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878A -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878A
KR20180132878A KR1020187032951A KR20187032951A KR20180132878A KR 20180132878 A KR20180132878 A KR 20180132878A KR 1020187032951 A KR1020187032951 A KR 1020187032951A KR 20187032951 A KR20187032951 A KR 20187032951A KR 20180132878 A KR20180132878 A KR 20180132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vapor
pouch
steam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709B1 (ko
Inventor
타카시 미우라
카즈미 오자와
마사히로 혼고우
시에 마츠나가
Original Assignee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61Flexible containers, e.g. bags, pouches, enve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3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ventilat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간소한 구조로 파우치의 천공 현상 및 내용물의 분출 현상의 양쪽을 양호하게 방지하는 전자레인지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 자동 증기 배출 기구(20)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10)로서, 자동 증기 배출 기구(20)는 환 형상의 증기 배출 밀봉부(30)와, 증기 배출 밀봉부(30)에 의해 둘러싸인 증기 개방부(40)와, 증기 개방부(40)에 형성된 슬릿(50)에 의해 구획된 가동편부(60)를 갖고, 증기 배출 밀봉부(30)는 가열 시에 파우치(10) 내에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박리를 개시하는 밀봉 박리 개시부(31)를 갖고, 슬릿(50)은 슬릿 양단부(51)와, 슬릿 양단부(51)부터 밀봉 박리 개시부(31)보다 먼 영역을 향해 형성되고 슬릿 양단부를 잇는 슬릿 중간부(52)로 구성되어 있는 파우치(10).

Description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본 발명은 포갠 적층 필름을 열 접착함으로써 자루 형상으로 성형되고, 가열 시에 내부의 증기를 자동적으로 빠져나가게 하는 자동 증기 배출 기구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갠 적층 필름을 열 접착함으로써 자루 형상으로 성형된 파우치 내에 조리된 또는 반조리된 식품을 수용하고, 상기 식품을 먹을 때에 전자레인지에 의해 가열 조리하는 포장 식품이 시장에 나와 있다.
이러한 파우치에서는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면 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증기나 내부 공기의 열 팽창에 의해 파우치의 내압이 높아져 파우치에 자루 파열이나 변형이 생기거나, 또한 자루 파열에 의해 파우치 내의 식품이 비산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최근, 전자레인지용 파우치에는 가열 시에 내부의 증기를 자동적으로 빠져나가게 하는 자동 증기 배출 기구가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자동 증기 배출 기구를 구비한 파우치로서, 포갠 적층 필름의 일부를 열 접착해서 환 형상의 증기 배출 밀봉부를 형성하고, 환 형상의 증기 배출 밀봉부에 둘러싸인 증기 개방부에 증기 배출 구멍을 형성한 파우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 특허문헌 1의 파우치에서는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에 따라 파우치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환 형상의 증기 배출 밀봉부(외측 밀봉부)의 일부가 박리되어 증기 개방부(완충부)와 연통하고, 상기 박리 개소 및 증기 배출 구멍(약화부)을 통해 파우치 내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일본특허공개 2003-192042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자동 증기 배출 기구에서는 증기 배출 구멍의 설계에 대해서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과제가 있다.
