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418A -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야채수 - Google Patents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야채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418A
KR20160025418A KR1020140112673A KR20140112673A KR20160025418A KR 20160025418 A KR20160025418 A KR 20160025418A KR 1020140112673 A KR1020140112673 A KR 1020140112673A KR 20140112673 A KR20140112673 A KR 20140112673A KR 20160025418 A KR20160025418 A KR 20160025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
extract
vegetables
purified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491B1 (ko
Inventor
강성국
김총경
고두옥
장성매
김천중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현대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현대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12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4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채를 활용하여 건강 기능을 더욱 강화한 삼채를 이용한 야채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야채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80~85%의 정제수, 7.8~8.5%의 무, 4.5~5.5%의 당근, 2.2~3.0%의 우엉, 0.2~1.0%의 무청, 0.2~1.0%의 표고버섯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중량기준으로 야채 재료와 정제수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내용물을 여과하여 야채 추출물을 얻는 야채 추출물 추출 단계와; 80~85%의 정제수, 15~20%의 건조 삼채 뿌리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건조된 삼째 뿌리와 정제수를 중량기준으로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3500~4500rpm으로 25~3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내용물을 여과하여 삼채 추출물을 얻는 삼채 추출물 추출 단계와; 상기 추출된 야채 추출물과 삼채 추출물을 부피비율로 80:20 ~ 98:2의 범위 내에서 혼합하여 삼채 함유 야채수를 얻는 혼합 단계를 포함하는 삼채를 이용한 야채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야채수 {Method of manufacturing vegetable juice with improved health functions using Allium Hookeri and vegetable juice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야채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은 불규칙한 식사, 잦은 음주, 운동부족 등에 의해 고혈압, 당뇨병, 혈관성 질환 등 생활 습관병 발병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단순히 먹는 것보다는 영양성, 기호성, 위생성, 기능적 측면을 고려하는 자연 건강식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식생활 방식의 변화로 야채 등의 섭취량이 점점 줄어들어 각종 성인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현대인들은 건강을 유지하고, 채소류 등에서 얻을 수 있는 영양성분을 손쉽게 보충 할 수 있는 음료형태를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야채를 가공하여 만든 천연 야채 음료는 쉽게 섭취 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유용 폴리페놀 및 다량의 식이섬유에 의한 장관계 질환 예방, 혈당농도 조절 및 항산화 효과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채는 뿌리 부추라고도 부르며 미얀마, 인도 등지에서 주로 섭취하는 채소로 우리나라의 파, 마늘처럼 쉽게 애용되는 채소이며 현지에서는 민간처방으로 다양한 염증 질환과 암 질환 등에 사용하였으며 미얀마 의학사전에 따르면 삼체는 다량의 식이유황이 포함되어 그 효능이 식이유황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마늘보다 6배 많이 함유한 삼채의 유황은 함 유황아미노산(메티오닌, 시스테인)을 구성하고 있고 항산화 및 해독작용을 하는 글루타치온 구성성분이며 콜라겐 및 당단백의 구성성분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각종 성장인자의 작용에 필수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삼채를 활용하여 건강 기능을 더욱 강화한 야채 음료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 10-2013-0099280 (2013.09.06 공개) [특허문헌 2] 공개특허 10-2014-0036822 (2014.03.26 공개) [특허문헌 3] 등록특허 10-0980238 (2010.09.06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요망 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삼채를 활용하여 건강 기능을 더욱 강화한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야채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은, 80~85%의 정제수, 7.8~8.5%의 무, 4.5~5.5%의 당근, 2.2~3.0%의 우엉, 0.2~1.0%의 무청, 0.2~1.0%의 표고버섯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야채 재료와 정제수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내용물을 여과하여 야채 추출물을 얻는 야채 추출물 추출 단계와; 80~85%의 정제수, 15~20%의 건조 삼채 뿌리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건조된 삼째 뿌리와 정제수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3500~4500rpm으로 25~3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내용물을 여과하여 삼채 추출물을 얻는 삼채 추출물 추출 단계와; 상기 추출된 야채 추출물과 삼채 추출물을 부피비율로 80:20 ~ 98:2의 범위 내에서 혼합하여 삼채 함유 야채수를 얻는 혼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은, 중량기준으로 80~85%의 정제수, 7.8~8.5%의 무, 4.5~5.5%의 당근, 2.2~3.0%의 우엉, 0.2~1.0%의 무청, 0.2~1.0%의 표고버섯, 0.5~4%의 삼채 뿌리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중량비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 처리된 내용물을 여과하여 삼채 함유 야채수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 및 삼채 뿌리는 세절된 후 정제수와 혼합되며, 상기 여과는 10미크론 ~ 100미크론의 직격을 갖는 입자가 통과하는 여과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야채수는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삼채를 활용하여 건강 기능을 더욱 강화한 야채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의 공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 활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환원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TPC(total polyphenol conten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TFC(total flavonoid conten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TTC(total thiosulfinate)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α-Glucosidase 항 당료 활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α-Amylase 항 당료 활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tyrosinase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삼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elastase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의 공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야채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의 공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주 원료인 삼채추출물의 맛을 잡아주기 위한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 등을 포함하는 야채들에서 야채 추출물을 추출하는 야채 추출물 추출 단계(단계 S102~S112)와; 삼채 뿌리에서 삼채 추출물을 추출하는 삼채 추출물 추출 단계(단계 S114~S124)와; 상기 추출된 야채 추출물과 삼채 추출물을 혼합하여 야채수를 얻는 혼합 단계(단계 S126)를 포함한다.
