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0024A - 제천산 gap 황기를 이용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천산 gap 황기를 이용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0024A KR20110070024A KR1020090126662A KR20090126662A KR20110070024A KR 20110070024 A KR20110070024 A KR 20110070024A KR 1020090126662 A KR1020090126662 A KR 1020090126662A KR 20090126662 A KR20090126662 A KR 20090126662A KR 20110070024 A KR20110070024 A KR 201100700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zyme
- extract
- treated
- minutes
- astragalus
- Prior art date
Links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5000006533 astragalu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7
- 241000045403 Astragalus propinquus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9206 astragalus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9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2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41001061264 Astragal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10000004233 talu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6862 enzymatic diges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527 so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6911 enzymatic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3859 lipid peroxi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8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YJLUBHOZZTYQIP-UHFFFAOYSA-N 2-[5-[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1,3,4-oxadiazol-2-yl]-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NN=C(O1)CC(=O)N1CC2=C(CC1)NN=N2 YJLUBHOZZTYQ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1 polyphenol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8
- 125000004354 sulfur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779 in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ZTOJFFHGPLIVKC-YAFCTCPESA-N (2e)-3-ethyl-2-[(z)-(3-ethyl-6-sulfo-1,3-benzothiazol-2-ylidene)hydrazinylidene]-1,3-benzothiazole-6-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S\1C2=CC(S(O)(=O)=O)=CC=C2N(CC)C/1=N/N=C1/SC2=CC(S(O)(=O)=O)=CC=C2N1CC ZTOJFFHGPLIVKC-YAFCTCPESA-N 0.000 description 5
- WZFUQSJFWNHZHM-UHFFFAOYSA-N 2-[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O)N1CC2=C(CC1)NN=N2 WZFUQSJFWNHZH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CONKBQPVFMXDOV-QHCPKHFHSA-N 6-[(5S)-5-[[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methyl]-2-oxo-1,3-oxazolidin-3-yl]-3H-1,3-benzoxazol-2-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H]1CN(C(O1)=O)C1=CC2=C(NC(O2)=O)C=C1 CONKBQPVFMXDOV-QHCPKHFH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976 enzyme diges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210 therapy by ultrasoun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525 ultraso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08090000604 Hydro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57 Hydro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244000126002 Ziziph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LNTHITQWFMADLM-UHFFFAOYSA-N gal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O)=C(O)C(O)=C1 LNTHITQWFMADL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21645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8010059820 Polygalacturo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4880 Poly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92 Radical scaven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42 decol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MGJZITXUQXWAKY-UHFFFAOYSA-N diphenyl-(2,4,6-trinitrophenyl)iminoazanium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MGJZITXUQXWA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56 t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OHVLMTFVQDZYHP-UHFFFAOYSA-N 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2-[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ethanone Chemical compound N1N=NC=2CN(CCC=21)C(CN1CCN(CC1)C=1C=NC(=NC=1)NCC1=CC(=CC=C1)OC(F)(F)F)=O OHVLMTFVQDZYH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ZEVSDGEBAJOTK-UHFFFAOYSA-N 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2-[5-[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1,3,4-oxadiazol-2-yl]ethanone Chemical compound N1N=NC=2CN(CCC=21)C(CC=1OC(=NN=1)C=1C=NC(=NC=1)NCC1=CC(=CC=C1)OC(F)(F)F)=O KZEVSDGEBAJO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NEMGFATAVGQSF-UHFFFAOYSA-N 1-(2-amino-6,7-dihydro-4H-[1,3]thiazolo[4,5-c]pyridin-5-yl)-2-[5-[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1,3,4-oxadiazol-2-yl]ethanone Chemical compound NC=1SC2=C(CN(CC2)C(CC=2OC(=NN=2)C=2C=NC(=NC=2)NC2CC3=CC=CC=C3C2)=O)N=1 ZNEMGFATAVGQS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JQMFQLVAJGZSQS-UHFFFAOYSA-N 2-[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N-(2-oxo-3H-1,3-benzoxazol-6-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O)NC1=CC2=C(NC(O2)=O)C=C1 JQMFQLVAJGZS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HCCLXNEEPMSIO-UHFFFAOYSA-N 2-[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idin-1-yl]-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CCN(CC1)CC(=O)N1CC2=C(CC1)NN=N2 IHCCLXNEEPMS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WFYPPSBLUWMFQ-UHFFFAOYSA-N 2-[5-[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1,3,4-oxadiazol-2-yl]-1-(1,4,6,7-tetrahydropyrazolo[4,3-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NN=C(O1)CC(=O)N1CC2=C(CC1)NN=C2 AWFYPPSBLUWM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PLNAFMUEHKRLM-UHFFFAOYSA-N 2-[5-[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1,3,4-oxadiazol-2-yl]-1-(3,4,6,7-tetrahydroimidaz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NN=C(O1)CC(=O)N1CC2=C(CC1)N=CN2 APLNAFMUEHKRL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DMUXYQIMRDWRC-UHFFFAOYSA-N 2-hydroxy-3,4-dinitro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N+]([O-])=O)C([N+]([O-])=O)=C1O WDMUXYQIMRDWR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TFUTSCZYYCBAY-SXBRIOAWSA-N 6-[(E)-C-[[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methyl]-N-hydroxycarbonimidoyl]-3H-1,3-benzoxazol-2-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N/O)/C1=CC2=C(NC(O2)=O)C=C1 WTFUTSCZYYCBAY-SXBRIOAWSA-N 0.000 description 2
- DFGKGUXTPFWHIX-UHFFFAOYSA-N 6-[2-[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acetyl]-3H-1,3-benzoxazol-2-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O)C1=CC2=C(NC(O2)=O)C=C1 DFGKGUXTPFWHI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856 Amy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110 Astragalus glycyphyllo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045 Guettarda specios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287 Guettarda speci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YHQOLUKZRVURQ-HZJYTTRNSA-N Lin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OYHQOLUKZRVURQ-HZJYTTRNSA-N 0.000 description 2
