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648A - 달래소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달래소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648A
KR20180135648A KR1020170073953A KR20170073953A KR20180135648A KR 20180135648 A KR20180135648 A KR 20180135648A KR 1020170073953 A KR1020170073953 A KR 1020170073953A KR 20170073953 A KR20170073953 A KR 20170073953A KR 20180135648 A KR20180135648 A KR 20180135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powder
roasted
present
so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217B1 (ko
Inventor
고원진
Original Assignee
고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원진 filed Critical 고원진
Priority to KR102017007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21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5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달래소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금을 제공하는 단계와; 소금을 가열하여 볶는 단계; 달래 분말가루를 제공하는 단계;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를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된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를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달래소금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salt using wild chive}
본 발명은 달래소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달래를 이용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소금은 음식물에 짠맛을 부여하는 조미재로서 식염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외에도, 소금은 체내에서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식품을 염장하여 보존기간을 연장시키는 기능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소금은 나트륨(Na)과 염소(Cl)로 구성된 화합물로 알려져 있는데, 바닷물을 햇볕에 증발시켜 만드는 천일염, 바닷물을 이온교환막을 통해 전기적으로 분해하여 NaCl 99%의 소금을 만드는 정제염, 물이 증발하면서 용존되어 있는 염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생성된 암염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천일염은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간수와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어서 이러한 불순물들을 여과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만 하며, 암염은 천일염에 비해 미네랄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고 다량의 불순물을 제거해야만 한다. 덧붙여서, 정제염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염화나트륨(NaCl)이 99%를 차지하고 있어 매우 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소금도 나트륨을 과다 섭취할 경우에 건강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나트륨 함량을 낮추려는 노력이 꾸준하게 실시되고 있다.
소금 가공에 대한 취지의 일환으로 특허문헌 1은 구운 소금에 산야초 성분을 투입하고 교반시켜 산야초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산야초 소금은 상당히 고온(700~900℃의 온도에서 8~9시간)하에서 제작되는 구운 소금을 기초로 하여 산야초를 단순히 투입하는 것으로, 산야초의 유효성분 보존을 위한 별도의 노력이 반영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75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나트륨의 섭취율을 저감할 수 있는 기능성 소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에 유효한 기능을 가진 기능성 소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한 풍미를 가진 소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달래소금 제조방법은, 소금을 제공하는 단계와; 소금을 가열하여 볶는 단계; 달래 분말가루를 제공하는 단계;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를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된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를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금 볶는 단계는 소금이 갈색 혹은 회갈색으로 갈변할 때까지 이루어지고, 그런 다음에 볶은 소금을 냉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달래 분말가루를 준비하는 단계는 달래를 세척하는 단계와; 세척된 달래를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달래를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달래 건조 단계는 저온건조방식 또는 자연건조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의 혼합 단계는 5~30 wt%의 달래 분말가루와 70~95 wt%의 볶은 소금으로 혼합되고, 바람직하기로는 20 wt%의 달래 분말가루와 80 wt%의 볶은 소금으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를 혼합하는 단계 이후에,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의 혼합물에 정제수를 투입하는 단계와; 정제수를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정제수 투입 단계는 볶은 소금을 용해한 소금물을 달래 분말가루 내로 소금을 흡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달래를 이용한 기능성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달래 소금은 달래의 알리신 성분을 이용하여 소금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음으로써 나트륨 섭취율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달래 본연의 맛과 향을 가져서 마늘과 같이 매운 향미는 저감되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마늘이 산성임에 비하여 알카리성의 특징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달래 소금은 살균·항균, 혈액순환, 소화촉진, 인슐린 분비, 항암 효과와 같은 인체에 유효한 기능을 가지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음식의 조리에 필수적인 소금의 사용과 병행하여 꾸준히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달래 소금 제조 방법은 달래의 유효성분을 파괴하지 않고서 달래 본연의 맛과 향 그리고 색상을 발현시킬 수 있는 기능성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달래 소금 제조 방법은 달래 분말가루와 볶은 소금의 물리적 분리를 방지하고 소금기를 달래 분말가루 내부에 용이하게 함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달래소금을 제조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달래소금을 제조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달래소금 제조방법은 도 1의 공정도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를 이용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데, 알리신(allicin), 다량의 무기질 등의 달래 유효성분를 파괴하지 않고 볶은 소금에 함유될 수 있도록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달래소금은 소금을 제공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소금은 일반적으로 입수가능한 천일염, 정제염일 수 있으며, 소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임의의 결정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런 다음에, 본 발명은 소금을 건조하는 볶은 소금 제조 단계(S200)를 포함한다. 소량의 수분을 함유한 소금은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소금 내에 함유된 수분 증발을 돕는다.