상기 야채 추출물 추출 단계는, 야채 재료로서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을 준비하는 야채 재료 준비 단계(단계 S102)와; 이들 준비한 야채 재료를 물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껍질이 있는 야채인 무, 당근, 우엉의 껍질을 벗겨내는 세척 및 박피 단계(단계 S104)와; 각각의 야채 재료를 예를 들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0.1~1cm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세절하는 세절 단계(단계 S106)와; 상기 세절된 야채 재료인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과 정제수를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는 가열단계(단계 S108)와; 상기 단계 S108의 내용물을 여과하여 야채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S110~S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S108에서는 중량기준으로 80~85%의 정제수, 7.8~8.5%의 무, 4.5~5.5%의 당근, 2.2~3.0%의 우엉, 0.2~1.0%의 무청, 0.2~1.0%의 표고버섯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야채 재료와 정제수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한다.
또한, 상기 단계 S110에서는 10미크론 ~ 100미크론의 직격을 갖는 입자가 통과하는 여과망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삼채 추출물 추출 단계는, 삼채 중에서 삼채 뿌리만을 잘라서 준비하는 단계(단계 S114)와; 준비한 삼채 뿌리를 흐르는 물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나서 물기를 제거하고 예를 들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0.1~1cm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세절한 다음에 55~65℃의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20~40분 정도 건조하는 세척 및 건조 단계(단계 S116)와; 건조된 삼채 뿌리와 정제수를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는 가열단계(단계 S118)와; 상기 단계 S118의 내용물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3500~4500rpm으로 25~35분 동안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 단계(단계 S120)와; 상기 단계 S120의 내용물을 여과하여 삼채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S122~S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S118에서는 중량기준으로 80~85%의 정제수, 15~20%의 건조 삼채 뿌리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건조된 삼째 뿌리와 정제수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한다.
또한, 상기 단계 S122에서는 10미크론 ~ 100미크론의 직격을 갖는 입자가 통과하는 여과망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혼합단계(단계 S126)에서는 단계 S112에서의 야채 추출물과 단계 S124에서의 삼채 추출물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야채수를 얻는다. 이때, 야채 추출물과 삼채추출물의 혼합 비율은 부피비율로 80:20 ~ 98:2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깅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의 제조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야채수 제조]
야채 재료로서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을 준비하고, 물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껍질이 있는 야채인 무, 당근, 우엉의 껍질을 벗겨낸 다음에 각각의 야채 재료를 가로, 세로 및 높이가 0.5cm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세절하였다. 그후, 세절된 야채 재료인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과 정제수를 중량 기준으로 정제수 83%, 무 8.3%, 당근 5.0%, 우엉 2.7%, 무청 0.5%, 표고버섯 0.5%의 비율로 혼합하고, 125℃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지 Whatman No.1을 사용하여 여과해서 야채 추출물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야채 추출물을 밀봉하고 4℃의 온도에서 보관하였다.
또한, 삼채 뿌리를 흐르는 물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나서 물기를 제거하고 가로, 세로 및 높이가 0.5cm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세절한 다음에 60℃의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30분 정도 건조하였다. 그후, 건조된 삼채 뿌리와 정제수를 중량 기준으로 정제수 83%와 건조 삼채 뿌리 17%의 비율로 혼합하고, 125℃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원심분리기에서 4000rpm으로 30분 동안 원심분리한 다음에 여과지 Whatman No.1을 사용하여 여과해서 삼채 추출물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삼채 추출물을 밀봉하고 4℃의 온도에서 보관하였다.
그후, 야채 추출물과 삼채 추출물의 혼합비율(단위 mL)을 [표 1]과 같이 삼채 함유 야채수를 제조하였다.
야채수(S0) 야채수(S5) 야채수(S10) 야채수(S20) 야채수(S100)
삼채추출물 0 9 10 20 100
야채추출물 100 95 90 80 0
[항산화 실험]
1. 삼채 함유 야채수의 유리기 소거 활성
유리기 소거활성은 주로 DPPH 라디칼, Hydroxyl 라디칼, Superoxide 라디칼의 소거활성을 측정한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시험]
안정한 라디칼 형태인 DPPH 라디칼(radical)이 항산화제에 의해 전자를 공여하여 라디칼이 소거되면서 DPPH 라디칼 용액이 보라색에서 탈색되는 것을 흡광도 515nm에서 평가, 항산화제에 의한 라디칼의 소거 정도를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보라색)은 항산화제(AH)와 반응하여 수소전자를 공여하여 라디칼이 소거되거나 다른 라디칼 종(R)과 전자 하나를 공여하여 DPPH 라디칼이 소거된다.
시료 용액 4mL와 DPPH 2mL를 혼합하여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켜 4000rpm으로 5분동안 원심분리를 하여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 517nm에서 측정을 하였다.
공시험은 샘플과 에탄올 희석액으로 하고 기준값은 DPPH와 에탄올을 혼합액으로 하여 동일 실험으로 하였다.
(Ablank-Asample)×100/Ablank
[Hydroxyl 라디칼 소거 활성 시험]
시료 1ml에 살리실산나트륨(sodium salicylate) 0.3ml와 FeSO4 용액 1.0ml를 혼합하고 H2O2 0.7ml를 첨가하여 수욕상에서 37℃로 1시간동안 반응을 시킨 뒤 흡광도 56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공시험은 H2O2 대신 증류수로 대체하여 실험을 하였다.
[Superoxide 라디칼 소거 활성 시험]
시료 1.5ml에 0.5ml NADH를 혼합하여 여기에 0.5ml NBT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다시 혼합후 0.5ml PMS를 혼합하여 수욕(water bath)에서 25℃에 5분간 반응 시켜 4000rpm으로 5분동안 원심 분리를 하였다. 원심 분리후 상등액을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ontrol은 증류수 + NADH + NBT + PMS를 사용했고 샘플Control은 샘플 + NADH + NBT + 증류수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유리기 소거활성이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며 각각의 비율로 제조된 삼채 함유 야채수의 유리기 소거활성 능력을 분석하였다. 삼채 함유 야채수의 유리기 소거활성 측정 결과(소거활성, %)는 [표 2]와 같았다.
