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304A - Dicing die bond film - Google Patents

Dicing die bond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304A
KR20190000304A KR1020180070221A KR20180070221A KR20190000304A KR 20190000304 A KR20190000304 A KR 20190000304A KR 1020180070221 A KR1020180070221 A KR 1020180070221A KR 20180070221 A KR20180070221 A KR 20180070221A KR 20190000304 A KR20190000304 A KR 20190000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bonding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2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2978B1 (en
Inventor
아키히로 후쿠이
나오히데 다카모토
겐지 오니시
유이치로 시시도
유타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0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9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32Apparatus for placing on an insulating substrate, e.g. t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1/6836Wafer tapes, e.g. grinding or dicing support tape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2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used during dicing or gr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81Details of chemical or physical process used for separating the auxiliary support from a device or wafer
    • H01L2221/68386Separation by pee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3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3214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9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including different method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80 - H01L2224/90
    • H01L2224/92Specific sequence of method steps
    • H01L2224/922Connecting different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with connectors of different types
    • H01L2224/9222Sequential connecting processes
    • H01L2224/92242Sequential connecting processes the first connecting process involv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92247Sequential connecting processes the first connecting process involving a layer connector the second connecting process involving a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ie Bonding (AREA)
  • Dic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dicing die bond film, which can be cured in a short time with excellent storage stability, and can perform appropriate wire bonding after curing. The dicing die bond film comprises a dicing tape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substrate and an adhesive layer and an adhesive layer in close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in the dicing tape in a peelable manner,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ntains a thermosetting component, a filler and a curing accelerator, and has the heat generation amount by DSC measurement after heating at the temperature of 130°C for 30 minutes not more than 60% of the heat generation amount before heating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the temperature of 130°C after heating not less than 20 MPa and not more than 4000 MPa.

Description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 {DICING DIE BOND FILM}DICING DIE BOND FILM [0002]

본 발명은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cing die-bonding fil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cing die-bonding film usabl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miconductor device.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는, 다이 본딩용 칩 상당 사이즈의 접착 필름을 갖는 반도체 칩, 즉 다이 본딩용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을 얻는 과정에서,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은, 가공 대상인 반도체 웨이퍼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갖고, 예를 들어 기재 및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이싱 테이프와, 그 점착제층측에 박리 가능하게 밀착되어 있는 다이 본드 필름(접착제층)을 갖는다.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 dicing die-bonding film may be used in the process of obtaining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n adhesive film of a size equivalent to a die bonding chip, that is,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n adhesive layer for die bonding. The dicing die-bonding film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emiconductor wafer to be processed and has a dicing tape composed of, for example, a substrate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 die-bonding film (adhesive layer) adhered to the pressure- .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사용하여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을 얻는 방법의 하나로서,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에 있어서의 다이싱 테이프를 익스팬드하여 다이 본드 필름을 할단시키기 위한 공정을 거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서는, 우선,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다이 본드 필름 상에 반도체 웨이퍼를 접합한다. 이 반도체 웨이퍼는, 예를 들어 후에 다이 본드 필름과 함께 할단되어 복수의 반도체 칩으로 개편화 가능하도록 가공된 것이다. 이어서, 다이싱 테이프 상의 다이 본드 필름을 할단시키기 위해, 익스팬드 장치를 사용하여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다이싱 테이프를 반도체 웨이퍼의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을 포함하는 2차원 방향으로 잡아늘인다. 이 익스팬드 공정에서는, 다이 본드 필름에 있어서의 할단 개소에 상당하는 개소에서 다이 본드 필름 상의 반도체 웨이퍼에 있어서도 할단이 발생하여,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 또는 다이싱 테이프 상에서 반도체 웨이퍼가 복수의 반도체 칩으로 개편화된다. 이어서, 다이싱 테이프 상의, 할단 후의 복수의 다이 본드 필름 구비 반도체 칩에 대하여 이격 거리를 확장하기 위해, 재차 익스팬드 공정을 행한다. 이어서, 예를 들어 세정 공정을 거친 후, 각 반도체 칩을, 그것에 밀착되어 있는 칩 상당 사이즈의 다이 본드 필름과 함께, 다이싱 테이프의 하측으로부터 픽업 기구의 핀 부재에 의해 밀어올려서 다이싱 테이프 상으로부터 픽업한다. 이와 같이 하여, 다이 본드 필름 즉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이 얻어진다. 이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은, 그 접착제층을 개재시켜, 실장 기판 등의 피착체에 다이 본딩에 의해 고착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사용되는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에 관한 기술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되어 있다.As a method of obtaining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n adhesive layer by using a dicing die-bonding film, there is known a method of exposing a dicing tape in a dicing die-bonding film to a step of cutting the die-bonding film. In this method, first, a semiconductor wafer is bonded onto a die-bonding film of a dicing die-bonding film. This semiconductor wafer is, for example, fabricated so that it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together with a die bond film. Next, in order to cut the die-bonding film on the dicing tape, the dicing tape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is stretched in the two-dimensional direction including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by using an expanding apparatus. In this expanding step, a cutting edge is also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on the die-bonding fil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off point in the die-bonding film, so that the semiconductor wafer on the dicing die- It is reorganized. Then, in order to extend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emiconductor chips with a plurality of die-bonding films on the dicing tape, the expanding process is performed again. Subsequently, for example, after the cleaning process, each semiconductor chip is pushed up from the lower side of the dicing tape by the pin member of the pickup mechanism together with the die bonding film of the size equivalent to the chip closely attached thereto, Pick up. In this way, a die bonding film, that is,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n adhesive layer is obtained. The semiconductor chip having the adhesive layer is fixed to an adherend such as a mounting substrate by die bonding with the adhes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techniques relating to the dicing die-bonding film used as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s 1 to 3 below.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173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2173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77401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177401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15804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6-115804

근년, 반도체 장치 및 그 패키지의 고기능화, 박형화, 소형화가 한층 더 요구되고 있다. 그 하나의 대책으로서, 반도체 소자(반도체 칩)를 그 두께 방향으로 복수단으로 적층시켜 반도체 소자의 고밀도 집적화를 도모하는 3차원 실장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semiconductor devices and their packages have become increasingly sophisticated, thinner, and smaller. As one countermeasure, a three-dimensional mounting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semiconductor elements (semiconductor chips) are stacked in a plurality of stag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of to achieve high-density integration of semiconductor elements.

상기 3차원 실장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기판 등의 피착체 상에, 다이 본드 필름 구비 반도체 칩으로서 반도체 칩을 고정하고, 이 최하단의 반도체 칩 상에, 별도로 얻어진 다이 본드 필름 구비 반도체 칩을 순차적으로 적층해 가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적층 시, 하측으로 되는 반도체 칩의 와이어 본드면(상면)의 전극 패드를 피하도록, 상측으로 되는 다이 본드 필름 구비 반도체 칩을 하측으로 되는 반도체 칩에 대하여 면 확대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고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기술에 의해 얻어진, 피착체 상에 다이 본드 필름을 사용하여 반도체 칩이 다단 적층된 반도체 장치(다단 적층 반도체 장치)는, 계단형으로 되어, 다이 본드 필름 구비 반도체 칩이 하측의 반도체 칩의 상면으로부터 면 확대 방향으로 밀려나온 부분(소위 오버행부)을 단마다 갖는다.As the three-dimensional mounting technique, for example, a semiconductor chip is fixed as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 die bonding film on an adherend such as a substrate, and semiconductor chips having die bonding films separately obtained on the lowermost semiconductor chip are sequentially Techniques for layering are known. The semiconductor chip with the die-bonding film on the upper side may be fixed while being shifted in the plane enlarg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miconductor chip on the lower side so as to avoid electrode pads on the wire-bonding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to be lowered . A semiconductor device (multi-layered laminated semiconductor device) obtained by such a technique, in which semiconductor chips are stacked in layers by using a die-bonding film on an adherend, has a stepped shape, and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 die- (So-called overhanging portions) pushed out in the surface expanding direction.

반도체 칩과 피착체는, 반도체 칩 상면의 전극 패드와 피착체가 갖는 단자 부가 본딩 와이어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와이어 본딩). 와이어 본딩을 위한 반도체 칩 상면의 전극 패드와 본딩 와이어의 결선은, 가열 하에서 초음파에 의한 진동 에너지와 인가 가압에 의한 압착 에너지의 병용에 의해 행해진다. 여기서, 반도체 칩의 오버행부 상에 존재하는 전극 패드에 와이어 본딩을 행할 때, 초음파에 의한 진동이나 오버행부에 대한 가압에 의한 부하에 기인하여 오버행부가 흔들려서 결선이 곤란해지거나, 오버행부의 반도체 칩이 절곡되는 경우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In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adherend, the electrode pa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terminal portion of the adhere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bonding wire (wire bonding). Wiring between the electrode pad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bonding wires for wire bonding is performed by the combination of vibration energy by ultrasonic waves and compression energy by application pressure under heating. Here, when the wire bonding is performed on the electrode pads existing on the overhanging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chip, the overhang portion shakes due to the vibration caused by the ultrasonic waves or the load caused by the pressing on the overhang portion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eet is bent.

이러한 문제는, 반도체 칩의 접착에 사용하는 다이 본드 필름을 어느 정도 단단하게 함으로써 경감할 수 있다. 단, 다이 본드 필름이, 다이 본드 필름 구비 반도체 칩의 적층 시에는 어느 정도의 점착성을 갖고, 또한 결선 시에는 어느 정도의 경도를 갖는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칩의 적층 후부터 결선 전 동안에, 상기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질 정도까지 다이 본드 필름을 경화시키는 방법이 고려된다. 그러나, 충분한 다이 본드 필름의 경화에 시간이 걸리면 생산성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다이 본드 필름에는 단시간에 경화 가능할 것이 요구된다.Such a problem can be alleviated by making the die-bonding film used for bonding the semiconductor chip harder to some extent. However, in order for the die-bonding film to have some degree of tackiness at the time of laminating the semiconductor chip having the die-bonding film and to have a certain degree of hardness at the time of wiring, A method of curing the die-bonding film to such an extent that it is difficult to occur is considered. However, when sufficient curing of the die-bonding film takes time, the productivity is lowered. For this reason, the die-bonding film is required to be curable in a short time.

한편, 단시간에 경화 가능한 다이 본드 필름은, 보존 중에도 경화가 진행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보존 안정성(특히, 실온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즉, 단시간에서의 경화성과 보존 안정성은 상반되는 관계에 있다. 따라서,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단시간에 경화 가능하고, 또한 경화 후에는 적절한 와이어 본딩(특히, 오버행부에 대한 적절한 와이어 본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다이 본드 필름(접착제층)이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e-bonding film which can be cured in a short time tends to be hard to be cured even during storage, so that the storage stability (in particular, the storage stability at room temperature) tends to deteriorate. That is, the curability and the storage stability in a short time are contradictory.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die-bonding film (adhesive layer) which is excellent in storage stability, can be cured in a short time, and can perform appropriate wire bonding (particularly, appropriate wire bonding to the overhang portion) after curing.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단시간에 경화 가능하고, 또한 경화 후에는 적절한 와이어 본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접착제층을 갖는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cing die-bonding film having an adhesive layer that is excellent in storage stability and can be cured in a short time and capable of performing appropriate wire bonding after curing have.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열경화성 성분, 필러 및 경화 촉진제를 함유하고, 13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의 DSC 측정에 의한 발열량이, 가열 전의 발열량의 60% 이하이고, 상기 가열 후의 13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20MPa 이상 4000MPa 이하인 접착제층을 사용하면,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으로서도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접착제층은 단시간에 경화 가능하고, 또한 경화 후에는 적절한 와이어 본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intensively studi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as a result, have found that the heat generation amount by DSC measurement after heating at 130 캜 for 30 minutes is 60% or less of the heat generation amount before heating, When the adhesive layer hav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130 ° C after the heating is 20 MPa or more and 4000 MPa or less is used as the dicing die-bonding film, the adhesive layer can be cured in a short time, It was possible to d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즉, 본 발명은 기재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다이싱 테이프와, 상기 다이싱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밀착되어 있는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층은, 열경화성 성분, 필러 및 경화 촉진제를 함유하고, 13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의 DSC 측정에 의한 발열량이, 가열 전의 발열량의 60% 이하이고, 상기 가열 후의 13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20MPa 이상 4000MPa 이하인,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제공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cing tape comprising a dicing tape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substrate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n adhesive lay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dicing tape so as to be removable, Wherein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DSC measurement after heating at 130 占 폚 for 30 minutes is 60% or less of the exothermic amount before heating,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130 占 폚 after heating is 20 MPa or more and 4000 MPa or less, Thereby providing a dicing die-bonding film.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은, 다이싱 테이프 및 접착제층을 구비한다. 다이싱 테이프는, 기재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다. 접착제층은, 다이싱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을 얻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The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cing tape and an adhesive layer. The dicing tape has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substrate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adhesive layer is adher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dicing tape in a releasable manner. The dicing die-bonding film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used for obtaining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n adhesive laye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열경화성 성분, 필러 및 경화 촉진제를 함유한다. 그리고, 13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의 DSC 측정에 의한 발열량이, 가열 전의 발열량의 60% 이하이다. 이것은, 130℃, 30분간의 조건에서의 가열에 의해, 가열 전의 접착제층 중의 미경화인 열경화성 성분의 60% 이상이 경화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이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접착제층은, 비교적 단시간의 가열 조건에서의 가열에 의한 접착제층의 경화 비율이 크기 때문에, 단시간에 경화 가능하여, 단시간에 저장 탄성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단시간의 가열 조건에서의 가열에 의한 접착제층의 경화 비율이 크기 때문에, 보존 중에도 가열 전까지는 경화가 일어나기 어려운, 즉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다.In the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contains a thermosetting component, a filler and a curing accelerator, as described above. Then, the heating value by the DSC measurement after heating at 130 占 폚 for 30 minutes is 60% or less of the heating value before heating. This means that 60% or more of the uncured thermosetting component in the adhesive layer before heating is cured by heating at 130 占 폚 for 30 minutes. Since the adhesive layer in the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dhesive layer can be cured in a short time because the adhesive layer has a large curing rate due to heating under relatively short heating conditions, The storage elastic modulus can be improved in a short time. In addition, since the curing rate of the adhesive layer due to heating under relatively short heating conditions is large, hardening is hardly caused until storage before storage, that is, storage stability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 후의 13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20MPa 이상 4000MPa 이하이다. 상기 가열 후의 저장 탄성률이 20MPa 이상임으로써, 접착제층은, 단시간에 경화 가능하면서, 경화 후에는 어느 정도의 경도를 갖기 때문에, 경화 후에는 적절한 와이어 본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접착제층을 오버행부를 갖는 다단 적층 반도체 장치에 사용한 경우라도, 와이어 본딩 시의 초음파에 의한 진동이나 오버행부에 대한 가압에 의한 부하에 기인하는 오버행부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어, 오버행부에 대한 적절한 와이어 본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열 후의 저장 탄성률이 4000MPa 이하임으로써, 경화 후에 있어서도 피착체와의 접착 신뢰성이나 반도체 칩끼리의 접착 신뢰성이 우수하다.Further, in the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adhesive layer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130 占 폚 after heating of 20 MPa or more and 4000 MPa or les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fter heating is 20 MPa or more, the adhesive layer can be cured in a short time, and since it has a certain degree of hardness after curing, appropriate wire bonding can be performed after curing. Particularly, even when the adhesive layer is used for a multi-layere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overhang portion, vibration due to ultrasonic waves at the time of wire bonding and fluctuation of the overhang portion caused by a load due to pressing against the overhang portion can be suppressed, It is possible to perform appropriate wire bonding. Further, since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fter heating is 4000 MPa or less, adhesion reliability with an adherend and bonding reliability between semiconductor chips are excellent even after curing.

또한, 상기 접착제층에 있어서의 상기 열경화성 성분은, 열경화성 수지 및/또는 열경화성 관능기 함유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층은, 열경화성 성분으로서, 열경화성 수지 혹은 열경화성 관능기 함유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구성에 있어서,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단시간에 경화 가능하고, 또한 경화 후에는 적절한 와이어 본딩(특히, 오버행부에 대한 적절한 와이어 본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ermosetting component in the adhesive layer is a thermosetting resin and / or a thermosetting resin having a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 The adhesive layer is excellent in storage stability and can be cur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is suitable for proper wire bonding (in particular, suitable for overhangs) after curing, in the constitution using a thermosetting resin or a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 Wire bonding)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 접착제층은, 90℃에 있어서의 점도가 300 내지 100000Paㆍs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단 적층 반도체 장치는, 일반적으로, 회로층이 많기 때문에 반도체 칩이 크게 휘기 쉽고, 이것에 기인하여 반도체 칩이 박리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접착제층의 90℃에 있어서의 점도가 300Paㆍs 이상이면, 비교적 휘기 쉬운 반도체 칩으로 다이 본드하였을 때는 다이 본드 스테이지로부터의 열에 의해 점도가 저하되고, 반도체 칩이 휜 경우라도 반도체 칩의 박리가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점도가 100000Paㆍs 이하이면, 경화 후에 있어서도 피착체와의 접착 신뢰성이나 반도체 칩끼리의 접착 신뢰성이 보다 우수하다.The adhesive layer preferably has a viscosity of 300 to 100000 Pa · s at 90 ° C. Since the multi-layered semiconductor device generally has many circuit layers, the semiconductor chip tends to bend largely, and the semiconductor chip tends to be easily peeled off due to this. However, when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layer at 90 ° C is 300 Pa · s or more, when the die bonding is performed with a relatively easy-to-bend semiconductor chip, the viscosity decreases due to heat from the die bond stage, Peeling is unlikely to occur. When the viscosity is 100000 Pa.s or less, the adhesion reliability with the adherend and the bonding reliability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s are more excellent even after curing.

또한, 상기 접착제층에 있어서의 상기 필러는, 평균 입경 70 내지 300nm의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입경은,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에 통상 사용되는 필러의 평균 입경보다 비교적 작은 것이다. 상기 필러로서 통상보다 비교적 작은 300nm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갖는 실리카를 사용하면, 접착제층 중에 있어서의 필러의 표면적이 커서, 반응 촉진제가 필러에 의해 트랩됨으로써, 보존 중의 반응 촉진제의 작용이 억제될 것으로 추측되어, 보존 안정성이 보다 우수하다. 또한, 상기 필러로서 평균 입경이 70nm 이상인 평균 입경을 갖는 실리카를 사용하면, 접착제층의 경화성이 향상되어, 비교적 단시간의 조건에서의 가열에 의한 접착제층의 경화 비율이 커지기 쉽다. 또한, 반도체 웨이퍼 등의 피착체에 대한 습윤성, 접착성이 보다 향상된다.The filler in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silica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70 to 300 nm.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usually used for the adhesive layer in the dicing die-bonding film. When silica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300 nm or less, which is relatively smaller than usual, is used as the filler, the surface area of the filler in the adhesive layer is large and the action of the reaction promoter during storage is suppressed by trapping the reaction promoter by the filler And the storage stability is more excellent. When silica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70 nm or more as the filler is used, the curing property of the adhesive layer is improved, and the curing rate of the adhesive layer due to heating under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ends to become large. In addition, wettability and adhesiveness to an adherend such as a semiconductor wafer ar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은,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단시간에 경화 가능하고, 또한 경화 후에는 적절한 와이어 본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접착제층을 갖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을, 오버행부를 갖는 다단 적층 반도체 장치에 적용한 경우,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단시간에 경화 가능하면서, 와이어 본딩 시의 초음파에 의한 진동이나 오버행부에 대한 가압에 의한 부하에 기인하는 오버행부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어, 오버행부에 대한 적절한 와이어 본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hesive layer that is excellent in storage stability and can be cured in a short time and capable of performing appropriate wire bonding after curing. Therefore, when the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layer obtained using the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ulti-layere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overhanging portion, the semiconductor device is excellent in storage stability and can be cured in a short tim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vibration caused by the ultrasonic waves and the swinging of the overhang portion caused by the load due to the pressing against the overhang portion,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appropriate wire bonding to the overhang portion.

또한, 보존 안정성의 관점에서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은 일반적으로 냉장 보관되는데, 이 경우, 사용 시에는 상온으로 되돌릴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냉장 보관하는 경우에는 상온으로 되돌리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은, 상온에서의 보존 안정성도 우수하고, 사용 시에 상온으로 되돌릴 필요가 없어, 생산성도 우수하다.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storage stability, the dicing die-bonding film is generally stored in a refrigerated stat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return to a normal temperature at the time of use. 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refrigerated storage, it takes time to return to normal temperature, and productivity is lowered. On the other hand, the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storage stability at room temperature, and does not need to be returned to normal temperature at the time of use, and is excellent in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일부의 공정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공정 후에 이어지는 공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공정 후에 이어지는 공정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공정 후에 이어지는 공정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공정 후에 이어지는 공정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공정 후에 이어지는 공정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일부의 공정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일부의 공정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일부의 공정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하는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일부의 공정을 도시한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shows a part of steps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dicing die-bonding film shown in Fig.
Fig. 3 shows the process subsequent to the process shown in Fig.
Fig. 4 shows the process subsequent to the process shown in Fig.
Fig. 5 shows the process subsequent to the process shown in Fig.
Fig. 6 shows the process subsequent to the process shown in Fig.
Fig. 7 shows the process subsequent to the process shown in Fig.
Fig. 8 shows a part of steps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dicing die-bonding film shown in Fig.
Fig. 9 shows a part of steps in a modification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dicing die-bonding film shown in Fig.
Fig. 10 shows a part of steps in a modification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dicing die-bonding film shown in Fig.
Fig. 11 shows a part of steps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dicing die-bonding film shown in Fig.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Dicing die-bonding film]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은, 기재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다이싱 테이프와, 상기 다이싱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밀착되어 있는 접착제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The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cing tape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substrate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n adhesive lay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dicing tape in a peelable manner. One embodiment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은, 다이싱 테이프(10)와, 다이싱 테이프(10)에 있어서의 점착제층(12) 상에 적층된 접착제층(20)을 구비하고,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을 얻는 과정에서의 익스팬드 공정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가공 대상인 반도체 웨이퍼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원반 형상을 갖는다.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직경은, 예를 들어 345 내지 380mm의 범위 내(12인치 웨이퍼 대응형), 245 내지 280mm의 범위 내(8인치 웨이퍼 대응형), 195 내지 230mm의 범위 내(6인치 웨이퍼 대응형), 또는 495 내지 530mm의 범위 내(18인치 웨이퍼 대응형)에 있다.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에 있어서의 다이싱 테이프(10)는, 기재(11)와 점착제층(12)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다.1,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includes a dicing tape 10 and an adhesive layer 20 laminated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n the dicing tape 10 And can be used in an expanding process in the process of obtaining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n adhesive layer in the produc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has a disk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miconductor wafer to be proces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diameter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is within a range of 345 to 380 mm (for a 12-inch wafer), within a range of 245 to 280 mm (for an 8-inch wafer), within a range of 195 to 230 mm 6 inch wafer compatible type) or in the range of 495 to 530 mm (18 inch wafer compatible type). The dicing tape 10 in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has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the base material 11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The dicing die-

(접착제층)(Adhesive layer)

접착제층(20)은, 다이 본딩용 열경화성을 나타내는 접착제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또한 필요에 따라 반도체 웨이퍼 등의 워크와 링 프레임 등의 프레임 부재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점착 기능을 병유한다. 접착제층(20)은, 인장 응력을 가함에 따른 할단이 가능하고, 인장 응력을 가함으로써 할단시켜 사용된다.The adhesive layer 20 has a function as an adhesive exhibiting thermosetting property for die bonding and also has an adhesive function for holding a frame member such as a ring frame with a work such as a semiconductor wafer if necessary. The adhesive layer 20 can be peeled off by application of a tensile stress, and is used by peeling off by applying a tensile stress.

