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409A - Devices for evacuating people from lift cars - Google Patents

Devices for evacuating people from lift c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409A
KR20180133409A KR1020187028895A KR20187028895A KR20180133409A KR 20180133409 A KR20180133409 A KR 20180133409A KR 1020187028895 A KR1020187028895 A KR 1020187028895A KR 20187028895 A KR20187028895 A KR 20187028895A KR 20180133409 A KR20180133409 A KR 20180133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elevator
sidewalk
ca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8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3913B1 (en
Inventor
다니엘 마이어
제라르디노 콜라트렐라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13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4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9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8Safety devices separate from control system in case of power failure, for hydraulical lifts, e.g. braking the hydraulic jack

Abstract

리프트 카 (5.1, 5.2) 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고, 이 장치는 리프트 카 (5.1, 5.2) 내의 대피 통로의 하부 단부를 규정하는 트레드 요소 (46), 및 제 1 단부를 포함하는 보도 (55) 를 포함하고, 보도 (55) 는 제 1 단부에 의해 트레드 요소 (46) 상에 고정,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고, 장치는 트레드 요소 (46) 위에서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 48.0, 49.0) 를 포함하고, 가로대 (47.0, 48.0, 49.0) 는 단차로서 설계/사용되고, 보도 (55) 의 제 1 단부는 트레드 요소 (46) 상이 아닌 가로대 (47.0, 48.0, 49.0) 상에 택일적으로 고정,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고, 또한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리프트 시스템 및 리프트 카 (5.1, 5.2) 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An apparatus for evacuating a person from a lift car (5.1, 5.2) is disclosed, comprising a tread element (46) defining a lower end of an escape passage in a lift car (5.1, 5.2) The sidewall 55 may be fixedly, preferably hinged, on the tread element 46 by a first end and the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crossbar (not shown) 48.0, 49.0) is designed / used as a step, and the first end of the sidewalk 55 comprises a crosspiece 47.0, 48.0, 49.0, not on the tread element 46, A method for evacuating a person from a lift system and lift cars (5.1, 5.2), which can be alternatively fixed, preferably hinged, on the vehicle, and which also includes the device.

Description

리프트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Devices for evacuating people from lift car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는 장치, 이러한 유형의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vacuating a person from an elevator car, an elevator system including such an apparatus, and a method of evacuating a person from the elevator car.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2 개의 층들 사이에서 사람 또는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운반되는 사람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작동 중에 지속적으로 유지 보수를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 설치의 외부 영향 또는 결함 부품들로 인해 엘리베이터 설치 작업이 중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 낙뢰 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 회로의 중단은 그 안에서 이동하는 사람과 함께 엘리베이터 카가 2 개의 층들 사이에 끼이는 것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 안에 고립된 사람들이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대피할 필요가 있다.The elevator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elevator car arranged in the elevator hoistway so as to be able to move vertically along the guide rails, generally for conveying people or goods between the two floors. This type of elevator system is continuously maintained during operation to ensure the safety of the person being transported and the elevator system. Nevertheless, the elevator installation operation may be interrupted due to external influences of the elevator installation or defective parts. For example, interruption of the safety circuit of a power outage, lightning or elevator system can cause the elevator car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two floors, together with the moving people therein. Therefore, people isolated in the elevator car need to evacuate from the elevator car.

JP2005-154025A 는 정상 작동시에 2 대의 엘리베이터 카들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서로 옆에서 움직이도록 배치될 때에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대피 장치를 개시한다. 이 2 대의 엘리베이터 카들 중의 첫 번째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고립되면, 두 번째 엘리베이터 카가 첫 번째 엘리베이터 카 옆에 위치된다. 서로 마주하는 2 대의 엘리베이터 카들의 대피 통로들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대피 통로들은 보도 또는 대피 보도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대피 보도는 각 대피 통로의 하부 경계에 고정될 수 있다. 첫 번째 엘리베이터 카에서 대피하기 위해, 대피할 사람들은 여전히 움직일 수 있는 두 번째 엘리베이터 카에 도착하기 위해 대피 보도를 건넌다.JP2005-154025A discloses a evacuation device for evacuating a person when two elevator cars are arranged to move sideways from each other in an elevator hoistway in normal operation. When the first elevator car of the two elevator cars is isolated from the elevator hoistway, the second elevator car is positioned next to the first elevator car. Evacuation passages of two elevator cars facing each other can be opened. These evacuation passages may be connected by a sidewalk or evacuation sidewalk, and the evacuation sidewalk may be secured at the lower boundary of each evacuation aisle. To evacuate from the first elevator car, evacuees cross the evacuation route to reach a second elevator car that can still move.

2 대의 엘리베이터 카들의 안내 레일들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2 대의 엘리베이터 카들의 이동 경로들 사이에 수평으로 연장하는 고정 지지대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점은, 첫 번째 엘리베이터 카에서 대피하는 때에, 이러한 유형의 고정 지지대는 보도 위를 지나갈 때에 어떠한 장애물 없이도 대피할 사람이 두 번째 엘리베이터 카에 도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고정 지지대가 대피 통로의 바로 앞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In order to fix the guide rails of the two elevator cars, it is common to arrange the fixed supports extending horizontally between the moving paths of the two elevator cars at regular intervals. The disadvantage is that, when escaping from the first elevator car, this type of fixed support can prevent the escapee from reaching the second elevator car without any obstacles when passing over the walkway. This is the case where the fixed support is located directly in front of the escape passage.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대피하는 사람의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Therefore,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safety of a person who evacuates from an elevator car.

상기 문제점은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에 의해 해결되며, 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카,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의 대피 통로의 하부 단부를 규정하는 트레드 요소 (tread element), 및 제 1 단부를 포함하는 보도로서, 상기 보도는 상기 제 1 단부에 의해 상기 트레드 요소 상에 부착,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는, 상기 보도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트레드 요소 위에서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rung) 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는 단차로서 설계/사용되고, 상기 보도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트레드 요소 상이 아닌 상기 가로대 상에 택일적으로 부착 또는 걸릴 수 있다.The problem is solved by an apparatus for evacuating a person from an elevator car, the apparatus preferably comprising an elevator car, a tread element defining a lower end of the escape passage in the elevator car, A sidewalk comprising an end portion, the sidewalk including the sidewall, which can be attached, preferably hinged, to the tread element by the first end, the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Wherein the crosspiece is designed / used as a step, and wherein the first end of the sidewalk is alternatively attachable or removable on the crosspiece other than on the tread element.