즉, 증기 배출 구멍을 원형 형상으로 형성했을 경우 등 증기 배출 구멍의 개구가 작을 경우에는 증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내용물이 분출하는 분출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반면, 증기의 배출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증기에 의한 파우치의 팽창 상태가 오래 유지되어 파우치의 내면재의 열 손상 등에 기인한 파우치의 천공 현상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증기 배출 구멍을 타원 형상으로 형성했을 경우 등 증기 배출 구멍의 개구가 클 경우에는 증기의 배출량을 충분히 확보하여 상술한 파우치의 천공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반면, 내용물의 성상에 따라서는 상술한 내용물의 분출 현상이 생기기 쉬워져 버린다는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간소한 구조로 파우치의 천공 현상 및 내용물의 분출 현상의 양쪽을 양호하게 방지하는 전자레인지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 증기 배출 기구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로서, 상기 자동 증기 배출 기구는 환 형상의 증기 배출 밀봉부와, 상기 증기 배출 밀봉부에 의해 둘러싸인 증기 개방부와, 상기 증기 개방부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구획된 가동편부를 갖고, 상기 증기 배출 밀봉부는 가열 시에 파우치 내에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박리를 개시하는 밀봉 박리 개시부를 갖고, 상기 슬릿은 증기 개방부에 형성된 슬릿 양단부와, 상기 슬릿 양단부로부터 상기 밀봉 박리 개시부의 먼 영역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슬릿 양단부를 잇는 슬릿 중간부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증기 배출 기구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로서, 상기 자동 증기 배출 기구는 환 형상의 증기 배출 밀봉부와, 상기 증기 배출 밀봉부에 의해 둘러싸인 증기 개방부와, 상기 증기 개방부에 형성된 증기 배출부를 갖고, 상기 증기 배출 밀봉부는 가열 시에 파우치 내에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박리를 개시하는 밀봉 박리 개시부를 갖고, 상기 증기 배출부는 상기 파우치의 가열 시에 형성되는 분출구를 갖고, 상기 분출구는 증기 및 내용물이 상기 밀봉 박리 개시부로부터 상기 증기 개방부로 진입하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개구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청구항 1,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증기 배출 밀봉부에 의해 둘러싸인 증기 개방부와, 증기 개방부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구획된 가동편부를 갖고, 슬릿이 슬릿 양단부와, 슬릿 양단부로부터 밀봉 박리 개시부보다 먼 영역을 향해 형성되고, 슬릿 양단부를 잇는 슬릿 중간부를 갖고 있음으로써 파우치의 내압의 상승에 따라 증기 배출 밀봉부가 박리되었을 때에 증기 개방부로의 증기의 진입이나 파우치의 변형 등에 기인하여 슬릿에 의해 구획된 가동편부를 구성하는 적층 필름이 파우치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을 향해 동일방향으로 경동하고, 그 결과 슬릿 양단부 부근에 파우치의 외부로 개구되는 분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분출구는 내용물이 증기 배출 밀봉부의 박리 개소로부터 증기 개방부로 진입하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분출구로부터 증기를 배출시키면서도 분출구로부터의 내용물의 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슬릿 중간부의 일부가 증기 배출 밀봉부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가동편부의 표리의 적층 필름이 부분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분출구를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슬릿에 의해 구획된 가동편부에는 가동편부끼리를 열 접착한 포인트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 포인트 밀봉부에 의해 상기 가동편부의 표리의 적층 필름이 부분적으로 부착(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분출구를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슬릿이 슬릿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갖고 있음으로써 파우치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으로의 가동편부의 경동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외부로부터 슬릿의 존재나 상태를 시인하기 쉬워진다.
본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환 형상의 증기 배출 밀봉부와, 상기 증기 배출 밀봉부에 의해 둘러싸인 증기 개방부와, 상기 증기 개방부에 형성된 증기 배출부를 갖고, 상기 증기 배출 밀봉부는 가열 시에 파우치 내에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박리를 개시하는 밀봉 박리 개시부를 갖고, 상기 증기 배출부에 파우치의 가열 시에 형성되는 분출구가 증기 및 내용물이 밀봉 박리 개시부로부터 증기 개방부로 진입하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개구됨으로써 분출구로부터 증기를 배출시키면서도 분출구로부터의 내용물의 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증기 배출부가 슬릿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릿은 슬릿 양단부와, 상기 슬릿 양단부로부터 상기 밀봉 박리 개시부보다 먼 영역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슬릿 양단부를 잇는 슬릿 중간부를 갖고 있음으로써 파우치의 내압의 상승에 따라 증기 배출 밀봉부가 박리되었을 때에 증기 개방부로의 증기의 진입이나 파우치의 변형 등에 기인하여 슬릿에 의해 구획된 적층 필름이 파우치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을 향해 동일방향으로 경동하고, 그 결과 슬릿 양단부 부근에 파우치의 외부로 개구되는 분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분출구는 내용물이 증기 배출 밀봉부의 박리 개소로부터 증기 개방부로 진입하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분출구로부터 증기를 배출시키면서도 분출구로부터의 내용물의 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가동편부의 길이 치수 및 가동편부의 폭 치수가 3mm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파우치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으로의 가동편부의 경동을 보다 확실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슬릿 양단부 부근에 있어서 분출구를 양호하게 개구시킬 수 있다.