- REFJWTPEDVJJIY-UHFFFAOYSA-N Quercetin Chemical compound C=1C(O)=CC(O)=C(C(C=2O)=O)C=1OC=2C1=CC=C(O)C(O)=C1 REFJWTPEDVJJ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37 alpha-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39 alpha-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19 diur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HEAADYXPMHMCT-UHFFFAOYSA-N dpph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HHEAADYXPMHMC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089 ferrous 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HKQYGTCOTHHOMP-UHFFFAOYSA-N formononetin Chemical compound C1=CC(OC)=CC=C1C1=COC2=CC(O)=CC=C2C1=O HKQYGTCOTHHO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515 gal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74391 gal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93915 gynecological orga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NMCUIPGRVMDVDB-UHFFFAOYSA-L iron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Fe]Cl NMCUIPGRVMDVDB-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OYHQOLUKZRVURQ-IXWMQOLASA-N lin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YHQOLUKZRVURQ-IXWMQOLA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778 linole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8020004410 pectinest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SCVFZCLFOSHCOH-UHFFFAOYSA-M potass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K+].CC([O-])=O SCVFZCLFOSHCO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254 radic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NGXYYYYKUGPPF-UHFFFAOYSA-M (3-methylphenyl)methyl-triphenylphosph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1=CC=CC(C[P+](C=2C=CC=CC=2)(C=2C=CC=CC=2)C=2C=CC=CC=2)=C1 BNGXYYYYKUGPP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2 Amyl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5511 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142 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SMDOOINVMJSDPS-UHFFFAOYSA-N Astragaloside Natural products C1=C(O)C(OC)=CC(C2=C(C(=O)C3=C(O)C=C(O)C=C3O2)OC2C(C(OC3C(C(O)C(O)C(CO)O3)O)C(O)C(CO)O2)O)=C1 SMDOOINVMJSDP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8909 Bored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736 Chelating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866 Cold swea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63122 Curcuma domes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92 Curcuma domes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201 Exanth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78 Iron(III)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4000241838 Lycium barb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59 Lycium barb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31316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10029182 Pectin ly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59 Potassium per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41413 Propo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ZVOLCUVKHLEPEV-UHFFFAOYSA-N Quercetagetin Natural products C1=C(O)C(O)=CC=C1C1=C(O)C(=O)C2=C(O)C(O)=C(O)C=C2O1 ZVOLCUVKHLE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WTZYBCRDDUBJY-UHFFFAOYSA-N Rhynchosin Natural products C1=C(O)C(O)=CC=C1C1=C(O)C(=O)C2=CC(O)=C(O)C=C2O1 HWTZYBCRDDUBJ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303601 Ros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831 Rubus chamaemo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554 Rubus chamaemor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618264 Rubus corea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2793 Sorgh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ZMZDMBWJUHKJPS-UHFFFAOYSA-M Thiocyanate anion Chemical compound [S-]C#N ZMZDMBWJUHKJP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ZTOJFFHGPLIVKC-CLFAGFIQSA-N abts Chemical compound S/1C2=CC(S(O)(=O)=O)=CC=C2N(CC)C\1=N\N=C1/SC2=CC(S(O)(=O)=O)=CC=C2N1CC ZTOJFFHGPLIVKC-CLFAGFIQ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45 acidic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OIFLUNRINLCBN-UHFFFAOYSA-N ammonium thiocyanate Chemical compound [NH4+].[S-]C#N SOIFLUNRINLCB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8 amyl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59 anti-tumo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0 anti-vi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MNWISYXSJWHRY-XWJCTJPOSA-N astragaloside Chemical compound O1[C@H](C(C)(O)C)CC[C@]1(C)[C@@H]1[C@@]2(C)CC[C@]34C[C@]4(CC[C@H](O[C@H]4[C@@H]([C@@H](O)[C@H](O)CO4)O)C4(C)C)C4[C@@H](O[C@H]4[C@@H]([C@@H](O)[C@H](O)[C@@H](CO)O4)O)CC3[C@]2(C)C[C@@H]1O QMNWISYXSJWHRY-XWJCTJPO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6810 beta sito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LGJMUZUPVCAVPU-UHFFFAOYSA-N beta-Sitostanol Natural products C1CC2CC(O)CCC2(C)C2C1C1CCC(C(C)CCC(CC)C(C)C)C1(C)CC2 LGJMUZUPVCAVP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JKOMDUNNDKEAI-UHFFFAOYSA-N beta-sitosterol Natural products CCC(CCC(C)C1CCC2(C)C3CC=C4CC(O)CCC4C3CCC12C)C(C)C NJKOMDUNNDKEA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5 b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31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35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73 curcuma long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884 exanthe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93305 exopolygalacturo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RIKPNWPEMPODJD-UHFFFAOYSA-N formononetin Natural products C1=CC(OC)=CC=C1C1=COC2=CC=CC=C2C1=O RIKPNWPEMPOD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60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45 fruit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70 glycos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38 gly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MZDMBWJUHKJPS-UHFFFAOYSA-N hydrogen thiocyanate Natural products SC#N ZMZDMBWJUHKJP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01 hydroly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18 hypoglyca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RBTARNINKXHZNM-UHFFFAOYSA-K iron tr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Fe](Cl)Cl RBTARNINKXHZNM-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MWDZOUNAPSSOEL-UHFFFAOYSA-N kaempferol Natural products OC1=C(C(=O)c2cc(O)cc(O)c2O1)c3ccc(O)cc3 MWDZOUNAPSSO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21 medic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13 mill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896 monocarbox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78 peripheral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78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KJFMBFZCATUALV-UHFFFAOYSA-N phenolphthalein Chemical compound C1=CC(O)=CC=C1C1(C=2C=CC(O)=CC=2)C2=CC=CC=C2C(=O)O1 KJFMBFZCATUAL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63 phosph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56 potassium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USHAGKDGDHPEEY-UHFFFAOYSA-L potassium persulfate Chemical compound [K+].[K+].[O-]S(=O)(=O)OOS([O-])(=O)=O USHAGKDGDHPEE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94 potassium per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4 pro-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949 propoli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75 querce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85 querce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844 ras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700 rosac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90 sapo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709 sapon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ZJWDPNRJALLNS-VJSFXXLFSA-N sito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H](CC)C(C)C)[C@@]1(C)CC2 KZJWDPNRJALLNS-VJSFXXLFSA-N 0.000 description 1
- 229950005143 sito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64 sodium phosph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1 standar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4 supernatant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NJBWRMUSHSURL-UHFFFAOYSA-N trichloro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l)(Cl)Cl YNJBWRMUSHSUR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76 turmer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78 visc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마쇄한 황기를 정제수에 넣고 펑가밀(Fungamyl) 또는 클라리세브(Clariseb)의 효소를 첨가하고 효소반응시켜 효소분해액을 얻는 단계; (2)상기의 효소분해액을 추출하여 황기 효소 추출물을 얻는 단계; (3)상기의 황기 효소 추출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 후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및 폴리페놀(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 등이 증가하여 항산화 활성이 높으며, 황기가 갖는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증가 시킬 수 있는 특성을 지니는 추출물을 얻을 수 있어 이러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음료의 형태로 제공하여 이를 섭취하는 섭취자에 대한 건강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황기에 대한 새로운 소비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황기의 재배농가 및/또는 채취농가에 경제적인 이득 향상에도 일조할 수 있다.