이 문제는 또한 이러한 유형의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This problem is also solved by an elevator system including this type of device.

이 문제는 또한 이러한 유형의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는 방법에 의해 해결되며, 여기서 보도의 제 1 단부는 가로대에 부착되거나 걸린다.This problem is also solved by a method of evacuating a person from an elevator car comprising this type of device, wherein the first end of the sidewalk is attached or hooked to the crosspiece.

이러한 유형의 대피 통로는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해 제공된 엘리베이터 카의 개구이며,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의 측벽 또는 카 지붕 상에 배치된 난간에 배치될 수 있다. 사람을 운반하기 위한 정상 작동 중에는, 운반될 사람은 이러한 유형의 대피 개구를 통과할 수 없다.This type of evacuation passage is the opening of an elevator car provided to evacuate a person, for example a side wall of an elevator car or a handrail disposed on a car roof. During normal operation to transport a person, the person to be transported can not pass through this type of evacuation opening.

본 발명은 대피할 엘리베이터 카의 카 바닥의 레벨로부터의 대피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서 대피할 고정된 엘리베이터 카의 기존의 수직 위치에 의해 매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이는, 이러한 고정된 엘리베이터 카, 즉 수직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정지된 카의 대피 통로에 바로 배치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들 또는 다른 요소들을 위한 고정 지지대에 기인한다. 그러나, 상기 고정 지지대 또는 요소는 대피할 사람에 대해 장애물을 구성하도록 이러한 종류의 대피를 방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knowledge that the evacuation from the level of the car floor of the elevator car to be evacuated can be very difficult due to the existing vertical position of the fixed elevator car to be evacuated in the elevator hoistway. This is due to the fixed support for the guide rails or other elements arranged in the elevator hoistway, which can be arranged directly in the escape passage of this fixed elevator car, i.e. a substantially stationary car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it is desirable that the fixed supports or elements do not hinder this sort of evacuation to constitute an obstacle for the person to evacuate.

이를 달성하기 위해,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대피 개구는 고정된 엘리베이터 카로부터의 대피를 위해 고정된 엘리베이터 카상에 배치될 수 있는 보도의 수직 높이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의 조건에 적합할 수 있도록 변경된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대피 통로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를 포함하는데, 이 가로대에는 보도, 즉 대피 보도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보도는 대피할 엘리베이터 카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대피 통로에 상이한 높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주어진 상황 하에서 대피를 위해 보도가 유리하게 고정될 수 있는 최상단 가로대는 트레드 요소로부터 비교적 큰 거리이다. 이러한 경우, 최상단 가로대와 트레드 요소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로대가 배치될 수 있다. 관련된 안전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핸드레일이 그의 길이방향으로 보도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핸드레일은 보도를 건널 때에 사람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떨어질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To achieve this, the evacuation opening for evacuating a person is altered so that the vertical height of the sidewalk, which can be placed on a fixed elevator car for evacuation from a fixed elevator car, can be adapted to the conditions in the elevator hoistway. Thus, the device comprises at least one crosspiece that can be fixed to the escape passage, to which a sidewalk, that is to say a retractable sidewalk, can be attached. Thus, the sidewalk can be placed at different height positions in the escape passage of the elevator car or the elevator car to evacuate. If necessary, the top rim at which the sidewalk can be advantageously secured for evacuation under given circumstances is a relatively large distance from the tread element. In this case, at least one additional crosspiec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opmost crosspiece and the tread element. To meet the relevant safety requirements, at least one handrail may be secured to the sidewall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is type of handrail can minimize the risk of people falling into the elevator hoistway when crossing the sidewalk.

장치의 개선예는 대피 통로 옆에서 엘리베이터 카에 부착된 바아를 포함하는데, 바아에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형의 바아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 가로대와 트레드 요소 사이의 고정된 간격을 허용하고, 따라서 대피 장치를 통과할 때의 안전성을 증가시킨다.An improvement of the device includes a bar attached to the elevator car by the escape passage, it being possible to attach at least one crossbar to the bar. This type of bar permits a fixed spacing between at least one safety crosspiece and tread element and thus increases the safety when passing through the escape device.

장치는 제 2 바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카 내의 대피 통로의 양측에 바아들을 고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를 제 2 바아에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제 2 바아는 대피 통로 양쪽에서 모든 가로대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다.The device may include a second bar, which may be secured to both sides of the escape passage in the elevator car, and at least one cross bar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bar. This type of second bar makes it possible to securely secure all the crossbars on both sides of the escape passage.

장치의 개선예에서, 바아(들)는 트레드 요소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는 장치가 간단하고 콤팩트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In an improvement of the device, the bar (s) ar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tread elements. This allows the device to be placed in the elevator car in a simple and compact manner.

바아는 엘리베이터 카의 카 지붕에 배치된 난간의 일부일 수 있다. 대피할 엘리베이터 카의 카 지붕을 통한 대피는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로부터 또는 대피할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하나의 옵션이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로부터 대응하는 카 지붕 상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떠나는 것에 의해 대피 통로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 지붕 상에서의 서비스 기술자에 의해 수행되는 유지보수 작업 동안, 난간에서의 대피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통과될 수 없다.The bar may be part of the railing disposed on the car roof of the elevator car. Evacuation through the car roof of the elevator car to be evacuated is an option for evacuating people from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or from the elevator car to evacuat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ach the escape passage by leaving substantially vertical from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car onto the corresponding car roof. For example, during a maintenance operation performed by a service technician on a car roof, the evacuation opening in the handrail can not be preferably passed.

대안적으로, 바아(들)는 대피 도어로서 형성된 대피 통로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대피 도어는 엘리베이터 카의 측벽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대피할 사람은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로부터 보도로 직접 들어갈 수 있다. 사람을 운반하기 위한 정상적인 작동 중에, 운반될 사람은 대피 도어로서 형성된 이러한 유형의 대피 개구를 통과할 수 없다.Alternatively, the bar (s)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scape passage formed as a escape door. This type of escape door can be placed directly on the side wall of the elevator car. Therefore, the person to evacuate can directly enter the sidewalk from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During normal operation for transporting a person, the person to be transported can not pass through this type of evacuation opening formed as a evacuation door.