본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슬릿 중간부가 슬릿 양단부측에 단부측 부분을 각각 갖고, 한 쌍의 단부측 부분이 밀봉 박리 개시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호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슬릿 양단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파우치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으로 가동편부가 경동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슬릿 양단부 부근에 분출구를 형성하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증기 및 내용물이 증기 개방부로 진입하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 또한 후방측으로 분출구가 개구되게 되기 때문에 분출구로부터의 내용물의 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파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자동 증기 배출 기구의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자동 증기 배출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자동 증기 배출 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파우치 가열 시에 있어서의 자동 증기 배출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파우치 가열 시에 있어서의 자동 증기 배출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자동 증기 배출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파우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파우치의 자동 증기 배출 기구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용 파우치(10)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파우치(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갠 적층 필름(11)의 외측 가장자리를 열 접착한 외측 가장자리 밀봉부(12)를 형성함으로써 자루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의 수용부(13)에 식품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것이다.
파우치(10)에는 가열 시에 파우치(10) 내의 증기를 자동적으로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는 자동 증기 배출 기구(20)가 설치되어 있다.
자동 증기 배출 기구(2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갠 적층 필름(11)을 열 접착한 환 형상의 증기 배출 밀봉부(30)와, 환 형상의 증기 배출 밀봉부(30)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부분인 증기 개방부(40)와, 이 증기 개방부(40)에 형성된 슬릿(50)(증기 배출부)과, 슬릿(50)에 의해 구획된 가동편부(60)를 갖고 있다.
이하에 자동 증기 배출 기구(2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도 1~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증기 배출 밀봉부(3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가장자리 밀봉부(12)의 내측의 모퉁이부에 외측 가장자리 밀봉부(12)로부터 독립적으로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증기 배출 밀봉부(30)는 전자레인지 가열 시에 파우치(10) 내에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증기 배출 밀봉부(30)의 외주측과 내주측이 연통하도록) 박리를 개시하는 밀봉 박리 개시부(31)를 갖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밀봉 박리 개시부(3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 형상의 증기 배출 밀봉부(30) 내 수용부(13)의 중앙(C)에 가장 가까운 부위가 된다.
증기 개방부(40)는 포갠 표리의 적층 필름(11)을 열 접착하고 있지 않은 미밀봉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증기 개방부(40)의 구체적 양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외측 가장자리 밀봉부(12)나 증기 배출 밀봉부(30)보다 약하게 표리의 적층 필름(11)에 열 접착을 실시한 약접착부나, 표리의 적층 필름(11)에 널링 밀봉 등을 실시한 패턴 형상 접착부로서 증기 개방부(40)를 형성해도 좋다.
슬릿(50)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갠 표리의 적층 필름(11)을 표리방향으로 관통해서 형성된 것이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개방부(40)에 형성된 슬릿 양단부(51)와, 슬릿 양단부(51)로부터 밀봉 박리 개시부(31)보다 먼 영역을 향해 형성되고 슬릿 양단부(51)를 잇는 U자 형상의 슬릿 중간부(52)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 양단부(51)를 잇는 가상선(L1)이 수용부(13)의 중앙(C)과 증기 개방부(40)의 중앙을 잇는 가상선(L2)에 직교하도록 슬릿 양단부(51)의 위치가 정해져 있다.
