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809A -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809A
KR20180136809A KR1020170076036A KR20170076036A KR20180136809A KR 20180136809 A KR20180136809 A KR 20180136809A KR 1020170076036 A KR1020170076036 A KR 1020170076036A KR 20170076036 A KR20170076036 A KR 20170076036A KR 20180136809 A KR20180136809 A KR 20180136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delion
degradation product
constant temperature
extract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3582B1 (ko
Inventor
윤금정
곽연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가고파힐링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가고파힐링푸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가고파힐링푸드
Priority to KR1020170076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58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은 한방재료를 항온을 유지하는 항온수조에 투입하고 펙티나아제 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1차 분해물을 얻는다. 상기 1차 분해물을 고온에서 방치하여 실활시킨다. 상기 1차 분해물을 상기 1차 분해단계보다 낮은 항온을 유지하는 항온수조에 투입하고 단백질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켜, 유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2차 분해물을 얻는다. 상기 2차 분해물을 고온에서 방치하여 실활시킨다. 상기 2차 분해물을 필터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추출물을 상기 2차 분해단계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수 추출한다. 상기 추출물을 농축시킨 후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한다.

Description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METHOD OF MAKING A SEASONING POWDER OF GINSENG CHICKEN}
본 발명은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삼계탕 재료로 사용되어 영양을 풍부하게 하고 맛과 풍미를 향상시키는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닭을 주재료로 하여 매우 다양한 요리가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삼계탕, 닭갈비, 닭 볶음탕 또는 닭 도리탕, 찜 닭 등의 요리가 대중에게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삼계탕은 생닭 내부에 찹쌀 등의 곡물과 대추 인삼 등을 넣어 끓인 보양용 음식을 통상적으로 말한다. 이런 삼계탕은 음식으로서 특히 보양식으로서 효과가 잘 알려져 있고, 또한 한국음식의 세계화 추세와 함께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전파되고 있다.
종래에 삼계탕을 만드는 일반적 조리법을 보면, 닭고기를 통으로 사용하며 닭고기와 육수에 천궁, 황기, 인삼, 감초, 대추 등과 같은 한약재, 밤, 마늘 등을 넣고 센불로 삶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한편 이때, 감초는 폐기를 보해 기침을 멈추며 열을 내리고 새살이 잘 돋아나게 하는 효능을 지니고 있다. 약리 실험에서 해독작용, 강심작용, 간보호작용, 항궤양작용, 진정작용, 진해, 거담작용, 항알레르기작용, 항암작용, 위산도 조절작용, 콜레스테롤 배설 촉진작용 등이 있다고 밝혀져 있다.
감초에 들어있는 '글리시리진'은 콜레스트롤을 감소시키고, 담습산을 저하시켜주고, 대장암을 억제해 준다. 감초의 복용 시 비기허증, 폐기허증, 심기허증, 결대맥, 변비, 습진, 옹종, 창양, 위귀양, 만성 위염과 위경련, 기관지염, 간염, 인후두염 등의 질환이 호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기는 지나치게 많은 땀이 흐르는 것을 막는데 많이 쓰이며, 땀구멍을 조절하고 기를 돋워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황기는 이뇨작용, 심장의 수축력을 세게 하고(강심작용), 강장 보혈작용,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 순환을 좋게 한다. 황기의 복용 시 빈혈, 늑막염, 무월경, 위궤양, 위하수증, 저혈압 등의 질환이 호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궁은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는 약으로 체내에 있는 악혈을 빨리 운반해서 없애고, 강한 살균작용으로 외과 질환도 빨리 치유하며, 자궁수축 작용으로 산후에 피를 멎게 하는 효능을 지니고 있다. 천궁의 크니딜리드 등은 천궁의 고유한 냄새 성분으로 점막충혈작용이 있다. 이런 성질은 사람에게 있어서 진통, 진정작용으로 나타나고, 혈압을 내리고 말초혈관을 확장시킨다. 천궁의 복용 시 두통, 충농증, 신경쇠약증, 월경과소증, 협심증이 호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나아가 산양삼, 산양삼잎, 감잎, 뽕잎, 헛개나무잎, 구기자잎, 땅두릅, 참빛살나무잎, 엄나무잎, 민들레, 질경이, 싸리나무잎, 당귀, 토천궁, 칡순, 엉겅퀴, 더덕순, 생강나무잎, 구절초, 다래순, 오가피잎 및 인동초 중에서 선택된 한약재를 혼합하여 삼계탕을 제조하고 있다.
