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409A - 리프트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409A
KR20180133409A KR1020187028895A KR20187028895A KR20180133409A KR 20180133409 A KR20180133409 A KR 20180133409A KR 1020187028895 A KR1020187028895 A KR 1020187028895A KR 20187028895 A KR20187028895 A KR 20187028895A KR 20180133409 A KR20180133409 A KR 20180133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elevator
sidewalk
ca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913B1 (ko
Inventor
다니엘 마이어
제라르디노 콜라트렐라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13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8Safety devices separate from control system in case of power failure, for hydraulical lifts, e.g. braking the hydraulic j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리프트 카 (5.1, 5.2) 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고, 이 장치는 리프트 카 (5.1, 5.2) 내의 대피 통로의 하부 단부를 규정하는 트레드 요소 (46), 및 제 1 단부를 포함하는 보도 (55) 를 포함하고, 보도 (55) 는 제 1 단부에 의해 트레드 요소 (46) 상에 고정,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고, 장치는 트레드 요소 (46) 위에서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 48.0, 49.0) 를 포함하고, 가로대 (47.0, 48.0, 49.0) 는 단차로서 설계/사용되고, 보도 (55) 의 제 1 단부는 트레드 요소 (46) 상이 아닌 가로대 (47.0, 48.0, 49.0) 상에 택일적으로 고정,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고, 또한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리프트 시스템 및 리프트 카 (5.1, 5.2) 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리프트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는 장치, 이러한 유형의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2 개의 층들 사이에서 사람 또는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운반되는 사람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작동 중에 지속적으로 유지 보수를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 설치의 외부 영향 또는 결함 부품들로 인해 엘리베이터 설치 작업이 중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 낙뢰 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 회로의 중단은 그 안에서 이동하는 사람과 함께 엘리베이터 카가 2 개의 층들 사이에 끼이는 것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 안에 고립된 사람들이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대피할 필요가 있다.
JP2005-154025A 는 정상 작동시에 2 대의 엘리베이터 카들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서로 옆에서 움직이도록 배치될 때에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대피 장치를 개시한다. 이 2 대의 엘리베이터 카들 중의 첫 번째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고립되면, 두 번째 엘리베이터 카가 첫 번째 엘리베이터 카 옆에 위치된다. 서로 마주하는 2 대의 엘리베이터 카들의 대피 통로들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대피 통로들은 보도 또는 대피 보도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대피 보도는 각 대피 통로의 하부 경계에 고정될 수 있다. 첫 번째 엘리베이터 카에서 대피하기 위해, 대피할 사람들은 여전히 움직일 수 있는 두 번째 엘리베이터 카에 도착하기 위해 대피 보도를 건넌다.
2 대의 엘리베이터 카들의 안내 레일들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2 대의 엘리베이터 카들의 이동 경로들 사이에 수평으로 연장하는 고정 지지대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점은, 첫 번째 엘리베이터 카에서 대피하는 때에, 이러한 유형의 고정 지지대는 보도 위를 지나갈 때에 어떠한 장애물 없이도 대피할 사람이 두 번째 엘리베이터 카에 도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고정 지지대가 대피 통로의 바로 앞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대피하는 사람의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은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에 의해 해결되며, 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카,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의 대피 통로의 하부 단부를 규정하는 트레드 요소 (tread element), 및 제 1 단부를 포함하는 보도로서, 상기 보도는 상기 제 1 단부에 의해 상기 트레드 요소 상에 부착,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는, 상기 보도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트레드 요소 위에서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rung) 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는 단차로서 설계/사용되고, 상기 보도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트레드 요소 상이 아닌 상기 가로대 상에 택일적으로 부착 또는 걸릴 수 있다.
이 문제는 또한 이러한 유형의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이 문제는 또한 이러한 유형의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는 방법에 의해 해결되며, 여기서 보도의 제 1 단부는 가로대에 부착되거나 걸린다.