장치의 개선예는 안전 콘택트를 포함하는 안전 배리어를 포함하는데, 이 안전 배리어는 안전 배리어가 그의 고정 위치에서 대피 통로를 막도록 대피 통로내에 배치될 수 있고, 안전 콘택트는 안전 배리어의 고정 위치에서만 폐쇄된다. 대피할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이 안전하게 출발하도록 하기 위해, 안전 콘택트가 개방하는 때에만, 즉 안전 회로가 개방하는 때에만 대피 통로가 개방된다. 안전 회로가 폐쇄된 경우에만, 필요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가 서비스 기술자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거가능한 안전 배리어가 배치된 이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 회로는 이 안전 배리어를 제거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An example of an improvement of the device comprises a safety barrier comprising a safety contact which can be arranged in the escape passage such that the safety barrier blocks the escape passage at its fixed position and the safety contact is closed only at the fixed position of the safety barrier do. In order to allow a person to start safely from the elevator car to be evacuated, the evacuation passage is opened only when the safety contact is opened, that is, when the safety circuit is opened. Only when the safety circuit is closed can the elevator car be moved by the service technician, if necessary. Preferably, the safety circuit of the elevator car in which the removable safety barrier is arranged can be opened by removing this safety barrier.

바람직하게는, 안전 배리어는 로드 (rod) 의 형태이고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위에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보도가 부착되는 가로대의 위치에 관계없이, 안전 배리어가 안전 콘택트를 폐쇄할 경우에 대피 통로는 항상 차단된다.Preferably, the safety barrier is in the form of a rod and may be attached on at least one crossbar. In this way,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crossbar to which the sidewalk is attached, the escape passage is always shut off when the safety barrier closes the safety contact.

다른 실시형태에서, 안전 배리어는 그의 고정 위치에서 대피 통로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위치에서 대피 통로를 폐쇄하는 이러한 유형의 안전 배리어는 폐쇄 위치에서 대피 도어의 도어 리프 (door leaf) 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피할 사람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afety barrier can substantially completely close the escape passage at its fixed position. For example, this type of safety barrier that closes the escape passage at the fixed position may be formed by the door leaf of the escape door at the closed position. In this way, the safety of the person to evacuate can be enhanced.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선예는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고,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는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에 할당된 추가의 대피 통로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대피 통로와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의 대피 통로를 보도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의, 즉 제 2 의 엘리베이터 카는 대피할 엘리베이터 카 옆에 실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엘리베이터 카의 2 개의 대피 통로들은 서로 마주한다. 보도를 지나갈 때, 사람은 갇혀 있는 엘리베이터 카를 떠나서 작동 엘리베이터 카에 들어갈 수 있다.The improvement example of the elevator system comprises an additional elevator car, the further elevator car comprising an additional evacuation passage assigned to the additional elevator car, and the evacuation passage of the elevator car and the evacuation passage of the further elevator car, You can connect. Thus, an additional, i.e. second, elevator car can be placed substantially next to the elevator car to be evacuated. Preferably, the two escape passages of the two elevator cars face each other. When passing through the sidewalk, a person can leave the trapped elevator car and enter the working elevator car.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선예에서, 추가 엘리베이터 카의 대피 통로의 하부 단부는 제 2 트레드 요소에 의해 한정되며, 보도는 그의 제 2 단부에 의해 트레드 요소 상에 부착,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고, 추가 가로대는 제 2 트레드 요소 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추가 가로대는 단차로서 설계/사용되며, 보도의 제 2 단부는 대안적으로 트레드 요소보다는 가로대에 부착되거나 걸릴 수 있다. 추가의, 즉 제 2 의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걸리면, 제 1 엘리베이터 카에 의해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In an improvement of the elevator system, the lower end of the escape passage of the further elevator car is defined by the second tread element, and the sidewalk can be attached, preferably hung on the tread element by its second end, The additional crosspiece may be designed / used as a step, and the second end of the footway may alternatively be attached or hung to the crosspiece rather than the tread element. It is advantageous if the additional, i. E. The second elevator car is caught in the elevator hoistway, that the person can escape by the first elevator ca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걸린 엘리베이터 카를 도시하고, 사람을 대피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는 엘리베이터 카의 측벽들 중 하나에 배치되고 대피 도어로서 형성된 대피 통로를 도시한다.
도 3 은 난간의 일체 부품의 형태로 카 지붕상에 배치된 대피 통로를 도시한다.
도 4 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1 shows an elevator car hung in an elevator hoistway and shows a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device for evacuating a person.
Figure 2 shows an escape passage disposed in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elevator car and formed as a escape door.
Figure 3 shows the escape passage arranged on the car roof in the form of an integral part of the railing.
Figure 4 shows an elevator system including an apparatus for evacuating persons from an elevator car.

도 1 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2) 에서 걸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카 (5) 를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승강로 (2) 는 일방이 타방의 바로 위에 배치된 2 개의 플로어 (10.0, 10.1) 에 인접한다. 이들 각각의 플로어 (10.0, 10.1) 는 샤프트 도어 (11.0, 11.1) 를 갖는다. 정상 작동 중, 엘리베이터 카 (5) 가 걸리지 않을 때, 엘리베이터 승객들은 플로어에서 정지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카 (5) 가 위치되는 샤프트 도어 (11.0, 11.1) 및 엘리베이터 카 (5) 의 카 도어 (6) 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5) 에 출입할 수 있다. Fig. 1 shows an elevator car 5 of an elevator system engaged in an elevator hoistway 2. Fig. The elevator hoistway 2 is adjacent to two floors 10.0 and 10.1, one of which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other. Each of these floors 10.0, 10.1 has shaft doors 11.0, 11.1. During normal operation, when the elevator car 5 is not caught, the elevator passengers are guided by the shaft doors 11.0, 11.1 where the elevator car 5 is located and the car door 6 of the elevator car 5, It is possible to enter and exit the elevator car 5 through the elevator car 5.