접착제층(20) 및 접착제층(20)을 형성하는 접착제는, 열경화성 성분, 필러 및 경화 촉진제를 함유한다. 상기 열경화성 성분으로서는, 열경화성 수지, 및 경화제와 반응하여 결합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경화성 관능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열경화성 관능기 함유 열가소성 수지) 중 적어도 한쪽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열경화성 성분은, 열경화성 수지 및/또는 열경화성 관능기 함유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20)은, 열경화성 성분으로서, 열경화성 수지 혹은 열경화성 관능기 함유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구성에 있어서,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단시간에 경화 가능하고, 또한 경화 후에는 적절한 와이어 본딩(특히, 오버행부에 대한 적절한 와이어 본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착제층(20)이 상기 열경화성 성분으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열경화성 수지에 추가하여, 예를 들어 바인더 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접착제층(20)이, 열경화성 관능기 함유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접착제층(20)은 열경화성 수지(에폭시 수지 등)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접착제층(20)은, 단층 구조를 가져도 되고, 다층 구조를 가져도 된다.The adhesive forming the adhesive layer (20) and the adhesive layer (20) contains a thermosetting component, a filler and a curing accelerator. The thermosetting component is preferably at least one of a thermosetting resin and a thermoplastic resin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containing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curabl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curing agent to cause bonding. That is, the thermosetting component is preferably a thermosetting resin and / or a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containing thermoplastic resin. The adhesive layer 20 is excellent in storage stability and can be cur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is suitable for proper wire bonding (particularly, in the case of using a thermosetting resin or a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 It is possible to perform appropriate wire bonding). When the adhesive layer 20 contains a thermosetting resin as the thermosetting component, it may contain, for example, a thermoplastic resin as a binder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thermosetting resin. When the adhesive layer 20 contains a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containing thermoplastic resin, the adhesive layer 20 need not contain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an epoxy resin). The adhesive layer 20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or a multi-layer structure.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아미노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다이 본딩 대상의 반도체 칩의 부식 원인으로 될 수 있는 이온성 불순물 등의 함유량이 적은 경향이 있다는 이유에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로서는 페놀 수지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thermosetting resin include an epoxy resin, a phenol resin, an amino resin,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 polyurethane resin, a silicone resin, and a thermosetting polyimide resin. The thermosetting resin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n epoxy resin is preferable as the above-mentioned thermosetting resin because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content of ionic impurities or the like which can cause corrosion of semiconductor chips subject to die bonding tends to be small. As the curing agent of the epoxy resin, a phenol resin is preferable.

상기 에폭시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F형, 비스페놀 S형, 브롬화 비스페놀 A형, 수소 첨가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AF형, 비페닐형, 나프탈렌형, 플루오렌형, 페놀노볼락형, 오르토크레졸노볼락형, 트리스히드록시페닐메탄형, 테트라페닐올에탄형, 히단토인형, 트리스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형, 글리시딜아민형의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경화제로서의 페놀 수지와의 반응성이 풍부하고, 또한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트리스히드록시페닐메탄형 에폭시 수지, 테트라페닐올에탄형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epoxy resin include epoxy resins such as bisphenol A type, bisphenol F type, bisphenol S type, brominated bisphenol A type, hydrogenated bisphenol A type, bisphenol AF type, biphenyl type, naphthalene type, fluorene type, phenol novolac type , Orthocresol novolak type, trishydroxyphenylmethane type, tetraphenylol ethane type, hydantoin type, trisglycidyl isocyanurate type, and glycidyl amine type epoxy resins. Of these, novolak type epoxy resins, biphenyl type epoxy resins, trishydroxyphenyl methane type epoxy resins, tetraphenylol ethane type epoxy resins, and the like are preferable because they are rich in reactivity with phenol resins as curing agents and have excellent heat resistance. .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페놀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노볼락형 페놀 수지, 레졸형 페놀 수지, 폴리파라옥시스티렌 등의 폴리옥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노볼락형 페놀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페놀노볼락 수지, 페놀아르알킬 수지, 크레졸노볼락 수지, tert-부틸페놀노볼락 수지, 노닐페놀노볼락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 수지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다이 본딩용 접착제로서의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당해 접착제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페놀노볼락 수지, 페놀아르알킬 수지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phenol resin which can act as a curing agent for the epoxy resin include novolak type phenol resins, resol type phenol resins, and polyoxystyrenes such as polyparaxyxstyrene. Examples of the novolak-type phenol resin include phenol novolac resins, phenol aralkyl resins, cresol novolac resins, tert-butylphenol novolac resins, nonylphenol novolac resins, and the like. The phenol resin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mong them, a phenol novolak resin and a phenol aralkyl resin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connection reliability of the adhesive when used as a curing agent of an epoxy resin as an adhesive for die bonding.

접착제층(20)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와 페놀 수지의 경화 반응을 충분히 진행시킨다는 관점에서는, 페놀 수지는, 에폭시 수지 성분 중의 에폭시기 1당량당, 당해 페놀 수지 중의 히드록시기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당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5당량으로 되는 양으로 포함된다.From the viewpoint of sufficiently accelerating the curing reaction between the epoxy resin and the phenolic resin in the adhesive layer 20, the phenolic resin preferably has a hydroxyl group in the phenolic resin per equivalent of the epoxy group in the epoxy resin component, preferably 0.5 to 2.0 equivalents, More preferably 0.7 to 1.5 equivalents.

접착제층(20)이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함유 비율은, 접착제층(20)의 총 질량에 대하여, 10 내지 70질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질량%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10질량% 이상이면, 접착제층(20)에 있어서 열경화형 접착제로서의 기능을 적절하게 발현시키기 쉽고, 또한 상기 저장 탄성률을 높일 수 있고, 적절한 와이어 본딩(특히, 오버행부에 대한 적절한 와이어 본딩)을 실현하기 쉽다. 상기 함유 비율이 70질량% 이하이면, 상기 저장 탄성률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고, 다단 적층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반도체 칩이 휜 경우라도 반도체 칩의 박리가 보다 일어나기 어렵다.When the adhesive layer 20 contains a thermosetting resin, the content of the thermosetting resin is preferably from 10 to 70 mass%, more preferably from 20 to 60 ma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adhesive layer 20, to be. When the content ratio is 10% by mass or more, the function as a thermosetting adhesive agent can be appropriately expressed in the adhesive layer 20, the storage elastic modulus can be increased, and appropriate wire bonding (particularly, Bonding) can be realized easily. When the content is 70% by mass or less,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s prevented from becoming excessively high, and even if the semiconductor chip is bent in the multi-layered semiconductor device, peeling of the semiconductor chip is less likely to occur.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 부틸 고무, 이소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 6-나일론이나 6,6-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페녹시 수지, 아크릴 수지, PET나 PBT 등의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불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이온성 불순물이 적고, 또한 내열성이 높기 때문에 접착제층(20)에 의한 접착 신뢰성을 확보하기 쉽다는 이유에서,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natural rubber, butyl rubber, isoprene rubber, chloroprene rubbe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 ethylene-acrylic acid ester copolymer, polybutadiene resin, polycarbonate resin, Thermoplastic polyimide resins, polyamide resins such as 6-nylon and 6,6-nylon, phenoxy resins, acrylic resins, saturated polyester resins such as PET and PBT, polyamideimide resins and fluororesins. 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thermoplastic resin is preferably an acrylic resin because it is easy to secure adhesion reliability by the adhesive layer 20 because it has few ionic impurities and high heat resistance.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중합체의 구성 단위로서, 아크릴계 단량체(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 성분)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질량 비율로 가장 많이 포함하는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아크릴」 및 「메타크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나타내며, 그 밖에도 마찬가지이다.The acrylic resin is a polymer comprising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monomer (a monomer component having a (meth) acryloyl group in the molecule) as a constituent unit of the polymer. The acrylic polymer is preferably a polymer containing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ic acid ester in the largest amount in the mass ratio. The acrylic polymer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meth) acryl" refers to "acrylic" and / or "methacryl" (either or both of "acrylic" and "methacrylic").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아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의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이소프로필에스테르, 부틸에스테르, 이소부틸에스테르, s-부틸에스테르, t-부틸에스테르, 펜틸에스테르, 이소펜틸에스테르, 헥실에스테르, 헵틸에스테르, 옥틸에스테르, 2-에틸헥실에스테르, 이소옥틸에스테르, 노닐에스테르, 데실에스테르, 이소데실에스테르, 운데실에스테르, 도데실에스테르(라우릴에스테르), 트리데실에스테르, 테트라데실에스테르, 헥사데실에스테르, 옥타데실에스테르, 에이코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의 시클로펜틸에스테르, 시클로헥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아릴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의 페닐에스테르, 벤질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 의한 점착성 등의 기본 특성을 접착제층(20)에 있어서 적절하게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아크릴 수지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에 있어서의, 상기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비율은, 4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이다.Examples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s include (meth) acrylic acid esters containing a hydrocarbon group. Examples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containing a hydrocarbon group include (meth) acrylic acid alkyl ester, (meth) acrylic acid cycloalkyl ester, and (meth) acrylic acid aryl ester. Examples of the alkyl (meth) acrylate ester include methyl esters, ethyl esters, isopropyl esters, butyl esters, isobutyl esters, s-butyl esters, t-butyl esters, pentyl esters, (Lauryl esters), tridecyl esters, isodecyl esters, isodecyl esters, isodecyl esters, isodecyl esters, isodecyl esters, isobutyl esters, isobutyl esters, isopentyl esters, hexyl esters, heptyl esters, octyl esters, Tetradecyl ester, hexadecyl ester, octadecyl ester, eicosyl ester,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meth) acrylic acid cycloalkyl ester include cyclopentyl ester and cyclohexyl ester of (meth) acrylic acid. Examples of the (meth) acrylic acid aryl esters include phenyl esters of (meth) acrylic acid and benzyl esters. The hydrocarbon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ester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order to appropriately express the basic properties such as adhesiveness by the (meth) acrylate ester containing a hydrocarbon group in the adhesive layer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of the (meth) acrylic acid containing hydrocarbons in the entire monomer component for forming an acrylic resin The ratio of the ester is preferably 40 mas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60 mass% or more.

상기 아크릴 수지는, 응집력, 내열성 등의 개질을 목적으로 하여, 상기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 산 무수물 단량체,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인산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관능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 무수물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8-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10-히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12-히드록시라우릴,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메틸글리시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도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인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단량체 성분은,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 의한 점착성 등의 기본 특성을 접착제층(20)에 있어서 적절하게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아크릴 수지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단량체 성분의 비율은, 6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이다.The acrylic resin may contain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nother monomer component copolymerizable with the hydrocarbon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ester, for the purpose of modifying the cohesive force, heat resistanc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other monomer component include monomers containing a functional group such as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n acid anhydride monomer,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 glycidyl group-containing monomer, a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 a phosphor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 acrylamide and acrylonitrile . Examples of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carboxyethyl (meth) acrylate, carboxypentyl (meth) acrylate,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and crotonic acid. Examples of the acid anhydride monomers include maleic anhydride, itaconic anhydrid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6-hydroxyhexyl (Meth) acrylate, 10-hydroxydecyl (meth) acrylate, 12-hydroxylauryl (meth) acrylate and (4-hydroxymethylcyclohexyl) methyl . Examples of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glycidyl (meth) acrylate and methylglycidyl (meth) acrylate. Examples of the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styrenesulfonic acid, allylsulfonic acid, 2- (meth) acrylamido-2-methylpropanesulfonic acid, (meth) acrylamidopropanesulfonic acid, sulfopropyl (meth) ) Acryloyloxynaphthalenesulfonic acid,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hosphate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2-hydroxyethyl acryloyl phosphate and the like. The other monomer component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proportion of the other monomer components in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for forming the acrylic resi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from 0.1 to 5 parts by weight, Is preferably 60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40 mass% or less.

접착제층(20)이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 비율은, 접착제층(20)의 총 질량에 대하여, 3 내지 40질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질량%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3질량% 이상이면, 상기 저장 탄성률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고, 다단 적층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반도체 칩이 휜 경우라도 반도체 칩의 박리가 보다 일어나기 어렵다. 상기 함유 비율이 40질량% 이하이면, 상기 저장 탄성률을 비교적 높일 수 있고, 적절한 와이어 본딩(특히, 오버행부에 대한 적절한 와이어 본딩)을 실현하기 쉽다.When the adhesive layer 20 contains a thermoplastic resin, the cont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s preferably from 3 to 40 mass%, more preferably from 10 to 30 ma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adhesive layer 20, to be. When the content ratio is 3% by mass or more,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s prevented from becoming excessively high, and even when the semiconductor chip is bent in the multi-layered semiconductor device, peeling of the semiconductor chip is less likely to occur. When the content ratio is 40 mass% or less, the storage elastic modulus can be relatively increased, and it is easy to realize appropriate wire bonding (particularly, appropriate wire bonding to the overhang).

상기 열경화성 관능기 함유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관능기 함유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열경화성 관능기 함유 아크릴 수지에 있어서의 아크릴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질량 비율로 가장 많은 구성 단위로서 포함한다. 당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로서의 아크릴계 수지를 형성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 예시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한편, 열경화성 관능기 함유 아크릴 수지에 있어서의 열경화성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시딜기, 카르복시기, 히드록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글리시딜기, 카르복시기가 바람직하다. 즉, 열경화성 관능기 함유 아크릴 수지로서는, 글리시딜기 함유 아크릴 수지, 카르복시기 함유 아크릴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열경화성 관능기 함유 아크릴 수지와 함께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관능기 함유 아크릴 수지에 있어서의 열경화성 관능기가 글리시딜기인 경우에는, 경화제로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상술한 각종 페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containing thermoplastic resin, for example, an acrylic resin containing a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 can be used. The acrylic resin in the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containing acrylic resin preferably contains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ic acid ester as the largest structural unit in the mass ratio. Examples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include (meth) acrylic acid esters exemplified as (meth) acrylic acid esters forming the above acrylic resin as the thermoplastic resin. On the other hand, examples of the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 in the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containing acrylic resin include a glycidyl group,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nd an isocyanate group. Among them, a glycidyl group and a carboxyl group are preferable. That is, as the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containing acrylic resin, a glycidyl group-containing acrylic resin and a carboxyl group-containing acrylic resin are particularly preferabl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uring agent together with an acrylic resin containing a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 When the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 in the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containing acrylic resin is a glycidyl group,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phenolic compound as a curing agent.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various phenolic resins can be used.

다이 본딩을 위해 경화되기 전의 접착제층(20)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가교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접착제층(20)에 포함될 수 있는 상술한 수지의 분자쇄 말단의 관능기 등과 반응하여 결합할 수 있는 다관능성 화합물을, 가교 성분으로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접착제 조성물)에 배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접착제층(20)에 대하여, 고온 하에서의 접착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또한 내열성의 개선을 도모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다가 알코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가교 성분의 함유량은, 당해 가교 성분과 반응하여 결합할 수 있는 상기 관능기를 갖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형성되는 접착제층(20)의 응집력 향상의 관점에서는 0.05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형성되는 접착제층(20)의 접착력 향상의 관점에서는 7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교 성분으로서는, 에폭시 수지 등의 다른 다관능성 화합물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병용해도 된다.In order to realize a certain degree of degree of crosslinking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layer 20 before curing for die bonding,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react with the functional group at the molecular chain terminal end of the resin, which may be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20, Is preferably blended in a composition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as a crosslinking component. Such a configuration is preferable for the adhesive layer 20 from the viewpoints of improving the adhesion property under high temperature and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component include a polyisocyanate compound. Examples of the polyisocyanate compound include tolyl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p-phenylenediisocyanate, 1,5-naphthalene diisocyanate, adducts of polyhydric alcohol and diisocyanate, and the like.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component in the adhesive composition is preferably not less than 0.05 part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resin having th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crosslinking component to improve the cohesion of the adhesive layer 20 to be formed And is preferably not more than 7 parts by mas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20 to be formed. As the crosslinking component, another polyfunctional compound such as an epoxy resi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polyisocyanate compound.

접착제층(20)에 배합될 수 있는 상기 아크릴 수지 및 상기 열경화성 관능기 함유 아크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이다.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에 대해서는, 하기의 Fox 식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유리 전이 온도(이론값)를 사용할 수 있다. Fox 식은,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와, 당해 중합체에 있어서의 구성 단량체별 단독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i의 관계식이다. 하기 Fox 식에 있어서, Tg는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나타내고, Wi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i의 질량분율을 나타내고, Tgi는 단량체 i의 단독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나타낸다. 단독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에 대해서는 문헌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신고분자 문고 7 도료용 합성 수지 입문」(기타오카 교죠 저, 고분자 간행회, 1995년)이나 「아크릴에스테르 카탈로그(1997년도판)」(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에는, 각종 단독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예시되어 있다. 한편,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유리 전이 온도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7-51271호 공보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resin and the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containing acrylic resin that can be blended in the adhesive layer 20 is preferably -40 to 10 占 폚. A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mer,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oretical value) obtained based on the following Fox equation can be used. The Fox equation is a relational expression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polymer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i of the homopolymer of the constituent monomers in the polymer. In the following Fox equation, Tg represent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占 폚) of the polymer, Wi represents the mass fraction of the monomer i constituting the polymer, and Tgi represent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占 폚) of the homopolymer of the monomer i . Fo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homopolymer, literature values can be used. For example, " Introduction of synthetic resin for paper color 7 paper " (Kitaoka Kogyo Co., Ltd., Polymer Publication Society, 1995) ) &Quot; (Mitsubishi Rayon Co., Lt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various homopolymers are illustrated. On the other hand, the homopolym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onomer can be determined by a method specifically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51271.

Fox 식 1/(273+Tg)=Σ[Wi/(273+Tgi)]Fox expression 1 / (273 + Tg) =? [Wi / (273 + Tgi)]

접착제층(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러를 함유한다. 접착제층(20)에 대한 필러의 배합에 의해, 접착제층(20)의 도전성이나, 열전도성, 탄성률 등의 물성을 조정할 수 있다. 필러로서는, 무기 필러 및 유기 필러를 들 수 있으며, 특히 무기 필러가 바람직하다. 무기 필러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질화알루미늄, 붕산알루미늄 위스커, 질화붕소, 실리카(결정질 실리카, 비정질 실리카 등) 외에, 알루미늄, 금, 은, 구리, 니켈 등의 금속 단체나, 합금, 아몰퍼스 카본 블랙, 그래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필러는, 구형, 침형, 플레이크형 등의 각종 형상을 가져도 된다. 상기 필러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필러로서는, 그 중에서도, 다른 필러와 대비하여 평균 입경을 조정하기 쉽기 때문에 보존 안정성의 향상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관점, 나아가 저비용, 절연성이라는 관점에서, 실리카가 바람직하다.The adhesive layer 20 contains a filler as described above.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 conductivity, thermal conductivity and elastic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20 can be adjusted by combining the filler with the adhesive layer 20. [ Examples of the filler include an inorganic filler and an organic filler, and an inorganic filler is particularly preferable. Examples of the inorganic filler include alumin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calcium carbonate, magnesium carbonate, calcium silicate, magnesium silicate, calcium oxide, magnesium oxide, aluminum oxide, aluminum nitride, aluminum whisker, boron nitride, Silica, etc.), metals such as aluminum, gold, silver, copper, and nickel, alloys, amorphous carbon black, and graphite. The filler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spherical shape, needle shape, and flake shape. The fillers may be used alone or in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Among the above fillers, silica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asiness of adjustment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as compared with other fillers and hence improvement of the storage stability, further from the viewpoints of low cost and insulating property.

상기 필러는, 표면에 방사선 경화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특히,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가 표면에 방사선 경화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경우, 방사선 조사로부터 점착제층(12) 중의 중합체와의 반응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표면에 방사선 경화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지 않는 필러를 사용함으로써, 보존 안정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점착제층(12)의 방사선 경화 후에 후술하는 픽업 공정을 행하는 경우, 당해 픽업 공정에 있어서 점착제층(12)으로부터의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의 픽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표면에 방사선 경화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지 않는 필러로서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ller does not have a radiation-cur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particularly, a radic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on its surface. When the filler has a radiation-cur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on its surfa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action with the polymer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proceeds from irradiation with radiation. Therefore, by using a filler having no radiation-cur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on the surface, the storage stability is further improved. Further, when the pickup process described later is performed after the radiation-curin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the pick-up of the semiconductor chip 31 having the adhesive layer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n the pickup process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s the filler having no radiation-cur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on the surface, a filler not subjected to the surface treatment can be used.

상기 필러의 평균 입경은, 70 내지 300nm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250nm이다. 상기 평균 입경은,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에 통상 사용되는 필러의 평균 입경보다 비교적 작은 것이다. 상기 필러로서 통상보다 비교적 작은 300nm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갖는 필러를 사용하면, 접착제층 중에 있어서의 필러의 표면적이 커서, 반응 촉진제가 필러에 의해 트랩됨으로써, 보존 중의 반응 촉진제의 작용이 억제될 것으로 추측되어, 보존 안정성이 보다 우수하다. 또한, 상기 필러로서 평균 입경이 70nm 이상인 평균 입경을 갖는 필러를 사용하면, 필러에 의한 경화 촉진제의 트랩이 적당한 것으로 될 것으로 추측되어, 경화 촉진제의 작용을 유지함으로써 접착제층(20)의 경화성이 향상되고, 비교적 단시간의 가열 조건에서의 가열에 의한 접착제층(20)의 경화 비율이 보다 커지기 쉽다. 또한, 반도체 웨이퍼 등의 피착체에 대한 습윤성, 접착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필러의 평균 입경은,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한다. 경화 후의 접착제층(20)을 수지에 포매시키고, 포매된 수지로부터 접착제층의 단면을 표출시키고, 당해 단면을 CP 가공 장치에 의한 이온 밀링 가공 후, 도전 처리를 실시하여 FE-SEM 관찰을 행하여 반사 전자상을 얻고, 도입한 화상 내의 필러의 면적을 화상 내의 필러 개수로 나누고, 필러의 평균 면적을 구하여, 이것을 필러의 평균 입경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필러는,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 내인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is preferably 70 to 300 nm, more preferably 75 to 250 nm.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usually used for the adhesive layer in the dicing die-bonding film. When the fill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300 nm or less, which is relatively smaller than usual, is used as the filler, the surface area of the filler in the adhesive layer is large and the action promoter is trapped by the filler, And the storage stability is more excellent. When a fill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70 nm or more is used as the filler, trapping of the curing accelerator by the filler is presumed to be suitable, and the curing property of the adhesive layer 20 is improved by maintaining the action of the curing accelerator And the curing rate of the adhesive layer 20 due to heating under a relatively short time heating condition tends to become larger. In addition, wettability and adhesiveness to an adherend such as a semiconductor wafer are further improve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is determined as follows. After the cured adhesive layer 20 is embedded in the resin, the cross section of the adhesive layer is exposed from the embedded resin, and the cross-section is subjected to ion milling with a CP processing apparatus, followed by conducting an FE-SEM observation, An electron image is obtained, the area of the filler in the introduced image is divided by the number of fillers in the image, and the average area of the filler is obtained, and this is regarded a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Particularly, the filler is preferably silica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within the above range.

접착제층(20) 중의 필러의 함유 비율은, 접착제층(20)의 총 질량에 대하여, 3 내지 60질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질량%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3질량% 이상이면, 후술하는 쿨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접착제층(20)을 보다 양호하게 할단하기 쉽고, 또한 후술하는 픽업 공정에 있어서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을 보다 양호하게 픽업할 수 있다. 상기 함유 비율이 60질량% 이하이면, 점착제층(12)과의 밀착성, 반도체 칩끼리 혹은 피착체와 반도체 칩의 접착성이 보다 양호해진다.The content of the filler in the adhesive layer 20 is preferably 3 to 60% by mass, and more preferably 20 to 50% by mass with respect to the total mass of the adhesive layer 20. When the content ratio is 3 mass% or more, it is easy to make the adhesive layer 20 better in the cool expans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and in the pickup process described later, the semiconductor chip having the adhesive layer can be picked up more satisfactorily have. When the content ratio is 60 mass% or less, the adhesiveness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s or between the adherend and the semiconductor chip become better.