이러한 유형의 대피 통로는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해 제공된 엘리베이터 카의 개구이며,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의 측벽 또는 카 지붕 상에 배치된 난간에 배치될 수 있다. 사람을 운반하기 위한 정상 작동 중에는, 운반될 사람은 이러한 유형의 대피 개구를 통과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대피할 엘리베이터 카의 카 바닥의 레벨로부터의 대피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서 대피할 고정된 엘리베이터 카의 기존의 수직 위치에 의해 매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이는, 이러한 고정된 엘리베이터 카, 즉 수직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정지된 카의 대피 통로에 바로 배치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들 또는 다른 요소들을 위한 고정 지지대에 기인한다. 그러나, 상기 고정 지지대 또는 요소는 대피할 사람에 대해 장애물을 구성하도록 이러한 종류의 대피를 방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대피 개구는 고정된 엘리베이터 카로부터의 대피를 위해 고정된 엘리베이터 카상에 배치될 수 있는 보도의 수직 높이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의 조건에 적합할 수 있도록 변경된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대피 통로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를 포함하는데, 이 가로대에는 보도, 즉 대피 보도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보도는 대피할 엘리베이터 카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대피 통로에 상이한 높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주어진 상황 하에서 대피를 위해 보도가 유리하게 고정될 수 있는 최상단 가로대는 트레드 요소로부터 비교적 큰 거리이다. 이러한 경우, 최상단 가로대와 트레드 요소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로대가 배치될 수 있다. 관련된 안전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핸드레일이 그의 길이방향으로 보도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핸드레일은 보도를 건널 때에 사람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떨어질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장치의 개선예는 대피 통로 옆에서 엘리베이터 카에 부착된 바아를 포함하는데, 바아에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형의 바아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 가로대와 트레드 요소 사이의 고정된 간격을 허용하고, 따라서 대피 장치를 통과할 때의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장치는 제 2 바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카 내의 대피 통로의 양측에 바아들을 고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를 제 2 바아에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제 2 바아는 대피 통로 양쪽에서 모든 가로대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장치의 개선예에서, 바아(들)는 트레드 요소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는 장치가 간단하고 콤팩트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바아는 엘리베이터 카의 카 지붕에 배치된 난간의 일부일 수 있다. 대피할 엘리베이터 카의 카 지붕을 통한 대피는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로부터 또는 대피할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하나의 옵션이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로부터 대응하는 카 지붕 상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떠나는 것에 의해 대피 통로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 지붕 상에서의 서비스 기술자에 의해 수행되는 유지보수 작업 동안, 난간에서의 대피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통과될 수 없다.
대안적으로, 바아(들)는 대피 도어로서 형성된 대피 통로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대피 도어는 엘리베이터 카의 측벽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대피할 사람은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로부터 보도로 직접 들어갈 수 있다. 사람을 운반하기 위한 정상적인 작동 중에, 운반될 사람은 대피 도어로서 형성된 이러한 유형의 대피 개구를 통과할 수 없다.
장치의 개선예는 안전 콘택트를 포함하는 안전 배리어를 포함하는데, 이 안전 배리어는 안전 배리어가 그의 고정 위치에서 대피 통로를 막도록 대피 통로내에 배치될 수 있고, 안전 콘택트는 안전 배리어의 고정 위치에서만 폐쇄된다. 대피할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이 안전하게 출발하도록 하기 위해, 안전 콘택트가 개방하는 때에만, 즉 안전 회로가 개방하는 때에만 대피 통로가 개방된다. 안전 회로가 폐쇄된 경우에만, 필요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가 서비스 기술자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거가능한 안전 배리어가 배치된 이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 회로는 이 안전 배리어를 제거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전 배리어는 로드 (rod) 의 형태이고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위에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보도가 부착되는 가로대의 위치에 관계없이, 안전 배리어가 안전 콘택트를 폐쇄할 경우에 대피 통로는 항상 차단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안전 배리어는 그의 고정 위치에서 대피 통로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위치에서 대피 통로를 폐쇄하는 이러한 유형의 안전 배리어는 폐쇄 위치에서 대피 도어의 도어 리프 (door leaf) 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피할 사람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선예는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고,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는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에 할당된 추가의 대피 통로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대피 통로와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의 대피 통로를 보도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의, 즉 제 2 의 엘리베이터 카는 대피할 엘리베이터 카 옆에 실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엘리베이터 카의 2 개의 대피 통로들은 서로 마주한다. 보도를 지나갈 때, 사람은 갇혀 있는 엘리베이터 카를 떠나서 작동 엘리베이터 카에 들어갈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선예에서, 추가 엘리베이터 카의 대피 통로의 하부 단부는 제 2 트레드 요소에 의해 한정되며, 보도는 그의 제 2 단부에 의해 트레드 요소 상에 부착,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고, 추가 가로대는 제 2 트레드 요소 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추가 가로대는 단차로서 설계/사용되며, 보도의 제 2 단부는 대안적으로 트레드 요소보다는 가로대에 부착되거나 걸릴 수 있다. 추가의, 즉 제 2 의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걸리면, 제 1 엘리베이터 카에 의해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걸린 엘리베이터 카를 도시하고, 사람을 대피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는 엘리베이터 카의 측벽들 중 하나에 배치되고 대피 도어로서 형성된 대피 통로를 도시한다.