또한, 슬릿 양단부(51)의 위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가상선(L1)과 가상선(L2) 사이의 각도(α)가 45°~135°, 또는 가상선(L1)이 파우치(10)의 중심축선과 대략 평행이 되는 각도가 되도록 슬릿 양단부(51)의 위치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 밖이 되면 후술하는 도 6에 나타낸 증기 배출구(70)의 형성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상술한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편부(6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50)의 형성에 의해 주변 부위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된 부위이며, 그 외주 가장자리 내 밀봉 박리 개시부(31)측에 면하는 위치에 주변 부위에 접속되는 접속부(61)를 갖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파우치(10)를 가열했을 때의 각 부의 모습에 대해 도 5나 도 6에 의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전자레인지에 의해 파우치(10)를 가열하면 식품 등의 내용물로부터 발생하는 증기나 내부 공기의 열 팽창에 의해 파우치(10)의 내압이 높아져 수용부(13)의 중앙(C)으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힘이 주어지게 된다.
다음에, 방사 형상으로 넓어지는 힘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3)의 중앙(C)으로부터 가까운 개소(밀봉 박리 개시부(31)), 특히 수용부(13)의 중앙(C)에 가장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증기 배출 밀봉부(30)가 박리를 개시하고, 이 증기 배출 밀봉부(30)의 박리는 수용부(13)의 중앙(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선(B1), 점선(B2), 점선(B3)의 순서로 진행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점선(B1~B3)은 박리 개소와 미박리 개소 사이의 경계선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증기 개방부(4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점선(B1), 점선(B2), 점선(B3)의 순서로 박리가 진행된다.
즉, 증기 개방부(40)를 구성하는 표리의 적층 필름(11)은 증기 배출 밀봉부(30)의 박리 개시 전에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증기 배출 밀봉부(30)의 박리 개시 후에는 방사 형상으로 넓어지는 힘에 의해 수용부(13)의 중앙(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박리가 진행된다.
다음에, 증기 배출 밀봉부(30) 및 증기 개방부(40)의 박리가 점선(B3)까지 도달한 시점에서 증기 개방부(40)로의 증기의 진입이나 파우치(10)의 변형 등에 기인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편부(60)를 구성하는 적층 필름(11)(증기 개방부(40))이 파우치(10)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을 향해 동일방향으로 경동하고, 그 결과 슬릿 양단부(51) 부근에 파우치(10)의 외부에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개구되는 증기의 분출구(70)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분출구(70)는 내용물이 증기 배출 밀봉부(30)의 박리 개소로부터 증기 개방부(40)로 진입하는 방향(본 실시형태의 경우, 수용부(13)의 중앙(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분출구(70)로부터 증기를 배출시키면서도 분출구(70)로부터 내용물이 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즉, 내용물의 분출은 가동편부(60)를 구성하는 적층 필름(11)에 의해 저지된다.
또한, 분출구(70)로부터 증기가 배출되기 시작한 후는 증기 배출 밀봉부(30)및 증기 개방부(40)의 박리의 진행은 멈추고, 즉, 점선(B3)보다 먼저 증기 배출 밀봉부(30) 및 증기 개방부(40)의 박리가 진행되는 일은 없다.
