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025A -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 - Google Patents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025A
KR20180135025A KR1020187033440A KR20187033440A KR20180135025A KR 20180135025 A KR20180135025 A KR 20180135025A KR 1020187033440 A KR1020187033440 A KR 1020187033440A KR 20187033440 A KR20187033440 A KR 20187033440A KR 20180135025 A KR20180135025 A KR 20180135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smetic
ultraviolet
wate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538B1 (ko
Inventor
타카히로 카토리
사토시 야마키
타이치 하라다
타카시 마츠다
유리카 와타나베
카호리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80135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유상 중에 분말을 배합한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 내수성을 향상시키고, 물이나 땀 등과의 접촉에 의해 도포한 직후보다 자외선 방어 효과 등이 향상된다는 종래에 없는 획기적인 특성을 갖고, 또한 사용감이나 세정성도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자외선 흡수제, (B)유상 증점제, (C)소수화 처리 분말, (D)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 및 (E)비휘발성 유분(상기 (A)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을 함유하고, 상기 (E)비휘발성 액상 유분의 배합량에 대한 (B)유상 증점제와 (C)소수화 처리 분말의 합계 배합량의 비율([(B)+(C)]/(E))이 0.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
본 발명은,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수상에 분말을 배합한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로서, 내수성이 우수하고, 물이나 땀 등과 접촉함으로써 도포 직후보다 자외선 방어 효과 등이 향상된다는 종래에 없는 특성을 갖는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의 해(害)로부터 피부를 지키는 것은 스킨케어, 바디케어에 있어서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며, 자외선이 피부에 주는 악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UV 케어 화장료가 개발되고 있다. UV 케어 화장료의 1종인 자외선 차단 화장료(선 스크린 화장료)는 자외선 흡수제나 자외선 산란제를 배합함으로써 UVA 및 UVB의 피부에의 도달을 차단하여 자외선의 해로부터 피부를 지킨다(비특허문헌 1). 최근에는 여름의 수영장이나 바다에서의 수욕이나 겨울의 스키 등의 야외활동에 있어서의 가혹한 자외선조건에 한정되지 않고, 일상생활에 있어서도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고 있고, 통상의 스킨케어 화장품에서도 자외선 방어 효과를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제형으로서는 유화형태의 제제가 많이 이용되고 있고, 유화의 불안정성이 자외선 방어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있었다. 특허문헌 1에서는, 탄소수 14∼24의 유리지방산을 배합함으로써 보존 안정성을 개선하여 장기보존에 의한 자외선 방어능의 저하를 억제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가령 사용 직전까지 자외선 방어능이 유지되고 있었다고 해도, 피부에 도포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가 물이나 땀과 접촉하면, 도포한 화장료로부터 자외선 흡수제나 자외선 산란제가 유출하여 자외선 방어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여겨지고 있었다.
수중 유형 유화물은 싱싱한 사용감촉이 얻어지는 점에서 자외선 차단 화장료로서도 널리 사용되어 있다. 그러나,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는 유중 수형에 비해서 내수성이 떨어지는 일이 많아 자외선 흡수제나 자외선 산란제의 유출에 의한 자외선 방어능의 저하가 일어나기 쉽다. 또한 내유상에 자외선 산란제 등의 분말을 배합한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는 특히 내수성이 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높은 자외선 방어능을 얻기 위해서 분말 배합량을 증가시키면, 그 분산매인 유분을 다배합할 필요가 발생하고, 그 결과 끈적거린 사용감을 준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 피막제를 배합함으로써 내수성을 향상시킨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특허문헌 2). 그러나, 피부에 도포한 화장료는 피부로부터 분비되어지는 땀이나 해수와 같은 외부환경으로부터의 수분 등, 도막의 내외로부터 여러가지 수분에 노출되므로, 내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수지나 피막제를 고배합해도 자외선 흡수제나 자외선 산란제의 유출을 완전히 저지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 등의 유출을 완전히 저지할 수 있었던 경우라도 얻어지는 자외선 방어 효과는 도포 직후를 상회할 일은 없다고 여겨지고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2015-3072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91377호 공보
「신화장품학」 제2판, 미츠이 타케오편, 2001년, 난잔도 발행, 제497∼504페이지
본 발명은 강력한 자외선 방어 효과를 갖는 수중 유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개발하는 연구 과정에 있어서, 물이나 땀 등과의 접촉에 의해, 자외선 방어 효과가 저하되지 않고, 반대로 효과가 향상된다는 현상을 처음으로 찾아낸 것에 의거한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는, 수분과 접촉함으로써 자외선 방어 효과 등이 향상된다는 종래에 없는 새롭고 혁신적인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검토를 거듭한 결과, 내유상에 분말을 배합한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 유상 증점제를 배합하고, 또한 상기 유상 증점제와 소수화 처리 분말의 합계 배합량과 비휘발성 유분의 배합량의 비율을 특정 범위내로 조정함으로써, 내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상기 새롭고 혁신적인 특성이 발휘되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A)자외선 흡수제,
(B)유상 증점제,
(C)소수화 처리 분말,
(D)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 및
(E)비휘발성 액상 유분(상기 (A)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을 함유하고,
(E)비휘발성 액상 유분의 배합량에 대한 (B)유상 증점제와 (C)소수화 처리 분말의 합계 배합량의 비율([(B)+(C)]/(E))이 0.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물이나 땀 등과 접촉한 후의 자외선 방어 효과가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한 직후보다 현저하게 향상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는 종래의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 효과 열화의 원인으로 되고 있던 수분 등과의 접촉에 의해 자외선 방어 효과 등이 향상된다고 하는 종래의 상식과는 정반대의 특성을 갖는 혁신적인 자외선 차단 화장료이다. 또한, 물과 접촉함으로써 화장 도막이 균일화되므로, 화장료를 도포한 피부의 광학특성이 맨피부에 가까워져서 투명감이 늘고 깨끗하게 느껴진다고 하는 미적 효과도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는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막제 등을 고배합하지 않아도 화장 도막의 내수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피막감이 없고, 사용시(적용시)의 발림이 좋고, 범용의 세정료나 비누로 간단하게 지우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특이한 자외선 방어 효과 및 미적 효과에 추가해서 사용성 및 세정성도 우수한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는, (A)자외선 흡수제, (B)유상 증점제, (C)소수화 처리 분말, (D)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 및 (E)비휘발성 액상 유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양태인 수중 유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예로 들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A)자외선 흡수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에 배합되는 (A)자외선 흡수제(이하, 간단히 「성분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는 종래부터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 통상 배합되는 자외선 흡수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성분 A)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예로서는,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 1,3,5-트리아진, 옥토크릴렌, 디메티코디에틸벤잘말로네이트, 폴리실리콘-15, 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에틸헥실트리아존,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 헥실,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옥시벤존-3,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호모살레이트, 살리실산 에틸헥실 등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성분 A)의 배합량은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경우는,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30질량%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성분 A)는 비휘발성 액상 유분(성분 E)의 일부(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것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이외의 비휘발성 액상 유분을 배합함으로써 내유상 중에 안정되게 유지되는 자외선 산란제로 충분한 자외선 방어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을 6질량% 미만, 예를 들면, 5질량% 이하, 3질량% 이하, 또는 2질량% 이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B)유상 증점제