야채수 S0 야채수 S5 야채수 S10 야채수 S20 야채수 S100
DPPH radical 86.56±0.26 86.90±0.00 87.94±0.01 89.27±0.05 97.05±0.97
Hydroxyl radical 85.27±0.77 86.84±1.27 88.36±1.48 89.97±0.81 99.80±0.69
Superoxide radical 95.44±0.64 97.36±0.91 98.68±0.45 98.90±0.87 99.36±0.49
DPPH 라디칼은 짙은 자색을 띄는 비교적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항산화제, 방향족 아민류 등에 의해 환원되어 색이 탈색된다. 이것은 다양한 천연소재로부터 항산화물질을 검색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DPPH 라디칼 소거 측정 결과, 야채 추출물(야채수 S0)는 86.56%, 삼채 추출물(야채수 S100)은 97.05%로 야채 추출물 보다 더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고, 삼채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DPPH의 소거 활성 능력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도 2 참조).
Hydroxyl 라디칼은 활성산소 중 반능성이 매우 강하여 Superoxide anion 라디칼과 더불어 세포막으로부터 수소를 빼앗아 생체 고분자의 산화 및 지질과산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채 추출물(야채수 S0)는 85.27%인 반면에 삼채 추출물(야채수 S100)은 99.80%로 매우 높은 Hydroxyl 라디칼 소거 능력을 가졌으며, 삼채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더 강하게 나타났다(도 3 참조).
Superoxide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 야채 추출물(야채수 S0)와 삼채 추출물(야채수 S100) 모두 높은 활성을 보이지만 삼채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Superoxide 라디칼 소거 활성이 조금씩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다(도 4 참조).
결론적으로, 삼채 추출물의 첨가는 기존 야채수보다 모든 항산화력 측정에서 더 나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2. 삼채 야채수의 환원력
시료 1.0ml에 2.5ml의 인산염완충액(0.2M,pH 6.6) 2.5ml, 1% potassium ferricynide를 혼합하여 수욕에서 50℃에 20분간 반응을 시켰다. 2.5ml 10% Trichoroacetic acid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 2.5ml에 증류수 2.5ml와 0.5ml 0.1% ferric chloride 용액을 넣어 혼합하여 흡광도 700nm에서 측정하였다.
환원력은 철 이온의 환원력 (Fe3+→ Fe2+로 변화)에 대한 대상 물질의 항산화력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항산화 능력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삼채 추출물과 삼채 야채수의 환원력 측정한 결과(700nm에서의 흡광도)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야채 추출물(야채수 S0)보다 삼채 추출물(야채수 S100)이 많이 강한 환원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야채 추출물과 삼채 추출물의 환원력은 각각 1.08과 1.74가 나타났다. 삼채 추출물의 비율이 증가할 수록 삼채 야채수의 환원력도 높아졌다(도 5 참조).
야채w수 S0 야채수 S5 야채수 S10 야채수 S20 야채수 S100
흡광도 1.08±0.03 1.11±0.04 1.14±0.03 1.14±0.03 1.74±0.14
[생리 활성 물질 함량]
삼채야채수의 생리 활성 물질에 대해서 TPC(total polyphenol content), TFC(total flavonoid content), TTC(total thiosulfinate content)를 분석하였다.
[TPC 분석]
Lowry법을 변형하여 측정하는데 시료 100μL와 증류수 7.9mL, Folin-Ciocalteau reagent 시약 0.5mL를 넣고 혼합한 다음 15분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15분 뒤 1.5mL의 Na2CO3를 넣고 혼합하여 암소에 2시간동안 반응시켜 흡광도 76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표준곡선은 gallic acid를 equivalents화 시켜서 표준곡선을 그렸다
[TFC 분석]
시료 1ml를 증류수 4ml로 희석하고 5% NaNO2 용액 0.3ml를 넣고 실온에서 5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후 10% AlCl3 0.3ml를 추가하고 10분동안 실온에 방치시키고 색을 고정하기 위해서 1M NaOH 2ml를 넣었다. 혼합물을 증류수 10ml로 희석하고 흡광도 510nm에서 측정하였다. 표준곡선은 표준 루틴 용액을 단계별로 희석하여 표준곡선을 그려서 사용하였다
[TTC 분석]
시료 용액 0.5ml에 2mM L-cysteine 0.5ml을 혼합한 후 HEPES(50mM, pH 7.5) 완충액을 넣은 뒤 수욕에서 2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혼합액의 상등액을 1ml와 0.4mM DTNB 용액을 혼합하여 다시 27℃에서 10분간 반응 후에 5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계산식은 아래에 제시한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TTC (mM) = A×B/(14150×2)
여기서, A는 공시험(샘플대신 증류수로 실험 진행한)의 흡광도이고, B는 L-cysteine의 희석 계수이다.
페놀계 물질들은 식물체에 특수한 색깔을 부여하고, 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phenolic ydroxyl(OH)기를 가진 방향족 화합물들을 가리키며, 플라보노이드와 탄닌이 주성분으로 충치 예방, 고혈압 억제, 항에이즈, 항산화,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가진다. TPC와 TFC는 각각 Gallic acid equivalent화 Rutin equivalent를 이용하여 표시하였다(표 4 참조). TPC의 함량은 기존 야채수(야채수 S0)보다 삼채 추출물(야채수 S100)이 27.24 mgGAE/ml로 많음 함량을 보였지만 TFC의 경우 기존 야채수(야채수 S0)보다 적은 9.81 mgRE/ml만 함유하고 있었다.
TPC의 경우 삼채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함량이 많이 증가함을 보였다(도 6 참조). 반대로 TFC의 경우 삼채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도 7 참조).