접착제층(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경화 촉진제를 함유한다. 접착제층(20)으로의 경화 촉진제의 배합에 의해, 접착제층(20)의 경화에 있어서 열경화성 성분의 경화 반응을 충분히 진행시키거나, 경화 반응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로서는, 예를 들어 이미다졸계 화합물, 트리페닐포스핀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트리할로겐보란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미다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이미다졸, 2-운데실이미다졸, 2-헵타데실이미다졸, 1,2-디메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2-페닐-4-메틸이미다졸, 1-벤질-2-메틸이미다졸, 1-벤질-2-페닐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메틸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운데실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페닐이미다졸륨트리멜리테이트, 2,4-디아미노-6-[2'-메틸이미다졸릴-(1')]-에틸-s-트리아진, 2,4-디아미노-6-[2'-운데실이미다졸릴-(1')]-에틸-s-트리아진, 2,4-디아미노-6-[2'-에틸-4'-메틸이미다졸릴-(1')]-에틸-s-트리아진, 2,4-디아미노-6-[2'-메틸이미다졸릴-(1')]-에틸-s-트리아진이소시아누르산 부가물, 2-페닐-4,5-디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 2-페닐-4-메틸-5-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트리페닐포스핀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페닐포스핀, 트리(p-메틸페닐)포스핀, 트리(노닐페닐)포스핀, 디페닐톨릴포스핀, 테트라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메톡시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트리페닐포스핀계 화합물에는, 트리페닐포스핀 구조와 트리페닐보란 구조를 병유하는 화합물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페닐포스포늄테트라페닐보레이트, 테트라페닐포스포늄테트라-p-트리보레이트, 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테트라페닐보레이트, 트리페닐포스핀트리페닐보란 등을 들 수 있다. 아민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모노에탄올아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디시안디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트리할로겐보란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클로로보란 등을 들 수 있다. 경화 촉진제는, 1종만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사용해도 된다.The adhesive layer 20 contains a curing accelerator as described above. By the incorporation of the curing accelerator into the adhesive layer 20, the curing reaction of the thermosetting component can be sufficiently promoted or the curing reaction rate can be increased in the curing of the adhesive layer 20. Examples of the curing accelerator include imidazole-based compounds, triphenylphosphine-based compounds, amine-based compounds, and trihalogenborane-based compounds. Examples of the imidazole compound include 2-methylimidazole, 2-undecylimidazole, 2-heptadecylimidazole, 1,2-dimethylimidazole, 2-ethyl- 2-phenylimidazole, 1-benzyl-2-phenylimidazole, 1-cyanoethyl-2- Methylimidazole, 1-cyanoethyl-2-undecylimidazole, 1-cyanoethyl-2-phenylimidazolium trimellitate, 2,4-diamino-6- [ 2 '- undecylimidazolyl- (1')] - ethyl-s-triazine, 2, Methylaminoimidazolyl- (1 ')] - ethyl-s-triazine, 2,4-diamino-6- [2'-methylimidazole 2-phenyl-4-methyl-5-hydroxymethyl, 2-phenyl-4-methyl-5-hydroxymethylimidazol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triphenylphosphine compound include triphenylphosphine, tri (p-methylphenyl) phosphine, tri (nonylphenyl) phosphine, diphenyltolylphosphine, tetraphenylphosphonium bromide, methyltriphenylphosphonium, Methyltriphenylphosphonium chloride, methoxymethyltriphenylphosphonium, benzyltriphenylphosphonium chloride, and the like. The triphenylphosphine-based compound also includes a compound having a triphenylphosphine structure and a triphenylborane structure. Examples of such compounds include tetraphenylphosphonium tetraphenylborate, tetraphenylphosphonium tetra-p-triborate, benzyltriphenylphosphonium tetraphenylborate, and triphenylphosphine triphenylborane. Examples of the amine-based compound include monoethanolamine trifluoroborate and dicyandiamide. As the trihalogenborane compound, for example, trichloroboran can be given. The curing accelerator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접착제층(20) 중의 경화 촉진제의 함유량은, 열경화성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5 내지 10질량부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질량부이다. 상기 함유량이 0.15질량부 이상이면, 경화 촉진제의 작용이 보다 충분히 발휘되고, 비교적 단시간의 가열 조건에서의 가열에 의한 접착제층(20)의 경화가 보다 크게 진행되기 쉽다. 상기 함유량이 10질량부 이하이면, 보존 안정성이 보다 우수하다.The content of the curing accelerator in the adhesive layer 20 is preferably 0.15 to 1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0.2 to 3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thermosetting component. When the content is 0.15 parts by mass or more, the action of the curing accelerator is sufficiently exhibited, and the curing of the adhesive layer 20 by heating under a relatively short time of heating is liable to proceed more greatly. When the content is 10 parts by mass or less, storage stability is more excellent.

접착제층(20)은,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난연제, 실란 커플링제, 이온 트랩제,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난연제로서는, 예를 들어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브롬화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어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온 트랩제로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로탈사이트류, 수산화비스무트, 함수 산화안티몬(예를 들어 도아 고세 가부시키가이샤제의 「IXE-300」), 특정 구조의 인산지르코늄(예를 들어 도아 고세 가부시키가이샤제의 「IXE-100」), 규산마그네슘(예를 들어 교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교와드 600」), 규산알루미늄(예를 들어 교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교와드 700」)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과의 사이에서 착체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도 이온 트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아졸계 화합물, 테트라졸계 화합물, 비피리딜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금속 이온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착체의 안정성의 관점에서는 트리아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트리아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1,2,3-벤조트리아졸, 1-{N,N-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벤조트리아졸, 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6-(2-벤조트리아졸릴)-4-t-옥틸-6'-t-부틸-4'-메틸-2,2'-메틸렌비스페놀, 1-(2',3'-히드록시프로필)벤조트리아졸, 1-(1,2-디카르복시디에틸)벤조트리아졸, 1-(2-에틸헥실아미노메틸)벤조트리아졸, 2,4-디-t-펜틸-6-{(H-벤조트리아졸-1-일)메틸}페놀, 2-(2-히드록시-5-t-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에틸헥실-3-[3-t-부틸-4-히드록시-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H-벤조트리아졸-2-일)-6-(1-메틸-1-페닐에틸)-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t-부틸페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1,1-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메틸-3-[3-(2H-벤조트리아졸-2-일)-5-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퀴놀 화합물이나, 히드록시안트라퀴논 화합물, 폴리페놀 화합물 등의 특정 히드록시기 함유 화합물도, 이온 트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히드록시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1,2-벤젠디올, 알리자린, 안트라루핀, 탄닌, 갈산, 갈산메틸, 피로갈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첨가제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The adhesive layer 20 may contain other components as required. Examples of the other components include flame retardants, silane coupling agents, ion trap agents, dyes,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flame retardant include antimony trioxide, antimony pentoxide, brominated epoxy resin,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nclude, for example,? - (3,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 Examples of the ion trap agent include hydrotalcites, bismuth hydroxide, antimony oxide (e.g., " IXE-300 ", manufactured by Toagosei Co., Ltd.), zirconium phosphate having a specific structure (E.g., " IXE-100 ", manufactured by Shikisai K.K.), magnesium silicate (e.g., " KYOWAD 600 ", manufactured by KYOWA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Quot; Kyowade 700 "). A compound capable of forming a complex with a metal ion can also be used as an ion trap agent. Such compounds include, for example, triazole-based compounds, tetrazole-based compounds, and bipyridyl-based compounds. Of these, triazole-based compounds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stability of the complex formed with metal ions. Examples of such triazole compounds include 1,2,3-benzotriazole, 1- {N, N-bis (2-ethylhexyl) aminomethyl} benzotriazole, carboxybenzotriazole, 2- (2-hydroxy-3-t-butylphenyl) -5-chlorobenzotriazole, 2- (2-hydroxy- Butylphenyl) -5-chlorobenzotriazole, 2- (2-hydroxy-3,5-di-t-amylphenyl) benzotriazole, 2- Phenyl) benzotriazole, 6- (2-benzotriazolyl) -4-t-octyl-6'- Dihydroxypropyl) benzotriazole, 1- (1,2-dicarboxydiethyl) benzotriazole, 1- (2-ethylhexylaminomethyl) benzotriazole, 2,4- (3-t-butylphenyl) -2H-benzotriazole, 2-ethylhexyl-3- [3-t (5-chloro-2H-benzotriazol-2-yl) phenyl] propionate, 2- (2H- (1-methyl-1-phenylethyl) -4- (1,1,3,3-tetramethylbutyl) phenol, 2- (2H-benzotriazol- ) -4-t-butylphenol, 2- (2-hydroxy-5-methylphenyl) benzotriazole, 2- (2-hydroxy-3,5-di-t-amylphenyl) benzotriazole, 2- (2-hydroxyphenyl) 3,5-di (t-butylphenyl) -5-chloro-benzotriazole, 2- [2-hydroxy- 4- (1,1,3,3-tetramethylbutyl) phenol], 2- [2-hydroxy-benzenesulfonyl] Benzotriazole, methyl-3- [3- (2H-benzotriazol-2-yl) -5-t-butyl- Hydroxyphenyl] propionate, and the like. Specific hydroxy group-containing compounds such as a quinoline compound, a hydroxyanthraquinone compound, and a polyphenol compound can also be used as an ion trapping agent. Specific examples of such hydroxy group-containing compounds include 1,2-benzene diol, alizarin, anthrulphine, tannin, gallic acid, methyl gallate, pyrogallol and the like. The above-mentioned other additive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접착제층(20)의 두께(적층체의 경우에는, 총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 내지 200㎛이다. 상한은, 100㎛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이다. 하한은, 3㎛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이다.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20 (total thickness in the case of a lamin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1 to 200 占 퐉.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100 mu m, more preferably 80 mu m.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3 탆, more preferably 5 탆.

접착제층(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13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의 DSC 측정에 의한 발열량이, 가열 전의 발열량의 60% 이하이다. 즉, [13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의 DSC 측정에 의한 발열량(J/g)/가열 전의 발열량(J/g)×100](%)가 60% 이하이다. 이것은, 130℃, 30분간의 조건에서의 가열에 의해, 가열 전의 접착제층 중의 미경화인 열경화성 성분의 60% 이상이 경화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이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접착제층은, 비교적 단시간의 가열 조건에서의 가열에 의한 접착제층의 경화 비율이 크기 때문에, 단시간에 경화 가능하여, 단시간에 저장 탄성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단시간의 가열 조건에서의 가열에 의한 접착제층의 경화 비율이 크기 때문에, 보존 중에도 가열 전까지는 경화가 일어나기 어렵고, 즉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다. 상기 13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의 DSC 측정에 의한 발열량은, 가열 전의 발열량의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하한은, 0%여도 되고, 10%여도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layer 20 has a heat generation amount by DSC measurement after heating at 130 占 폚 for 30 minutes is 60% or less of the heat generation amount before heating. That is, the heat generation amount (J / g) / the heat generation amount (J / g) before heating 100 (%) by DSC measurement after heating at 130 占 폚 for 30 minutes is 60% or less. This means that 60% or more of the uncured thermosetting component in the adhesive layer before heating is cured by heating at 130 占 폚 for 30 minutes. Since the adhesive layer in the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dhesive layer can be cured in a short time because the adhesive layer has a large curing rate due to heating under relatively short heating conditions, The storage elastic modulus can be improved in a short time. Further, since the curing rate of the adhesive layer due to heating in a relatively short time heating condition is large, hardening does not occur until the heating even during storage, that is, the storage stability is excellent.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DSC measurement after heating at 130 캜 for 30 minutes is preferably 50% or less, more preferably 40% or less, of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efore heating. The lower limit may be 0% or 10%.

접착제층(20)의, 가열 전의 DSC 측정에 의한 발열량은, 20 내지 500J/g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J/g이다. 상기 발열량이 20J/g 이상이면, 접착제층(20)은 비교적 단시간의 가열 조건에서의 가열에 의해 경화가 보다 크게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발열량이 500J/g 이하이면, 접착제층(20) 표면의 점착력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어,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사용 과정에 있어서 반도체 웨이퍼 및 반도체 칩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다.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DSC measurement before heating of the adhesive layer 20 is preferably 20 to 500 J / g, and more preferably 50 to 300 J / g. If the calorific value is 20 J / g or more, the adhesive layer 20 can be cured more greatly by heating under relatively short time heating conditions. When the calorific value is 500 J / g or less,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can be secured to some extent, and the adhesion to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semiconductor chip is excellent during the use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접착제층(20)의, 13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의 DSC 측정에 의한 발열량은, 5 내지 60J/g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J/g이다. 상기 발열량이 5J/g 이상이면, 와이어 본딩 공정보다 후속인 밀봉 공정에 있어서 밀봉 수지와 일괄적으로 경화할 수 있다. 상기 발열량이 60J/g 이하이면, 접착제층(20)은 비교적 단시간의 가열 조건에서의 가열에 의해 경화가 보다 크게 진행될 수 있다.The heat generated by the DSC measurement of the adhesive layer 20 after heating at 130 캜 for 30 minutes is preferably 5 to 60 J / g, more preferably 10 to 50 J / g. If the calorific value is 5 J / g or more, it can be cured together with the sealing resin in a subsequent sealing process than the wire bonding process. If the calorific value is 60 J / g or less, the adhesive layer 20 can be cured more greatly by heating under a relatively short time heating condition.

상기 DSC 측정에 의한 발열량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접착제층(20)을 0℃부터 350℃까지 승온 속도 10℃/min로 승온시켰을 때의 전체 발열량[J/g]이다. DSC 측정에 사용하는 접착제층(20)의 질량은, 예를 들어 10 내지 15mg이다.The calorific value by the DSC measurement is the total calorific value [J / g] when the adhesive layer 20 is heated from 0 ° C to 350 ° C at a rate of 10 ° C / min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he mass of the adhesive layer 20 used for the DSC measurement is, for example, 10 to 15 mg.

상기 DSC 측정에 의한, 가열 전의 발열량 및 13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의 발열량은, 접착제층(20) 중의 열경화성 성분의 비율, 경화 촉진제의 양, 필러의 비율 및 입경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경화성 성분의 비율이 많을수록 가열 전의 발열량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경화 촉진제의 양이 많을수록 비교적 단시간에서의 경화의 진행이 커지기 때문에 13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의 발열량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필러의 비율이 적을수록, 또한 필러의 입경이 클수록, 포획되는 경화 촉진제의 양이 적어질 것으로 추측되어, 비교적 단시간에서의 경화의 진행이 커지고 13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의 발열량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The calorific value before heating by the DSC measurement and the calorific value after heating at 130 占 폚 for 30 minutes can be controlled by the ratio of the thermosetting component in the adhesive layer 20, the amount of the curing accelerator, the ratio of the filler, Specifically, the greater the proportion of the thermosetting component, the greater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efore heating. The greater the amount of the curing accelerator, the greater the progress of curing in a relatively short time, so that the calorific value after heating at 130 DEG C for 30 minutes tends to decrease. The smaller the ratio of the filler and the larger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the lower the amount of the curing accelerator to be trapped, the larger the progress of curing in a relatively short time, and the smaller the calorific value after heating at 130 캜 for 30 minutes have.

접착제층(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 후의 13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20MPa 이상 4000MPa 이하이다. 상기 가열 후의 저장 탄성률이 20MPa 이상임으로써, 접착제층은, 단시간에 경화 가능하면서, 경화 후에는 어느 정도의 경도를 갖기 때문에, 경화 후에는 적절한 와이어 본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접착제층을 오버행부를 갖는 다단 적층 반도체 장치에 사용한 경우라도, 와이어 본딩 시의 초음파에 의한 진동이나 오버행부에 대한 가압에 의한 부하에 기인하는 오버행부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어, 오버행부에 대한 적절한 와이어 본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열 후의 저장 탄성률이 4000MPa 이하임으로써, 경화 후에 있어서도 피착체와의 접착 신뢰성이나 반도체 칩끼리의 접착 신뢰성이 우수하다. 상기 저장 탄성률의 상한은, 2000MPa이어도 되고, 1000MPa이어도 되고, 500MPa이어도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layer 20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130 占 폚 after the heating of 20 MPa or more and 4000 MPa or less. Since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fter heating is 20 MPa or more, the adhesive layer can be cured in a short time, and since it has a certain degree of hardness after curing, appropriate wire bonding can be performed after curing. Particularly, even when the adhesive layer is used for a multi-layere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overhang portion, vibration due to ultrasonic waves at the time of wire bonding and fluctuation of the overhang portion caused by a load due to pressing against the overhang portion can be suppressed, It is possible to perform appropriate wire bonding. Further, since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fter heating is 4000 MPa or less, adhesion reliability with an adherend and bonding reliability between semiconductor chips are excellent even after curing. The upper limit o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may be 2000 MPa, or may be 1000 MPa or 500 MPa.

상기 저장 탄성률은, 점단성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주파수 1Hz, 초기 척간 거리 10mm, 변형 0.1%의 조건에서, 인장 모드에서 측정되는, 130℃에 있어서의 동적 저장 탄성률이다.The storage elastic modulus is a dynamic storage elastic modulus at 130 캜 measured in a tensile mode under the conditions of a frequency of 1 Hz, an initial chuck distance of 10 mm, and a strain of 0.1% using a tester.

상기 저장 탄성률은, 접착제층(20) 중의 열경화성 성분의 비율, 열가소성 수지의 비율, 경화 촉진제의 양, 필러의 비율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경화성 성분의 비율, 경화 촉진제의 양, 및 필러의 비율이 많을수록 가열 후의 접착제층(20)이 단단해지기 때문에, 저장 탄성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의 비율이 많을수록 가열 후의 접착제층(20)이 부드러워지기 때문에, 저장 탄성률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The storage elastic modulus can be controlled by the ratio of the thermosetting component in the adhesive layer 20, the ratio of the thermoplastic resin, the amount of the curing accelerator, the filler ratio, and the like. Specifically, the more the ratio of the thermosetting component, the amount of the curing accelerator, and the filler, the harder the adhesive layer 20 after heating,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tends to increase. On the other hand, as the proportion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reases, the adhesive layer 20 after heating tends to soften, so tha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tends to decrease.

접착제층(20)의 90℃에 있어서의 점도는, 300 내지 100000Paㆍs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다단 적층 반도체 장치는, 일반적으로, 회로층이 많기 때문에 반도체 칩이 크게 휘기 쉽고, 이것에 기인하여 반도체 칩이 박리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접착제층(20)의 90℃에 있어서의 점도가 300Paㆍs 이상이면, 비교적 휘기 쉬운 반도체 칩으로 다이 본드하였을 때는 다이 본드 스테이지로부터의 열에 의해 점도가 저하되고, 반도체 칩이 휜 경우라도 반도체 칩의 박리가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점도가 100000Paㆍs 이하이면, 경화 후에 있어서도 피착체와의 접착 신뢰성이나 반도체 칩끼리의 접착 신뢰성이 보다 우수하다. 상기 점도는, 500 내지 50000Paㆍs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40000Paㆍs이다. 또한, 23℃에서 28일간 보존 후의 접착제층(20)의 90℃에 있어서의 점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는, 갭 100㎛, 회전 플레이트 직경 8mm, 승온 속도 10℃/min, 변형 10%, 주파수 5rad/sec의 조건 하에서 회전식 점도계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다.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layer 20 at 90 캜 is preferably 300 to 100000 Pa · s. Since the above-described multi-layered semiconductor device generally has a large number of circuit layers, the semiconductor chip tends to bend largely, and the semiconductor chip tends to peel off due to this. However, when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layer 20 at 90 ° C is 300 Pa · s or more, when the semiconductor chip is die-bonded to a relatively flexible semiconductor chip,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layer 20 decreases due to heat from the die bond stage, It is difficult for the chip to peel off. When the viscosity is 100000 Pa.s or less, the adhesion reliability with the adherend and the bonding reliability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s are more excellent even after curing. The viscosity is preferably 500 to 50000 Pa · s, and more preferably 1000 to 40000 Pa · s.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layer 20 after storage at 23 占 폚 for 28 days at 90 占 폚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viscosity is a value measured by a rotary viscometer under the conditions of a gap of 100 탆, a rotating plate diameter of 8 mm, a heating rate of 10 캜 / min, a deformation of 10% and a frequency of 5 rad / sec.

접착제층(20)의, 23℃에서 28일간 보존 후의 90℃에 있어서의 점도의 증가율(점도 증가율)[{23℃에서 28일간 보존 후의 90℃에 있어서의 점도(Paㆍs)-90℃에 있어서의 점도(Paㆍs)}/90℃에 있어서의 점도(Paㆍs)×100](%)는, 1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미만이다. 상기 점도의 증가율이 150% 미만이면, 보존 안정성이 보다 우수하다. 상기 점도의 증가율의 하한은, 0%여도 된다.(Viscosity increase rate) at 90 占 폚 after storage for 28 days at 23 占 폚 (viscosity (Pa 占 퐏) at 90 占 폚 after storage for 28 days at 23 占 폚 -90 占 폚 (Pa 占 퐏)} / 90 占 폚 (Pa 占 퐏) 占 100] (%) is preferably less than 150%, more preferably less than 100%. If the increase rate of the viscosity is less than 150%, the storage stability is more excellent. The lower limit of the rate of increase of the viscosity may be 0%.

(기재)(materials)

다이싱 테이프(10)에 있어서의 기재(11)는, 다이싱 테이프(10)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에 있어서 지지체로서 기능하는 요소이다. 기재(11)로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기재(특히 플라스틱 필름)를 들 수 있다. 상기 기재(11)는, 단층이어도 되고, 동종 또는 이종의 기재의 적층체여도 된다.The base material 11 of the dicing tape 10 is an element serving as a support in the dicing tape 10 and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 As the substrate 11, for example, a plastic substrate (particularly a plastic film) can be mentioned. The substrate 11 may be a single layer or a laminate of the same or different kinds of substrates.

상기 플라스틱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랜덤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호모 폴리프롤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아이오노머,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랜덤, 교대)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아라미드,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페닐술피드; 불소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셀룰로오스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기재(11)에 있어서 양호한 열수축성을 확보하여, 후술하는 상온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 칩 이격 거리를 다이싱 테이프(10) 또는 기재(11)의 부분적 열수축을 이용하여 유지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기재(11)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11)의 주성분이란, 구성 성분 중에서 가장 큰 질량 비율을 차지하는 성분으로 한다. 상기 수지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점착제층(12)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인 경우, 기재(11)는 방사선 투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plastic substrate include low 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high density polyethylene,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random copolymerized polypropylene, block copolymerized polypropylene, homopolypropylene, (Meth) acrylic acid ester (random, alternating) copolymer, an ethylene-butene copolymer, an ethylene-hexene copolymer,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 polyolefin resin such as a co-polymer; Polyurethane; Polyester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carbonate; Polyimide; Polyether ether ketone; Polyetherimide; Polyamides such as aramid and wholly aromatic polyamide; Polyphenylsulfide; Fluorine resin; Polyvinyl chloride; Polyvinylidene chloride; Cellulose resin; Silicone resin, and the like.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good heat shrinkability in the base material 11 and easily holding the chip separation distance in a room temperature expanding step to be described later by using the partial heat shrinkage of the dicing tape 10 or the base material 11, (11) preferably contains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s a main component.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material 11 is a component that occupies the largest mass ratio among the constituent components. These resin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s a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s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material 11 has radiation transmittance.

기재(11)가 플라스틱 필름인 경우,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무배향이어도 되고, 적어도 일방향(1축 방향, 2축 방향 등)으로 배향되어 있어도 된다. 적어도 일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경우, 플라스틱 필름은 당해 적어도 일방향으로 열수축 가능하게 된다. 열수축성을 갖고 있으면, 다이싱 테이프(10)의, 반도체 웨이퍼의 외주 부분을 열수축((heat shrink)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개편화된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끼리의 간격을 넓힌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반도체 칩의 픽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기재(11) 및 다이싱 테이프(10)가 등방적인 열수축성을 갖기 위해서는, 기재(11)는 2축 배향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어도 일방향으로 배향된 플라스틱 필름은, 무연신의 플라스틱 필름을 당해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신(1축 연신, 2축 연신 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기재(11) 및 다이싱 테이프(10)는, 가열 온도 100℃ 및 가열 시간 처리 60초의 조건에서 행해지는 가열 처리 시험에 있어서의 열수축률이, 1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이다. 상기 열수축률은, MD 방향 및 TD 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의 열수축률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ubstrate 11 is a plastic film, the plastic film may be unoriented or oriented at least in one direction (uniaxial, biaxial, etc.). When oriented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plastic film becomes heat shrink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heat shrink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of the dicing tape 10 so that the gap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s having adhesive layers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s widened The substrate 11 can be easily picked up. In order that the substrate 11 and the dicing tape 10 have isotropic heat shrinkability, the substrate 11 is preferably a biaxially oriented film. The plastic film oriented in at least one direction can be obtained by stretching the plastic film without stretching at least in one direction (uniaxial stretching, biaxial stretching, etc.). The base material (11) and the dicing tape (10) The heat shrinkage ratio in the heat treatment test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s of the heating temperature of 100 캜 and the heating time treatment of 60 seconds is preferably 1 to 30%, more preferably 2 to 25% It is in the range of 3 to 20%, particularly preferably 5 to 20%. The heat shrinkage ratio,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shrinkage at least in one direction of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기재(11)의 점착제층(12)측 표면은, 점착제층(12)과의 밀착성, 보유 지지성 등을 높일 목적으로,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샌드 매트 가공 처리, 오존 폭로 처리, 화염 폭로 처리, 고압 전격 폭로 처리, 이온화 방사선 처리 등의 물리적 처리; 크롬산 처리 등의 화학적 처리; 코팅제(하도제)에 의한 접착 용이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대전 방지능을 부여하기 위해, 금속, 합금, 이들의 산화물 등을 포함하는 도전성의 증착층을 기재(11) 표면에 형성해도 된다.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표면 처리는, 기재(1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12)측의 표면 전체에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1 on th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s subjected to corona discharge treatment, plasma treatment, sand matte treatment, ozone exposure treatment, or the like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adhesion with the pressure- , Physical treatment such as flame exposure treatment, high-voltage electric exposure treatment, and ionizing radiation treatment; Chemical treatment such as chromic acid treatment; Or surface treatment such as adhesion facilitating treatment with a coating agent (primer)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a conductive vapor deposition layer containing a metal, an alloy, an oxide thereof, or the lik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1 in order to impart the antistatic fun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treatment for enhancing the adhesion is per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11 on th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

기재(11)의 두께는, 다이싱 테이프(10) 및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에 있어서의 지지체로서 기재(11)가 기능하기 위한 강도를 확보한다는 관점에서는, 40㎛ 이상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또한, 다이싱 테이프(10) 및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에 있어서 적당한 가요성을 실현한다는 관점에서는, 기재(11)의 두께는, 200㎛ 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11 is preferably 40 占 퐉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the strength for the function of the base material 11 as a support in the dicing tape 10 and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50 mu m, further preferably not less than 55 mu m, particularly preferably not less than 60 mu m. From the viewpoint of realizing appropriate flexibility in the dicing tape 10 and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11 is preferably 20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180 占 퐉 or less ,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150 mu m.