(B)유상 증점제(이하, 간단히 「성분 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는 유상의 점도를 조정할 수 있는 물질이며, 예를 들면,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고형 또는 반고형의 탄화수소유, 유기 변성 점토광물, 또는 지방산 또는 그 염 등이 바람직하고,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을 배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덱스트린 또는 환원 덱스트린과 고급 지방산의 에스테르이며,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덱스트린 또는 환원 덱스트린은 평균 당중합도가 3∼1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구성 지방산으로서는 탄소수 8∼22의 포화 지방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팔미트산 덱스트린, 올레산 덱스트린, 스테아르산 덱스트린, 미리스트산 덱스트린, (팔미트산/2-에틸헥산산)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는 그 지방산이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소수 12∼22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크로오스 카프릴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카프르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라우르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미리스트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팔미트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올레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에루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고형 또는 반고형의 탄화수소유는 상온(25℃)에서 고형 또는 반고형의 탄화수소이며, 구체예로서, 바세린, 수첨 팜유, 수첨 피마자유(카스터 왁스), 팜핵 경화유, 경화 피마자유, 수첨 피너츠(낙화생)유, 수첨 유채종자유, 수첨 동백유, 수첨 대두유, 수첨 올리브유, 수첨 마카다미아너트유, 수첨 해바라기유, 수첨 밀배아유, 수첨 쌀배아유, 수첨 쌀겨유, 수첨 면실유, 수첨 아보카도유, 납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변성 점토광물은 3층 구조를 갖는 콜로이드성 함수 규산 알루미늄의 일종이며, 하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점토광물을 제4급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변성한 것이 대표적이다.
(X, Y)2-3(Si, Al)4O10(OH)2Z1/3·nH2O (1)
(단, X=Al, Fe(III), Mn(III), Cr(III), Y=Mg, Fe(II), Ni, Zn, Li, Z=K, Na, Ca)
구체예로서,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디메틸알킬암모늄헥토라이트, 벤질디메틸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 염화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처리 규산 알루미늄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벤톤27(벤질디메틸스테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처리 헥토라이트:엘레멘티스 재팬사제) 및 벤토38(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처리 헥토라이트:엘레멘티스 재팬사제)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은 상온에서 고형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방산의 염으로서는 이들 지방산의 칼슘염, 마그네슘염, 알루미늄염 등을 들 수 있다.
(C)소수화 처리 분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분말(이하, 간단히 「성분 C」라고도 칭하는 경우가 있다)은 종래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등에 있어서 자외선 산란제, 사용성 분말, 색재로서 배합되어 있는 분말로서, 표면 소수화 처리한 분말을 포함한다. 자외선 산란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미립자상의 금속산화물, 예를 들면,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철, 산화세륨, 산화텅스텐 등의 분말을 들 수 있다. 사용성 분말, 색재로서는, 예를 들면, 탤크, 운모 티탄 등을 들 수 있다.
표면 소수화 처리제로서는 화장료 분야에서 범용되고 있는 것, 예를 들면, 디메치콘, 알킬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 옥틸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알콕시실란, 팔미트산 덱스트린 등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 실리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옥틸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알콕시실란, 실리카로 표면 소수화 처리한 자외선 산란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D)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
(D1)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하, 「성분 D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는 종래부터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어도 좋고, 그 중에서도, HLB가 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제제의 안정성 및 수분과의 접촉에 의한 흡광도 향상 효과라고 하는 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의 구체예로서는, PEG-10 수첨 피마자유, PEG-20 수첨 피마자유, PEG-25 수첨 피마자유, PEG-30 수첨 피마자유, PEG-40 수첨 피마자유, PEG-50 수첨 피마자유, PEG-60 수첨 피마자유, PEG-80 수첨 피마자유, PEG-100 수첨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HLB가 8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D1)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에 대해서 0.1∼10질량%, 바람직하게는 0.5∼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8∼3질량%이다. 성분 D1의 배합량이 0.1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안정성이 얻어지기 어렵고, 10질량%를 초과해서 배합하면 사용성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또한 성분 D1의 50질량% 이상을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가 차지하도록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성분 D1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지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D2)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이하, 「성분 D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은 소수성 코어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친수성기(코로나)를 형성한 겔미립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로서는 가교형 및 비가교형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로서 이하에 나타내듯이(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메톡시 PGE) 크로스폴리머[가교형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 및 아크릴아미드계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비가교형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이 예시된다.
1.가교형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메톡시 PGE-90)크로스폴리머)]
이 양태에 따른 가교형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은 하기 식(1)∼(3)으로 나타내어지는 모노머를 특정의 조건하에서 라디칼 중합해서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01
R1은 탄소수 1∼3의 알킬기이며, n은 8∼200의 수이다. X는 H 또는 CH3이다.