야채수 S0 야채수 S5 야채수 S10 야채수 S20 야채수 S100
TPC 15.46±1.97 15.73±1.96 17.00±2.63 18.19±2.23 27.24±2.50
TFC 23.98±0.00 23.08±0.25 22.48±0.42 19.36±0.08 9.81±0.34
TTC 382.19±44.78 472.65±6.40 489.03±8.81 508.83±6.40 714.18±7.04
[표 4]에서 TPC의 단위는 "mg Gallic acid equivalents /100ml beverage"이고, TFC의 단위는 "mg Rutin equivalents /100ml beverage"이며, TTC의 단위는 "μg/100ml beverage"이다. 또한, "Gallic acid standard curve"는 "y = 1.177x + 0.0127, R2 = 0.9994"이고, "Rutin standard curve"는 "y = 0.8327x + 0.0153, R2 = 0.9976"이다.
Total thiosulfinate는 삼채 등 백합과 식물 특유의 유기 황화물질이고 allicin, methyl thiosulfinate 등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구성성분은 alliin, methiin 및 isoalliin 등으로 삼채의 식물조직은 손상할 때 효소 촉진시키고 생성된 유기 황화물이다. 이 물질은 Allium종류 특유의 매운 풍미이다. Thiosulfinate는 항암, 항염증 및 심혈관계 질병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다. Total thiosulfinate 함량은 삼채 추출물의 경우 야채수보다 많은 714.18㎍를 함유하고 있었다. 기존 야채수(야채수 S0)의 경우에도 많은 황 화합물을 가지고 있는데, 무의 경우 methiin을 함유하는 채소라서 야채 추출물의 thiosulfinate의 함량이 높게 측정 되었다. 하지만 삼채 추출물을 첨가함에 따라서 기존보다 더 높은 황 화합물을 가진 삼채 야채수를 제조할 수 있다(도 8 참조).
[삼채 야채수의 항 당뇨 활성]
야채수 S0, S5, S10, S20, S100의 항 당뇨 활성에 대한 α-glucosidase와 α-amylase의 제어활성을 측정했다.
[α-Glucosidase 저해 활성]
시료 0.5ml와 p-nitrophenyl-α-D-glucosidase 용액 0.5ml를 혼합하여 37℃의 수욕에서 5분간 반응을 시켰다. 그리고 α-glucosidase 용액을 1.0ml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더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α-Glucosidase로 대표되는 탄수화물 분해효소들은 소장 상피세포 내막에 위치하며, 통칭하여 disaccharidase(이당가수분해효소) 또는 oligosaccharidase(과당가수분해효소)라고 명칭한다. 최근 들어 α-glucosidase 저해제들이 당뇨, 고지혈증, 비만 등을 치료하기 위해서 미생물로부터 개발되어 왔으며, 이들의 작용 양식은 α-glucosidase의 oligosaccharide 결합 부위에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작용기전은 유사하지만, 기질에 따른 특이성을 갖고 있다. 음식과 함께 투여하였을 때 α-glucosidase 저해제들은 소장 내에서 과당 및 이당류의 소화를 억제하여 이들이 소장 전체에 걸쳐서 분해되도록 하여 소화를 전체적으로 지연시키며, 위내용물 배출 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어 위공복 시간을 변화시키지는 않는다. 따라서 α-glucosidase를 투여하게 되면, 식후 단당류의 흡수는 지연되어 혈당 증가는 현저하게 감소됨에 따라 혈중의 인슐린(insulin)이 감소하게 되고, 점차적으로 공복시 혈당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α-Amylase 저해 활성]
샘플 0.5ml에 전분용액 0.5ml를 넣고 수욕안에 25℃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α-amylase 용액 0.5ml를 넣고 25℃ 10분동안 반응시키고 dinitrosalicylic acid 색 시약을 1.0ml 넣어 수욕조 상에서 100℃에서 5분동안 반응을 시켰다. 반응을 끝낸후 증류수로 10ml를 넣고 희석하여 분광광도계로 흡광도 540nm에서 측정하였다.
α-Amylase는 전분 소화효소이고 이 효소는 제어했으면 혈당의 섭취도 떨어지다. 이런 효소 억제제는 이미 당뇨병의 치료로 사용한다.
삼채야채수의 항 당뇨 활성에 대한 측정한 결과(항 당료 활성, %)는 [표 5]와 같았다. 삼채 야채수(야채수 S5, S10, S20, S100)의 경우 기존 야채수(야채수 S0)보다 높은 항 당뇨 효과를 보여주고 있었고, 삼채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조금씩 증가함을 나타내고 있다(도 9, 도 10 참조). 삼채 추출물의 경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 주고 있는데 α-glucosidase는 Yin 등(Yin Y, Heo SI, Jung MJ, Wang MH (2009) Antioxidantand antidiabetic effects of various sections of Astragalus membranaceus, Korean J Pharmacogn, 40, 1-5)이 보고한 6년근 황기에탄올 추출물의 500μg/mL의 농도에서 24.59%의 효능을 나타내었고 α-Amylase는 Xu 등(Xu ML, Wang L, Xu GF, Wang MH (2011) Antidiabete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ctivity ofSonchus asper L Hill extract, Koran J Pharmacogn, 42, 61-67.)이 보고한 500μg/mL의 농도에서 14.62%의 저해율을 보이는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삼채야채수의 항당뇨 활성이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야채수 S0 야채수 S5 야채수 S10 야채수 S20 야채수 S100
α-Glucosidase 20.90±1.82 21.24±2.93 22.49±3.41 23.89±3.49 28.27±3.80
α-Amylase 14.80±2.66 14.881.68 16.81±0.42 15.30±2.57 55.12±6.7
[삼채 야채수의 피부미용 효과]
[Elastase 억제 활성]
시료 0.2ml에 0.2M Tris-HCl 버퍼(pH 8.0) 0.2ml와 0.8mM substrate 용액 [N-succinyl-(Ala)3-p-nitrioaniline, in buffer] 0.2ml를 혼합하여 25℃의 수욕조상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액의 0.2ml를 채취하여 돼지 췌장 elastase. 10ug/ml와 합쳐서 반응을 25℃ 수욕상에서 20분간 반응시킨뒤 흡광도 405nm에서 측정하여 아래 수식에 맞게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inhibition= [(A0-A1)/A0]× 100
[Tyrosinase 억제활성]
2.5mM L-DOPA 용액 1ml 와 1.8ml 0.1M 인산완충용액(pH 6.8)를 혼합하여 수욕상에서 30℃ 10분간 활성화 시켰다. 활성화된 혼합액에 시료 0.1ml를 넣고 혼합하고 0.1ml tyrosinase solution 용액을 0.1ml 넣어서 혼합 후 수욕상에 25℃에서 2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흡광도 475nm에서 측정하고 Elastase 억제 활성에 사용된 수식을 이용하여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피부미용에 대한 Elastase와 Tyrosinase의 억제활성을 분석했다. 피부노화 현상은 피부세포 내 생체결합의 손실, 피부 각질층의 구조변화, 표피 세포의 분화 감소, 진피 내의 섬유아세포에 의한 단백질 및 세포간 물질의 생체합성기능 저하 등에 의해 나타난다. 피부노화의 주원인 중의 하나인 elastin 분해효소인 elastase 활성을 저하시킴으로써 피부조직의 기계적 특성을 유지시켜 탄력을 유지하고 피부가 늘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UV 조사를 초래한 피부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Roth, G. J., C. J. Siok, and J. Ozols (1980) Structural characteristicsof prostaglandin synthetase from sheep vesicular gland. J. Biol.Chem. 255: 1301-1304.).