또한, 이것에 따라 가동편부(60)를 구성하는 적층 필름(11)은 그 선단측(수용부(13)의 중앙(C)으로부터 먼 측)에 있어서 서로 밀착(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렇게, 전자레인지용 파우치(10)로서, 자동 증기 배출 기구(20)가 환 형상의 증기 배출 밀봉부(30)와, 증기 배출 밀봉부(30)에 의해 둘러싸인 증기 개방부(40)와, 증기 개방부(40)에 형성된 증기 배출부를 갖고 있으며, 증기 배출 밀봉부(30)는 가열 시에 파우치 내에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박리를 개시하는 밀봉 박리 개시부(31)를 갖고, 증기 배출부는 파우치의 과열 시에 형성되는 분출구(70)를 갖고 있으며, 분출구(70)는 증기 및 내용물이 밀봉 박리 개시부(31)로부터 증기 개방부(40)로 진입하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증기 배출 기구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로 함으로써 분출구(70)로부터의 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증기 배출부가 슬릿(50)으로 이루어지고, 슬릿(50)은 슬릿 양단부(51)와, 슬릿 양단부(51)로부터 밀봉 박리 개시부(31)보다 먼 영역을 향해 형성되고 슬릿 양단부(51)를 잇는 슬릿 중간부(5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파우치로 함으로써 파우치(10)의 내압의 상승에 따라 증기 배출 밀봉부(30)가 박리되었을 때에 증기 개방부(40)로의 증기의 진입이나 파우치(10)의 변형 등에 기인하여 슬릿(50)에 의해 구획된 적층 필름(11)이 파우치(10)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을 향해 동일방향으로 경동하고, 그 결과 슬릿 양단부(51) 부근에 파우치의 외부로 개구되는 분출구(70)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분출구(70)는 내용물이 증기 배출 밀봉부(30)의 박리 개소로부터 증기 개방부(40)로 진입하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분출구(70)로부터 증기를 배출시키면서도 분출구(70)로부터의 내용물의 분출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는 일 없이 다양한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적층 필름(11)의 구체적 양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 수지성 필름이나, 이들 합성 수지성 필름에 가스 배리어성이나 수분 배리어성을 부여한 코팅 필름 또는 증착 필름 등의 공지의 합성 수지성 필름을 적층하거나, 상기 합성 수지제 필름에 종이 또는 알루미늄박을 적층하는 것 등으로 형성된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1매의 적층 필름(11)을 둘로 접고, 되접은 변 이외의 나머지 3변을 열 접착함으로써 파우치(10)를 자루 형상으로 성형하고 있지만, 파우치(10)의 구체적 양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매의 적층 필름(11)을 포개어 적층 필름(11)의 4변을 열 접착함으로써 파우치(10)를 자루 형상으로 성형하는 등 다양한 공지의 성형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파우치(10)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사각형 형상 이외의, 예를 들면 사다리꼴이나, 일부에 요철이 있는 이형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파우치(10)의 내용물이 식품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내용물의 구체적 양태는 식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배출 밀봉부(30)가 외측 가장자리 밀봉부(12)의 내측에 독립적으로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증기 배출 밀봉부(30)의 구체적 양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외측 가장자리 밀봉부(12)에 연속하도록 증기 배출 밀봉부(30)를 형성해도 좋고, 또한 증기 배출 밀봉부(30)를 직사각형 환 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50)의 크기나 형성 위치 등에 따라 증기 배출 밀봉부(30)의 원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의 일부(도 9의 예에서는 슬릿(50)의 정점부에 대응하는 개소)를 외측으로 팽출시킨 형상으로 증기 배출 밀봉부(30)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증기 배출 밀봉부(30)의 변형예로서 도 7(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밀봉부(32)와, 증기 배출 밀봉부(30)의 둘레방향으로 강밀봉부(32)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강밀봉부(32)보다 내박리성이 낮은 약밀봉부(33)를 갖도록 증기 배출 밀봉부(30)를 형성해도 좋다. 이 도 7(e)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강밀봉부(32)에 의해 박리를 저지하여 증기에 의해 박리를 개시하는 밀봉 박리 개시부(31)를 약밀봉부(33)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증기 배출 밀봉부(30) 및 증기 개방부(40)의 박리가 진행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7(e)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증기 배출 밀봉부(30)의 둘레방향으로 봤을 경우의 가로폭이 강밀봉부(32)보다 약밀봉부(33)쪽이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강밀봉부(32)와 약밀봉부(33) 사이의 내박리성에 차를 두고 있지만, 내박리성의 강약을 부여하는 방법은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열 접착을 행하는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접착 강도에 강약을 부여해도 좋다.