상기 식(1)로 나타내어지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매크로모노머는, 예를 들면, Aldrich사에서 시판되고 있는 시판품, 또는 니치유사에서 팔매되고 있는 브렘머(등록상표)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부분의 분자량(즉 n의 값)은 n=8∼200인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매크로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니치유사제 브렘머(등록상표) PME-400, 브렘머(등록상표) PME-1000, 브렘머(등록상표) PME-4000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2
R2는 탄소수 1∼3의 알킬기이다.
R3은 탄소수 1∼12의 알킬기로서, 탄소수 1∼8의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2)로 나타내어지는 소수성 모노머는, 예를 들면, Aldrich사 또는 도쿄카세이사에서 시판되고 있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식(2)의 소수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프로필,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펜틸, 아크릴산 헥실, 아크릴산 헵틸, 아크릴산 옥틸, 아크릴산 데실, 아크릴산 도데실,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프로필,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펜틸, 메타크릴산 헥실, 메타크릴산 헵틸, 메타크릴산 옥틸, 메타크릴산 데실, 메타크릴산 도데실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옥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소수성 모노머는 범용원료이며, 일반 공업원료로서도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R4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은 0∼2의 수이다.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가교성 모노머는 시판품 또는 공업용 원료로서 입수가 가능하다. 이 가교성 모노머는 소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m의 값은 0∼2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Aldrich사에서 발매되고 있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이하, EGDMA로 약기하는 일이 있다), 니치유사에서 발매되고 있는 브렘머(등록상표) PDE-50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따른 가교형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은 이하의 (a1)∼(e1)의 조건 하에서 상기 모노머를 라디칼 중합한 것이다.
(a1)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매크로모노머의 투입 몰량/상기 소수성 모노머의 투입 몰량으로 나타내어지는 몰비가 1:10∼1:250인 것.
(b1)상기 가교성 모노머의 투입량이 상기 소수성 모노머의 투입량에 대하여 0.1∼1.5질량%인 것.
(c1)식(2)로 나타내어지는 소수성 모노머는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크릴산 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모노머 조성인 것.
(d1)중합용매가 물-유기용매의 혼합 용매이며, 유기용매로서 폴리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
(e1)물-유기용매의 혼합 용매의 용매 조성이 20℃의 질량비 또는 용량비로 물:유기용매=90∼10:10∼90인 것.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소수성 모노머의 투입량에 대한 상기 가교성 모노머의 투입량」을 「가교밀도(질량%)」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의 가교밀도는 (b1)의 조건에 따라 상기 가교성 모노머의 투입량이 상기 소수성 모노머의 투입량에 대하여 0.1∼1.5질량%이어야 한다.
이하에, 각 조건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건(a1)
폴리에틸렌옥사이드매크로모노머와 소수성 모노머의 투입 몰량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매크로모노머:소수성 모노머=1:10∼1:250(몰비)의 범위에서 중합 가능하다. 상기 투입 몰량은 1:10∼1:200이 바람직하고, 1:25∼1:100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매크로모노머의 몰량에 대하여 소수성 모노머의 몰량이 10배 미만이 되면, 중합되는 폴리머는 수용성으로 되어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은 형성하지 않는다. 또 폴리에틸렌옥사이드매크로모노머의 몰량에 대하여 소수성 모노머의 몰량이 250배를 초과하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매크로모노머에 의한 분산 안정화가 불완전해져서 불용성의 소수성 모노머에 의한 소수성 폴리머가 응집, 침전한다.
·조건(b1)
가교성 모노머를 공중합함으로써 코어 부분의 소수성 폴리머가 가교된 미크로겔을 중합할 수 있다.
가교성 모노머의 투입량이 소수성 모노머의 투입량의 0.1질량% 미만이면, 가교밀도가 낮아 미크로겔은 팽윤시에 붕괴되어 버린다. 또 투입량이 1.5질량%를 초과하면, 미크로겔 입자끼리의 응집이 발생하여 입도분포가 좁은 적합한 미크로겔 입자를 중합할 수는 없다. 가교성 모노머의 투입량은 0.2∼1.0이 바람직하고, 0.2∼0.8이 보다 바람직하고, 0.2∼0.5질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조건(c1)
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소수성 모노머는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크릴산 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모노머 조성인 것이 필요하다. 탄소수가 0이면(말단 에스테르 결합이 없는 모노머이면), 모노머가 지나치게 친수적으로 되어 잘 유화중합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탄소수가 9 이상이면 중합시의 입체장해로 되어 잘 가교구조를 구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조건(d1)
중합용매는 물-유기용매의 혼합 용매인 것이 필요하다. 유기용매로서는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폴리올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폴리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식(2)로 나타내어지는 소수성 모노머 및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가교성 모노머를 용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로서는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인 것이 필요하다.
공업적으로 제조 가능한, 즉 투석 등의 정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중합액을 그대로 원료체로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한 경우, 물과 혼합하는 용매는 에탄올이나 프로판올, 부탄올 등, 피부에의 도포시에 자극성이 우려되는 유기용제가 아니라, 범용적으로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폴리올인 것이 적합하다.
·조건(e1)
중합용매인 물-유기용매의 혼합 용매의 용매 조성은 20℃의 질량비로 물:유기용매=90∼10:10∼90인 것이 필요하다. 물-유기용매의 혼합 용매의 용매 조성은 물:유기용매=90∼10:10∼90(20℃의 용량비)인 것이 바람직하고, 물:유기용매=80∼20:20∼80(20℃의 용량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용매는 소수성 모노머를 균일 용해하기 위해서 유기용매를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기용매의 혼합비는 10∼90용량비이다. 유기용매의 혼합비가 10용량비보다 낮은 경우에는 소수성 모노머의 용해능이 극히 낮아지고, 모노머 적(滴)의 상태에서 중합이 진행되어 거대 덩어리로 되어 미크로겔이 생성되지 않는다. 또 유기용매의 혼합비가 90용량비를 초과하면, 소수성 상호작용에 의한 소수성 모노머의 에멀젼이 생성되지 않고, 유화중합이 진행하지 않아 미크로겔은 얻어지지 않는다.