Tyrosinase는 피부 멜라닌의 생성 촉진 효소이다. Tyrosinase는 tyrosin으로부터 3,4-dihydroxy-L-phenylalanin(DOPA)과 DOPA-quinone을 거쳐 최종적으로 흑갈색의 melanin색소 생성에 관여하는효소로 자외선에 의하여 melanocyte의 유사분열이 일어나고 이어서 melanocyte가 활성화 된다. 활성화된 melanocyte에서는 tyrosinase 합성이 촉진되고 melanin의 생성이 되어 이를 표피 밖으로 운반 배출하게 되어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침착이 일어나게 된다. 활성산소와 같은 유해 인자를 제거하는 것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색소 형성을 막을 수 있으며,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식물은 미백에 관련한 tyrosinase 효소를 억제할 수 있는 유효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보고하였다(Kazuya, I., K. Noriaki, K. Yukari, M. Kyo, and F. Andtokio (2004) In vitro antioxidative effects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even hydroxycinnamoyl derivatives in green coffee beans. J. Agr.Food Chem. 52: 4893-4898.). 삼채 야채수의 두 효소 억제활성(Elastase 억제활성, Tyrosinase 억제활성)(%)은 [표 6],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었다.
야채수 S0 야채수 S5 야채수 S10 야채수 S20 야채수 S100
Elastase 6.71±1.29 7.21±1.14 7.51±0.71 9.34±0.27 13.68±3.72
Tyrosinase 23.37±11.16 24.17±3.50 26.75±4.84 26.23±5.54 27.84±4.42
[일반성분 분석]
1. 삼채추출물과 삼채야채수의 일반성분
일반성분 분석은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질, 조회분을 식품공전 일반성분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105 ℃ 상압건조법, 조단백은 Kjeldahl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회분은 550℃ 회화법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식이섬유 함량은 효소중?법(enzymatic gravimetric method, MES-TRIS buffer)으로 식이섬유를 측정하였다. 탄수화물은 100에서 수분, 조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질, 그리고 식이섬유를 제외한 값으로 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은 각 분석법에 따라 모든 측정은 2회 반복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
삼채 추출물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음료의 일반 성분에 대한 결과(단위: g/100g)는 [표 7]과 같다. 야채 추출물(S0)과 삼채 추출물(S100)을 비교해 봤을 때 탄수화물과 식이섬유 함량의 차이가 있었다. 삼채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삼채추출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식이섬유와 탄수화물 함량이 증가하였다.
야채수 S0 야채수 S5 야채수 S10 야채수 S20 야채수 S100
수분 99.06±0.00 99.03±0.05 98.96±0.04 98.83±0.05 97.65±0.01
조단백질 0.14±0.01 0.15±0.01 0.16±0.01 0.16±0.01 0.21±0.03
조지방질 0.02±0.00 0.01±0.01 0.01±0.00 0.01±0.00 0.01±0.00
조회분 0.18±0.03 0.17±0.03 0.16±0.03 0.14±0.07 0.11±0.04
탄수화물 0.46±0.00 0.49±0.00 0.53±0.00 0.63±0.00 1.75±0.00
식이섬유 0.14±0.00 0.15±0.01 0.18±0.01 0.23±0.03 0.27±0.02
2. 삼채야채수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식품공전에 나와있는 상압가열 건조 방법으로 하였으며, 삼채 야채수를 채취하여 증발접시에 넣고 건식 오븐(dry oven)에서 105℃로 수분을 제거하고 남은 고형물의 무게를 고형물 함량으로 하였다.
삼채 추출물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음료의 가용성 고형물에 대한 결과(단위: g/100g)는 [표 8]과 같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야채 추출물(야채수 S0)가 0.947g/100ml, 삼채 추출물(야채수 S100)은 고형물 함량은 2.38g/100ml를 함유하고 있다. 삼채 추출물 5%, 10%, 20% 첨가군이 0.976 ~ 1.180g/100ml로 삼채 추출물 첨가량이 많을 수록 고형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삼채 추출물 여과 후에도 가용성 고형물이 많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면 가열 중에 전분이 분해되면서 수용성 전분질로 변하면서 생기는 물리 화학적 결과라고 사료된다.