(점착제층)(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12)은,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사용 과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작용에 의해 의도적으로 점착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점착제층(점착력 저감 가능형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사용 과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작용에 의해서는 점착력이 거의 또는 전혀 저감하지 않는 점착제층(점착력 비저감형 점착제층)이어도 되며,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을 사용하여 개편화되는 반도체 웨이퍼의 개편화의 방법이나 조건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pable of intentionally reducing the adhesive force due to external action in the process of using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pable of releas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may b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ce-reducing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little or no reduction in adhesive force due to external action during use of the dicing die- The semiconductor wafer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method and condition of individualiza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to be separated by using the single die bond film 1. [

점착제층(12)이 점착력 저감 가능형 점착제층인 경우,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제조 과정이나 사용 과정에 있어서, 점착제층(12)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착력을 나타내는 상태와 상대적으로 낮은 점착력을 나타내는 상태를 구분지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제조 과정에서 다이싱 테이프(10)의 점착제층(12)에 접착제층(20)을 접합할 때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이 다이싱 공정에 사용될 때는, 점착제층(12)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착력을 나타내는 상태를 이용하여 점착제층(12)으로부터 접착제층(20) 등의 피착체의 들뜸을 억제ㆍ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한편, 그 후,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다이싱 테이프(10)로부터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 공정에서는, 점착제층(12)의 점착력을 저감시킴으로써, 픽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ce-reduc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exhibits a relatively high adhesive force in a manufacturing process or a use process of the dicing die-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adhesive layer 20 is bond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of the dicing tape 10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or when the dicing die-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lifting of an adherend such as the adhesive layer 20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by us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exhibits a relatively high adhesive force, In the pick-up step for picking up the semiconductor chip having the adhesive layer from the dicing tape 10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the ad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s reduced so that pickup can be easily performed.

이러한 점착력 저감 가능형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 가열 발포형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력 저감 가능형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1종의 점착제를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의 점착제를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su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 a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heat-foam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like.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e type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used, or two or mor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may be used.

상기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전자선, 자외선, α선, β선, γ선, 또는 X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타입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타입의 점착제(자외선 경화성 점착제)를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the radiation-cu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f the type which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an electron beam, an ultraviolet ray, an? Ray, a? Ray, a? Ray or an X ray can be use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상기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등의 베이스 중합체와, 방사선 중합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 등의 관능기를 갖는 방사선 중합성의 단량체 성분이나 올리고머 성분을 함유하는 첨가형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clude a base polymer such as an acrylic polymer and an addition type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 radiation-polymerizable monomer component or oligomer component having a functional group such as a radiation-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중합체의 구성 단위로서, 아크릴계 단량체(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 성분)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질량 비율로 가장 많이 포함하는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The acrylic polymer is a polymer comprising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monomer (a monomer component having a (meth) acryloyl group in the molecule) as a constituent unit of the polymer. The acrylic polymer is preferably a polymer containing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ic acid ester in the largest amount in the mass ratio. The acrylic polymer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상술한 접착제층(20)에 포함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서의 아크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예시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 의한 점착성 등의 기본 특성을 점착제층(12)에 있어서 적절하게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에 있어서의,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비율은, 4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이다.Examples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s include (meth) acrylic acid esters containing a hydrocarbon group. Examples of the hydrocarbon group-containing (meth) acrylic acid ester include those exemplified as constituent units of an acrylic resin as a thermoplastic resin that can be contained in the above-mentioned adhesive layer 20. The hydrocarbon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ester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order to appropriately express the basic properti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such as adhesion with a hydrocarbon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ester, it is preferable to use a monomer containing a (meth) acrylate ester having a hydrocarbon group Is preferably 40 mas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60 mass% or more.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응집력, 내열성 등의 개질을 목적으로 하여, 상기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상술한 접착제층(20)에 포함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서의 아크릴 수지의 구성 단위로서 예시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단량체 성분은,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 의한 점착성 등의 기본 특성을 점착제층(12)에 있어서 적절하게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단량체 성분의 합계 비율은, 6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이다.The acrylic polymer may contain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nother monomer component copolymerizable with the hydrocarbon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ester, for the purpose of modifying the cohesive force, heat resistanc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other monomer component include those exemplified as constituent units of an acrylic resin as a thermoplastic resin that can be contained in the above-mentioned adhesive layer 20. The other monomer component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total content of the other monomer components in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for forming the acrylic polym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from 0.01 to 10 parts by mass, , Preferably 60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40 mass% or less.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그 중합체 골격 중에 가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과 공중합 가능한 다관능성 단량체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폴리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기와 다른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 의한 점착성 등의 기본 특성을 점착제층(12)에 있어서 적절하게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전체 단량체 성분에 있어서의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의 비율은, 4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이다.The acrylic polymer may contain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polyfunctional monomer capable of copolymerizing with a monomer component forming an acrylic polymer to form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polymer backbone. Examples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clude hexanediol di (meth) acrylate, (poly)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 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neopentyl glycol d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epoxy (meth) acrylate Monomers having a (meth) acryloyl group and other reactive functional groups in the molecule such as polyglycidyl (meth) acrylate), polyester (meth) acrylate and urethane (meth) have. The multifunctional monome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order to appropriately express the basic properties such as adhesiveness by the (meth) acrylate ester containing a hydrocarbon group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the ratio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 the total monomer component for forming the acrylic polymer is preferably 40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30% by mass or less.

아크릴계 중합체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성분을 중합에 사용함으로써 얻어진다. 중합 방법으로서는, 용액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 등을 들 수 있다.The acrylic polymer is obtained by using at least one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an acrylic monomer for polymerization. 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method include solut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bulk polymerization, and suspension polymerization.

아크릴계 중합체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10만 이상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만 내지 300만이다. 질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상이면, 점착제층 중의 저분자량 물질이 적은 경향이 있어, 접착제층이나 반도체 웨이퍼 등에 대한 오염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The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polymer is preferably 100,000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00,000 to 3,000,000. When the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is 100,000 or more, the low molecular weight substance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ends to be small, so that contamination of the adhesive layer or the semiconductor wafer can be further suppressed.

점착제층(12) 혹은 점착제층(12)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가교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 중합체로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아크릴계 중합체를 가교시켜, 점착제층(12) 중의 저분자량 물질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의 질량 평균 분자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폴리올 화합물(폴리페놀계 화합물 등), 아지리딘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베이스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정도 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질량부이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ma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For example, when an acrylic polymer is used as the base polymer, the acrylic polymer may be crosslinked to further reduce the low molecular weight substance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 Further, the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polymer can be increased.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a polyisocyanate compound, an epoxy compound, a polyol compound (such as a polyphenol compound), an aziridine compound, and a melamine compound. When a crosslinking agent is used,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to be used is preferably about 5 parts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0.1 to 5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base polymer.

상기 방사선 중합성의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모노히드록시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중합성의 올리고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계, 폴리에테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카르보네이트계, 폴리부타디엔계 등의 다양한 올리고머를 들 수 있으며, 분자량이 100 내지 300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12)을 형성하는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 중의 상기 방사선 경화성의 단량체 성분 및 올리고머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베이스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5 내지 50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50질량부 정도이다. 또한, 첨가형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소60-196956호 공보에 개시된 것을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radiation polymerizable monomer component include urethane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erythritol monohydroxypent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and 1,4-butanediol di (meth) acrylate. Examples of the radiation-polymerizable oligomer component include various oligomers such as urethane-based, polyether-based, polyester-based, polycarbonate-based, and polybutadiene-based oligomers and preferably have a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 to 30,000. The content of the radiation-curable monomer component and the oligomer component in the radiation-cu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s, for example, 5 to 500 parts by mass, preferably 40 to 150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base polymer It is about degree. As the addition type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example, thos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0-196956 may be used.

상기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로서는, 방사선 중합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 등의 관능기를 중합체 측쇄나, 중합체 주쇄 중, 중합체 주쇄 말단에 갖는 베이스 중합체를 함유하는 내재형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도 들 수 있다. 이러한 내재형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를 사용하면, 형성된 점착제층(12) 내에서의 저분자량 성분의 이동에 기인하는 점착 특성의, 의도하지 않은 경시적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경향이 있다.Examples of the radiation-cu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clude an internal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 base poly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such as a radiation-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at the side chain of the polymer, at the main chain of the polymer, or at the end of the main chain of the polymer. Use of such an intrinsic type radiation-cu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ends to suppress unintended changes in the adhesive property due to the movement of a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 in the form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over time.

상기 내재형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에 함유되는 베이스 중합체로서는, 아크릴계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중합체로의 방사선 중합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도입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1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 단량체를 중합(공중합)시켜 아크릴계 중합체를 얻은 후, 상기 제1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제2 관능기 및 방사선 중합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방사선 중합성을 유지한 채 그대로 아크릴계 중합체에 대하여 축합 반응 또는 부가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As the base polymer contained in the built-in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 acrylic polymer is preferable. As a method of introducing a radiation-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into an acrylic polymer,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polymerizing (copolymerizing) a raw monomer containing a monomer component having a first functional group to obtain an acrylic polymer, And a compound having a second functional group and a radiation-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which can be reacted with the acryl-based polymer while maintaining the radiation-polymerizing property of the carbon-carbon double bond.

상기 제1 관능기와 상기 제2 관능기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기와 에폭시기, 에폭시기와 카르복시기, 카르복시기와 아지리딜기, 아지리딜기와 카르복시기, 히드록시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히드록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반응 추적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히드록시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조합,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히드록시기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반응성이 높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중합체를 제작하는 것은 기술적 난이도가 높고, 한편으로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작 및 입수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상기 제1 관능기가 히드록시기이고, 상기 제2 관능기가 이소시아네이트기인 조합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방사성 중합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 즉 방사선 중합성의 불포화 관능기 함유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로일이소시아네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m-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로서는, 상술한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나,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functional group and the second functional group include a carboxyl group and an epoxy group, an epoxy group and a carb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d an aziridyl group, an aziridyl group and a carboxy group, a hydroxy group and an isocyanate group, an isocyanate group and a hydroxy group. Among these, a combination of a hydroxy group and an isocyanate group, and a combination of an isocyanate group and a hydroxy group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asiness of reaction tracking. In particular, from the viewpoints of production and availability of an acrylic polymer having a hydroxyl group, the polymer having an isocyanate group having a high reactivity is highly technically difficult, and the first functional group is a hydroxy group, and the second functional group is an isocyanate Is preferred. Examples of the isocyanate compound having an isocyanate group and a radiolucent carbon-carbon double bond, that is, a radiation-polymerizable unsaturated functional group-containing isocyanate compound include methacryloyl isocyanate, 2-methacryloyloxyethyl isocyanate, m- -α, α-dimethylbenzyl isocyanat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acrylic polymer having a hydroxy group include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above-mention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nd an ether compound such as 2-hydroxyethyl vinyl ether, 4-hydroxybutyl vinyl ether, and diethylene glycol monovinyl ether .

상기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α-케톨계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조인에테르계 화합물, 케탈계 화합물, 방향족 술포닐 클로라이드계 화합물, 광 활성 옥심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캄포퀴논, 할로겐화 케톤, 아실포스핀옥시드, 아실포스포나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α-케톨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α-히드록시-α,α'-디메틸아세토페논,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세토페논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메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인에테르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아니소인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케탈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디메틸케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술포닐 클로라이드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나프탈렌술포닐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활성 옥심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1-페닐-1,2-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페논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티오크산톤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 중의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베이스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5 내지 20질량부이다.The radiation 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eferably contain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s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for example, an? -Ketol compound, an acetophenone compound, a benzoin ether compound, a ketal compound, an aromatic sulfonyl chloride compound, a photoactive oxime compound, a benzophenone compound, Tonometrical compounds, camphorquinones, halogenated ketones, acylphosphine oxides, acylphosphonates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Ketol compound include 4- (2-hydroxyethoxy) phenyl (2-hydroxy-2-propyl) ketone,? -Hydroxy- ?,? '- dimethylacetophenone, 2- Methyl-2-hydroxypropiophenone,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acetophenone compound include methoxyacetophenone,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2,2-diethoxyacetophenone, 2-methyl-1- [4- (methylthio) -Phenyl] -2-morpholinopropane-1. Examples of the benzoin ether compound include benzoin 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and anisoin methyl ether. Examples of the ketal compound include benzyl dimethyl ketal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aromatic sulfonyl chloride-based compound include 2-naphthalenesulfonyl chloride and the like. As the photoactive oxime compound, for example, 1-phenyl-1,2-propanedione-2- (O-ethoxycarbonyl) oxime and the like can be given. Examples of the benzophenone-based compound include benzophenone, benzoylbenzoic acid and 3,3'-dimethyl-4-methoxybenzophenone. Examples of the thioxanthone compound include thioxanthone, 2-chlorothioxanthone, 2-methylthioxanthone, 2,4-dimethylthioxanthone, isopropylthioxanthone, 2,4-dichloroti 2,4-diethyl thioxanthone, 2,4-diisopropyl thioxanthone, and the like. The conte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radiation-cu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for example, 0.05 to 20 parts by mas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base polymer.

상기 가열 발포형 점착제는, 가열에 의해 발포나 팽창을 하는 성분(발포제, 열팽창성 미소구 등)을 함유하는 점착제이다. 상기 발포제로서는, 여러 가지 무기계 발포제나 유기계 발포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계 발포제로서는, 예를 들어 탄산암모늄,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아질산암모늄, 수소화붕소나트륨, 아지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계 발포제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 등의 염불화알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디카본아미드, 바륨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등의 아조계 화합물; 파라톨루엔술포닐히드라지드, 디페닐술폰-3,3'-디술포닐히드라지드, 4,4'-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알릴비스(술포닐히드라지드) 등의 히드라진계 화합물; p-톨루일렌술포닐세미카르바지드, 4,4'-옥시비스(벤젠술포닐세미카르바지드) 등의 세미카르바지드계 화합물; 5-모르폴릴-1,2,3,4-티아트리아졸 등의 트리아졸계 화합물;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등의 N-니트로소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팽창성 미소구로서는, 예를 들어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가스화하여 팽창하는 물질이 껍데기(shell) 내에 봉입된 구성의 미소구를 들 수 있다. 상기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가스화하여 팽창하는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부탄, 프로판, 펜탄 등을 들 수 있다.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가스화하여 팽창하는 물질을 코아세르베이션법이나 계면 중합법 등에 의해 껍데기 형성 물질 내에 봉입함으로써, 열팽창성 미소구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껍데기 형성 물질로서는, 열용융성을 나타내는 물질이나, 봉입 물질의 열팽창의 작용에 의해 파열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염화비닐리덴ㆍ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술폰 등을 들 수 있다.The heat-expand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components (foaming agent, heat-expandable microspheres, etc.) which foam or expand by heating. Examples of the foaming agent include various inorganic foaming agents and organic foaming agents. Examples of the inorganic foaming agent include ammonium carbonate, ammonium hydrogencarbonate, sodium hydrogencarbonate, ammonium nitrite, sodium borohydride, and azide. As the organic foaming agent, for example, there may be mentioned a halogenated alkane such as trichloromonofluoromethane and dichloromonofluoromethane; Azo compounds such as azobisisobutyronitrile, azodicarbonamide and barium azodicarboxylate; Hydrazine compounds such as para-toluenesulfonyl hydrazide, diphenylsulfone-3,3'-disulfonylhydrazide, 4,4'-oxybis (benzenesulfonylhydrazide) and allyl bis (sulfonylhydrazide); a semicarbazide-based compound such as p-toluenesulfonyl semicarbazide, 4,4'-oxybis (benzenesulfonyl semicarbazide); Triazole-based compounds such as 5-morpholyl-1,2,3,4-thiatriazole; N-nitroso compounds such as N, 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and N, N'-dimethyl-N, N'-dinitrosoterephthalamide. Examples of the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s include microsphere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material which is easily gasified by heating to expand and which is enclosed in a shell. Examples of the material which is easily gasified and expanded by the above heating include isobutane, propane, pentane and the like. A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 can be manufactured by enclosing a material which is easily gasified by heating and expands in a shell-forming material by a coacervation method or an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 As the shell-forming material, a material exhibiting thermal melting property or a material capable of being ruptured by the action of thermal expansion of the enclosed material can be used. Examples of such a substance include vinylidene chloride / acrylonitrile copolymer, polyvinyl alcohol, polyvinyl butyral, polymethyl methacrylate, polyacrylonitrile, polyvinylidene chloride, polysulfone and the like.

상기 점착력 비저감형 점착제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감압형 점착제층을 들 수 있다. 또한, 감압형 점착제층에는, 점착력 저감 가능형 점착제층에 관하여 상술한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미리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면서도 일정한 점착력을 갖는 형태의 점착제층이 포함된다. 점착력 비저감형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1종의 점착제를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의 점착제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점착제층(12)의 전체가 점착력 비저감형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일부가 점착력 비저감형 점착제층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점착제층(12)이 단층 구조를 갖는 경우, 점착제층(12)의 전체가 점착력 비저감형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점착제층(12)에 있어서의 특정 부위(예를 들어, 링 프레임의 접착 대상 영역이며, 중앙 영역의 외측에 있는 영역)가 점착력 비저감형 점착제층이고, 다른 부위(예를 들어, 반도체 웨이퍼의 접착 대상 영역인 중앙 영역)가 점착력 저감 가능형 점착제층이어도 된다. 또한, 점착제층(12)이 적층 구조를 갖는 경우, 적층 구조에 있어서의 모든 점착제층이 점착력 비저감형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적층 구조 중의 일부의 점착제층이 점착력 비저감형 점착제층이어도 된다.Examples of the adhesive force-re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constant adhesive force while 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f the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ce-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ce-re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e type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used, or two or mor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may be used. Further, the whol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may b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ce-reducing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 part thereof may b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ce-re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has a single-layer structure, the who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may b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ce-re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an adhesive force reducing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nother portion (for example, a central region to be adhered to the semiconductor wafer) may be an adhesive force reducing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has a laminated structure, all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in the laminated structure may b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ce-re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 par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laminated structure may be a pressure-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제층(방사선 미조사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을 미리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킨 형태의 점착제층(방사선 조사 완료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은, 방사선 조사에 의해 점착력이 저감되어 있다고 해도, 함유하는 중합체 성분에 기인하는 점착성을 나타내고, 다이싱 공정 등에 있어서 다이싱 테이프의 점착제층에 최저한 필요한 점착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사선 조사 완료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을 사용하는 경우, 점착제층(12)의 면 확대 방향에 있어서, 점착제층(12)의 전체가 방사선 조사 완료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점착제층(12)의 일부가 방사선 조사 완료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이며, 또한 다른 부분이 방사선 미조사의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이란,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말하며, 방사선 경화성을 갖는 방사선 미조사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 및 당해 점착제층이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된 후의 방사선 경화 완료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의 양쪽을 포함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adiation-cured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adiation-uncured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f a radiation-curable pressure- It is possible to exhibit the minimum necessary adhesive forc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dicing tape in the dicing step or the like. When the radiation-cured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used, the entire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may be a radiation-cu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face-up dire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The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a radiation-cu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other portion may be a radiation 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not irradiated with radi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radiation-cu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efers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f a radiation-cu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includes a radiation-curing radiation-cu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radiation curability and a radiation curing And a complete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감압형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공지 내지 관용의 감압형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아크릴계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나 고무계 점착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12)이 감압형 점착제로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 당해 아크릴계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부터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질량 비율로 가장 많은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첨가형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에 포함될 수 있는 아크릴계 중합체로서 설명된 아크릴계 중합체를 채용할 수 있다.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known pressure-sensi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can be used, an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or rubber pressure-sensitive adhesives having an acrylic polymer as a base polymer can be preferably used.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contains an acrylic polymer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t is preferable that the acrylic polymer is a polymer containing the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ic acid ester as the largest structural unit in the mass ratio. As the acrylic polymer, for example, an acrylic polymer described as an acrylic polymer that can be contained in the additive type radiation 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described above can be employed.

점착제층(12) 또는 점착제층(12)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상술한 각 성분 이외에, 가교 촉진제, 점착 부여제, 노화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등의 공지 내지 관용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어 방사선 조사에 의해 착색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방사선 조사에 의해 착색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방사선 조사된 부분만을 착색할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조사에 의해 착색되는 화합물은, 방사선 조사 전에는 무색 또는 담색이지만, 방사선 조사에 의해 유색으로 되는 화합물이며, 예를 들어 류코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조사에 의해 착색되는 화합물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gent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s used for a known or comm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uch as a crosslinking accelerator, a tackifier, an antioxidant, a colorant May be blended. As the coloring agent, for example, there can be mentioned a compound which is colored by irradiation with radiation. In the case of containing a compound that is colored by irradiation, only the irradiated portion can be colored. The compound that is colored by irradiation with radiation is a colorless or pale color before being irradiated with radiation but a compound which becomes colored by irradiation with radiation,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leuco dyes and the like. The amount of the compound that is colored by irradiation with the radi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점착제층(1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제층(12)이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제층인 경우 당해 점착제층(12)의 방사선 경화의 전후에 있어서의 접착제층(20)에 대한 접착력의 균형을 취한다는 관점에서, 1 내지 50㎛ 정도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이다.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f a radiation-cu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12 before and after the radiation- It is preferably about 1 to 50 mu m, more preferably 2 to 30 mu m, and still more preferably 5 to 25 mu m from the viewpoint of balancing the adhesive force.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은 세퍼레이터를 가져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별로, 세퍼레이터를 갖는 시트형 형태여도 되고, 세퍼레이터가 긴 형상체이며 그 위에 복수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이 배치되고, 또한 당해 세퍼레이터가 권회되어 롤의 형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세퍼레이터는,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접착제층(20)의 표면을 피복하여 보호하기 위한 요소이며,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을 사용할 때는 당해 필름으로부터 박리된다. 세퍼레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불소계 박리제나 장쇄 알킬아크릴레이트계 박리제 등의 박리제에 의해 표면 코팅된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류 등을 들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내지 200㎛이다.The dicing die-bonding film 1 may have a separator. Specifically, it may be in the form of a sheet having a separator for each dicing die-bonding film 1, a separator is an elongate body, a plurality of dicing die-bonding films 1 are disposed thereon, and the separator is wound It may be in the form of a roll. The separator is an element for covering and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When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is used, the separator is peeled from the film. As the separator, for example, a plastic film or paper surface-coated with a releasing agent such a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 polyethylene film, a polypropylene film, a fluorine releasing agent or a long chain alkyl acrylate releasing agent can be given.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is, for example, 5 to 200 mu m.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일 실시 형태인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된다. 우선 기재(11)는, 공지 내지 관용의 제막 방법에 의해 제막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제막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캘린더 제막법, 유기 용매 중에서의 캐스팅법, 밀폐계에서의 인플레이션 압출법, T 다이 압출법, 공압출법,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등을 들 수 있다.The dicing die-bonding film 1,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for example, as follows. First, the base material 11 can be obtained by forming a film by a known film forming method. Examples of the film forming method include a calendar film forming method, a casting method in an organic solvent, an inflation extrusion method in a closed system, a T die extrusion method, a co-extrusion method, a dry lamination method and the like.