엘리베이터 카 (5) 는, 도 1 에 따라 걸렸을 때, 일방이 타방의 바로 위에 배치된 2 개의 플로어 (10.0, 10.1) 사이에 배치된다. 이는, 엘리베이터 카 (5) 의 내부가 플로어들 (10.0, 10.1) 중의 하나로부터 샤프트 도어들 (11.0, 11.1) 중의 하나를 통해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에, 동일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 (5) 는 샤프트 도어들 (11.0, 11.1) 중의 하나에 똑같이 배열될 수 있는 반면에, 엘리베이터 카 (5) 가 배치되는 샤프트 도어 (11.0, 11.1) 또는 카 도어 (6) 는 폐쇄 위치에 걸린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 (5) 내부의 사람들은 카 도어 (6) 를 통해 또는 샤프트 도어들 (11.0, 11.1) 중의 하나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5) 를 떠날 수 없다.When the elevator car 5 is caught in accordance with Fig. 1, one of the floors is disposed between two floors 10.0 and 10.1 arranged directly above the other. This means that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car 5 can not be reached through one of the shaft doors 11.0, 11.1 from one of the floors 10.0, 10.1. Instead, in the same way, the elevator car 5 may be equally arranged in one of the shaft doors 11.0, 11.1, while the shaft doors 11.0, 11.1 in which the elevator car 5 is disposed, (6) is caught in the closed position. Thus, people inside the elevator car 5 can not leave the elevator car 5 either through the car door 6 or through one of the shaft doors 11.0, 11.1.

엘리베이터 카 (5) 내부의 승객들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 (5) 는 대피 통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승강로 (2) 로부터의 출구가 엘리베이터 카 (5) 의 이러한 대피 통로를 통해 도달될 수 있다.In order to be able to evacuate passengers inside the elevator car 5, the elevator car 5 includes a escape passage. For example, an outlet from the elevator hoistway 2 can be reached through this escape passage of the elevator car 5. [

대피 통로는 대피 도어 (20) 로서 형성된다. 이 유형의 대피 도어 (20) 는 엘리베이터 카 (5) 의 측벽들 (8) 중의 하나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서비스 기술자가 걸린 엘리베이터 카 (5) 로부터 사람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외측으로부터 오직 개방될 수 있다.The escape passage is formed as the escape door 20. This type of escape door 20 is disposed in one of the side walls 8 of the elevator car 5 and is provided only from the outside so as to safely evacuate a person from the elevator car 5, Can be opened.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5) 는 엘리베이터 카 (5) 의 카 지붕 (7) 상에 배치된 대피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카 지붕 (7) 에 배치된 이러한 유형의 대피 통로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 (5) 에 일시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사다리에 의해 카 지붕 (7) 의 지붕 해치 (30) 를 통해 도달될 수 있다.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elevator car 5 may comprise an escape passage disposed on the car roof 7 of the elevator car 5. [ This type of escape passage arranged in the car roof 7 can be reached through the roof hatch 30 of the car roof 7 by means of a ladder which can be temporarily disposed, for example, in the elevator car 5. [

도 2 는 대피 도어 (20) 로서 형성되고 엘리베이터 카 (5) 의 측벽들 (8) 중의 하나에 배치되는 대피 통로를 도시한다. 도 3 은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데, 이 일부는 카 지붕 (7) 에 배치된 난간 (15) 의 일체 부품으로서 형성된다.Fig. 2 shows an escape passage formed as one of the escape doors 20 and disposed in one of the side walls 8 of the elevator car 5. Fig. 3 shows a part of a device for evacuating a person, this part being formed as an integral part of a railing 15 disposed on a car roof 7.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의 부품들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대피 통로에 배치된다. 대피 통로의 하부 단부는 장치의 트레드 요소 (46) 에 의해 한정된다. 트레드 요소 (46) 는 진입을 위해 제 1 단차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보도, 즉 대피 통로 (도 2 및 도 3 에는 도시되지 않음) 에 걸거나 또는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48.0,49.0) 를 포함하고, 가로대 (47.0,48.0,49.0) 는 트레드 요소 (46) 위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48.0,49.0) 및 트레드 요소 (46) 를 포함하여 대피 중에 대피 통로에 부착된 요소들 중의 최상부 요소는 대피 중에 보도를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일방이 타방의 바로 위에 배치된 이들 요소들은 20 내지 30 cm, 바람직하게는 26 cm 의 수직 간격을 이룬다.The parts of the apparatus for evacuating persons are disposed in the evacuation passages shown in Figs. The lower end of the escape passage is defined by the tread element 46 of the device. The tread element 46 can be used as a first step for entry or it can be used to hang or attach to a sidewalk, i.e., the escape passage (not shown in FIGS. 2 and 3). The apparatus includes at least one crossbar (47.0, 48.0, 49.0), and the crossbar (47.0, 48.0, 49.0) may be attached over the tread element (46). The top element of the elements attached to the evacuation passageway during evacuation, including at least one crossbar (47.0, 48.0, 49.0) and tread element (46) attached, is used to attach the sidewalk during evacuation. Preferably, these elements, one of which is disposed directly on the other, have a vertical spacing of 20 to 30 cm, preferably 26 cm.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 48.0, 49.0) 를 대피 통로 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바아 (45) 가 도어 개구 옆에 배치될 수 있다. 바아 (45) 는 대피 통로 내에 가로대(들) (47.0, 48.0, 49.0) 를 부착하기 위해 관련 가로대 (47.0, 48.0, 49.0) 에 할당된 고정 영역 (47, 48, 49)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트레드 요소 (46) 상에 수직하게 배향된 바아 (45) 는 대피 통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5) 의 측벽 (8) 또는 난간 (15) 에 부착될 수 있어서 도어 프레임의 부품 또는 난간 (15) 의 부품이 대피 통로를 위해 바아 (45) 에 의해 형성된다.A bar 45 may be disposed next to the door opening such that the at least one crossbar (47.0, 48.0, 49.0) can be placed in the escape passage. The bar 45 includes a fixed area 47, 48, 49 assigned to the associated crossbar 47.0, 48.0, 49.0 for attaching the crossbar (s) 47.0, 48.0, 49.0 in the escape passage. A vertically oriented bar 45 on the tread element 46 may be attached to the side wall 8 or the railing 15 of the elevator car 5 including the escape passage so that the part of the door frame, (15) is formed by the bar (45) for the escape passage.