그런데 산양삼, 산양삼잎, 감잎, 뽕잎, 헛개나무잎, 구기자잎, 땅두릅, 참빛살나무잎, 엄나무잎, 민들레, 질경이, 싸리나무잎, 당귀, 토천궁, 칡순, 엉겅퀴, 더덕순, 생강나무잎, 구절초, 다래순, 오가피잎 및 인동초와 같은 한약재는 계절에 따라서 구입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야외에서 삼계탕을 제조 경우, 상기와 같은 한약재를 구입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상기 한약재를 한꺼번에 혼합하여 제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3719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궁, 황기, 인삼, 감초 등과 같은 한약재를 섬유질분해효소인 펙티나아제로 분해하여 추출 한 다음,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하여 유리 아미노산 함량을 증가시킨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은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은 한방재료를 항온을 유지하는 항온수조에 투입하고 펙티나아제 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1차 분해물을 얻는다. 상기 1차 분해물을 고온에서 방치하여 실활시킨다. 상기 1차 분해물을 상기 1차 분해단계보다 낮은 항온을 유지하는 항온수조에 투입하고 단백질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켜, 유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2차 분해물을 얻는다. 상기 2차 분해물을 고온에서 방치하여 실활시킨다. 상기 2차 분해물을 필터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추출물을 상기 2차 분해단계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수 추출한다. 상기 추출물을 농축시킨 후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방 재료는 천궁, 황기, 인삼, 감초, 대추, 산양삼, 산양삼잎, 감잎, 뽕잎, 헛개나무잎, 구기자잎, 땅두릅, 참빛살나무잎, 엄나무잎, 민들레, 질경이, 싸리나무잎, 당귀, 토천궁, 칡순, 엉겅퀴, 더덕순, 생강나무잎, 구절초, 다래순, 오가피잎 및 인동초, 어성초, 와송, 개똥쑥, 여주, 질경이, 오미자, 백수오, 삼지구엽초, 민들레, 메밀, 당귀, 율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백질분해효소로는 펩신, 펩티아제 또는 프로테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1차 분해단계에서 항온을 유지하는 온도는 60℃이고, 펙티나아제 수용액의 농도는 0.3%이고, 반응시간은 3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2차 분해단계에서 항온을 유지하는 온도는 55℃이고, 단백질분해효소의 농도는 0.2%이고, 반응시간은 3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1차 분해물 및 상기 2차 분해물을 실활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1차 분해물 및 상기 2차 분해물을 95℃에서 20분동안 방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2차 분해물은 60메쉬(mesh)에서 여과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수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추출물을 85℃에서 2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즈닝 분말을 통해 한방재료의 풍미 및 맛이 삼계탕 전체에 골고루 퍼질 수 있어 삼계탕의 냄새와 맛이 좋아질 수 있다. 즉, 한방재료의 특유의 냄새나 맛이 집중되어 남지 않고, 전체적으로 은은한 한방재료의 향만 느낄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즈닝 분말을 이용한 삼계탕의 경우 닭 특유의 비린맛 또는 누린내가 느껴지지 않으며, 한약재에 의해 그 자체로 시식하는 사람에게 건강상 유익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산양삼, 산양삼잎, 감잎, 뽕잎, 헛개나무잎, 구기자잎, 땅두릅, 참빛살나무잎, 엄나무잎, 민들레, 질경이, 싸리나무잎, 당귀, 토천궁, 칡순, 엉겅퀴, 더덕순, 생강나무잎, 구절초, 다래순, 오가피잎 및 인동초와 같은 한약재를 즉석 인스턴트식품으로 개발하여 계절에 따라서 구입하기가 용이하고 야외에서 삼계탕을 제조하는 경우 한약재 분말 시즈닝을 사용하여 삼계탕을 제조하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에서는, 우선 한방재료를 60℃로 항온을 유지하는 항온수조에 투입하고, 섬유질분해효소인 0.3% 펙티나아제 수용액을 첨가한다. 그리하여, 상기 한방재료와 상기 펙티나아제 수용액을 3시간 동안 반응시켜 1차 분해물을 얻는다(단계 S10).
이 경우 상기 한방재료로는, 천궁, 황기, 인삼, 감초, 대추, 산양삼, 산양삼잎, 감잎, 뽕잎, 헛개나무잎, 구기자잎, 땅두릅, 참빛살나무잎, 엄나무잎, 민들레, 질경이, 싸리나무잎, 당귀, 토천궁, 칡순, 엉겅퀴, 더덕순, 생강나무잎, 구절초, 다래순, 오가피잎 및 인동초, 어성초, 와송, 개똥쑥, 여주, 질경이, 오미자, 백수오, 삼지구엽초, 민들레, 메밀, 당귀, 율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 상기 1차 분해물을 95℃에서 20분 동안 방치하여 상기 펙티나아제를 실활시킨다(단계 S20).