유기용매로서 폴리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은 중합용매가 물-폴리올 혼합 용매로서,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고, 민감피부의 사용자에게도 피부 자극성이 없는 화장료를 간편하게 얻을 수 있다.
중합계에 사용되는 중합개시제는 통상의 수용성 열라디칼 중합에 사용되는 시판의 중합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중합계에서는 특히 교반 조건을 엄밀하게 컨트롤하지 않고 중합을 행해도 중합되는 미크로겔 입자의 입도분포는 매우 좁은 것을 얻을 수 있다.
2.비가교형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아크릴아미드계 코어-코로나]
본 발명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비가교형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은 하기 식(4)∼(6)으로 나타내어지는 모노머를 특정 조건 하에서 라디칼 중합해서 얻어지는 코어-코로나형 미크로 입자의 분산액이다.
Figure pct00004
R1은 탄소수 1∼3의 알킬기이며, n(폴리에틸렌옥사이드 부분의 분자량)은 8∼200의 수이다. X는 H 또는 CH3이다.
상기 식(4)로 나타내어지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매크로모노머는 아크릴산 유도체 또는 메타크릴산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Aldrich사에서 시판되고 있는 시판품, 또는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에서 발매되고 있는 브렘머(등록상표)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로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레이트인 PME-400, PME-1000, PME-4000(식(1)에 있어서의 n값이 각각, n=9, n=23, n=90, 모두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을 사용해도 좋다.
Figure pct00005
R2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5)로 나타내어지는 소수성 모노머는 아크릴산 유도체 또는 메타크릴산 유도체(「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모노머」라고도 한다)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프로필,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펜틸, 아크릴산 헥실, 아크릴산 헵틸, 아크릴산 옥틸, 아크릴산 데실, 아크릴산 도데실,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프로필,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펜틸, 메타크릴산 헥실, 메타크릴산 헵틸, 메타크릴산 옥틸, 메타크릴산 데실, 메타크릴산 도데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메타크릴산 메틸(별명: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부틸(별명:부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옥틸이 특히 적합하다.
이들 소수성 모노머는 범용원료이며, 일반 공업원료로서도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ldrich사 또는 도쿄카세이사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시판품을 사용해도 좋다.
Figure pct00006
R4는 H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H 또는 탄소수 1∼18, 바람직하게는 1∼12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6)으로 나타내어지는 소수성 모노머는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유도체(「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모노머」라고도 한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t-부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t-부틸메타크릴아미드, 옥틸아크릴아미드, 옥틸메타크릴아미드, 옥타데실아크릴아미드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t-부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가 특히 적합하다.
이들 소수성 모노머는 시판품 또는 공업용 원료로서 입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코로나형 미크로 입자를 구성하는 공중합체는 하기 (a2)∼(d2)의 조건에 따라 임의의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상기 식(4)로 나타내어지는 매크로모노머와, 상기 식(5) 및 (6)으로 나타내어지는 소수성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공중합시킨 것이다.
(a2)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매크로모노머의 투입 몰량/(상기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모노머 및/또는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모노머)의 투입 몰량으로 나타내어지는 몰비가 1:10∼1:250인 것.
(b2)상기 식(4)로 나타내어지는 매크로모노머는 반복단위가 8∼2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기를 갖는 아크릴산 유도체 또는 메타크릴산 유도체이며,
상기 식(5)로 나타내어지는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모노머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를 갖는 아크릴산 유도체 또는 메타크릴산 유도체이며,
상기 식(6)으로 나타내어지는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모노머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유도체인 것,
(c2)중합용매가 물-알콜 혼합 용매이며, 알콜이 에탄올,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
(d2)물-알콜 혼합 용매의 용매 조성이 20℃의 질량비로 물:알콜=90∼10:10∼90인 것.
이하에, 각 조건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건(a2)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매크로모노머와, 상기 소수성 모노머(즉,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모노머 및/또는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모노머의 총합계)의 투입 몰량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매크로모노머:소수성 모노머=1:10∼1:250(몰비)의 범위내에서 중합 가능하다. 상기 투입 몰량은 1:10∼1:200이 바람직하고, 1:25∼1:100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매크로모노머의 몰량에 대한 소수성 모노머의 몰량이 10배 미만이 되면, 중합되는 폴리머는 수용성으로 되어 코어-코로나형 입자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폴리에틸렌옥사이드매크로모노머의 몰량에 대한 소수성 모노머의 몰량이 250배를 초과하면, 폴리에틸렌옥사이드매크로모노머에 의한 분산 안정화가 불완전해져서 불용성의 소수성 모노머에 의한 소수성 폴리머가 응집, 침전된다.
·조건(b2)
조건(b2)는 하기 (b2-1)∼(b2-3)의 3조건으로 이루어진다.
(b2-1)
식(4)로 나타내어지는 매크로모노머는 반복단위가 8∼2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기를 갖는 아크릴산 유도체 또는 메타크릴산 유도체이다. 반복단위가 7 이하이면 용매에 안정 분산된 입자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200을 초과하면, 입자가 미세화되어 화장료에 배합했을 때에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다.
(b2-2)
상기 식(5)로 나타내어지는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모노머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를 갖는 아크릴산 유도체 또는 메타크릴산 유도체이다. 탄소수가 0이면(말단 에스테르 결합이 없는 모노머이면), 모노머가 지나치게 친수적이어서 잘 유화 중합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탄소수가 13 이상이면 바람직한 사용감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b2-3)
상기 식(6)으로 나타내어지는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모노머는 탄소수 1∼18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유도체이다.