따라서, 제 2 바아 (45') 는 제 1 바아 (45) 에 대해 대피 통로의 다른 측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 바아 (45) 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바아 (45') 는 가로대 (47.0, 48.0, 49.0) 를 부착하기 위해 관련 가로대 (47.0, 48.0, 49.0) 에 할당된 고정 영역 (47', 48', 49') 를 포함하고, 고정 영역 (47', 48', 49') 은 바람직하게는 가로대 (47.0, 48.0, 49.0) 가 대피 통로에서 수평으로 배향되도록 배치된다.Accordingly, the second bar 45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escape passage with respect to the first bar 45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bar 45. Thus, the second bar 45 'includes a fixed area 47', 48 ', 49' assigned to the associated crossbar 47.0, 48.0, 49.0 to attach the crossbar 47.0, 48.0, 49.0, The stationary areas 47 ', 48', 49 'are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the crossbars 47.0, 48.0, 49.0 are oriented horizontally in the escape passage.

또한, 안전 배리어 (52) 가 대피 통로 내에 배치되어, 대피 도어 또는 난간 (15) 이 개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피 통로가 막히게 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안전 배리어 (52) 는 로드의 형태이다. 방해물을 제공하는 안전 배리어 (52) 는 가로대 (47.0, 48.0, 49.0) 에 할당될 수 있는 장치의 모든 고정 영역 (47, 48, 49, 47', 48 ', 49') 위에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바아 (45, 45 ') 에 부착된다. 안전 배리어 (52) 는 안전 배리어 (52) 가 대피 통로를 막는 위치에서 바람직하게 폐쇄되는 안전 콘택트 (53) 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 배리어 (52) 를 제거하면, 안전 콘택트 (53) 가 활성화되고, 따라서 대피 통로가 개방된다. 안전 콘택트 (53) 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 회로에 통합될 수 있으며, 개방 회로는 안전 회로가 할당되는 엘리베이터 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safety barrier 52 is disposed in the escape passage, so that the escape passage is blocked even though the escape door or the railing 15 is opened. The safety barrier 52 shown in Figures 2 and 3 is in the form of a rod. The safety barrier 52 providing an obstruction is placed over all the fixed areas 47, 48, 49, 47 ', 48', 49 'of the device that can be assigned to the crosspiece 47.0, 48.0, 49.0 and / To the bar (45, 45 '). The safety barrier 52 includes a safety contact 53 in which the safety barrier 52 is preferably closed at the position where it obstructs the escape passage. When the safety barrier 52 is removed, the safety contact 53 is activated, and thus the evacuation passage is opened. The safety contacts 53 may be integrated, for example, in the safety circuit of an elevator system, and the open circuit prevents the elevator car, to which the safety circuit is assigned, from moving.

도 2 에 도시된 트레드 요소 (46) 는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카 (5) 의 카 바닥 (9) 의 평면 위에 배치되어서 카 바닥 (9) 은 트로프의 저부와 닮았다.The tread element 46 shown in FIG. 2 is preferably disposed above the plane of the car floor 9 of the elevator car 5 so that the car floor 9 resembles the bottom of the trough.

도 4 는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하며, 2 개의 엘리베이터 카들 (5.1, 5.2) 은 공통 엘리베이터 승강로 (2) 내에서 일방이 타방의 옆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카 (5.1, 5.2) 는 대피 도어 (20.1, 20.2) 를 포함한다.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에 할당된 제 1 대피 도어 (20.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에 할당된 제 2 대피 도어 (20.2) 는 서로 마주한다.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대피 도어 (20.1, 20.2) 각각에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는 2 개의 엘리베이터 카들의 각각의 난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Figure 4 shows a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first elevator car 5.1 and a second elevator car 5.2 with two elevator cars 5.1 and 5.2 being located within the common elevator hoistway 2, . The first and second elevator cars 5.1, 5.2 include escape doors 20.1, 20.2. The first escape door 20.1 assigned to the first elevator car 5.1 and the second escape door 20.2 assigned to the second elevator car 5.2 face each other. An apparatus as shown in Fig. 2 for evacuating a person may be disposed or disposed in each of the two escape doors 20.1, 20.2,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the device as shown in Fig. 3 may be placed in the respective railing of two elevator cars.

따라서, 2 개의 장치 중 제 1 장치는 제 1 대피 도어 (20.1) 상에 배치되고, 이들 장치 중 제 2 장치는 제 2 대피 도어 (20.2) 상에 배치된다. 서로 위 아래로 배치된 복수의 고정 지지대 (60.1, 60.2) 는 2 개의 엘리베이터 카들 (5.1, 5.2) 의 이동 경로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2) 에 배치된다. 엘리베이터 승강로 (2) 에서 엘리베이터 카들 (5.1, 5.2) 을 수직으로 안내하기 위한 레일 (도시되지 않음) 은 이러한 유형의 고정 지지대 (60.1, 60.2) 에 고정될 수도 있다.Thus, the first of the two devices is placed on the first escape door 20.1, and the second of these devices is placed on the second escape door 20.2. A plurality of fixed supports 60.1, 60.2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are arranged in the elevator hoistway 2 between the moving paths of the two elevator cars 5.1, 5.2. A rail (not shown) for vertically guiding the elevator cars 5.1, 5.2 in the elevator hoistway 2 may be fixed to this type of fixed support 60.1, 60.2.

예를 들어,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2) 에 갇히는 한편,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는 여전히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가 수직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내부의 사람들이 대피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갇히게 되는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는, 특히, 승강로-도어 접촉부를 포함하는 승강로 도어가 폐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 회로를 개방하는 결함있는 승강로-도어 접촉부, 낙뢰 또는 전력 차단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2 개의 장치에 부착될 수 있는 보도 (55) 를 통해 사람이 제 1 의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로부터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내로 대피할 수 있도록,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2) 내에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levator car 5.1 may be confined in the elevator shaft 2 while the second elevator car 5.2 may still be vertically movable. This means that the first elevator car 5.1 can not move vertically and consequently people inside the first elevator car 5.1 need to evacuate. The first elevator car 5.1, which is trapped in this manner, is particularly susceptible to damage caused by faulty elevator-door contacts, thunderstroke or power interruptions, which open the safety circuit, even though the elevator door including the elevator- . Thus, the second elevator car 5.2 can be elevated so that a person can escape from the first confined elevator car 5.1 into the second elevator car 5.2 via the sidewalk 55,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two devices. Can be located in the hoistway 2.