황기, 효소, 항산화
Description
본 발명은 (1)마쇄한 황기를 정제수에 넣고 펑가밀(Fungamyl) 또는 클라리세브(Clariseb)의 효소를 첨가하고 효소반응시켜 효소분해액을 얻는 단계; (2)상기의 효소분해액을 추출하여 황기 효소 추출물을 얻는 단계; (3)상기의 황기 효소 추출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 후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산지의 바위틈에 자란다. 한국, 일본, 만주,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 등지 에 주로 분포한다.
황기는 흔히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며, 강장, 지한(止汗), 이뇨(利尿),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 피로권태, 기혈허탈(氣血虛脫), 탈항(脫肛), 자궁탈, 내장하수, 식은땀, 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
상기와 같은 약효를 지니는 황기는 한약재의 일부로 사용되나, 가장 흔히 사용되는 형태로는 여름 복날 삼계탕을 섭취시 닭과 함께 황기를 넣고 끓이는데 사용되고 있다.
황기는 주로 식품보다는 한방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데 지산, 이뇨, 강장, 혈압강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약리실험에서도 이뇨작용, 강장작용, 혈압강하작용, 혈당강하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종양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등(7)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이 확인되고 있으며 황기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로는 isoflavone 배당체 중의 하나인 formononetin과 triterpenoide glycoside 및 β-sitosterol, stimast-4-en-6β-ol-3-one 등의 물질과 saponin류로써 astragaloside류 및 당이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황기를 식품소재로써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황기 첨가한 청국장 또는 황기가루를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 정도로 황기를 이용하여 식품소재 및 가공하기 위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라 할 수 있다.
한편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 우수농산물 관리제도)는 농산물의 안 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농산물의 생산단계부터 수확 후 포장단계까지 토양, 수질 등의 농업환경 및 농산물에 잔류할 수 있는 농약, 중금속 또는 유해생물 등의 위해요소를 관리하는 기준으로 자연환경에 대한 위해요인을 최소화하고 소비자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농산물의 재배, 수확, 수확후 처리, 저장과정 중에 농약, 중금속, 미생물 등의 관리 및 그 관리사항을 소비자가 알 수 있게 하는 체계를 말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황기를 효소로 처리하여 반응시킨 후 열수 추출하여 얻은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및 폴리페놀(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 등이 증가하여 항산화 활성이 높으며, 황기가 갖는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증가 시킬 수 있는 특성을 지니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1)마쇄한 황기를 정제수에 넣고 펑가밀(Fungamyl) 또는 클라리세브(Clariseb)의 효소를 첨가하고 효소반응시켜 효소분해액을 얻는 단계; (2)상기의 효소분해액을 추출하여 황기 효소 추출물을 얻는 단계; (3)상기의 황기 효소 추출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 후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킨 후 추출하여 얻은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상기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상기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1)마쇄한 황기를 정제수에 넣고 펑가밀(Fungamyl) 또는 클라리세브(Clariseb)의 효소를 첨가하고 효소반응시켜 효소분해액을 얻는 단계; (2)상기의 효소분해액을 추출하여 황기 효소 추출물을 얻는 단계; (3)상기의 황기 효소 추출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 후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및 폴리페놀(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 등이 증가하여 항산화 활성이 높으며, 황기가 갖는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증가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항산화 활성의 특성이 있어 이를 건강기능식품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음료의 형태로 섭취시 섭취자의 건강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황기를 효소로 처리하여 얻은 효소분해액을 추출하여 얻은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1)마쇄한 황기를 정제수에 넣고 펑가밀(Fungamyl) 또는 클라리세브(Clariseb)의 효소를 첨가하고 효소반응시켜 효소분해액을 얻는 단계; (2)상기의 효소분해액을 추출하여 황기 효소 추출물을 얻는 단계; (3)상기의 황기 효소 추출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 후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마쇄한 황기를 황기 중량 대비 5∼2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펑가밀(Fungamyl) 또는 클라리세브(Clariseb)의 효소를 1∼5%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45∼55℃에서 30분∼120분 동안 30분 단위로 효소 처리하여 효소분해액을 얻은 후 90∼110℃에서 1∼10시간 동안 추출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여과하고 6000∼8000rpm으로 10∼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마쇄한 황기를 황기 중량 대비 2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펑가 밀(Fungamyl) 또는 클라리세브(Clariseb)의 효소를 3%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50℃에서 30분∼120분 동안 30분 단위로 효소 처리하여 효소분해액을 얻은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여과하고 7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여과는 여과지, 여과포 및/또는 여과장치의 여과수단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효소분해액을 90∼110℃에서 1∼10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동시에 효소가 실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정제수 이외에 증류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황기를 정제수에 첨가하기 전에 황기를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초음파 처리는 20kHz 이상에서 10분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초음파 처리는 20∼50kHz에서 10분∼1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초음파 처리는 20∼50kHz에서 추출이 완료될 때 까지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황기를 정제수에 첨가하기 전에 황기를 저주파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저주파 처리는 10kHz 이하에서 10분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저주파 처리는 5∼10kHz에서 10분∼1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저주파 처리는 5∼10kHz에서 추출이 완료될 때 까지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황기를 정제수에 첨가하기 전에 황기를 전기장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기장 처리는 5kv 이상의 전기장에서 10분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기장 처리는 5∼20kv에서 10분∼1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기장 처리는 5∼20kv에서 추출이 완료될 때 까지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황기를 정제수에 첨가하기 전에 황기를 자기장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자기장 처리는 5가우스(Gauss) 이상의 자기장에서 10분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자기장 처리는 5∼30가우스에서 10분∼1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자기장 처리는 5∼30가우스에서 추출이 완료될 때 까지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황기를 정제수에 첨가하기 전에 황기를 초음파 처리, 저주파 처리, 전기장 처리 및 자기장 처리 중에서 2종 이상의 처리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효소는 polygalacturonase(PG), pectin-transeliminase(PTC) 및 pectin esterase(PE)가 혼합된 ClariSEB-R80L(Specialty Enzymes and Biochemicals Co., CA, USA, 이하 clariseb)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효소는 1,4-α-D-glucan glucanohydrolase(Fungamyl®, 800 FAU/g, novozymes, Denmark, 이하 fungamyl)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낸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음료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음료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음료 전체 중량 대비 2.0∼3.0%를 포함하는 음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음료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음료 전체 중량 대비 2.5%를 포함하는 음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음료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 처리 황기 추출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음료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음료 전체 중량 대비 2.0∼3.0%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음료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음료 전체 중량 대비 2.5%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50메쉬(mesh)로 마쇄한 제천산 GAP 황기 100g을 정제수 2리터(ℓ)에 넣은 후 클라리세브(Clariseb) 효소(Specialty Enzymes and Biochemicals Co., CA, USA)를 3%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다음 50℃에서 30분∼120분 동안 30분 단위로 효소 처리하여 효소분해액을 얻었다.