볶은 소금 제조 단계(S2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수분을 증발시키는 과정에서 미량의 간소, 핵비소, 유독성 폐기물, 중금속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미네랄만 함유한 볶은 소금으로 제조할 수 있다. 시중에서 구매가능한 소금은 구운 소금(예컨대, 죽염)을 생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온도보다 낮은, 400℃ 이하의 중불에서 뒤적이면서 소금의 수분이 충분히 증발될 때까지 볶는다. 볶은 소금은 수분 함유 소금에 비해서 소금 결정이 단단해진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400℃ 이하의 중불에서 소금이 갈색 혹은 회갈색으로 갈변되기 시작할 때까지 볶는 단계를 유지하는데, 그 이후에 볶은 소금을 방랭(放冷) 및/또는 냉각한다. 이러한 방랭 단계는 하류 단계의 달래 분말가루와 혼합되는 과정에서 달래에 불필요한 열을 공급하지 않기 위함이다.
단계(200)에서, 본 발명은 별도의 볶는 시간을 정량적 혹은 수치적으로 한정하지 않는 이유는 소금의 볶는 양과 소금 내에 함수량이 일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분 증발 정도에 따라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볶는 단계는 전술되었듯이 흰색의 소금이 갈색 혹은 회갈색으로 변화되는 시점에서 종결하면 될것이다.
또한, 볶은 소금은 염도를 낮추는 효과와 함께 소금 특유의 쓴맛을 제거할 수 있으며, 결정을 단단하게 만들어 아래에 기술될 볶음 소금의 분쇄 과정을 돕는다.
본 발명은 달래 분말가루를 제공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데, 달래는 독특한 향기와 맛을 가지고 있어 식용 뿐만 아니라 약용으로도 이용되고 있는 백합과의 파속(Allium)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달래의 주요 약효는 살균, 지혈, 보혈, 신경안정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매운 맛을 내는 알리신을 함유하는데,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알리신은 살균·항균, 혈액순환, 소화촉진, 인슐린 분비, 항암 효과를 갖는다.
달래 분말가루는 일반적으로 입수가능한 달래를 여러 번에 걸쳐 깨끗한 물에 헹굼 또는 세척(S310)을 하고 충분히 건조(S320)시킨 다음에 분쇄기를 통해 분쇄(S330)하여 획득될 수 있다. 특히, 달래의 건조 단계(S320)는 달래의 유효성분 중 알리신의 특성을 고려하여 낮은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는 저온건조방식 혹은 자연건조방식 등을 통해 실시되어야 한다. 알리신 성분은 가열하면 효소 활성도가 떨어져 감소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은 달래의 알리신 성분 함량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6~7 일(日)간 저온건조방식 혹은 자연건조방식으로 충분히 말린다. 이러한 건조 단계는 건조된 달래의 용이한 분쇄를 도울 뿐만 아니라 전술된 볶은 소금 사이의 공극 사이로 삽입되어 균일한 혼합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를 균일 혼합물(homogeneous mixture)로 고르게 섞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혼합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데, 단계(S200)에서 공급되는 볶은 소금과 단계(S300)에서 공급되는 달래 분말가루로 이루어진 구성성분을 고르게 섞이도록 한다.
본 발명은 혼합 단계(S400)에서 5~30 wt%의 달래 분말가루를 70~95 wt%의 볶은 소금과 혼합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20 wt%의 달래 분말 가루와 80 wt%의 볶음 소금으로 혼합되도록 한다. 달래 분말가루의 혼합비가 5 wt% 미만일 경우에는 달래소금에서 달래 특유의 향과 맛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한편, 30 wt% 초과일 경우에는 달래의 함유량이 높아져 식감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제조단가가 매우 높아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를 충분히 혼합한 다음에, 본 발명은 분쇄기를 사용하여 혼합물을 분쇄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분쇄 단계(S600)는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를 분쇄기 내에서 대략 5 ~ 10초로 분쇄하는데, 바람직하기로 40~100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한다. 분쇄 도중에, 본 발명은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를 더욱 균일하게 교반/혼합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분쇄과정을 거친 분말형태의 달래소금을 소정 용량의 용기(예컨대, 유리용기)에 포장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달래소금 제조방법을 공정 순서대로 도해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달래소금은 소금을 제공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소금은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입수가능한 천일염, 정제염일 수 있으며, 소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임의의 결정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런 다음에, 본 발명은 소금을 건조하는 볶은 소금 제조 단계(S200)를 포함한다. 소량의 수분을 함유한 소금은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소금 내에 함유된 수분 증발을 돕는다.