보도 (55) 의 제 1 단부는 2 개의 장치들 중 제 1 장치의 가로대 (48.01) 상에 부착되거나 걸리고 제 1 단부에 대향하는 제 2 단부는 2 개의 장치들 중 제 2 장치의 트레드 요소 (46.2) 에 부착되거나 걸려서, 대피할 사람이 건너는 보도 (55) 상의 거리가 가능한한 짧게 유지된다. 보도 (55) 를 건너는 때에 사람이 도 4 에 도시된 두 개의 고정 지지대들 중 하부 지지대 (60.1) 를 넘거나 기어야하기 때문에 (이는 사람이 엘리베이터 승강로 (2) 로 떨어지는 높은 위험을 수반할 수 있음), 보도 (55) 가 2 개의 장치의 트레드 요소 (46.1, 46.2) 에 부착되거나 걸린다면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의 수직 위치에 관계없이 이러한 건너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end of the sidewalk 55 is attached or snagged on the crossbar 48.01 of the first of the two devices and the second end opposite the first end of the tread element 46.2 , So that the distance on the sidewalk 55 across which the person to escape will cross is kept as short as possible. Since a person must cross or jump over the lower support 60.1 of the two fixed supports shown in Fig. 4 when crossing the sidewalk 55 (which may entail a high risk of a person falling into the elevator shaft 2) ),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is crossing distance may be limited regardless of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econd elevator car 5.2 if the sidewalk 55 is attached to or caught by the tread elements 46.1, 46.2 of the two devices .

이는 대피를 방해하는 고정 지지대 (60.1) 의 위치에 따라 제 1 의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에 대해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가 대피를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 (2) 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단 제 2 대피 도어가 개방되면, 사람을 대피시키는 서비스 기술자는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에 할당된 안전 접촉부를 개방하거나 할당된 안전 회로를 차단하기 위해 제 2 장치의 안전 배리어 (52.2) 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력 차단이 끝날 때에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가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에 할당된 안전 회로가 차단되도록, 이 안전 배리어 (52.2) 의 안전 접촉부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요하다면, 보도 (55) 의 제 1 단부는 대피 통로 내에 부착된 가로대들 (47.01, 48.01, 49.01) 중의 하나에 또는 트레드 요소 (46.1) 상에 부착되거나 걸릴 수 있다. 필요하다면 부착된 보도 (55) 의 제 1 단부 위에 부착될 수 있는 가로대 (49.01) 는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해 적어도 가능하다면 이러한 유형의 가로대 (49.01) 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추가 장애물을 사람이 건너야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제거되어야 한다. 대피할 사람들이 보도 (55) 를 쉽게 건너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착된 또는 걸린 보도 (55) 의 제 1 단부 아래에 부착될 수 있는 가로대 (47.01) 는 대피 통로 내에 부착될 수 있다.This means that the second elevator car 5.2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fined elevator car 5.1 may be located in the elevator hoistway 2 for evacuation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fixed support 60.1 which hinders evacuation. Once the second evacuation door is open, the service technician evacuating the person may remove the safety barrier 52.2 of the second device to open the safety contact assigned to the second elevator car 5.2 or to block the assigned safety circuit can do. Further, the safety of the safety barrier 52.2 is controlled such that the safety circuit allocated to the first elevator car 5.1 is blocked so as to reliably prevent the first elevator car 5.1 from moving when the power cut-off end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contact portion. If necessary, the first end of the sidewalk 55 may be attached or attached to one of the crossbars 47.01, 48.01, 49.01 attached within the escape passage or onto the tread element 46.1. A crossbar 49.01, which may be affixed on the first end of the attached sidewalk 55 if necessary, is provided to allow a person to cross an additional obstacle which may be constituted by this type of crossbar 49.01, Should be removed to avoid that. A crossbar 47.01, which may be attached underneath the first end of the attached or caught sidewalk 55, may be attached within the escape passage so that evacuees can easily cross the sidewalk 55. [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를 대피하기 위한 다음에 기술된 방법은, 갇힌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만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및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를 또한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로부터의 대피를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기술자는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를 정지 모드로 전환해야 한다. 이는 전력 차단 또는 낙뢰로 인해 야기되었을 수 있는 갇힌 상태가 확보되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기계실에서 마스터 스위치를 작동시켜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는 전원 공급장치가 외부적으로 복원됨으로써 이동이 방지되며, 따라서 이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의 외측에서 작업하는 서비스 기술자는 갑자기 다시 작동하는 이동 엘리베이터 카 (5.1) 에 의해 놀라거나 위험에 처하게 될 수 없다.The following described method for evacuating a caged elevator car 5.1 is applicable to both the elevator installation including only the first elevator car 5.1 which is confined and the elevator installation including also the second elevator car 5.2 . In order to perform the evacuation from the first elevator car 5.1, the service technician must switch the trapped elevator car 5.1 to the stop mode. This means that a trapped condition, which may have been caused by a power cut or a lightning strike, is secured. This can be done, for example, by operating the master switch in the machine room of the elevator installation. Thus, the trapped elevator car 5.1 is prevented from moving by restoring the power supply externally, so that the service technician working outside of the trapped elevator car 5.1 will suddenly restart the moving elevator car 5.1, You can not be surprised or at risk.