또한, 도 7(e)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강밀봉부(32)가 증기 배출 밀봉부(30)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약밀봉부(33)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강밀봉부(32)를 약밀봉부(33)의 한쪽에만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용어 「내박리성」이란 박리의 진행에 의한 증기 배출 밀봉부(30)의 외주측과 내주측의 연통에 대한 저항 성능을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슬릿(50)의 슬릿 중간부(52)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슬릿 중간부(52)의 구체적 양태는 슬릿 양단부(51)로부터 밀봉 박리 개시부(31)보다 먼 영역을 향해 형성되고, 슬릿 양단부(51)를 잇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V자 형상이나 コ자 형상 등 슬릿 중간부(52)를 복수의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슬릿(50)의 전체가 증기 개방부(40)에 형성되어 있지만, 도 7(b)~도 7(e)나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 중간부(52)의 일부를 증기 배출 밀봉부(30)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 7(b)~도 7(e)나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증기 배출 밀봉부(30)의 내주 가장자리의 일부가 내주측으로 팽출되어 있다.
또한, 도 7(b)나 도 9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증기 배출 밀봉부(30)의 내측 가장자리 내 슬릿(50)의 정점부에 대응하는 개소에 슬릿 양단부(51)를 잇는 가상선(L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부(34)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슬릿(50)의 형성 위치가 가상선(L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다소의 어긋남이 발생했을 때이어도 가동편부(60)(자동 증기 배출 기구(20))의 성능이 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슬릿(50)이 선 형상의 절입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슬릿(50)의 구체적 양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7(d)나 도 7(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의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을 갖는 슬릿(50)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 8이나 도 9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슬릿 중간부(52)의 슬릿 양단부(51)측에 밀봉 박리 개시부(3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가상선(L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단부측 부분(52a)을 각각 형성해도 좋다. 한 쌍의 단부측 부분(52a)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봉 박리 개시부(3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호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슬릿(50)을 형성함으로써 슬릿 양단부(5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즉, 가동편부(60)의 접속부(61)의 폭이 좁아져 파우치(10)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으로 가동편부(60)가 경동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슬릿 양단부(51) 부근에 분출구(70)를 형성하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증기 및 내용물이 증기 개방부(40)로 진입하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 또한 후방측으로 분출구(70)가 개구되게 되기 때문에 분출구(70)로부터의 내용물의 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부측 부분(52a)을 형성하는 경우, 가상선(L1)에 대한 단부측 부분(52a)의 각도(β)를 30°~7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5°~55°로 설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슬릿 양단부(51)로부터 단부측 부분(52a)까지의 길이는 1m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mm~3mm로 설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단부측 부분(52a)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고, 직선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 7(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편부(60)의 선단측에 포갠 가동편부(60)끼리(적층 필름(11)끼리)를 부분적으로 열 접착한 포인트 밀봉부(62)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가동편부(60)의 치수에 대해서는 하기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우치(10)의 수용부(13)의 중앙(C)과 증기 개방부(40)의 중앙을 잇는 가상선(L2)이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가동편부(60)의 (최대)길이 치수(X)에 대해서는 3m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mm~9mm로 설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가상선(L2)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가동편부(60)의 (최대)폭 치수(Y)에 대해서도 3m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mm~9mm로 설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편부(60)의 치수 설정은 도 8이나 도 9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 1이나 도 7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술과 같이 가동편부(60)의 (최대)길이 치수(X), (최대)폭 치수(Y)를 설정 함으로써 파우치(10)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으로의 가동편부(60)의 경동을 보다 확실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슬릿 양단부(51) 부근에 있어서 분출구(70)를 양호하게 개구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복수의 실시형태나 변형예의 각 구성을 임의로 조합하여 파우치를 구성해도 하등 상관없다.
