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491B1 -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1491B1 KR101661491B1 KR1020140112673A KR20140112673A KR101661491B1 KR 101661491 B1 KR101661491 B1 KR 101661491B1 KR 1020140112673 A KR1020140112673 A KR 1020140112673A KR 20140112673 A KR20140112673 A KR 20140112673A KR 101661491 B1 KR101661491 B1 KR 1016614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ble
- vegetables
- extract
- water
- micron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1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16
- 235000015192 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2
- 241001513212 Allium hookeri Species 0.000 title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03130 Arctium lapp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08078 Arctium min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44000000626 Daucus caro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4000014047 Polianthes tuberos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6067 Polianthes tuberos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40000005528 Arctium lapp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2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40000000599 Lentinula edode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5418 vegetabl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01715 Lentinula edod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41000220259 Rapha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41000208843 Arct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2292 Radical scaven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102000003425 Tyrosin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1
- 108060008724 Tyrosi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LNTHITQWFMADLM-UHFFFAOYSA-N gal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O)=C(O)C(O)=C1 LNTHITQWFMADL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02100024295 Maltase-glucoamyl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OUUQCZGPVNCOIJ-UHFFFAOYSA-M Su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OUUQCZGPVNCOI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7
- 108010028144 alpha-Glucos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MGJZITXUQXWAKY-UHFFFAOYSA-N diphenyl-(2,4,6-trinitrophenyl)iminoazanium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MGJZITXUQXWA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XUMBMVFBXHLACL-UHFFFAOYSA-N Melanin Chemical compound O=C1C(=O)C(C2=CNC3=C(C(C(=O)C4=C32)=O)C)=C2C4=CNC2=C1C XUMBMVFBXHLAC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102000004139 alpha-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90000637 alpha-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29940024171 alpha-amylase Drug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 sulfur sulfur amino acid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8111 thiosulfi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60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TUJKJAMUKRIRHC-UHFFFAOYSA-N hydroxyl Chemical compound [OH] TUJKJAMUKRIRH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750 Crude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02000016387 Pancreatic elast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10067372 Pancreatic elas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93 cad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BDOSMKKIYDKNTQ-UHFFFAOYSA-N cadmium atom Chemical compound [Cd] BDOSMKKIYDKNT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849 elastase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40074391 gal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4515 gal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254 radic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00 scaven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JMGZEFIQIZZSBH-UHFFFAOYSA-N Bioquercetin Natural products CC1OC(OCC(O)C2OC(OC3=C(Oc4cc(O)cc(O)c4C3=O)c5ccc(O)c(O)c5)C(O)C2O)C(O)C(O)C1O JMGZEFIQIZZSB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3
- XUJNEKJLAYXESH-REOHCLBHSA-N L-Cysteine Chemical compound SC[C@H](N)C(O)=O XUJNEKJLAYXESH-REOHCLBHSA-N 0.000 description 3
- WTDRDQBEARUVNC-UHFFFAOYSA-N L-Dopa Natural products OC(=O)C(N)CC1=CC=C(O)C(O)=C1 WTDRDQBEARUVN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ZZLHPCSGGOGHFW-UHFFFAOYSA-N S-methyl-L-cysteine sulphoxide Natural products CS(=O)CC(N)C(O)=O ZZLHPCSGGOGH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78 anti-diab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784 crude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IVTMALDHFAHOGL-UHFFFAOYSA-N eriodictyol 7-O-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C1OCC1C(O)C(O)C(O)C(OC=2C=C3C(C(C(O)=C(O3)C=3C=C(O)C(O)=CC=3)=O)=C(O)C=2)O1 IVTMALDHFAHOG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752 mela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30027945 nicotinamide-adenine dinucleot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BOPGDPNILDQYTO-NNYOXOHSSA-N nicotinamide-adenine dinucleotide Chemical compound C1=CCC(C(=O)N)=CN1[C@H]1[C@H](O)[C@H](O)[C@@H](COP(O)(=O)OP(O)(=O)OC[C@@H]2[C@H]([C@@H](O)[C@@H](O2)N2C3=NC=NC(N)=C3N=C2)O)O1 BOPGDPNILDQYTO-NNYOXOHS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FDRQPMVGJOQVTL-UHFFFAOYSA-N quercetin 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FDRQPMVGJOQVT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IKGXIBQEEMLURG-BKUODXTLSA-N rut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C@@H]1OC[C@H]1[C@H](O)[C@@H](O)[C@H](O)[C@@H](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IKGXIBQEEMLURG-BKUODXTLSA-N 0.000 description 3
- ALABRVAAKCSLSC-UHFFFAOYSA-N rutin Natural products CC1OC(OCC2OC(O)C(O)C(O)C2O)C(O)C(O)C1OC3=C(Oc4cc(O)cc(O)c4C3=O)c5ccc(O)c(O)c5 ALABRVAAKCSLS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493 ru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4555 rutosid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5239 tubul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ZZLHPCSGGOGHFW-KTCWOMIQSA-N (2r)-2-azaniumyl-3-[(s)-methylsulfinyl]propanoate Chemical compound C[S@](=O)C[C@H](N)C(O)=O ZZLHPCSGGOGHFW-KTCWOMIQ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7274 Alpha glucosidase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WTDRDQBEARUVNC-LURJTMIESA-N L-DOPA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O)C(O)=C1 WTDRDQBEARUVNC-LURJTMIE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UFWIBTONFRDIAS-UHFFFAOYSA-N Naphthal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CC=C21 UFWIBTONFRDI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2641 Pigmentat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88 alpha glucosidase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HEAADYXPMHMCT-UHFFFAOYSA-N dpph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HHEAADYXPMHMC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RWSXRVCMGQZWBV-WDSKDSINSA-N glutathio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O)N[C@@H](CS)C(=O)NCC(O)=O RWSXRVCMGQZWBV-WDSKDSIN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616 inductively coupled plasma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NOESYZHRGYRDHS-UHFFFAOYSA-N insulin Chemical compound N1C(=O)C(NC(=O)C(CCC(N)=O)NC(=O)C(CCC(O)=O)NC(=O)C(C(C)C)NC(=O)C(NC(=O)CN)C(C)CC)CSSCC(C(NC(CO)C(=O)NC(CC(C)C)C(=O)NC(CC=2C=CC(O)=CC=2)C(=O)NC(CCC(N)=O)C(=O)NC(CC(C)C)C(=O)NC(CCC(O)=O)C(=O)NC(CC(N)=O)C(=O)NC(CC=2C=CC(O)=CC=2)C(=O)NC(CSSCC(NC(=O)C(C(C)C)NC(=O)C(CC(C)C)NC(=O)C(CC=2C=CC(O)=CC=2)NC(=O)C(CC(C)C)NC(=O)C(C)NC(=O)C(CCC(O)=O)NC(=O)C(C(C)C)NC(=O)C(CC(C)C)NC(=O)C(CC=2NC=NC=2)NC(=O)C(CO)NC(=O)CNC2=O)C(=O)NCC(=O)NC(CCC(O)=O)C(=O)NC(CCCNC(N)=N)C(=O)NCC(=O)NC(CC=3C=CC=CC=3)C(=O)NC(CC=3C=CC=CC=3)C(=O)NC(CC=3C=CC(O)=CC=3)C(=O)NC(C(C)O)C(=O)N3C(CCC3)C(=O)NC(CCCCN)C(=O)NC(C)C(O)=O)C(=O)NC(CC(N)=O)C(O)=O)=O)NC(=O)C(C(C)CC)NC(=O)C(CO)NC(=O)C(C(C)O)NC(=O)C1CSSCC2NC(=O)C(CC(C)C)NC(=O)C(NC(=O)C(CCC(N)=O)NC(=O)C(CC(N)=O)NC(=O)C(NC(=O)C(N)CC=1C=CC=CC=1)C(C)C)CC1=CN=CN1 NOESYZHRGYRD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85 irri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021 irri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group Chemical group C1(=CC=CC=C1)O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63 phosph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88 sampl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SQGYOTSLMSWVJD-UHFFFAOYSA-N silver(1+) nitrate Chemical compound [Ag+].