이어서, 기재(11) 상에, 점착제층(12)을 형성하는 점착제 및 용매 등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한 후, 필요에 따라 탈용매나 경화 등에 의해 해당 도포막을 고화시켜, 점착제층(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포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롤 도포 시공, 스크린 도포 시공, 그라비아 도포 시공 등의 공지 내지 관용의 도포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탈용매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온도 80 내지 150℃, 시간 0.5 내지 5분간의 범위 내에서 행해진다. 또한, 세퍼레이터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한 후, 상기 탈용매 조건에서 도포막을 고화시켜 점착제층(12)을 형성해도 된다. 그 후, 기재(11) 상에 점착제층(12)을 세퍼레이터와 함께 접합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다이싱 테이프(10)를 제작할 수 있다.Subsequently, a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and a solvent and the like is applied on the base material 11 to form a coating fil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can be formed by solidifying the coating film by curing or the like. Examples of the application method include known or common application methods such as roll coating, screen coating, gravure coating, and the like. The desolvation condition is, for exampl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80 to 150 캜 for a time of 0.5 to 5 minutes. Furth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coated on the separator to form a coating film, and then the coating film may be solidified under the desolvation conditions to for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Thereaft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s bonded to the base material 11 together with the separator. Thus, the dicing tape 10 can be manufactured.

접착제층(20)에 대하여, 우선, 열경화성 성분, 필러, 경화 촉진제, 용매 등을 포함하는, 접착제층(20)을 형성하는 조성물(접착제 조성물)을 제작한다. 이어서, 접착제 조성물을 세퍼레이터 상에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한 후, 필요에 따라 탈용매나 경화 등에 의해 해당 도포막을 고화시켜, 접착제층(20)을 형성한다. 도포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롤 도포 시공, 스크린 도포 시공, 그라비아 도포 시공 등의 공지 내지 관용의 도포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탈용매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온도 70 내지 160℃, 시간 1 내지 5분간의 범위 내에서 행해진다.First, a composition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20 including a thermosetting component, a filler, a curing accelerator, a solvent, and the like is prepared on the adhesive layer 20. Subsequently,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oated on the separator to form a coating film, and then the coating film is solidified by desolvation or curing, if necessary, to form the adhesive layer 20. The coat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known coating methods such as roll coating, screen coating, and gravure coating. The desolvation condition is, for exampl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70 to 160 DEG C for 1 to 5 minutes.

계속해서, 다이싱 테이프(10) 및 접착제층(20)으로부터 각각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접착제층(20)과 점착제층(12)이 접합면으로 되도록 하여 양자를 접합한다. 접합은, 예를 들어 압착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때, 라미네이트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30 내지 50℃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이다. 또한, 선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0.1 내지 20kgf/㎝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kgf/㎝이다.Subsequently, the separator is peeled off from the dicing tape 10 and the adhesive layer 20, respectively, and the adhesive layer 20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are bonded together. The bonding can be performed by, for example, compression bonding.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lamin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preferably, for example, 30 to 50 ° C, more preferably 35 to 45 ° C. The line press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preferably 0.1 to 20 kgf / cm, more preferably 1 to 10 kgf / cm, for example.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12)이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인 경우 접착제층(20)의 접합보다 후에 점착제층(12)에 자외선 등의 방사선을 조사할 때는, 예를 들어 기재(11)측으로부터 점착제층(12)에 방사선 조사를 행하며, 그 조사량은, 예를 들어 50 내지 500mJ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mJ이다.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에 있어서 점착제층(12)의 점착력 저감 조치로서의 조사가 행해지는 영역(조사 영역(R))은, 통상, 점착제층(12)에 있어서의 접착제층(20) 접합 영역 내의 그 주연부를 제외한 영역이다. 부분적으로 조사 영역(R)을 형성하는 경우, 조사 영역(R)을 제외한 영역에 대응하는 패턴을 형성한 포토마스크를 개재시켜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폿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하여 조사 영역(R)을 형성하는 방법도 들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s a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hen irradia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with radiation such as ultraviolet rays after bonding of the adhesive layer 2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is irradiated with radiation, and its dose is, for example, 50 to 500 mJ, and preferably 100 to 300 mJ. The area (irradiation area R) where the irradiation of the adhesive layer 12 in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is performed as a measure for reducing the adhesive force is usually carried out in the adhesive layer 20, Is an area excluding the periphery of the area. In the case where the irradiation region R is partially formed, it can be performed with a photomask having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except for the irradiation region R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irradiation area R by spot irradiation with radiation.

이상과 같이 하여,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을 제작할 수 있다.Thus, for example,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shown in Fig. 1 can be manufactured.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다. 그리고,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에 있어서의 접착제층(20)은, 제조되는 반도체 장치에 내장된다. 구체적으로는, 피착체와 반도체 칩의 접착 용도 및/또는 반도체 칩끼리의 접착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7의 (b1), 도 7의 (b2) 및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칩이 다단 적층된 반도체 장치(다단 적층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의, 피착체와 반도체 칩의 접착 용도 및/또는 반도체 칩끼리의 접착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접착제층(20)은, 특히 도 7의 (b1), 도 7의 (b2) 및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버행부를 갖는 다단 적층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의 오버행부에 적어도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cing die-bonding film 1 can be use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Specifically, it is as described in the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later. The adhesive layer 20 in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is embedded in the semiconductor device to be manufactured.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use the adhesive for bonding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adherend and / or for bonding the semiconductor chips to each other, and more preferably, (c), the semiconductor device is used for the purpose of adhering an adherend to a semiconductor chip and / or for bonding the semiconductor chips in a semiconductor device (multi-layered semiconductor device) in which semiconductor chips are stacked in a multi-stage. As shown in Figs. 7 (b1), 7 (b2) and 7 (c), the adhesive layer 20 is used at least for the overhang portion in the multi- .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사용하여, 반도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접착제층측에, 복수의 반도체 칩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분할체, 또는 복수의 반도체 칩으로 개편화 가능한 반도체 웨이퍼를 첩부하는 공정(「공정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과, 상대적으로 저온의 조건 하에서, 본 발명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에 있어서의 다이싱 테이프를 익스팬드하여, 적어도 상기 접착제층을 할단하여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을 얻는 공정(「공정 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조건 하에서, 상기 다이싱 테이프를 익스팬드하여, 상기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끼리의 간격을 넓히는 공정(「공정 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과, 상기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을 픽업하는 공정(「공정 D」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반도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By using the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miconductor device can be manufactured. Specifically, a step of affixing a semiconductor wafer,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or a semiconductor wafer which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onto the adhesive layer side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cing tape in the dicing die-bon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ruded under at least relatively low temperature conditions, and at least the adhesive layer is cut to form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n adhesive layer, (Referred to as " process B ") and a step of expanding the dicing tape to widen the gap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s with adhesive layer (under the condition of relatively high temperature , And a step of picking up the semiconductor chip with adhesive layer (sometimes referred to as " step D ") By thi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emiconductor device.

공정 A에서 사용하는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분할체, 또는 복수의 반도체 칩으로 개편화 가능한 반도체 웨이퍼는, 이하와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다. 우선,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W)에 분할 홈(30a)을 형성한다(분할 홈 형성 공정). 반도체 웨이퍼(W)는, 제1 면(Wa) 및 제2 면(Wb)을 갖는다. 반도체 웨이퍼(W)에 있어서의 제1 면(Wa)측에는 각종 반도체 소자(도시 생략)가 이미 만들어 넣어지고, 또한 당해 반도체 소자에 필요한 배선 구조 등(도시 생략)이 제1 면(Wa) 상에 이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점착면(T1a)을 갖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1)를 반도체 웨이퍼(W)의 제2 면(Wb)측에 접합한 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1)에 반도체 웨이퍼(W)가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반도체 웨이퍼(W)의 제1 면(Wa)측에 소정 깊이의 분할 홈(30a)을 다이싱 장치 등의 회전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분할 홈(30a)은, 반도체 웨이퍼(W)를 반도체 칩 단위로 분리시키기 위한 공극이다(도 2 내지 4에서는 분할 홈(30a)을 모식적으로 굵은 선으로 나타냄).A divided body of the semiconductor wafer including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used in the step A, or a semiconductor wafer which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can be obtained as follows. First, as shown in Figs. 2A and 2B, a dividing groove 30a is form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W (dividing groove forming step). The semiconductor wafer W has a first surface Wa and a second surface Wb. Various semiconductor elements (not shown) are already formed on the first surface Wa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and a wiring structure or the like (not shown) necessary for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Wa Has already been formed. Then, after the wafer processing tape T1 having the adhesive surface T1a is bonded to the second surface Wb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the semiconductor wafer W is held on the wafer processing tape T1 A dividing groove 30a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Wa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by using a rotating blade such as a dicing machine. The dividing groove 30a is a gap for separating the semiconductor wafer W into semiconductor chip units (in Figs. 2 to 4, the dividing groove 30a is schematically shown by a thick line).

이어서, 도 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착면(T2a)을 갖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2)의, 반도체 웨이퍼(W)의 제1 면(Wa)측으로의 접합과, 반도체 웨이퍼(W)로부터의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1)의 박리를 행한다.Next, as shown in Fig. 2 (c), the bonding of the wafer processing tape T2 having the adhesive surface T2a to the first surface Wa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and the bonding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 Is peeled off from the wafer processing tape (T1).

이어서, 도 2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2)에 반도체 웨이퍼(W)가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반도체 웨이퍼(W)가 소정의 두께에 이르기까지 제2 면(Wb)으로부터의 연삭 가공에 의해 박화된다(웨이퍼 박화 공정). 연삭 가공은, 연삭 지석을 구비하는 연삭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 웨이퍼 박화 공정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반도체 칩(31)으로 개편화 가능한 반도체 웨이퍼(30A)가 형성된다. 반도체 웨이퍼(30A)는, 구체적으로는, 당해 웨이퍼에 있어서 복수의 반도체 칩(31)으로 개편화되게 되는 부위를 제2 면(Wb)측에서 연결하는 부위(연결부)를 갖는다. 반도체 웨이퍼(30A)에 있어서의 연결부의 두께, 즉 반도체 웨이퍼(30A)의 제2 면(Wb)과 분할 홈(30a)의 제2 면(Wb)측 선단의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어 1 내지 30㎛이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이다.2 (d), the semiconductor wafer W is held on the wafer processing tape T2 until the semiconductor wafer W reaches the predetermined thickness, while the semiconductor wafer W is held on the second surface Wb ) (Wafer thinning step). The grinding process can be performed using a gri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grinding wheel. By this wafer thinning step, a semiconductor wafer 30A that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31 is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Specifically, the semiconductor wafer 30A has a portion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a portion to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31 in the wafer on the second surface Wb sid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urface Wb of the semiconductor wafer 30A and the tip end of the dividing groove 30a on the second surface Wb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30A is set to be, Mu] m, preferably 3 to 20 [mu] m.

(공정 A)(Process A)

공정 A에서는,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에 있어서의 접착제층(20)측에, 복수의 반도체 칩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분할체, 또는 복수의 반도체 칩으로 개편화 가능한 반도체 웨이퍼를 첩부한다.In the step A, a divided body of a semiconductor wafer including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or a semiconductor wafer which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is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20 side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

공정 A에 있어서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2)에 보유 지지된 반도체 웨이퍼(30A)를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접착제층(20)에 대하여 접합한다. 이후,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30A)로부터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2)를 박리한다.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12)이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인 경우에는,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제조 과정에서의 상술한 방사선 조사 대신에, 반도체 웨이퍼(30A)의 접착제층(20)으로의 접합 후에, 기재(11)측으로부터 점착제층(12)에 대하여 자외선 등의 방사선을 조사해도 된다. 조사량은, 예를 들어 50 내지 500mJ/㎠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mJ/㎠이다.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에 있어서 점착제층(12)의 점착력 저감 조치로서의 조사가 행해지는 영역(도 1에 도시하는 조사 영역(R))은, 예를 들어 점착제층(12)에 있어서의 접착제층(20) 접합 영역 내의 그 주연부를 제외한 영역이다.3A, the semiconductor wafer 30A held on the wafer processing tape T2 is adhered to the adhesive layer (not shown) of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 20). Thereafter, as shown in Fig. 3 (b), the wafer processing tape T2 is peeled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30A. In the case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is a radiation-cu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place of the above-described radiation irradia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dicing die- The adhesive layer 12 may be irradiated with radiation such as ultraviolet rays from the substrate 11 side after bonding the adhesive layer 20 to the adhesive layer 20. [ The irradiation amount is, for example, 50 to 500 mJ / cm 2, and preferably 100 to 300 mJ / cm 2. The area (irradiation area R shown in Fig. 1) in which irradia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 in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is performed as a measure for reducing the adhesive force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 Is a region excluding the periphery of the bonding region of the adhesive layer (20).

(공정 B)(Step B)

공정 B에서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조건 하에서,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에 있어서의 다이싱 테이프(10)를 익스팬드하여, 적어도 접착제층(20)을 할단하여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을 얻는다.In the process B, the dicing tape 10 in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is expanded under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condition to cut at least the adhesive layer 20 to obtain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n adhesive layer.

공정 B에 있어서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에 있어서의 다이싱 테이프(10)의 점착제층(12) 상에 링 프레임(41)을 첩부한 후,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30A)를 수반하는 당해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을 익스팬드 장치의 보유 지지구(42)에 고정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ocess B, first, the ring frame 41 is attach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of the dicing tape 10 in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carrying the semiconductor wafer 30A is fixed to the holding support 42 of the expanding device, as shown in Fig.

이어서, 상대적으로 저온의 조건 하에서 제1 익스팬드 공정(쿨 익스팬드 공정)을,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행하여, 반도체 웨이퍼(30A)를 복수의 반도체 칩(31)으로 개편화함과 함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접착제층(20)을 소편의 접착제층(21)으로 할단하여,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을 얻는다. 쿨 익스팬드 공정에서는, 익스팬드 장치가 구비하는 중공 원기둥 형상의 밀어올림 부재(43)를,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도면 중 하측에 있어서 다이싱 테이프(10)에 맞닿게 하여 상승시켜, 반도체 웨이퍼(30A)가 접합된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다이싱 테이프(10)를, 반도체 웨이퍼(30A)의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을 포함하는 2차원 방향으로 잡아늘이도록 익스팬드한다. 이 익스팬드는, 다이싱 테이프(10)에 있어서 15 내지 32MPa,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2MPa의 범위 내의 인장 응력이 발생하는 조건에서 행한다. 쿨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의 온도 조건은, 예를 들어 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이다. 쿨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의 익스팬드 속도(밀어올림 부재(43)를 상승시키는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mm/초이다. 또한, 쿨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의 익스팬드양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6mm이다.4 (b), the semiconductor wafer 30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31. Then, the semiconductor wafer 3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31,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is cut into the adhesive layer 21 of small pieces to obtain the semiconductor chip 31 having the adhesive layer. In the cooling and exposing process, the hollow cylinder-shaped push-up member 43 provided in the expanding devi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icing tape 10 at the lower side of the drawing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 The dicing tape 10 of the dicing die bonding film 1 to which the semiconductor wafer 30A is bonded is stretched so as to extend in the two-dimensional direction including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30A . This expanse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tensile stress is generated in the dicing tape 10 in the range of 15 to 32 MPa, preferably 20 to 32 MPa. The temperature condition in the Cool Expansion process is, for example, 0 deg. C or less, preferably -20 to -5 deg. C, more preferably -15 to -5 deg. C, and further preferably -15 deg. The expand speed (the speed at which the lifting member 43 is lifted) in the cooling expansion process is preferably 0.1 to 100 mm / sec. The expanded amount in the Cool Expand process is preferably 3 to 16 mm.

공정 B에서는, 복수의 반도체 칩으로 개편화 가능한 반도체 웨이퍼(30A)를 사용한 경우, 반도체 웨이퍼(30A)에 있어서 박육이라서 갈라지기 쉬운 부위에 할단이 발생하여 반도체 칩(31)으로의 개편화가 발생한다. 이와 함께, 공정 B에서는, 익스팬드되는 다이싱 테이프(10)의 점착제층(12)에 밀착되어 있는 접착제층(20)에 있어서 각 반도체 칩(31)이 밀착되어 있는 각 영역에서는 변형이 억제되는 한편, 반도체 칩(31) 사이의 분할 홈의, 도면 중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개소에는, 그러한 변형 억제 작용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이싱 테이프(10)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이 작용한다. 그 결과, 접착제층(20)에 있어서 반도체 칩(31) 사이의 분할 홈의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개소가 할단되게 된다. 익스팬드에 의한 할단 후, 도 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어올림 부재(43)를 하강시켜, 다이싱 테이프(10)에 있어서의 익스팬드 상태를 해제한다.In the step B, when a semiconductor wafer 30A which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is used, cut-off occurs in a part of the semiconductor wafer 30A which is thin and is likely to be split, leading to fragmentation into the semiconductor chip 31 . Along with this, in the process B, deformation is suppressed in each region where the semiconductor chips 31 are closely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20 adher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of the dicing tape 10 to be expanded On the other hand, a tensile stress generated in the dicing tape 10 acts in a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viding groove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s 31 in a state where such deformation suppressing action does not occur. As a result, portions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viding grooves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s 31 in the adhesive layer 20 are cut off. After lifting by expanding, the lifting member 43 is lowered to release the expanded state of the dicing tape 10 as shown in Fig. 4 (c).

(공정 C)(Step C)

공정 C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조건 하에서, 상기 다이싱 테이프(10)를 익스팬드하여, 상기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끼리의 간격을 넓힌다.In step C, the dicing tape 10 is expanded under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condition to widen the gap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s with adhesive layers.

공정 C에 있어서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상대적으로 고온의 조건 하에서 제2 익스팬드 공정(상온 익스팬드 공정)을,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행하여,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 사이의 거리(이격 거리)를 확장한다. 공정 C에서는, 익스팬드 장치가 구비하는 중공 원기둥 형상의 밀어올림 부재(43)를 다시 상승시켜,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다이싱 테이프(10)를 익스팬드한다. 제2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의 온도 조건은, 예를 들어 1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이다. 제2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의 익스팬드 속도(밀어올림 부재(43)를 상승시키는 속도)는, 예를 들어 0.1 내지 10mm/초이고,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mm/초이다. 또한, 제2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의 익스팬드양은, 예를 들어 3 내지 16mm이다. 후술하는 픽업 공정에서 다이싱 테이프(10)로부터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을 적절하게 픽업 가능할 정도로, 공정 C에서는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의 이격 거리를 확장한다. 익스팬드에 의해 이격 거리를 확장한 후,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어올림 부재(43)를 하강시켜, 다이싱 테이프(10)에 있어서의 익스팬드 상태를 해제한다. 익스팬드 상태 해제 후에 다이싱 테이프(10) 상의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는 것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익스팬드 상태를 해제하기 보다 전에, 다이싱 테이프(10)에 있어서의 반도체 칩(31) 보유 지지 영역보다 외측의 부분을 가열하여 수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ocess C, first, a second expand process (room temperature expansion process)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5A under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condition to form a semiconductor chip with an adhesive layer 31). In step C, the hollow cylinder-shaped push-up member 43 provided in the expanding apparatus is lifted again to expose the dicing tape 10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The temperature condition in the second expansion step is, for example, 10 ° C or higher, and preferably 15 to 30 ° C. The expand speed (the speed at which the lifting member 43 is lifted) in the second expanding process is, for example, 0.1 to 10 mm / sec, preferably 0.3 to 1 mm / sec. The amount of expanded in the second expanding step is, for example, 3 to 16 mm.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emiconductor chip 31 with an adhesive layer is extended in Step C to such an extent that the semiconductor chip 31 with an adhesive layer can be properly picked up from the dicing tape 10 in the pickup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The expanding member 43 is lowered to release the expanded state of the dicing tape 10 as shown in Fig. 5 (b) after expanding the separation distance by expanding.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narrowing of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emiconductor chip 31 having the adhesive layer on the dicing tape 10 after releasing the expanded state, It is preferable to heat and shrink th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chip 31 located outside the holding region.

공정 C 후,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을 수반하는 다이싱 테이프(10)에 있어서의 반도체 칩(31)측을, 물 등의 세정액을 사용하여 세정하는 클리닝 공정을 필요에 따라 가져도 된다.After the step C, the semiconductor chip 31 side of the dicing tape 10 carrying the adhesive-layered semiconductor chip 31 may be cleaned by using a cleaning liquid such as water, if necessary .

(공정 D)(Step D)

공정 D(픽업 공정)에서는, 개편화된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을 픽업한다. 공정 D에 있어서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클리닝 공정을 거친 후,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을 다이싱 테이프(10)로부터 픽업한다. 예를 들어, 픽업 대상의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에 대하여, 다이싱 테이프(10)의 도면 중 하측에 있어서 픽업 기구의 핀 부재(44)를 상승시켜 다이싱 테이프(10)를 개재시켜 밀어올린 후, 흡착 지그(45)에 의해 흡착 보유 지지한다. 픽업 공정에 있어서, 핀 부재(44)의 밀어올림 속도는 예를 들어 1 내지 100mm/초이며, 핀 부재(44)의 밀어올림양은 예를 들어 50 내지 3000㎛이다.In Process D (pick-up process), the discrete semiconductor chips having an adhesive layer are picked up. In an embodiment of the process D, the semiconductor chip 31 with an adhesive layer is picked up from the dicing tape 10, as shown in Fig. 6, after the cleaning process if necessary. For example, the pin member 44 of the pick-up mechanism is rai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gure of the dicing tape 10 with respect to the semiconductor chip 31 having the adhesive layer to be picked up and the dicing tape 10 is interposed And is then adsorbed and held by the adsorption jig 45. In the pick-up process, the push-up speed of the pin member 44 is, for example, 1 to 100 mm / sec, and the push-up amount of the pin member 44 is, for example, 50 to 3000 m.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공정 A 내지 D 이외의 다른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픽업한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을, 피착체(51)에 대하여 접착제층(21)을 개재시켜 가고착한다(가고착 공정). 피착체(51)로서는, 예를 들어 리드 프레임, TAB(Tape Automated Bonding) 필름, 배선 기판, 별도 제작한 반도체 칩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층(21)의 가고착 시에 있어서의 25℃에서의 전단 접착력은, 피착체(51)에 대하여 0.2MPa 이상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MPa이다. 접착제층(21)의 상기 전단 접착력이 0.2MPa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후술하는 와이어 본딩 공정에 있어서, 초음파 진동이나 가열에 의해 접착제층(21)과 반도체 칩(31) 또는 피착체(51)와의 접착면에서 전단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적절하게 와이어 본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층(21)의 가고착 시에 있어서의 175℃에서의 전단 접착력은, 피착체(51)에 대하여 0.01MPa 이상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MPa이다. 상기 가고착 공정 후, 접착제층(21)을 예를 들어 130℃ 30분의 조건에서 가열하여 불완전하게 경화시켜도 된다(전경화 공정).The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may include steps other than the steps A to D.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7A, the picked-up semiconductor chip 31 with an adhesive layer is bonded to the adherend 51 with the adhesive layer 21 interposed therebetween Good (tentative) process. Examples of the adherend 51 include a lead frame, a TAB (Tape Automated Bonding) film, a wiring board, and a separately manufactured semiconductor chip. The shear adhesive force at 25 占 폚 at the time of hardening of the adhesive layer 21 is preferably 0.2 MPa or more, more preferably 0.2 to 10 MPa with respect to the adherend 51. The structure in which the adhesive layer 21 has a shear adhesive force of 0.2 MPa or mor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adhesive layer 21 is bonded to the semiconductor chip 31 or the adherend 51 by ultrasonic vibration or heating in a wire- The occurrence of shear deformation on the bonding surface can be suppressed and wire bonding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The shear adhesive force at 175 캜 at the time of hardening of the adhesive layer 21 is preferably 0.01 MPa or more, more preferably 0.01 to 5 MPa with respect to the adherend 51. After the temporary hardening step, the adhesive layer 21 may be hardened by heating, for example, at 130 DEG C for 30 minutes (pre-hardening step).