상기의 효소분해액의 효소의 불활성화 및 추출을 위해 100℃에서 8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여과포에 여과하고 7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어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50메쉬로 마쇄한 제천산 GAP 황기 100g을 정제수 2리터(ℓ)에 넣은 후 펑가밀(Fungamyl) 효소(1,4-α-D-glucan glucanohydrolase(Fungamyl®, 800 FAU/g, novozymes, Denmark)를 3%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다음 50℃에서 30분∼120분 동안 30분 단위로 효소 처리하여 효소분해액을 얻었다.
상기의 효소분해액의 효소의 불활성화 및 추출을 위해 100℃에서 8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여과포에 여과하고 7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어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황기를 황기 중량 대비 2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8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여과포에 여과하고 7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어 황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이화학적 분석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 황기를 시간별로 효소분해시킨 후 가열처리하고 여과시킨 추출액의 수율 측정은 brix 당도계(DR-A1, Atago, Tokyo, Japan)를 활용하여 brix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pH 측정은 pH meter(Orion 520A, USA)로 측정하였으며, 산도의 측정은 추출액 10mL에 0.1% 페놀프탈레인(phenolphtalein) 지시약을 첨가하고 0.1N NaOH 용액으로 적정하여 이때 소비된 NaOH 용액의 양을 구연산(citric acid)(%) 양으로 환산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황기 추출물의 특성
항목 | Brix(%) | pH | Total acidity(%) | |
비교예 | 2.17±0.06c | 5.64±0.04a | 0.064±0.004b | |
실시예 1 |
30분 | 2.50±0.10b | 5.62±0.03a | 0.064±0.005b |
60분 | 2.53±0.06b | 5.57±0.03bc | 0.070±0.002a | |
90분 | 2.47±0.06b | 5.56±0.02c | 0.070±0.002a | |
120분 | 2.53±0.06b | 5.56±0.03c | 0.070±0.006a | |
실시예 2 |
30분 | 2.73±0.06a | 5.66±0.03a | 0.057±0.005c |
60분 | 2.67±0.06a | 5.61±0.03ab | 0.064±0.003b | |
90분 | 2.73±0.12a | 5.57±0.03bc | 0.065±0.004b | |
120분 | 2.73±0.06a | 5.57±0.01bc | 0.070±0.003ab |
*상기 표 1에서 황기 추출물의 특성에서 동일한 컬럼(column)에서 다른 윗첨자의 문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a-cMeans with different letter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상기 표 1에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brix의 변화는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의 황기 추출물의 경우 2.17%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lariseb 효소를 처리한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의 경우에는 2.47∼2.53%로 비교예보다 높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효소 처리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ungamyl 효소를 처리한 실시예 2의 황기 추출물의 brix는 2.67∼2.73% 로 다른 실험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lariseb 효소를 처리한 것과 마찬가지로 효소처리 시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황기 추출물 제조시 효소를 처리하게 되면 수율면에서 상승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상기 표 1에서 효소처리한 황기 추출물의 효소처리 시간에 따른 pH의 변화는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의 황기 추출물의 경우, pH가 5.64 정도였으며 clariseb 효소를 처리한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의 pH가 5.62∼5.56으로 효소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Fungamyl 효소를 처리한 실시예 2의 황기 추출물의 pH는 5.66∼5.57로 효소처리 30분까지는 비교예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60분 이후부터는 비교예에 비하여 낮은 pH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효소처리시 가수분해에 의하여 유기산들이 유리되어 효소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추출액의 pH가 다소 낮아지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황기 추출물 제조시 사용한 clariseb과 fungamyl간의 pH 변화는 크게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표 1에서 산도의 경우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의 황기 추출물은 0.064%였으나 clariseb 효소를 처리한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은 0.064%에서 60분 효소처리시 산도가 약간 증가하여 0.070%였으며 120분 처리하는 동안까지 산도 차이가 없었다. Fungamyl 효소를 처리한 실시예 2의 황기 추출물의 경우에는 30분 처리시에는 0.057%로 비교예보다 다소 낮은 산도로 시작하였으나 효소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산도는 낮아져 120분 처리시에는 0.070%의 산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황기에 clariseb 효소 및 fungamyl 효소 처리하여 얻은 황기 추출물은 유기산들이 유리되기 때문에 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 황기를 시간별로 효소분해시킨 후 가열처리하고 여과시킨 추출액의 색도 측정은 각각의 시료 5mL를 페트리 디시(petri dish, 5×5cm)에 넣고 색도색차계(model CR-300, Minolta, Osaka, Japan)를 이용하여 L*(lightness), a*(redness) 및 b*(yellowness)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간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시료당 5회 이상의 반복 시험을 하여 색도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표 2. 황기 추출물의 색도
항목 | L1) | a2) | b3) | |
비교예 | 51.42±0.28b | 0.01±0.03a | 4.22±0.17a | |
실시예 1 |
30분 | 56.37±0.31a | -0.17±0.03b | 2.59±0.12bc |
60분 | 56.15±0.19a | -0.23±0.05cd | 2.59±0.21bc | |
90분 | 55.77±0.12a | -0.26±0.04cd | 2.26±0.31d | |
120분 | 56.51±0.05a | -0.27±0.09cd | 2.18±0.05d | |
실시예 2 |
30분 | 56.36±0.12a | -0.23±0.02cd | 2.78±0.11b |
60분 | 55.68±0.18a | -0.24±0.02cd | 2.65±0.09bc | |
90분 | 56.55±0.13a | -0.30±0.04d | 2.66±0.05bc | |
120분 | 56.56±0.20a | -0.27±0.05cd | 2.54±0.04c |
1)L* value ; 0 black, 100 white
2)a* value ; + red, - green
3)b* value ; + yellow, - blue
*상기 표 2에서 황기 추출물의 특성에서 동일한 컬럼(column)에서 다른 윗첨 자의 문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a-dMeans with different letter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상기 표 2에서 Lightness의 경우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의 황기 추출물은 51.42였으나 clariseb 및 fungamyl 효소를 처리한 황기 추출물의 경우에는 55.68 ∼ 56.68로 비교예보다 효소처리시 ligntness가 증가하였으며 효소별 및 가수분해 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기 추출물의 redness의 경우 비교예의 황기 추출물은 0.01이었으나 clariseb 및 fungamyl 효소를 처리한 황기 추출물의 경우에는 -0.30 ∼ -0.17로 비교예에 비하여 redness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소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redness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실험에 사용한 효소간에는 약간의 값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큰 차이는 아닌 것으로 사료되었다.