이 양태에 따른 소수성 모노머는 상기 식(5)로 나타내어지는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모노머 및 식(6)으로 나타내어지는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모노머 조성인 것이 필요하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소수성 모노머로서 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의 2종류,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의 4종류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소수성 모노머의 조합에 있어서, 또한, 매크로모노머로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양태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매크로모노머 및 소수성 모노머의 조합으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기의 반복단위가 8∼90, 가장 바람직하게는 15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기의 반복단위가 8∼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t-부틸메타크릴아미드, 옥틸아크릴아미드, 옥틸메타크릴아미드, 옥타데실아크릴아미드를 들 수 있다.
·조건(c2)
중합용매는 물-알콜 혼합 용매인 것이 필요하다. 알콜로서는 식(5) 및 (6)으로 나타내어지는 소수성 모노머를 용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에탄올,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다.
·조건(d2)
중합용매인 물-알콜 혼합 용매의 용매 조성은 20℃의 질량비 또는 용량비로 물:알콜=90∼10:1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알콜=80∼20:20∼80이다. 알콜의 혼합비가 10용량비보다 낮을 경우에는, 소수성 모노머의 용해능이 극히 낮아져서 미크로 입자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알콜의 혼합비가 90용량비를 상회하는 경우에는 소수성 상호작용에 의한 소수성 모노머의 에멀젼이 생성되지 않고, 유화중합이 진행되지 않고 미크로 입자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상기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은 비이온성 고분자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쇄로 안정화된 미크로겔이며, 그 수중에서의 분산 안정성으로는 내산성이나 내염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크로겔에서는 친수성 매크로모노머와 소수성 모노머가 용매 중에서 질서화되고, 입자지름이 거의 일정하며, 또한 코어 부분이 가교된, 또는 비가교의 코어-코로나형 고분자 미크로겔이 생성된다고 여겨진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통상 0.01∼10질량%(순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01질량%(순분) 미만에서는 안정된 화장료가 얻어지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배합량이 10질량%(순분)를 초과하면, 고온조건 하에서의 장기보존에 있어서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나, 사용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은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유화해서 수상성분 중에 분산된 유상성분의 유적 위에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 유화제가 흡착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 유화제는 유화력이 우수하고, 유화제로서 사용하면 안정성이 극히 우수한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로 된다. 그리고,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은 유상 중에 존재하는 비중이 큰 소수성 분체의 거동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E)비휘발성 액상 유분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는 (E)비휘발성 액상 유분을 함유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비휘발성 액상 유분」이란 상온(25℃)·상압(1기압(9.8×104Pa))에서 휘발성을 나타내지 않고(예를 들면, 상압에서의 비점이 약 200℃ 이상인 유분이 포함된다), 상온·상압에서 유동성을 갖고, 고형이 아닌 액상의 유분을 의미하고, 실리콘유 및 실리콘유 이외의 비휘발성유(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등)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E)비휘발성 액상 유분에는 상기 성분 A에 해당되는 유성의 자외선 흡수제도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1)비휘발성 액상 유분(성분 E)이 자외선 흡수제 이외의 비휘발성 액상 유분을 포함하는 양태와, (2)성분 E가 자외선 흡수제만으로 이루어지는 양태를 포함한다.
성분 E에 포함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 이외의 비휘발성 액상 유분에는, 예를 들면, 탄화수소유, 식물유, 에스테르유, 고분자량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실리콘유가 포함된다.
구체예로서는, 팜유, 아마씨유, 동백유, 마카다미아너트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아보카도유, 산다화유, 피마자유, 홍화씨유, 살구씨유, 시나몬유, 호호바유, 포도유, 아몬드유, 유채씨유, 참깨유, 해바라기유, 밀배아유, 쌀배아유, 쌀겨유, 면실유, 대두유, 낙화생유, 차실유, 달맞이꽃유, 난황유, 간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 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릴 등의 액상 유지; 옥탄산 세틸 등의 옥탄산 에스테르,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트 등의 이소옥탄산 에스테르, 라우르산 헥실 등의 라우르산 에스테르,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등의 미리스트산 에스테르, 팔미트산 옥틸 등의 팔미트산 에스테르,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등의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이소스테아르산 이소프로필 등의 이소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이소팔미트산 옥틸 등의 이소팔미트산 에스테르, 올레산 이소데실 등의 올레산 에스테르, 아디프산 디이소프로필 등의 아디프산 디에스테르, 세바신산 디에틸 등의 세바신산 디에스테르,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유;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유; 폴리옥시부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실리콘유를 들 수 있다.
[성분 B와 성분 C의 합계 배합량]/ [성분 E의 배합량]의 비율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이며, 내유상에 분말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수중 유중 분말형의 유화물에 있어서는 내유상의 점도가 크면 안정된 유화물이 얻어지기 어려운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내유상을 구성하는 (B)유상 증점제와 (C)소수화 처리 분말의 합계 배합량과 (E)비휘발성 액상 유분((A)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의 배합량의 비율([B+C/E])을 소정 범위내로 함으로써, 안정된 유화물로 할 수 있고, 또한 수분과의 접촉에 의한 자외선 방어능의 향상이라는 특이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의 (B)유상 증점제와 (C)소수화 처리 분말의 합계 배합량과 (E)비휘발성 액상 유분((A)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의 배합량의 비율([B+C/E])은 0.2∼20의 범위내인 것을 필수로 한다.
또한 (B)유상 증점제와 (C)소수화 처리 분말의 합계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7.5∼4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E)비휘발성 액상 유분의 배합량은 [B+C/E]=0.2∼20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내에서 적당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성분 이외에, 화장료에 통상 사용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 성분으로서 배합할 수 있다.
임의 성분의 예로서 휘발성 유분을 들 수 있고, 본 발명에서 배합될 수 있는 휘발성 유분에는 휘발성 탄화수소유 및 휘발성 실리콘유,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콜이 포함된다.