그런 다음, 상기 1차 분해물을 55℃로 항온을 유지하는 항온수조에 투입하고 0.2% 단백질분해효소를 첨가한다. 상기 1차 분해물과 상기 단백질분해효소를 3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그리하여, 유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2차 분해물을 수득할수 있다(단계 S30).
한편, 상기 단백질분해효소는 펩신, 펩티아제 또는 프로테아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2차 분해물을 95℃에서 20분 동안 방치하여 상기 단백질분해효소를 실활시킨다(단계 S40).
다음으로, 상기 2차 분해물을 60메쉬(mesh) 필터로 여과하여 한방 추출물을 얻는다(단계 S50).
이어, 상기 한방 추출물을 24시간 동안 85℃에서 열수 추출한다(단계 S60).
마지막으로, 상기 한방 추출물을 농축시킨 후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한다(단계 S70).
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시즈닝 분말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한방 재료를 펙티나아제 수용액으로 분해 후 열수 추출한 용액과 종래의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제조된 한방 재료를 열수에 추출한 용액에 대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그래프 1] 및 [그래프 2]를 통해 제시하였다.
한편, 실시예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60℃에서 한방 재료를 0.3% 펙티나아제 수용액으로 분해 후 열수 추출한 용액에 해당되며, 비교예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양으로 제조된 용액으로, 한방 재료를 열수에 30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한방 재료에 0.3% 펙티나아제 수용액을 첨가하여 분해 반응 시킨 후, 열수 추출한 용액의 추출율 변화를 시험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및 상기 비교예에서 제조한 용액의 추출율 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하기 [그래프 1]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실시예는 실험군, 상기 비교예는 대조군으로 나타내었다.
하기 [그래프 1]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한방 재료를 펙티나아제 수용액으로 분해 후 열수 추출한 용액은 상대적으로 추출당도(Brix)가 높은 편으로, 0,7%를 나타낸 반면,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한방 재료를 열수에 추출한 용액에서는 추출당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0.5%를 나타내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한방 재료를 펙티나아제 수용액으로 분해 후 열수 추출한 용액은 종래의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제조된 한방 재료를 열수에 추출한 용액에 대하여 당도(Brix) 추출율이 40% 증가하였다.
[그래프 1] 시험예 1 결과
Figure pat00001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한방 재료를 펙티나아제 수용액으로 분해 후 열수 추출한 용액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한방 재료를 열수에 추출한 용액 보다 상기 한방 재료의 약초향기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한방 재료에 0.3% 펙티나아제 수용액을 첨가하여 분해 반응 시킬 경우, 한방 재료의 향기성분이 증진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한방재료의 풍미 및 맛이 삼계탕 전체에 골고루 퍼질 수 있어 삼계탕의 냄새와 맛이 좋아질 수 있다. 즉, 한방재료의 특유의 냄새나 맛이 집중되어 남지 않고, 전체적으로 은은한 한방재료의 향만 느낄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즈닝 분말을 이용한 삼계탕의 경우 닭 특유의 비린맛 또는 누린내가 느껴지지 않으며, 한약재에 의해 그 자체로 시식하는 사람에게 건강상 유익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산양삼, 산양삼잎, 감잎, 뽕잎, 헛개나무잎, 구기자잎, 땅두릅, 참빛살나무잎, 엄나무잎, 민들레, 질경이, 싸리나무잎, 당귀, 토천궁, 칡순, 엉겅퀴, 더덕순, 생강나무잎, 구절초, 다래순, 오가피잎 및 인동초와 같은 한약재를 즉석 인스턴트식품으로 개발하여 계절에 따라서 구입하기가 용이하고 야외에서 삼계탕을 제조하는 경우 한약재 분말 시즈닝을 사용하여 삼계탕을 제조하기가 용이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한방재료를 항온을 유지하는 항온수조에 투입하고 펙티나아제 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1차 분해물을 얻는 1차 분해단계;
    상기 1차 분해물을 고온에서 방치하여 실활시키는 단계;
    상기 1차 분해물을 상기 1차 분해단계보다 낮은 항온을 유지하는 항온수조에 투입하고 단백질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켜, 유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2차 분해물을 얻는 2차 분해단계;
    상기 2차 분해물을 고온에서 방치하여 실활시키는 단계;
    상기 2차 분해물을 필터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상기 2차 분해단계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농축시킨 후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즈닝 분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재료는 천궁, 황기, 인삼, 감초, 대추, 산양삼, 산양삼잎, 감잎, 뽕잎, 헛개나무잎, 구기자잎, 땅두릅, 참빛살나무잎, 엄나무잎, 민들레, 질경이, 싸리나무잎, 당귀, 토천궁, 칡순, 엉겅퀴, 더덕순, 생강나무잎, 구절초, 다래순, 오가피잎 및 인동초, 어성초, 와송, 개똥쑥, 여주, 질경이, 오미자, 백수오, 삼지구엽초, 민들레, 메밀, 당귀, 율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즈닝 분말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분해효소로는 펩신, 펩티아제 또는 프로테아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즈닝 분말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분해단계에서,
    항온을 유지하는 온도는 60℃이고, 펙티나아제 수용액의 농도는 0.3%이고, 반응시간은 3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즈닝 분말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분해단계에서,
    항온을 유지하는 온도는 55℃이고, 단백질분해효소의 농도는 0.2%이고, 반응시간은 3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즈닝 분말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분해물 및 상기 2차 분해물을 실활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1차 분해물 및 상기 2차 분해물을 95℃에서 20분동안 방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즈닝 분말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2차 분해물은 60메쉬(mesh)에서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즈닝 분말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추출물을 85℃ 2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즈닝 분말의 제조 방법.