[O-]N(=O)=O SQGYOTSLMSWV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759 skin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OUYCCCASQSFEME-UHFFFAOYSA-N tyrosine Chemical compound OC(=O)C(N)CC1=CC=C(O)C=C1 OUYCCCASQSFEM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UUUHXMGGBIUAPW-UHFFFAOYSA-N 1-[1-[2-[[5-amino-2-[[1-[5-(diaminomethylideneamino)-2-[[1-[3-(1h-indol-3-yl)-2-[(5-oxopyrrolidine-2-carbonyl)amino]propanoyl]pyrrolidine-2-carbonyl]amino]pentanoyl]pyrrolidine-2-carbonyl]amino]-5-oxopentanoyl]amino]-3-methylpentanoyl]pyrrolidine-2-carbon Chemical compound C1CCC(C(=O)N2C(CCC2)C(O)=O)N1C(=O)C(C(C)CC)NC(=O)C(CCC(N)=O)NC(=O)C1CCCN1C(=O)C(CCCN=C(N)N)NC(=O)C1CCCN1C(=O)C(CC=1C2=CC=CC=C2NC=1)NC(=O)C1CCC(=O)N1 UUUHXMGGBIUAP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KMHFZQWWAIEOD-UHFFFAOYSA-N 2-[4-(2-hydroxyethyl)piperazin-1-yl]ethane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NH+]1CCN(CCS([O-])(=O)=O)CC1 JKMHFZQWWAIE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WKSKIMOESPYIA-UHFFFAOYSA-N 2-acetamido-3-sulfanyl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O)NC(CS)C(O)=O PWKSKIMOESPY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KNYBSVHEMOAJP-UHFFFAOYSA-N 2-amino-2-(hydroxymethyl)propane-1,3-diol;hydron;chloride Chemical compound Cl.OCC(N)(CO)CO QKNYBSVHEMOA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DMUXYQIMRDWRC-UHFFFAOYSA-N 2-hydroxy-3,4-dinitro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N+]([O-])=O)C([N+]([O-])=O)=C1O WDMUXYQIMRDWR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IUMMUBSPKGMOY-UHFFFAOYSA-N 3,3'-Dithiobis(6-nitro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N+]([O-])=O)C(C(=O)O)=CC(SSC=2C=C(C(=CC=2)[N+]([O-])=O)C(O)=O)=C1 KIUMMUBSPKGM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507 AID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JDLKFOPOAOFWQN-VIFPVBQESA-N Allicin Natural products C=CCS[S@](=O)CC=C JDLKFOPOAOFWQN-VIFPVBQESA-N 0.000 description 1
- XUHLIQGRKRUKPH-GCXOYZPQSA-N Alliin Natural products N[C@H](C[S@@](=O)CC=C)C(O)=O XUHLIQGRKRUKPH-GCXOYZPQ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2 Amyl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45403 Astragalus propinqu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BTYJOAGCBJQFNL-UHFFFAOYSA-N CO[S+]=S Chemical compound CO[S+]=S BTYJOAGCBJQFN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7269 Carcinogenic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75108 Citrus tanger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1394 Disacchar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AHMIDUVKSGCHAU-UHFFFAOYSA-N Dopaquinone Natural products OC(=O)C(N)CC1=CC(=O)C(=O)C=C1 AHMIDUVKSGCH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16942 Elast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4258 Elas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4970 Ephelid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331 Foodbor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711 Gangren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4636 Glutathi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886 Glyc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288 Glyc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95 HEPE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57 Hydro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04 Hydro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877 Ins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1061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78 Iron(III)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96 Kjeldah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1 L-cyste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78 L-cyste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HMIDUVKSGCHAU-LURJTMIESA-N L-dopaquinone Chemical compound [O-]C(=O)[C@@H]([NH3+])CC1=CC(=O)C(=O)C=C1 AHMIDUVKSGCHAU-LURJTMIESA-N 0.000 description 1
- FFEARJCKVFRZRR-BYPYZUCNSA-N L-methionine Chemical compound CSCC[C@H](N)C(O)=O FFEARJCKVFRZRR-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435 Li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351 Mela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GRYLNZFGIOXLOG-UHFFFAOYSA-N N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N+]([O-])=O GRYLNZFGIOXLO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270 Peptidyl-Dipeptidase 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882 Peptidyl-Dipeptidase 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005 Prostaglandin-endoperoxide synth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459 Prostaglandin-endoperoxide synth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OKYHUOHBRKWCQJ-FTJYXMLISA-N S-1-propenyl-L-cysteine sulfoxide zwitterion Chemical compound C\C=C\S(=O)C[C@H](N)C(O)=O OKYHUOHBRKWCQJ-FTJYXMLISA-N 0.000 description 1
- XUHLIQGRKRUKPH-UHFFFAOYSA-N S-allyl-L-cysteine sulfoxide Natural products OC(=O)C(N)CS(=O)CC=C XUHLIQGRKRUKP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533293 Sesbania em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ABBQHOQBGMUPJH-UHFFFAOYSA-M Sodium salicylate Chemical compound [Na+].OC1=CC=CC=C1C([O-])=O ABBQHOQBGMUPJ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44 Soxhle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UCKMPCXJQFINFW-UHFFFAOYSA-N Sulphide Chemical compound [S-2] UCKMPCXJQFIN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83 Tr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1000666125 Triticum aestivum Wheatwin-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126002 Ziziph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AQHXGSHRMHVMU-UHFFFAOYSA-N [S].[S] Chemical compound [S].[S] XAQHXGSHRMHVM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DLKFOPOAOFWQN-UHFFFAOYSA-N allicin Chemical compound C=CCSS(=O)CC=C JDLKFOPOAOFW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081 allic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UHLIQGRKRUKPH-DYEAUMGKSA-N alliin Chemical compound OC(=O)[C@@H](N)C[S@@](=O)CC=C XUHLIQGRKRUKPH-DYEAUMGK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95 alli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24606 amino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7 antagon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59 anti-tumo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82 aromatic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91 aromat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533 astraga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2 bi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3 buffer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9934 carbohyd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60 carcinogen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70 carcinogen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87 chromatography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KYHUOHBRKWCQJ-UHFFFAOYSA-N cis S-1-Propenyl-L-cystein Natural products CC=CS(=O)CC(N)C(O)=O OKYHUOHBRKWCQ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UJNEKJLAYXESH-UHFFFAOYSA-N cysteine Natural products SCC(N)C(O)=O XUJNEKJLAYXE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417 cyste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67 deionis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1 deionized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925 dental car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7 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8379 digestive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7734 digestive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HUWZNTUIIFHAS-CLFAGFIQSA-N dioleoyl phosphatid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COP(O)(O)=O)OC(=O)CCCCCCC\C=C/CCCCCCCC MHUWZNTUIIFHAS-CLFAGFIQ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49 elas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2 enzyme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39 epiderm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9 eth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577 familial hyperlipid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50 fibrobl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0136 gastric empty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07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80 glutathi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84 green leafy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83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4 ho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866 inflammat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396 insu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47 intestinal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RBTARNINKXHZNM-UHFFFAOYSA-K iron tr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Fe](Cl)Cl RBTARNINKXHZNM-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502 levodopa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59 lipid per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423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534 mechanism of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817 methion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20 microwave diges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278 mit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9 mouth feel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71 muta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07 mutagenic chemical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05 