이어서, 반도체 칩(31)의 전극 패드(도시 생략)와 피착체(51)가 갖는 단자부(도시 생략)를 본딩 와이어(52)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와이어 본딩 공정). 반도체 칩(31)의 전극 패드나 피착체(51)의 단자부와 본딩 와이어(52)의 결선은, 가열을 수반하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며, 접착제층(21)을 열경화시키지 않도록 행해진다. 본딩 와이어(52)로서는, 예를 들어 금선, 알루미늄선, 구리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와이어 본딩에 있어서의 와이어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80 내지 250℃이고,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20℃이다. 또한, 그 가열 시간은 수 초 내지 수 분간이다.Subsequently, a terminal portion (not shown) of an electrode pad (not shown) of the semiconductor chip 31 and an adherend 5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bonding wire 52 (wire bonding step). Wiring between the electrode pad of the semiconductor chip 31 and the terminal portion of the adherend 51 and the bonding wire 52 can be realized by ultrasonic welding accompanied by heating and the adhesive layer 21 is not thermally cured . As the bonding wire 52, for example, a gold wire, an aluminum wire, a copper wire, or the like can be used. The wire heating temperature in wire bonding is, for example, 80 to 250 占 폚, preferably 80 to 220 占 폚. The heating time is several seconds to several minutes.

도 7의 (b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피착체(51) 상에, 반도체 칩(31)이 접착제층(21)을 개재시켜 다단 적층된 구성을 제작하는 경우, 이하와 같이 하여 가고착 공정 및 와이어 본딩 공정을 행한다. 픽업한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을, 피착체(51)에 대하여 접착제층(21)을 개재시켜 가고착한 후(도 7의 (a)), 또한 별도 픽업한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을, 접착제층(21)을 개재시켜 피착체(51)에 가고착된 반도체 칩(31)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가고착 공정과 마찬가지로 하여 가고착한다. 또한, 이때, 피착체(51)에 가고착된 반도체 칩(31)의 상면의 전극 패드를 피하도록 하여, 면 확대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가고착한다. 이 추가의 가고착을 복수회 반복하여 행한다(가고착 공정). 그 후, 필요에 따라 상기 전경화 공정을 거쳐 복수의 접착제층(21)을 불완전하게 경화시키고, 이어서 각 반도체 칩(31)에 대하여, 상기 와이어 본딩 공정과 마찬가지로 하여 와이어 본딩한다(와이어 본딩 공정).When a structure in which the semiconductor chip 31 is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with the adhesive layer 21 interposed therebetween is formed on the adherend 51 as shown in Fig. 7 (b1) And a wire bonding process. The semiconductor chip 31 having the adhesive layer picked up is bonded to the adherend 51 with the adhesive layer 21 interposed therebetween (Fig. 7 (a)),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31 attached to the adherend 51 through the adhesive layer 21 in the same manner as the temporary hardening step. At this time, the electrode pa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31 fixedly attached to the adherend 51 is avoided and is shifted in the surface enlarging direction. This additional hardening is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temporary hardening step). Thereafter, if necessary, the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21 are hardly cured through the pre-curing process, and then wire bonding is performed on each of the semiconductor chips 31 in the same manner as the wire bonding step (wire bonding step).

도 7의 (b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반도체 칩(31)의 다단 적층 구성에서는,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이 이것을 1단위로 하여, 결선부를 피하도록, 한쪽 면 확대 방향(도 7의 (b1)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어긋나게 되어 적층되어 있다. 이러한 다단 적층 구성에서는, 최상단의 반도체 칩(31a)은 오버행부에 와이어 본딩되어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다단 적층 구성으로서는, 도 7의 (b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단 적층 구성이 반도체 칩(31)의 면 확대 방향으로 지나치게 넓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이 이것을 1단위로 하여, 한쪽 면 확대 방향(예를 들어 우측 방향)으로 어긋나게 되어 적층되고, 어느 정도 적층된 단계에서 어긋나게 하는 방향을 반전시켜 다른 쪽 면 확대 방향(예를 들어 좌측 방향)으로 어긋나게 되어 적층된 구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다른 형태의 다단 적층 구성에 있어서, 최상단의 반도체 칩(31a) 및 적층 방향을 반전시키는 부분의 반도체 칩(31b)은 오버행부에 와이어 본딩되어 있다.In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the semiconductor chip 31 shown in Fig. 7 (b1), the adhesive-layer-provided semiconductor chip 31 is formed as one unit so as to avoid the wiring portion, (right direction in the case (b1)). In such a multi-layer laminated structure, the uppermost semiconductor chip 31a is wire-bonded to the overhang portion. 7 (b2), in order to prevent the multi-layered laminate structure from being excessively widened in the face enlarging direction of the semiconductor chip 31, the semiconductor chip 31 with an adhesive layer 31 (For example, the righ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shifting is reversed to some extent in the stacking step so as to be shifted in the other surface enlarging direction (for example, the left direction) And a stacked layered structure. In this type of multi-layer laminated structure, the semiconductor chip 31a at the uppermost stage and the semiconductor chip 31b at the portion for reversing the stacking direction are wire-bonded to the overhanging portion.

이어서,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착체(51) 상의 각 반도체 칩(31)이나 본딩 와이어(52)를 보호하기 위한 밀봉 수지(53)에 의해 반도체 칩(31)을 밀봉한다(밀봉 공정). 밀봉 공정에서는, 접착제층(21)의 열경화가 진행된다. 밀봉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금형을 사용하여 행하는 트랜스퍼 몰드 기술에 의해 밀봉 수지(53)를 형성한다. 밀봉 수지(53)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밀봉 공정에 있어서, 밀봉 수지(53)를 형성하기 위한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165 내지 185℃이고, 가열 시간은 예를 들어 60초 내지 수 분간이다. 밀봉 공정에서 밀봉 수지(53)의 경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밀봉 공정 후에 밀봉 수지(53)를 완전히 경화시키기 위한 후경화 공정을 행한다. 밀봉 공정에 있어서 접착제층(21)이 완전히 열경화되지 않은 경우라도, 후경화 공정에 있어서 밀봉 수지(53)와 함께 접착제층(21)의 완전한 열경화가 가능하게 된다. 후경화 공정에 있어서,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165 내지 185℃이고, 가열 시간은 예를 들어 0.5 내지 8시간이다.7 (c), the semiconductor chip 31 is sealed with the sealing resin 53 for protecting the respective semiconductor chips 31 and the bonding wires 52 on the adherend 51. Then, (Sealing step). In the sealing step, the adhesive layer 21 is thermally cured. In the sealing step, a sealing resin 53 is formed by a transfer molding technique using, for example, a metal mold. As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sealing resin 53, for example, an epoxy resin can be used. In the sealing step, the heating temperature for forming the sealing resin 53 is, for example, 165 to 185 占 폚, and the heating time is, for example, 60 seconds to several minutes. In the case where the sealing resin 53 is not sufficiently cured in the sealing step, a post-curing step is performed to completely cure the sealing resin 53 after the sealing step. Even when the adhesive layer 21 is not completely thermally cured in the sealing step, complete thermosetting of the adhesive layer 21 together with the sealing resin 53 in the post-curing step becomes possible. In the post-curing process, the heating temperature is, for example, 165 to 185 占 폚, and the heating time is, for example, 0.5 to 8 hours.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을 피착체(51)에 가고착시킨 후, 접착제층(21)을 완전히 열경화시키지 않고 와이어 본딩 공정이 행해진다. 이러한 구성 대신에,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을 피착체(51)에 가고착시킨 후, 접착제층(21)을 열경화시키고 나서 와이어 본딩 공정을 행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semiconductor chip 31 with an adhesive layer is attached to the adherend 51, the wire bonding process is performed without thermally curing the adhesive layer 21 completely. In place of such a configuration,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the semiconductor chip 31 with an adhesive layer may be attached to the adherend 51, and then the adhesive layer 21 may be thermally cured and then subjected to a wire bonding process .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2의 (d)를 참조하여 상술한 웨이퍼 박화 공정 대신에, 도 8에 도시하는 웨이퍼 박화 공정을 행해도 된다. 도 2의 (c)를 참조하여 상술한 과정을 거친 후, 도 8에 도시하는 웨이퍼 박화 공정에서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2)에 반도체 웨이퍼(W)가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당해 웨이퍼가 소정의 두께에 이르기까지 제2 면(Wb)으로부터의 연삭 가공에 의해 박화시켜, 복수의 반도체 칩(31)을 포함하여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2)에 보유 지지된 반도체 웨이퍼 분할체(30B)를 형성한다. 상기 웨이퍼 박화 공정에서는, 분할 홈(30a)이 제2 면(Wb)측에 노출될 때까지 웨이퍼를 연삭하는 방법(제1 방법)을 채용해도 되고, 제2 면(Wb)측에서 분할 홈(30a)에 이르기 보다 전까지 웨이퍼를 연삭하고, 그 후, 회전 지석으로부터 웨이퍼에 대한 압박력의 작용에 의해 분할 홈(30a)과 제2 면(Wb)의 사이에 크랙을 발생시켜 반도체 웨이퍼 분할체(30B)를 형성하는 방법(제2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채용되는 방법에 따라, 도 2의 (a) 및 도 2의 (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하는 분할 홈(30a)의, 제1 면(Wa)으로부터의 깊이는, 적절하게 결정된다. 도 8에서는, 제1 방법을 거친 분할 홈(30a), 또는 제2 방법을 거친 분할 홈(30a) 및 이것에 이어지는 크랙에 대하여, 모식적으로 굵은 선으로 나타낸다.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공정 A에 있어서, 반도체 웨이퍼 분할체로서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되는 반도체 웨이퍼 분할체(30B)를 반도체 웨이퍼(30A) 대신에 사용하여,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각 공정을 행해도 된다.In the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s another embodiment, the wafer thinning step shown in Fig. 8 may be performed instead of the wafer thinning step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d). 8, after the semiconductor wafer W is held on the wafer-processing tape T2, the wafer is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process (e.g., The semiconductor wafer divided body 30B including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31 and held by the wafer processing tape T2 is formed by the grinding process from the second surface Wb up to the thickness. The wafer thinning step may be a method (first method) of grinding a wafer until the dividing groove 30a is exposed on the second surface Wb side, A crack is generated between the dividing groove 30a and the second surface Wb by the action of the urging force against the wafer from the rotating grindstone so that the semiconductor wafer divided body 30B (Second method) may be employed. Depending on the method employed, the depth of the dividing groove 30a form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from the first surface Wa is appropriately determined . In Fig. 8, the dividing grooves 30a through the first method, or the dividing grooves 30a through the second method and the cracks following the dividing grooves 30a through the second method are schematically shown by thick lines.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semiconductor wafer divided body 30B manufactured in this manner as the semiconductor wafer divided body in the step A is used in pl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30A, And each process may be performed.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당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정 B, 즉 반도체 웨이퍼 분할체(30B)를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에 접합한 후에 행하는 제1 익스팬드 공정(쿨 익스팬드 공정)을 도시한다. 당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정 B에서는, 익스팬드 장치가 구비하는 중공 원기둥 형상의 밀어올림 부재(43)를,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도면 중 하측에 있어서 다이싱 테이프(10)에 맞닿게 하여 상승시켜, 반도체 웨이퍼 분할체(30B)가 접합된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다이싱 테이프(10)를, 반도체 웨이퍼 분할체(30B)의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을 포함하는 2차원 방향으로 잡아늘이도록 익스팬드한다. 이 익스팬드는, 다이싱 테이프(10)에 있어서, 예를 들어 5 내지 28MPa,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5MPa의 범위 내의 인장 응력이 발생하는 조건에서 행한다. 쿨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의 온도 조건은, 예를 들어 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이다. 쿨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의 익스팬드 속도(밀어올림 부재(43)를 상승시키는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0mm/초이다. 또한, 쿨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의 익스팬드양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mm이다. 이러한 쿨 익스팬드 공정에 의해,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접착제층(20)을 소편의 접착제층(21)으로 할단하여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 쿨 익스팬드 공정에서는, 익스팬드되는 다이싱 테이프(10)의 점착제층(12)에 밀착되어 있는 접착제층(20)에 있어서, 반도체 웨이퍼 분할체(30B)의 각 반도체 칩(31)이 밀착되어 있는 각 영역에서는 변형이 억제되는 한편, 반도체 칩(31) 사이의 분할 홈(30a)의, 도면 중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개소에는, 그러한 변형 억제 작용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이싱 테이프(10)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이 작용한다. 그 결과, 접착제층(20)에 있어서 반도체 칩(31) 사이의 분할 홈(30a)의 도면 중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개소가 할단되게 된다.9 (a) and 9 (b) are views showing a step of bonding the semiconductor wafer divided body 30B to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after step B in the embodiment, (Cool Expansion process). In the step B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low cylinder-shaped push-up member 43 of the expanding device is fitted to the dicing tape 10 at the lower side of the drawing of the dicing die- The dicing tape 10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to which the semiconductor wafer divided body 30B is bonded is placed in a two-dimensional manner including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divided body 30B, Expand to stretch in the direction. This expanse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tensile stress is generated in the dicing tape 10 within a range of, for example, 5 to 28 MPa, preferably 8 to 25 MPa. The temperature condition in the Cool Expansion process is, for example, 0 deg. C or less, preferably -20 to -5 deg. C, more preferably -15 to -5 deg. C, and further preferably -15 deg. The expand speed (the speed at which the lifting member 43 is lifted) in the cooling expansion process is preferably 1 to 400 mm / sec. The amount of expanded in the Cool Expand process is preferably 50 to 200 mm. By this cooling expansion process,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is cut into the adhesive layer 21 of a small piece to obtain the semiconductor chip 31 having the adhesive layer. Specifically, in the cool expansion process, the adhesive agent layer 20 adher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 of the dicing tape 10 to be expansed is pressed against the semiconductor chips 31 of the semiconductor wafer divided body 30B, The deformation is suppressed in each of the regions in which the semiconductor chips 31 are adhered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n the portion of the dividing groove 30a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s 31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igure, Tensile stress generated in the tape 10 acts. As a result, the portion of the adhesive layer 20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igure of the dividing groove 30a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s 31 is cut off.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공정 A에 있어서 사용하는 반도체 웨이퍼(30A) 또는 반도체 웨이퍼 분할체(30B) 대신에,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되는 반도체 웨이퍼(30C)를 사용해도 된다.The semiconductor wafer 30C or the semiconductor wafer 30B to be used in the step A may be replaced by a semiconductor wafer 30C manufactured in the following manner .

당해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반도체 웨이퍼(W)에 개질 영역(30b)을 형성한다. 반도체 웨이퍼(W)는, 제1 면(Wa) 및 제2 면(Wb)을 갖는다. 반도체 웨이퍼(W)에 있어서의 제1 면(Wa)측에는 각종 반도체 소자(도시 생략)가 이미 만들어 넣어지고, 또한 당해 반도체 소자에 필요한 배선 구조 등(도시 생략)이 제1 면(Wa) 상에 이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점착면(T3a)을 갖는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3)를 반도체 웨이퍼(W)의 제1 면(Wa)측에 접합한 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3)에 반도체 웨이퍼(W)가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웨이퍼 내부에 집광점이 맞추어진 레이저광을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3)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반도체 웨이퍼(W)에 대하여 분할 예정 라인을 따라 조사하여, 다광자 흡수에 의한 어블레이션에 기인하여 반도체 웨이퍼(W) 내에 개질 영역(30b)을 형성한다. 개질 영역(30b)은, 반도체 웨이퍼(W)를 반도체 칩 단위로 분리시키기 위한 취약화 영역이다. 반도체 웨이퍼에 있어서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분할 예정 라인 상에 개질 영역(30b)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92370호 공보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당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레이저광 조사 조건은, 예를 들어 이하의 조건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정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first, the modified region 30b is form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W. The semiconductor wafer W has a first surface Wa and a second surface Wb. Various semiconductor elements (not shown) are already formed on the first surface Wa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and a wiring structure or the like (not shown) necessary for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Wa Has already been formed. After the wafer processing tape T3 having the adhesive surface T3a is bonded to the first surface Wa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and the semiconductor wafer W is held on the wafer processing tape T3 The laser beam whose light-converging point is aligned in the wafer is irradiated to the semiconductor wafer W along the line to be divid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wafer T3 to the semiconductor wafer W W of the modified region 30b. The modified region 30b is a weakening region for separating the semiconductor wafer W into semiconductor chips. A method of forming the modified region 30b on a line to be divided by laser light irradiation in a semiconductor wafer is described in detail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192370, Is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for example, the following conditions.

<레이저광 조사 조건>&Lt; Laser irradiation condition >

(A) 레이저광(A) Laser light

레이저 광원 반도체 레이저 여기 Nd:YAG 레이저Laser light source Semiconductor laser excitation Nd: YAG laser

파장 1064nmwavelength 1064 nm

레이저광 스폿 단면적 3.14×10-8Laser light spot cross-sectional area 3.14 x 10 &lt; -8 &gt;

발진 형태 Q 스위치 펄스Rash type Q switch pulse

반복 주파수 100kHz 이하Repetition frequency 100kHz or less

펄스 폭 1μs 이하Pulse width 1μs or less

출력 1mJ 이하Print 1mJ or less

레이저광 품질 TEM00Laser light quality TEM00

편광 특성 직선 편광Polarization characteristic Linear polarization

(B) 집광용 렌즈(B) a condenser lens

배율 100배 이하Magnification 100 times or less

NA 0.55NA 0.55

레이저광 파장에 대한 투과율 100% 이하Transmittance to laser light wavelength 100% or less

(C) 반도체 기판이 적재되는 적재대의 이동 속도 280mm/초 이하(C) The moving speed of the loading table on which the semiconductor substrate is loaded 280mm / sec or less

이어서, 도 10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웨이퍼 가공용 테이프(T3)에 반도체 웨이퍼(W)가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반도체 웨이퍼(W)가 소정의 두께에 이르기까지 제2 면(Wb)으로부터의 연삭 가공에 의해 박화시키고, 이에 의해 복수의 반도체 칩(31)으로 개편화 가능한 반도체 웨이퍼(30C)를 형성한다(웨이퍼 박화 공정).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공정 A에 있어서, 개편화 가능 반도체 웨이퍼로서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되는 반도체 웨이퍼(30C)를 반도체 웨이퍼(30A) 대신에 사용하여,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각 공정을 행해도 된다.10 (c), the semiconductor wafer W is held on the wafer processing tape T3 until the semiconductor wafer W reaches the predetermined thickness, while the semiconductor wafer W is held on the second surface Wb So as to form a semiconductor wafer 30C which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31 (wafer thinning step).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in the step A, a semiconductor wafer 30C manufactured in this manner as a releasable semiconductor wafer is used in pl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30A, an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Each step may be performed.

도 11의 (a) 및 도 11의 (b)는, 당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정 B, 즉 반도체 웨이퍼(30C)를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에 접합한 후에 행하는 제1 익스팬드 공정(쿨 익스팬드 공정)을 도시한다. 쿨 익스팬드 공정에서는, 익스팬드 장치가 구비하는 중공 원기둥 형상의 밀어올림 부재(43)를,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도면 중 하측에 있어서 다이싱 테이프(10)에 맞닿게 하여 상승시켜, 반도체 웨이퍼(30C)가 접합된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다이싱 테이프(10)를, 반도체 웨이퍼(30C)의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을 포함하는 2차원 방향으로 잡아늘이도록 익스팬드한다. 이 익스팬드는, 다이싱 테이프(10)에 있어서, 예를 들어 5 내지 28MPa,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5MPa의 범위 내의 인장 응력이 발생하는 조건에서 행한다. 쿨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의 온도 조건은, 예를 들어 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이다. 쿨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의 익스팬드 속도(밀어올림 부재(43)를 상승시키는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0mm/초이다. 또한, 쿨 익스팬드 공정에 있어서의 익스팬드양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mm이다. 이러한 쿨 익스팬드 공정에 의해,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의 접착제층(20)을 소편의 접착제층(21)으로 할단하여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31)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 쿨 익스팬드 공정에서는, 반도체 웨이퍼(30C)에 있어서 취약한 개질 영역(30b)에 크랙이 형성되어 반도체 칩(31)으로의 개편화가 발생한다. 이와 함께, 쿨 익스팬드 공정에서는, 익스팬드되는 다이싱 테이프(10)의 점착제층(12)에 밀착되어 있는 접착제층(20)에 있어서, 반도체 웨이퍼(30C)의 각 반도체 칩(31)이 밀착되어 있는 각 영역에서는 변형이 억제되는 한편, 웨이퍼의 크랙 형성 개소의, 도면 중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개소에는, 그러한 변형 억제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다이싱 테이프(10)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이 작용한다. 그 결과, 접착제층(20)에 있어서 반도체 칩(31) 사이의 크랙 형성 개소의, 도면 중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개소가 할단되게 된다.Figs. 11A and 11B are views showing a step B of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a first expanding step (Fig. 11B) performed after bonding the semiconductor wafer 30C to the dicing die- A cool expansion process). In the cooling and exposing process, the hollow cylinder-shaped push-up member 43 provided in the expanding devi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icing tape 10 at the lower side of the drawing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 The dicing tape 10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to which the semiconductor wafer 30C is bonded is stretched so as to extend in the two-dimensional direction including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30C . This expanse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tensile stress is generated in the dicing tape 10 within a range of, for example, 5 to 28 MPa, preferably 8 to 25 MPa. The temperature condition in the Cool Expansion process is, for example, 0 deg. C or less, preferably -20 to -5 deg. C, more preferably -15 to -5 deg. C, and further preferably -15 deg. The expand speed (the speed at which the lifting member 43 is lifted) in the cooling expansion process is preferably 1 to 400 mm / sec. The amount of expanded in the Cool Expand process is preferably 50 to 200 mm. By this cooling expansion process,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is cut into the adhesive layer 21 of a small piece to obtain the semiconductor chip 31 having the adhesive layer. Specifically, in the cooling expansion process, cracks are formed in the weakened modified region 30b of the semiconductor wafer 30C, and the semiconductor chip 31 is fragmented. The semiconductor chips 31 of the semiconductor wafer 30C are adhered to each other in the adhesive layer 20 adhered to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2 of the dicing tape 10 to be expanded,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in the dicing tape 10 in a state in which the deformation is suppressed in each of the regions where the cracks are formed while the deformation is suppressed in the regions where the cracks are formed, Lt; / RTI &gt; As a result, portions of the adhesive layer 20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racks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s 31 are cut off.

또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을 얻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지만, 복수의 반도체 칩을 적층하여 3차원 실장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접착제층 구비 반도체 칩을 얻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3차원 실장에 있어서의 반도체 칩(31) 사이에는, 접착제층(21)과 함께 스페이서가 개재되어 있어도 되고, 스페이서가 개재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the dicing die-bonding film 1 can be used for obtaining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n adhesive layer as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are stacked to form a three-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for obtaining an adhesive layer-provided semiconductor chip. A spac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s 31 in such a three-dimensional mounting together with the adhesive layer 21, or may not be interposed with the spacer.

<실시예><Examples>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t all.

실시예 1Example 1

(다이싱 테이프의 제작)(Production of dicing tape)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 100질량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HEA) 19질량부, 과산화벤조일 0.4질량부 및 톨루엔 80질량부를 넣고, 질소 기류 중에서 60℃에서 10시간 중합을 행하여, 아크릴계 중합체 A를 포함하는 용액을 얻었다.100 parts by mass of 2-ethylhexyl acrylate (2EHA), 19 parts by mass of 2-hydroxyethyl acrylate (HEA), 0.4 part by mass of benzoyl peroxide, and 0.1 part by mass of toluene were placed in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nd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in a nitrogen stream at 60 占 폚 for 10 hours to obtain a solution containing the acrylic polymer A.

이 아크릴계 중합체 A를 포함하는 용액에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MOI) 1.2질량부를 첨가하고, 공기 기류 중에서 50℃에서 60시간 부가 반응을 행하여, 아크릴계 중합체 A'를 얻었다.1.2 parts by mass of 2-methacryloyloxyethyl isocyanate (MOI) was added to the solution containing the acrylic polymer A, and an addi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at 50 DEG C for 60 hours in an air stream to obtain an acrylic polymer A '.