야채수 S0 야채수 S5 야채수 S10 야채수 S20 야채수 S100
TSS 0.95±0.00 0.98±0.05 1.05±0.05 1.18±0.05 2.38±0.01
3. 삼채야채수의 색도
색도는 색차계(CR-300,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3회 반복 측정하여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값으로 나타내었다. 이때의 표준색의 L값은 97.83, a값은 -0.43, b값이 +1.98인 calibration plate를 사용하였다
삼채 추출물(S100)의 색도는 야채수에 비해 높은 적색도를 가지고 있었다.
삼채 추출물이 첨가된 삼채 야채수의 색도는 조금 차이가 나타났다. 색도 결과는 [표 9]와 같다. 삼채 추출물이 첨가된 삼채야채수의 명도(L 값), 적색도(a값), 황색도(b값)는 삼채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조금씩 변화하였다. 야채 추출물과 5%, 10%, 20%의 삼채 추출물이 첨가된 야채수는 명도(L값)의 경우 28.40 ~ 28.51, 적색도(a값)은 0.85 ~ 0.93, 황색도(b값)은 10.70 ~ 10.92를 나타내었다. 야채 추출물(야채수 S0)에 비해서 삼채 추출물(S100)의 적색도가 높게 나타났고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적색도가 증가하였다.
야채수 S0 야채수 S5 야채수 S10 야채수 S20 야채수 S100
L 28.73±0.10 28.40±0.08 29.21±0.30 28.51±0.11 24.77±0.12
a 0.99±0.02 0.85±0.01 0.79±0.05 0.93±0.03 3.55±0.07
b 11.06±0.08 10.70±0.06 11.24±0.22 10.92±0.12 9.28±0.12
여기서, L은 명도, a는 적색도, 그리고 b는 황색도이다.
4. 삼채 야채수의 pH, 탁도 및 투광도
야채수의 pH 측정은 pH mater(model 730p, Istek, kore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야채수의 탁도는 UV-Vis(u-100, Hitachi, japen) 분광광도계로 6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투광도는 650nm에서 측정한 %T로 표식한 값이다. 이들 결과는 [표 10]과 같다. pH의 경우 야채 추출물(야채수 S0)이 6.11인 것이 비해 삼채 추출물(야채수 S100)은 4.22로 더 낮아졌으며 삼채 추출물의 함량이 더 증가 할수록 pH는 낮아졌다. 탁도와 투광도는 각각 0.09 ~ 0.25, 79.17 ~ 54.70 였다. 삼채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와 투광도가 감소하였고 탁도는 점점 증가하였다. 탁도와 투광도가 차이는 삼채 추출물의 고형물 함량의 영향으로 탁도와 투광도(%T)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야채수 S0 야채수 S5 야채수 S10 야채수 S20 야채수 S100
pH 6.11±0.66 4.93±0.20 4.76±0.08 4.61±0.01 4.22±0.05
탁도 0.09±0.01 0.21±0.02 0.22±0.01 0.23±0.02 0.25±0.00
투광도 79.17±3.02 62.35±1.48 60.65±1.63 57.90±1.56 54.70±0.00
5. 삼채야채수의 미네랄 함량
미네랄 함량은 Ca, Na, K, Mg, Fe를 원자분광광도계(Spectra AA-220FS, Verian, Austalia)를 이용하여 측정했다(표 11 참조). 삼채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a, Na, K의 함량은 낮아졌으며 Mg, Fe의 함량은 점차 증가하였다.
야채수 S0 야채수 S5 야채수 S10 야채수 S20 야채수 S100
Ca 59.55±0.49 58.50±0.71 55.40±2.55 51.50±3.61 36.70±2.83
Na 106.48±6.27 95.08±11.12 76.04±3.71 56.44±4.90 36.24±1.12
K 791.33±44.76 776.08±69.24 764.83±93.02 706.68±4.43 489.60±10.05
Mg 29.09±0.70 29.84±1.48 30.58±1.41 31.15±1.30 34.48±1.53
Fe 0.46±0.01 0.65±0.02 0.97±0.04 1.51±0.03 4.65±0.11
6. 중금속 측정, 참가물, 미생물 분석
중금속 분석은 식품공전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는 마이크로 웨이브법으로 처리 하였는데 수기에 시료 1~2g을 측정하여 질산 20ml를 넣고 Microwave digestion system에 넣고 분해 한 뒤, 메스플라스크에 옮겨 증류수로 정용하고 성분을 적절히 희석하여 실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중금속 분석에 사용한 기기는 ICP(유도결합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분해에 사용한 질산은 중금속측정용 특급시약을 사용하였으며, 증류수는 재증류한 후 탈 이온화 한 물을 사용하였다.
타르색소 분석은 각 비율별 삼채야채수를 과 표준용액으로부터 전개용매에 의한 여지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하였다. 전개용매에 의한 반점의 위치와 색을 처음에 자연광, 다음에 자외선(약 365nm)에서 비교 관찰하였다.
세균수는 각 비율별 삼채야채수를 1mL와 각 단계 희석액 1mL를 세균수 건조필름배지(Petri film, 3M, USA)에 접종한 후 잘 흡수시키고 35±1℃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붉은 집락수를 계산하고 그 평균집락수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일반세균수로 하였다.
대장균군은 각 비율별 삼채야채수를 1mL와 각 단계 희석액 1mL를 대장균군 건조필름배지(Petri film, 3M, USA)에 접종한 후 잘 흡수 시키고, 35±1℃에서 24±2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붉은 집락 중 주위에 기포를 형성하고 있는 집락수를 계산하고, 그 평균집락수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대장균군 수를 산출하였다.
대장균은 각 비율별 삼채야채수를 1 mL와 각 단계 희석액 1 mL를 대장균 건조필름배지(Petri film, 3M, USA)에 접종한 후 잘 흡수시키고, 35±1℃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푸른 집락 중 주위에 기포를 형성하고 있는 집락수를 계산하고 그 평균집락수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대장균수를 산출하였다.