황기 추출물의 yelloness를 살펴보면 비교예는 4.22이었으나 clariseb 및 fungamyl 효소를 처리한 경우에는 2.18 ∼ 2.70으로 redness와 마찬가지로 yellowness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효소 처리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면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서서히 yellowness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clariseb 효소가 fungamyl 효소보다 redness 변화가 약간 빠른 것으로 사료되었다.
<시험예 2>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화학성분 변화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 황기를 시간별로 효소분해시킨 후 가열처리하 고 여과시킨 추출액의 환원당의 정량에는 DNS(dinitrosalicylic acid) 방법(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ascorbic acid 함량을 Park 등의 방법(Park YK, Kim SH, Choi SH, Han JG, Chung HG. 2008. Changes of antioxidant capacity,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contents during rubus coreanus fruit ripening. Food Sci Biotechnol 17: 251-256.)에 따라 시료 0.2mL에 10% TCA 용액 0.8mL를 넣고 3,0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등액 0.5mL, 정제수 1.5mL 및 10% folic phenol reagent 0.2mL를 넣고 혼합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하고 7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ascorbic acid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효소처리 시간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은 Moreno 등의 방법(Moreno M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ournal of Enthnopharmacology 71: 109-114.)에 의해 측정하였다. 즉 시료 0.1 mL에 80% ethanol 0.9mL를 가하여 이 혼합액 0.5mL에 10% aluminium nitrate 0.1mL, 1M potassium acetate 0.1mL 및 80% ethanol 4.3mL를 각각 가하였다. 위 반응액을 상온에서 40분간 방치한 후 415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는 quercetin(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을 0.03%로 희석하여 함량을 standard curve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황기를 시간별로 효소분해시킨 후 가열처리하고 여과시킨 추출액의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A.O.A.C.법(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 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에 따라 시료 1 mL에 0.5 mL의 Folin-Denis 시약과 1 mL의 포화 Na2CO3용액, 7.5mL의 정제수를 차례로 혼합하여 30분 경과한 뒤 7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물질로는 gallic acid(Sigma)를 사용하였다.
표 3. 황기 추출물의 화학적 특성
항목 | Reducing sugar (mg%) |
Ascorbic acid (mg%) |
Flavonoid (mg%) |
polyphenol compound (μg/mL) |
|
비교예 | 20.93±0.51g | 3.02±0.05cd | 0.42±0.01fg | 627.98±9.20cd | |
실시예 1 |
30분 | 56.00±0.48f | 2.83±0.04e | 0.45±0.11ef | 636.77±4.66bc |
60분 | 56.73±0.26f | 3.16±0.02bc | 0.56±0.07d | 632.09±7.90bcd | |
90분 | 68.26±0.04e | 3.23±0.15ab | 0.67±0.08bc | 645.11±1.57abc | |
120분 | 76.55±0.27b | 2.94±0.06de | 1.02±0.04a | 663.95±11.27a | |
실시예 2 |
30분 | 72.02±0.69d | 2.92±0.11de | 0.27±0.01h | 615.07±23.60d |
60분 | 75.54±0.29c | 3.23±0.11ab | 0.34±0.06gh | 638.83±4.12bc | |
90분 | 76.94±0.31b | 3.35±0.07a | 0.57±0.03cd | 646.70±6.93abc | |
120분 | 93.79±0.86a | 3.28±0.10ab | 0.69±0.04b | 649.45±8.61ab |
*상기 표 3에서 황기 추출물의 특성에서 동일한 컬럼(column)에서 다른 윗첨자의 문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a-hMeans with different letter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상기 표 3에서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의 황기 추출물의 환원당 함량은 20.93mg%였으나 pectin 가수분해 효소 혼합물인 clariseb 효소를 처리한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의 경우에는 56.00∼76.55mg%로 가수분해 시간이 증가할수록 환원당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20분 처리하였을 때의 환원당 함량과 비교예와 비교하면 약 3.6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효소처리에 의하여 환원당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Amylose 가수분해 효소인 fungamyl 효소를 처리한 실시예 2의 황기 추출물울을 처리한 경우, 환원당의 함량이 72.02∼93.79 mg%로 가수분해 시간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clariseb 효소를 처리한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보다 높은 환원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의 ascorbic acid의 함량은 3.02mg%였으나 pectin 가수분해 효소 혼합물인 clariseb 효소를 처리한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의 경우 시간별로 처리한 경우에는 2.83∼3.23mg%로 처리시간이 90분까지는 어느 정도 증가하였으나 120분 처리시에는 오히려 ascorbic acid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ungamyl 효소를 처리한 실시예 2의 황기 추출물의 경우 ascorbic acid의 함량은 2.92∼3.35mg%로 90분까지는 ascorbic acid의 함량이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함량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와 같이 처리군간의 ascorbic acid의 함량 차이가 적은 이유는 비교예 및 효소처리군 모두 효소 불활성화 및 수율향상을 위하여 가열처리를 하였기 때문에 ascorbic acid가 파괴되어 그 함량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 황기를 시간별로 효소분해시킨 후 가열처리하고 여과시킨 추출액의 flavonoid 함량을 측정한 결과,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의 황기 추출물은 0.42mg%로 비교적 낮은 함량을 보였다. 그러나 clariseb 효소를 시간별로 처리한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의 실험군은 flavonoid 함량이 0.45∼1.02mg%로 효소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 황기를 시간별로 효소분해시킨 후 가열처리하여 여과시킨 추출액의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비교예의 황기 추출물의 경우 627.98 ㎍/mL로 나타났으나 clariseb 효소를 시간별로 처리한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의 경우에는 636.77∼663.95㎍/mL로 비교예의 황기 추출물 보다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고 효소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Amylose 가수분해 효소인 fungamyl 효소를 시간별로 처리한 실시예 2의 황기 추출물의 polyphenol 화합물 함량은 615.07∼649.45㎍/mL로 clariseb 효소를 처리한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효소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변화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 황기를 시간별로 효소분해시킨 후 가열처리하고 여과시킨 다음 원심분리하여 얻은 황기 추출물에 대한 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를 Kikuzak 등의 방법(Kikuzak H, Nakatani N. 1993. Antioxidant effect of some ginger constituents. J Food Sci 58: 1407-1410.)