이어서, 아크릴계 중합체 A'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상품명 「코로네이트 L」,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1.3질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BASF사제) 3질량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 A를 제작하였다.Subsequently, 1.3 parts by mass of a polyisocyanate compound (trade name: Coronate L,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and 3 parts by mass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rade name: Irgacure 184, manufactured by BASF) were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the acrylic polymer A ' Was added to prepa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 A를, PET계 세퍼레이터의 실리콘 처리를 실시한 면 상에 도포하고, 120℃에서 2분간 가열하여 탈용매하여, 두께 10㎛의 점착제층 A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당해 점착제층면에, 기재로서의 EVA 필름(군제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125㎛)과 접합하고, 23℃에서 72시간 보존하여, 다이싱 테이프 A를 얻었다.The obtai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 was coated on the silicone-treated side of the PET-based separator and heated at 120 캜 for 2 minutes to desolvate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having a thickness of 10 탆. Subsequently, an EVA film (manufactured by Gunze Kogyo Co., Ltd., thickness: 125 μm) wa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stored at 23 ° C for 72 hours to obtain a dicing tape A.

(접착제층의 제작)(Preparation of adhesive layer)

아크릴 수지(상품명 「테이산 레진 SG-70L」, 나가세 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제, 질량 평균 분자량 90만) 100질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상품명 「KI-3000-4」, 도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00질량부, 페놀 수지(상품명 「MEHC-7851SS」, 메이와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200질량부, 실리카 필러(상품명 「ST-ZL」,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평균 입경 85nm) 350질량부(실리카 필러 환산), 및 경화 촉진제(상품명 「큐어졸 2PHZ-PW」, 시코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가 30질량%로 되는 접착제 조성물 A를 조제하였다.(Trade name &quot; KI-3000-4 &quot;, manufactured by Tokto Kasei Kogyo K.K.)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n acrylic resin (trade name &quot; TAYASA RESIN SG-70L &quot;, product of Nagase ChemteX Limited, mass- 200 parts by mass of a phenol resin (trade name &quot; MEHC-7851SS &quot;, manufactured by Meiwa Kasei Kabushiki Kaisha), 200 parts by mass of silica filler (trade name: ST-ZL, manufactured by Nissan Kagaku Kogyo K.K., 350 parts by mass (in terms of silica filler) and 2 parts by mass of a curing accelerator (trade name &quot; Cure Sol 2PHZ-PW &quot;, manufactured by Shikoku Kasei Kogyo K.K.) were dissolved in methyl ethyl ketone to obtain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30 mass% An adhesive composition A was prepared.

이어서, 실리콘 이형 처리가 실시된 면을 갖는 PET 세퍼레이터(두께 50㎛)의 실리콘 이형 처리면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접착제 조성물 A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에 대하여 120℃에서 2분간의 탈용매를 행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두께(평균 두께) 10㎛의 접착제층 A를 PET 세퍼레이터 상에 제작하였다.Subsequently, the adhesive composition A was applied onto the silicone release-treated surface of the PET separator (having a thickness of 50 mu m) having the surface subjected to the silicon release treatment to form a coating film, and the coating film was applied to this coating film at 120 DEG C for 2 minutes Followed by desolvation. Thus, an adhesive layer A having a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10 탆 was formed on a PET separator.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dicing die-bonding film)

다이싱 테이프 A로부터 PET계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에 접착제층 A를 접합하였다. 접합에 있어서는, 다이싱 테이프의 중심과 다이 본드 필름의 중심을 위치 정렬하였다. 또한, 접합에는 핸드 롤러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다이싱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EVA 기재의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는,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조사 적산 광량을 300mJ/㎠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다이싱 테이프와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실시예 1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제작하였다.The PET separator was peeled from the dicing tape A and the adhesive layer A was bonded to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bonding, the center of the dicing tape and the center of the die-bonding film were aligned. A hand roller was used for bonding. T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dicing tape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from the EVA base material side. In ultraviolet irradiation,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was used and the irradiated cumulative light amount was set to 300 mJ / cm 2. Thus, a dicing die-bonding film of Example 1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dicing tape and an adhesive layer was produced.

실시예 2Example 2

(접착제층의 제작)(Preparation of adhesive layer)

아크릴 수지(상품명 「테이산 레진 SG-70L」, 나가세 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제, 질량 평균 분자량 90만) 100질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상품명 「KI-3000-4」, 도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00질량부, 페놀 수지(상품명 「MEHC-7851SS」, 메이와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200질량부, 실리카 필러(상품명 「MEK-ST-2040」,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평균 입경 190nm) 350질량부(실리카 필러 환산), 및 경화 촉진제(상품명 「큐어졸 2PHZ-PW」, 시코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가 30질량%로 되는 접착제 조성물 B를 조제하였다.(Trade name &quot; KI-3000-4 &quot;, manufactured by Tokto Kasei Kogyo K.K.)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n acrylic resin (trade name &quot; TAYASA RESIN SG-70L &quot;, product of Nagase ChemteX Limited, mass- 200 parts by mass of a phenol resin (trade name: MEHC-7851SS, manufactured by Meiwa Kasei K.K.), 200 parts by mass of a silica filler (trade name: MEK-ST-2040, manufactured by Nissan Kagaku Kogyo K.K., 350 parts by mass (in terms of silica filler) and 2 parts by mass of a curing accelerator (trade name &quot; Cure Sol 2PHZ-PW &quot;, manufactured by Shikoku Kasei Kogyo K.K.) were dissolved in methyl ethyl ketone to give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30% Was prepared.

이어서, 실리콘 이형 처리가 실시된 면을 갖는 PET 세퍼레이터(두께 50㎛)의 실리콘 이형 처리면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접착제 조성물 B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에 대하여 120℃에서 2분간의 탈용매를 행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두께(평균 두께) 10㎛의 접착제층 B를 PET 세퍼레이터 상에 제작하였다.Subsequently, the adhesive composition B was applied on the silicone release-treated surface of the PET separator (thickness: 50 占 퐉) having the surface subjected to the silicon release treatment by using an applicator to form a coating film. Followed by desolvation. Thus, an adhesive layer B having a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10 mu m was formed on a PET separator.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dicing die-bonding film)

다이싱 테이프 A로부터 PET계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에 접착제층 B를 접합하였다. 접합에 있어서는, 다이싱 테이프의 중심과 다이 본드 필름의 중심을 위치 정렬하였다. 또한, 접합에는 핸드 롤러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다이싱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EVA 기재의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는,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조사 적산 광량을 300mJ/㎠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다이싱 테이프와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실시예 2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제작하였다.The PET separator was peeled from the dicing tape A and the adhesive layer B was bonded to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bonding, the center of the dicing tape and the center of the die-bonding film were aligned. A hand roller was used for bonding. T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dicing tape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from the EVA base material side. In ultraviolet irradiation,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was used and the irradiated cumulative light amount was set to 300 mJ / cm 2. Thus, a dicing die-bonding film of Example 2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dicing tape and an adhesive layer was produced.

실시예 3Example 3

(접착제층의 제작)(Preparation of adhesive layer)

아크릴 수지(상품명 「테이산 레진 SG-70L」, 나가세 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제, 질량 평균 분자량 90만) 100질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상품명 「KI-3000-4」, 도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00질량부, 페놀 수지(상품명 「MEHC-7851SS」, 메이와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200질량부, 실리카 필러(상품명 「SQ-EM1」, 가부시키가이샤 애드마텍스제, 평균 입경 300nm) 350질량부(실리카 필러 환산), 및 경화 촉진제(상품명 「큐어졸 2PHZ-PW」, 시코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가 30질량%로 되는 접착제 조성물 C를 조제하였다.(Trade name &quot; KI-3000-4 &quot;, manufactured by Tokto Kasei Kogyo K.K.)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n acrylic resin (trade name &quot; TAYASA RESIN SG-70L &quot;, product of Nagase ChemteX Limited, mass- 200 parts by mass of a phenol resin (trade name &quot; MEHC-7851SS &quot;, manufactured by Meiwa Kasei K.K.), 200 parts by mass of a silica filler (trade name: SQ-EM1, manufactured by Admatechs Co., ) And 2 parts by mass of a curing accelerator (trade name &quot; Cure Sol 2PHZ-PW &quot;, manufactured by Shikoku Kasei Kogyo K.K.) were dissolved in methyl ethyl ketone to obtain an adhesive having a solid concentration of 30% by mass Composition C was prepared.

이어서, 실리콘 이형 처리가 실시된 면을 갖는 PET 세퍼레이터(두께 50㎛)의 실리콘 이형 처리면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접착제 조성물 C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에 대하여 120℃에서 2분간의 탈용매를 행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두께(평균 두께) 10㎛의 접착제층 C를 PET 세퍼레이터 상에 제작하였다.Subsequently, the adhesive composition C was applied on the silicone release-treated surface of the PET separator (thickness: 50 mu m) having the surface subjected to the silicon release treatment by using an applicator to form a coating film. Followed by desolvation. Thus, an adhesive layer C having a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10 mu m was formed on the PET separator.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dicing die-bonding film)

다이싱 테이프 A로부터 PET계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에 접착제층 C를 접합하였다. 접합에 있어서는, 다이싱 테이프의 중심과 다이 본드 필름의 중심을 위치 정렬하였다. 또한, 접합에는 핸드 롤러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다이싱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EVA 기재의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는,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조사 적산 광량을 300mJ/㎠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다이싱 테이프와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실시예 3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제작하였다.The PET separator was peeled from the dicing tape A and the adhesive layer C was bonded to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bonding, the center of the dicing tape and the center of the die-bonding film were aligned. A hand roller was used for bonding. T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dicing tape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from the EVA base material side. In ultraviolet irradiation,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was used and the irradiated cumulative light amount was set to 300 mJ / cm 2. Thus, a dicing die-bonding film of Example 3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dicing tape and an adhesive layer was produced.

실시예 4Example 4

(접착제층의 제작)(Preparation of adhesive layer)

아크릴 수지(상품명 「테이산 레진 SG-70L」, 나가세 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제, 질량 평균 분자량 90만) 100질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상품명 「KI-3000-4」, 도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115질량부, 페놀 수지(상품명 「MEHC-7851SS」, 메이와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115질량부, 실리카 필러(상품명 「MEK-ST-2040」,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평균 입경 190nm) 220질량부(실리카 필러 환산), 및 경화 촉진제(상품명 「큐어졸 2PHZ-PW」, 시코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가 28질량%로 되는 접착제 조성물 D를 조제하였다.(Trade name &quot; KI-3000-4 &quot;, manufactured by Tokto Kasei Kogyo K.K.)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n acrylic resin (trade name &quot; TAYASA RESIN SG-70L &quot;, product of Nagase ChemteX Limited, mass- 115 parts by mass of a phenol resin (trade name: MEHC-7851SS, manufactured by Meiwa Kasei Kabushiki Kaisha), 115 parts by mass of a silica filler (trade name: MEK-ST-2040, manufactured by Nissan Kagaku Kogyo K.K., And 2 parts by mass of a curing accelerator (trade name &quot; Cure Sol 2PHZ-PW &quot;, manufactured by Shikoku Kasei Kogyo K.K.) were dissolved in methyl ethyl ketone to give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28 mass% Was prepared.

이어서, 실리콘 이형 처리가 실시된 면을 갖는 PET 세퍼레이터(두께 50㎛)의 실리콘 이형 처리면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접착제 조성물 D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에 대하여 120℃에서 2분간의 탈용매를 행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두께(평균 두께) 10㎛의 접착제층 D를 PET 세퍼레이터 상에 제작하였다.Subsequently, the adhesive composition D was applied onto the silicone release-treated surface of a PET separator (thickness: 50 占 퐉) having a surface subjected to silicone release treatment using an applicator to form a coating film. The coating film was applied to this coating film at 120 占 폚 for 2 minutes Followed by desolvation. Thus, an adhesive layer D having a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10 mu m was formed on a PET separator.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dicing die-bonding film)

다이싱 테이프 A로부터 PET계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에 접착제층 D를 접합하였다. 접합에 있어서는, 다이싱 테이프의 중심과 다이 본드 필름의 중심을 위치 정렬하였다. 또한, 접합에는 핸드 롤러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다이싱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EVA 기재의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는,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조사 적산 광량을 300mJ/㎠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다이싱 테이프와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실시예 4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제작하였다.The PET separator was peeled from the dicing tape A and the adhesive layer D was bonded to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bonding, the center of the dicing tape and the center of the die-bonding film were aligned. A hand roller was used for bonding. T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dicing tape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from the EVA base material side. In ultraviolet irradiation,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was used and the irradiated cumulative light amount was set to 300 mJ / cm 2. Thus, a dicing die-bonding film of Example 4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dicing tape and an adhesive layer was produced.

실시예 5Example 5

(접착제층의 제작)(Preparation of adhesive layer)

아크릴 수지(상품명 「테이산 레진 SG-70L」, 나가세 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제, 질량 평균 분자량 90만) 100질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상품명 「KI-3000-4」, 도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00질량부, 페놀 수지(상품명 「MEHC-7851SS」, 메이와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200질량부, 실리카 필러(상품명 「MEK-ST-2040」,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평균 입경 190nm) 350질량부(실리카 필러 환산), 및 경화 촉진제(상품명 「큐어졸 2PHZ-PW」, 시코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1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가 30질량%로 되는 접착제 조성물 E를 조제하였다.(Trade name &quot; KI-3000-4 &quot;, manufactured by Tokto Kasei Kogyo K.K.)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n acrylic resin (trade name &quot; TAYASA RESIN SG-70L &quot;, product of Nagase ChemteX Limited, mass- 200 parts by mass of a phenol resin (trade name: MEHC-7851SS, manufactured by Meiwa Kasei K.K.), 200 parts by mass of a silica filler (trade name: MEK-ST-2040, manufactured by Nissan Kagaku Kogyo K.K., 350 parts by mass (in terms of silica filler) and 1 part by mass of a curing accelerator (trade name &quot; Cure Sol 2PHZ-PW &quot;, manufactured by Shikoku Kasei Kogyo K.K.) were dissolved in methyl ethyl ketone to give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30% Was prepared.

이어서, 실리콘 이형 처리가 실시된 면을 갖는 PET 세퍼레이터(두께 50㎛)의 실리콘 이형 처리면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접착제 조성물 E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에 대하여 120℃에서 2분간의 탈용매를 행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두께(평균 두께) 10㎛의 접착제층 E를 PET 세퍼레이터 상에 제작하였다.Subsequently, the adhesive composition E was applied onto the silicone release-treated surface of the PET separator (thickness: 50 mu m) having the surface subjected to the silicon release treatment by using an applicator to form a coating film, and the coating film was applied to this coating film at 120 DEG C for 2 minutes Followed by desolvation. Thus, an adhesive layer E having a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10 mu m was formed on the PET separator.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dicing die-bonding film)

다이싱 테이프 A로부터 PET계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에 접착제층 E를 접합하였다. 접합에 있어서는, 다이싱 테이프의 중심과 다이 본드 필름의 중심을 위치 정렬하였다. 또한, 접합에는 핸드 롤러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다이싱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EVA 기재의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는,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조사 적산 광량을 300mJ/㎠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다이싱 테이프와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실시예 5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제작하였다.The PET separator was peeled from the dicing tape A and the adhesive layer E was bonded to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bonding, the center of the dicing tape and the center of the die-bonding film were aligned. A hand roller was used for bonding. T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dicing tape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from the EVA base material side. In ultraviolet irradiation,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was used and the irradiated cumulative light amount was set to 300 mJ / cm 2. Thus, a dicing die-bonding film of Example 5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dicing tape and an adhesive layer was produced.

실시예 6Example 6

(접착제층의 제작)(Preparation of adhesive layer)

아크릴 수지(상품명 「테이산 레진 SG-70L」, 나가세 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제, 질량 평균 분자량 90만) 100질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상품명 「KI-3000-4」, 도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00질량부, 페놀 수지(상품명 「MEHC-7851SS」, 메이와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200질량부, 실리카 필러(상품명 「SE2050-MCV」, 가부시키가이샤 애드마텍스제, 평균 입경 500nm) 350질량부(실리카 필러 환산), 및 경화 촉진제(상품명 「큐어졸 2PHZ-PW」, 시코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가 30질량%로 되는 접착제 조성물 F를 조제하였다.(Trade name &quot; KI-3000-4 &quot;, manufactured by Tokto Kasei Kogyo K.K.)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n acrylic resin (trade name &quot; TAYASA RESIN SG-70L &quot;, product of Nagase ChemteX Limited, mass- 200 parts by mass of a phenol resin (trade name: MEHC-7851SS, manufactured by Meiwa Kasei K. K.) and 200 parts by mass of a silica filler (trade name: SE2050-MCV manufactured by Admatechs Co., ) And 2 parts by mass of a curing accelerator (trade name &quot; Cure Sol 2PHZ-PW &quot;, manufactured by Shikoku Kasei Kogyo K.K.) were dissolved in methyl ethyl ketone to obtain an adhesive having a solid concentration of 30% by mass Composition F was prepared.

이어서, 실리콘 이형 처리가 실시된 면을 갖는 PET 세퍼레이터(두께 50㎛)의 실리콘 이형 처리면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접착제 조성물 F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에 대하여 120℃에서 2분간의 탈용매를 행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두께(평균 두께) 10㎛의 접착제층 F를 PET 세퍼레이터 상에 제작하였다.Subsequently, the adhesive composition F was applied onto the silicon release-treated surface of the PET separator (thickness: 50 占 퐉) having the surface subjected to the silicon release treatment to form a coating film, and the coating film was applied to this coating film at 120 占 폚 for 2 minutes Followed by desolvation. Thus, an adhesive layer F having a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10 mu m was formed on a PET separator.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dicing die-bonding film)

다이싱 테이프 A로부터 PET계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에 접착제층 F를 접합하였다. 접합에 있어서는, 다이싱 테이프의 중심과 다이 본드 필름의 중심을 위치 정렬하였다. 또한, 접합에는 핸드 롤러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다이싱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EVA 기재의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는,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조사 적산 광량을 300mJ/㎠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다이싱 테이프와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실시예 6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제작하였다.The PET separator was peeled from the dicing tape A and the adhesive layer F was bonded to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bonding, the center of the dicing tape and the center of the die-bonding film were aligned. A hand roller was used for bonding. T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dicing tape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from the EVA base material side. In ultraviolet irradiation,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was used and the irradiated cumulative light amount was set to 300 mJ / cm 2. Thus, a dicing die-bonding film of Example 6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dicing tape and an adhesive layer was produced.

실시예 7Example 7

(접착제층의 제작)(Preparation of adhesive layer)

아크릴 수지(상품명 「테이산 레진 SG-70L」, 나가세 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제, 질량 평균 분자량 90만) 100질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상품명 「KI-3000-4」, 도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440질량부, 페놀 수지(상품명 「MEHC-7851SS」, 메이와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440질량부, 실리카 필러(상품명 「MEK-ST-2040」,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평균 입경 190nm) 430질량부(실리카 필러 환산), 및 경화 촉진제(상품명 「큐어졸 2PHZ-PW」, 시코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3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가 30질량%로 되는 접착제 조성물 G를 조제하였다.(Trade name &quot; KI-3000-4 &quot;, manufactured by Tokto Kasei Kogyo K.K.)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n acrylic resin (trade name &quot; TAYASA RESIN SG-70L &quot;, product of Nagase ChemteX Limited, mass- 440 parts by mass of a phenol resin (trade name: MEHC-7851SS, manufactured by Meiwa Kasei Kogyo K.K.), 440 parts by mass of a silica filler (trade name: MEK-ST-2040, manufactured by Nissan Kagaku Kogyo K.K.) And 3 parts by mass of a curing accelerator (trade name &quot; Cure Sol 2PHZ-PW &quot;, manufactured by Shikoku Kasei Kogyo K.K.) were dissolved in methyl ethyl ketone to give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30 mass% Was prepared.

이어서, 실리콘 이형 처리가 실시된 면을 갖는 PET 세퍼레이터(두께 50㎛)의 실리콘 이형 처리면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접착제 조성물 G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에 대하여 120℃에서 2분간의 탈용매를 행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두께(평균 두께) 10㎛의 접착제층 G를 PET 세퍼레이터 상에 제작하였다.Subsequently, the adhesive composition G was applied on the silicone release-treated surface of the PET separator (thickness: 50 占 퐉) having the surface subjected to the silicon release treatment to form a coating film, and the coating film was dried at 120 占 폚 for 2 minutes Followed by desolvation. Thus, an adhesive layer G having a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10 mu m was formed on a PET separator.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dicing die-bonding film)

다이싱 테이프 A로부터 PET계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에 접착제층 G를 접합하였다. 접합에 있어서는, 다이싱 테이프의 중심과 다이 본드 필름의 중심을 위치 정렬하였다. 또한, 접합에는 핸드 롤러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다이싱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EVA 기재의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는,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조사 적산 광량을 300mJ/㎠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다이싱 테이프와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실시예 7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제작하였다.The PET separator was peeled from the dicing tape A and the adhesive layer G was bonded to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bonding, the center of the dicing tape and the center of the die-bonding film were aligned. A hand roller was used for bonding. T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dicing tape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from the EVA base material side. In ultraviolet irradiation,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was used and the irradiated cumulative light amount was set to 300 mJ / cm 2. Thus, a dicing die-bonding film of Example 7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dicing tape and an adhesive layer was produce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접착제층의 제작)(Preparation of adhesive layer)

아크릴 수지(상품명 「테이산 레진 SG-70L」, 나가세 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제, 질량 평균 분자량 90만) 100질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상품명 「KI-3000-4」, 도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00질량부, 페놀 수지(상품명 「MEHC-7851SS」, 메이와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200질량부, 실리카 필러(상품명 「YA050C-MJF」, 가부시키가이샤 애드마텍스제, 평균 입경 50nm) 350질량부(실리카 필러 환산), 및 경화 촉진제(상품명 「큐어졸 2PHZ-PW」, 시코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가 30질량%로 되는 접착제 조성물 H를 조제하였다.(Trade name &quot; KI-3000-4 &quot;, manufactured by Tokto Kasei Kogyo K.K.)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n acrylic resin (trade name &quot; TAYASA RESIN SG-70L &quot;, product of Nagase ChemteX Limited, mass- 200 parts by mass of a phenol resin (trade name: MEHC-7851SS, manufactured by Meiwa Kasei K.K.), 200 parts by mass of silica filler (trade name: YA050C-MJF, manufactured by Admatechs Co., ) And 2 parts by mass of a curing accelerator (trade name &quot; Cure Sol 2PHZ-PW &quot;, manufactured by Shikoku Kasei Kogyo K.K.) were dissolved in methyl ethyl ketone to obtain an adhesive having a solid concentration of 30% by mass Composition H was prepared.