도 3 은 난간의 일체 부품의 형태로 카 지붕상에 배치된 대피 통로를 도시한다.
도 4 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 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2) 에서 걸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카 (5) 를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승강로 (2) 는 일방이 타방의 바로 위에 배치된 2 개의 플로어 (10.0, 10.1) 에 인접한다. 이들 각각의 플로어 (10.0, 10.1) 는 샤프트 도어 (11.0, 11.1) 를 갖는다. 정상 작동 중, 엘리베이터 카 (5) 가 걸리지 않을 때, 엘리베이터 승객들은 플로어에서 정지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카 (5) 가 위치되는 샤프트 도어 (11.0, 11.1) 및 엘리베이터 카 (5) 의 카 도어 (6) 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5) 에 출입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5) 는, 도 1 에 따라 걸렸을 때, 일방이 타방의 바로 위에 배치된 2 개의 플로어 (10.0, 10.1) 사이에 배치된다. 이는, 엘리베이터 카 (5) 의 내부가 플로어들 (10.0, 10.1) 중의 하나로부터 샤프트 도어들 (11.0, 11.1) 중의 하나를 통해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에, 동일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 (5) 는 샤프트 도어들 (11.0, 11.1) 중의 하나에 똑같이 배열될 수 있는 반면에, 엘리베이터 카 (5) 가 배치되는 샤프트 도어 (11.0, 11.1) 또는 카 도어 (6) 는 폐쇄 위치에 걸린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 (5) 내부의 사람들은 카 도어 (6) 를 통해 또는 샤프트 도어들 (11.0, 11.1) 중의 하나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5) 를 떠날 수 없다.
엘리베이터 카 (5) 내부의 승객들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 (5) 는 대피 통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승강로 (2) 로부터의 출구가 엘리베이터 카 (5) 의 이러한 대피 통로를 통해 도달될 수 있다.
대피 통로는 대피 도어 (20) 로서 형성된다. 이 유형의 대피 도어 (20) 는 엘리베이터 카 (5) 의 측벽들 (8) 중의 하나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서비스 기술자가 걸린 엘리베이터 카 (5) 로부터 사람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외측으로부터 오직 개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5) 는 엘리베이터 카 (5) 의 카 지붕 (7) 상에 배치된 대피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카 지붕 (7) 에 배치된 이러한 유형의 대피 통로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 (5) 에 일시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사다리에 의해 카 지붕 (7) 의 지붕 해치 (30) 를 통해 도달될 수 있다.