그런 다음, 서비스 기술자는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에 다시 접근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서비스 기술자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가 엘리베이터 승강로 (2) 내에 위치될 수 있어서 사람이 2 개의 엘리베이터 카 (5.1, 5.2) 에 부착될 수 있는 보도 (55) 를 통해 갇힌 엘리베이터 카 (5.1) 로부터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안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를 서비스 모드로 이동시킨다. 일단 서비스 기술자가 사람이 엘리베이터 승강로 (2) 로 떨어질 위험에 대비하여 상기 보도를 확보하면, 서비스 기술자는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상에 제공될 수 있는 안전 배리어 (52.02) 를 제거할 수 있다. 그 후, 서비스 기술자는 대피의 실행을 위하여 보도 (55) 의 제 1 단부가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에, 트레드 요소 (46.1) 에, 또는 장치의 가로대들 (47.0, 48.0, 49.0) 중의 하나에 부착되거나 걸리도록 보도 (55) 를 위치시킨다. 보도 (55) 의 제 2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에 부착된 트레드 요소 (46.2) 상에 부착되거나 걸릴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단부는 마찬가지로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에 부착된 가로대들 (47.02, 48.02) 중의 하나에 부착되거나 걸릴 수 있다. 보도 (55) 의 제 2 단부는, 적어도 가능하다면,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내의 사람이 제공될 수 있는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로 대피할 수 없다면 엘리베이터 승강로 (2) 의 승강로 출구에 부착되어야 한다. 그 후, 보도 (55) 가 대피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도록 그리고 대피의 수행이 가능해지도록 안전 배리어 (52.1) 가 제거될 수 있다.The service technician can then access the trapped elevator car 5.1 again. If necessary, the service technician preferably allows the second elevator car 5.2 to be located in the elevator hoistway 2, so that the person can, through the sidewalk 55,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two elevator cars 5.1, 5.2 Moves the second elevator car (5.2) to the service mode so that it can escape from the trapped elevator car (5.1) into the second elevator car (5.2). Once the service technician secures the sidewalk against the risk of a person falling into the elevator hoistway 2, the service technician can remove the safety barrier 52.02 that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elevator car 5.2. The service technician can then place the first end of the sidewalk 55 in the first elevator car 5.1, the tread element 46.1 or the one of the crossbars 47.0, 48.0, 49.0 of the apparatus, As shown in FIG. The second end of the sidewalk 55 may preferably be attached or hung on the tread element 46.2 attached to the second elevator car 5.2. Alternatively, the second end may likewise be attached or hung on one of the crossbars 47.02, 48.02 attached to the second elevator car 5.2. The second end of the sidewalk 55 is attached to the elevator exit of the elevator hoistway 2 if at least it is not possible to escape to the second elevator car 5.2 that can be provided by the person in the first elevator car 5.1 . The safety barrier 52.1 may then be removed so that the sidewalk 55 can be accessed by the person to evacuate and the evacuation can be performed.

동일한 방식으로, 도 4 에 따라 기술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제공된 장비는 갇힌 제 2 엘리베이터 카 (5.2) 의 내부에 있는 사람을 제 1 의 이동가능한 엘리베이터 카 (5.1) 로 대피시키는데 동등하게 적합하다. In the same way, the equipment provided in the elevator system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FIG. 4 is equally suitable for evacuating persons inside the trapped second elevator car 5.2 to the first movable elevator car 5.1.

Claims (13)

엘리베이터 카 (5.1, 5.2) 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 엘리베이터 카 (5.1, 5.2),
- 상기 엘리베이터 카 (5.1, 5.2) 내의 대피 통로의 하부 단부를 규정하는 트레드 요소 (46: tread element), 및
- 제 1 단부를 포함하는 보도 (55) 로서, 상기 보도 (55) 는 상기 제 1 단부에 의해 상기 트레드 요소 (46) 상에 부착,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는, 상기 보도 (55)
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트레드 요소 (46) 위에서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 48.0, 49.0: rung) 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 (47.0, 48.0, 49.0) 는 단차 (step) 로서 설계/사용되고, 상기 보도 (55) 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트레드 요소 (46) 상이 아닌 상기 가로대 (47.0, 48.0, 49.0) 상에 택일적으로 부착,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An apparatus for evacuating a person from an elevator car (5.1, 5.2)
- elevator cars (5.1, 5.2),
- a tread element (46) defining a lower end of the escape passage in the elevator car (5.1, 5.2), and
- a sidewall (55) comprising a first end, said sidewalk (55) being attached to said tread element (46) by said first end, said sidewall (55)
Lt; / RTI >
The apparatus includes at least one crossbar (47.0, 48.0, 49.0 rung) that can be attached over the tread element (46.0), and the crossbar (47.0, 48.0, 49.0) is designed / used as a step, The first end of the sidewalk 55 may be selectively attached, preferably, on the crossbar (47.0, 48.0, 49.0) other than on the tread element (46)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대피 통로 옆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5.1,5.2) 에 부착되는 바아 (2) 를 포함하고, 상기 바아 (2) 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 48.0, 49.0) 가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comprises a bar (2) attached to the elevator car (5.1, 5.2) beside the evacuation passage and to which the at least one cross bar (47.0, 48.0, 49.0) Wherein the elevator car is an elevator ca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 2 바아 (2') 를 포함하고, 바아들 (2, 2') 이 상기 엘리베이터 카 (5.1, 5.2) 내의 대피 통로의 양측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 48.0, 49.0) 가 상기 제 2 바아 (2') 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vice comprises a second bar 2 'and barbs 2, 2' can be fixed on both sides of the escape passage in the elevator cars 5.1, 5.2 and the at least one crossbar 47.0, 48.0 , 49.0) can be attached to said second bar (2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바아(들) (2, 2') 은 상기 트레드 요소 (46) 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 (s) (2, 2 ') ar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tread element (4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아(들) (2, 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 48.0, 49.0) 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5.1, 5.2) 의 카 지붕 (7) 에 배치된 난간 (15) 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 (s) (2, 2 ') and said at least one crossbar (47.0, 48.0, 49.0) are part of a railing (15) arranged on the car roof (7) of the elevator cars For evacuating a person from an elevator car.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아들 (2, 2') 은 대피 도어 (20) 로서 형성된 대피 통로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bs (2, 2 ')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escape passage formed as the escape door (2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안전 접촉부 (53) 를 갖는 안전 배리어 (52)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배리어 (52) 는 상기 안전 배리어 (52) 가 그의 고정 위치에서 상기 대피 통로를 막도록 상기 대피 통로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안전 접촉부 (53) 는 오직 상기 안전 배리어 (52) 의 상기 고정 위치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apparatus includes a safety barrier 52 having a safety contact 53 which can be placed in the escape passage such that the safety barrier 52 blocks the escape passage at its fixed position , And the safety contact (53) is closed only in the fixed position of the safety barrier (5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배리어 (52) 는 로드 (rod) 의 형태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 (47.0, 48.0, 49.0) 위에서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barrier (52) is in the form of a rod and can be mounted on the at least one crossbar (47.0, 48.0, 49.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배리어 (52) 는 그의 고정 위치에서 상기 대피 통로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said safety barrier (52) substantially completely closes said evacuation passageway in its fixed position.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An elevator system comprising an apparatus for evacuating a person from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추가 엘리베이터 카 (5.2) 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엘리베이터 카 (5.2) 는 상기 추가 엘리베이터 카 (5.2) 에 할당된 추가 대피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보도 (55) 에 의해 제 1 엘리베이터 카 (5.1) 의 대피 통로와 상기 추가 엘리베이터 카 (5.2) 의 대피 통로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Characterized in that said elevator system comprises an additional elevator car (5.2), said additional elevator car (5.2) comprising an additional evacuation passage assigned to said further elevator car (5.2) (5.1) and the escape passage of said further elevator car (5.2) can be connect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엘리베이터 카 (5.2) 내의 상기 대피 통로의 하부 단부가 제 2 트레드 요소 (46.2) 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보도 (55) 는 그의 제 2 단부에 의해 상기 제 2 트레드 요소 (46.2) 상에 부착,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고, 상기 제 2 트레드 요소 (46.2) 위에서 추가 가로대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추가 가로대는 단차로서 설계/사용되고, 상기 보도 (55) 의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트레드 요소 (46.2) 상이 아닌 상기 가로대 상에 택일적으로 부착, 바람직하게는 걸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lower end of said escape passage in said further elevator car (5.2) is defined by a second tread element (46.2) and said sidewalk (55) is mounted on said second tread element (46.2) , And an additional crosspiece can be attached on the second tread element (46.2), the additional crosspiece being designed / used as a step, and the second end of the sidewalk (55) (46.2) of the elevator shaft (46.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5.1, 5.2) 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보도 (55) 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가로대 (47.0, 48.0, 49.0) 에 부착 또는 걸리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방법.
10. A method for evacuating a person from an elevator car (5.1, 5.2) comprising a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first end of the sidewalk (55) is attached to or caught by the crosspiece (47.0, 48.0, 49.0).
KR1020187028895A 2016-04-07 2017-04-06 Device for evacuating a person from a lift car KR10237391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64307 2016-04-07
EP16164307.7 2016-04-07
PCT/EP2017/058281 WO2017174739A1 (en) 2016-04-07 2017-04-06 Arrangement for evacuating persons from a lift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409A true KR20180133409A (en) 2018-12-14
KR102373913B1 KR102373913B1 (en) 2022-03-11