muta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604 nitric aci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96 pancrea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8 petrochem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612 pi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2 reactive oxygen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61 silver nitr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27 ski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025 sodium salicy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6 standar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70 steroid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556 stomach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34 stratum corne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3 sulf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64 sulfur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6 target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827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553 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채를 활용하여 건강 기능을 더욱 강화한 삼채를 이용한 야채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81~84%의 정제수, 7.8~8.5%의 무, 4.5~5.5%의 당근, 2.2~3.0%의 우엉, 0.2~1.0%의 무청, 0.2~1.0%의 표고버섯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중량기준으로 야채 재료와 정제수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내용물을 10미크론 ~ 100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입자가 통과하는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야채 추출물을 얻는 야채 추출물 추출 단계와; 삼채 뿌리를 가로, 세로 및 높이가 0.1~1cm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세절하고 55~65℃의 드라이 오븐에서 20~40분 정도 건조한 다음, 80~85%의 정제수, 15~20%의 상기 건조된 삼채 뿌리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건조된 삼채 뿌리와 정제수를 중량기준으로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3500~4500rpm으로 25~3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내용물을 10미크론 ~ 100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입자가 통과하는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삼채 추출물을 얻는 삼채 추출물 추출 단계와; 상기 추출된 야채 추출물과 삼채 추출물을 부피비율로 80:20~98:2의 범위 내에서 혼합하여 삼채 함유 야채수를 얻는 혼합 단계를 포함하는 삼채를 이용한 야채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은 불규칙한 식사, 잦은 음주, 운동부족 등에 의해 고혈압, 당뇨병, 혈관성 질환 등 생활 습관병 발병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단순히 먹는 것보다는 영양성, 기호성, 위생성, 기능적 측면을 고려하는 자연 건강식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식생활 방식의 변화로 야채 등의 섭취량이 점점 줄어들어 각종 성인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현대인들은 건강을 유지하고, 채소류 등에서 얻을 수 있는 영양성분을 손쉽게 보충 할 수 있는 음료형태를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야채를 가공하여 만든 천연 야채 음료는 쉽게 섭취 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유용 폴리페놀 및 다량의 식이섬유에 의한 장관계 질환 예방, 혈당농도 조절 및 항산화 효과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채는 뿌리 부추라고도 부르며 미얀마, 인도 등지에서 주로 섭취하는 채소로 우리나라의 파, 마늘처럼 쉽게 애용되는 채소이며 현지에서는 민간처방으로 다양한 염증 질환과 암 질환 등에 사용하였으며 미얀마 의학사전에 따르면 삼체는 다량의 식이유황이 포함되어 그 효능이 식이유황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마늘보다 6배 많이 함유한 삼채의 유황은 함 유황아미노산(메티오닌, 시스테인)을 구성하고 있고 항산화 및 해독작용을 하는 글루타치온 구성성분이며 콜라겐 및 당단백의 구성성분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각종 성장인자의 작용에 필수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삼채를 활용하여 건강 기능을 더욱 강화한 야채 음료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요망 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삼채를 활용하여 건강 기능을 더욱 강화한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은, 81~84%의 정제수, 7.8~8.5%의 무, 4.5~5.5%의 당근, 2.2~3.0%의 우엉, 0.2~1.0%의 무청, 0.2~1.0%의 표고버섯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중량기준으로 야채 재료와 정제수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내용물을 10미크론 ~ 100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입자가 통과하는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야채 추출물을 얻는 야채 추출물 추출 단계와; 삼채 뿌리를 가로, 세로 및 높이가 0.1~1cm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세절하고 55~65℃의 드라이 오븐에서 20~40분 정도 건조한 다음, 80~85%의 정제수, 15~20%의 상기 건조된 삼채 뿌리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건조된 삼채 뿌리와 정제수를 중량기준으로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3500~4500rpm으로 25~3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내용물을 10미크론 ~ 100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입자가 통과하는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삼채 추출물을 얻는 삼채 추출물 추출 단계와; 상기 추출된 야채 추출물과 삼채 추출물을 부피비율로 80:20~98:2의 범위 내에서 혼합하여 삼채 함유 야채수를 얻는 혼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삼채를 활용하여 건강 기능을 더욱 강화한 야채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의 공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 활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환원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TPC(total polyphenol conten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TFC(total flavonoid conten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TTC(total thiosulfinate)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α-Glucosidase 항 당료 활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α-Amylase 항 당료 활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tyrosinase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elastase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의 공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 활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환원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TPC(total polyphenol conten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TFC(total flavonoid conten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TTC(total thiosulfinate)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α-Glucosidase 항 당료 활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α-Amylase 항 당료 활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tyrosinase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elastase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의 공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의 공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주 원료인 삼채추출물의 맛을 잡아주기 위한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 등을 포함하는 야채들에서 야채 추출물을 추출하는 야채 추출물 추출 단계(단계 S102~S112)와; 삼채 뿌리에서 삼채 추출물을 추출하는 삼채 추출물 추출 단계(단계 S114~S124)와; 상기 추출된 야채 추출물과 삼채 추출물을 혼합하여 야채수를 얻는 혼합 단계(단계 S126)를 포함한다.
상기 야채 추출물 추출 단계는, 야채 재료로서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을 준비하는 야채 재료 준비 단계(단계 S102)와; 이들 준비한 야채 재료를 물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껍질이 있는 야채인 무, 당근, 우엉의 껍질을 벗겨내는 세척 및 박피 단계(단계 S104)와; 각각의 야채 재료를 예를 들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0.1~1cm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세절하는 세절 단계(단계 S106)와; 상기 세절된 야채 재료인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과 정제수를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는 가열단계(단계 S108)와; 상기 단계 S108의 내용물을 여과하여 야채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S110~S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S108에서는 중량기준으로 81~84%의 정제수, 7.8~8.5%의 무, 4.5~5.5%의 당근, 2.2~3.0%의 우엉, 0.2~1.0%의 무청, 0.2~1.0%의 표고버섯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야채 재료와 정제수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한다.
또한, 상기 단계 S110에서는 10미크론 ~ 100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입자가 통과하는 여과망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삼채 추출물 추출 단계는, 삼채 중에서 삼채 뿌리만을 잘라서 준비하는 단계(단계 S114)와; 준비한 삼채 뿌리를 흐르는 물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나서 물기를 제거하고 예를 들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0.1~1cm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세절한 다음에 55~65℃의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20~40분 정도 건조하는 세척 및 건조 단계(단계 S116)와; 건조된 삼채 뿌리와 정제수를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는 가열단계(단계 S118)와; 상기 단계 S118의 내용물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3500~4500rpm으로 25~35분 동안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 단계(단계 S120)와; 상기 단계 S120의 내용물을 여과하여 삼채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S122~S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S118에서는 중량기준으로 80~85%의 정제수, 15~20%의 건조 삼채 뿌리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건조된 삼채 뿌리와 정제수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한다.
또한, 상기 단계 S122에서는 10미크론 ~ 100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입자가 통과하는 여과망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혼합단계(단계 S126)에서는 단계 S112에서의 야채 추출물과 단계 S124에서의 삼채 추출물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야채수를 얻는다. 이때, 야채 추출물과 삼채추출물의 혼합 비율은 부피비율로 80:20 ~ 98:2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깅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의 제조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야채수 제조]
야채 재료로서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을 준비하고, 물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껍질이 있는 야채인 무, 당근, 우엉의 껍질을 벗겨낸 다음에 각각의 야채 재료를 가로, 세로 및 높이가 0.5cm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세절하였다. 그후, 세절된 야채 재료인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과 정제수를 중량 기준으로 정제수 83%, 무 8.3%, 당근 5.0%, 우엉 2.7%, 무청 0.5%, 표고버섯 0.5%의 비율로 혼합하고, 125℃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지 Whatman No.1을 사용하여 여과해서 야채 추출물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야채 추출물을 밀봉하고 4℃의 온도에서 보관하였다.