납은 주거환경에 흔히 존재하고 인간이 가장 흔히 노출되기 쉬우며 다른 금속들에 비해 체내축적이 쉽게 이루어지고, 생물학적 반감기가 비교적 긴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인체에 유해한 금속이다. 카드뮴은 환경에 존재하는가장 독성이 강한 중금속 중의 하나이다. 카드뮴은 ATSDR(Ameriacn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에 의해 선정된 “Priority hazardous substance top ten"에 속하는 오염물질로서 토양에 축적될 시 이동성이 적어 토양생물에게 발암물질, 돌연변이 유발 기형생물을 형성시키는 등의 독성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타르색소는 석유화학 부산물인 타르(tar)로부터 색소를 합성하여 만들어진 색소로 타르를 증류하여 추출한 벤젠, 톨루엔, 나프탈렌 등을 이용하여 색소를 합성하여 만들어진다. 원래는 섬유류 착색을 위해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식용타르색소도 개발이 되어 첨가하게 되었지만 식품에 사용하기는 강하기 ?문에 적은수만 허가가 되었다. 타르색소의 경우 인체 내의 소화효소 작용을 저해하고 간이나 위 등에 장해를 일으키며 발암성 또한 보고되고 있어 검출되면 아니한 색소이다.
삼채 야채수를 가지고 조사한 납, 카드뮴, 타르색소에 대해서는 실험 결과, 불검출되어 식품으로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2 참조)
야채수 S0 야채수 S5 야채수 S10 야채수 S20 야채수 S100
ND ND ND ND ND
카드뮴 ND ND ND ND ND
타르색소 ND ND ND ND ND
삼채 야채수의 세균수, 대장균, 대장균군의 측정 결과는 [표 13]과 같았다.
삼채 야채수 제조시 125℃의 온도로 고온 추출을 하였다. 멸균의 기준은 121℃에서 15분 이상 가열하였을 경우 식중독 균의 멸균기준으로 보면 고온 장시간으로 삼채 야채수를 제조했기 때문에 미생물에 대해서는 불검출이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야채수 S0 야채수 S5 야채수 S10 야채수 S20 야채수 S100
세균수 ND ND ND ND ND
대장균 ND ND ND ND ND
대장균군 ND ND ND ND ND
7. 관능검사
관능 검사는 1~7점수를 이용하여 평가하다. 각 삼채 추출물을 한유된 삼채야채수 소비자 기호도를 알기 위하여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다. 조사하기 전에 소비자 기호도 조사 실험 교육을 먼저 하고 실험 할 때 주의할 항목을 설명하였고, 조사 항목은 풍미(flavor), 색(color), 매운 맛(hot taste), 신 맛(sour), 맛(taste), 입맛(mouth feeling), 전체 기호도(erall acceptability) 등 7 가지를 포함하였다. 삼채 야채수의 기호도 조사 결과는 [표 14]에 나타내었다.
삼채 추출물의 경우 삼채 뿌리의 강한 맛과 특유의 향으로 음용하기 쉽지 않아 예비 실험을 통해서 삼채 추출물의 첨가량을 0%, 5%, 10%, 20%로 조절하고 그에 따른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삼채 추출물 5%를 첨가한 삼채 야채수의 기호도가 가장 뛰어났으며 야채 추출물(야채수 S0)와 삼채 추출물 10%을 첨가한 삼채 야채수가 다음 순이었고 삼채 추출물 20%를 첨가한 삼채 야채수가 가장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기존 시중판매 야채수와 삼채 추출물 5%를 첨가한 삼채 야채수가 맛과 기능적인 면을 비교했을 때 삼채 야채수가 기존 시중 판매중인 야채수보다 소비자에게 더 선호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야채수 S0 야채수 S5 야채수 S10 야채수 S20
4.52±0.26 4.72±0.07 4.54±0.15 4.56±0.05
풍미 3.77±0.15 3.81±0.07 3.83±0.57 3.35±0.50
3.13±0.02 3.45±0.44 3.25±0.06 2.68±0.12
입맛 3.97±0.63 4.38±0.13 4.10±0.28 3.87±0.43
신 맛 2.48±0.93 2.53±1.00 3.13±0.43 3.00±0.33
매운 맛 1.95±0.34 1.74±0.37 1.86±0.47 2.05±0.01
전체 기호도 3.73±0.30 3.90±0.30 3.70±0.18 3.27±0.11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의 공정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주 원료인 삼채추출물의 맛을 잡아주기 위한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 등을 포함하는 야채들과 삼채 뿌리를 세척하고 무, 당근, 우엉을 박피한 다음에 예를 들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0.1~1cm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세절하는 단계(단계 S202~S206)와; 상기 세절된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 삼채 뿌리와 정제수를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는 가열단계(단계 S208)와; 상기 단계 S108의 내용물을 여과하여 삼채 야채수를 얻는 단계(단계 S210~S2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S108에서는 중량기준으로 80~85%의 정제수, 7.8~8.5%의 무, 4.5~5.5%의 당근, 2.2~3.0%의 우엉, 0.2~1.0%의 무청, 0.2~1.0%의 표고버섯, 0.5~4%의 삼채 뿌리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야채 재료와 정제수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한다.