Family

ID=5569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895A KR102373913B1 (en) 2016-04-07 2017-04-06 Device for evacuating a person from a lift car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225395B2 (en)
EP (1) EP3440001B1 (en)
KR (1) KR102373913B1 (en)
CN (1) CN108883895B (en)
AU (1) AU2017245728B2 (en)
BR (1) BR112018069443A2 (en)
HK (1) HK1258355A1 (en)
PH (1) PH12018502152A1 (en)
PL (1) PL3440001T3 (en)
SG (1) SG11201807939PA (en)
WO (1) WO201717473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7514A1 (en) 2021-12-22 2023-06-29 Inventio Ag Extendable evacuation bridge for an elev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315A (en) * 2002-10-03 2004-04-22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emergency rescue device
JP2005067881A (en) * 2003-08-27 2005-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Side part rescue device of car of elevator
JP2008050152A (en) * 2006-08-28 2008-03-06 Toshiba Elevator Co Ltd Rescue device of elevator
KR20150145702A (en) * 2014-06-20 2015-12-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Rescue device for elevator and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7204A (en) * 1996-09-19 1998-04-07 Hitachi Ltd Elevator emergency rescuing device
JP2005154025A (en) 2003-11-20 2005-06-1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Passenger rescue device and passenger rescue method for elevator
JP4792953B2 (en) 2005-12-06 2011-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rescue device and elevator rescue method
JP5533542B2 (en) 2010-10-14 2014-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Rescue device and elevator
JP5676550B2 (en) * 2012-12-06 2015-02-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rescue equipment
WO2019026291A1 (en) * 2017-08-04 2019-02-07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rescu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315A (en) * 2002-10-03 2004-04-22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emergency rescue device
JP2005067881A (en) * 2003-08-27 2005-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Side part rescue device of car of elevator
JP2008050152A (en) * 2006-08-28 2008-03-06 Toshiba Elevator Co Ltd Rescue device of elevator
KR20150145702A (en) * 2014-06-20 2015-12-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Rescue device for elevator and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0001A1 (en) 2019-02-13
US11225395B2 (en) 2022-01-18
AU2017245728A1 (en) 2018-11-08
BR112018069443A2 (en) 2019-02-12
CN108883895B (en) 2021-03-02
HK1258355A1 (en) 2019-11-08
US20190112154A1 (en) 2019-04-18
WO2017174739A1 (en) 2017-10-12
SG11201807939PA (en) 2018-10-30
KR102373913B1 (en) 2022-03-11
CN108883895A (en) 2018-11-23
AU2017245728B2 (en) 2020-03-05
EP3440001B1 (en) 2020-01-29
PL3440001T3 (en) 2020-07-13
PH12018502152A1 (en)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84039B (en) For closing the method and configuration of the door of elevator
CN109476462B (en) Elevator device
EP3257803B1 (en)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US10947087B2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US20050252726A1 (en) Safety top balustrade for a car of a machine room-less elevator
KR20100098446A (en) Circuit for resetting an elevator safety chain
CN108883904B (en) Elevator car,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n elevator system
US11905141B2 (en) Elevator car pivotable balustrade and maintenance method for an elevator
US20180186601A1 (en) Elevator car location zones in hoistway
KR20180133409A (en) Devices for evacuating people from lift cars
US11040853B2 (en) Elevator system hoistway access control
CN213141065U (en) Elevator car personnel evacuating device
KR20150145702A (en) Rescue device for elevator and elevator
JP3076858B2 (en) Elevator safety net device
JP5823893B2 (en) Elevator landing water stop device and elevator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JP7438841B2 (en) platform fence
KR20200098059A (en) Elevator door safety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
US11851304B2 (en) Method and arrangement
US10407934B2 (en) Safety barrier for automated vehicle parking facility
KR19980059741U (en)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fall of elevator
JP5032999B2 (en) Elevator safety device
JP2002167995A (en) Gate device of parking equipment
CN114531871A (en) Elevator installation
JPH07267551A (en) Dumbwaiter
JPH09279891A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opening section in pa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