또한, 삼채 뿌리를 흐르는 물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나서 물기를 제거하고 가로, 세로 및 높이가 0.5cm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세절한 다음에 60℃의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30분 정도 건조하였다. 그후, 건조된 삼채 뿌리와 정제수를 중량 기준으로 정제수 83%와 건조 삼채 뿌리 17%의 비율로 혼합하고, 125℃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원심분리기에서 4000rpm으로 30분 동안 원심분리한 다음에 여과지 Whatman No.1을 사용하여 여과해서 삼채 추출물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삼채 추출물을 밀봉하고 4℃의 온도에서 보관하였다.
그후, 야채 추출물과 삼채 추출물의 혼합비율(단위 mL)을 [표 1]과 같이 삼채 함유 야채수를 제조하였다.
야채수(S0) | 야채수(S5) | 야채수(S10) | 야채수(S20) | 야채수(S100) | |
삼채추출물 | 0 | 9 | 10 | 20 | 100 |
야채추출물 | 100 | 95 | 90 | 80 | 0 |
[항산화 실험]
1. 삼채 함유 야채수의 유리기 소거 활성
유리기 소거활성은 주로 DPPH 라디칼, Hydroxyl 라디칼, Superoxide 라디칼의 소거활성을 측정한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시험]
안정한 라디칼 형태인 DPPH 라디칼(radical)이 항산화제에 의해 전자를 공여하여 라디칼이 소거되면서 DPPH 라디칼 용액이 보라색에서 탈색되는 것을 흡광도 515nm에서 평가, 항산화제에 의한 라디칼의 소거 정도를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보라색)은 항산화제(AH)와 반응하여 수소전자를 공여하여 라디칼이 소거되거나 다른 라디칼 종(R)과 전자 하나를 공여하여 DPPH 라디칼이 소거된다.
시료 용액 4mL와 DPPH 2mL를 혼합하여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켜 4000rpm으로 5분동안 원심분리를 하여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 517nm에서 측정을 하였다.
공시험은 샘플과 에탄올 희석액으로 하고 기준값은 DPPH와 에탄올을 혼합액으로 하여 동일 실험으로 하였다.
(Ablank-Asample)×100/Ablank
[Hydroxyl 라디칼 소거 활성 시험]
시료 1ml에 살리실산나트륨(sodium salicylate) 0.3ml와 FeSO4 용액 1.0ml를 혼합하고 H2O2 0.7ml를 첨가하여 수욕상에서 37℃로 1시간동안 반응을 시킨 뒤 흡광도 56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공시험은 H2O2 대신 증류수로 대체하여 실험을 하였다.
[Superoxide 라디칼 소거 활성 시험]
시료 1.5ml에 0.5ml NADH를 혼합하여 여기에 0.5ml NBT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다시 혼합후 0.5ml PMS를 혼합하여 수욕(water bath)에서 25℃에 5분간 반응 시켜 4000rpm으로 5분동안 원심 분리를 하였다. 원심 분리후 상등액을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ontrol은 증류수 + NADH + NBT + PMS를 사용했고 샘플Control은 샘플 + NADH + NBT + 증류수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유리기 소거활성이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며 각각의 비율로 제조된 삼채 함유 야채수의 유리기 소거활성 능력을 분석하였다. 삼채 함유 야채수의 유리기 소거활성 측정 결과(소거활성, %)는 [표 2]와 같았다.
야채수 S0 | 야채수 S5 | 야채수 S10 | 야채수 S20 | 야채수 S100 | |
DPPH radical | 86.56±0.26 | 86.90±0.00 | 87.94±0.01 | 89.27±0.05 | 97.05±0.97 |
Hydroxyl radical | 85.27±0.77 | 86.84±1.27 | 88.36±1.48 | 89.97±0.81 | 99.80±0.69 |
Superoxide radical | 95.44±0.64 | 97.36±0.91 | 98.68±0.45 | 98.90±0.87 | 99.36±0.49 |
DPPH 라디칼은 짙은 자색을 띄는 비교적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항산화제, 방향족 아민류 등에 의해 환원되어 색이 탈색된다. 이것은 다양한 천연소재로부터 항산화물질을 검색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DPPH 라디칼 소거 측정 결과, 야채 추출물(야채수 S0)는 86.56%, 삼채 추출물(야채수 S100)은 97.05%로 야채 추출물 보다 더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고, 삼채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DPPH의 소거 활성 능력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도 2 참조).
Hydroxyl 라디칼은 활성산소 중 반능성이 매우 강하여 Superoxide anion 라디칼과 더불어 세포막으로부터 수소를 빼앗아 생체 고분자의 산화 및 지질과산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채 추출물(야채수 S0)는 85.27%인 반면에 삼채 추출물(야채수 S100)은 99.80%로 매우 높은 Hydroxyl 라디칼 소거 능력을 가졌으며, 삼채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더 강하게 나타났다(도 3 참조).
Superoxide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 야채 추출물(야채수 S0)와 삼채 추출물(야채수 S100) 모두 높은 활성을 보이지만 삼채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Superoxide 라디칼 소거 활성이 조금씩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다(도 4 참조).
결론적으로, 삼채 추출물의 첨가는 기존 야채수보다 모든 항산화력 측정에서 더 나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2. 삼채 야채수의 환원력
시료 1.0ml에 2.5ml의 인산염완충액(0.2M,pH 6.6) 2.5ml, 1% potassium ferricynide를 혼합하여 수욕에서 50℃에 20분간 반응을 시켰다. 2.5ml 10% Trichoroacetic acid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 2.5ml에 증류수 2.5ml와 0.5ml 0.1% ferric chloride 용액을 넣어 혼합하여 흡광도 700nm에서 측정하였다.
환원력은 철 이온의 환원력 (Fe3+→ Fe2+로 변화)에 대한 대상 물질의 항산화력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항산화 능력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삼채 추출물과 삼채 야채수의 환원력 측정한 결과(700nm에서의 흡광도)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야채 추출물(야채수 S0)보다 삼채 추출물(야채수 S100)이 많이 강한 환원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야채 추출물과 삼채 추출물의 환원력은 각각 1.08과 1.74가 나타났다. 삼채 추출물의 비율이 증가할 수록 삼채 야채수의 환원력도 높아졌다(도 5 참조).
야채w수 S0 | 야채수 S5 | 야채수 S10 | 야채수 S20 | 야채수 S100 | |
흡광도 | 1.08±0.03 | 1.11±0.04 | 1.14±0.03 | 1.14±0.03 | 1.74±0.14 |
[생리 활성 물질 함량]
삼채야채수의 생리 활성 물질에 대해서 TPC(total polyphenol content), TFC(total flavonoid content), TTC(total thiosulfinate content)를 분석하였다.
[TPC 분석]
Lowry법을 변형하여 측정하는데 시료 100μL와 증류수 7.9mL, Folin-Ciocalteau reagent 시약 0.5mL를 넣고 혼합한 다음 15분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15분 뒤 1.5mL의 Na2CO3를 넣고 혼합하여 암소에 2시간동안 반응시켜 흡광도 76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표준곡선은 gallic acid를 equivalents화 시켜서 표준곡선을 그렸다
[TFC 분석]
시료 1ml를 증류수 4ml로 희석하고 5% NaNO2 용액 0.3ml를 넣고 실온에서 5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후 10% AlCl3 0.3ml를 추가하고 10분동안 실온에 방치시키고 색을 고정하기 위해서 1M NaOH 2ml를 넣었다. 혼합물을 증류수 10ml로 희석하고 흡광도 510nm에서 측정하였다. 표준곡선은 표준 루틴 용액을 단계별로 희석하여 표준곡선을 그려서 사용하였다
[TTC 분석]
시료 용액 0.5ml에 2mM L-cysteine 0.5ml을 혼합한 후 HEPES(50mM, pH 7.5) 완충액을 넣은 뒤 수욕에서 2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혼합액의 상등액을 1ml와 0.4mM DTNB 용액을 혼합하여 다시 27℃에서 10분간 반응 후에 5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계산식은 아래에 제시한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TTC (mM) = A×B/(14150×2)
여기서, A는 공시험(샘플대신 증류수로 실험 진행한)의 흡광도이고, B는 L-cysteine의 희석 계수이다.