볶은 소금 제조 단계(S2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수분을 증발시키는 과정에서 미량의 간소, 핵비소, 유독성 폐기물, 중금속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미네랄만 함유한 볶은 소금을 제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입수가능한 소금은 400℃ 이하(바람직하기로, 85~100℃)의 중불에서 뒤적이면서 소금의 수분이 충분히 증발될 때까지 볶는다. 볶은 소금은 수분 함유 소금에 비해서 소금 결정이 단단해진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400℃ 이하의 중불에서 소금이 갈색 혹은 회갈색으로 갈변되기 시작할 때까지 볶는 단계를 유지하고서 방랭 및/또는 냉각한다. 이러한 방랭 단계는 하류 단계의 달래 분말가루와 혼합되는 과정에서 달래에 불필요한 열을 공급하지 않기 위함이다.
또한, 볶은 소금은 염도를 낮추는 효과와 함께 소금 특유의 쓴맛을 제거할 수 있으며, 결정을 단단하게 만들어 아래에 기술될 볶음 소금의 분쇄 과정을 돕는다.
본 발명은 달래 분말가루를 제공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데, 달래는 독특한 향기와 맛을 가지고 있어 식용 뿐만 아니라 약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백합과의 파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달래의 주요 약효는 살균, 지혈, 보혈, 신경안정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매운 맛을 내는 알리신을 함유하는데,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알리신은 살균·항균, 혈액순환, 소화촉진, 인슐린 분비, 항암 효과를 갖는다.
달래 분말가루는 입수가능한 달래를 여러 번에 걸쳐 깨끗한 물에 세척(S310)을 하고서 충분히 건조(S320)시킨 다음에 분쇄기를 통해 분쇄(S330)하여 획득될 수 있다. 특히, 달래의 건조 단계(S320)는 달래의 유효성분 중 알리신의 특성을 고려하여 낮은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는 저온건조방식 혹은 자연건조방식 등을 통해 실시되어야 한다. 알리신 성분은 가열하면 효소 활성도가 떨어져 감소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은 달래의 알리신 성분 함량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6~7 일간 저온건조방식 혹은 자연건조방식으로 충분히 말린다. 이러한 건조 단계는 건조된 달래의 용이한 분쇄를 도울 뿐만 아니라 전술된 볶은 소금 사이의 공극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를 균일 혼합물로 고르게 섞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혼합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데, 단계(S200)에서 공급되는 볶은 소금과 단계(S300)에서 공급되는 달래 분말가루로 이루어진 구성성분을 고르게 섞이도록 한다.
본 발명은 혼합 단계(S400)에서 5~30 wt%의 달래 분말가루를 70~95 wt%의 볶은 소금과 혼합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20 wt%의 달래 분말 가루와 80 wt%의 볶음 소금으로 혼합되도록 한다. 달래 분말가루의 혼합비가 5 wt% 미만일 경우에는 달래소금에서 달래 특유의 향과 맛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한편, 30 wt% 초과일 경우에는 달래의 함유량이 높아져 식감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제조단가가 매우 높아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추가로, 본 발명은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로 구성된 혼합물에 정제수를 투입하는 단계(S510)를 포함한다. 단계(S510)는 볶은 소금을 정제수에 용해한 소금물을 달래 분말가루 내로 침투하는 염수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다. 정제수에 볶은 소금을 용해하고 소금물이 달래 분말가루 내로 충분히 흡습될 수 있도록 단계(S510)를 대략 2~3시간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단계(S510)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단순히 달래 분말가루가 볶은 소금들의 공극 사이에 삽입을 통해 혼합되는 동시에, 일부 용해된 소금물을 수단으로 하여 달래 분말가루 내로 소금을 흡습(혹은 침투)시켜, 달래 분말가루와 볶음 소금이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고르게 혼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온(20℃) 하에서, 소금의 용해도는 정제수 100g에 대해 대략 36g이다. 포화상태의 소금물이 달래 분말가루에 신속하게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정제수의 공급량은 볶은 소금의 양과 주변 온도를 고려하여 포화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에, 본 발명은 건조하는 단계(S5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예컨대 동결건조방식을 수단으로 하여 단계(S520)를 수행하여 정제수를 증발시켜, 달래 분말가루의 산화를 방지하도록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단계(S520)가 동결건조방식과 같이 저온 하에서 실시하여 달래 분말가루의 갈변현상, 알리신의 저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를 충분히 건조한 다음에, 본 발명은 분쇄기를 사용하여 혼합물을 분쇄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분쇄 단계(S600)는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를 분쇄기 내에서 대략 5 ~ 10초로 분쇄하는데, 바람직하기로 40~100 메쉬 크기로 분쇄한다. 분쇄 도중에, 본 발명은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를 더욱 균일하게 교반/혼합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분쇄과정을 거친 분말형태의 달래소금을 소정 용량의 용기(예컨대, 유리용기)에 포장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달래소금 제조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7)

  1. 소금을 제공하는 단계(S100)와;
    소금을 가열하여 볶는 단계(S200);