도 2 는 대피 도어 (20) 로서 형성되고 엘리베이터 카 (5) 의 측벽들 (8) 중의 하나에 배치되는 대피 통로를 도시한다. 도 3 은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데, 이 일부는 카 지붕 (7) 에 배치된 난간 (15) 의 일체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의 부품들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대피 통로에 배치된다. 대피 통로의 하부 단부는 장치의 트레드 요소 (46) 에 의해 한정된다. 트레드 요소 (46) 는 진입을 위해 제 1 단차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보도, 즉 대피 통로 (도 2 및 도 3 에는 도시되지 않음) 에 걸거나 또는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48.0,49.0) 를 포함하고, 가로대 (47.0,48.0,49.0) 는 트레드 요소 (46) 위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48.0,49.0) 및 트레드 요소 (46) 를 포함하여 대피 중에 대피 통로에 부착된 요소들 중의 최상부 요소는 대피 중에 보도를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일방이 타방의 바로 위에 배치된 이들 요소들은 20 내지 30 cm, 바람직하게는 26 cm 의 수직 간격을 이룬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 48.0, 49.0) 를 대피 통로 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바아 (45) 가 도어 개구 옆에 배치될 수 있다. 바아 (45) 는 대피 통로 내에 가로대(들) (47.0, 48.0, 49.0) 를 부착하기 위해 관련 가로대 (47.0, 48.0, 49.0) 에 할당된 고정 영역 (47, 48, 49)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트레드 요소 (46) 상에 수직하게 배향된 바아 (45) 는 대피 통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5) 의 측벽 (8) 또는 난간 (15) 에 부착될 수 있어서 도어 프레임의 부품 또는 난간 (15) 의 부품이 대피 통로를 위해 바아 (45) 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바아 (45') 는 제 1 바아 (45) 에 대해 대피 통로의 다른 측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 바아 (45) 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바아 (45') 는 가로대 (47.0, 48.0, 49.0) 를 부착하기 위해 관련 가로대 (47.0, 48.0, 49.0) 에 할당된 고정 영역 (47', 48', 49') 를 포함하고, 고정 영역 (47', 48', 49') 은 바람직하게는 가로대 (47.0, 48.0, 49.0) 가 대피 통로에서 수평으로 배향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안전 배리어 (52) 가 대피 통로 내에 배치되어, 대피 도어 또는 난간 (15) 이 개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피 통로가 막히게 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안전 배리어 (52) 는 로드의 형태이다. 방해물을 제공하는 안전 배리어 (52) 는 가로대 (47.0, 48.0, 49.0) 에 할당될 수 있는 장치의 모든 고정 영역 (47, 48, 49, 47', 48 ', 49') 위에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바아 (45, 45 ') 에 부착된다. 안전 배리어 (52) 는 안전 배리어 (52) 가 대피 통로를 막는 위치에서 바람직하게 폐쇄되는 안전 콘택트 (53) 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 배리어 (52) 를 제거하면, 안전 콘택트 (53) 가 활성화되고, 따라서 대피 통로가 개방된다. 안전 콘택트 (53) 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 회로에 통합될 수 있으며, 개방 회로는 안전 회로가 할당되는 엘리베이터 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에 도시된 트레드 요소 (46) 는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카 (5) 의 카 바닥 (9) 의 평면 위에 배치되어서 카 바닥 (9) 은 트로프의 저부와 닮았다.
도 4 는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하며, 2 개의 엘리베이터 카들 (5.1, 5.2) 은 공통 엘리베이터 승강로 (2) 내에서 일방이 타방의 옆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카 (5.1, 5.2) 는 대피 도어 (20.1, 20.2) 를 포함한다.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에 할당된 제 1 대피 도어 (20.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에 할당된 제 2 대피 도어 (20.2) 는 서로 마주한다.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대피 도어 (20.1, 20.2) 각각에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는 2 개의 엘리베이터 카들의 각각의 난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2 개의 장치 중 제 1 장치는 제 1 대피 도어 (20.1) 상에 배치되고, 이들 장치 중 제 2 장치는 제 2 대피 도어 (20.2) 상에 배치된다. 서로 위 아래로 배치된 복수의 고정 지지대 (60.1, 60.2) 는 2 개의 엘리베이터 카들 (5.1, 5.2) 의 이동 경로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2) 에 배치된다. 