이어서, 실리콘 이형 처리가 실시된 면을 갖는 PET 세퍼레이터(두께 50㎛)의 실리콘 이형 처리면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접착제 조성물 H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에 대하여 120℃에서 2분간의 탈용매를 행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두께(평균 두께) 20㎛의 접착제층 H를 PET 세퍼레이터 상에 제작하였다.Subsequently, the adhesive composition H was applied onto the silicone release-treated surface of the PET separator (thickness: 50 占 퐉) having the surface subjected to the silicon release treatment by using an applicator to form a coating film. Followed by desolvation. Thus, an adhesive layer H having a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20 mu m was formed on a PET separator.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dicing die-bonding film)

다이싱 테이프 A로부터 PET계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에 접착제층 H를 접합하였다. 접합에 있어서는, 다이싱 테이프의 중심과 다이 본드 필름의 중심을 위치 정렬하였다. 또한, 접합에는 핸드 롤러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다이싱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EVA 기재의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는,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조사 적산 광량을 300mJ/㎠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다이싱 테이프와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비교예 1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제작하였다.The PET separator was peeled from the dicing tape A and the adhesive layer H was bonded to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bonding, the center of the dicing tape and the center of the die-bonding film were aligned. A hand roller was used for bonding. T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dicing tape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from the EVA base material side. In ultraviolet irradiation,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was used and the irradiated cumulative light amount was set to 300 mJ / cm 2. Thus, a dicing die-bond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dicing tape and an adhesive layer was produc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접착제층의 제작)(Preparation of adhesive layer)

아크릴 수지(상품명 「테이산 레진 SG-70L」, 나가세 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제, 질량 평균 분자량 90만) 100질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상품명 「KI-3000-4」, 도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00질량부, 페놀 수지(상품명 「MEHC-7851SS」, 메이와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200질량부, 실리카 필러(상품명 「MEK-ST-2040」,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평균 입경 190nm) 350질량부(실리카 필러 환산), 및 경화 촉진제(상품명 「큐어졸 2PHZ-PW」, 시코쿠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0.5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가 30질량%로 되는 접착제 조성물 I를 조제하였다.(Trade name &quot; KI-3000-4 &quot;, manufactured by Tokto Kasei Kogyo K.K.)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n acrylic resin (trade name &quot; TAYASA RESIN SG-70L &quot;, product of Nagase ChemteX Limited, mass- 200 parts by mass of a phenol resin (trade name: MEHC-7851SS, manufactured by Meiwa Kasei K.K.), 200 parts by mass of a silica filler (trade name: MEK-ST-2040, manufactured by Nissan Kagaku Kogyo K.K., 350 parts by mass (average particle diameter: 190 nm) (in terms of silica filler) and 0.5 part by mass of a curing accelerator (trade name "Curezol 2PHZ-PW", manufactured by Shikoku Kasei Kogyo K.K.) were dissolved in methyl ethyl ketone, Was prepared. &Lt; tb &gt; &lt; TABLE &gt;

이어서, 실리콘 이형 처리가 실시된 면을 갖는 PET 세퍼레이터(두께 50㎛)의 실리콘 이형 처리면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접착제 조성물 I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에 대하여 120℃에서 2분간의 탈용매를 행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두께(평균 두께) 10㎛의 접착제층 I를 PET 세퍼레이터 상에 제작하였다.Subsequently, the adhesive composition I was applied on the silicone release-treated surface of the PET separator (thickness: 50 占 퐉) having the surface subjected to the silicon release treatment to form a coating film, and the coating film was applied to this coating film at 120 占 폚 for 2 minutes Followed by desolvation. Thus, an adhesive layer I having a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10 탆 was formed on a PET separator.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dicing die-bonding film)

다이싱 테이프 A로부터 PET계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에 접착제층 I를 접합하였다. 접합에 있어서는, 다이싱 테이프의 중심과 다이 본드 필름의 중심을 위치 정렬하였다. 또한, 접합에는 핸드 롤러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다이싱 테이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EVA 기재의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는,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조사 적산 광량을 300mJ/㎠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다이싱 테이프와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비교예 2의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을 제작하였다.The PET separator was peeled from the dicing tape A and the adhesive layer I was bonded to the expo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bonding, the center of the dicing tape and the center of the die-bonding film were aligned. A hand roller was used for bonding. T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dicing tape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from the EVA base material side. In ultraviolet irradiation,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was used and the irradiated cumulative light amount was set to 300 mJ / cm 2. Thus, a dicing die-bond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2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dicing tape and an adhesive layer was produced.

<평가><Evaluation>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접착제층 및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The following evaluations were performed on the adhesive layer and the dicing die-bonding film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가열 전의 발열량)(Heating value before heating)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얻어진 접착제층에 대하여, 접착제층을 10 내지 15mg 칭량하여 측정 샘플로 하고,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상품명 「Q200」, (TA Instruments사제)를 사용하여, 측정 샘플을 0℃에서 350℃까지 승온 속도 10℃/min로 승온시켜 DSC 측정을 행하고, 그때의 전체 발열량[J/g]을 산출하여, 가열 전의 발열량으로 하였다.Each of the adhesive layer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weighed in an amount of 10 to 15 mg to obtain a measurement sample.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rade name &quot; Q200 &quot;, manufactured by TA Instruments)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350 占 폚 at a rate of 10 占 폚 / min to perform DSC measurement, and the total calorific value [J / g] at that time was calculated to be the calorific value before heating.

(130℃ 30분간 가열 후의 발열량)(Heating value after heating at 130 DEG C for 30 minutes)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얻어진 접착제층에 대하여, 접착제층을 200㎛의 두께로 되도록 적층하고, 가압 오븐에서 실온에서 130℃까지 30분에 걸쳐 승온하고, 130℃에서 30분간 유지하였다. 또한, 가열 중에는 7kgf의 기체에 의한 가압을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가열을 행한 후의 접착제층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가열 전의 발열량」과 마찬가지로 하여, 130℃ 30분간 가열 후의 발열량[J/g]을 산출하였다.The adhesive layer obtained in each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laminated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200 mu m and heated in a pressure oven from room temperature to 130 DEG C over 30 minutes and held at 130 DEG C for 30 minutes. During the heating, pressurization with a gas of 7 kgf was performed. The heating value [J / g] after heating at 130 占 폚 for 30 minutes was calcul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heating value before heating" except that the adhesive layer after heating was used in this way.

(저장 탄성률)(Storage elastic modulus)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얻어진 접착제층에 대하여, 접착제층을 200㎛의 두께로 되도록 적층하고, 상기 「130℃ 30분간 가열 후의 발열량」에 있어서의 가열과 마찬가지로 하여 가열 및 가압을 행한 샘플을, 폭 4mm, 길이 30mm의 직사각형으로 커터 나이프로 잘라내어 시험편으로 하고, 고체 점탄성 측정 장치(측정 장치: RSA-G2, 레오메트릭 사이언티픽사제)를 사용하여, 주파수 1Hz, 승온 속도 10℃/분, 초기 척간 거리 10mm, 변형 0.1%의 조건에서, 0 내지 200℃의 온도 범위에서, 인장 모드에서 동적 저장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승온은 0℃에서 5분간 유지한 후에 개시하였다. 그리고, 130℃에서의 값을 판독하고, 이 값을 130℃ 30분간 가열 후의 13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MPa]로 하였다.The adhesive layer obtained in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was laminated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200 탆 and the sample heated and pressuriz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heating amount after heating at 130 캜 for 30 minutes" The test piece was cut into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width of 4 mm and a length of 30 mm and cut out with a cutter knife to obtain a test piece having a frequency of 1 Hz and a temperature raising rate of 10 ° C./minute using a solid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measuring device: RSA-G2, Rheometrics Scientific) The dynamic storage modulus was measured in a tensile mode at a temperature range of 0 to 200 캜 under the condition of a distance between the chucks of 10 mm and a strain of 0.1%. Also, the temperature rise was started after holding for 5 minutes at 0 占 폚. Then, the value at 130 캜 was read, and this value was taken as the storage elastic modulus [MPa] at 130 캜 after heating at 130 캜 for 30 minutes.

(필러의 평균 입경)(Average particle diameter of filler)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얻어진 각 접착제층에 대하여, 175℃ 1시간의 조건에서 열경화시키고, Struers사제의 EpoFix kit를 사용하여 수지에 포매시켰다. 포매된 수지에 대한 기계 연마에 의해 접착제층의 단면을 표출시키고, 당해 단면을 CP 가공 장치(상품명 「SM-09010」, 니혼 덴시 가부시키가이샤제)에 의한 이온 밀링 가공 후, 도전 처리를 실시하고 FE-SEM 관찰을 행하였다. FE-SEM 관찰은 가속 전압 1 내지 5kV에서 행하고, 반사 전자상을 관찰하였다. 도입한 화상을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Image-J」를 사용하여 2치화 처리에 의해 필러 입자를 식별한 후, 화상 내의 필러의 면적을 화상 내의 필러 개수로 나누어, 필러의 평균 면적을 구하고, 필러의 평균 입경을 산출하였다.Each adhesive layer obtained in each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thermally cured at 175 DEG C for 1 hour and embedded in a resin using an EpoFix kit manufactured by Struers. The end face of the adhesive layer was exposed by mechanical polishing of the embedded resin, and the end face was subjected to ion milling with a CP processing apparatus (trade name "SM-09010", manufactured by Nihon Denshikushi Co., Ltd.) FE-SEM observation was performed. FE-SEM observation was performed at an acceleration voltage of 1 to 5 kV, and a reflected electron image was observed. The introduced image is identified by the binarization processing using the image analysis software "Image-J", the area of the filler in the image is divided by the number of fillers in the image to obtain the average area of the filler, And the particle diameter was calculated.

(칩 적층 평가)(Chip stack evaluation)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25㎛의 접착제층 F를 제작하여 접착 시트로 하였다. 이 접착 시트를,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분할 예정 라인에 대한 개질 영역의 형성을 행한 미러 웨이퍼에 접합하고, 175℃에서 2시간 경화시킨 후, 미러 웨이퍼와 상기 접착 시트의 총 두께가 50㎛로 될 때까지 미러 웨이퍼측으로부터 연삭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얻어진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에, 상기 연삭을 행한 웨이퍼 및 다이싱 링을 접합한 후(웨이퍼 접합 온도: 50 내지 80℃), 다이 세퍼레이터(상품명 「DDS2300」, 가부시키가이샤 디스코제)를 사용하여, 웨이퍼의 할단 및 다이싱 테이프의 열수축을 행함으로써, 샘플을 얻었다. 즉, 우선 쿨 익스팬더 유닛에서, 익스팬드 온도 -15℃, 익스팬드 속도 100mm/초, 익스팬드양 12mm의 조건에서 웨이퍼를 할단하였다. 할단 후에 얻어진 칩은 사이즈 10mm×10mm, 칩 두께 25㎛였다. 그 후, 히트 익스팬더 유닛에서, 익스팬드양 10mm, 히트 온도 250℃, 풍량 40L/min, 히트 거리 20mm, 로테이션 속도 3°/sec의 조건에서 다이싱 테이프를 열수축시켜, 접착제층 구비 평가용 칩을 얻었다.An adhesive layer F having a thickness of 25 mu 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6 to obtain an adhesive sheet. This adhesive sheet was bonded to a mirror wafer on which a modified region for the line to be divided was formed by laser light irradiation and cured at 175 DEG C for 2 hours and then the total thickness of the mirror wafer and the adhesive sheet became 50 mu m Until the wafer was grinded from the mirror wafer side. The dicing die-bonding film obtained in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 was subjected to the above-mentioned grinding and bonding of the wafer and the dicing ring (wafer bonding temperature: 50 to 80 캜), followed by the use of a die separator (trade name &quot; DDS2300 &quot; Disco Co., Ltd.) was used to cut off the wafer and heat shrinkage of the dicing tape to obtain a sample. That is, first, in the cool expander unit, the wafers were cut under conditions of an expan- sion temperature of -15 ° C, an expan- sion speed of 100 mm / sec, and an expan- sion of 12 mm. The chips obtained after the cutting were 10 mm × 10 mm in size and 25 μm in chip thickness. Thereafter, in the heat expander unit, the dicing tape was thermally shrunk under the conditions of an expansive 10 mm, a heat temperature of 250 ° C, an air flow rate of 40 L / min, a heat distance of 20 mm, and a rotation speed of 3 ° / .

상기 접착제층 구비 평가용 칩을, 다이 본더(상품명 「다이 본더 SPA-300」, 가부시키가이샤 신카와제)를 사용하여, 스테이지 온도 90℃, 다이 본드 하중 1000gf, 다이 본드 시간 1초의 조건에서 BGA 기판(재질: AUS308)에 계단형으로 5매 적층하여 다이 본딩하였다. 적층은 동일 방향으로 200㎛씩 어긋나게 함으로써 계단형으로 하였다. 적층 후에, 박리가 없는 경우를 ○, 1개소 박리된 경우를 △, 2개소 이상 박리된 경우를 ×로서 평가하였다.The chip with evaluation of the adhesive layer was subjected to a BGA (die bonding) test under the conditions of a die temperature of 90 DEG C, a die bond load of 1000 gf and a die bond time of 1 second using a die bonder (trade name &quot; Die Bonder SPA- 300 &quot; Five sheets were stacked in a step-like manner on a substrate (material: AUS308) and die-bonded. The stacking was made step-wise by shifting by 200 mu m in the same direction. After lamination, no peeling was evaluated as &amp; cir &amp;, peeling in one portion was evaluated as DELTA, and peeling in two or more portions was evaluated as x.

(와이어 본딩 평가)(Wire bonding evaluation)

편면을 알루미늄 증착한 웨이퍼를 연삭함으로써, 두께 30㎛의 다이싱용 웨이퍼를 얻었다. 다이싱용 웨이퍼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얻어진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의 접착제층측에 첩부하고, 이어서 상기 「칩 적층 평가」와 마찬가지로 하여 웨이퍼의 할단을 행하여, 접착제층 구비 칩을 얻었다. 얻어진 접착제층 구비 칩을 Cu 리드 프레임 상에, 스테이지 온도 90℃, 다이 본드 하중 1000gf, 다이 본드 시간 1초의 조건에서 계단형으로 5매 적층하여 다이 본딩하였다. 적층은 동일 방향으로 200㎛씩 어긋나게 함으로써 계단형으로 하였다. 다이 본딩 후의 적층체를 130℃에서 30분간 가열 경화시킨 후, 와이어 본딩 장치(상품명 「Maxum Plus」, 쿨리케 앤드 소파사제)를 사용하여, 최상단의 칩의 오버행부에 선 직경 18㎛의 Au 와이어를 5개 본딩하였다. 출력 80Amp, 시간 10ms, 하중 50g의 조건에서 Au 와이어를 Cu 리드 프레임에 찍었다. 또한, 온도 130℃, 출력 125Amp, 시간 10ms, 하중 80g의 조건에서 Au 와이어를 칩에 찍었다. 5개의 Au 와이어 중 하나 이상 칩에 접합할 수 없는 경우를 ×로 판정하고, 5개의 Au 와이어 중 5개를 칩에 접합한 경우를 ○로 판정하였다.A wafer having one surface was aluminum-deposited was ground to obtain a dicing wafer having a thickness of 30 탆. The dicing wafer was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side of the dicing die-bonding film obtained in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and then the wafer was cu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quot; chip lamination evaluation &quot; Five sheets of the obtained adhesive layer-provided chips were stacked on the Cu lead frame under the conditions of a stage temperature of 90 占 폚, a die bond load of 1000 gf, and a die bonding time of 1 second and die-bonded. The stacking was made step-wise by shifting by 200 mu m in the same direction. The laminate after the die bonding was heated and cured at 130 캜 for 30 minutes and thereafter the Au wire with a wire diameter of 18 탆 was attached to the overhang portion of the uppermost chip by using a wire bonding machine (trade name "Maxum Plus", manufactured by Culiche &amp; . Au wire was printed on the Cu lead frame under conditions of output 80 Amp, time 10 ms, and load 50 g. Further, the Au wire was taken on the chip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130 ° C, an output of 125 Amps, a time of 10 ms, and a load of 80 g. A case in which one or more of the five Au wires could not be bonded to the chip was judged as X, and a case in which five of the five Au wires were bonded to the chip was judged as?.

(보존성 평가)(Storage stability evaluation)

보존성 평가는 점도의 경시 변화에 의해 행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얻어진 접착제층의 제작 후의 초기의 90℃에 있어서의 점도를 초기 점도라고 하고, 제작 후 23℃에서 28일간 보존 후의 접착제층의 90℃에 있어서의 점도에 있어서, 초기 점도로부터의 증가율(점도 증가율)[{23℃에서 28일간 보존 후의 90℃에 있어서의 점도(Paㆍs)-초기 점도(Paㆍs)}/초기 점도(Paㆍs)×100](%)을 산출하여, 상기 점도 증가율이 100% 미만인 경우를 ○, 100% 이상 150% 미만인 경우를 △, 150% 이상인 경우를 ×로서 평가하였다. 또한, 상기 점도는, 회전식 점도계(상품명 「HAAKE MARS III」, 서모 피셔 사이언티픽사제)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갭 100㎛, 회전 플레이트 직경 8mm, 승온 속도 10℃/min, 변형 10%, 주파수 5rad/sec로 하였다.The preservability was evaluated by changing the viscosity with time. The initial viscosity at 90 deg. C after the production of the adhesive layer obtained in each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s referred to as initial viscosity and the viscosity at 90 deg. C of the adhesive layer after storage for 28 days at 23 deg. (Pa.s) - Initial viscosity (Pa.s) / Initial viscosity (Pa.s) 100 (%) at 90 deg. C after storage for 28 days at 23 deg. , And the case where the viscosity increase rate was less than 100% was evaluated as &amp; cir &amp;, the case where the viscosity increase rate was less than 150% was evaluated as DELTA, and the case of not less than 150% was evaluated as x. The viscosity was measured by a rotary viscometer (trade name: HAAKE MARS III, manufactured by Thermo Scientific Co.). The measurement conditions were a gap of 100 탆, a diameter of a rotating plate of 8 mm, a temperature raising rate of 10 캜 / min, a deformation of 10%, and a frequency of 5 rad / sec.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실시예 1 내지 7의 접착제층은, 점도 증가율이 작고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가열 전에 대한 가열 후의 발열량이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작고, 단시간에 경화 가능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경화 후에는 130℃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높고, 오버행부에 대해서도 적절한 와이어 본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였다.The adhesive layers of Examples 1 to 7 exhibited a small rate of increase in viscosity and excellent storage stability and showed a smaller calorific value after heating for heating than those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nd could be cured in a short time. Further, after curing, the elastic modulus at 130 占 폚 was high, and it was possible to conduct appropriate wire bonding to the overhanging portion.

1: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
10: 다이싱 테이프
11: 기재
12: 점착제층
20, 21: 접착제층
W, 30A, 30C: 반도체 웨이퍼
30B: 반도체 웨이퍼 분할체
30a: 분할 홈
30b: 개질 영역
31: 반도체 칩
1: Dicing die-bonding film
10: Dicing tape
11: substrate
12: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21: adhesive layer
W, 30A, and 30C: semiconductor wafers
30B: Semiconductor wafer parted body
30a: Split groove
30b: modified region
31: Semiconductor chip

Claims (4)

기재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다이싱 테이프와,
상기 다이싱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밀착되어 있는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층은, 열경화성 성분, 필러 및 경화 촉진제를 함유하고, 13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의 DSC 측정에 의한 발열량이, 가열 전의 발열량의 60% 이하이고, 상기 가열 후의 13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20MPa 이상 4000MPa 이하인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
A dicing tape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substrate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n adhesive layer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dicing tape so as to be removable,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ntains a thermosetting component, a filler and a curing accelerator, and the heat generation amount by DSC measurement after heating at 130 占 폚 for 30 minutes is 60% or less of the heat generation amount before heating, and the storage modulus Is not less than 20 MPa and not more than 4000 MP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성분은, 열경화성 수지 및/또는 열경화성 관능기 함유 열가소성 수지인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The dicing die-bonding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ermosetting component is a thermosetting resin and / or a thermoplastic resin containing a thermosetting functional group.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90℃에 있어서의 점도가 300 내지 100000Paㆍs인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The dicing die-bonding fil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viscosity at 90 캜 of 300 to 100000 Pa 占 퐏.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평균 입경 70 내지 300nm의 실리카인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
The dicing die-bonding fil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ller is silica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70 to 300 nm.
KR1020180070221A 2017-06-22 2018-06-19 Dicing die bond film KR10253297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1871 2017-06-22
JP2017121871A JP6995505B2 (en) 2017-06-22 2017-06-22 Dicing die bond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04A true KR20190000304A (en) 2019-01-02
KR102532978B1 KR102532978B1 (en) 2023-05-16

Family

ID=64821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221A KR102532978B1 (en) 2017-06-22 2018-06-19 Dicing die bond fil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95505B2 (en)
KR (1) KR102532978B1 (en)
CN (1) CN109111867B (en)
TW (1) TWI763867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153A (en) * 2019-10-21 2021-04-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Composition comprising finger finger finger No. 1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50196A (en) * 2019-03-15 2020-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Dicing tape with adhesive film
JP7343989B2 (en) * 2019-03-19 2023-09-13 日東電工株式会社 Sealing sheet
WO2020195519A1 (en) * 2019-03-28 2020-10-01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adhes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JP7350534B2 (en) * 2019-06-28 2023-09-26 日東電工株式会社 Dicing tape and dicing die bond film
CN110508920B (en) * 2019-09-19 2024-04-26 东莞市新玛博创超声波科技有限公司 Ultrasonic welding device with pulse current heating function
CN112778923A (en) * 2019-11-07 2021-05-11 日东电工株式会社 Dicing tape and dicing die-bonding film
JP2021168363A (en) 2020-04-13 2021-10-21 日東電工株式会社 Dicing die bond film
JP2021190695A (en) 2020-05-26 2021-12-13 日東電工株式会社 Die-bonding film and dicing die-bonding film
TW202223021A (en) * 2020-11-18 2022-06-16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Dicing die bonding film
JP2022087595A (en) 2020-12-01 2022-06-13 日東電工株式会社 Substrate for mounting semiconductor wafer, dicing tape, and dicing die bond film
KR20230123490A (en) 2020-12-18 2023-08-2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Double-sided adhesive sheet for transfer
WO2022138459A1 (en) 2020-12-25 2022-06-30 日東電工株式会社 Resin composition
JP2022101804A (en) 2020-12-25 2022-07-07 日東電工株式会社 Impact absorption adhesive sheet
JP2022178249A (en) 2021-05-19 2022-12-02 日東電工株式会社 Dicing die-bonding film
JP2022178250A (en) 2021-05-19 2022-12-02 日東電工株式会社 Dicing die-bonding film
JP2022183682A (en) 2021-05-31 2022-12-13 日東電工株式会社 laminated film
JP7084536B1 (en) 2021-09-17 2022-06-14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shee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2173A (en) 2005-06-27 2007-01-11 Hitachi Chem Co Ltd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semiconductor device
JP2010177401A (en) 2009-01-29 2010-08-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Wafer processing tape
WO2011125778A1 (en) * 2010-04-01 2011-10-13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Adhesive composition, bonding sheet,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12007007A (en) * 2010-06-22 2012-01-12 Shin-Etsu Chemical Co Ltd Die bond agent composition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16115804A (en) 2014-12-15 2016-06-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Dicing-die bonding shee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8437A (en) * 2006-03-23 2007-10-04 Nippon Steel Chem Co Ltd Die bond dicing laminate film
JP5157229B2 (en) * 2006-04-11 2013-03-06 日立化成株式会社 Adhesive sheet
KR101082448B1 (en) * 2007-04-30 2011-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Adheisive resin composition and dicing die bonding film using the same
JP2011060848A (en) * 2009-09-07 2011-03-24 Nitto Denko Corp Thermosetting type die bond film, dicing-die bond film and semiconductor device
JP5551425B2 (en) 2009-12-16 2014-07-1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Catalytic converter manufacturing method and catalytic converter
KR101649020B1 (en) * 2011-07-01 2016-08-17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dhesive film, and dicing/die bonding film and method for processing semiconductor using said dicing/die bonding film
JP2015129247A (en) * 2014-01-09 2015-07-1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Resin composition, adhesive film, adhesive sheet, dicing tape integrated adhesive sheet, back grind tape integrated adhesive sheet, dicing tape and back grind tape integrated adhesive sheet, an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2173A (en) 2005-06-27 2007-01-11 Hitachi Chem Co Ltd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semiconductor device
JP2010177401A (en) 2009-01-29 2010-08-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Wafer processing tape
WO2011125778A1 (en) * 2010-04-01 2011-10-13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Adhesive composition, bonding sheet,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12007007A (en) * 2010-06-22 2012-01-12 Shin-Etsu Chemical Co Ltd Die bond agent composition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16115804A (en) 2014-12-15 2016-06-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Dicing-die bonding she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153A (en) * 2019-10-21 2021-04-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Composition comprising finger finger finger No. 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11867A (en) 2019-01-01
KR102532978B1 (en) 2023-05-16
CN109111867B (en) 2022-12-20
TW201906133A (en) 2019-02-01
TWI763867B (en) 2022-05-11
JP2019009203A (en) 2019-01-17
JP6995505B2 (en)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2978B1 (en) Dicing die bond film
JP7208327B2 (en) Dicing die bond film
JP7007827B2 (en) Die bond film, dicing die bond film,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102477487B1 (en) Dicing tape, dicing die bond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2489355B1 (en) Dicing tape, dicing die bond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7046585B2 (en) Adhesive film and adhesive film with dicing tape
KR102528778B1 (en) Dicing tape and dicing die bond film
JP6876540B2 (en) Adhesive sheet with integrated dicing tape
KR20180116756A (en) Dicing die bond film
KR20200075752A (en) Adhesive film, adhesive film with dicing tape,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2019204886A (en) Dicing die bond film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20200039567A (en) Dicing die bond film
JP7046586B2 (en) Adhesive film and adhesive film with dicing tape
JP7041505B2 (en) Adhesive film and adhesive film with dicing tape
KR20180116751A (en) Dicing die bond film
JP2020178013A (en) Dicing die bond film
KR20180116752A (en) Dicing die bond film
KR20180116750A (en) Dicing die bond film
JP7224231B2 (en) Dicing die bond film
JP7381315B2 (en) Adhesive film with dicing tape
KR20200068589A (en) Dicing die bond film
KR20200039566A (en) Dicing die bond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