    달래 분말가루를 제공하는 단계(S300)
    볶은 소금과 달래 분말가루를 혼합하는 단계(S400); 및
    혼합된 상기 볶은 소금과 상기 달래 분말가루를 분쇄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달래소금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소금 볶는 단계(S200)는 소금이 갈색 혹은 회갈색으로 갈변하기 시작할 때까지 이루어지고,
    상기 소금 볶는 단계(S200)는 상기 볶은 소금을 냉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달래소금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달래 분말가루를 준비하는 단계(S300)는,
    달래를 세척하는 단계(S310)와;
    상기 세척된 달래를 건조하는 단계(S320); 및
    상기 건조된 달래를 분쇄하는 단계(S330);를 포함하는 달래소금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달래 건조 단계(S320)는 저온건조방식 또는 자연건조방식으로 실시되는 달래소금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S400)는 5~30 wt%의 달래 분말가루와 70~95 wt%의 볶은 소금으로 혼합되는 달래소금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볶은 소금과 상기 달래 분말가루를 혼합하는 단계(S400) 이후에,
    상기 볶은 소금과 상기 달래 분말가루의 혼합물에 정제수를 투입하는 단계(S510)와;
    상기 정제수가 투입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S520);를 포함하는 달래소금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 투입 단계(S510)는 상기 볶은 소금을 용해한 소금물을 상기 달래 분말가루 내로 소금을 흡습시키는 달래소금 제조방법.
KR1020170073953A 2017-06-13 2017-06-13 달래소금 제조방법 KR101955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953A KR101955217B1 (ko) 2017-06-13 2017-06-13 달래소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953A KR101955217B1 (ko) 2017-06-13 2017-06-13 달래소금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648A true KR20180135648A (ko) 2018-12-21
KR101955217B1 KR101955217B1 (ko) 2019-03-07

Family

ID=6495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953A KR101955217B1 (ko) 2017-06-13 2017-06-13 달래소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2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616A (ja) * 2000-10-27 2002-05-08 Apio Club:Kk ハーブソルトの製造方法
KR20100104204A (ko) * 2009-03-17 2010-09-29 김광순 허브소금 제조방법
KR20150049320A (ko) * 2013-10-30 2015-05-08 이종민 흡습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저염소금과 그 제조방법
KR20160127570A (ko) 2015-04-27 2016-11-04 황인철 산야초 소금 제조방법, 이 소금의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616A (ja) * 2000-10-27 2002-05-08 Apio Club:Kk ハーブソルトの製造方法
KR20100104204A (ko) * 2009-03-17 2010-09-29 김광순 허브소금 제조방법
KR20150049320A (ko) * 2013-10-30 2015-05-08 이종민 흡습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저염소금과 그 제조방법
KR20160127570A (ko) 2015-04-27 2016-11-04 황인철 산야초 소금 제조방법, 이 소금의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217B1 (ko)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547B1 (ko) 훈제 오리의 제조방법
KR100708762B1 (ko) 양념소금 제조방법
CN102218081B (zh) 一种鳄鱼骨粉末的制作方法
KR100774537B1 (ko) 기능성 멸치액젓 및 그 제조방법
KR101294654B1 (ko) 삼채를 포함하는 김치제조용 양념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
CN103169011A (zh) 一种酸菜面条及其加工方法
KR102446399B1 (ko) 양념 꽃게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꽃게장
KR101571215B1 (ko) 흡습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저염소금과 그 제조방법
KR20130012804A (ko) 천일염의 간수 제거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능성 칼라 소금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칼라 함수의 제조방법
KR101955217B1 (ko) 달래소금 제조방법
CN103494273A (zh) 一种桂花西瓜子及其制备方法
KR100920675B1 (ko) 우렁쉥이를 이용한 된장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된장
CN104855945A (zh) 一种虾皮猪肉方便面酱料包
KR20160034649A (ko) 매실추출물과 아가베시럽을 이용한 꼬막 육의 즉석식품 제조방법
KR101762674B1 (ko) 웰빙간장의 제조방법
CN106722740A (zh) 一种调味用的黑芝麻酵素
CN105982235A (zh) 一种西番莲低盐鸭蛋及其制备方法
KR20220119543A (ko)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KR101240664B1 (ko) 깻잎 향신료와 조미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4668B1 (ko) 발향소금 제조방법
KR20160016082A (ko) 식품원료를 염장하여 저염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KR101706954B1 (ko) 양념게장의 제조방법
KR20150112174A (ko) 청양고추 소금 및 그 제조 방법
CN105123987B (zh) 一种豆制品的富硒化卤制工艺
KR101284547B1 (ko) 칼슘 죽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