에 따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먼저 linoleic acid 에멀젼 기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linoleic acid 2.51g을 99.5% ethanol 100mL에 용해시킨 후 2.05mL씩 취하여 falcon tube에 넣고 시료 2mL를 첨가한 후, 0.05M phosphate buffer(pH 7.0) 4mL, 정제수 1.95mL를 가하여 40℃ 항온기에 저장하면서 일정시간 동안 생성된 지질과산화 정도를 thiocyanate법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으로는 24시간마다 75% ethanol 4.7mL에 각 시료 0.1mL과 30% ammonium thiocyanate 0.1mL를 넣고, 정확히 3분 후 0.02M ferrous chloride 함유한 3.5% HCl 용액 0.1mL를 첨가하여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 4. 황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unit : O.D, at 500nm)
*상기 표 4에서 황기 추출물의 특성에서 동일한 컬럼(column)에서 다른 윗첨자의 문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a-gMeans with different letter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상기 표 4에서 황기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blank의 경우에는 저장 1일부터 급격히 산화를 일으켜 O.D.값이 0.2247로 높았으며 꾸준히 증가하여 저장 5일에는 2.6707로 지질 산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의 황기 추출물에 대한 지질 과산화는 5일 동안 저장하는 동안 서서히 증가하여 0.1394의 O.D.값을 나타내어 blank test 결과와 비교할 때 황기 추출물이 지질과산화 억제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clariseb 효소를 시간별로 처리한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의 경우에는 저장 5일째의 O.D 값이 0.1130∼0.1295로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지질과산화 억제능이 있었으며 비교예보다는 약간 높은 지질과산화 억제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효소처리 시간에 따른 지질 과산화 억제 경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수분해 효소로 fungamyl 효소를 시간별로 처리한 실시예 2의 황기 추출물의 사용한 경우에는 5일 동안 저장하는 동안 서서히 O.D.값이 증가하여 저장 5일째에는 0.1079∼0.1301로 비교예보다는 낮은 값을 나타내어 효소처리시 지질과산화 억제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clasriseb 또는 fungamyl과 같은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황기를 가수분해시킬 경우 황기가 갖는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 황기를 시간별로 효소분해시킨 후 가열처리하고 여과시킨 다음 원심분리하여 얻은 황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환원력(Reducing power) 및 금속이온 제거능(chelating activity on Fe2+)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5에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Blois MS. 1958.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은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시료 2mL를 0.2mM DPPH(1,1-diphenyl-2- picrylhydrazyl) 2mL와 혼합한 후, 실온에서 약 30분 방치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다음식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측정(Robert R, Nicoletta P, Anna P, Ananth P, Ananth P, Min Y, Catherine RE.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6: 1231-1237.)은 7.4mM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와 2.6mM potassium persulphate를 제조한 후 암소에 하루동안 방치하여 양이온(ABTS+)을 형성시킨 후,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O.D. 값이 1.5 이하가 나오도록 희석하고 희석된 ABTS·+용액 1mL에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0㎕를 가하여 흡광도의 변화를 정확히 30분 후에 측정하였다. 0.1mM ascorbic acid를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한 후 시료의 항산화력(AEAC, 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을 계산하였다.
황기를 시간별로 효소분해시킨 후 가열처리하고 여과시킨 추출액의 환원력 측정은 Mau 등의 방법(Mau JL, Lin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5: 519-526.)에 따라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0㎕에 0.2M sodium phosphate buffer(pH 6.6, Wako Pure Chemical Co., Osaka, Japan) 250㎕, 1% potassium ferricyanide(K3Fe(CN)6, Sigma) 250㎕를 각각 혼합하여 50℃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킨 후 1% trichloroacetic acid(CCl3COOH, w/v)를 가하였다. 위 반응액을 1000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 500㎕에 정제수 500㎕를 혼합하고, 0.1% ferric chloride(FeCl3·6H2O, Wako) 100㎕를 가하여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700nm에서 측정하였으며 흡광도 값이 높은 것은 환원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효소처리별 및 처리시간에 따른 금속이온 제거능의 변화는 Yena 등의 방법(Yena GC, Duhb PD, Tsaia L. 2002.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llic acid. Food Chem 79: 307-313.)에 따라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1mL에 2mM ferrous chloride와 5mM ferrozine을 각각 100㎕씩 가하고 10분간 상온에서 방치한 후 12,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56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 5. 황기 추출물의 항산화력 특성
*상기 표 5에서 황기 추출물의 특성에서 동일한 컬럼(column)에서 다른 윗첨자의 문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a-eMeans with different letter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상기 표 5에서 항산화 활성 중 DPPH 항산화 활성의 경우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비교예의 황기 추출물은 39.77%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황기에 clariseb 효소를 시간별로 처리한 실시예 1의 황기 추출물의 경우에는 30분 및 60분 처리하였을 때는 항산화 활성이 비교예보다 다소 낮았으나 90분 이상에서는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여 41.07∼41.26%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보다 약간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fungamyl 효소를 시간별로 처리한 실시예 2의 황기 추출물의 경우 비교예보다는 낮은 활성을 보였으나 효소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항산화 활성이 크게 높아지는 경향은 아닌 것으로 사료되었다.