페놀계 물질들은 식물체에 특수한 색깔을 부여하고, 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phenolic ydroxyl(OH)기를 가진 방향족 화합물들을 가리키며, 플라보노이드와 탄닌이 주성분으로 충치 예방, 고혈압 억제, 항에이즈, 항산화,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가진다. TPC와 TFC는 각각 Gallic acid equivalent화 Rutin equivalent를 이용하여 표시하였다(표 4 참조). TPC의 함량은 기존 야채수(야채수 S0)보다 삼채 추출물(야채수 S100)이 27.24 mgGAE/ml로 많음 함량을 보였지만 TFC의 경우 기존 야채수(야채수 S0)보다 적은 9.81 mgRE/ml만 함유하고 있었다.
TPC의 경우 삼채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함량이 많이 증가함을 보였다(도 6 참조). 반대로 TFC의 경우 삼채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도 7 참조).
야채수 S0 | 야채수 S5 | 야채수 S10 | 야채수 S20 | 야채수 S100 | |
TPC | 15.46±1.97 | 15.73±1.96 | 17.00±2.63 | 18.19±2.23 | 27.24±2.50 |
TFC | 23.98±0.00 | 23.08±0.25 | 22.48±0.42 | 19.36±0.08 | 9.81±0.34 |
TTC | 382.19±44.78 | 472.65±6.40 | 489.03±8.81 | 508.83±6.40 | 714.18±7.04 |
[표 4]에서 TPC의 단위는 "mg Gallic acid equivalents /100ml beverage"이고, TFC의 단위는 "mg Rutin equivalents /100ml beverage"이며, TTC의 단위는 "μg/100ml beverage"이다. 또한, "Gallic acid standard curve"는 "y = 1.177x + 0.0127, R2 = 0.9994"이고, "Rutin standard curve"는 "y = 0.8327x + 0.0153, R2 = 0.9976"이다.
Total thiosulfinate는 삼채 등 백합과 식물 특유의 유기 황화물질이고 allicin, methyl thiosulfinate 등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구성성분은 alliin, methiin 및 isoalliin 등으로 삼채의 식물조직은 손상할 때 효소 촉진시키고 생성된 유기 황화물이다. 이 물질은 Allium종류 특유의 매운 풍미이다. Thiosulfinate는 항암, 항염증 및 심혈관계 질병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다. Total thiosulfinate 함량은 삼채 추출물의 경우 야채수보다 많은 714.18㎍를 함유하고 있었다. 기존 야채수(야채수 S0)의 경우에도 많은 황 화합물을 가지고 있는데, 무의 경우 methiin을 함유하는 채소라서 야채 추출물의 thiosulfinate의 함량이 높게 측정 되었다. 하지만 삼채 추출물을 첨가함에 따라서 기존보다 더 높은 황 화합물을 가진 삼채 야채수를 제조할 수 있다(도 8 참조).
[삼채 야채수의 항 당뇨 활성]
야채수 S0, S5, S10, S20, S100의 항 당뇨 활성에 대한 α-glucosidase와 α-amylase의 제어활성을 측정했다.
[α-Glucosidase 저해 활성]
시료 0.5ml와 p-nitrophenyl-α-D-glucosidase 용액 0.5ml를 혼합하여 37℃의 수욕에서 5분간 반응을 시켰다. 그리고 α-glucosidase 용액을 1.0ml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더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α-Glucosidase로 대표되는 탄수화물 분해효소들은 소장 상피세포 내막에 위치하며, 통칭하여 disaccharidase(이당가수분해효소) 또는 oligosaccharidase(과당가수분해효소)라고 명칭한다. 최근 들어 α-glucosidase 저해제들이 당뇨, 고지혈증, 비만 등을 치료하기 위해서 미생물로부터 개발되어 왔으며, 이들의 작용 양식은 α-glucosidase의 oligosaccharide 결합 부위에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작용기전은 유사하지만, 기질에 따른 특이성을 갖고 있다. 음식과 함께 투여하였을 때 α-glucosidase 저해제들은 소장 내에서 과당 및 이당류의 소화를 억제하여 이들이 소장 전체에 걸쳐서 분해되도록 하여 소화를 전체적으로 지연시키며, 위내용물 배출 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어 위공복 시간을 변화시키지는 않는다. 따라서 α-glucosidase를 투여하게 되면, 식후 단당류의 흡수는 지연되어 혈당 증가는 현저하게 감소됨에 따라 혈중의 인슐린(insulin)이 감소하게 되고, 점차적으로 공복시 혈당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α-Amylase 저해 활성]
샘플 0.5ml에 전분용액 0.5ml를 넣고 수욕안에 25℃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α-amylase 용액 0.5ml를 넣고 25℃ 10분동안 반응시키고 dinitrosalicylic acid 색 시약을 1.0ml 넣어 수욕조 상에서 100℃에서 5분동안 반응을 시켰다. 반응을 끝낸후 증류수로 10ml를 넣고 희석하여 분광광도계로 흡광도 540nm에서 측정하였다.
α-Amylase는 전분 소화효소이고 이 효소는 제어했으면 혈당의 섭취도 떨어지다. 이런 효소 억제제는 이미 당뇨병의 치료로 사용한다.
삼채야채수의 항 당뇨 활성에 대한 측정한 결과(항 당료 활성, %)는 [표 5]와 같았다. 삼채 야채수(야채수 S5, S10, S20, S100)의 경우 기존 야채수(야채수 S0)보다 높은 항 당뇨 효과를 보여주고 있었고, 삼채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조금씩 증가함을 나타내고 있다(도 9, 도 10 참조). 삼채 추출물의 경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 주고 있는데 α-glucosidase는 Yin 등(Yin Y, Heo SI, Jung MJ, Wang MH (2009) Antioxidantand antidiabetic effects of various sections of Astragalus membranaceus, Korean J Pharmacogn, 40, 1-5)이 보고한 6년근 황기에탄올 추출물의 500μg/mL의 농도에서 24.59%의 효능을 나타내었고 α-Amylase는 Xu 등(Xu ML, Wang L, Xu GF, Wang MH (2011) Antidiabete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ctivity ofSonchus asper L Hill extract, Koran J Pharmacogn, 42, 61-67.)이 보고한 500μg/mL의 농도에서 14.62%의 저해율을 보이는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삼채야채수의 항당뇨 활성이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야채수 S0 | 야채수 S5 | 야채수 S10 | 야채수 S20 | 야채수 S100 | |
α-Glucosidase | 20.90±1.82 | 21.24±2.93 | 22.49±3.41 | 23.89±3.49 | 28.27±3.80 |
α-Amylase | 14.80±2.66 | 14.881.68 | 16.81±0.42 | 15.30±2.57 | 55.12±6.7 |
[삼채 야채수의 피부미용 효과]
[Elastase 억제 활성]
시료 0.2ml에 0.2M Tris-HCl 버퍼(pH 8.0) 0.2ml와 0.8mM substrate 용액 [N-succinyl-(Ala)3-p-nitrioaniline, in buffer] 0.2ml를 혼합하여 25℃의 수욕조상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액의 0.2ml를 채취하여 돼지 췌장 elastase. 10ug/ml와 합쳐서 반응을 25℃ 수욕상에서 20분간 반응시킨뒤 흡광도 405nm에서 측정하여 아래 수식에 맞게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inhibition= [(A0-A1)/A0]× 100
[Tyrosinase 억제활성]
2.5mM L-DOPA 용액 1ml 와 1.8ml 0.1M 인산완충용액(pH 6.8)를 혼합하여 수욕상에서 30℃ 10분간 활성화 시켰다. 활성화된 혼합액에 시료 0.1ml를 넣고 혼합하고 0.1ml tyrosinase solution 용액을 0.1ml 넣어서 혼합 후 수욕상에 25℃에서 2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흡광도 475nm에서 측정하고 Elastase 억제 활성에 사용된 수식을 이용하여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피부미용에 대한 Elastase와 Tyrosinase의 억제활성을 분석했다. 피부노화 현상은 피부세포 내 생체결합의 손실, 피부 각질층의 구조변화, 표피 세포의 분화 감소, 진피 내의 섬유아세포에 의한 단백질 및 세포간 물질의 생체합성기능 저하 등에 의해 나타난다. 피부노화의 주원인 중의 하나인 elastin 분해효소인 elastase 활성을 저하시킴으로써 피부조직의 기계적 특성을 유지시켜 탄력을 유지하고 피부가 늘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UV 조사를 초래한 피부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Roth, G. J., C. J. Siok, and J. Ozols (1980) Structural characteristicsof prostaglandin synthetase from sheep vesicular gland. J. Biol.Chem. 255: 1301-1304.).