10 파우치 11 적층 필름
12 외측 가장자리 밀봉부 13 수용부
20 자동 증기 배출 기구 30 증기 배출 밀봉부
31 밀봉 박리 개시부 32 강밀봉부
33 약밀봉부 34 직선부
40 증기 개방부 50 슬릿
51 슬릿 양단부 52 슬릿 중간부
52a 단부측 부분 60 가동편부
61 접속부 62 포인트 밀봉부
70 분출구 C 수용부의 중앙

Claims (9)

  1. 자동 증기 배출 기구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로서,
    상기 자동 증기 배출 기구는 환 형상의 증기 배출 밀봉부와, 상기 증기 배출 밀봉부에 의해 둘러싸인 증기 개방부와, 상기 증기 개방부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구획된 가동편부를 갖고,
    상기 증기 배출 밀봉부는 가열 시에 파우치 내에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박리를 개시하는 밀봉 박리 개시부를 갖고,
    상기 슬릿은 슬릿 양단부와, 상기 슬릿 양단부로부터 상기 밀봉 박리 개시부보다 먼 영역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슬릿 양단부를 잇는 슬릿 중간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중간부의 일부는 상기 증기 배출 밀봉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부에는 상기 가동편부끼리를 열 접착한 포인트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박리 개시부는 상기 환 형상의 증기 배출 밀봉부 내 상기 파우치의 수용부의 중앙에 가장 가까운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슬릿 연장방향을 따라 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6. 자동 증기 배출 기구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로서,
    상기 자동 증기 배출 기구는 환 형상의 증기 배출 밀봉부와, 상기 증기 배출 밀봉부에 의해 둘러싸인 증기 개방부와, 상기 증기 개방부에 형성된 증기 배출부를 갖고,
    상기 증기 배출 밀봉부는 가열 시에 파우치 내에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박리를 개시하는 밀봉 박리 개시부를 갖고,
    상기 증기 배출부는 상기 파우치의 가열 시에 형성되는 분출구를 갖고,
    상기 분출구는 증기 및 내용물이 상기 밀봉 박리 개시부로부터 상기 증기 개방부로 진입하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부는 슬릿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릿은 슬릿 양단부와, 상기 슬릿 양단부로부터 상기 밀봉 박리 개시부보다 먼 영역을 향해서 형성되고 상기 슬릿 양단부를 잇는 슬릿 중간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수용부의 중앙과 상기 증기 개방부의 중앙을 잇는 가상선이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가동편부의 길이 치수는 3mm 이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가상선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가동편부의 폭 치수는 3mm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중간부는 상기 슬릿 양단부측에 단부측 부분을 각각 갖고,
    한 쌍의 상기 단부측 부분은 상기 밀봉 박리 개시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호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KR1020187032951A 2016-06-02 2017-05-19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KR102074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0798 2016-06-02
JPJP-P-2016-110798 2016-06-02
PCT/JP2017/018891 WO2017208864A1 (ja) 2016-06-02 2017-05-19 電子レンジ用パウ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878A true KR20180132878A (ko) 2018-12-12
KR102074709B1 KR102074709B1 (ko) 2020-02-07

Family

ID=60478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951A KR102074709B1 (ko) 2016-06-02 2017-05-19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80305B2 (ko)
EP (1) EP3466835B1 (ko)
JP (1) JP6245490B1 (ko)
KR (1) KR102074709B1 (ko)
CN (1) CN109153488B (ko)
WO (1) WO20172088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9883A (ko) 2022-10-11 2024-04-18 김두형 친환경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75289A (ja) * 2019-11-06 2021-05-20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パウチ
CN116710369A (zh) * 2021-02-10 2023-09-05 东洋制罐株式会社 微波炉用袋
JP7280391B1 (ja) * 2021-04-28 2023-05-23 ヒョンホ ボン 自動車スモークフィルムスチーム剥離装置
JP2023095614A (ja) * 2021-12-24 2023-07-06 凸版印刷株式会社 パウ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042A (ja) 2001-12-21 2003-07-09 Toyo Seikan Kaisha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及び該電子レンジ用包装袋に内容物を充填した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5082172A (ja) * 2003-09-05 2005-03-31 Toyo Seikan Kaisha Ltd 開口時に発音する自動開口電子レンジ用包装袋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3000476A1 (en) * 1981-08-04 1983-02-17 Leong, Christopher Lid for receptacle
JPH1191835A (ja) * 1997-09-12 1999-04-06 Ozawa International Kk 電子レンジで加熱可能な食品容器