항산화 활성 중 ABTS 항산화 활성은 비교예의 경우 31.67 AEAC mg%이었으며 pectinase 복합효소로 된 clariseb을 시간별로 처리한 경우에는 33.23∼35.40 AEAC mg%로 효소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mylase 계열의 효소인 fungamyl 효소도 효소처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ABTS의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황기 추출물 제조시 효소처리를 하게 되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lariseb 효소에 비하여 fungamyl 효소 가 좀 더 높은 ABTS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중 황기의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비교예의 경우 O.D값이 0.6498이었으며 clariseb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0.5996 ∼ 0.6693으로 30분 효소처리를 하였을 때를 제외하고는 비교예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fungamyl을 사용하였을 때의 O.D.값은 0.5851 ∼ 0.6645로 비교예와 비교할 때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clariseb 및 fungamyl을 처리하여도 환원력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효소처리한 황기 추출물의 금속이온 제거능을 측정한 결과 효소처리를 하지않은 비교예의 황기 추출물의 금속이온 제거능은 35.78%이었으며 clariseb을 시간별로 처리한 경우에는 34.00∼42.05%로 효소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금속이온 제거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기 추출물 제조시 fungamyl을 시간별로 처리한 경우에는 27.93∼37.14%로 효소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금속이온 제거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lariseb보다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황기 추출물의 수율 및 생리적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효소처리를 하게 되면 flavonoid 및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 등이 증가하여 항산화 활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험예 4>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 황기를 시간별로 효소분해시킨 후 가열처리하고 여과시킨 추출액에 대한 관능검사는 맛, 향, 색 및 종합적 기호도에 대하여 식 별능력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 ㈜참선진종합식품 품질관리원 직원 7명을 대상으로 7점 척도법으로 1점은 대단히 약함, 2점은 보통약함, 3점은 약간 약함, 4점은 보통, 5점은 약간 강함, 6점은 보통강함, 7점은 대단히 강함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표 6. 황기 추출물의 관능검사
*상기 표 6에서 황기 추출물의 특성에서 동일한 컬럼(column)에서 다른 윗첨자의 문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a-bMeans with different letter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상기 표 6에서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의 황기 추출물에 대한 관능검사 점수값은 7점 척도법 중 중간값인 4.0으로 하여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 얻은 황기 추출물들과의 비교평가를 해본 결과, 맛과 향의 경우 clariseb 효소 및 fungamyl 효소로 황기를 처리한 황기 추출물의 관능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점수 차이가 나지만 유의적인 차이가 없게 나타난 이유는 관능평가시 개개인별로 선호도 차이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색의 경우에 있어서는 clariseb 60분 처리 및 fungamyl 60, 90분 처리시에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종합적 기호도 면에서 살펴보면 clariseb을 60분 처리하였을 때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의 황기 추출물에 비하여 효소처리한 실시예 1,2의 황기 추출물이 기호도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수율 향상 및 생리적 기능성 향상 뿐만 아니라 기호도도 증가하므로 이를 활용하여 음료 개발 및 새로운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상기 표 1 내지 표 4의 결과는 SPSS 14.0(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PSS Inc., Chicago, IL, USA) program을 사용하여 각 실험구간의 유의성을 검증한 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실험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3>
50메쉬로 마쇄한 제천산 GAP 황기 100g을 정제수 2리터(ℓ)에 넣은 후 펑가밀(Fungamyl) 효소 및 클라리세브(Clariseb) 효소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효소를 3%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다음 50℃에서 30분∼120분 동안 30분 단위로 효소 처리하여 효소분해액을 얻었다.
상기의 효소분해액의 효소의 불활성화 및 추출을 위해 100℃에서 8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여과포에 여과하고 7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어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제천산 GAP 황기를 35kHz에서 30분 동안 초음파 처리를 실시하였다.
상기의 초음파 처리 후 50메쉬로 마쇄한 제천산 GAP 황기 100g을 정제수 2리터(ℓ)에 넣은 후 클라리세브(Clariseb) 효소를 3%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다음 50℃에서 30분∼120분 동안 30분 단위로 효소 처리하여 효소분해액을 얻었다.
상기의 효소분해액의 효소의 불활성화 및 추출을 위해 100℃에서 8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여과포에 여과하고 7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어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2>
초음파 처리 대신 7kHz에서 30분 동안 저주파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3>
초음파 처리 대신 15kv에서 30분 동안 전기장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4>
초음파 처리 대신 20가우스(Gauss)에서 30분 동안 자기장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1>
제천산 GAP 황기를 35kHz에서 30분 동안 초음파 처리를 실시하였다.
상기의 초음파 처리 후 50메쉬로 마쇄한 제천산 GAP 황기 100g을 정제수 2리터(ℓ)에 넣은 후 펑가밀(Fungamyl) 효소를 3%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다음 50℃에서 30분∼120분 동안 30분 단위로 효소 처리하여 효소분해액을 얻었다.
상기의 효소분해액의 효소의 불활성화 및 추출을 위해 100℃에서 8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여과포에 여과하고 7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어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2>
초음파 처리 대신 7kHz에서 30분 동안 저주파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3>
초음파 처리 대신 15kv에서 30분 동안 전기장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 고는 상기 실시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4>
초음파 처리 대신 20가우스(Gauss)에서 30분 동안 자기장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1>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 황기추출물 93.5중량%, 식물추출물 2중량%, 대추엑기스 1중량%, 쌍화엑기스 0.5중량%, 벌꿀 0.5중량%를 혼합하고 100rpm으로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유리병에 후 통상의 살균처리를 실시하여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황기추출물은 황기 5중량%, 울금 0.8중량%, 인진쑥 0.5중량%, 당귀 0.5중량%, 천궁 0.5중량%를 정제수 92.7중량%에 넣어 9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식물추출물은 단삼 5중량%, 인삼 5중량%, 숙지황 5중량%, 구기자 5중량%, 황기 5중량%를 정제수 75중량%에 넣어 100℃에서 50분 동안 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대추엑기스는 대추 20중량%를 정제수 80중량%에 넣어 100℃에서 60분 동안 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후 20브릭스(brix)로 농축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쌍화엑기스는 백작약 3중량%, 황기 3중량%, 당귀 3중량%, 천궁 3중량%, 대추 3중량%, 생강 3중량%, 숙지황 3중량%, 감초 3중량%, 계피 3중량%를 정제수 77중량%에 넣어 100℃에서 60분 동안 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2>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3>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4>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5>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4-2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6>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4-3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7>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4-4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8>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5-1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9>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5-2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10>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5-3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11>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5-4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음료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0중량%, 정제수 94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음료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3.0중량%, 정제수 93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3>