Tyrosinase는 피부 멜라닌의 생성 촉진 효소이다. Tyrosinase는 tyrosin으로부터 3,4-dihydroxy-L-phenylalanin(DOPA)과 DOPA-quinone을 거쳐 최종적으로 흑갈색의 melanin색소 생성에 관여하는효소로 자외선에 의하여 melanocyte의 유사분열이 일어나고 이어서 melanocyte가 활성화 된다. 활성화된 melanocyte에서는 tyrosinase 합성이 촉진되고 melanin의 생성이 되어 이를 표피 밖으로 운반 배출하게 되어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침착이 일어나게 된다. 활성산소와 같은 유해 인자를 제거하는 것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색소 형성을 막을 수 있으며,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식물은 미백에 관련한 tyrosinase 효소를 억제할 수 있는 유효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보고하였다(Kazuya, I., K. Noriaki, K. Yukari, M. Kyo, and F. Andtokio (2004) In vitro antioxidative effects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even hydroxycinnamoyl derivatives in green coffee beans. J. Agr.Food Chem. 52: 4893-4898.). 삼채 야채수의 두 효소 억제활성(Elastase 억제활성, Tyrosinase 억제활성)(%)은 [표 6],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었다.
야채수 S0 | 야채수 S5 | 야채수 S10 | 야채수 S20 | 야채수 S100 | |
Elastase | 6.71±1.29 | 7.21±1.14 | 7.51±0.71 | 9.34±0.27 | 13.68±3.72 |
Tyrosinase | 23.37±11.16 | 24.17±3.50 | 26.75±4.84 | 26.23±5.54 | 27.84±4.42 |
[일반성분 분석]
1. 삼채추출물과 삼채야채수의 일반성분
일반성분 분석은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질, 조회분을 식품공전 일반성분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105 ℃ 상압건조법, 조단백은 Kjeldahl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회분은 550℃ 회화법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식이섬유 함량은 효소중c법(enzymatic gravimetric method, MES-TRIS buffer)으로 식이섬유를 측정하였다. 탄수화물은 100에서 수분, 조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질, 그리고 식이섬유를 제외한 값으로 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은 각 분석법에 따라 모든 측정은 2회 반복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
삼채 추출물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음료의 일반 성분에 대한 결과(단위: g/100g)는 [표 7]과 같다. 야채 추출물(S0)과 삼채 추출물(S100)을 비교해 봤을 때 탄수화물과 식이섬유 함량의 차이가 있었다. 삼채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삼채추출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식이섬유와 탄수화물 함량이 증가하였다.
야채수 S0 | 야채수 S5 | 야채수 S10 | 야채수 S20 | 야채수 S100 | |
수분 | 99.06±0.00 | 99.03±0.05 | 98.96±0.04 | 98.83±0.05 | 97.65±0.01 |
조단백질 | 0.14±0.01 | 0.15±0.01 | 0.16±0.01 | 0.16±0.01 | 0.21±0.03 |
조지방질 | 0.02±0.00 | 0.01±0.01 | 0.01±0.00 | 0.01±0.00 | 0.01±0.00 |
조회분 | 0.18±0.03 | 0.17±0.03 | 0.16±0.03 | 0.14±0.07 | 0.11±0.04 |
탄수화물 | 0.46±0.00 | 0.49±0.00 | 0.53±0.00 | 0.63±0.00 | 1.75±0.00 |
식이섬유 | 0.14±0.00 | 0.15±0.01 | 0.18±0.01 | 0.23±0.03 | 0.27±0.02 |
2. 삼채야채수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식품공전에 나와있는 상압가열 건조 방법으로 하였으며, 삼채 야채수를 채취하여 증발접시에 넣고 건식 오븐(dry oven)에서 105℃로 수분을 제거하고 남은 고형물의 무게를 고형물 함량으로 하였다.
삼채 추출물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음료의 가용성 고형물에 대한 결과(단위: g/100g)는 [표 8]과 같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야채 추출물(야채수 S0)가 0.947g/100ml, 삼채 추출물(야채수 S100)은 고형물 함량은 2.38g/100ml를 함유하고 있다. 삼채 추출물 5%, 10%, 20% 첨가군이 0.976 ~ 1.180g/100ml로 삼채 추출물 첨가량이 많을 수록 고형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삼채 추출물 여과 후에도 가용성 고형물이 많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면 가열 중에 전분이 분해되면서 수용성 전분질로 변하면서 생기는 물리 화학적 결과라고 사료된다.
야채수 S0 | 야채수 S5 | 야채수 S10 | 야채수 S20 | 야채수 S100 | |
TSS | 0.95±0.00 | 0.98±0.05 | 1.05±0.05 | 1.18±0.05 | 2.38±0.01 |
3. 삼채야채수의 색도
색도는 색차계(CR-300,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3회 반복 측정하여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값으로 나타내었다. 이때의 표준색의 L값은 97.83, a값은 -0.43, b값이 +1.98인 calibration plate를 사용하였다
삼채 추출물(S100)의 색도는 야채수에 비해 높은 적색도를 가지고 있었다.
삼채 추출물이 첨가된 삼채 야채수의 색도는 조금 차이가 나타났다. 색도 결과는 [표 9]와 같다. 삼채 추출물이 첨가된 삼채야채수의 명도(L 값), 적색도(a값), 황색도(b값)는 삼채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조금씩 변화하였다. 야채 추출물과 5%, 10%, 20%의 삼채 추출물이 첨가된 야채수는 명도(L값)의 경우 28.40 ~ 28.51, 적색도(a값)은 0.85 ~ 0.93, 황색도(b값)은 10.70 ~ 10.92를 나타내었다. 야채 추출물(야채수 S0)에 비해서 삼채 추출물(S100)의 적색도가 높게 나타났고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적색도가 증가하였다.
야채수 S0 | 야채수 S5 | 야채수 S10 | 야채수 S20 | 야채수 S100 | |
L | 28.73±0.10 | 28.40±0.08 | 29.21±0.30 | 28.51±0.11 | 24.77±0.12 |
a | 0.99±0.02 | 0.85±0.01 | 0.79±0.05 | 0.93±0.03 | 3.55±0.07 |
b | 11.06±0.08 | 10.70±0.06 | 11.24±0.22 | 10.92±0.12 | 9.28±0.12 |
여기서, L은 명도, a는 적색도, 그리고 b는 황색도이다.