FR2796048B1 (fr) * 1999-07-06 2001-09-21 Danisco Flexible France Emballage de conditionnement d'une preparation alimentaire a rechauffer
JP4463931B2 (ja) * 2000-03-22 2010-05-19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電子レンジ用包装袋
CA2533065C (en) * 2003-07-24 2011-10-11 Toppan Printing Co., Ltd. Packaging bag with steam venting function and package using the packaging bag
JP4265348B2 (ja) * 2003-09-02 2009-05-20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4569249B2 (ja) * 2003-11-28 2010-10-27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
US20070071855A1 (en) 2003-11-28 2007-03-29 Toyo Seikan Kaisha, Ltd. Packaging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US20050255200A1 (en) * 2004-05-17 2005-11-17 Dai Nippon Printing Co., Ltd. Food packaging bag, food-packaged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057599B2 (ja) * 2005-04-08 2008-03-05 ニチワ電機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袋体及び該袋体を用いた加熱加圧調理方法
JP4872237B2 (ja) * 2005-05-02 2012-02-08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6321519A (ja) * 2005-05-18 2006-11-30 Toppan Printing Co Ltd 蒸気抜き機能を有する包装袋と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2007191199A (ja) * 2006-01-20 2007-08-02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
WO2008146915A1 (ja) * 2007-05-31 2008-12-04 Q.P. Corporation パウチ詰液状食品
JP2009273382A (ja) * 2008-05-13 2009-11-26 Q P Corp パウチ詰液状食品
GB0818124D0 (en) * 2008-10-03 2008-11-05 Innovia Films Ltd Packaging film
KR101194780B1 (ko) * 2012-04-17 2012-10-25 씨앤케이프로팩 (주) 전자레인지용 자동 개봉 파우치
US9199781B2 (en) * 2013-03-14 2015-12-01 Sonoco Development, Inc. Hermetic microwavable package with automatically opening steam vent
WO2018055989A1 (ja) * 2016-09-23 2018-03-29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042A (ja) 2001-12-21 2003-07-09 Toyo Seikan Kaisha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及び該電子レンジ用包装袋に内容物を充填した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5082172A (ja) * 2003-09-05 2005-03-31 Toyo Seikan Kaisha Ltd 開口時に発音する自動開口電子レンジ用包装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9883A (ko) 2022-10-11 2024-04-18 김두형 친환경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208864A1 (ja) 2018-06-14
US11180305B2 (en) 2021-11-23
CN109153488A (zh) 2019-01-04
US20190135521A1 (en) 2019-05-09
EP3466835A4 (en) 2019-12-25
CN109153488B (zh) 2020-06-09
EP3466835A1 (en) 2019-04-10
KR102074709B1 (ko) 2020-02-07
WO2017208864A1 (ja) 2017-12-07
JP6245490B1 (ja) 2017-12-13
EP3466835B1 (en) 202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2878A (ko)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US9776769B2 (en) Steam release standing pouch and content-enclosing standing pouch
JP6282026B2 (ja) 包装袋
JP6820465B2 (ja) 電子レンジ用パウチ
JP2007204134A (ja) 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の開封方法
JP6059896B2 (ja) 包装袋
EP3321206B1 (en) Pouch and contents-sealing pouch
KR20220056206A (ko) 전자 레인지용 파우치
EP4292953A1 (en) Pouch for microwave oven use
JP2005350102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体
JP7082707B2 (ja) 包装袋
US20200180843A1 (en) Steam-releasing flat pouch
JP6392540B2 (ja) 電子レンジ対応型包装袋
JP6693006B1 (ja) レンジ用容器
WO2021020330A1 (ja) 包装袋
JP2006213382A (ja) 包装袋
WO2020208856A1 (ja) レンジ用容器
JP7063715B2 (ja) 容器本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容器本体の製造用工具、並びに、容器
JP6955199B2 (ja) 通蒸型平パウチ
KR20230106175A (ko)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JP4211533B2 (ja) 蒸気抜き機能を有する包装袋と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2023112640A (ja) 電子レンジ用パウチ
JP2024035006A (ja) レンジ用包装袋
JP2021102443A (ja) 包装袋
JP2018027827A (ja) 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