또한, 상기 단계 S110에서는 10미크론 ~ 100미크론의 직격을 갖는 입자가 통과하는 여과망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채를 이용한 야채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삼채 야채수의 경우에도 항산화 실험, 생리 활성 물질 측정, 항 당료 실험, 피부미용 효과, 일반 성분 분석에 대한 결과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나올 것이라는 것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삼채를 활용하여 건강 기능을 더욱 강화한 야채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Claims (4)

  1. 80~85%의 정제수, 7.8~8.5%의 무, 4.5~5.5%의 당근, 2.2~3.0%의 우엉, 0.2~1.0%의 무청, 0.2~1.0%의 표고버섯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중량기준으로 야채 재료와 정제수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내용물을 여과하여 야채 추출물을 얻는 야채 추출물 추출 단계와;
    80~85%의 정제수, 15~20%의 건조 삼채 뿌리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건조된 삼째 뿌리와 정제수를 중량기준으로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3500~4500rpm으로 25~3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내용물을 여과하여 삼채 추출물을 얻는 삼채 추출물 추출 단계와;
    상기 추출된 야채 추출물과 삼채 추출물을 부피비율로 80:20 ~ 98:2의 범위 내에서 혼합하여 삼채 함유 야채수를 얻는 혼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2. 중량기준으로 80~85%의 정제수, 7.8~8.5%의 무, 4.5~5.5%의 당근, 2.2~3.0%의 우엉, 0.2~1.0%의 무청, 0.2~1.0%의 표고버섯, 0.5~4%의 삼채 뿌리의 범위 내에서 총 혼합비가 100%가 되도록 중량비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혼합하고, 110℃~1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 처리된 내용물을 여과하여 삼채 함유 야채수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채를 이용한 야채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 당근, 우엉, 무청, 표고버섯 및 삼채 뿌리는 세절된 후 정제수와 혼합되며, 상기 여과는 10미크론 ~ 100미크론의 직격을 갖는 입자가 통과하는 여과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수.
KR1020140112673A 2014-08-27 2014-08-27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KR101661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673A KR101661491B1 (ko) 2014-08-27 2014-08-27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673A KR101661491B1 (ko) 2014-08-27 2014-08-27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418A true KR20160025418A (ko) 2016-03-08
KR101661491B1 KR101661491B1 (ko) 2016-09-30

Family

ID=5553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673A KR101661491B1 (ko) 2014-08-27 2014-08-27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4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937B1 (ko) * 2018-04-06 2018-06-29 우영삼 비타민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00745B1 (ko) * 2019-05-14 2020-05-15 이대성 야채 추출 액상차 제조방법
KR20210048033A (ko) * 2019-10-22 2021-05-03 손찬락 무, 당근, 우엉, 무청 및 표고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음료 조성물 및 물을 실질적으로 첨가하지 않는 그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38B1 (ko) 2010-01-11 2010-09-06 심재근 야채수 및 그 제조방법
JP2013099280A (ja) 2011-11-08 2013-05-23 Dainippon Printing Co Ltd 細胞培養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70711A (ko) * 2011-12-20 2013-06-28 복판규 야채를 이용한 혼합차 제조 방법 및 야채를 이용한 혼합차
KR20130075919A (ko) * 2011-12-28 2013-07-08 배달민족 뿌리 부추 성분을 함유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99280A (ko) * 2012-02-29 2013-09-06 배달민족 뿌리 부추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36822A (ko) 2012-09-18 2014-03-26 지수연 삼채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삼채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삼채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식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38B1 (ko) 2010-01-11 2010-09-06 심재근 야채수 및 그 제조방법
JP2013099280A (ja) 2011-11-08 2013-05-23 Dainippon Printing Co Ltd 細胞培養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70711A (ko) * 2011-12-20 2013-06-28 복판규 야채를 이용한 혼합차 제조 방법 및 야채를 이용한 혼합차
KR20130075919A (ko) * 2011-12-28 2013-07-08 배달민족 뿌리 부추 성분을 함유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99280A (ko) * 2012-02-29 2013-09-06 배달민족 뿌리 부추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36822A (ko) 2012-09-18 2014-03-26 지수연 삼채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삼채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삼채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식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937B1 (ko) * 2018-04-06 2018-06-29 우영삼 비타민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00745B1 (ko) * 2019-05-14 2020-05-15 이대성 야채 추출 액상차 제조방법
KR20210048033A (ko) * 2019-10-22 2021-05-03 손찬락 무, 당근, 우엉, 무청 및 표고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음료 조성물 및 물을 실질적으로 첨가하지 않는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491B1 (ko) 2016-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fresne et al. Tea, Kombucha, and health: a review
Hu et al.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proliferative effect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he mushroom Inonotus obliquus
Nisha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varieties of Solanum melongena
Li et al.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thanolic extract of selenium-enriched green tea
Eruygur et al. Determination of biological activity of Tragopogon porrifolius and Polygonum cognatum consumed intensively by people in Sivas
Martínez et al. Medicago sativa L., a functional food to relieve hypertension and metabolic disorders in a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model
KR101706817B1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산화를 위한 동물사료 조성물
KR102298700B1 (ko) 천마 및 적하수오를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1661491B1 (ko)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KR100844185B1 (ko)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쑥차 제조 방법
Jeong et al.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white, yellow, and red onion
KR101204875B1 (ko) 꾸지뽕 발효산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소스 및 그 제조방법
Orhan et al. Assessment of in-vitro antidiabetic-antioxidant effects of helianthus tuberosus, cydonia oblonga and allium porrum
KR102078671B1 (ko)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능이 증대된 아로니아 음료 조성물
Jain et al. Development and screening of byproduct for its secondary metabolites,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potential from anthracnose-infected fruits of pomegranate: a sustainable approach
KR101438717B1 (ko) 간세포 보호작용을 갖는 민들레 복합식물 발효추출 조성물
KR101276157B1 (ko) 청국장 고유의 색과 풍미를 개선하고 기능성을 유지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배지 조성물
Shin et al. Antioxidant proper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cherry elaeagnus (Elaeagnus multiflora Thunb.) leaf extracts
KR101611881B1 (ko) 상지 배지에 배양한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상황버섯 균사체 가압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610737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으름열매식초의 제조방법, 제조된 으름열매식초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0726364B1 (ko) 항산화 효과가 있는 짚신나물 사탕 제조 방법
KR101844455B1 (ko) 홍마늘을 포함한 항염증 음료 및 환 제조방법
KR20070034801A (ko) 높은 유해 산소 제거 능력을 갖는 차가버섯 발효 음료의제조
KR20160013389A (ko) 발효 삼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 삼채
Kumar et al. Antioxidant Activity, Antibacterial Activity and Phenolic Composition of Pomegranate Fruit: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