엘리베이터 승강로 (2) 에서 엘리베이터 카들 (5.1, 5.2) 을 수직으로 안내하기 위한 레일 (도시되지 않음) 은 이러한 유형의 고정 지지대 (60.1, 60.2) 에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2) 에 갇히는 한편,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는 여전히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가 수직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내부의 사람들이 대피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갇히게 되는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는, 특히, 승강로-도어 접촉부를 포함하는 승강로 도어가 폐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 회로를 개방하는 결함있는 승강로-도어 접촉부, 낙뢰 또는 전력 차단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2 개의 장치에 부착될 수 있는 보도 (55) 를 통해 사람이 제 1 의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로부터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내로 대피할 수 있도록,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보도 (55) 의 제 1 단부는 2 개의 장치들 중 제 1 장치의 가로대 (48.01) 상에 부착되거나 걸리고 제 1 단부에 대향하는 제 2 단부는 2 개의 장치들 중 제 2 장치의 트레드 요소 (46.2) 에 부착되거나 걸려서, 대피할 사람이 건너는 보도 (55) 상의 거리가 가능한한 짧게 유지된다. 보도 (55) 를 건너는 때에 사람이 도 4 에 도시된 두 개의 고정 지지대들 중 하부 지지대 (60.1) 를 넘거나 기어야하기 때문에 (이는 사람이 엘리베이터 승강로 (2) 로 떨어지는 높은 위험을 수반할 수 있음), 보도 (55) 가 2 개의 장치의 트레드 요소 (46.1, 46.2) 에 부착되거나 걸린다면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의 수직 위치에 관계없이 이러한 건너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대피를 방해하는 고정 지지대 (60.1) 의 위치에 따라 제 1 의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에 대해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가 대피를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 (2) 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단 제 2 대피 도어가 개방되면, 사람을 대피시키는 서비스 기술자는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에 할당된 안전 접촉부를 개방하거나 할당된 안전 회로를 차단하기 위해 제 2 장치의 안전 배리어 (52.2) 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력 차단이 끝날 때에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가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에 할당된 안전 회로가 차단되도록, 이 안전 배리어 (52.2) 의 안전 접촉부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요하다면, 보도 (55) 의 제 1 단부는 대피 통로 내에 부착된 가로대들 (47.01, 48.01, 49.01) 중의 하나에 또는 트레드 요소 (46.1) 상에 부착되거나 걸릴 수 있다. 필요하다면 부착된 보도 (55) 의 제 1 단부 위에 부착될 수 있는 가로대 (49.01) 는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해 적어도 가능하다면 이러한 유형의 가로대 (49.01) 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추가 장애물을 사람이 건너야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제거되어야 한다. 대피할 사람들이 보도 (55) 를 쉽게 건너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착된 또는 걸린 보도 (55) 의 제 1 단부 아래에 부착될 수 있는 가로대 (47.01) 는 대피 통로 내에 부착될 수 있다.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를 대피하기 위한 다음에 기술된 방법은, 갇힌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만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및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를 또한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로부터의 대피를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기술자는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를 정지 모드로 전환해야 한다. 이는 전력 차단 또는 낙뢰로 인해 야기되었을 수 있는 갇힌 상태가 확보되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기계실에서 마스터 스위치를 작동시켜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는 전원 공급장치가 외부적으로 복원됨으로써 이동이 방지되며, 따라서 이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의 외측에서 작업하는 서비스 기술자는 갑자기 다시 작동하는 이동 엘리베이터 카 (5.1) 에 의해 놀라거나 위험에 처하게 될 수 없다.