상기 실시예 6-1 내지 실시예 7에서 제조한 각각의 음료를 실험군으로 하고, 실시예 6-1에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대신 비교예에서 제조한 황기 추출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음료를 대조구로 하여 상기 실험군 및 대조구에 대해 맛, 전체적인 기호도와 같은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7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관능검사는 음료분야에서 관능검사경력 3년 이상의 관능검사요원 20명(남여 각각 10명)으로 하여금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표 7. 실험군 및 대조구의 관능검사
항목 | 맛 | 전체적인 기호도 |
실시예 6-1 | 4.2 | 4.1 |
실시예 6-2 | 4.1 | 4.1 |
실시예 6-3 | 4.1 | 4.1 |
실시예 6-4 | 4.0 | 4.0 |
실시예 6-5 | 4.0 | 4.0 |
실시예 6-6 | 4.0 | 4.0 |
실시예 6-7 | 4.0 | 4.0 |
실시예 6-8 | 4.1 | 4.2 |
실시예 6-9 | 4.1 | 4.1 |
실시예 6-10 | 4.0 | 4.0 |
실시예 6-11 | 4.1 | 4.1 |
실시예 7 | 4.0 | 4.1 |
실시예 8 | 4.0 | 4.1 |
대조구 | 3.6 | 3.7 |
*상기 표 7에서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수치는 관능검사요원들의 점수의 총합을 관능검사요원수로 나눈 다음 소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관능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표 7에서처럼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인 실험구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구와 대비시 동등 수준 이상의 관능성을 지니고 있어 관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및 폴리페놀(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 등이 증가하여 항산화 활성이 높으며, 황기가 갖는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증가 시킬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이러한 음료를 섭취시 섭취자의 건강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효소처리 황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및 폴리페놀(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 등이 증가하여 항산화 활성이 높으며, 황기가 갖는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증가 시킬 수 있는 특성을 지니는 추출물을 얻을 수 있어 이러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음료의 형태로 제공하여 이를 섭취하는 섭취자에 대한 건강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황기에 대한 새로운 소비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황기의 재배농가 및/또는 채취농가에 경제적인 이득 향상에도 일조할 수 있다.
Claims (6)
- (1)마쇄한 황기를 정제수에 넣고 펑가밀(Fungamyl) 또는 클라리세브(Clariseb)의 효소를 첨가하고 효소반응시켜 효소분해액을 얻는 단계;(2)상기의 효소분해액을 추출하여 황기 효소 추출물을 얻는 단계;(3)상기의 황기 효소 추출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 후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마쇄한 황기를 황기 중량 대비 5∼2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펑가밀(Fungamyl) 또는 클라리세브(Clariseb)의 효소를 1∼5%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45∼55℃에서 30분∼120분 동안 30분 단위로 효소 처리하여 효소분해액을 얻은 후 90∼110℃에서 1∼10시간 동안 추출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여과하고 6000∼8000rpm으로 10∼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황기를 추출하기 전에 황기를 초음파 처리, 저주파 처리, 전기장 처리, 자기장 처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항의 방법에 의해 제 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 음료에 있어서,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 음료의 제조에 있어서,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6662A KR101129462B1 (ko) | 2009-12-18 | 2009-12-18 | 제천산 gap 황기를 이용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6662A KR101129462B1 (ko) | 2009-12-18 | 2009-12-18 | 제천산 gap 황기를 이용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0024A true KR20110070024A (ko) | 2011-06-24 |
KR101129462B1 KR101129462B1 (ko) | 2012-03-28 |
Family
ID=4440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6662A KR101129462B1 (ko) | 2009-12-18 | 2009-12-18 | 제천산 gap 황기를 이용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946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6809A (ko) * | 2017-06-15 | 2018-12-26 | 농업회사법인(주)가고파힐링푸드 |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0418B1 (ko) * | 1990-08-31 | 1993-01-21 | 최주채 | 곡류와 생약류를 주성분으로 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
KR100886201B1 (ko) * | 2006-06-30 | 2009-03-05 |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 초음파추출로 제조된 제천산 황기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KR100844516B1 (ko) * | 2007-02-12 | 2008-07-08 |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101066434B1 (ko) * | 2009-02-18 | 2011-09-23 | 주식회사 의림바이오텍 | 효소전환 황기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2009
- 2009-12-18 KR KR1020090126662A patent/KR10112946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6809A (ko) * | 2017-06-15 | 2018-12-26 | 농업회사법인(주)가고파힐링푸드 | 한방 삼계탕 재료 시즈닝 분말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29462B1 (ko) | 2012-03-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0522B1 (ko) | 감귤 및 녹차 추출액을 이용한 콤부차 제조방법 | |
Smolskaitė et al. | Comprehensive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different mushroom species | |
Shori et al. | Total phenols,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of bread fortified with spearmint | |
KR20190085339A (ko) | 무농약 인삼 농축액,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 |
KR100844185B1 (ko) |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쑥차 제조 방법 | |
KR20170089259A (ko) |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및 그 제조방법 | |
KR20150143294A (ko) | 천연발효효소 제조방법 | |
Rana et al. | Bio-utilization of wild berries for preparation of high valued herbal wines | |
Nantakornsuttanan et al. | Anti-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of different varieties of chili peppers extracts. | |
CN107625018A (zh) | 一种发酵生姜叶饮料的制备方法 | |
KR101129462B1 (ko) | 제천산 gap 황기를 이용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 |
KR20180057356A (ko) | 동백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차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61491B1 (ko) |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 |
KR101438717B1 (ko) | 간세포 보호작용을 갖는 민들레 복합식물 발효추출 조성물 | |
Fabunmi et al. |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ed kolanut husk and testa of three species of kolanut: Cola acuminata, Cola nitida and Cola verticillata | |
KR20210095596A (ko) | 배 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농축액 제조방법 | |
CN113349317A (zh) | 无花果复合功能饮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KR101292313B1 (ko) | 흑대추의 제조방법 | |
Tias et al. | Antioxidant Activity Test of Sungkai Leaf (Peronema canescens Jack) Steeping Drink with the Addition of Honey | |
KR101192261B1 (ko) | 백련 식초 제조방법 | |
KR100998246B1 (ko) | 어성초와 삼백초 추출액을 함유한 김치의 제조방법 | |
KR20070034801A (ko) | 높은 유해 산소 제거 능력을 갖는 차가버섯 발효 음료의제조 | |
KR20200131555A (ko) | 건강기능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TWI740536B (zh) | 平臥菊三七萃取物用於製備改善睡眠品質的組合物之用途 | |
KR102585303B1 (ko) |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식품첨가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