2012-02-27 2016-06-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JP6472958B2 (ja) * 2014-07-25 2019-02-20 日本電産シンポ株式会社 ホイールイン減速装置およびホイール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0045A (en) * 1979-09-14 1982-05-18 Reliance Electric Company Vehicle wheel mechanism
JPH08247223A (ja) * 1995-03-09 1996-09-24 Kayaba Ind Co Ltd 遊星歯車式減速装置
KR0171090B1 (ko) * 1995-08-18 1999-02-18 기따오까 다까시 유성 치차 감속기구
JPH09240525A (ja) 1995-12-27 1997-09-16 Nabco Ltd クローラ駆動ユニット
JP2005054973A (ja) 2003-08-07 2005-03-03 Ts Corporation 遊星歯車減速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3760A1 (de) * 2020-04-15 2021-11-15 Miba Gleitlager Austria Gmbh Bauteilzusammenstellung, sowie eine Windkraftanlage, in welcher die Bauteilzusammenstellung verbaut ist
AT523760B1 (de) * 2020-04-15 2022-06-15 Miba Gleitlager Austria Gmbh Bauteilzusammenstellung, sowie eine Windkraftanlage, in welcher die Bauteilzusammenstellung verbaut ist
KR102321140B1 (ko) * 2021-04-22 2021-11-02 윤호병 하모닉 드라이브
WO2022225131A1 (ko) * 2021-04-22 2022-10-27 윤호병 하모닉 드라이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49581B2 (ja) 2021-10-13
CN109139816A (zh) 2019-01-04
KR102542803B1 (ko) 2023-06-14
JP2019007588A (ja)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4559B2 (en) Eccentrically oscillating gear device
KR20190001542A (ko) 감속기
TWI665397B (zh) Reducer
US5655985A (en) Gear system, particularly multisatellite gear system
WO2018105281A1 (ja) 歯車伝動機構
KR20140123908A (ko)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KR20150079607A (ko)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KR101179481B1 (ko) 감속기
JP2011038582A (ja) 揺動型減速機
JP2019039557A (ja) ベアリング
CN106838134B (zh) 旋转台用减速器
US11187300B2 (en) Speed reducer
JP6833428B2 (ja) 減速機
JP7005216B2 (ja) 歯車支持構造
JP2021021455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2016191448A (ja) 減速機
CN111594583A (zh) 齿轮装置和齿轮架
JP6624938B2 (ja) ギア装置及び出力ギア板
JP7285723B2 (ja) ギヤ装置およびギヤドモータ
JP7474209B2 (ja) 内接噛合遊星歯車装置及びロボット用関節装置
JP7497220B2 (ja) 減速機、及び、駆動装置
JP7474210B2 (ja) 内接噛合遊星歯車装置及びロボット用関節装置
US20210123506A1 (en) Speed reducer
WO2021065293A1 (ja) 減速機及び減速機付モータ
JP2017083005A (ja) 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