그런 다음, 서비스 기술자는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에 다시 접근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서비스 기술자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가 엘리베이터 승강로 (2) 내에 위치될 수 있어서 사람이 2 개의 엘리베이터 카 (5.1, 5.2) 에 부착될 수 있는 보도 (55) 를 통해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로부터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안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를 서비스 모드로 이동시킨다. 일단 서비스 기술자가 사람이 엘리베이터 승강로 (2) 로 떨어질 위험에 대비하여 상기 보도를 확보하면, 서비스 기술자는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상에 제공될 수 있는 안전 배리어 (52.02) 를 제거할 수 있다. 그 후, 서비스 기술자는 대피의 실행을 위하여 보도 (55) 의 제 1 단부가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에, 트레드 요소 (46.1) 에, 또는 장치의 가로대들 (47.0, 48.0, 49.0) 중의 하나에 부착되거나 걸리도록 보도 (55) 를 위치시킨다. 보도 (55) 의 제 2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에 부착된 트레드 요소 (46.2) 상에 부착되거나 걸릴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단부는 마찬가지로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에 부착된 가로대들 (47.02, 48.02) 중의 하나에 부착되거나 걸릴 수 있다. 보도 (55) 의 제 2 단부는, 적어도 가능하다면,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내의 사람이 제공될 수 있는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로 대피할 수 없다면 엘리베이터 승강로 (2) 의 승강로 출구에 부착되어야 한다. 그 후, 보도 (55) 가 대피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도록 그리고 대피의 수행이 가능해지도록 안전 배리어 (52.1) 가 제거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도 4 에 따라 기술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제공된 장비는 갇힌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의 내부에 있는 사람을 제 1 의 이동가능한 엘리베이터 카 (5.1) 로 대피시키는데 동등하게 적합하다.

Claims (13)

  1. 엘리베이터 카 (5.1, 5.2) 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 엘리베이터 카 (5.1, 5.2),
    - 상기 엘리베이터 카 (5.1, 5.2) 내의 대피 통로의 하부 단부를 규정하는 트레드 요소 (46: tread element), 및
    - 제 1 단부를 포함하는 보도 (55) 로서, 상기 보도 (55) 는 상기 제 1 단부에 의해 상기 트레드 요소 (46) 상에 부착,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는, 상기 보도 (55)
    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트레드 요소 (46) 위에서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 48.0, 49.0: rung) 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 (47.0, 48.0, 49.0) 는 단차 (step) 로서 설계/사용되고, 상기 보도 (55) 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트레드 요소 (46) 상이 아닌 상기 가로대 (47.0, 48.0, 49.0) 상에 택일적으로 부착,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대피 통로 옆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5.1,5.2) 에 부착되는 바아 (2) 를 포함하고, 상기 바아 (2) 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 48.0, 49.0) 가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 2 바아 (2') 를 포함하고, 바아들 (2, 2') 이 상기 엘리베이터 카 (5.1, 5.2) 내의 대피 통로의 양측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 48.0, 49.0) 가 상기 제 2 바아 (2') 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바아(들) (2, 2') 은 상기 트레드 요소 (46) 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아(들) (2, 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 48.0, 49.0) 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5.1, 5.2) 의 카 지붕 (7) 에 배치된 난간 (15) 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아들 (2, 2') 은 대피 도어 (20) 로서 형성된 대피 통로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안전 접촉부 (53) 를 갖는 안전 배리어 (52)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배리어 (52) 는 상기 안전 배리어 (52) 가 그의 고정 위치에서 상기 대피 통로를 막도록 상기 대피 통로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안전 접촉부 (53) 는 오직 상기 안전 배리어 (52) 의 상기 고정 위치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배리어 (52) 는 로드 (rod) 의 형태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 48.0, 49.0) 위에서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배리어 (52) 는 그의 고정 위치에서 상기 대피 통로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추가 엘리베이터 카 (5.2) 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엘리베이터 카 (5.2) 는 상기 추가 엘리베이터 카 (5.2) 에 할당된 추가 대피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보도 (55) 에 의해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의 대피 통로와 상기 추가 엘리베이터 카 (5.2) 의 대피 통로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엘리베이터 카 (5.2) 내의 상기 대피 통로의 하부 단부가 제 2 트레드 요소 (46.2) 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보도 (55) 는 그의 제 2 단부에 의해 상기 제 2 트레드 요소 (46.2) 상에 부착,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고, 상기 제 2 트레드 요소 (46.2) 위에서 추가 가로대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추가 가로대는 단차로서 설계/사용되고, 상기 보도 (55) 의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트레드 요소 (46.2) 상이 아닌 상기 가로대 상에 택일적으로 부착,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5.1, 5.2) 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보도 (55) 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가로대 (47.0, 48.0, 49.0) 에 부착 또는 걸리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방법.