4. 삼채 야채수의 pH, 탁도 및 투광도
야채수의 pH 측정은 pH mater(model 730p, Istek, kore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야채수의 탁도는 UV-Vis(u-100, Hitachi, japen) 분광광도계로 6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투광도는 650nm에서 측정한 %T로 표식한 값이다. 이들 결과는 [표 10]과 같다. pH의 경우 야채 추출물(야채수 S0)이 6.11인 것이 비해 삼채 추출물(야채수 S100)은 4.22로 더 낮아졌으며 삼채 추출물의 함량이 더 증가 할수록 pH는 낮아졌다. 탁도와 투광도는 각각 0.09 ~ 0.25, 79.17 ~ 54.70 였다. 삼채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와 투광도가 감소하였고 탁도는 점점 증가하였다. 탁도와 투광도가 차이는 삼채 추출물의 고형물 함량의 영향으로 탁도와 투광도(%T)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야채수 S0 | 야채수 S5 | 야채수 S10 | 야채수 S20 | 야채수 S100 | |
pH | 6.11±0.66 | 4.93±0.20 | 4.76±0.08 | 4.61±0.01 | 4.22±0.05 |
탁도 | 0.09±0.01 | 0.21±0.02 | 0.22±0.01 | 0.23±0.02 | 0.25±0.00 |
투광도 | 79.17±3.02 | 62.35±1.48 | 60.65±1.63 | 57.90±1.56 | 54.70±0.00 |
5. 삼채야채수의 미네랄 함량
미네랄 함량은 Ca, Na, K, Mg, Fe를 원자분광광도계(Spectra AA-220FS, Verian, Austalia)를 이용하여 측정했다(표 11 참조). 삼채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a, Na, K의 함량은 낮아졌으며 Mg, Fe의 함량은 점차 증가하였다.
야채수 S0 | 야채수 S5 | 야채수 S10 | 야채수 S20 | 야채수 S100 | |
Ca | 59.55±0.49 | 58.50±0.71 | 55.40±2.55 | 51.50±3.61 | 36.70±2.83 |
Na | 106.48±6.27 | 95.08±11.12 | 76.04±3.71 | 56.44±4.90 | 36.24±1.12 |
K | 791.33±44.76 | 776.08±69.24 | 764.83±93.02 | 706.68±4.43 | 489.60±10.05 |
Mg | 29.09±0.70 | 29.84±1.48 | 30.58±1.41 | 31.15±1.30 | 34.48±1.53 |
Fe | 0.46±0.01 | 0.65±0.02 | 0.97±0.04 | 1.51±0.03 | 4.65±0.11 |
6. 중금속 측정, 참가물, 미생물 분석
중금속 분석은 식품공전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는 마이크로 웨이브법으로 처리 하였는데 수기에 시료 1~2g을 측정하여 질산 20ml를 넣고 Microwave digestion system에 넣고 분해 한 뒤, 메스플라스크에 옮겨 증류수로 정용하고 성분을 적절히 희석하여 실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중금속 분석에 사용한 기기는 ICP(유도결합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분해에 사용한 질산은 중금속측정용 특급시약을 사용하였으며, 증류수는 재증류한 후 탈 이온화 한 물을 사용하였다.
타르색소 분석은 각 비율별 삼채야채수를 과 표준용액으로부터 전개용매에 의한 여지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하였다. 전개용매에 의한 반점의 위치와 색을 처음에 자연광, 다음에 자외선(약 365nm)에서 비교 관찰하였다.
세균수는 각 비율별 삼채야채수를 1mL와 각 단계 희석액 1mL를 세균수 건조필름배지(Petri film, 3M, USA)에 접종한 후 잘 흡수시키고 35±1℃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붉은 집락수를 계산하고 그 평균집락수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일반세균수로 하였다.
대장균군은 각 비율별 삼채야채수를 1mL와 각 단계 희석액 1mL를 대장균군 건조필름배지(Petri film, 3M, USA)에 접종한 후 잘 흡수 시키고, 35±1℃에서 24±2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붉은 집락 중 주위에 기포를 형성하고 있는 집락수를 계산하고, 그 평균집락수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대장균군 수를 산출하였다.
대장균은 각 비율별 삼채야채수를 1 mL와 각 단계 희석액 1 mL를 대장균 건조필름배지(Petri film, 3M, USA)에 접종한 후 잘 흡수시키고, 35±1℃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푸른 집락 중 주위에 기포를 형성하고 있는 집락수를 계산하고 그 평균집락수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대장균수를 산출하였다.
납은 주거환경에 흔히 존재하고 인간이 가장 흔히 노출되기 쉬우며 다른 금속들에 비해 체내축적이 쉽게 이루어지고, 생물학적 반감기가 비교적 긴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인체에 유해한 금속이다. 카드뮴은 환경에 존재하는가장 독성이 강한 중금속 중의 하나이다. 카드뮴은 ATSDR(Ameriacn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에 의해 선정된 “Priority hazardous substance top ten"에 속하는 오염물질로서 토양에 축적될 시 이동성이 적어 토양생물에게 발암물질, 돌연변이 유발 기형생물을 형성시키는 등의 독성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타르색소는 석유화학 부산물인 타르(tar)로부터 색소를 합성하여 만들어진 색소로 타르를 증류하여 추출한 벤젠, 톨루엔, 나프탈렌 등을 이용하여 색소를 합성하여 만들어진다. 원래는 섬유류 착색을 위해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식용타르색소도 개발이 되어 첨가하게 되었지만 식품에 사용하기는 강하기 문에 적은수만 허가가 되었다. 타르색소의 경우 인체 내의 소화효소 작용을 저해하고 간이나 위 등에 장해를 일으키며 발암성 또한 보고되고 있어 검출되면 아니한 색소이다.
삼채 야채수를 가지고 조사한 납, 카드뮴, 타르색소에 대해서는 실험 결과, 불검출되어 식품으로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2 참조)
야채수 S0 | 야채수 S5 | 야채수 S10 | 야채수 S20 | 야채수 S100 | |
납 | ND | ND | ND | ND | ND |
카드뮴 | ND | ND | ND | ND | ND |
타르색소 | ND | ND | ND | ND | ND |
삼채 야채수의 세균수, 대장균, 대장균군의 측정 결과는 [표 13]과 같았다.
삼채 야채수 제조시 125℃의 온도로 고온 추출을 하였다. 멸균의 기준은 121℃에서 15분 이상 가열하였을 경우 식중독 균의 멸균기준으로 보면 고온 장시간으로 삼채 야채수를 제조했기 때문에 미생물에 대해서는 불검출이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야채수 S0 | 야채수 S5 | 야채수 S10 | 야채수 S20 | 야채수 S100 | |
세균수 | ND | ND | ND | ND | ND |
대장균 | ND | ND | ND | ND | ND |
대장균군 | ND | ND | ND | ND | ND |
7. 관능검사
관능 검사는 1~7점수를 이용하여 평가하다. 각 삼채 추출물을 한유된 삼채야채수 소비자 기호도를 알기 위하여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다. 조사하기 전에 소비자 기호도 조사 실험 교육을 먼저 하고 실험 할 때 주의할 항목을 설명하였고, 조사 항목은 풍미(flavor), 색(color), 매운 맛(hot taste), 신 맛(sour), 맛(taste), 입맛(mouth feeling), 전체 기호도(erall acceptability) 등 7 가지를 포함하였다. 삼채 야채수의 기호도 조사 결과는 [표 14]에 나타내었다.