휘발성 탄화수소 유분은 종래부터 화장료 등에 사용되고 있는 상온(25℃)에서 휘발성을 갖는 탄화수소유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수첨 폴리이소부텐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 실리콘유에는, 종래부터 화장료 등에 사용되고 있는 상온(25℃)에서 휘발성을 갖는 실리콘유, 예를 들면, 휘발성의 직쇄상 실리콘유(휘발성 디메치콘) 및 휘발성의 환상 실리콘유(휘발성 시클로메치콘)가 포함된다. 휘발성 디메치콘으로서는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등의 저점도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고, 시판품으로서는, KF-96L-1.5cs, KF-96L-2cs(모두 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 시클로메치콘으로서는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D5)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임의 성분으로서, 수용성 또는 유용성의 피막제를 들 수 있다. 피막제를 배합함으로써, (A)자외선 흡수제나 (C)소수화 처리 분말의 유출이나 의복 등에 의한 닿아서 지워지는 것에 대한 저항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단, 그 배합량은 피막감(사용성)이나 세정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막제로서는 화장료에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VP/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PVP/에이코센 공중합체, PVP/메타크릴산 에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PVP/헥사데센 공중합체, PVP/VA 공중합체, PVP/비닐아세테이트/이타콘산 공중합체, 스티렌/PVP 공중합체 등의 PVP계 피막제; 아크릴산 에틸/아크릴산 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틸/아크릴산 부틸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틸/메타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틸/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아크릴산 옥틸/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아크릴산 옥틸/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산 부틸/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아크릴산 부틸/히드록시메타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아크릴산 부틸/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아크릴산 메톡시에틸/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아크릴산 부틸 공중합체, 아크릴산 라우릴/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 에틸, 폴리아크릴산 부틸, 폴리스티렌 아크릴산 수지 등의 아크릴산계 피막제; 폴리아세트산 비닐 등의 아세트산 비닐계 피막제;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산 부틸/아크릴산 옥틸산, 디에틸황산 비닐피롤리돈/N,N'-디메틸아미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메타크릴산계 피막제; 비닐메틸에테르/말레산 에틸 공중합체, 비닐메틸에테르/말레산 부틸 공중합체 등의 비닐메틸에테르계 피피막제; 스티렌/메틸스티렌/인덴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피막제; 시클로헥산계 알키드 수지 등의 알키드 수지계 피막제; 트리메틸실록시규산 등의 실리콘 수지계 피막제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임의 성분으로서, 화장료에 통상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미백제, 보습제, 산화방지제, 유성 활성제, 계면활성제, 수상 증점제, 사용성 분말(소수화 처리된 것을 제외한다), 색재, 수성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임의 성분인 사용성 분말, 색재로서는 안료, 펄안료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통상 배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기 백색계 안료(2산화티탄, 산화아연), 무기 적색계 안료(산화철(벵가라), 티탄산철), 무기 갈색계 안료(γ-산화철), 무기 황색계 안료(황산화철, 황토), 무기 흑색계 안료(흑산화철, 카본, 저차산화티탄), 무기 보라색계 안료(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무기 녹색계 안료(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 코발트), 무기 청색계 안료(군청, 감청), 펄안료(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산화티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피복 탤크, 착색 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어린박), 금속분말안료(알루미늄 파우더, 카파 파우더), 유기 안료(적색 202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청색 404호), 지르코늄, 바륨, 알루미늄 레이크 유기 안료(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227호, 적색 401호, 오렌지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202호, 녹색 3호, 청색 1호), 천연색소(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계(β-카로틴), 카르타민, 코치닐, 칼콘, 쿠루쿠민, 베타닌, 플라보놀, 플라본, 안토시아니딘, 안트라퀴논, 나프토퀴논), 기능성 안료(질화 붕소, 포토크로믹 안료, 합성 불소금운모, 철함유 합성 불소금운모, 미립자 복합 분체(하이브리드 파인파우더))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성 분말, 색재는, 예를 들면, 상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는 상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성성분(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을 포함한다)에 임의로 수상 증점제를 용해하고, 유상 증점제를 용해한 유성성분의 일부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해서 자외선 산란제를 용해 또는 분산하고, 그것을 수성성분에 첨가해서 호모 믹서 등으로 유화 처리를 행하고, 마지막으로 나머지 유성성분과 분말을 첨가해서 교반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교반시에는 임의로 전단력을 부가해도 좋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는, 예를 들면, 자외선 차단 크림, 자외선 차단 유액, 자외선 차단 로션, 자외선 차단 효과를 부여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료를 기제로 해서 펄제, 색제(안료) 등을 배합함으로써, 수분과 접촉함으로써 특성(투명성, 발색성, 요철 보정 효과 등)이 변화되는 새로운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또는 스킨케어 화장료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태의 화장료는 땀이나 수분과 접촉함으로써 오히려 메이크업 효과나 스킨케어 효과가 향상된다고 하는 새로운 특성을 갖는다. 이 특성은, (A)자외선 흡수제를 1질량% 이상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 있어서도, (A)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이 1질량% 미만인 화장료 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에 있어서도 관찰된다(표 4 및 처방예 5 및 6 참조).
즉, 본 발명은,
(A1)1질량% 이하의 자외선 흡수제,
(B)유상 증점제,
(C)소수화 처리 분말,
(D)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 및
(E)비휘발성 액상 유분(상기 (A)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을 함유하고,
(E)비휘발성 액상 유분의 배합량에 대한 (B)유상 증점제와 (C)소수화 처리 분말의 합계 배합량의 비율([(B)+(C)]/(E))이 0.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라는 양태도 포함한다.
이 양태의 발명에 있어서의 (A)∼(E)성분은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 관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단, (A)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은 1질량% 미만, 예를 들면, 0.5질량% 이하, 0.3질량% 이하, 또는 0.1질량% 이하이어도 좋고,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는 수분과 접촉함으로써 화장 도막(막두께)이 균일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는 아니지만, 본 발명자 등은 피부 상의 화장 도막에 있어서의 피부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분포(밀도)가 도막 전체에 걸쳐서 균일화되는 결과, 자외선 방어능이 향상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 현상은, 자외선 흡수제에 한정되지 않고, 배합된 각종 성분의 분포의 균일성에도 기여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발한 등에 의해 수분과 접촉해서 막이 균일하게 됨으로써, 화장 도막의 광학 특성(확산 반사광 및 내부 반사광)이 맨피부에 가까워져서 투명감이 늘어나서 깨끗하게 느껴진다고 하는 미적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이하에 구체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등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를 나타낸다.