KR1020187028895A 2016-04-07 2017-04-06 리프트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KR102373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64307 2016-04-07
EP16164307.7 2016-04-07
PCT/EP2017/058281 WO2017174739A1 (de) 2016-04-07 2017-04-06 Vorrichtung zur evakuierung von personen von einer aufzugska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409A true KR20180133409A (ko) 2018-12-14
KR102373913B1 KR102373913B1 (ko) 2022-03-11

Family

ID=5569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895A KR102373913B1 (ko) 2016-04-07 2017-04-06 리프트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225395B2 (ko)
EP (1) EP3440001B1 (ko)
KR (1) KR102373913B1 (ko)
CN (1) CN108883895B (ko)
AU (1) AU2017245728B2 (ko)
BR (1) BR112018069443A2 (ko)
HK (1) HK1258355A1 (ko)
PH (1) PH12018502152A1 (ko)
PL (1) PL3440001T3 (ko)
SG (1) SG11201807939PA (ko)
WO (1) WO2017174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7514A1 (en) 2021-12-22 2023-06-29 Inventio Ag Extendable evacuation bridge for an elev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315A (ja) * 2002-10-03 2004-04-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非常救出装置
JP2005067881A (ja) * 2003-08-27 2005-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の側部救出装置
JP2008050152A (ja) * 2006-08-28 2008-03-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救出装置
KR20150145702A (ko) * 2014-06-20 2015-12-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구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7204A (ja) * 1996-09-19 1998-04-0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非常救出装置
JP2005154025A (ja) * 2003-11-20 2005-06-1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乗客救出装置及び乗客救出方法
JP4792953B2 (ja) * 2005-12-06 2011-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救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救出方法
JP5533542B2 (ja) * 2010-10-14 2014-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救出装置とエレベータ
JP5676550B2 (ja) * 2012-12-06 2015-02-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救出装置
WO2019026291A1 (ja) * 2017-08-04 2019-02-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救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315A (ja) * 2002-10-03 2004-04-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非常救出装置
JP2005067881A (ja) * 2003-08-27 2005-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の側部救出装置
JP2008050152A (ja) * 2006-08-28 2008-03-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救出装置
KR20150145702A (ko) * 2014-06-20 2015-12-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구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4739A1 (de) 2017-10-12
PL3440001T3 (pl) 2020-07-13
AU2017245728A1 (en) 2018-11-08
US11225395B2 (en) 2022-01-18
KR102373913B1 (ko) 2022-03-11
HK1258355A1 (zh) 2019-11-08
BR112018069443A2 (pt) 2019-02-12
US20190112154A1 (en) 2019-04-18
PH12018502152A1 (en) 2019-07-15
AU2017245728B2 (en) 2020-03-05
CN108883895A (zh) 2018-11-23
SG11201807939PA (en) 2018-10-30
EP3440001A1 (de) 2019-02-13
CN108883895B (zh) 2021-03-02
EP3440001B1 (de)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84039B (zh) 用于关闭电梯的门的方法和配置
US10947087B2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CN109476462B (zh) 电梯装置
EP3257803B1 (en)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US20050252726A1 (en) Safety top balustrade for a car of a machine room-less elevator
CN108883904B (zh) 电梯轿厢、电梯系统和维护电梯系统的方法
US11905141B2 (en) Elevator car pivotable balustrade and maintenance method for an elevator
US20180186601A1 (en) Elevator car location zones in hoistway
KR20180133409A (ko) 리프트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US11040853B2 (en) Elevator system hoistway access control
CN213141065U (zh) 电梯轿厢人员疏散装置
JP2004010174A (ja) 相互間隔可変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JP5823893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止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20150145702A (ko) 엘리베이터의 구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
US11851304B2 (en) Method and arrangement
JP3076858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ネット装置
JP7438841B2 (ja) プラットホーム柵
JP5032999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06027808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200098059A (ko) 건설 현장의 승강기 도어 안전장치
US10407934B2 (en) Safety barrier for automated vehicle parking facility
KR19980059741U (ko) 엘리베이터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JP2002167995A (ja) 駐車設備のゲート装置
CN114531871A (zh) 电梯设备
JPH07267551A (ja) ダムウェ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