KR1020170076036A 2017-06-15 2017-06-15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 KR101983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036A KR101983582B1 (ko) 2017-06-15 2017-06-15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036A KR101983582B1 (ko) 2017-06-15 2017-06-15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809A true KR20180136809A (ko) 2018-12-26
KR101983582B1 KR101983582B1 (ko) 2019-05-29

Family

ID=6500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036A KR101983582B1 (ko) 2017-06-15 2017-06-15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666B1 (ko) 2021-02-24 2023-09-07 농업회사법인(주)가고파힐링푸드 홍화씨 시리얼바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959A (ko) * 1995-04-04 1996-11-19 최수부 전해질 및 가시오가피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청량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70024A (ko) * 2009-12-18 2011-06-24 주식회사 참선진 종합식품 제천산 gap 황기를 이용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60123719A (ko) 2015-04-17 2016-10-26 권오화 한약재 나노분말 육수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KR20170048741A (ko) * 2015-10-27 2017-05-10 주식회사 케이엠에프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단삼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5978A (ko) * 2016-08-04 2018-02-14 이상준 삼계탕 미믹 혼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959A (ko) * 1995-04-04 1996-11-19 최수부 전해질 및 가시오가피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청량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70024A (ko) * 2009-12-18 2011-06-24 주식회사 참선진 종합식품 제천산 gap 황기를 이용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60123719A (ko) 2015-04-17 2016-10-26 권오화 한약재 나노분말 육수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KR20170048741A (ko) * 2015-10-27 2017-05-10 주식회사 케이엠에프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단삼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5978A (ko) * 2016-08-04 2018-02-14 이상준 삼계탕 미믹 혼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582B1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903B1 (ko) 흑삼을 이용한 돼지갈비용 양념의 제조방법
KR101064550B1 (ko)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간장게장
KR101845363B1 (ko) 약초 조미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3582B1 (ko)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
JPH0838124A (ja) 龍眼肉を含有する薬草茶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207077A (zh) 一种含有芸香草芫荽的混合保健香料及其制备方法
KR102031822B1 (ko) 강된장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9045146A (zh) 一种补血大红柑茶及其制备方法
KR100999436B1 (ko) 기호성이 높은 마늘 음료의 제조방법
KR20190011538A (ko) 해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선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798037B2 (ja) チョウセンカクレミノ抽出液を含む機能性成分を含有したキムチの製造方法
KR20180070858A (ko) 황칠 족발의 제조방법
KR101145437B1 (ko) 한방 천연소재를 이용한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
KR100814736B1 (ko) 한방 조미료
KR101687242B1 (ko) 초피나무 성분을 이용한 소스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82249B1 (ko) 천연약초와 초석잠을 이용한 두뇌건강 영양제 제조방법
JP5529353B1 (ja) ニンニク卵黄組成物
CN108576750A (zh) 一种酱肉用调味料的制备方法
KR102069542B1 (ko) 황칠 추출액이 함유된 백숙의 제조방법
KR102147893B1 (ko) 비타민나무의 잎과 열매를 이용한 기능성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KR102512887B1 (ko) 바나나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KR102316689B1 (ko) 건강증진을 위한 약초된장 제조방법
KR101312957B1 (ko) 빨간 양파 환 및 그 제조방법
KR100874035B1 (ko) 산삼배양근을 이용한 식육의 숙성용액 및 그 식육의숙성방법
KR100635983B1 (ko) 스파이스 혼합물 추출액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