하기의 표 1∼표 4에 게재한 조성을 갖는 수중 유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단락 0078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서 조제했다. 각 예의 샘플에 대해서, 유화 안정성 및 수욕 전후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했다.
·유화 안정성의 측정
각 예의 샘플을 60℃의 조건 하에서 2주간 보존하고, 분리 또는 침강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측정 결과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분리 및 침강이 관찰되지 않고 안정적이었다.
B:분리 또는 침강이 관찰되었다.
·자외선 방어 효과의 측정
S플레이트(5×5cm의 V홈 PMMA판, SPFMASTER-PA01)에 각 예의 샘플을 2mg/㎠의 양으로 적하하고, 60초간 손가락으로 도포하고, 15분간 건조한 후, 그 흡광도(500∼280nm)를 Hitachi, Ltd.제 U-3500형 자기록 분광 광도계로 측정했다. 미도포의 플레이트를 컨트롤로 하고, 흡광도(Abs)를 이하의 식으로 산출했다.
Abs=-log(T/To)
T:샘플의 투과율, To:미도포시의 투과율
측정한 플레이트를 경도 50∼500의 물에 충분하게 담그고, 30분간 그대로 수중에서 교반했다(3-1 모터로 300rpm). 그 후, 표면의 물방울이 없어질 때까지 15∼30분 정도 건조시키고, 다시 흡광도를 측정하고, 수욕 전후의 Abs 적산값으로부터 Abs 변화율(이하의 식)을 자외선 방어능 향상 효과로서 산출했다.
수욕 전후의 흡광도 변화율(%)=
(수욕 후의 흡광도 적산값)/(수욕 전의 흡광도 적산값)×100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흡광도 변화율이 100(%)를 초과한 경우에, 자외선 방어 효과가 향상된 것이라고 정의한다.
Figure pct00007
표 1의 결과로부터, 유상 증점제((팔미트산/2-에틸헥산산)덱스트린, 수첨 팜유, 또는 바세린)를 배합한 실시예 1∼4에서는 수욕 전후의 흡광도 변화율이 100%를 초과해서 향상된다고 하는 특유의 효과가 얻어졌지만, 유상 증점제를 배합하지 않는 비교예 1 및 유상 증점제 대신에 실리콘계 피막제를 배합한 비교예 2에서는 동일한 효과는 얻어지지 않았다.
Figure pct00008
표 2에 나타내어지는 결과로부터, (B)유상 증점제와 (C)소수화 처리 분말의 합계 배합량과 (E)비휘발성 액상 유분의 배합량의 비율[(B+C)/E]을 0.2∼20의 범위로 한 실시예 5∼10에서는 안정된 샘플이 얻어지고, 수욕 전후의 흡광도 변화율이 100%를 초과해서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비율[(B+C)/E]이 20을 초과하고 있는 비교예 3에서는 안정된 유화물이 얻어지지 않고, 흡광도의 측정도 불능했다.
Figure pct00009
표 1∼3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사용한 경우에는, 그 HLB가 14(표 1 및 2)에서도 9(표 3)에서도 안정된 유화물이 얻어지고, 수욕 전후의 흡광도 변화율도 100%를 초과하고, 또한 내수성도 우수했다. 한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포함하지 않는 계에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HLB가 7에서는 유화할 수 있지만, 수욕 전후의 흡광도 변화율이 100%에 미치지 않고(비교예 4), HLB=5.5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계에서는 안정된 유화물을 조제할 수 없었다(비교예 5).
한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대신에,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추가해서, 가교형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메톡시 PEG-90) 크로스폴리머) 또는 비가교형의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아크릴아미드계 코어 코로나)을 사용한 실시예 12∼15는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고, 수욕 전후의 흡광도 변화율도 100%를 초과하고, 또한 내수성도 우수했다.
Figure pct00010
표 4에 나타낸 결과에 의해, 소수화 처리 분말의 표면처리제를 실리콘(디메치콘), 알콕시실란(옥틸트리에톡시실란), 팔미트산 덱스트린 등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 및 실리카로 바꾸어도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기의 표 5에 게재한 처방에서 유중 수형 유화 화장료를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했다. 각 예의 샘플에 대해서, 이하의 조건으로 10명의 패널에게 땀이 나는(수욕) 시험을 실시했다.
각 예의 샘플을 도포한 후, 기온 30℃, 습도 80%의 환경에서 60분간 보낸 후의 피부에 대해서, 땀이 나는(수욕) 시험전에 비해서 투명감이 있고 깨끗하게 느껴지는지 아닌지(실감의 유무)를 평가했다.
상기 땀이 나는(수욕) 시험의 결과를 이하의 기준으로 랭크시켰다.
A:10명 중 8명 이상이 실감
B:10명 중 5명 이상 7명 이하가 실감
C:10명 중 4명 이하가 실감
Figure pct00011
표 5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실시예 22∼24는 땀을 흘려서 수분에 접촉한 후에, 화장을 실시한 피부가 보다 투명하고 깨끗하게 보였다. 그러나, (B)유용성 증점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6 및 7에서는 그러한 실감은 얻어지지 않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의 다른 처방예를 든다. 이들 처방예의 화장료도 유화 안정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고,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경우에는 수욕 전후의 흡광도 변화율이 100%를 초과하고, 수욕에 의해 깨끗하게 보이는 등의 미적 효과가 얻어졌다.