삼채 추출물의 경우 삼채 뿌리의 강한 맛과 특유의 향으로 음용하기 쉽지 않아 예비 실험을 통해서 삼채 추출물의 첨가량을 0%, 5%, 10%, 20%로 조절하고 그에 따른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삼채 추출물 5%를 첨가한 삼채 야채수의 기호도가 가장 뛰어났으며 야채 추출물(야채수 S0)와 삼채 추출물 10%을 첨가한 삼채 야채수가 다음 순이었고 삼채 추출물 20%를 첨가한 삼채 야채수가 가장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기존 시중판매 야채수와 삼채 추출물 5%를 첨가한 삼채 야채수가 맛과 기능적인 면을 비교했을 때 삼채 야채수가 기존 시중 판매중인 야채수보다 소비자에게 더 선호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야채수 S0 | 야채수 S5 | 야채수 S10 | 야채수 S20 | |
색 | 4.52±0.26 | 4.72±0.07 | 4.54±0.15 | 4.56±0.05 |
풍미 | 3.77±0.15 | 3.81±0.07 | 3.83±0.57 | 3.35±0.50 |
맛 | 3.13±0.02 | 3.45±0.44 | 3.25±0.06 | 2.68±0.12 |
입맛 | 3.97±0.63 | 4.38±0.13 | 4.10±0.28 | 3.87±0.43 |
신 맛 | 2.48±0.93 | 2.53±1.00 | 3.13±0.43 | 3.00±0.33 |
매운 맛 | 1.95±0.34 | 1.74±0.37 | 1.86±0.47 | 2.05±0.01 |
전체 기호도 | 3.73±0.30 | 3.90±0.30 | 3.70±0.18 | 3.27±0.11 |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의 공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주 원료인 삼채추출물의 맛을 잡아주기 위한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 등을 포함하는 야채들과 삼채 뿌리를 세척하고 무, 당근, 우엉을 박피한 다음에 예를 들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0.1~1cm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세절하는 단계(단계 S202~S206)와; 상기 세절된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 삼채 뿌리와 정제수를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는 가열단계(단계 S208)와; 상기 단계 S108의 내용물을 여과하여 삼채 야채수를 얻는 단계(단계 S210~S2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S108에서는 중량기준으로 81~84%의 정제수, 7.8~8.5%의 무, 4.5~5.5%의 당근, 2.2~3.0%의 우엉, 0.2~1.0%의 무청, 0.2~1.0%의 표고버섯, 0.5~4%의 삼채 뿌리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야채 재료와 정제수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한다.
또한, 상기 단계 S110에서는 10미크론 ~ 100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입자가 통과하는 여과망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야채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삼채 야채수의 경우에도 항산화 실험, 생리 활성 물질 측정, 항 당료 실험, 피부미용 효과, 일반 성분 분석에 대한 결과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나올 것이라는 것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삼채를 활용하여 건강 기능을 더욱 강화한 야채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Claims (4)
- 81~84%의 정제수, 7.8~8.5%의 무, 4.5~5.5%의 당근, 2.2~3.0%의 우엉, 0.2~1.0%의 무청, 0.2~1.0%의 표고버섯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중량기준으로 야채 재료와 정제수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내용물을 10미크론 ~ 100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입자가 통과하는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야채 추출물을 얻는 야채 추출물 추출 단계와;
삼채 뿌리를 가로, 세로 및 높이가 0.1~1cm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세절하고 55~65℃의 드라이 오븐에서 20~40분 정도 건조한 다음, 80~85%의 정제수, 15~20%의 상기 건조된 삼채 뿌리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건조된 삼채 뿌리와 정제수를 중량기준으로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3500~4500rpm으로 25~3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내용물을 10미크론 ~ 100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입자가 통과하는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삼채 추출물을 얻는 삼채 추출물 추출 단계와;
상기 추출된 야채 추출물과 삼채 추출물을 부피비율로 80:20~98:2의 범위 내에서 혼합하여 삼채 함유 야채수를 얻는 혼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2673A KR101661491B1 (ko) | 2014-08-27 | 2014-08-27 |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2673A KR101661491B1 (ko) | 2014-08-27 | 2014-08-27 |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5418A KR20160025418A (ko) | 2016-03-08 |
KR101661491B1 true KR101661491B1 (ko) | 2016-09-30 |
Family
ID=5553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2673A KR101661491B1 (ko) | 2014-08-27 | 2014-08-27 |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149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2937B1 (ko) * | 2018-04-06 | 2018-06-29 | 우영삼 | 비타민 조성물의 제조방법 |
KR102100745B1 (ko) * | 2019-05-14 | 2020-05-15 | 이대성 | 야채 추출 액상차 제조방법 |
KR102316705B1 (ko) * | 2019-10-22 | 2021-10-25 | 손찬락 | 무, 당근, 우엉, 무청 및 표고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음료 조성물 및 물을 실질적으로 첨가하지 않는 그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0238B1 (ko) | 2010-01-11 | 2010-09-06 | 심재근 | 야채수 및 그 제조방법 |
JP5857642B2 (ja) | 2011-11-08 | 2016-02-10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細胞培養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30070711A (ko) * | 2011-12-20 | 2013-06-28 | 복판규 | 야채를 이용한 혼합차 제조 방법 및 야채를 이용한 혼합차 |
KR20130075919A (ko) * | 2011-12-28 | 2013-07-08 | 배달민족 | 뿌리 부추 성분을 함유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KR101450827B1 (ko) * | 2012-02-29 | 2014-10-13 | 배달민족 | 뿌리 부추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
KR20140036822A (ko) | 2012-09-18 | 2014-03-26 | 지수연 | 삼채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삼채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삼채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식품 |
-
2014
- 2014-08-27 KR KR1020140112673A patent/KR101661491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5418A (ko) | 2016-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ufresne et al. | Tea, Kombucha, and health: a review | |
Hu et al. |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proliferative effect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he mushroom Inonotus obliquus | |
Othman et al. |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 content of cocoa beans | |
Nisha et al. | A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varieties of Solanum melongena | |
Ebrahimzadeh et al. |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ulinary-medicinal mushrooms, golden chanterelle Cantharellus cibarius and Angel's wings Pleurotus porrigens | |
Ebrahimzadeh et al. | Antioxidant activity of the bulb and aerial parts of Ornithogalum sintenisii L (Liliaceae) at flowering stage | |
Li et al. |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thanolic extract of selenium-enriched green tea | |
Eruygur et al. | Determination of biological activity of Tragopogon porrifolius and Polygonum cognatum consumed intensively by people in Sivas | |
Khalid et al. | Phenolic Profile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Momordica charantia' | |
KR102298700B1 (ko) | 천마 및 적하수오를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 |
KR100844185B1 (ko) |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쑥차 제조 방법 | |
KR101661491B1 (ko) |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 |
KR20150120740A (ko) |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산화를 위한 동물사료 조성물 | |
Jeong et al. |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white, yellow, and red onion | |
KR101204875B1 (ko) | 꾸지뽕 발효산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소스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78671B1 (ko) |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능이 증대된 아로니아 음료 조성물 | |
KR101438717B1 (ko) | 간세포 보호작용을 갖는 민들레 복합식물 발효추출 조성물 | |
KR101276157B1 (ko) | 청국장 고유의 색과 풍미를 개선하고 기능성을 유지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배지 조성물 | |
KR101611881B1 (ko) | 상지 배지에 배양한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상황버섯 균사체 가압 추출물의 제조방법 | |
KR101426030B1 (ko) | 꾸지뽕 효소액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 |
KR101610737B1 (ko) |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으름열매식초의 제조방법, 제조된 으름열매식초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 |
KR101844455B1 (ko) | 홍마늘을 포함한 항염증 음료 및 환 제조방법 | |
KR20160013389A (ko) | 발효 삼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 삼채 | |
KR20070034801A (ko) | 높은 유해 산소 제거 능력을 갖는 차가버섯 발효 음료의제조 | |
KR20150141028A (ko) | 항산화물질 함유 칼라꼬마감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