처방예 1. 자외선 차단 유액
Figure pct00012
처방예 2. 자외선 차단 크림
Figure pct00013
처방예 3. 메이크업 베이스
Figure pct00014
처방예 4. 리퀴드 파운데이션
Figure pct00015
처방예 5. CC 크림
Figure pct00016
처방예 6. 리퀴드 파운데이션
Figure pct00017

Claims (6)

  1. (A)자외선 흡수제,
    (B)유상 증점제,
    (C)소수화 처리 분말,
    (D)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코어-코로나형 미크로겔, 및
    (E)비휘발성 액상 유분(상기 (A)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을 함유하고,
    상기 (E)비휘발성 액상 유분의 배합량에 대한 (B)유상 증점제와 (C)소수화 처리 분말의 합계 배합량의 비율([(B)+(C)]/(E))이 0.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B)유상 증점제가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유기 변성 점토광물, 및 고형 또는 반고형의 탄화수소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C)소수화 처리 분말의 표면처리제가 알콕시실란,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화장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이 1질량% 이상인 화장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유상 증점제와 (C)소수화 처리 분말의 합계 배합량이 7.5∼40질량%인 화장료.
KR1020187033440A 2016-04-28 2017-04-26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 KR102415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91247 2016-04-28
JP2016091247 2016-04-28
JPJP-P-2016-256835 2016-12-28
JP2016256835 2016-12-28
PCT/JP2017/016561 WO2017188319A1 (ja) 2016-04-28 2017-04-26 水中油型乳化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025A true KR20180135025A (ko) 2018-12-19
KR102415538B1 KR102415538B1 (ko) 2022-07-01

Family

ID=6016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440A KR102415538B1 (ko) 2016-04-28 2017-04-26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7088830B2 (ko)
KR (1) KR102415538B1 (ko)
CN (1) CN109069357B (ko)
HK (1) HK1258070A1 (ko)
TW (1) TWI730089B (ko)
WO (1) WO20171883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726A (ko) * 2017-03-29 2019-11-1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유형 화장료
WO2023211211A1 (ko) * 2022-04-29 2023-11-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백탁 현상이 없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4986B (zh) * 2018-10-09 2023-05-02 株式会社资生堂 油包水型乳化组合物
JP7362361B2 (ja) * 2019-08-29 2023-10-17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7370820B2 (ja) * 2019-11-08 2023-10-30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組成物
WO2023094847A1 (en) * 2021-11-29 2023-06-01 Lvmh Recherche Water-in-oil cosmetic
CN115006311B (zh) * 2022-07-06 2024-03-26 浙江宜格企业管理集团有限公司 一种透明双相防晒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0941A (ja) * 1995-05-22 1996-11-26 Noevir Co Ltd 日焼け止め用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04091377A (ja) 2002-08-30 2004-03-25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08303163A (ja) * 2007-06-06 2008-12-18 Kao Corp ハイドロゲル粒子
KR20120116911A (ko) * 2009-11-25 2012-10-23 카오카부시키가이샤 O/w 형 유화 화장료
KR20140113900A (ko) * 2011-12-22 2014-09-25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코로나-코어형 마이크로 겔 유화제 및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WO2014181473A1 (ja) * 2013-05-10 2014-11-13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日焼け止め化粧料
JP2015030723A (ja) 2013-08-07 2015-02-1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乳化剤形の日焼け止め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45265A4 (en) * 2003-05-13 2008-04-23 Nisshin Oillio Group Ltd COSMETIC PREPARATION ON OIL BASIS
WO2016068300A1 (ja) * 2014-10-31 2016-05-06 株式会社 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JP6580907B2 (ja) * 2014-11-20 2019-09-25 花王株式会社 皮膚化粧料
JP6600455B2 (ja) * 2014-12-10 2019-10-30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6504875B2 (ja) * 2015-03-27 2019-04-24 株式会社コーセー 水中油型乳化化粧料
WO2017056506A1 (ja) * 2015-09-30 2017-04-06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化粧料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0941A (ja) * 1995-05-22 1996-11-26 Noevir Co Ltd 日焼け止め用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04091377A (ja) 2002-08-30 2004-03-25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08303163A (ja) * 2007-06-06 2008-12-18 Kao Corp ハイドロゲル粒子
KR20120116911A (ko) * 2009-11-25 2012-10-23 카오카부시키가이샤 O/w 형 유화 화장료
KR20140113900A (ko) * 2011-12-22 2014-09-25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코로나-코어형 마이크로 겔 유화제 및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WO2014181473A1 (ja) * 2013-05-10 2014-11-13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日焼け止め化粧料
JP2015030723A (ja) 2013-08-07 2015-02-1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乳化剤形の日焼け止め化粧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신화장품학」 제2판, 미츠이 타케오편, 2001년, 난잔도 발행, 제497∼504페이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726A (ko) * 2017-03-29 2019-11-1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유형 화장료
WO2023211211A1 (ko) * 2022-04-29 2023-11-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백탁 현상이 없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39442A (zh) 2017-11-16
TWI730089B (zh) 2021-06-11
WO2017188319A1 (ja) 2017-11-02
CN109069357A (zh) 2018-12-21
JPWO2017188319A1 (ja) 2019-02-28
CN109069357B (zh) 2022-08-30
HK1258070A1 (zh) 2019-11-01
KR102415538B1 (ko) 2022-07-01
JP7088830B2 (ja)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5538B1 (ko)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
KR102480670B1 (ko) 유중 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CN108366916B (zh) 喷雾型防晒化妆品
KR101419372B1 (ko) 유중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TWI539966B (zh) Oil in the water emulsion sunscreen cosmetics
JP5291729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KR20180054648A (ko) 자외선 차단 화장료
WO2020032243A1 (ja) 乳化化粧料
KR102627144B1 (ko)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WO2017061604A1 (ja) 噴霧型日焼け止め化粧料
JP2018024582A (ja) 有機粒子を含むw/oサンケア組成物
JP7347993B2 (ja) 日焼け止め用組成物
US11419796B2 (en) Stick-shaped cosmetic product
WO2020032242A1 (ja) 油性化粧料
JP7309456B2 (ja) 水中油型乳化紫外線防御化粧料
JP7387405B2 (ja) 日焼け止めエアゾール化粧料
JP2005350367A (ja) 油中水型皮膚外用組成物
TW202019375A (zh) 化妝料
JP2023095888A (ja) 紫外線によって紫外線遮断効率が増加する紫外線遮断用化粧料組成物
JP2024004073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